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954U - 쿠션 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 Google Patents

쿠션 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954U
KR20100008954U KR2020090002411U KR20090002411U KR20100008954U KR 20100008954 U KR20100008954 U KR 20100008954U KR 2020090002411 U KR2020090002411 U KR 2020090002411U KR 20090002411 U KR20090002411 U KR 20090002411U KR 20100008954 U KR20100008954 U KR 201000089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function layer
cushion function
assembl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창
Original Assignee
최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창 filed Critical 최희창
Priority to KR2020090002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954U/ko
Publication of KR20100008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9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쿠션 기능층을 갖는 조립중창에 관한 것으로, 중창부재의 저면(底面)에서 중창부재의 형상 유지를 위한 허리쇠부 및 중창부재의 견고성 보강을 위한 보강창부가 순차로 덧대어져 접착 형성된 조립중창에 있어서, 쿠션 기능 향상을 위한 탄성발포성기능소재가 중창부재의 상부면 전 영역 상에서 일체화 성형된 쿠션기능층이 구비되며, 쿠션기능층은 구두 착용 시, 족장(足掌)이 쿠션기능층에 원활히 면접촉되어 편안한 착화감을 느낄 수 있도록, 족장의 특정 굴곡 형상에 대응하여 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족장대응굴곡형상면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조립중창과 달리 중창부재의 상부면 전 영역 상에 쿠션감 및 내마모성이 뛰어난 쿠션기능층을 일체화 성형함으로써, 쿠션 기능을 갖는 기본 형태의 조립중창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기타 효과(예: 지압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조립중창을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조립중창, 쿠션기능층, 탄성발포성기능소재, 족장대응굴곡형상면, 엠보형지압부

Description

쿠션 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Insole having cushioning layer}
본 고안은 구두, 특히 여성화 제작에 이용되는 조립중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함만을 유지하던 종래의 조립중창과 달리 양호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중창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쿠션 기능 외에도 손쉽게 형상 변화가 가능하여 다양한 효과(예: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쿠션 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대부분의 일과생활을 딱딱한 아스팔트 혹은 콘크리트 바닥 위에서 지내게 되므로, 발바닥면(후술될 내용부터 이를 족장(足掌)이라 한다)을 통하여 자기 체중의 1.5 내지 3배에 이르는 충격력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충격력은 족장에서 머리 꼭대기까지 전달되어, 각종 근골격계 질환은 물론, 몸의 피로감과 스트레스 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대부분 하이힐의 구두를 착용하므로, 장시간 서 있는 것만으로도 족장에 큰 무리가 따른다.
일반적인 여성 구두는 발을 감싸서 보호하도록 외형을 이루는 갑피(甲皮), 상기 갑피와 결합되어 족장의 지지면을 제공하며 구두의 바닥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하게 해주는 중창과 굽 및 바닥재로 구성된다.
특히, 종래의 중창은 동종업계에서 주지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제작 공법인 조립 방식을 통해 제작되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부재(1), 허리쇠부(3), 보강창부(2)가 상하 방향으로 순차로 덧대어져 접착 형성되며, 이렇게 제작된 중창을 조립중창이라 한다.
중창부재(1)는 일반적으로 적당한 경직성을 갖는 섬유보드를 소재로 하며, 족장의 형상에 매칭되는 형상으로 스카이빙(Skiving) 가공하여 제작되는데, 특정 부분(예: 땀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에는 경우에 따라 천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등과 같은 소재의 깔창을 접착하여 이용하기도 하였다.
허리쇠부(3, 이를 Shank라고도 한다)는 중창부재(1)와 보강창부(2)의 사이에 개재되어 접합되는 부재로서, 구두의 장심(掌心) 부분에 배치되어, 구두의 높이 형상을 오랫동안 유지하게 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여성 구두에서의 허리쇠부(3)는 기계적 강성이 좋은 금속재질을 활용하였다.
보강창부(2)는 허리쇠부(3)를 사이에 두고 중창부재(1)의 저면에서 접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중창부재(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섬유보드를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조립중창을 이용하여 제작된 구두를 착용 시, 쿠션감 없이 경직성만 있는 섬유보드 소재인 상기 중창부재(1)의 상부면에 사용자의 족장 이 직접적으로 밀착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까닭에서 사용자는 편안한 착화감을 느끼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특히, 높은 굽의 구두를 착용하였을 경우, 족장의 무게 중심 위치가 발의 중심보다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랜 기간 착용 시, 발 모양이 변형되고,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근골격계 발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밀폐된 구두를 장시간 착용 시, 발에서 나오는 땀과 중창의 이물질에 의해 세균이 증식하면서 고약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심한 불쾌감을 주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조립중창에 비해 족장에 밀착되는 부분의 쿠션감을 증대시켜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는 쿠션기능층이 구비된 조립중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발포 공정으로 성형 가능한 탄성발포성기능소재를 조립중창의 상층부에 일체화 적용시켜, 기본적인 조립중창의 형상은 물론, 국부적인 부분에서도 임의의 기능성 형상(예: 지압 기능 형상)을 용이하게 성형 제작할 수 있는 쿠션기능층이 구비된 조립중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르면, 중창부재의 저면에서, 상기 중창부재의 형상 유지를 위한 허리쇠부 및 상기 중창부재의 견고성 보강을 위한 보강창부가 순차로 덧대어져 접착 형성된 조립중창에 있어서, 쿠션 기능 향상을 위한 탄성발포성기능소재가 상기 중창부재의 상부면 전 영역 상에서 일체화 성형된 쿠션기능층이 구비되며, 상기 쿠션기능층은, 구두 착용 시, 족장(足掌)이 상기 쿠션기능층에 원활히 면접촉되어 편안한 착화감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족장의 특정 굴곡 형상에 대응하여 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족장대응굴곡형상면을 갖는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발포성기능소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 염화비닐(PVC),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인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발포성기능소재에는, 소정의 색상으로 착색 성형이 가능하도록, 발포 성형 중 상기 탄성발포성기능소재에 안료성분소재가 더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쿠션기능층에는, 산화방지 또는 항균-원적외선방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추가기능층이 더 적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기능층은, 산화방지제 성분을 포함한 산화방지층 또는 숯 및 은나노 성분을 포함한 항균-원적외선방출층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족장대응굴곡형상면에는, 족장의 경혈 부위를 자극하여 건강 증진 지압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경혈 부위에 대응된 위치 상에 돌기 형성된 복수 개의 엠보형지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중창부재의 상부면 전 영역에 탄성발포성기능소재를 일체 성형하여 쿠션기능층을 제공하고, 이러한 쿠션기능층의 상부면이 족장의 특정 굴곡 형상에 대응하여 정합되는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구두의 착용 시, 만족스런 쿠션감은 물론,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된 본 고안에 따른 쿠션감은 착화감은 물론, 종래에 비해 족 장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어, 발 모양 변형 방지, 혈액순환 개선 및 근골격계 발질환 방지, 피로 누적 방지 등의 건강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발포 공정으로 성형 가능한 탄성발포성기능소재를 조립중창의 상층부에 일체화 적용시켜 제작하는 방식으로서, 기본적인 조립중창의 형상은 물론, 임의 영역상의 기능성 형상(예: 지압 기능 형상)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각종 기능성 구두의 조립중창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에 대한 실시예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제1실시예에서, 족장대응굴곡형상면을 (a), (b), (c) 및 (d)로 구분 도시한 부분개념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을 이용한 여성 구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병행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 한 조립중창(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창부재(110)의 저면에서, 상기 중창부재의 형상 유지를 위한 허리쇠부(130) 및 상기 중창부재의 견고성 보강을 위한 보강창부(120)가 순차로 덧대어져 접착 형성된 종래중창을 기초로, 상기 중창부재(110)의 상부면 전(全) 영역 상에서 쿠션기능층(101)이 발포 성형되어 전부가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일체화 성형 제작되는 쿠션기능층(101)을 구비한 조립중창을 제공한다.
이러한 쿠션기능층(10)은 쿠션 기능 향상은 물론 여러 가지 원하는 형태로 성형이 용이하며, 장기간의 착용에도 초기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견고성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 가공한데, 이러한 소재를 탄성발포성기능소재라 한다.
탄성발포성기능소재란 발포 성형 방식을 통해 다양한 형상으로의 제품 제작이 용이하며, 성형 제작된 제품에 약간의 힘이 가해져도, 힘이 제거되었을 시, 원형으로 원상회복되는 기계적 탄성을 내부적으로 지니고 있는 소재이다. 이러한 발포 성형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중창(100)의 앞, 뒤, 좌우 양측의 형상을 원하는 모양으로 용이하게 제작 가능하며, 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족장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대폭 감쇄시킬 수 있는 쿠션기능을 지닐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배면도로서, 이러한 탄성발포성기능소재를 이용하여, 쿠션기능층(101)이 중창부재(110)보다 앞, 뒤, 좌우 양측 상으로 소정의 크기만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곡선 형태의 외측 연장 형상 역시 상기의 탄성발포성기능소재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성형 제작 가능하 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러한 탄성발포성기능소재로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염화비닐(PVC),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한다.
폴리우레탄은 분자 중에 우레탄 결합을 가진 것으로서, 주로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 anate)류와 폴리히드록시(폴리올이라고도 불리며, 분자의 말단에 -OH기를 2개 이상 가진 것)과의 반응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강인하고,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고무와 같이 기계적 탄성을 지니고 있는 수지이다.
이러한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상기 쿠션기능층(101)을 발포 성형 시, 사전에 상기 쿠션기능층(101)을 원하는 색상으로 착색 성형하기 위해 특유의 색상을 지닌 안료를 액상 토너를 이용하여 더 혼합할 수 있는데, 이는 폴리우레탄 이외에도 기타 다른 탄성발포성기능소재의 이용 시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러한 안료를 안료성분소재라 한다.
즉, 이러한 안료성분소재를 더 혼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탄성발포성기능소재를 발포 성형하면서 동시에, 착색 공정까지 마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쿠션기능층에는 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a, 103b, 103c, 103d, 103e)이 형성된다(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03a, 103b, 103c, 103d, 103e와 같이 5개의 족장대응굴곡형상면만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르면 이 외에도 추가적인 족장대응굴곡형상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a, 103b, 103c, 103d, 103e)이란, 사용자가 구두를 착용 시, 족장(足掌, 이는 "발바닥면"을 말한다)이 쿠션기능층(101)의 상부면에 원활히 면접촉되어, 사용자가 편안한 착화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본 고안만의 특정 형상으로서, 일반적인 사용자에 있어서의 족장의 특정 굴곡 형상(이러한 "족장의 특정 굴곡 형상"은 각각의 발 크기에 해당하는 평균적인 여성의 족장 형상에 대한 자료를 수집, 통계, 평균값 산출을 통해 획득 가능하다)에 대응하여, 이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오목한 홈 또는 볼록한 돌부 형상을 말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a, 103b, 103c, 103d, 103e)의 각 부 단면 형상을 (a), (b), (c) 및 (d)로 각각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조립중창(100)은 여성 구두의 왼쪽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 4에 도시된 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a, 103b, 103c, 103d, 103e) 역시, 왼쪽 족장에 해당하는 것이다.
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a, 103b, 103c, 103d, 103e)은 그 위치에 따라 크게 전방-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a), 내측-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b), 외측-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c), 중앙-족장대응굴곡형상면형상면(103d) 및 후방-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e)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전방-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a)은 쿠션기능층(101) 의 상부면의 평균 두께(T)보다 h1만큼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오목한 홈 형상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방-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a)은 사용자의 발가락이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면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내측-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b)은 쿠션기능층(101)의 상부면의 평균 두께(T)보다 h2만큼 큰 두께를 가지도록, 볼록한 돌부 형상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측-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b)은 사용자의 발 안쪽 아치형 홈에 대응한 기능면으로서, 착화감을 좋게 하기 위한 기능면이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외측-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c)은 쿠션기능층(101)의 상부면의 평균 두께(T)보다 h3만큼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오목한 홈 형상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외측-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c)은 사용자의 발 바깥쪽 근육에 대응한 기능면으로서, 구두를 장시간 착용한 사용자의 피로감 누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면이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중앙-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d)은 쿠션기능층(101)의 상부면의 평균 두께(T)보다 h4만큼 큰 두께를 가지도록, 볼록한 돌부 형상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중앙-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d)은 사용자의 발 중앙 홈에 대응된 기능면이다.
도 4의 (e)를 참조하면, 후방-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e)은 쿠션기능층(101)의 상부면의 평균 두께(T)보다 h5만큼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오목한 홈 형상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후방-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e)은 사용자의 발꿈치의 형상에 대응된 기능면이다.
상기와 같은 족장대응굴곡형상면(103a, 103b, 103c, 103d, 103e)에 의해, 사용자의 족장은 쿠션기능층(101)의 상부면에 원활히 면접촉되어, 편안한 착화감을 느끼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은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제2실시예는 앞서 설명되었던 제1실시예에서의 쿠션기능층(101)에 몇 가지 추가기능층(140, 142)이 더 적층 형성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기능층(101)의 상부면 상에서 산화방지제 성분을 포함하는 산화방지층(140) 및 건강을 위해 항균-원적외선방출 효과를 갖는 성분을 포함한 항균-원적외선방출층(142)이 더 적층 형성된다. 이때, 산화방지제 성분으로는 알킬화모노페놀, 알킬티오메틸페놀, 아실아미노페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항균-원적외선방출층(142)의 성분으로는 숯 및 은나노 입자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제3실시예는 앞서 설명되었던 제1실시예에서의 쿠션기능층(101)에 엠보형지압부(150)를 복수 개 형성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기능층(101)의 발포 성형 시, 상기 쿠션기능층(101)의 상부면 상에 부분적으로 볼록하게 돌기된 형상을 형성하여 복수 개의 엠보형지압부(150)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엠보형지압부(150)는 족장의 경혈 부위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사용자에게 건강에 좋은 지압 효과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기타 다른 기능성 형상도 본 고안에 적용된 탄성발포성기능소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발포 성형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을 이용한 여성 구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된 조립중창(100)은 바닥창(180) 및 갑피(170)와 봉합되어, 못, 본드 등과 같은 단단한 결합수단에 의해 굽(190)과 접합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중창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제1실시예에서, 족장대응굴곡형상면을 (a), (b), (c) 및 (d)로 구분 도시한 부분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을 이용한 여성 구두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조립중창 101: 쿠션기능층
103a, 103b, 103c, 103d, 103e: 족장대응굴곡형상면
110: 중창부재 120: 보강창부
130: 허리쇠부 140: 산화방지층
142: 항균-원적외선방출층 150: 엠보형지압부
170: 갑피(甲皮) 180: 바닥재
190: 굽 200: 여성 구두

Claims (6)

  1. 중창부재의 저면에서, 상기 중창부재의 형상 유지를 위한 허리쇠부 및 상기 중창부재의 견고성 보강을 위한 보강창부가 순차로 덧대어져 접착 형성된 조립중창에 있어서,
    쿠션 기능 향상을 위한 탄성발포성기능소재가 상기 중창부재의 상부면 전 영역 상에서 일체화 성형된 쿠션기능층이 구비되며,
    상기 쿠션기능층은,
    구두 착용 시, 족장(足掌)이 상기 쿠션기능층에 원활히 면접촉되어 편안한 착화감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족장의 특정 굴곡 형상에 대응하여 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족장대응굴곡형상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발포성기능소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염화비닐(PVC),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발포성기능소재에는,
    소정의 색상으로 착색 성형이 가능하도록, 발포 성형 중 상기 탄성발포성기능소재에 안료성분소재가 더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기능층에는,
    산화방지 또는 항균-원적외선방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추가기능층이 더 적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기능층은,
    산화방지제 성분을 포함한 산화방지층 또는 숯 및 은나노 성분을 포함한 항 균-원적외선방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대응굴곡형상면에는,
    족장의 경혈 부위를 자극하여 건강 증진 지압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경혈 부위에 대응된 위치 상에 돌기 형성된 복수 개의 엠보형지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KR2020090002411U 2009-03-04 2009-03-04 쿠션 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KR201000089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411U KR20100008954U (ko) 2009-03-04 2009-03-04 쿠션 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411U KR20100008954U (ko) 2009-03-04 2009-03-04 쿠션 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954U true KR20100008954U (ko) 2010-09-15

Family

ID=4419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411U KR20100008954U (ko) 2009-03-04 2009-03-04 쿠션 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9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37B1 (ko) * 2013-07-31 2014-04-16 이승하 신발 바닥창의 완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37B1 (ko) * 2013-07-31 2014-04-16 이승하 신발 바닥창의 완충구조
WO2015016509A1 (ko) * 2013-07-31 2015-02-05 Lee Seung-Ha 신발 바닥창의 완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647B1 (en) High heel shoe
US9781973B2 (en) High heel shoe
US8776399B2 (en) Shoe insole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KR101015822B1 (ko) 발 균형용 인솔
AU2014286929B2 (en) An improved high heeled shoe or boot
CN104665066A (zh) 长筒靴
JP6959687B2 (ja) 履物用中敷
KR101005534B1 (ko)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인솔
KR101685112B1 (ko) 하이힐용 안창
TWM536866U (zh) 緩衝墊及緩衝鞋墊
CN111838877B (zh) 一种可缓解足部压力的折叠女跟鞋
KR100975909B1 (ko) 성형틀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맞춤 깔창을 제조하는 방법
KR101126601B1 (ko) 다 기능성 신발깔창
KR100945834B1 (ko) 충격흡수형 신발창
EP2465372A1 (en) Leather sho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20100008954U (ko) 쿠션 기능층을 구비한 조립중창
CN213154359U (zh) 一种可更换饰物的女跟鞋
JP2005185675A (ja) 履物
KR200325472Y1 (ko) 신발 깔창
CN220916713U (en) Correction plastic insole with reinforcing structure
KR102184494B1 (ko) 신발용 보조깔창
KR101261375B1 (ko)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JP3080125U (ja) 中敷およびその中敷を用いた靴
KR101979998B1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