KR20100009587U - 접이식 행거 - Google Patents

접이식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587U
KR20100009587U KR2020100001808U KR20100001808U KR20100009587U KR 20100009587 U KR20100009587 U KR 20100009587U KR 2020100001808 U KR2020100001808 U KR 2020100001808U KR 20100001808 U KR20100001808 U KR 20100001808U KR 20100009587 U KR20100009587 U KR 201000095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houlder
shoulder body
hing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라다 마사히사
오오카 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제이크루즈 컴퍼니 리미티드
자룩스 인코퍼레이션
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크루즈 컴퍼니 리미티드, 자룩스 인코퍼레이션, 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이크루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00001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587U/ko
Publication of KR20100009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5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46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 A47G25/405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telescopically or slidably connected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의와 바지 양쪽 모두를 건 상태에서 접는 것이 가능하며, 운반시에 파지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편리한 접이식 행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어깨본체부와, 상기 어깨본체부의 좌우에 힌지부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어깻죽지부와, 상기 어깨본체부에 설치된 파지부와, 상기 어깨본체부의 하방에 배치된 바지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지걸이부에는 상기 힌지부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한 쌍의 바지걸이 힌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와 상기 바지걸이 힌지부를 통해 상기 어깻죽지부와 상기 바지걸이부가 연동하여 접히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행거{FOLDING HANGER}
본 고안은 의복류를 건 상태로 가방에 수납하여 들고다닐 수 있는 행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복류를 건 상태에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행거에 관한 것이다.
여행 등에 의복 등을 가지고 다닐 때, 대부분은 의복류를 행거에 건 상태로 슈트케이스 등에 수납하여 다니므로,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행거가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행거에 의복류를 건 상태로 가방 등에 수납할 경우, 행거 자체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납가능한 의복류가 한정될 뿐만 아니라, 짐이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깨본체부(71)에 힌지부(72)를 통해 연결된 어깻죽지부(73)와, 후크부(74)를 가지며, 상기 힌지부(72)를 통해 상기 어깻죽지부(73)를 접을 수 있는 접이식 행거(70)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접이식 행거(70)는 대략 이등변삼각형의 프레임에 형성된 어깨본체부(71)의 좌우양측에, 힌지부(72)를 통해 앞쪽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어깻죽지부(7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74)는 상기 어깨본체부(71)의 최상부(75)에 상기 어깨본체부(71)의 앞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복(76)을 상기 접이식 행거(70)에 건 상태로 상기 어깻죽지부(73)를, 상기 힌지부(72)를 통해 앞쪽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의복의 소매부(77)도 상기 어깻죽지부(73)와 함께 접히게 된다.
따라서, 의복(76)의 형태를 망가뜨리지 않고, 접은 상태로 가방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가방이라도 무리 없이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74)를 앞쪽방향으로 180도 회동시켜 상기 어깨본체부(71)의 프레임 내에 배치함으로써, 가방에 수납할 경우에 상기 후크부(74)가 방해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따른 접이식 행거(70)에 바지를 걸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바지걸이용 봉부재(78)를 상기 어깻죽지부(73)에 마련된 바지걸이 장착부(79)에 결합시켜 장착할 필요가 있다.
상기 봉부재(78)는 절곡이 불가능하므로, 바지를 건 상태에서는 상기 접이식 행거(70)의 어깻죽지부(73)를 접을 수 없기 때문에, 바지를 건 상태로 가방 등에 의복류를 수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후크부(74)는 대략 C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이식 행거(70)를 손으로 파지하여 운반할 경우, 상기 후크부(74)를 파지하기 어렵다는 또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일본실용신안등록3132182호
본 고안의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의와 바지 양쪽을 건 상태에서 접을 수 있으며, 운반시에 파지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편한 접이식 행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고안에 따른 접이식 행거는 어깨본체부와, 상기 어깨본체부의 좌우에 힌지축을 통해 연결된 한 쌍의 어깻죽지부와, 상기 어깨본체부에 장착된 파지부와, 상기 어깨본체부의 하방에 배치된 바지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지걸이부에는 상기 힌지부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한 쌍의 바지걸이 힌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와 상기 바지걸이 힌지부를 통해 상기 어깻죽지부와 상기 바지걸이부가 연동하여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바지걸이부에 바지를 건 상태에서, 상기 바지걸이 힌지부를 통해 상기 어깻죽지부와 함께 접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상의와 바지 양쪽을 건 상태이더라도, 콤팩트하게 접어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2의 고안에 따른 접이식 행거는, 상기 어깨본체부는 대략 이등변삼각형의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어깻죽지부는 상기 어깨본체부의 좌우 밑모서리부에 배설된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어깨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지걸이부는 상기 어깨본체부로부터 소정 치수만큼 떨어짐과 동시에 상기 어깨본체부의 저변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바지걸이부의 양단부는 상기 어깻죽지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바지걸이 힌지부는 상기 어깨본체부의 힌지부의 바로 아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어깻죽지부를 상기 힌지부를 통해 앞쪽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어깨본체부에 중첩시킴으로써, 상기 어깨본체부와 동일한 크기로 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3의 고안에 따른 접이식 행거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어깨본체부의 최상부에 앞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를 앞쪽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어깨본체부의 프레임 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파지부를 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4의 고안에 따른 접이식 행거는 상기 파지부가 하방을 향해 부풀어오른 대략 D자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부에 상기 파지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의 고안에 따른 접이식 행거는, 상기 회동부재는 대략 L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파지부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부에는 상기 파지부의 상변부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손으로 파지할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파지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파지하기 쉬우며,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파지부를 개방함으로써 클로젯(closet) 등의 파이프부에 용이하게 걸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 및 2의 고안에서는 어깻죽지부를 힌지부를 통해 접을 수 있음과 아울러, 바지걸이부가 바지걸이 힌지부를 통해 상기 어깻죽지부와 연동하여 접힌다. 또한, 상기 어깨본체부에는 손으로 쥐기 위한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의와 바지 양쪽을 건 상태에서 접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운반시에 파지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한 접이식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청구항 2의 고안에서는 상기 바지걸이 힌지부가 상기 어깨본체부의 힌지부의 바로 아래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은 상태의 외관 품질이 좋을 뿐만 아니라, 의복류의 형태가 잘 망가지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3의 고안에서는 상기 파지부는 상기 어깨본체부의 최상부에 앞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파지부를 접음으로써, 보다 작은 크기로 접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가방 등의 수납이 용이해진다.
또한, 청구항 4의 고안에서는 상기 파지부는 하방을 향해 부풀어오른 대략 D자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부에 상기 파지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를 갖는다.
또한, 청구항 5의 고안에서는 상기 회동부재는 대략 L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파지부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부에는 상기 파지부의 상변부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운반시에는 상기 파지부가 하방을 향해 부풀어오른 대략 D자 형태이기 때문에, 손으로 파지하기 쉬우며, 클로젯 등의 파이프에 걸어 수납할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파지부를 개방함으로써, 파이프에 용이하게 거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운반시 및 수납시 양쪽 모두에 있어 사용하기 쉬운 접이식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실시 형태에 있어, 힌지부와 바지걸이 힌지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실시 형태에 있어, 힌지부, 바지걸이 힌지부 및 파지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실시 형태에 있어, 파지부의 회동부재를 닫은 상태의 파지부의 확대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실시 형태에 있어, 파지부의 회동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파지부의 확대정면도.
도 5는 종래의 접이식 행거에 있어 힌지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접이식 행거에 있어 의류를 건 상태로 힌지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종래의 접이식 행거에 있어 바지걸이용의 봉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제품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행거(10)는 어깨본체부(11)와, 상기 어깨본체부(11)의 좌우에 힌지부(12)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어깻죽지부(13)와, 상기 어깨본체부에 장착된 파지부(14)와, 상기 어깨본체부(11)의 하방에 배치된 바지걸이부(15)를 구비하며, 상기 바지걸이부(15)에는 상기 힌지부(12)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한 쌍의 바지걸이 힌지부(16)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12)와 상기 바지걸이 힌지부(16)를 통해 상기 어깻죽지부(13)와 상기 바지걸이부(15)가 연동하여 접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깨본체부(11)는 대략 이등변삼각형의 프레임(17)에 형성되며, 상기 어깻죽지부(13)는 상기 어깨본체부(11)의 좌우의 밑모서리부(18)에 배설된 상기 힌지부(12)를 통해 상기 어깨본체부(11)에 연결되며, 상기 바지걸이부(15)는 상기 어깨본체부(11)로부터 소정 치수만큼 떨어짐과 아울러 상기 어깨본체부(11)의 저변부(19)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바지걸이부(15)의 양단부(20)는 상기 어깻죽지부(13)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바지걸이 힌지부(16)는 상기 어깨본체부(11)의 힌지부(12)의 바로 아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는 상기 어깨본체부(11)의 최상부(21)에 앞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14)는 하방을 향해 부풀어오른 대략 D자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부(22)에 상기 파지부(14)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2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23)는 대략 L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24)가 상기 파지부(14)의 하단부(25)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부(26)에는 상기 파지부(14)의 상변부(27)에 형성된 결합홈부(28)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부(29)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행거(10)의 정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어깨본체부(11)는 전체적으로 대략 이등변삼각형의 프레임이며, 상기 어깻죽지부(13)는 대략 1/4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부(30)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미끄럼방지용 돌출부(42)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지걸이부(15)는 봉부재(31)와 대략 J자형의 연결부재(32)로 형성되고, 상기 대략 J자형의 연결부재(32)의 일단부(33)는 상기 봉부재(31)의 양단부에 바지걸이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2)의 타단부(34)는 상기 어깻죽지부(1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의 하단부(25)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어깨본체연결부(35)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어깨본체연결부(35)는 상기 어깨본체부(11)의 최상부(21)에 축(36)에 의해 상기 어깨본체부(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행거(10)의 파지부(14)의 확대정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의 상변부(27)의 일단부(40)에는 상기 회동부재(23)가 결합될 수 있는 홈부(37)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의 선단부(38)에는 상기 회동부재(23)의 타단부(26)에 형성된 결합돌기부(29)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23)의 일단부(34)는 축(39)에 의해 도 3중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14)의 하단부(25)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내 바와 같이, 상기 어깨본체부(11)에 상의(미도시)를 걸고 상기 바지걸이부(15)에 바지의 다리통 부분(미도시)을 건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12)와 상기 바지걸이 힌지부(16)를 앞쪽방향으로 회동시켜 접는다.
이 때, 상기 어깻죽지부(13)가 상기 상의의 어깻죽지에 삽입된 상태인 채로 접혀지기 때문에, 접은 상태에서도 상의의 형태가 망가지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바지걸이부(15)는 상기 어깨죽지부(13)와 연동하여 접혀지기 때문에, 상의와 바지 양쪽을 건 상태일지라도 접는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를 앞쪽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어깨본체부(11)의 프레임(17) 내에 접음으로써, 전체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소형 가방에도 수납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14)가 하방을 향해 부풀어오른 대략 D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행거에 의류를 건 상태로 운반할 경우에 파지하기 쉽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의 상변부(27)의 일단부(40) 근방을 도면중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손가락 등으로 누름으로 인해, 상기 결합돌기부(29)가 결합홈부(28)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회동부재(23)가 도 4중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부(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41)를 통해, 클로젯 등의 파이프부(미도시)에 용이하게 상기 접이식 행거(10)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의복류를 건 상태로 가방 등에 수납하여 운반가능한 행거로서, 특히 의복류를 건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행거에 적용가능하다.
10 : 접이식 행거 11 : 어깨본체부
12 : 힌지부 13 : 어깻죽지부
14 : 파지부 15 : 바지걸이부
16 : 바지걸이 힌지부 17 : 어깨본체부의 프레임
18 : 어깨본체부의 밑모서리부 19 : 어깨본체부의 저변부
20 : 바지걸이부의 단부 21 : 어깨본체부의 최상부
22 : 파지부의 일측부 23 : 회동부재
24 : 회동부재의 일단부 25 : 파지부의 하단부
26 : 회동부재의 타단부 27 : 파지부의 상변부
28 : 결합홈부 29 : 회동부재의 결합돌기부
30 : 어깻죽지부의 외주부 31 : 바지걸이부의 봉부재
32 : 바지걸이부의 연결부재 33 : 연결부재의 일단부
34 : 연결부재의 타단부 35 : 어깨본체 연결부
36 : 파지부의 축 37 : 홈부
38 : 홈부의 선단부 39 : 회동부재의 축
40 : 파지부의 상변부의 일단부 41 : 파지부의 개방부
42 : 미끄럼방지용 돌기부 70 : 접이식 행거
71 : 어깨본체부 72 : 힌지부
73 : 어깻죽지부 74 : 후크부
75 : 어깻죽지부의 최상부 76 : 의복
77 : 소매부 78 : 바지걸이용 봉부재
79 : 바지걸이 장착부

Claims (5)

  1. 접을 수 있는 행거로서,
    어깨본체부와, 상기 어깨본체부의 좌우에 힌지부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어깻죽지부와, 상기 어깨본체부에 설치된 파지부와, 상기 어깨본체부의 하방에 배치된 바지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지걸이부에는 상기 힌지부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한 쌍의 바지걸이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와 상기 바지걸이 힌지부를 통해 상기 어깻죽지부와 상기 바지걸이부가 연동하여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본체부는 대략 이등변삼각형의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어깻죽지부는 상기 어깨본체부의 좌우의 밑모서리부에 배설된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어깨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지걸이부는 상기 어깨본체부로부터 소정 치수만큼 떨어짐과 아울러 상기 어깨본체부의 저변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바지걸이부의 양단부는 상기 어깻죽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바지걸이 힌지부는 상기 어깨본체부의 힌지부의 바로 아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어깨본체부의 최상부에 앞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하방을 향해 부풀어오른 대략 D자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부에 상기 파지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대략 L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파지부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부에는 상기 파지부의 상변부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KR2020100001808U 2009-03-19 2010-02-19 접이식 행거 KR201000095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08U KR20100009587U (ko) 2009-03-19 2010-02-19 접이식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09-001649 2009-03-19
KR2020100001808U KR20100009587U (ko) 2009-03-19 2010-02-19 접이식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87U true KR20100009587U (ko) 2010-09-29

Family

ID=4419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808U KR20100009587U (ko) 2009-03-19 2010-02-19 접이식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587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288A1 (ko) * 2012-04-10 2013-10-17 (주)에이치엔씨 의류 관리기 조립체
WO2016163664A1 (ko) * 2015-04-08 2016-10-13 송주현 반접이식 옷걸이
DE202018006088U1 (de) 2017-12-10 2019-03-07 Raymund Banken Leicht handhabbarer platzsparender Kleiderbügel zum faltenfreien Transport von Oberbekleidungsstücken
WO2020249764A1 (fr) * 2019-06-14 2020-12-17 Seb S.A. Dispositif de support pour supporter un vetement
WO2023153226A1 (ja) * 2022-02-14 2023-08-17 大王製紙株式会社 ハンガ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288A1 (ko) * 2012-04-10 2013-10-17 (주)에이치엔씨 의류 관리기 조립체
WO2016163664A1 (ko) * 2015-04-08 2016-10-13 송주현 반접이식 옷걸이
DE202018006088U1 (de) 2017-12-10 2019-03-07 Raymund Banken Leicht handhabbarer platzsparender Kleiderbügel zum faltenfreien Transport von Oberbekleidungsstücken
DE102018009762A1 (de) 2017-12-10 2019-06-13 Raymund Banken Lelcht handhabbarer platzsparender Klelderbugel zum faltenfrelen Transport Von Oberbekleldungsstucken
WO2020249764A1 (fr) * 2019-06-14 2020-12-17 Seb S.A. Dispositif de support pour supporter un vetement
FR3097111A1 (fr) * 2019-06-14 2020-12-18 Seb S.A. Dispositif de support pour supporter un vêtement
WO2023153226A1 (ja) * 2022-02-14 2023-08-17 大王製紙株式会社 ハンガ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9587U (ko) 접이식 행거
US20100059557A1 (en) Perfect shirt hanger
GB2422536A (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JP6993033B1 (ja) 表返しハンガー
US20070007312A1 (en) Clothing hanger
CN2904857Y (zh) 一种可折叠衣架
CN201911830U (zh) 一种衣架
KR200395951Y1 (ko) 옷걸이
KR200373089Y1 (ko) 접이 옷걸이
CN205682909U (zh) 一种可折叠的衣裤架
JP2012518500A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ハンガー
CN217118097U (zh) 可收折衣架
JP3139001U (ja) 二重ハンガー
KR200393190Y1 (ko) 파이프형 접철식 옷걸이
CN204908962U (zh) 一种可折叠式多挂点衣架
JP2013059597A (ja) 開口式ハンガー
JP2008018194A (ja) パラソルハンガー
JP2009095363A (ja) 折り畳み式ハンガー
CN107752686A (zh) 一种新式多层衣架
KR200295815Y1 (ko) 차량휴대용 접이식 옷걸이
US11864675B2 (en) Hanger-template for folding and hanging items of clothing
CN209854404U (zh) 一种多功能晾衣架
JP4002779B2 (ja) 二重ハンガー
CN211093243U (zh) 可伸缩衣架
CN201996233U (zh) 一种折叠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