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912U -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 Google Patents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912U
KR20100006912U KR2020080017266U KR20080017266U KR20100006912U KR 20100006912 U KR20100006912 U KR 20100006912U KR 2020080017266 U KR2020080017266 U KR 2020080017266U KR 20080017266 U KR20080017266 U KR 20080017266U KR 20100006912 U KR20100006912 U KR 201000069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pipe
heat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392Y1 (ko
Inventor
노정수
Original Assignee
(주)삼정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정하이텍 filed Critical (주)삼정하이텍
Priority to KR2020080017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39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9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9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3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Abstract

본 고안은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관의 양단부를 벽체에 매립된 점검박스 내부에 구비하고, 그 양단부에 보충수가 저장된 보조관을 각각 설치하여 난방수를 보충토록 함과 동시에 수위센서 및 온도센서를 구비하므로써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하며, 상기 보조관에는 압력 상승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압력수용장치를 구비하여 온수관 내부의 과도한 압력 상승시 이를 수용토록 하여 온수관의 훼손을 방지토록 한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따르면, 온수관의 양 단부를 포함한 보조관 및 압력수용장치가 벽체에 매립된 점검구 박스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보조관 및 압력수용장치는 고정클립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할 것이고, 이와 더불어 온수관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된 보조관 내부에 보충수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난방수의 소모시 이를 즉각 보충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것이며, 수위센서와 온도센서가 각각 구비되어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게 되므로 사용이 보다 편리할 것이다.
온수관, 발열선, 보조관, 압력수용장치, 고정클립

Description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A structure of warm water pipe for electric boiler}
본 고안은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관의 양단부를 벽체에 매립된 점검박스 내부에 구비하고, 그 양단부에 보충수가 저장된 보조관을 각각 설치하여 난방수를 보충토록 함과 동시에 수위센서 및 온도센서를 구비하므로써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하며, 상기 보조관에는 압력 상승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압력수용장치를 구비하여 온수관 내부의 과도한 압력 상승시 이를 수용토록 하여 온수관의 훼손을 방지토록 한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관의 내부에 난방수와 더불어 발열선을 삽입시켜 난방을 하게 되는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이 다수 제안되고 있는 바, 그 중에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31492호가 대표적인 일예이다. 즉, 도 1의 "가"와 "나"는 종래의 온수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온수관(10)의 양 단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물론 이 온수관(10)의 양 단부는 서로 연결되어져 바닥에 매설된다. 이러한 온수관(10)의 양 단부는 밀폐장치(30)에 의해서 막음되며, 내부에는 전원선(22)과 결선된 발열선(20)이 구비되어 저장된 난방수(12)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온수관(10)의 양 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온수관(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이를 수용하므로써 과도한 압력에 의한 온수관(10)의 훼손을 방지하는 압력수용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온수관의 구조에 의하면, 내부에 충진된 난방수(12)는 발열선(20)의 발열에 의해 셋팅된 일정 온도로 상승하여 바닥을 난방하게 된다.
이러한 난방시 크게 두 가지의 현상이 발생된다. 그 첫 번째는 온수관(10) 내부에 충진된 난방수(12)가 가열로 인한 자연소모 되는 현상이고, 두 번째는 온수관(10) 내부의 가열로 인한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현상이다.
물론, 첫 번째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온수관(10)의 단부에 결합된 밀폐장치(30)를 분리하여 온수관(10)으로 직접 난방수(12)를 보충하면 될 것이나 밀폐장치(30) 분리 결합등으로 인해 상당한 불편함이 존재할 것이고, 두 번째의 경우에는 온수관(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압력수용장치(40)가 과도한 압력을 수용할 것이나 압력수용장치(40)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타측 단부 부근에서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게 되면 이 압력수용장치(40)가 압력을 수용하기 전 온수관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함과 더불어 난방수의 소모시 이를 즉각 보충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온수관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될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압력을 수용하여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어부와, 내부에 난방수가 충진되고 발열선이 삽입되어져 바닥에 매설되는 온수관과, 상기 온수관의 내부에 삽입된 발열선과 결선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으로 구성되는 온수관의 구조에 있어서,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 좌우측 및 가운데 부분에는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된 고정클립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온수관의 양 단부가 내부로 삽입 되는 점검구 박스; 상기 점검구 박스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온수관의 양 단부에 하부가 연결관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좌우측에 구비된 고정클립에 고정 설치되되, 그 내부에는 난방수의 소모시 보충되는 보충수가 저장되고, 상부에는 저장된 보충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폐장치가 구비된 한 쌍의 보조관; 상기 온수관과 보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중 어느 일측의 연결관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점검구 박스의 가운데 부분에 구비된 고정클립에 고정 설치되어 그 좌우측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보조관과 결합관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온수관 내부의 과도한 압력 상승시 온수관의 양 단부를 통해 이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구비된 압력수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온수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따르면, 온수관의 양 단부를 포함한 보조관 및 압력수용장치가 벽체에 매립된 점검구 박스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보조관 및 압력수용장치는 고정클립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할 것이고, 이와 더불어 온수관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된 보조관 내부에 보충수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난방수의 소모시 이를 즉각 보충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것이며, 또한 수위센서와 온도센서가 각각 구비되어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게 되므로 사용이 보다 편리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온수관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면 압력수용장치가 이를 온수관 양 단부에서 동시에 수용하게 되므로 압력수용 작동이 보다 원활하여 온수관의 훼손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구조를 일부 단면하여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수용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온수관의 구조(100)를 살펴보면 크게 제어부(110), 내부에 난방수가 충진됨과 동시에 이 난방수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선(220)이 삽입된 온수관(200), 상기 온수관(200)의 내부에 구비된 발열선(220)과 결선되는 전원선(300),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가 위치되는 점검구 박스(400),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에 연결관(510)을 매개로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보조관(500), 상기 연결관(510)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수위센서(600) 및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된 보조관(500)과 각각 연결되는 압력수용장치(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 구비되는 온도센서(800)를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110)는 온도/시간 설정 및 동작 상태 표시 등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온수관(200)은 내부에 바닥을 난방하는 난방수(210)와 이 난방수(210)를 가열하는 발열선(220)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상에는 온수관(200)의 양 단부만을 도시하였으나 이 양 단부는 연결되어 있으며, 양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후술하겠지만 바닥에 매설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선(300)은 일단이 제어부(1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관(500)을 통해 삽입돼 온수관(200)의 내부에서 발열선(220)과 결선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이 또한 종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점검구 박스(400)는 후술하겠지만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설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410)가 구비된 전면 개방형이다. 그리고, 내부에는 상기 보조관(500) 및 압력수용장치(700)를 탈부착할 수 있는 고정클립(420a,420b,420c)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클립(420a,420b,420c)은 좌 우 및 가운데 부분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는 상기 점검구 박스(400)의 하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관(500)은 그 하부가 점검구 박스(400)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온수관(200)의 양 단부에 연결관(510)을 매개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점검구 박스(400)의 좌우측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클립(420a,420b)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온수관(200) 내부에 충진된 난방수(210)가 가열 혹은 유출 등의 이유로 자연 소모되면 이 난방수(210)를 보충할 수 있는 보충수(530)가 저장되며, 상부에는 보충수(530)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장치(5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510)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부가 상기 온수관(200)의 단부에 밀착되고 상부가 상기 보조관(500)의 하부와 밀착되는 도관(512)과, 상기 도관(512)의 상하부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온수관(200) 및 보조관(50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5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510) 중 어느 일측의 연결관(510)에는 수위센서(600)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부(520)가 구비되어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T자 형상의 연결관(510) 형태를 가진다. 물론, 이 설치부(520)의 끝단에는 난방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패킹(522)이 구비된 캡(524)이 더 설치됨은 너무나 당연하며, 상기 패킹(522)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수위센서(600)의 전선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은 너무나 명백하다.
그리고, 상기 밀폐장치(540)는 상기 보조관(5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온수관(200)에 저장된 난방수(210)는 물론이고 보조관(500) 내부에 저장된 보충수(530)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관(50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실리콘 재질의 밀봉캡(542)과 상기 밀봉캡(542)을 밀착하는 캡너트(5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밀봉캡(542)과 캡너트(544) 또한 미도시 하였으나 온수관(200) 내부에서 발열선(220)과 결선되는 전원선(300)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음은 너무나 명백하다.
이러한, 밀폐장치(540)는 종래에도 여러 형태의 구성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원 고안에서도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수위센서(600)는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에 설치된 연결관(510) 중 설치부(520)가 구비된 연결관(510)에 설치되어 제어부(110)와 연결되는 것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통상적인 센서의 종류이다. 물론, 상기 수위센서(600)의 전선은 상기 설치부(520) 끝단을 막음하는 패킹(522)과 캡(524)을 통해 제어부(110)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력수용장치(700)는 상기 점검구 박스(400)의 가운데 부분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클립(420c,420c'))에 결합 고정되며,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보조관(500)과 결합관(740)을 매개로 서로 연통되게끔 설치되어 온수관(200)의 과도한 압력 상승시 이를 수용토록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압력수용장치(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개방되고 그 상부에는 결합관(740)이 결합되는 결합부재(712)가 구비된 케이스(710),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 구비된 복원스프링(720) 및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는 상기 결합부재(712)에 의해 상기 케이스(710)에 밀착 고정되고, 그 하부는 상기 복원스프링(720)에 안치되는 주름관(7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의 작동은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712)는 상기 복원스프링(720) 및 주름관(730)을 케이스(710)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710) 상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한편, 상기 결합관(740)은 상기 케이스(710)의 결합부재(712)에 결합되는 T자 형상의 제1관(742) 및 상기 제1관(74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보조관(500)과 각각 연결되는 이송관(7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온도센서(800)는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 설치되어져 내부에서 가열되는 난방수(210)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으로, 이 역시 제어부(110)와 연결되며, 제어부(110)는 이 온도센서(800)가 측정한 온도 값과 셋팅된 온도 값을 비교하여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면 점검신호를 발산하게 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온수관의 구조(100)에 따른 설치 상태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설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7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로 하면, 바닥(900)에 매설되어 있는 온수관(200)의 양 단부는 벽체(910)에 매립되어 있는 점검구 박스(400)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비록 일부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에는 연결관(510)을 매개로 보조관(500)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보조관(500) 사이에는 압력수용장치(700)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관(500)과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 구비된 수위센서(600)와 다른 온수관(200)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센서(800) 및 상기 온수관(20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발열선(2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300)은 제어부(110)와 각각 연결된 채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설치에 의하면 온수관(200)의 양 단부는 물론이고 각 설비(보조관, 압력수용장치, 수위센서, 온도센서)들이 벽체(910)에 매립되어 있는 점검구 박스(400) 내에 위치되므로 이들을 점검하는 등의 유지관리에 상상한 이점이 있을 것임에는 틀림없다.
그리고,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가 바닥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 므로 난방수의 부족시 그 양 단부에 결합된 보조관(500)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보충수(530)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보충수(530)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펌프를 설치하지 않아도 보충수(530)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온수관의 구조(100)는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즉, 도 7의 "가"를 참조로 하여 작동관계를 설명하기에 앞서 설치 관계를 간략하게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점검구 박스(400) 내부에는 바닥에 매설되어 있는 온수관(200)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있되 그 온수관(200)의 내부에는 난방수(210)가 충진되어 있고, 이 난방수(210)를 가열하는 발열선(22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에는 내부에 보충수(530)가 저장된 보조관(500)이 연결관(510)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압력수용장치(700)가 결합관(740)을 매개로 상기 두 보조관(500)과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원선(300)은 상기 보조관(500)의 상부를 막음하고 있는 밀폐장치(540)를 통해 온수관(200) 내부에 구비된 발열선(220)과 결선되어 있으며, 보조관(500)과 온수관(200)을 연결하는 연결관(510)의 설치부(520)에는 수위센서(600)가 구비되어 있고, 온수관(200)의 양 단부 중 일측 단부에는 온도센서(800)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전원선(300), 수위센서(600) 및 온도센서(800)는 제어부(110)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부(110)의 조작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전원선(300)과 결선된 발열선(220)은 셋팅된 온도로 난방수(210)를 가열하여 바닥을 난방하게 된다. 이때, 온수관(200) 내부에 충진된 난방수(210)가 셋팅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온도센서(800)가 이를 즉각 감지하게 되고, 이를 매개로 제어부(110)가 점검 신호를 송출하게 되므로 온수관(200) 혹은 그 주변 설비들의 큰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난방수(210)의 자연소모 현상이 일어나면 이 소모된 양 만큼 보조관(500)에 저장된 보충수(530)가 즉각 온수관(200)으로 보충되므로 난방수 부족 현상이 쉽게 일어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온수관(200)의 어느 일부가 훼손되어 난방수(210)가 유출되거나 혹은 자연소모 되는 난방수(210)의 양이 많아 보조관(500)에 저장된 보충수(530)가 점차 줄어들어 연결관(510)에 설치된 수위센서(600)의 위치보다 낮아지게 되면 이 수위센서(600)가 이를 즉각 감지하게 되고, 이를 매개로 제어부(110)가 점검 신호를 송출하여 점검토록 하므로써 사용은 물론이고 유지관리 또한 아주 용이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시 온수관(20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면, 도 7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압력은 보조관(500)과 결합관(74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압력수용장치(700)의 주름관(730) 내부로 수용될 것이다. 그러면, 이 주름관(730)은 이 압력과 함께 배출되는 난방수(210)에 의해 늘어나면서 이 압력을 수용하여 온수관(200)의 훼손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이 주름관(730) 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복원스프링(720)은 늘어나는 주름관(730)에 의해서 수축될 것이다. 이때, 상기 온수관(200)의 양 단부에 각각 보조관(500)이 연결되어 있고, 이 두 보조관(500)과 상기 압력수용장치(700)가 각각 연통되므로 과도한 압력은 온수관(200)의 양 단부를 통해 동시에 배출되고, 압력수용장치(700)는 이를 동시에 수용하게 되므로 압력수용 작동이 보다 효과적이고도 원활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그러다, 온수관(2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복원스프링(720)의 복원으로 인해 늘어났던 주름관(730)이 다시 수축하게 될 것이고, 그 내부로 수용되었던 난방수(210)는 다시 보조관(500)으로 유입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온수관의 구조(100)에 따르면, 온수관(200)의 양 단부를 포함한 보조관(500) 및 압력수용장치(700) 그리고, 수위센서(600) 및 온도센서(800)가 벽체(910)에 매립된 점검구 박스(400)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보조관(500) 및 압력수용장치(700)는 고정클립(420a,420b,420c)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점검이 용이할 것이고, 이와 더불어 온수관(200)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된 보조관(500) 내부에 보충수(530)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난방수(210)의 소모시 이를 즉각 보충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것이며, 또한 수위센서(600)와 온도센서(800)가 각각 구비되어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게 되므로 사용이 보다 편리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온수관(20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면 압력수용장 치(700)가 이를 온수관(200) 양 단부에서 동시에 수용하게 되므로 압력수용 작동이 보다 효과적이고도 원활하여 온수관(200)의 훼손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의 "가"와 "나"는 종래의 온수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구조를 일부 단면하여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수용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설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7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래의 온수관 구조 10 : 온수관
12 : 난방수 20 : 발열선
22 : 전원선 30 : 밀폐장치
40 : 압력수용장치 100 : 본 고안의 온수관의 구조
110 : 제어부 200 : 온수관
210 : 난방수 220 : 발열선
300 : 전원선 400 : 점검구 박스
410 : 도어 420a,420b,420c : 고정클립
500 : 보조관 510 : 연결관
512 : 도관 514 : 너트
520 : 설치부 522 : 패킹
524 : 캡 530 : 보충수
540 : 밀폐장치 542 : 밀봉캡
544 : 캡너트 600 : 수위센서
700 : 압력수용장치 710 : 케이스
712 : 결합부재 720 : 복원스프링
730 : 주름관 740 : 결합관
742 : 제1관 744 : 이송관
800 : 온도센서 900 : 바닥
910 : 벽체

Claims (2)

  1. 제어부와, 내부에 난방수가 충진되고 발열선이 삽입되어져 바닥에 매설되는 온수관과, 상기 온수관의 내부에 삽입된 발열선과 결선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으로 구성되는 온수관의 구조에 있어서,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 좌우측 및 가운데 부분에는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된 고정클립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온수관의 양 단부가 내부로 삽입 되는 점검구 박스;
    상기 점검구 박스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온수관의 양 단부에 하부가 연결관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좌우측에 구비된 고정클립에 고정 설치되되, 그 내부에는 난방수의 소모시 보충되는 보충수가 저장되고, 상부에는 저장된 보충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폐장치가 구비된 한 쌍의 보조관;
    상기 온수관과 보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중 어느 일측의 연결관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점검구 박스의 가운데 부분에 구비된 고정클립에 고정 설치되어 그 좌우측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보조관과 결합관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온수관 내부의 과도한 압력 상승시 온수관의 양 단부를 통해 이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구비된 압력수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하는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2020080017266U 2008-12-29 2008-12-29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 장치 KR200455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266U KR200455392Y1 (ko) 2008-12-29 2008-12-29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266U KR200455392Y1 (ko) 2008-12-29 2008-12-29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912U true KR20100006912U (ko) 2010-07-08
KR200455392Y1 KR200455392Y1 (ko) 2011-09-20

Family

ID=4445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266U KR200455392Y1 (ko) 2008-12-29 2008-12-29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3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898B1 (ko) * 2013-03-12 2013-11-27 노정수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20150105759A (ko) * 2014-03-10 2015-09-18 (주)삼정하이텍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683Y1 (ko) 2006-04-04 2006-06-23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898B1 (ko) * 2013-03-12 2013-11-27 노정수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WO2014142555A1 (ko) * 2013-03-12 2014-09-18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CN105229381A (zh) * 2013-03-12 2016-01-06 林熙燮 插入有电热线的热水管的结构
KR20150105759A (ko) * 2014-03-10 2015-09-18 (주)삼정하이텍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392Y1 (ko)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384B1 (ko)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KR200455392Y1 (ko) 발열선이 삽입된 온수관 장치
KR101231317B1 (ko) 전기식 온수탱크
KR101812264B1 (ko)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
KR101541745B1 (ko) 온수 매트
KR101120247B1 (ko) 소형 전기보일러
KR100631023B1 (ko) 열교환 장치
KR20090021858A (ko) 전기 가열식 온수 공급 장치
KR100518262B1 (ko) 무동력 보일러
ITUB20154286A1 (it) Idropulitrice ad acqua calda con controllo della temperatura
KR100707965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관의 구조
KR101752395B1 (ko)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KR200442500Y1 (ko) 전기 스팀보일러
KR101557755B1 (ko) 자동 밸브의 체결구조 및 그 자동 밸브를 이용한 온수 매트
KR20100102938A (ko) 간접 가열방식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히터
IT202100018431A1 (it) Apparecchiatura per il riscaldamento di fluidi in impianti di riscaldamento e/o in impianti idrico-sanitari
KR101108247B1 (ko) 비데의 온수탱크 제어방법
JP5570378B2 (ja) 流路切り替えユニットの配置構造及びその流路切り替えユニットとユニット取り付け具並びに流路切り替えユニットを備えた給湯風呂装置
KR101161689B1 (ko) 에너지 절감형 증기발생장치
KR200453767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JP3744340B2 (ja) 自動補水ユニット及びこの自動補水ユニットを用いた補水制御方法
KR102577108B1 (ko) 온도조절 매트
JP4825147B2 (ja) 給湯装置
KR101151771B1 (ko) 증기압력을 이용한 온수순환장치
JP5161628B2 (ja) 給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