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136A - 휠 가드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공구 - Google Patents

휠 가드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136A
KR20100008136A KR1020080068555A KR20080068555A KR20100008136A KR 20100008136 A KR20100008136 A KR 20100008136A KR 1020080068555 A KR1020080068555 A KR 1020080068555A KR 20080068555 A KR20080068555 A KR 20080068555A KR 20100008136 A KR20100008136 A KR 20100008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lock
wheel guard
power tool
lock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5987B1 (ko
Inventor
정연석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9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휠 가드의 위치 조절과 착탈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동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동 공구는, 축부(1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동공구의 바디의 헤드 부분에 장착되는 플랜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110)의 선단부 외주에 가이드 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111)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개구되는 해제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 블록(100); 상기 헤드 블록(100)의 축부(110) 외부에 미끄럼 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는 허브(210)와, 상기 허브(210)의 선단 외주에 형성되는 가드 플레이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210)의 내측으로는 상기 헤드 블록(100)의 해제홈(112)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 홈(111)에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211)가 형성되는 휠 가드(200); 및 상기 헤드 블록(100)과 상기 휠 가드(20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헤드 블록(100)에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은 가능하고 회전은 불가한 상태로 결합되며,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휠 가드(200)의 허브(210)를 상기 헤드 블록(100)에 구속하거나 또는 헤드 블록(100)으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해제하는 록킹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전동, 공구, 휠, 가드, 조절, 회전, 인덱스

Description

휠 가드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공구{Power tool where the location adjustment of the wheel guard is easy}
본 발명은 연마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휠 가드가 설치된 전동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휠 가드의 위치 조절과 착탈을 간편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동 공구에 관한 것이다.
전동 디스크 그라인더, 전동 핸드 그라인더, 전동 브러시, 전동 샌더, 전동 폴리셔 등과 같은 전동 공구의 휠 가드(wheel guard)는 전동 공구의 헤드 블록에 장착되어 연마 휠을 감싸는 것으로서, 이는 연마 휠로부터 발생하는 탈락 입자나 가공물 칩(이하, 이들을 '연마 분진'이라고 통칭한다)의 비산을 막아줌으로써 연마 분진이 작업자에게 비산 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휠 가드는, 헤드 블록(또는 '베어링 하우징'이나 '팩킹 글랜드(packing gland)' 라고도 한다)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서 작업자가 연마 방향이나 작업 편의에 알맞게 회전시켜 그의 위치(설치각도 또는 설치방향)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착탈 및 위치 조절 가능한 휠 가드를 구비하는 전동 공구의 다양 한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5991호 공보, 등록특허 제10-0222056호 공보, 등록실용신안 실1993-0003440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상기한 공보 등에 개시된 휠 가드 장착 구조를 포함하는 종래의 휠 가드 장착 구조에 대한 전형적인 하나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휠 가드(10)에 일측이 단절된 클램핑 밴드(11)를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일체화하고, 클램핑 밴드(10)의 안쪽에 가이드 돌기(12)를 구비하고, 클램핑 밴드(10)의 단절 부분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13)에 너트(14)를 부착하여, 상기 너트(14)에 고정 나사(15)를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헤드 블록(20)의 원주상에는 가이드 홈(2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21)에 전방으로 개구하는 해제홈(22)을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헤드 블록(20)의 내부에는 스핀들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그의 선단부가 헤드 블록(20)의 전방(도 1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스핀들의 선단 나사부에는 연마 휠이나 브러시 등의 공구(이하, 이들을 '연마 휠'이라고 통칭한다)가 너트에 의해 장착된다.
이러한 휠 가드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휠 가드(10)의 클램핑 밴드(11) 내측의 가이드 돌기(12)를 헤드 블록(20)의 해제홈(22)을 통과시켜 가이드 홈(21)에 끼운 다음, 별도의 공구(예; 스패너)를 사용하여 고정 나사(15)를 절곡 플랜지(13)에 체결하고 클램핑 밴드(10)를 조여 고정하게 된다.
장착 후 휠 가드(10)의 위치를 작업 방향에 알맞게 조정하고자 할 때에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 나사(15)를 풀어 클램핑 밴드(10)를 이완시키고, 휠 가드(10)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킨 다음, 다시 고정 나사(15)를 조이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동 공구는, 휠 가드를 조립할 때나 위치를 조정할 때마다 항상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공구 사용시 작업자가 다칠 염려도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휠 가드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이른바 '원터치 방식(또는 스냅핏 착탈 방식)'에 의해 조립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 가드의 위치 조절과 착탈을 간편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동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는, 내부에 스핀들이 설치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동공구의 바디의 헤드 부분에 장착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의 선단부 외주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개구되는 해제홈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 블록; 상기 헤드 블록의 축부 외부에 미끄럼 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선단 외주에 형성되는 가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의 내측으로는 상기 헤드 블록의 해제홈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휠 가드; 및 상기 헤드 블록과 상기 휠 가드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헤드 블록에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은 가능하고 회전은 불가한 상태로 결합되며,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휠 가드의 허브를 헤드 블록에 일체화하여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구속하거나 또는 헤드 블록으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해제하는 록킹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동 공구에 있어서, 상기 휠 가드의 허브에는 그 원주를 따라 복수의 인덱스 홈을 형성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인덱스 홈에 삽입 및 이탈가능한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동 공구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스토퍼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과 상기 헤드 블록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휠 가드의 인덱스 홈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개재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동 공구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와 상기 휠 가드의 허브 후단부 사이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상기 헤드 블록의 횡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헤드 블록에 붙잡아 두는 와셔 플레이트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와셔 플레이트는, 상기 헤드 블록에 끼워져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 플레이트와, 상기 링 플레이트의 외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 블록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고정용 다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용 다리의 단부에는 내향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헤드 볼록의 플랜지부에는 상기 고정용 다리의 내향 돌기에 대향하는 외향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내향 돌기와 외향 돌기가 스냅핏 결합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동 공구에 있어서, 상기 와셔 플레이트의 링 플레이트에는 상기 휠 가드의 허브 후방 단부면과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면을 벌리 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공구에 의하면, 록킹 플레이트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휠 가드가 헤드 블록에 회전 불가하게 구속되거나 해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조립시에도 스냅핏 착탈 방식에 의해 단번에 간단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헤드 블록과 휠 가드를 쉽게 조립할 수 있고, 특히 록킹 플레이트만 밀거나 놓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휠 가드가 해제되거나 구속됨으로써 휠 가드의 위치를 매우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 공구의 휠 가드 부분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2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조립 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조립 상태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는, 전동공구의 바디의 헤드 부분에 설치되어 스핀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블록(100)과, 상기 헤드 블록(100)에 회전 가능하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가드(200)와, 상기 휠 가드(200)를 상기 헤드 블록(100)에 회전 불가한 상태로 구속하거나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해제하는 록킹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 블록(100)은 축부(110) 및 그 후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축부(110)는, 원통 모양을 이루어 그 내부에 스핀들(도시하지 않음)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부(120)는 상기 축부(110)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전동공구의 바디 헤드 부분에 장착된다(결합한다). 특히, 상기 축부(100)의 선단부 외주에는 가이드 홈(111)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111)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는 하나 이상의 해제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해제홈(112)은 상기 가이드 홈(111)으로 통하는 통로를 이룬다.
상기 휠 가드(200)는 허브(hub)(210)와 가드 플레이트(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허브(210)는 전술한 헤드 블록(100)의 축부(110) 외부에 미끄럼 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고, 상기 가드 플레이트(220)는 상기 허브(210)의 선단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드 플레이트(220)는, 한쪽으로는 안쪽의 연삭 휠(도시하지 않음)이 보이도록 하면서 다른 한쪽으로는 연마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울타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반 정도가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허브(210)는 상기 헤드 블록(100)의 축부(110) 외측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허브(210)의 내측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211)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헤드 블록(100)의 해제홈(112)을 통과하여 가이드 홈(111)에 원주방향으로 미끄럼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휠 가드(200)의 허브(210)에는 후술하는 록킹 플레이트(300)와의 결합과 해제를 위해 그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인덱스 홈(21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는, 상술한 헤드 블록(100)과 휠 가드(200)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헤드 블록(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은 가능하나 회전은 불가한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록킹 플레이트(300)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그의 왕복 운동만으로도 상기 휠 가드(200)의 허브(210)를 상기 헤드 블록(100)에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록킹 플레이트(300)에 의해 휠 가드(200)가 구속되면, 상기 휠 가드(200)는 상기 헤드 블록(100)에 일체화되어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구속이 해제되면 헤드 블록(100)으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휠 가드(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휠 가드(200)를 구속 또는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휠 가드(200)의 인덱스 홈(212)에 삽입 및 이탈하는 스토퍼(310)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록킹 플레이트(300)의 복원 즉, 상기 스토퍼(310)가 상기 인덱스 홈(21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언제나 탄성 가압력을 받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310)의 반대쪽 단부 부분에는 탄성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00)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와 상기 헤드 블록(10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스토퍼(310)가 상기 휠 가드(200)의 인덱스(index) 홈(212)을 향해 삽입되는 방향으로 록킹 플레이트(300)를 당기는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를 회전 불가하게 유지하면서 횡방향의 직선 왕복운 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의 양쪽 내벽 평면(301)은 상기 헤드 블록(100)의 양쪽 외벽 평면(101)에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의 작동을 위해 록킹 플레이트(300)에는 누름판부(32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를 상기 헤드 블록(100)에 더욱 확고하게 붙잡아 두도록 하기 위해,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를 지지하는 와셔 플레이트(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와셔 플레이트(500)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와 상기 휠 가드(200)의 허브(210) 후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를 상기 헤드 블록(100)의 횡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헤드 블록(100) 쪽에 붙잡아 둔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셔 플레이트(500)는 링 플레이트(510)와 고정용 다리(520)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링 플레이트(510)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와 상기 휠 가드(200)의 허브(210) 후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고정용 다리(520)는 상기 링 플레이트(510)의 외주로부터 축방향으로 후향 연장되어 상기 헤드 블록(100)에 결합된다.
상기한 고정용 다리(520)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형태 즉, 단숨에 또는 단번에 헤드 볼록(100)에 결합되는 이른바 스냅핏(snap-fit) 결합에 의해 구조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용 다리(520)의 단부에는 내향 돌기(521)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볼 록(100)의 플랜지부(120)에는 외향 돌기(121)가 형성되어, 상기 내향 돌기(521)가 외향 돌기(121)에 스냅핏 결합된다.
또한, 이와 같은 와셔 플레이트(500)의 링 플레이트(510)에는 탄성편(511)이 더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511)은 축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허브(210) 후방 단부면과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의 전방 단부면을 벌리는 방향(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탄성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휠 가드(200)를 상기 헤드 블록(100)의 전방 단부 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착시킴과 더불어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를 헤드 블록(100)의 플랜지부(120) 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와 상기 휠 가드(200)가 축방향으로 흔들리는(또는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조립상태와 동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셔 플레이트(500)의 실질적인 결합상태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다. 즉, 링 플레이트(500)를 헤드 블록(100) 방향으로 밀면, 링 플레이트(500)의 고정용 다리(520)에 형성된 내향 돌기(521)가 상기 헤드 블록(100)의 플랜지부(120)에 형성된 외향 돌기(121)를 만난 후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서 단숨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와셔 플레이트(500)의 탄성편(511)은 휠 가드(200)의 허브(210) 후단부를 전방을 향해 탄성 가압하고, 그에 따라 휠 가드(200)가 전방으로 밀려 휠 가드(200)의 가이드 돌기(211)가 가이드 홈(111)의 전방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휠 가드(200)의 축방향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511)에 의해 휠 가드(200)를 전방으로 밀어붙이는 탄성 가압력은, 반대로 와셔 플레이트(500)를 후방 으로 탄성 가압하는 힘으로도 작용하므로, 와셔 플레이트(500)의 링 플레이트(510)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헤드 블록(100)의 플랜지부(120) 전방 단부면(122)에 밀착시킴으로써 록킹 플레이트(300)의 축방향 유동이 방지(억제)된다.
한편, 록킹 플레이트(300)와 휠 가드(200)의 실질적인 결합상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다.
즉, 도 6과 같이 탄성부재(400)는 상기 헤드 블록(100)의 측면에 지지되어 록킹 플레이트(300)를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스토퍼(310)는 항상 휠 가드(200)의 인덱스 홈(212) 안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록킹 플레이트(300)의 누름판부(320)를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가 상기 탄성부재(400)가 누르면서 횡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그의 스토퍼(310)가 휠 가드(200)의 인덱스 홈(21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하여 휠 가드(20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해제되면, 도 7과 같이, 휠 가드(200)를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면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위치를 조정한 이후, 록킹 플레이트(300)로부터 손을 떼어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400)의 복원력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300)가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의 스토퍼(310)가 휠 가드(200)의 외주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휠 가드(200)를 원주방향으로 약간 움직이면 스토퍼(310)가 인접한 인덱스 홈(212)을 찾아 들어가 결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 공구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휠 가드를 스냅핏 착탈 방식에 의해 단번에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 가드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도 록킹 플레이트만 밀거나 놓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휠 가드가 해제되거나 구속되는 편리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일련의 구성을 산업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전동 디스크 그라인더, 전동 핸드 그라인더, 전동 브러시, 전동 샌더, 전동 폴리셔 등과 같은 전동 공구의 휠 가드 부분에 적용하면, 전동 공구의 사용과 취급이 더욱 용이해지는 한편 작업자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들은 당연히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휠 가드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동 공구의 휠 가드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 공구의 휠 가드 부분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 공구의 휠 가드 부분의 조립 상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헤드 볼록 110: 축부
111: 가이드 홈 112: 해제홈
120: 플랜지부 121: 외향 돌기
122: 전방 단부면 200: 휠 가드
210: 허브 211: 가이드 돌기
212: 인덱스 홈 220: 가드 플레이트
300: 록킹 플레이트 310: 스토퍼
320: 누름판부 400: 탄성부재
500: 와셔 플레이트 510: 링 플레이트
511: 탄성편 520: 고정용 다리
521: 내향 돌기

Claims (7)

  1. 내부에 스핀들이 설치되는 축부(110)와, 상기 축부(1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동공구의 바디의 헤드 부분에 장착되는 플랜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110)의 선단부 외주에 가이드 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111)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개구되는 해제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 블록(100);
    상기 헤드 블록(100)의 축부(110) 외부에 미끄럼 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는 허브(210)와, 상기 허브(210)의 선단 외주에 형성되는 가드 플레이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210)의 내측으로는 상기 헤드 블록(100)의 해제홈(112)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 홈(111)에 미끄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211)가 돌출 형성되는 휠 가드(200); 및
    상기 헤드 블록(100)과 상기 휠 가드(20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헤드 블록(100)에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은 가능하고 회전은 불가한 상태로 결합되며,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휠 가드(200)의 허브(210)를 상기 헤드 블록(100)에 일체화하여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구속하거나 또는 헤드 블록(100)으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해제하는 록킹 플레이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가드(200)의 허브(210)에는 그 원주를 따라 복수의 인덱스 홈(212) 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인덱스 홈(212)에 삽입 및 이탈가능한 스토퍼(31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의 스토퍼(310)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과 상기 헤드 블록(100)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310)가 상기 휠 가드(200)의 인덱스 홈(212)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에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00)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와 상기 휠 가드(200)의 허브(210) 후단부 사이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를 상기 헤드 블록(100)의 횡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헤드 블록(100)에 붙잡아 두는 와셔 플레이트(5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플레이트(500)는, 상기 헤드 블록(100)에 끼워져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를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 플레이트(510)와, 상기 링 플레이트(510)의 외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 블록(100)의 플랜지부(120)에 결합되는 고정용 다리(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다리(520)의 단부에는 내향 돌기(521)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 볼록(100)의 플랜지부(120)에는 상기 고정용 다리(520)의 내향 돌기(521)에 대향하는 외향 돌기(121)가 형성되어, 상기 내향 돌기(521)와 외향 돌기(121)가 스냅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플레이트(500)의 링 플레이트(510)에는 상기 휠 가드(200)의 허브(210) 후방 단부면과 상기 록킹 플레이트(300)의 전방 단부면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편(5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KR1020080068555A 2008-07-15 2008-07-15 휠 가드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공구 KR10100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555A KR101005987B1 (ko) 2008-07-15 2008-07-15 휠 가드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555A KR101005987B1 (ko) 2008-07-15 2008-07-15 휠 가드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36A true KR20100008136A (ko) 2010-01-25
KR101005987B1 KR101005987B1 (ko) 2011-01-05

Family

ID=4181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555A KR101005987B1 (ko) 2008-07-15 2008-07-15 휠 가드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9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4641A (zh) * 2011-09-03 2011-12-28 浙江皇冠电动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角磨类电动工具装换砂轮和转动防护罩的集成机构
KR101220750B1 (ko) * 2010-07-06 2013-01-09 계양전기 주식회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더스트 후드 조립체 및 이러한 더스트 후드 조립체를 구비한 전동공구
CN104640673A (zh) * 2012-09-18 2015-05-20 英古所连公司 具有防护件的研磨工具
KR20160117852A (ko) * 2015-03-31 2016-10-11 계양전기 주식회사 그라인더 휠가드의 고정구조
CN110524042A (zh) * 2018-05-25 2019-12-03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角磨机
KR20220111885A (ko) * 2021-02-03 2022-08-10 이혜원 핸드 그라인더용 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6873B4 (de) * 2003-08-11 2007-09-20 Hilti Ag Schutzhaubenanordnung
DE10343060A1 (de) * 2003-09-16 2005-04-07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 mit Schutzhaub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750B1 (ko) * 2010-07-06 2013-01-09 계양전기 주식회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더스트 후드 조립체 및 이러한 더스트 후드 조립체를 구비한 전동공구
CN102294641A (zh) * 2011-09-03 2011-12-28 浙江皇冠电动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角磨类电动工具装换砂轮和转动防护罩的集成机构
CN102294641B (zh) * 2011-09-03 2013-08-28 浙江皇冠电动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角磨类电动工具装换砂轮和转动防护罩的集成机构
CN104640673A (zh) * 2012-09-18 2015-05-20 英古所连公司 具有防护件的研磨工具
US9352445B2 (en) 2012-09-18 2016-05-31 Ingersoll-Rand Company Grinding tools with guards
KR20160117852A (ko) * 2015-03-31 2016-10-11 계양전기 주식회사 그라인더 휠가드의 고정구조
CN110524042A (zh) * 2018-05-25 2019-12-03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角磨机
KR20220111885A (ko) * 2021-02-03 2022-08-10 이혜원 핸드 그라인더용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987B1 (ko)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987B1 (ko) 휠 가드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공구
KR101483963B1 (ko)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 탈,부착장치
US7628683B2 (en) Handheld power tool with a guard hood
US9550274B2 (en) Protective hood device
KR102443288B1 (ko) 전동 공구
US10201889B2 (en) Fully rotatable grinder guard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535217B1 (ko) 그라인더용 연마공구의 탈, 부착장치
US8784164B2 (en) Power tool with a shield
EP3081335B1 (en) Guard assembly for a power tool
JPH02501722A (ja) 工具、特に円盤を取外し可能に固定するための締付け装置
JP6020767B2 (ja) 電動工具
US20230076278A1 (en) Coupler structure of hand grinder
JP2012200794A (ja) 電動工具
US10173298B2 (en) Reversible lever for a guard assembly for a power tool
CN111645036A (zh) 作业工具
WO2015029659A1 (ja) グラインダ
JP2006346773A (ja) 手持ち研磨装置
KR101056036B1 (ko) 그라인더용 연마공구의 탈, 부착장치
KR101220750B1 (ko) 위치 조절이 용이한 더스트 후드 조립체 및 이러한 더스트 후드 조립체를 구비한 전동공구
KR102276986B1 (ko)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KR200376952Y1 (ko)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홀더 착탈구조
KR200373648Y1 (ko)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홀더 착탈구조
JP2012192479A (ja) 集塵カバー及び集塵カバーを備えたディスクグラインダ
JP5895611B2 (ja) 集塵アダプターおよび集塵アダプターを備えた動力工具
CN113199403A (zh) 自调式多功能砂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