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187U - Joint bracket for a floating structure possible for exchange of buoyancy tube - Google Patents

Joint bracket for a floating structure possible for exchange of buoyancy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187U
KR20100009187U KR2020100008524U KR20100008524U KR20100009187U KR 20100009187 U KR20100009187 U KR 20100009187U KR 2020100008524 U KR2020100008524 U KR 2020100008524U KR 20100008524 U KR20100008524 U KR 20100008524U KR 20100009187 U KR20100009187 U KR 201000091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uoyancy
support frame
ring
diame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52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61384Y1 (en
Inventor
김재만
안정길
Original Assignee
(주)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 filed Critical (주)엠디
Priority to KR2020100008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84Y1/en
Publication of KR20100009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8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8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력튜브와 발판 및 난간 등을 연결시켜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수상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연결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튜브의 조립을 위한 튜브링의 구조를 외부측 대구경 튜브링과 내부측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으로 개선시킴으로서, 수상구조물을 시설할 경우 필요시 내부측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을 제거하고 보다 큰 직경의 부력튜브로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내부측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의 배치를 최적화시켜 그 제거작업 또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수상구조물의 가장 중요한 베이스가 되는 부력튜브의 치수가 상황에 따라 변동될 경우에도 이러한 설계변경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토록 함으로서, 수상구조물의 시설작업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부력튜브의 교체가 가능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살에 의하여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11)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부력튜브(15) 삽입용 튜브링(12)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는 발판용 조립단부(1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링(12)은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단측에서 지지살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10)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튜브링(12) 전체 또는 일부의 튜브링(12)은, 지지살 프레임(11)과 일체로 연결되는 대구경 튜브링(12a)과, 상기 대구경 튜브링(12a)의 내측에서 이음살(12c)에 의하여 대구경 튜브링(12a)과 연결 설치되는 원호상의 소구경 튜브아치(12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bracket for connecting a buoyancy tube, scaffolding, and railing to provide an aquatic structure such as a breakwater-proof cage or a ship's eyepiece, and more particularly, a structure of a tube ring for assembling a buoyancy tube. By improving the outer large diameter tubing and the inner small diameter tube support means, if the water structure is installed, the inner small diameter tube support means can be removed and replaced with a larger diameter buoyancy tube, if necessary, By optimizing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small-diameter tube support means, the removal work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easily, so that even if the dimensions of the buoyancy tub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base of the aquatic structure, chan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By proactively responding to changes, the facility work of the water structures is further enhanced. The replacement of the buoyancy tubes to be carried out efficiently relates to the connection bracket for possible award structur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the support bar, buoyancy tube 15 insertion tube ring 12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11 and It is made, including an end portion 13 for the scaffold protruding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11, the tube ring 12 is the support frame 11 at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11 In the connecting bracket 10 for a water structure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tube rings 12, the tube ring 1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1 It consists of a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and an arc-shaped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connected to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by a joint 12c inside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

Description

부력튜브의 교체가 가능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Joint bracket for a floating structure possible for exchange of buoyancy tube}Joint bracket for a floating structure possible for exchange of buoyancy tube}

본 고안은 부력튜브와 발판 및 난간 등을 연결시켜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수상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연결브라켓에 있어, 부력튜브의 조립을 위한 튜브링의 구조를 외부측 대구경 튜브링과 내부측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으로 개선시킴으로서, 필요시 내부측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을 제거하고 보다 큰 직경의 부력튜브로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내부측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의 제거작업 또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부력튜브의 교체가 가능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buoyancy tube, scaffolding and railings to provide a water-resistant structure, such as impulse-proof frame facilities or ship's eyepiece facility, the structure of the tubing for assembling the buoyancy tube outer large diameter tube By improving the ring and the inner small diameter tube support means,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inner small diameter tube support means and replace it with a larger diameter buoyancy tube, while also removing the inner small diameter tube support mea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bracket for aquatic structures that can replace a buoyancy tube so that it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easily.

일반적으로 연안해역이나 호수 등과 같은 수역(水域)에 설치되는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 등의 수상구조물은,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재를 일정한 형상으로 엮은 계류물을 토대로 하여, 이 계류물상에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을 설치하는 한편, 가두리용 그물 또는 선박의 접안에 필요한 접안로프나 완충범퍼 등을 설치한 것이다.In general, aquatic structures such as cages and berths installed in coastal waters or lakes are based on mooring of buoyant materials such as logs or styrofoam in a certain shape.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of a mobile scaffolding, it is to install the eyepiece rope or buffer bumper, etc. necessary for the cage net or berthing of the vessel.

그러나,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 등의 부력재를 사용하여 가두리시설이나 접안시설과 같은 수상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면, 수상구조물의 설치 과정에서 많은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파도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부력재가 쉽게 파손됨에 따라, 수상구조물의 수명과 안전성이 저하됨은 물론, 부력재로부터 떨어져 나온 파편 들이 바다나 호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buoyant materials such as logs or styrofoam are used to install the water structures such as cages and eyepieces,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structures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he buoyancy materials are easily damaged by waves or external shocks. Accordingly, the lifetime and safety of the waterborne structure is reduced, as well as debris from the buoyancy material contaminates the sea or lake.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접착 및 조립이 가능한 폴리에틸렌(PE), 바람직하게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한 파이프 형상의 부력튜브 및 연결프레임을 토대로 하여,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각종 수상구조물이 제조되고 있는 추세이다.Due to the above problems, in recent years, polyethylene (PE), preferably medium density polyethylene (MDPE), which is very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and recyclability, and is easily and firmly adhered and assembled by a heat fusion method. Or on the basis of pipe-shaped buoyancy tubes and connecting frames using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 variety of water structures such as wave-resistant cages and ship's eyepieces are being manufactured.

상기와 같이 부력튜브를 연결시켜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수상구조물의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 종래의 통상적인 연결프레임은, 다수 개의 지지살을 이용하여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하측단에 형성되어 부력튜브가 삽입되도록 한 튜브링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어 발판 및 난간이 각각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조립단부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a conventional connecting frame, which allows a buoyancy tube to be connected to build a base of a water structure such as a breakwater-proof cage or a ship's eyepiece, is a support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using a plurality of supports. A frame, a tube ring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to allow the buoyancy tube is inserted, and an assembly end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allow the scaffolding and handrails to be assembled, respectivel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브라켓은 특정한 직경을 가지는 한 가지 종류의 부력튜브만을 튜브링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상구조물을 시설하는 과정에서 최초 설계시에 계산되었던 부력보다 큰 부력이 요구될 경우, 수상구조물의 베이스를 이루는 부력튜브의 치수(직경)를 변경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데, 종래의 연결브라켓은 이러한 설계변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onnection bracket can use only one type of buoyancy tube having a specific diameter connected to the tube ring, buoyancy greater than the buoyancy calculated at the time of initial design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structure is required. In this case, a situation arises in which the dimensions (diameter) of the buoyancy tube forming the base of the waterborne structure need to be changed, which makes it impossible for a conventional connection bracket to actively cope with such a design change.

다시 말해서, 최초의 설계치보다 큰 부력을 가지는 수상구조물의 시설이 요구되어 부력튜브를 보다 큰 직경의 것으로 교체시켜야 할 경우, 부력튜브의 연결을 위한 연결브라켓 또한 교체된 부력튜브의 직경과 맞는 튜브링을 가지는 제품으로 모두 교체시켜야 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설계변경의 발생시 수상구조물의 시설기간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installation of a floating structure with a buoyancy greater than the original design is required and the buoyancy tube needs to be replaced with a larger diameter, th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buoyancy tube also fits the diameter of the replaced buoyancy tube. It is necessary to replace all of them with the product having the same value, which will result in excessively delayed the installation period of the floating structure more than necessary when a design change occurs.

실질적인 예로서, 종래의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내파성 수상가두리를 시설할 경우, 연결브라켓의 일측단에 가두리그물을 연결시키고 그 가두리그물의 하단에 침자(沈子)를 연결시킨 결과, 가두리그물과 침자의 무게에 의하여 연결브라켓의 타측단이 일정 각도만큼 상방향으로 들려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연결브라켓의 상단부에 조립되어 작업자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발판 또한 연결브라켓과 함께 기울어지게 된다.As a practical example, in the case of installing a breakwater-resistant water cage using a conventional connecting bracket, as a result of connecting a cage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and connecting a needle to the bottom of the cag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may be lifted upward by a certain angle due to the weight of the hook. When such a situation occurs, the footrest is assemb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to provide a moving path for the operator. It will be tilted together.

상기와 같이 연결브라켓과 발판이 기울어지게 되면, 수상가두리용 발판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자가 가두리그물이 설치된 방향으로 쉽게 미끄러지거나 실족할 수 있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게 되므로, 가두리그물이 연결되는 부분에 보다 큰 부력을 제공하여 연결프레임 및 발판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존에 설계된 부력튜브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부력튜브로 교체시켜야 하는 데, 종래의 연결브라켓은 이러한 부력튜브의 교체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When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footrest are inclined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moving along the footrest for the water cage can easily slide or stra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ge is installed, so the risk of safety accident is high. In order to provide greater buoyancy to the connection frame and scaffold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buoyancy tub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reviously designed buoyancy tube. Will be done.

물론, 설계변경시 발생할 수 있는 부력의 상승폭을 감안하여 수상구조물에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부력보다 큰 부력을 가지는 대형의 부력튜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수상구조물의 최적화된 설계를 통하여 수상구조물을 보다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시설하는 측면에서 전혀 바람직하지 못하며, 수상구조물의 시공비용만을 크게 상승시켜 대외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될 뿐이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use a large buoyancy tube having a buoyancy larger than the buoyancy actually required for the floating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increase in buoyancy that may occur during the design change, but it is more economical through the optimized design of the floating structure. It is not desirable at all in terms of facility and rationality, and it is only a factor to weaken the external competitiveness by greatl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floating structure.

한편, 본 출원인이 2009년 특허출원 제 51018호로 선출원하여 10-944183호로 특허등록된 계류구조물용 부력튜브 연결블록에 2중 구조의 튜브링이 기재되어 있으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연결블록의 경우는 2개의 튜브링이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서, 내측의 소구경 튜브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내,외측 튜브링을 연결하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지지살을 모두 일일이 잘라내어야 함에 따라, 부력튜브를 교체하기 위하여 내부측 튜브링을 제거시키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buoyant tube connecting block for mooring structures, which the applicant has filed in 2009 patent application No. 51018 and patented as 10-944183, the double-tube tube is described, but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block that the applicant has filed Since the two tube rings are arranged in a concentric shape, in order to remove the inner small diameter tube ring, it is necessary to cut out a plurality of radially installed supports in order to connect the inner and outer tube rings. In order to remove the inner tube, there wa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time.

특히, 상기 소구경 튜브링의 경우는 수상구조물의 시설과정에서 필요시 제거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연결브라켓의 제조시 내부측 소구경 튜브링의 성형을 위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량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으나, 선출원에 의하면, 외부측 튜브링과 내부측 튜브링을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서, 각각의 튜브링을 연결하는 지지살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를 유발시키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mall diameter tubing is a part that can be removed when necessary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water structure, in view of this point the amount of material to be injected for the molding of the inner small diameter tubing in the manufacture of the connection bracke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but according to the prior application, by arranging the outer tube ring and the inner tube ring in a concentric shape, the number of supports connecting each tube ring is relatively increased, thereby waste of unnecessary material There was an additional problem causin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편, 선출원에 기재된 2중 튜브링의 구조를 부력튜브의 교체작업에 맞추어 보다 더 최적화시키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브라켓의 튜브링을 외부측 대구경 튜브링과 내부측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을 원호상의 튜브아치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외부측 튜브링과 편심되어 내접하는 형태의 소구경 튜브링으로 형성시킴으로서, 필요시 내부측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을 제거하여 보다 큰 직경의 부력튜브로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내부측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의 제거작업 또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수상구조물의 시설작업을 한층 더 경제적이고 합리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시 제거될 수 있는 내부측 소구경 튜브지지수단의 성형에 적정량의 재료가 투입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 또한 방지토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s designed to further optimize the structure of the double tube ring describ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to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buoyancy tube, the tube ring of the connection bracket to the outer large diameter tube It consists of a ring and the inner small diameter tube support means, wherein the small diameter tube support means is formed by an arc-shaped tube arch or by a small diameter tube ring eccentric with the outer tube ring. The inner small diameter tube support means can be removed and replaced with a larger diameter buoyancy tube, while the removal of the inner small diameter tube support mean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Facilities that can be done more economically, reasonably, and efficiently, and can be removed if necessary Side to ensure that a small diameter is put in a suitable amount of the material forming the tube support means is ever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material also in the technical challenges.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고안은, 지지살에 의하여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부력튜브 삽입용 튜브링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는 발판용 조립단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링은 지지살 프레임의 하단측에서 지지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튜브링 전체 또는 일부의 튜브링은, 지지살 프레임과 일체로 연결되는 대구경 튜브링과, 상기 대구경 튜브링의 내측에서 이음살에 의하여 대구경 튜브링과 연결 설치되는 원호상의 소구경 튜브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소구경 튜브아치 대신에 대구경 튜브링과 편심된 위치에서 대구경 튜브링에 내접하는 형태의 소구경 튜브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support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the support bar, buoyancy tube insertion tube ring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bar In the upper end of the frame comprises a step for assembling the step for forming the step, the tube ring is a connecting bracket for the water structure formed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i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frame, The whole or part of the two tube rings consists of a large diameter tube ring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nd an arc-shaped small diameter tube arch that is connected to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by a joint inside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large diameter tube arch and the eccentric stomach instead of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Characterized in that inscribed in the form of a small-diameter tube rings is installed in the ring large diameter tub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수상구조물을 시설하는 과정에서 최초 설계시에 계산되었던 부력보다 큰 부력이 요구됨에 따라, 수상구조물의 베이스 전체 또는 그 일부에 걸쳐 부력튜브의 치수(직경)를 변경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부력튜브의 손쉬운 교체작업을 통하여 이러한 설계변경에 보다 더 능동적으로 대처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the buoyancy greater than the buoyancy calculated during the initial design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water structure, the dimensions (diameter) of the buoyancy tube must be changed over the whole or part of the base of the water structure. Even if the situation occurs, there is an effect to more actively deal with these design changes through easy replacement of the buoyancy tube.

이로 인하여, 설계변경의 발생시 연결브라켓 자체를 교체시킴에 따라 수상구조물의 시설기간이 과도하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계변경으로 야기되는 부력의 상승폭을 감안하여 필요 이상으로 큰 치수의 부력튜브를 사용함에 따른 비경제적이고 불합리한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수상구조물의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고, 수상구조물의 시공업체로 하여금 우수한 대외경쟁력을 확보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delay of facility life of the floating structure by replacing the connecting bracket itself when a design change occurs, and buoyancy tube having a larger dimension than necessary in view of the buoyancy rise caused by the design change. By being able to prevent the uneconomical and unreasonable problems of using, as well as the efficient construction of the water structure is possible, there is an effect to ensure the excellent external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company of the water structure.

한편, 2개의 튜브링을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시킨 선출원과 비교할 경우에도, 부력튜브의 교체를 위하여 이음살과 함께 잘라 내어야 하는 소구경 튜브아치 또는 소구경 튜브링의 연결부분이 매우 적기 때문에, 부력튜브의 교체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소구경 튜브아치나 소구경 튜브링 및 이음살의 성형을 위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량 또한 선출원의 내부측 튜브링과 지지살에 비하여 적게 되므로, 해당 부분을 잘라냄에 따라 발생하는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compared to the selection of the two tube ring concentrically arranged, buoyancy tube because there is very little connection between the small-diameter tube arch or small-diameter tubing that must be cut out with the joint to replace the buoyancy tub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replacement work more quickly and easily, and the amount of material input for forming small-diameter tube arches, small-diameter tubing and joints is also less than that of the inner tubering and support of the previous applic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ve a very useful effect, such as to prevent the waste of unnecessary materials generated by cut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bra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brac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FIG. 5;
7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on bracke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on bracke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브라켓(10) 또한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마찬가지로, 다수 개의 지지살을 이용하여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11)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하측단에 형성되어 부력튜브(15)가 삽입되도록 한 튜브링(12)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다.As shown in each of Figures 1 to 6, the support bracket fram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us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11 And a tube ring 1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1 to allow the buoyancy tube 15 to be inserted therein.

그리고,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단측에는 미도시된 발판의 조립을 위한 조립단부(13)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한편, 지지살 프레임(11)의 양측단 상부면에는 미도시된 난간용 핸드레일 포스트를 조립시키기 위한 포스트 커넥터(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1 is formed on the top end of the assembly end 13 for assembling the step not shown at regular intervals, while the upp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11 is not shown Post connectors 14 for assembling handrail posts for handrails are protruded.

상기 포스트 커넥터(14)는 해당 위치에서 지지살 프레임(11)의 내측부로 들어가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고, 포스트 커넥터(14)를 별도로 형성시키지 않고 조립단부(13)를 이용하여 핸드레일 포스트를 설치토록 할 수도 있다.The post connector 14 may be formed to enter the inn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1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handrail post may be installed by using the assembly end 13 without separately forming the post connector 14. You may.

도 1 및 도 2에서는 2개의 튜브링(12)이 제공된 연결브라켓(10)을 도시하였고, 도 3 내지 도 6에서는 3개의 튜브링(12)이 제공된 연결브라켓(10)을 도시하였으나, 수상구조물의 종류나 크기 등에 맞추어 통상 2개 내지 4개 정도의 튜브링(12)이 연결브라켓(10)에 제공되므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튜브링(12)의 개수를 4개 또는 필요시 5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1 and 2 illustrate a connection bracket 10 provided with two tube rings 12, and FIGS. 3 to 6 show a connection bracket 10 provided with three tube rings 12, but the water structure In general, two to four tube rings 12 are provided in the connection bracket 10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r size of the tube, so that the number of tube rings 12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S. It is also possible to have four or five if necessary.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경우에도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튜브링(12)이 형성되는 하측 부분을 제외하고 다수 개의 지지살이 격자 형태로 교차됨으로서 개략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외곽측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내부측 지지살의 배치형태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support frame 11, as shown in Figures 1 to 6, except for the lower portion where the tube ring 12 is forme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by crossing the lattice form However, the arrangement form of the inner support ribs excluding the outer edge portion may also have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form shown in the drawings.

본 고안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부측에서 다수 개로 형성되는 튜브링(12) 전체 또는 그 일부의 튜브링(12)을, 지지살 프레임(11)과 일체로 연결되는 대구경 튜브링(12a)과, 상기 대구경 튜브링(12a)의 내측에서 이음살(12c)에 의하여 대구경 튜브링(12a)과 연결 설치되는 원호상의 소구경 튜브아치(Tube-arch)(12b)로 형성시킨 것이다.As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tube ring 12 or a part of the tube ring 12 formed in plural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11 is integrated with the support frame 11. Large-diameter tube-ring (12a) connected to the large-diameter tube-arch (arc-shaped tube-arch) that is connected to the large-diameter tubering (12a) by a joint (12c) inside the large-diameter tubering (12a) ( 12b).

도면상 상기 소구경 튜브아치(12b)는 대구경 튜브링(12a)의 내측 상부에서 대구경 튜브링(12a)이 형성하는 직경보다 적은 직경을 가지는 반원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살(12c)은 소구경 튜브아치(12b)의 양측 하단이 대구경 튜브링(12a)과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총 3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In the drawing, the small-diameter tube arch 12b is install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formed by the large-diameter tube ring 12a at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large-diameter tube ring 12a, and the joint 12c A total of three are show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xcept for a portion where both lower ends of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are connected to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상기와 같이 소구경 튜브아치(12b)를 대구경 튜브링(12a)의 내측 상부에 형성시킨 이유는, 연결브라켓(10)과 부력튜브(15)를 사용하여 수상구조물을 시설할 경우, 수상구조물의 상부측에 난간 등의 각종 부대장치가 설치되는 한편, 수상구조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체중이 모두 하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이음살(12c)이 지지살 프레임(11)과 함께 하중의 분산 및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small-diameter tube arch 12b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large-diameter tube ring 12a as described above is that when the water column structure is installed using the connecting bracket 10 and the buoyancy tube 15, On the upper side, various auxiliary devices such as handrails are installed, while the weights of those who use the waterborne structure all work downward, so that each joint 12c is distributed along with the support frame 11 to distribute the load. The buffer function can be performed.

즉, 상기 이음살(12c)은 소구경 튜브아치(12b)를 대구경 튜브링(12a)의 내측에 설치하는 연결수단이 됨과 동시에, 수상구조물의 사용시 지지살 프레임(11)을 거쳐 소구경 튜브아치(12b)와 대구경 튜브링(12a)의 사이에 설치된 부력튜브(15)로 가해지는 전체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킴으로서, 부력튜브(15)를 보호하는 기능 또한 겸비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joint 12c serves as a connecting means for installing the small-diameter tube arch 12b inside the large-diameter tube ring 12a, and at the same time, the small-diameter tube arch via the support frame 11 when the water structure is used.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buoyancy tube 15 is also provided by properly distributing the total load applied to the buoyancy tube 15 provided between the 12b and the large-diameter tube ring 12a.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소구경 튜브아치(12b)를 대구경 튜브링(12a)의 내측 하부 또는 내측 좌,우에 형성시킬 수도 있고, 소구경 튜브아치(12b)의 원호상 길이 또한 반원으로부터 1/4원(90도 각도) 정도의 범위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며, 이음살(12c)의 개수 또한 소구경 튜브아치(12b)의 길이나 부력튜브(15)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1개나 2개 또는 4개가 될 수도 있으며, 이음살(12c)을 5개 이상 형성시키는 것은 소구경 튜브아치(12b)를 제거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고려할 경우 바람직하지 못하다.However, unlike shown in the figure,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may be formed at the inner lower side or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and the arcuate length of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may also be formed from a semicircle. It can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1/4 circle (90 degree angle), and the number of joints 12c is also 1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or the load applied to the buoyancy tube 15. It may be dogs, two or four, and forming five or more joints 12c is not preferable in view of the convenience and speed of the operation for removing the small-diameter tube arch 12b.

본 고안의 연결브라켓(10)에 있어, 소구경 튜브아치(12b) 및 그와 마주보는 대구경 튜브링(12a)의 하측부가 형성하는 가상의 내경이 수상구조물의 최초 설계시 적용되는 부력튜브(15)의 직경이 되며, 소구경 튜브아치(12b)와 이음살(12c)을 제거한 상태의 대구경 튜브링(12a) 내경이 수상구조물의 설계변경시 적용될 수 있는 부력튜브의 직경이 된다.In the connection bracke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inner diameter formed by the lower diameter of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and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facing the buoyancy tube 15 is applied during the initial design of the water structure. ),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with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and the joint 12c removed is the diameter of the buoyancy tube that can be applied when changing the design of the water structure.

따라서, 본 고안의 연결브라켓(10)을 사용하여 수상구조물을 시설하는 과정에서 최초 설계시에 계산되었던 부력보다 큰 부력이 요구됨에 따라, 수상구조물의 베이스 전체 또는 그 일부에 걸쳐 부력튜브(15)의 치수(직경)를 변경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이러한 설계변경에 보다 더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s a buoyancy greater than the buoyancy calculated at the time of initial design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water structure using the connection bracke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tube 15 over the whole or part of the base of the water structure. Even if a situation arises in which the dimensions (diameters) of the need arise, it becomes possible to cope more actively with these design changes.

다시 말해서, 최초의 설계치보다 큰 부력을 가지는 수상구조물의 시설이 요구되어 부력튜브(15)를 보다 큰 직경의 것으로 교체시켜야 할 경우, 연결프레임(10) 자체를 교체하는 대신에, 부력튜브(15)의 교체가 요구되는 연결브라켓(10)의 소구경 튜브아치(12b)를 이음살(12c)과 함께 잘라낸 다음, 대구경 튜브링(12a)의 내경에 맞는 부력튜브를 설치하면 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facility of a floating structure having a buoyancy larger than the original design is required to replace the buoyancy tube 15 with a larger diameter, instead of replacing the connecting frame 10 itself, the buoyancy tube 15 is replaced.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which is required to be replaced), is cut out together with the joint 12c, and then a buoyant tube suitable for the inner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is installed.

이로 인하여, 설계변경의 발생시 연결브라켓(10) 자체를 교체시킴에 따라 수상구조물의 시설기간이 과도하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설계변경으로 야기되는 부력의 상승폭을 감안하여 필요 이상으로 큰 치수의 부력튜브를 사용함에 따른 비경제적이고 불합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수상구조물의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고, 수상구조물의 시공업체로 하여금 우수한 대외경쟁력을 확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us, by replacing the connection bracket 10 itself in the event of a design ch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delay in the facility period of the floating structure, as well as to increase the buoyancy caused by the design chang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economical and unreasonable problems caused by using a buoyant tube having a large dimension, thereby enabling efficient construction of the floating structure, and allowing the contractor of the floating structure to have excellent external competitiveness. .

한편, 2개의 튜브링을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시킨 선출원과 비교할 경우에도, 부력튜브(15)의 교체를 위하여 이음살(12c)과 함께 잘라 내어야 하는 소구경 튜브아치(12b)의 연결부분이 매우 적기 때문에, 부력튜브(15)의 교체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소구경 튜브아치(12b) 및 이음살(12c)의 성형을 위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량 또한 선출원의 내부측 튜브링과 지지살에 비하여 적게 되므로, 해당 부분을 잘라냄에 따라 발생하는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compared to the selection of the two tube ring arranged concentrically, very small connection portion of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to be cut together with the joint 12c for the replacement of the buoyancy tube 15 is very small Therefore, the replacement of the buoyancy tube 15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simply, and the amount of material introduced for the molding of the small-diameter tube arch 12b and the joint 12c also includes the inner tube ring of the prior application. Since it is less than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of unnecessary material generated by cutting the portion.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소구경 튜브아치(12b) 대신에, 대구경 튜브링(12a)과 편심(偏心)된 위치에서 대구경 튜브링(12a)에 내접하는 형태의 소구경 튜브링(12d)을 적용시킨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을 기초로 하여 설명되어진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7 to 9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lace of the small-diameter tube arch 12b, inscribed to the large-diameter tubering 12a at an eccentric position with the large-diameter tubering 12a. The small-diameter tubing 12d of the form is applied,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described based on FIGS. 1 to 6.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소구경 튜브링(12d)이 대구경 튜브링(12a)과 편심되어 내접하는 위치는 상,하 또는 좌,우 어느 위치가 되더라도 무방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 튜브링(12a)의 내주면 하측단과 접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부력튜브(15)의 교체를 위하여 소구경 튜브링(12d)을 이음살(12c)과 함께 잘라내는 부위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ll-diameter tube ring 12d is eccentric with the large-diameter tube ring 12a may be in any position up, down, left, or right, but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most preferable to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as well, and the portion for cutting the small diameter tube ring 12d together with the joints 12c to replace the buoyancy tube 15 is also shown in FIGS.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단지 차이가 있는 점은, 부력튜브(15)의 교체시 대구경 튜브링(12a)과 내접하는 소구경 튜브링(12d)의 양측 하단 부분을 원호상으로 매끈하게 잘라내어야 함으로서, 소구경 튜브링(12d)의 제거작업이 소구경 튜브아치(12b)에 비하여 다소 까다롭게 되는 한편, 제거작업시 잘려 나가는 부분 또한 소구경 튜브아치(12b)에 비하여 약간 많게 된다는 것이다.The only difference is that when the buoyancy tube 15 is replaced, both lower end portions of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and the small diameter tube ring 12d that are inscribed should be smoothly cut in an arc shape. The removal of 12d) is somewhat more difficult than the small-diameter tube arch 12b, while the part cut out during the removal is also slightly more than the small-diameter tube arch 12b.

그러나,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2개의 튜브링을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튜브링을 다수 개의 방사상 지지살로 연결시킨 선출원의 경우보다는 소구경 튜브링(12d)의 제거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잘려 나가는 부분 또한 선출원의 경우보다는 훨씬 적게 됨을 알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other embodiments shown in FIGS. 7 to 9, the small diameter tube ring 12d is more than the case of the prior application in which two tube rings are arranged concentrically and each tube ring is connected by a plurality of radial supports. Removal can be done quickly and easily, and the cuts in this process are much less than in the case of an earlier application.

한편, 튜브링(12)의 개수가 3개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튜브링(12)마다 모두 소구경 튜브아치(12b) 또는 소구경 튜브링(12d)을 적용시킬 수도 있으나, 도 3과 도 4 및 도 8에서와 같이 지지살 프레임(11)의 좌,우 양측단에 위치하는 2개의 튜브링(12)에만 소구경 튜브아치(12b) 또는 소구경 튜브링(12d)을 적용시키는 것만으로도 수상구조물의 설계시 발생하는 부력변동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he tube rings 12 is three or more,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or the small diameter tube ring 12d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tube rings 12.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or small diameter tube ring 12d is applied only to the two tube rings 12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frame 11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8.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cope with the buoyancy fluctuations that occur during the design of the floating structure.

이와 더불어, 소구경 튜브아치(12b) 또는 소구경 튜브링(12d)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중앙부측 튜브링(12)은, 소구경 튜브아치(12b) 또는 소구경 튜브링(12d)이 제공하는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튜브링(12)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부력튜브(15)의 설치시 연결브라켓(10)의 중앙부에 큰 부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연결브라켓(10)이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central side tube ring 12 to which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or the small diameter tube ring 12d is not applied is provided by the small diameter tube arch 12b or the small diameter tube ring 12d. It is preferable to form a tube ring 12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diameter, because the buoyancy tube 15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bracket 10 so that a large buoyancy does not act on the connection bracket 10, This is because a stable horizontal state can be maintained without til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그리고, 도 5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연결브라켓(10)의 포스트 커넥터(14)는, 다른 실시예에 비하여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난간용 가이드레일의 조립을 위한 레일설치구멍(14a)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수상구조물에 요구되는 난간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 있어, 포스트 커넥터(14) 자체를 지주로 하여 1개층의 가이드레일을 설치코자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 connector 14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shown in FIGS. 5, 6 and 9 has a rail mounting hole for assembling the guide rail for railing in a state where the length of the post connector 14 is longer than that of other embodiments. 14a) is additionally formed, which is preferably applied in the case where the height of the railing required for the aquatic structure is low, and in order to install a guide rail of one layer with the post connector 14 itself as a support. have.

그러나, 도 5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연결브라켓(10)의 경우에 있어서도, 포스트 커넥터(14)를 이용한 난간용 지주의 조립이 가능하므로, 수상구조물에 요구되는 난간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 레일설치구멍(14a)을 사용하지 않고 포스트 커넥터(14)를 따라 난간용 지주를 조립하여 요구하는 높이의 난간을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However, also 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shown in Figs. 5, 6 and 9,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handrail for post using the post connector 14, when the height of the handrail required for the water structure is increase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railings of the required height can be installed by assembling the railing posts along the post connector 14 without using the rail mounting holes 14a.

10 : 연결브라켓 11 : 지지살 프레임 12 : 튜브링
12a : 대구경 튜브링 12b : 소구경 튜브아치 12c : 이음살
12d : 소구경 튜브링 13 : 조립단부 14 : 포스트 커넥터
14a : 레일설치구멍 15 : 부력튜브
10: connecting bracket 11: support frame 12: tube ring
12a: large diameter tube ring 12b: small diameter tube arch 12c: joint
12d: Small Diameter Tube Ring 13: Assembly End 14: Post Connector
14a: rail mounting hole 15: buoyancy tube

Claims (2)

지지살에 의하여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11)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부력튜브(15) 삽입용 튜브링(12)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는 발판용 조립단부(1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링(12)은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단측에서 지지살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10)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튜브링(12) 전체 또는 일부의 튜브링(12)은, 지지살 프레임(11)과 일체로 연결되는 대구경 튜브링(12a)과, 상기 대구경 튜브링(12a)의 내측에서 이음살(12c)에 의하여 대구경 튜브링(12a)과 연결 설치되는 원호상의 소구경 튜브아치(12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튜브의 교체가 가능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
Supporting frame 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the support bar, buoyancy tube 15 insertion tube ring 12 form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support frame 11 and the support frame ( 11) is formed by including a protruding end 13 for the footrest protruding on the upper side, the tube ring 12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1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1 In the connecting bracket for the water structure formed a plurality of (10),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tube rings 12, the tube ring 12,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1, and the joints inside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A connecting bracket for a buoyant tube replaceable buoyancy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rc-shaped small-diameter tube arch (12b) connected to the large-diameter tube ring (12a) by (12c).
지지살에 의하여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11)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부력튜브(15) 삽입용 튜브링(12)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는 발판용 조립단부(1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링(12)은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단측에서 지지살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10)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튜브링(12) 전체 또는 일부의 튜브링(12)은, 지지살 프레임(11)과 일체로 연결되는 대구경 튜브링(12a)과, 상기 대구경 튜브링(12a)의 내측에서 이음살(12c)에 의하여 대구경 튜브링(12a)과 연결 설치되는 소구경 튜브링(12d)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구경 튜브링(12d)은 대구경 튜브링(12a)과 편심(偏心)된 위치에서 대구경 튜브링(12a)에 내접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튜브의 교체가 가능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
Supporting frame 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the support bar, buoyancy tube 15 insertion tube ring 12 form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support frame 11 and the support frame ( 11) is formed by including a protruding end 13 for the footrest protruding on the upper side, the tube ring 12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1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1 In the connecting bracket for the water structure formed a plurality of (10),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tube rings 12, the tube ring 12,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1, and the joints inside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It consists of a small diameter tube ring (12d) is connected to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by the (12c),
The small diameter tube ring (12d) is connected to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in the position eccentric (偏心) in the form of in contact with the large diameter tube ring (12a),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cy tube replaceable water structure connectable connection Brackets.
KR2020100008524U 2010-08-17 2010-08-17 Joint bracket for a floating structure possible for exchange of buoyancy tube KR2004613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24U KR200461384Y1 (en) 2010-08-17 2010-08-17 Joint bracket for a floating structure possible for exchange of buoyanc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24U KR200461384Y1 (en) 2010-08-17 2010-08-17 Joint bracket for a floating structure possible for exchange of buoyancy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87U true KR20100009187U (en) 2010-09-20
KR200461384Y1 KR200461384Y1 (en) 2012-07-12

Family

ID=4713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524U KR200461384Y1 (en) 2010-08-17 2010-08-17 Joint bracket for a floating structure possible for exchange of buoyancy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8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2012A (en) * 2019-08-09 2019-10-01 浙江海洋大学 Aquaculture net cage platform connecting brac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29B1 (en) 2022-05-31 2023-01-19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Bracket connection device for manufacturing floating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831Y1 (en) 2003-04-10 2003-06-25 대림산업 주식회사 A brim of a nursery bracket
KR200358708Y1 (en) 2004-05-13 2004-08-12 김경진 Couplings for pipe connection of offshore structures
KR200438582Y1 (en) 2007-02-14 2008-02-21 인재훈 A pipe coupling for a marine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2012A (en) * 2019-08-09 2019-10-01 浙江海洋大学 Aquaculture net cage platform connecting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384Y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174B2 (en)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JP6279147B2 (en) Connecting socket for buoyancy pipe for floating structures
KR100944183B1 (en) Joint block of buoyancy tube for floating construction
KR200461384Y1 (en) Joint bracket for a floating structure possible for exchange of buoyancy tube
KR100922218B1 (en) Apparatus for breakwater of half-submerged type
KR101285522B1 (en) A buoyancy structure
TWI765052B (en) Floating plate assembly, floating plate system and floating plate
KR20100005101U (en) Joint bracket for a floating construction
KR100885260B1 (en) Automatic fall down railing
KR101359523B1 (en) A mooring apparatus with expandable connecting unit
KR200482319Y1 (en) Expandable connecting unit of footboard for a mooring apparatus
JP6220034B2 (en) Floating mooring device
JP3162086U (en) Assembled fishway
KR200466457Y1 (en) Clamp for joint bracket using a floating construction
JP6663988B2 (en) Access structures to open ocean structures
KR200455216Y1 (en) Mooring Tube Holder for Buoyancy Reinforcement
KR20180003898A (en) Handrail assembly for a mooring unit
KR200447721Y1 (en) Hand rail post for mooring construction
KR20100005102U (en) Joint bracket of buoyancy tube for a floating type fish farm
EP2959773B1 (en) Floating structure
KR102422961B1 (en) 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
KR101073874B1 (en) Installing structure of floor beam
KR20090129005A (en) Mooring apparatus and method enhancing the side retaining force of a floating structure
JP3117678U (en) Assembled fishway
KR20140003022U (en) Safety hand rail for vessel and offsh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