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980A -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980A
KR20100005980A KR1020080066114A KR20080066114A KR20100005980A KR 20100005980 A KR20100005980 A KR 20100005980A KR 1020080066114 A KR1020080066114 A KR 1020080066114A KR 20080066114 A KR20080066114 A KR 20080066114A KR 20100005980 A KR20100005980 A KR 20100005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aterproof sheet
predetermined
greening
flow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 무 김
Original Assignee
성 무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 무 김 filed Critical 성 무 김
Priority to KR1020080066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980A/ko
Publication of KR2010000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02Provisions for preventing vegetational growth, e.g. fungi, algae or mo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을 형성하는 슬라브의 상면에 방수시트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제 1부직포와 소정 형상으로 제공되는 방근판을 적층시킨 다음 상기 방근판 상부에 제 2부직포를 덮은 후 그 주변에 녹화할 면적을 제한할 수 있도록 화단틀을 설치하고, 상기 제 2부직포의 상부에 일정 높이의 토양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씨앗을 뿌리거나 나무를 식재함으로써, 상기 옥상 슬라브의 크랙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건물 내부로 우수가 침투하거나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적층되는 다수의 구성품들을 규격화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직접 재단, 가공 및 시공할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과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수시트, 부직포, 방근판, 화단틀, 토양층

Description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Construction Method of Roof Top Greenization and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건물의 최상부인 옥상을 녹지화하기 위해 화단 등을 옥상에 시공하는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옥상의 슬라브 상면에 방수시트와 제 1 및 제 2부직포와 다수의 방근판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다음 그 상부에 토양층을 형성하여 식물의 씨앗이나 나무 등을 식재하여 건물 옥상의 일정 면적을 녹지화시켜 도심의 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특히 도심의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녹지공간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었는 바, 그 일예로 건물의 옥상에 많은 식물과 나무 등을 식재하여 녹지를 확보할 수 있는 옥상녹화가 제안되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녹화(綠化)란 녹지의 보전을 포함하여 어느 장소를 녹음이 풍성한 구역 으로 조성·정비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한 계획이나 설계도를 추가한 종합적인 것을 말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 설치 목적은 환경·주변 경관의 개선에 중점을 두며, 방풍·방화 등의 방재효용(防災效用)이나, 도시에서는 정신적 효용도 생각하게 되고, 대규모 공사의 결과로 생긴 나지(裸地)의 녹화는 방재효용의 비중을 두고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대상으로는 녹지가 없거나 매우 적어서 녹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이며, 각기 그 대상의 이름을 따서 공장녹화(工場綠化)·도시녹화·법면녹화(法面綠化)·매립지녹화·사막녹화 등으로 불린다.
이와 같이 녹화를 하는 데는 장소·사용식물·방법 등에 관하여 충분히 검토하여야 하고, 사용식물은 성질이 강건한 것, 환경적응성이 큰 것, 왕성하게 성장하는 것, 종묘의 입수가 손쉬운 것, 사용 적기의 폭이 넓은 것들이 적합하며 형상이 아름답고 관상가치가 높을수록 바람직한바, 식재장소(植裁場所)로는 식물이 생육하기 쉽도록 기반을 안정하게 하고 토양개량·방풍·물의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식물의 선정, 지반의 개량, 그리고 그 후의 적절한 관리는 녹화를 성공시키기 위한 필수적 요건이다.
이와 같이 옥상녹화를 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방수성이 확보되어야만 하지만 건물 옥상이 노출방수로 시공된 경우에는 환경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많이 열화된 상태의 방수층일 경우가 많아 이를 보수한 후 비로소 녹화시공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비노출방수로 시공되어진 경우에는 방수층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층(누름콘크리트) 위에 옥상녹화를 설치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고정하중이 증가하고 건물 전체의 붕괴위험이 가중되었다.
또한, 최근까지 실시되어온 옥상의 녹화시공은 방수층의 파손 및 슬라브의 크랙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그로 인해 우수가 스며들거나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어 건물의 방수성이 크게 저하되어 건물의 수명까지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을 형성하는 슬라브의 상면에 방수시트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제 1부직포와 소정 형상으로 제공되는 방근판을 적층시킨 다음 상기 방근판 상부에 제 2부직포를 덮은 후 그 주변에 녹화할 면적을 제한할 수 있도록 화단틀을 설치하고, 상기 제 2부직포의 상부에 일정 높이의 토양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씨앗을 뿌리거나 나무를 식재함으로써, 상기 옥상 슬라브의 크랙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건물 내부로 우수가 침투하거나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적층되는 다수의 구성품들을 규격화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직접 재단, 가공 및 시공할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과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심에 건설되는 건물의 옥상 슬라브에 일정 면적의 화단 등을 조성하여 옥상을 녹화화 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소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어 방수 기능을 물론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옥상의 슬라브에 다수의 방수시트를 연속.반복되게 접착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 의해 설치된 방수시트의 상부를 보호하 며, 일정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 1부직포를 접착 또는 적층되게 설치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 의해 설치된 제 1부직포의 상부에 연속.반복적으로 적층.설치되어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우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 형태로 제공되는 다수의 방근판을 설치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방근판 상부에 일정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 2부직포를 접착 또는 적층되게 설치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옥상 슬라브의 일정 면적에 적층.설치된 방수시트와 제 1부직포, 방근판, 제 2부직포의 테두리 부분에 일정 높이를 갖는 화단틀을 설치하여 소정의 녹지 면적을 설정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에 의해 설치된 화단틀의 내부와 상기 제 4단계에 의해 적층되게 설치된 제 2부직포의 상부에 토양층을 일정 두께로 형성하는 제 6단계; 및 상기 제 6단계에 의해 상기 화단틀 내부에 형성된 토양층에 다양한 종류의 나무를 식재하거나 식물의 씨앗을 뿌리는 제 7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옥상의 일정 면적을 녹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심에 건설되는 건물의 옥상 슬라브에 일정 면적의 화단 등을 조성하여 옥상을 녹화화 하기 위한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옥상의 슬라브에 다수가 연속.반복적으로 긴밀하게 접착되어 방수기능은 물론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 전체를 덮어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긴밀하게 접착되거나 적층되게 설치되는 제 1부직포와; 상기 제 1부직포의 상부 전체에 다수가 연속.반복적으로 배열되어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예방함과 동시에 우수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설 치되는 방근판과; 상기 방근판의 상부 전체를 덮어 이를 보호하고, 일정량의 물을 흡수하여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긴밀하게 접착되거나 적층되게 설치되는 제 2부직포와; 상기 방수시트와 제 1 및 2부직포와 방근판이 옥상의 슬라브에 일정 면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그 테두리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화단틀과; 상기 화단틀의 내부에 적층되게 설치된 제 2부직포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식물의 식재 및 성장이 가능하도록 일정량의 흙과 거름 등이 혼합된 토양층;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옥상 슬라브의 크랙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건물 내부로 우수가 침투하거나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적층되는 다수의 구성품들을 규격화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직접 재단, 가공 및 시공할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과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의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 예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근판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은 제 1 ~ 제 7단계(S10 ~ S70)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방수시트(10)와 제 1 및 제 2부직포(20)(40), 방근판(30), 화단틀(50) 및 토양층(6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제 1단계(S10)는 옥상 슬라브(1)정 면적에 방수시트(10)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옥상의 슬라브(1)결하게 청소를 한 다음 소정 두께 및 면적으로 제공되는 다수의 방수시트(10) 각각 접착제를 고르게 도포한 다음 상기 슬라브(1)에 연속.배열되도록 긴밀하게 접착시켜 방수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건물에 활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단계(S20)는 상기 방수시트(10)의 상부에 제 1부직포(20)를 덮어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단계(S10)에 의해 슬라브(1)에 긴밀하게 접착된 다수의 방수시트(10)를 보호하고, 일정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 및 면적으로 제공되는 제 1부직포(2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방수시트(10) 상부에 긴밀하게 접착시키거나, 적층되게 덮은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3단계(S30)는 상기 제 1부직포(20)의 상부에 방근판(30)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단계(S20)에 의해 설치된 제 1부직포(20)의 상부에 소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다수의 방근판(30)을 연속.반복적으로 견고하게 설치하여 상기 토양층(6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토양층(60)을 투 과한 우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4단계(S40)는 상기 방근판(30)의 상부에 제 2부직포(40)를 덮어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3단계(S30)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방근판(30)을 보호하고, 일정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 및 면적으로 제공되는 제 2부직포(4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방근판(30)의 상부에 긴밀하게 접착시키거나, 적층되게 덮은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5단계(S50)는 화단틀(50)을 형성 또는 설치하여 소정의 녹지면적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정 면적의 슬라브(1) 상에 상기 방수시트(10), 제 1부직포(20), 방근판(30) 및 제 2부직포(40)가 연속.배열되어 적층된 상태에서 그 테두리 부분에 일정 높이를 갖는 벽체 형태의 화단틀(50)을 설치하여 녹지 면적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6단계(S60)는 나무나 잔디 등의 식물이 식재할 수 있도록 토양층(60)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5단계(S50)에 의해 설치된 화단틀(50)의 내부와 상기 제 4단계(S40)에 의해 적층되게 설치된 제 2부직포(40)의 상부에 흙과 모래 및 거름 등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다음 상기 화단틀(50) 내에서 일정 두께가 되게 충진시켜 토양층(60)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7단계(S70)는 옥상을 녹지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 6단계에 의해 충진된 토양층(60)에 나무를 식재하거나 식물의 씨앗을 뿌린 다음 이를 잘 관리하여 옥상이 녹지화될 수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옥상 슬라브에 설치되는 시공구조의 방 수시트(10)는 연질의 합성고무를 일정 두께 및 면적으로 가공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그 하면에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제를 고르게 도포한 후 옥상 슬라브 상면에 연속적으로 긴밀하게 접착시켜 줌으로써, 기존 옥상에 형성된 방수층을 보강함과 동시에 별도의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건물 내부로 우수가 스며들거나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및 제 2부직포(20)(4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수지(PE)를 소정 면적 및 두께로 형성하되, 롤형태로 제공되어 필요시 현장에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면 되는데, 재단된 제 1부직포(20)는 상기 방수시트(10)의 상부에 적층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부직포(40)는 상기 방근판(3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각각 방수시트(10)와 방근판(30)을 보호하며 적당량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에서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방근판(30)은 합성수지 재질을 소정 형태로 사출 성형하여 다수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부직포(20)의 상부에 다수가 연속적으로 적층되게 설치되어 식물의 뿌리가 활착하지 못하도록 하고, 우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여 슬라브의 파손 및 누수발생을 예방함으로써 건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근판(30)의 상부는 배수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배수공(3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하부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34)에는 담수홈(36)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담수홈(36)에 일정량의 물이 담겨져 필요시 식물의 뿌리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단틀(50)은 녹지 면적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방수시트(10)와 제 1 및 제 2부직포(20)(40)와 방근판(30)의 테두리에 벽체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단틀(50)은 유로폼(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일정 높이의 콘크리트 옹벽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목재를 판체 형태로 가공하거나 금속판체를 사각형태로 형성하여 슬라브에 견고하게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토양층(60)은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흙과 모래 및 거름 등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화단틀(50)의 내부에 충진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토양층(60)은 식물의 뿌리가 충분히 활착할 수 있는 두께가 되도록 충진시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옥상의 화단 또는 녹지 공간은 이용자에게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충분한 산소량을 공급하여 업무능률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의 시공공정을 도시해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근판을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수시트 20, 40 : 제 1 및 제 2부직포
30 : 방근판 32 : 배수공
34 : 돌출부 36 : 담수홈
50 : 화단틀 60 : 토양층
S10 ~ S70 : 제 1단계 ~ 제 7단계

Claims (3)

  1. 소정 면적 및 두께로 제공되어 방수 기능을 물론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옥상의 슬라브(1)에 다수의 방수시트(10)를 연속.반복되게 접착하는 제 1단계(S10)와;
    상기 제 1단계(S10)에 의해 설치된 방수시트(10)의 상부를 보호하며, 일정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 1부직포(20)를 접착 또는 적층되게 설치하는 제 2단계(S20)와;
    상기 제 2단계(S20)에 의해 설치된 제 1부직포(20)의 상부에 연속.반복적으로 적층.설치되어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우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 형태로 제공되는 다수의 방근판(30)을 설치하는 제 3단계(S30)와;
    상기 제 3단계(S30)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방근판(30) 상부에 일정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 2부직포(40)를 접착 또는 적층되게 설치하는 제 4단계(S40)와;
    상기 옥상 슬라브(1)의 일정 면적에 적층.설치된 방수시트(10)와 제 1부직포(20), 방근판(30), 제 2부직포(30)의 테두리 부분에 일정 높이를 갖는 화단틀(50)을 설치하여 소정의 녹지 면적을 설정하는 제 5단계(S50)와;
    상기 제 5단계(S50)에 의해 설치된 화단틀(50)의 내부와 상기 제 4단계(S40)에 의해 적층되게 설치된 제 2부직포(40)의 상부에 토양층(60)을 일정 두께로 형성 하는 제 6단계(S60); 및
    상기 제 6단계(S60)에 의해 상기 화단틀(50) 내부에 형성된 토양층(60)에 다양한 종류의 나무를 식재하거나 식물의 씨앗을 뿌리는 제 7단계(S70);를 포함하여 상기 옥상의 일정 면적을 녹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2. 도심에 건설되는 건물의 옥상 슬라브에 일정 면적의 화단 등을 조성하여 옥상을 녹화화 하기 위한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옥상의 슬라브(1)에 다수가 연속.반복적으로 긴밀하게 접착되어 방수기능은 물론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방수시트(10)와;
    상기 방수시트(10)의 상부 전체를 덮어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긴밀하게 접착되거나 적층되게 설치되는 제 1부직포(20)와;
    상기 제 1부직포(20)의 상부 전체에 다수가 연속.반복적으로 배열되어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는 것을 예방함과 동시에 우수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방근판(30)과;
    상기 방근판(30)의 상부 전체를 덮어 이를 보호하고, 일정량의 물을 흡수하여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긴밀하게 접착되거나 적층되게 설치되는 제 2부직포(40)와;
    상기 방수시트(10)와 제 1 및 2부직포(20)(40)와 방근판(30)이 옥상의 슬라브(1)에 일정 면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그 테두리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화단틀(50)과;
    상기 화단틀(50)의 내부에 적층되게 설치된 제 2부직포(40)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식물의 식재 및 성장이 가능하도록 일정량의 흙과 거름 등이 혼합된 토양층(6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근판(30)의 상부는 배수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배수공(3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하부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34)에는 담수홈(36)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담수홈(36)에 일정량의 물이 담겨져 필요시 식물의 뿌리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구조.
KR1020080066114A 2008-07-08 2008-07-08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100005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114A KR20100005980A (ko) 2008-07-08 2008-07-08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114A KR20100005980A (ko) 2008-07-08 2008-07-08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980A true KR20100005980A (ko) 2010-01-18

Family

ID=4181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114A KR20100005980A (ko) 2008-07-08 2008-07-08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98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82B1 (ko) * 2011-08-03 2012-05-15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수,방근,배수 기능을 일체화한 하이브리드 방근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53863B1 (ko) * 2010-04-02 2012-06-18 어번닉스 주식회사 건물의 녹화구조물
KR101523558B1 (ko) * 2014-12-09 2015-05-28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CN105756295A (zh) * 2016-03-04 2016-07-13 同济大学 一种基于火山石的城市雨水资源化再利用系统
CN109006044A (zh) * 2018-08-07 2018-12-18 陈培高 一种用于建筑物顶面绿化的建筑结构
CN111527930A (zh) * 2020-05-27 2020-08-14 周磊 一种园林绿地改造施工方法
KR102544952B1 (ko) * 2022-12-29 2023-06-20 김남섭 계단식 사면녹화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63B1 (ko) * 2010-04-02 2012-06-18 어번닉스 주식회사 건물의 녹화구조물
KR101145882B1 (ko) * 2011-08-03 2012-05-15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수,방근,배수 기능을 일체화한 하이브리드 방근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23558B1 (ko) * 2014-12-09 2015-05-28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CN105756295A (zh) * 2016-03-04 2016-07-13 同济大学 一种基于火山石的城市雨水资源化再利用系统
CN105756295B (zh) * 2016-03-04 2018-05-08 同济大学 一种基于火山石的城市雨水资源化再利用系统
CN109006044A (zh) * 2018-08-07 2018-12-18 陈培高 一种用于建筑物顶面绿化的建筑结构
CN109006044B (zh) * 2018-08-07 2020-09-22 安徽濠梁生态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顶面绿化的建筑结构
CN111527930A (zh) * 2020-05-27 2020-08-14 周磊 一种园林绿地改造施工方法
CN111527930B (zh) * 2020-05-27 2021-12-07 中建广厦(福建)建设有限公司 一种园林绿地改造施工方法
KR102544952B1 (ko) * 2022-12-29 2023-06-20 김남섭 계단식 사면녹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5980A (ko)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
JP2004503257A (ja) 好ましい縁システムを備えたパネルを有したモジュール式緑化屋上
CN106013624B (zh) 一种基于植草板改造的绿色海绵屋顶的技术方法
KR20100116283A (ko) 건물의 옥상녹화시스템
JP4801369B2 (ja) 植栽装置と給・排水基盤。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JP4589505B2 (ja) 屋上緑化用の保水用パッドの製造方法、屋上緑化用の保水用パッド、植生基盤および屋上の緑化工法
KR101388151B1 (ko)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CN202280212U (zh) 泄水板及屋顶绿化层结构
EP3253932B1 (en) Structural elements for naturalization of horizontal and inclined sealed surfaces
CN100552164C (zh) 一种佛甲草屋顶绿化的种植方法
DE60006802T2 (de) Module zum realisieren einer extensiven vegetation auf dächern und terrassen sowie anordnung und verfahren mit verwendung derartiger module
JP5440980B2 (ja) 建造物表面緑化工法
KR20090117453A (ko)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JP2002194850A (ja) 緑化ブロックおよび緑化構造
KR20010065760A (ko)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90140370A (ko)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KR101197718B1 (ko) 고정다트가 형성된 조경용 쏘일팩 및 그 쏘일팩을 이용한 방수 방근형 조경 시공 방법
KR101238382B1 (ko) 옥상의 정원 및 보온용 배지판
EP4063581B1 (en) Modular unit for a green roof
JP2001078561A (ja) 緑化可能な屋根
JP2002233234A (ja) 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及び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並設物
GR1009434B (el) Δομοστοιχειο εμφυτευσης πρασινου για την εγκατασταση φυτεμενου δωματος και μεθοδος τοποθετησης του
JP3090799U (ja) 傾斜地緑化に使用する敷設用桟木
JP2003158914A (ja) 屋上等に敷設する天然芝の植栽用セット及びその植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