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263A -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263A
KR20100007263A KR1020080067825A KR20080067825A KR20100007263A KR 20100007263 A KR20100007263 A KR 20100007263A KR 1020080067825 A KR1020080067825 A KR 1020080067825A KR 20080067825 A KR20080067825 A KR 20080067825A KR 20100007263 A KR20100007263 A KR 2010000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prism
lens unit
liv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652B1 (ko
Inventor
황지훈
김명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652B1/ko
Priority to US12/491,340 priority patent/US8174606B2/en
Publication of KR2010000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06Viewfinders with lenses with or without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입사할 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렌즈부와 상기 촬상소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일 방향으로 반사시키거나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아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하는 위치가 변할 수 있는 메인미러와, 상기 일 방향 상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되었을 시 상기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하여 타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프리즘부와, 상기 타 방향 상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즘부에서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뷰파인더와,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일 면 상에 배치된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일안 반사식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렌즈부를 통해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획득한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최근의 컴팩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촬영모드에서 촬영 시의 구도 등의 선정 용이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 동영상이라 할 수 있는 라이브뷰 이미지(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스틸 이미지 및 /또는 라이브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바, 촬영모드에서 계속해서 촬상소자에 광이 입사하기에 라이브뷰 이미지(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팩트 디지털 촬영장치와 달리, 종래의 일안 반사식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일안 반사식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촬영모드에서 렌즈부를 통과한 광은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펜타프리즘을 거쳐 뷰파인더를 통해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촬영이 이루어지는 순간에만 메인미러의 위치가 바뀌어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함으로써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일안 반사식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라이브뷰 이미지(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입사할 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렌즈부와 상기 촬상소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일 방향으로 반사시키거나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아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하는 위치가 변할 수 있는 메인미러와, 상기 일 방향 상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되었을 시 상기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하여 타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프리즘부와, 상기 타 방향 상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즘부에서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뷰파인더와,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일 면 상에 배치된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리즘부는 펜타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리즘부는 복수개의 프리즘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하는 면을 제1면이라 하고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프리즘부에서 출력되는 광이 최종으로 통과하는 면을 제2면이라 하며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면을 제3면이라 할 시, 상기 제3면은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제외한 면들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리즘부의 상기 제3면의 적어도 일부는 입사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켜 상기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에 입사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리즘부의 상기 제3면은,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제1면을 통해 상기 프리즘부에 입사하여 상기 제2면을 통해 상기 뷰파인더에 입사하는 광이 반사되는 면들 중 어느 한 면이고, 상기 제3면의 적어도 일부는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리즘부의 상기 제3면은,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제1면을 통해 상기 프리즘부에 입사하여 상기 제2면을 통해 상기 뷰파인더에 입사하는 광이 반사되는 면들이 아닌 면이고, 상기 제3면의 적어도 일부는 투광성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리즘부의 상기 제3면 상에는 서브 프리즘이 배치되고, 상기 제3면을 통과한 광은 상기 서브프리즘을 거쳐 상기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에 입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서브프리즘과 상기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 서브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일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메인미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 의해 상기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일 방향 상에 위치한 프리즘부에 입사하여,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타 방향 상에 위치한 뷰파인더로 진행하고 입사된 광의 다른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일 면 상에 배치된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로 진행하면, 상기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c)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미러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하는 중에는 디스플레이부에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 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렌즈부(120)와, 촬상소자(127)와, 메인미러(124)와, 파인더 광학계(130)를 포함한다. 파인더 광학계(130)는 프리즘부(132)와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를 포함한다. 물론 이 외에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 그 외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피사체로부터의 광은 렌즈부(120)를 통과한다. 렌즈부(1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렌즈(121)와 제2렌즈(123) 등의 복수개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122)는 렌즈들 사이 또는 렌즈들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부(120)의 렌즈들 중 적어도 일부는 렌즈 구동부(135)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조리개(122)는 조 리개 구동부(136)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렌즈부(120)의 광축 상에서 렌즈부(120) 뒤쪽에는 메인미러(124)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메인미러(124)는 렌즈부(120)와 후술하는 촬상소자(127) 사이에 배치되는데, 메인미러(124)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일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물론 이 메인미러(124)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가 아니라 축(124a)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등의 위치변화를 통해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아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127)에 입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메인미러(124)의 대략 중앙부분은 반투명미러(half mirror)일 수 있는데, 이러한 메인미러(124)의 배면에는 서브미러(125)가 배치되어 렌즈부(120)에 입사한 빛의 일부는 메인미러(124)를 투과하여 서브미러(125)에 의해 반사된다. 서브미러(125)의 반사광 축 상에는 세퍼레이터(separator) 광학계(128) 및/또는 AF 센서(129) 등이 배치된다. AF 센서(129)는 AF 센서 구동부(138)에 접속된다. 이러한 서브미러(125), 세퍼레이터 광학계(128) 및 AF 센서(129)는 포커스 검출 장치로서, CPU(141)의 제어 하에서 렌즈부(120)를 통해 오토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메인미러(124)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가 아닌, 축(124a)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등의 위치변화를 통해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아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127)에 입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촬상소자(127)와 렌즈부(120) 사이에는 셔터(126)가 배치되는 바, 셔터(126)는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셔터 구동부(139)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소정 시간 동안 오픈(open)되어,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127)에 입사할 수 있도록 한다. 촬상소자(127)는 입사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메인미러(124)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 있을 시에는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일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라 한 이유는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의 다른 일부는 메인미러(124)를 투과하여 서브미러(125)로 입사하기 때문이다. 메인미러(124)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 있을 시 메인미러(124)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 상에는, 초점판(131), 프리즘부(132), 뷰파인더(133) 및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를 포함하는 파인더 광학계(130)가 배치된다. 렌즈부(120)를 통과한 피사체로부터의 광은 메인미러(124)에서 반사되어 초점판(131)에서 결상된다. 사용자는 초점판(131)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을 프리즘부(132)와 뷰파인더(133)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파인더 광학계(130)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렌즈 구동부(135), 조리개 구동부(136), 메인미러 구동부(137), AF 센서 구동부(138) 및 셔터 구동부(139)는 데이터 버스(152)를 통해 CPU(14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입력 수단(142)과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143) 또한 데이터 버스(152)를 통해 CPU(141)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입력 수단(142)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셔터-릴리스 버튼(미도시), 파워 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를 CPU(141)에 전달한다.
CPU(141)는 AF 센서 구동부(138)를 구동 제어하여 포커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렌즈 구동부(135)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렌즈부(120)의 렌즈들 중 적어도 일부의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여 오토포커싱을 수행한다. 또한, CPU(14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메인미러 구동부(137)를 구동 제어하여 메인미러(124)를 움직여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이 메인미러(124)에 의해 반사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AF 센서(129)의 출력에 근거하는 피사체 휘도 정보를 기초로 적정 단면 수축값과 셔터 노출 시간을 구해, 조리개 구동부(136)를 구동 제어하여 조리개(122)를 구동하고 셔터 구동부(137)를 구동 제어하여 셔터(126)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촬상소자(127)가 아날로그 데이터를 획득하면 이는 신호 처리부(145)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물론 촬상소자(127) 자체가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 처리부(145)는 데이터 버스(151)를 이용하여 EPROM(147), SDRAM(148)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150)에 접속되어 있다. EPROM(147)에는 신호 처리부(145)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access memory)(148)은 화상 처리 전의 화상 데이터나 화상 처리 중의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플래시 메모리(150)는, 최종적으로 확정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인더 광학계(130)는 초점판(131)과, 프리즘부(132)와, 뷰파인더(133)와,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를 포함한다. 초점판(131)에는 렌즈부(120)를 통과하여 메인미러(124)에서 반사된 피사체의 상(象)이 결상된다. 프리즘부(132)는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미러(124)에 의해 반사되었을 시 메인미러(124)에 의해 반사된 광이 일 방향으로 입사하여 타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 타 방향 상에는 뷰파인더(133)가 위치하여, 이 뷰파인더(133)를 통해 사용자의 눈에 광이 입사한다.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는 프리즘부(132)의 면들 중 일 면 상에 배치된다.
종래의 일안 반사식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촬영모드에서 렌즈부를 통과한 광은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프리즘부를 거쳐 뷰파인더를 통해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촬영이 이루어지는 순간에만 메인미러의 위치가 바뀌어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함으로써 스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일안 반사식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라이브뷰 이미지(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촬영모드에서 렌즈부(120)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127)에 입사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미러(124)에 의해 반사되어 프리즘부(132)를 거쳐 뷰파인더(133)를 통해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더라도, 메인미러(124)에 의해 반사되어 프리즘부(132)로 입사한 광의 일부가 프리즘부(132)의 면들 중 일 면 상에 배치된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로 입사함으로 써, 이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에서 라이브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디지털 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와 달리 촬영모드에서 라이브뷰 이미지(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프리즘부(13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펜타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펜타프리즘은 양 측면들을 제외할 시 5개의 면들(132a, 132b, 132c, 132d, 132e)을 갖는 프리즘이다. 물론 프리즘부(132)는 펜타프리즘이 아닌 포로프리즘과 같은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프리즘부(132)의 면들 중 메인미러(124)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하는 면(132a)을 제1면이라 하고 프리즘부(132)의 면들 중 프리즘부(132)에서 출력되는 광이 최종으로 통과하는 면(132e)을 제2면이라 하며 프리즘부(132)의 면들 중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가 배치되는 면(132d)을 제3면이라 할 시, 제3면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리즘부(132)의 면들 중 제1면(132a)과 제2면(132e)을 제외한 면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이때, 프리즘부(132)의 제3면(도 2에서는 참조번호 132d의 면)의 적어도 일부는 입사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켜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에 입사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리즘부(132)의 제3면(도 2에서는 참조번호 132d의 면)은, 프리즘부(132)의 면들 중 제1면(132a)을 통해 프리즘부(132)에 입사하여 제2면(132e)을 통해 뷰파인더(133)에 입사하는 광이 반사되는 면들(132b, 132d) 중 어느 한 면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제3면의 적어도 일부는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3명의 적어도 일부가 광을 전부 투과시킨다면, 사용자가 뷰파인더(133)를 이용할 경우에는 피사체의 구도 등을 설정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리즘부(132)의 제3면(도 3에서는 참조번호 132d의 면) 상에 서브프리즘(134)이 더 배치되고, 제3면을 통과한 광은 서브프리즘을 거쳐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에 입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브프리즘(134)의 면들 중 서브프리즘(134)으로 입사한 광이 반사되는 면은 입사한 광을 모두 반사시키도록 처리된 반사면일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프리즘(134)과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 사이에 배치된 서브렌즈(13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서브렌즈(135)는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로 입사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이미지의 왜곡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는 프리즘부(132)로서 펜타프리즘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프리즘부(132)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이 반사되는 면들 중 일 면(132b)이 상호 수직인 두 면으로 이루어진 루프 펜타프리즘일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프리즘들을 포함하는 포로프리즘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프리즘부(132)가 펜타프리즘일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리즘부(132)로 입사한 광이 반사되는 복수개의 면들(132b, 132d)이 존재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32d의 면이 제3면이 되어 그 면 상에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가 위치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32b의 면이 제3면이 되어 그 면 상에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가 위치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물론 후자의 경우에도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프리즘(134) 및 서브렌즈(135)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와 상이한 것은,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가 배치되는 프리즘부(132)의 제3면이, 프리즘부(132)의 면들 중 제1면(132a)을 통해 프리즘부(132)에 입사하여 제2면(132e)을 통해 뷰파인더(133)에 입사하는 광이 반사되는 면들(132b, 132d)이 아닌 면(132c)이고, 이 제3면(132c)의 적어도 일부는 투광성이라는 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미러(124)에 의해 반사된 광은 초점판(131)을 거쳐 프리즘부(132)에 입사하는 바, 도 2 내지 도 8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경로를 따르는 광은 프리즘부(132)의 소정 면들에서 반사되어 뷰파인더(133)로 향하게 된다.
한편, 초점판(131)은 간유리(frosted glass) 등과 같이, 그것을 통과한 광이 입사광의 광축에 평행하지 않은 광축을 따라서도 진행하도록 하는 물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미러(124)에 의해 반사된 모든 광이 초점판(131)을 지난 후 반드시 도 2 내지 도 8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경로를 따라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메인미러(124)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는 프리즘부(132)의 참조번호 132c의 면으로도 향한다. 여기서 프리즘부(132)의 참조번호 132c의 면은 프리즘부(132)의 면들 중 제1면(132a)을 통해 프리즘부(132)에 입사하여 제2면(132e)을 통해 뷰파인더(133)에 입사하는 광이 반사되는 면들(132b, 132d)이 아닌 면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면(132c) 상에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136)가 위치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참조번호 132c의 면에 입사하는 광은 뷰파인더(133)로 향하는 광이 아니므로, 이 제3면(132c)의 적어도 일부는 반투광성이 아닌 전면적인 투광성이어도 관계없다. 이 경우에도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프리즘(134)과 서브렌즈(13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은, 먼저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일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메인미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그 후,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일 방향 상에 위치한 프리즘부에 입사하여,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타 방향 상에 위치한 뷰파인더로 진행하고 입사된 광의 다른 적어도 일부가 프리즘부의 면들 중 일 면 상에 배치된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로 진행하면,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를 통해 일안 반사식 디지털 촬영장치에서도 라이브 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어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면,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메인미러의 위치를 변화시켜,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하는 중에는 디스플레이부에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이미지 처리방법을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EPROM(147), SDRAM(148)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15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파인더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렌즈부 124: 메인미러
126: 셔터 127: 촬상소자
129: AF 센서 130: 파인더 광학계
131: 초점판 132: 펜타 프리즘
133: 뷰파인더 136: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
141: CPU

Claims (13)

  1.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입사할 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렌즈부와 상기 촬상소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일 방향으로 반사시키거나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아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하는, 위치가 변할 수 있는 메인미러;
    상기 일 방향 상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되었을 시 상기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하여 타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프리즘부;
    상기 타 방향 상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즘부에서 출력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뷰파인더; 및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일 면 상에 배치된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는 펜타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는 복수개의 프리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하는 면을 제1면이라 하고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프리즘부에서 출력되는 광이 최종으로 통과하는 면을 제2면이라 하며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면을 제3면이라 할 시, 상기 제3면은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제외한 면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의 상기 제3면의 적어도 일부는 입사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켜 상기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에 입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의 상기 제3면은,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제1면을 통해 상기 프리즘부에 입사하여 상기 제2면을 통해 상기 뷰파인더에 입사하는 광이 반사 되는 면들 중 어느 한 면이고, 상기 제3면의 적어도 일부는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의 상기 제3면은,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상기 제1면을 통해 상기 프리즘부에 입사하여 상기 제2면을 통해 상기 뷰파인더에 입사하는 광이 반사되는 면들이 아닌 면이고, 상기 제3면의 적어도 일부는 투광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부의 상기 제3면 상에는 서브프리즘이 배치되고, 상기 제3면을 통과한 광은 상기 서브프리즘을 거쳐 상기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에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리즘과 상기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 서브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0. (a)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일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메인미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 의해 상기 메인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일 방향 상에 위치한 프리즘부에 입사하여,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타 방향 상에 위치한 뷰파인더로 진행하고 입사된 광의 다른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리즘부의 면들 중 일 면 상에 배치된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로 진행하면, 상기 라이브뷰용 이미지 센서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c)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미러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하도록 하는 중에는 디스플레이부에 라이브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80067825A 2008-07-11 2008-07-11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76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825A KR101476652B1 (ko) 2008-07-11 2008-07-11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2/491,340 US8174606B2 (en) 2008-07-11 2009-06-25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to provide live view images in a photographing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825A KR101476652B1 (ko) 2008-07-11 2008-07-11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63A true KR20100007263A (ko) 2010-01-22
KR101476652B1 KR101476652B1 (ko) 2014-12-26

Family

ID=4150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825A KR101476652B1 (ko) 2008-07-11 2008-07-11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74606B2 (ko)
KR (1) KR101476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7895B (zh) 2005-12-06 2017-09-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相机机身、相机系统及相机机身的控制方法
JP2012075078A (ja) * 2010-08-31 2012-04-12 Panasonic Corp カメラ本体、撮像装置、カメラ本体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679913B2 (ja) * 2011-06-14 2015-03-0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クライオポンプ制御装置、クライオポンプシステム、及びクライオポンプ監視方法
JP2015227902A (ja) * 2014-05-08 2015-12-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10509128B1 (en) 2019-04-12 2019-12-17 K Laser Technology, Inc. Programmable pattern optical projector for depth detection
WO2020224371A1 (zh) * 2019-05-05 2020-11-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终端设备、成像方法及成像装置
US11693221B2 (en) 2019-12-25 2023-07-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module,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386A (ja) * 2004-01-30 2005-08-11 Canon Inc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2006195362A (ja) * 2005-01-17 2006-07-27 Pentax Corp 測光装置
JP2007264029A (ja) * 2006-03-27 2007-10-11 Nikon Corp ファインダ光学系及びこれを搭載する光学機器
EP1909229B1 (en) * 2006-10-03 2014-02-19 Nikon Corporation Tracking device and image-capt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74606B2 (en) 2012-05-08
US20100007771A1 (en) 2010-01-14
KR101476652B1 (ko) 201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652B1 (ko) 디지털 촬영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4576295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2006208A (ja) 自動焦点検出機構を備えた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215100B2 (ja) 撮像装置
JPH10239733A (ja) 実像式ファインダーを有するカメラ
JP541818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3012025B2 (ja) 自動焦点カメラ
JP2006126667A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および交換レンズ
JP2001133846A (ja) 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
JP2010224290A (ja) カメラ
JP2002365528A (ja) オートフォーカス機能を備える一眼レフカメラ
JP2010282107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306490A (ja) 撮像装置
JP4622924B2 (ja) カメラ
JPH11231409A (ja) 銀塩撮影および電子撮像兼用カメラ
JP2001350087A (ja) 自動合焦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10060675A (ja) 撮像装置
JP2010016762A (ja) カメラ
JP2009098392A (ja) 撮像装置
KR101477534B1 (ko)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JP2004037701A (ja) 撮影機能付き双眼鏡
JP200916296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7233263A (ja) 撮像装置
JP2018013526A (ja) 光学機器
JP2012225997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