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218A -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218A
KR20100006218A KR1020080066348A KR20080066348A KR20100006218A KR 20100006218 A KR20100006218 A KR 20100006218A KR 1020080066348 A KR1020080066348 A KR 1020080066348A KR 20080066348 A KR20080066348 A KR 20080066348A KR 20100006218 A KR20100006218 A KR 2010000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trolley
seat
inclined rail
l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498B1 (ko
Inventor
김복희
Original Assignee
김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희 filed Critical 김복희
Priority to KR102008006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4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경사레일에 시트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체험자가 상기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각 시트가 경사레일을 따라 하강되되, 시간간격을 두고 하강되거나 동시에 하강되어 가해지는 충격을 비교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 상부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경사레일과, 상기 경사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경사레일의 상단에서 하강되되, 시간간격을 두고 하강되거나 동시에 하강되도록 마련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상기 대차의 상부에 장착되고, 어느 하나에 안전벨트가 구비되며, 체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시트와, 상기 경사레일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대차와 충돌하며 대차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와, 상기 경사레일에서 하강되어 스토퍼와 충돌하며 멈춘 대차를 상기 경사레일의 상단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견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벨트, 안전띠, 레일, 시트

Description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A device for a seat belt experience}
본 발명은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경사레일에 시트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체험자가 상기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각 시트가 경사레일을 따라 하강되되, 시간간격을 두고 하강되거나 동시에 하강되어 가해지는 충격을 비교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교통법에 의하면 차량의 안전벨트는 일반도로에서 운전자와 조수석에 승차한 사람이 의무적으로 착용을 하여야 하고, 고속도로에서 운전자는 물론 승객 모두가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안전벨트는 교통사고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중요한 안전장치로서 안전벨트의 착용이 모든 교통사고의 사상자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하는 사실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나 여전히 무관심이나 불편함 등을 이유로 착용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 뒷자석에 탑승하는 사람들은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안전벨트를 거의 착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통사고가 나게 되면 차안의 운전자뿐 아니라 앞좌석, 뒷자석 승객 모두 사망하거나 심한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교통사고시 그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벨트 착용의 철저한 사전 교육이 필요하고,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여러 교육기관에서 사고예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단순히 주입식 교육에 그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안전벨트 교육용 시뮬레이션장치(특허출원 제2006-0045407호)는 직접 안전벨트를 착용, 체험할 수 있으나 시트가 고정되어 시트의 후방을 갑자기 들기 때문에 체험 정도가 약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안전벨트의 착용 및 미착용으로 인한 차이를 직접 느낄 수 없어 교육적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탑승자가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차량사고시의 상황을 느낄 수 있어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체험자 스스로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교통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벨트의 착용시와 미착용시의 상황을 비교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100) 상부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레일(200)과, 상기 경사레일(2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경사레일(200)의 상단에서 하강되되,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하강되거나 동시에 하강되도록 마련되는 두 개 이상의 대차(300)와, 상기 대차(300)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대차(300)의 상부에 장착되고, 안전벨트(410)가 마련되어 체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시트(400)와, 상기 대차(300)와 충돌하며 대차(300)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500)와, 상기 경사레일(200)에서 하강되어 상기 스토퍼(500)와 충돌하며 멈춘 대차(300)를 경사레일(200)의 상단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견인수단(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대차(300)는 측면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사레일(200)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지면으로부터 경사각이 각각 다르게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대차(300)는 시트(4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연장형성된 보호벽(310)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대차(300)는 하나의 경사레일(200)에 두 개 이상이 전후방에 일렬 배치되어 마련되되, 전방에 위치된 대차(301)의 후면부에 스토퍼(503)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레일과, 상기 경사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경사레일의 상단에서 하강되도록 마련되는 두 개 이상의 대차와, 상기 대차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대차의 상부에 장착되며,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체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시트와, 상기 경사레일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대차가 충돌되며 시트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체험자가 탑승하여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차량사고시의 상황을 느낄 수 있어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험자 스스로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교통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으로 마련된 경사레일에서 각 대차가 시간차를 두고 하강되거나 동시에 하강되며 체험자가 안전벨트의 미착용시와 착용시의 상황을 비교할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차를 조정할 수 있는 견인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경사레일에서 하강된 대차를 경사레일의 상단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고,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체험자들이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00) 상부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레일(200)과, 상기 경사레일(2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경사레일(200)의 상단에서 하강되되, 시간간격을 두고 하강되거나 동시에 하강 되도록 마련되는 두 개 이상의 대차(300)와, 상기 대차(300)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상기 대차(3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안전벨트(410)가 구비되어 체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시트(400)와, 상기 경사레일(200)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대차(300)와 충돌되며 대차(300)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500)와, 상기 경사레일(200)에서 하강되어 상기 스토퍼(500)에 충돌하며 멈춘 대차(300)를 상기 경사레일(200)의 상단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견인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100)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후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110)를 장착할 수 있는 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홈(101)에 지지다리(110)를 끼우게 되면, 지면으로부터 프레임(100)의 후단부가 들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은 상단부에 바퀴(120)가 마련되어 상기 바퀴(120)에 의해 이동되고, 체험을 위한 장소에 도착한 후 지지다리(110)가 홈(101)에 끼워져 지면에 세워지거나 후단부가 구조물(미도시)에 걸쳐져 후단부에서 지면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지면에 모두 접하는 구조로 구비되되, 상부면은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마련된다.
상기 경사레일(200)은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마련된 프레임(100) 상부에 설치되며, 두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후단부를 지지다리(110)의 길이 차이에 의해 지면으로부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경사레일(200)에서 이동되는 대차(300)의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대차(300)는 경사레일(200)을 따라 직선방향(S)으로 이동되되, 상기 프레임(100)에 마련된 핸들(610)에 의해 하강·상승이 조절되며, 상기 핸들(610)은 견인수단(600)의 일부로서, 상기 견인수단(600)은 경사레일(200)에서 하강되어 스토퍼(500)에 의해 정지된 대차(300)를 경사레일(200)의 상단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윈치(620), 와이어(630), 도르레(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630)는 상기 대차(300)의 일단에 연결되고, 도르레(640)를 거쳐 윈치(620)에 감겨 상기 핸들(61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와이어(630)에 연결된 대차(300)가 경사레일(200)을 따라 경사레일(200)의 상단부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대차(300)의 전방에는 연장형성되거나 고정장착된 보호벽(310)이 더 마련되어 대차(300)가 경사레일(200)을 따라 하강되다 스토퍼(500)에 의해 정지되면 관성에 의해 체험자가 튕겨나갈 수 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체험자가 안전하게 안전벨트의 착용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시트(400)는 체험자가 착석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대차(300)의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대차(300)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경사레일(200)의 전방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체험자가 착용할 수 있는 안전벨트(410)가 구비된다. 이때,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사레일(200)에 마련된 대차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는 안전벨트가 구비되지 않아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하지 않았을 때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경사레일(200)의 전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로서 경사레일(200)에서 하강된 대차(300)와 충돌하며 대차(300)를 멈출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는 프레임(100) 상부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두 개의 경사레일(201, 202)과, 상기 경사레일(201, 20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경사레일(201, 202)의 상단에서 하강되는 대차(301, 302)와, 상기 대차(301, 302)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대차(301, 302)의 상부에 장착되는 시트(401, 402)와, 상기 경사레일(200)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대차(301, 302)와 충돌되며 대차(301, 302)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501, 502)와, 상기 경사레일(201, 202)에서 하강되어 스토퍼(501, 502)에 충돌하며 멈춘 대차(301, 302)를 상기 경사레일(201, 202)의 상단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견인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두 개의 경사레일(201, 202)이 측면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레일(201, 202)에 마련된 대차(301, 302) 중 어느 하나의 대차(302)는 보호벽(310)이 마련되며, 상기 대차(302)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402)에는 안전벨트(410)가 구비되어 체험자가 시트(402)에 착석한 후 안전벨트(410)를 착 용하고 보호벽(310)에 의해 앞으로 튕겨나갈 염려 없이 안전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경사레일(201, 202)은 나란하게 구비되어 핸들(610)의 조작에 의해 각 대차(301, 302)가 경사레일(201, 202)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시간간격을 두고 하강되거나 동시에 하강되도록 마련되되, 각 대차(301, 302)에 마련된 시트(401, 402) 중 어느 하나의 시트에만 안전벨트(410)가 마련되어 안전벨트(410)가 마련된 시트(402)에 착석한 체험자가 안전벨트(410)를 착용하고, 안전벨트가 구비되지 않은 시트(401)에 마네킹을 배치시켜 경사레일(201, 202)을 따라 대차(301, 302)가 하강되다 스토퍼(501, 502)에 의해 멈춰졌을 때 마네킹이 대차(301) 앞에 마련된 보호벽에 부딪히거나 프레임(100) 밖으로 튕겨 나가는 상황을 직접 보고 체험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사고시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하지 않았을 때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는 프레임(100)에 설치된 경사레일(200)과, 상기 경사레일(200)의 상단부에서 하강되되, 앞뒤로 배치되는 두 개의 대차(301, 302)와, 상기 대차(301, 302)의 상부에 장착되는 시트(401, 402)와, 상기 경사레일(200)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스토퍼(500)와, 상기 경사레일(200)에서 하강되어 스토퍼(500)에 충돌하며 멈춘 대차(300)를 경사레일(200)의 상단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견인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대차(301, 302)가 경사레일(20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시간간격을 두고 하강되면 안전벨트(410)가 구비된 시트(402)가 장착된 대차(302)에 체험자가 탑승하고 안전벨트가 구비되지 않은 시트(401)가 장착된 대차(301)에 마네킹이 탑승하여 마네킹이 탑승한 대차(301)가 먼저 출발한 후 체험자가 탑승한 대차(302)가 출발하여 쉽게 비교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대차(301, 302)는 전방에 위치된 대차(301)의 후면부에 스토퍼(503)가 더 마련되어 체험자가 먼저 출발된 대차(301)가 멈춰진 상태를 확인한 후 대차(302)가 하강되다 전면에 배치된 대차(301)의 후면부에 위치한 스토퍼(503)에 의해 멈출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경사레일(200)은 프레임(100) 상부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되, 두 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각 경사레일(201, 202)이 다른 경사각으로 마련되어 대차(301, 302)의 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속도의 차이에 따른 차량사고시 안전벨트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에 마련된 경사레일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에 체험자가 착석하여 대차가 경사레일에서 하강되어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차량사고시의 상황을 느낄 수 있어 안전벨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험자 스스로 안전벨트 착용 등과 같은 교통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하여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 경사레일에서 대차가 시간차를 두고 하강되거나 동시에 하강되도록 마련되고, 체험자가 안전벨트의 착용시와 미착용시의 상황을 비교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윈치에 의해 감겨진 와이어에 연결되는 대차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는 견인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경사레일에서 하강된 대차를 경사레일의 상단부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체험자들이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01 : 홈 110 : 지지다리
120 : 바퀴
200 : 경사레일
300 : 대차 310 : 보호벽
400 : 시트 410 : 안전벨트
500 : 스토퍼
600 : 견인수단 610 : 핸들 620 : 윈치
630 : 와이어 640 : 도르레

Claims (5)

  1.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하지 않았을 때를 비교 체험할 수 있는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00) 상부에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레일(200)과;
    상기 경사레일(2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경사레일(200)의 상단에서 하강되되,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하강되거나 동시에 하강되도록 마련되는 두 개 이상의 대차(300)와;
    상기 대차(300)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대차(300)의 상부에 장착되고, 안전벨트(410)가 마련되어 체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시트(400)와;
    상기 대차(300)와 충돌하며 대차(300)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500)와;
    상기 경사레일(200)에서 하강되어 상기 스토퍼(500)와 충돌하며 멈춘 대차(300)를 경사레일(200)의 상단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견인수단(6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300)는 측면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레일(200)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지면으로부터 경사각이 각각 다르게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300)는 시트(4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연장형성된 보호벽(310)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300)는 하나의 경사레일(200)에 두 개 이상이 전후방에 일렬 배치되어 마련되되, 전방에 위치된 대차(301)의 후면부에 스토퍼(503)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KR1020080066348A 2008-07-09 2008-07-09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KR100983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348A KR100983498B1 (ko) 2008-07-09 2008-07-09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348A KR100983498B1 (ko) 2008-07-09 2008-07-09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218A true KR20100006218A (ko) 2010-01-19
KR100983498B1 KR100983498B1 (ko) 2010-09-30

Family

ID=4181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348A KR100983498B1 (ko) 2008-07-09 2008-07-09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4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51B1 (ko) * 2010-10-13 2011-04-29 신명섭 다목적 궤도설비
KR200455057Y1 (ko) * 2010-04-22 2011-08-12 (주)청아아이앤시 공사 현장용 안전벨트 체험장치
KR101362970B1 (ko) * 2012-01-27 2014-02-26 세화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안전벨트 시뮬레이터
CN105632316A (zh) * 2016-01-08 2016-06-01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摩托车安全头盔警示体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3967A (ja) 1999-12-22 2001-07-06 Shinwa Giken Tokuso Co Ltd 自動車の衝突及び回転によるシートベルト着用効果体験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057Y1 (ko) * 2010-04-22 2011-08-12 (주)청아아이앤시 공사 현장용 안전벨트 체험장치
KR101031651B1 (ko) * 2010-10-13 2011-04-29 신명섭 다목적 궤도설비
KR101362970B1 (ko) * 2012-01-27 2014-02-26 세화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안전벨트 시뮬레이터
CN105632316A (zh) * 2016-01-08 2016-06-01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摩托车安全头盔警示体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498B1 (ko)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079B1 (ko) 충격체험장치
KR100983498B1 (ko) 안전벨트 체험용 장치
US8015926B2 (en) Chair for a chair lift and chair lift
CN205498662U (zh) 具备配戴安全带提醒功能的座椅、使用该座椅的汽车
KR101081690B1 (ko) 자동차 전복사고 체험장치
US20100089278A1 (en) Chair for a Chair Lift and Chair Lift
CN102157088B (zh) 移动式模拟汽车碰撞安全带约束体验装置
CN109910815B (zh) 一种安全带强制佩戴装置
RO133040B1 (ro) Dispozitiv de protecţie pentru copii, ergonomic şi reglabil, ataşabil la un scaun de autoturism
CN102463914A (zh) 汽车防惯性安全椅
JP2013126873A (ja) 衝突衝撃座席前後移動防止装置p3
CN216546156U (zh) 一种轨道滑行小车的稳定装置
KR20090054593A (ko) 자동차 충격 체험용 트레일러
CN211521299U (zh) 一种高安全性客梯
CN109866730B (zh) 一种安全带自动佩戴装置
CN107585656A (zh) 一种冲击吸收辅助安全系统
CN202049629U (zh) 车辆碰撞体验装置
CN205769311U (zh) 一种铁路客车209型转向架弹簧托梁安全钢索装置
CN206141381U (zh) 安全座椅的安全带固定装置
KR101803299B1 (ko) 안전벨트 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CN105438203A (zh) 一种动车组座椅系统
KR20027254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CN210617925U (zh) 一种座椅气动调节装置
CN209739008U (zh) 一种车用防护栏
KR20050032040A (ko) 전동차 전방안전범퍼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