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558B1 -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558B1
KR101523558B1 KR1020140175863A KR20140175863A KR101523558B1 KR 101523558 B1 KR101523558 B1 KR 101523558B1 KR 1020140175863 A KR1020140175863 A KR 1020140175863A KR 20140175863 A KR20140175863 A KR 20140175863A KR 101523558 B1 KR101523558 B1 KR 10152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layer
weight
ceramic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엽
이주원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55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4Horticultural earth from pea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의 하중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방수처리된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안밖에 형성된 인공지반에 인접한 것끼리 서로 고정 연되어 토양의 배출을 방지하고 우수는 저장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배수층과,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단열 및 방음의 효과를 갖도록 구비되는 토양층과, 상기 토양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비와 바람에 의해 토양층이 유실 및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장마철에 식재된 식물의 쓰러지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토양보호층과, 상기 토양층에 식재되는 것에 의해 토양보호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식물의 식생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Lightweight green roof system that is not managed}
본 발명은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안밖에 형성된 인공지반을 활용하여 도심의 자투리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는 옥상 녹화시스템을 경량형으로 설치됨에 따른 건축물의 하중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대부분의 도시는 생활환경 및 자연환경이 악화되었으며, 해마다 도심권에는 많은 건축물 및 조형물이 세워지고, 이러한 개발로 인하여 도시의 자연녹지는 현저하게 감소되고 파괴되어 도시 미관을 해치고,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도시민의 정서적 안정감을 해치고 있다,
따라서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고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고자 도시에 녹지를 재조성하고 기존의 녹지를 보존하는 일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건물의 옥상에 조경하는 녹화시설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옥상 녹화공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에 녹화시설을 조경하는 옥상 녹화시스템은 건물에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도시민에게 부족한 녹지공간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상기 녹지공간에 각종 식재를 조성하여 곤충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생태공간을 제공하고, 또한 사람들에게는 휴식공간을 조성하고, 건물의 미관을 살릴 수 있다.
또한, 옥상 녹화는 도시의 열섬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 및 차열이나 단열로 인해 기존의 비녹화 지붕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외기온도가 전달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건물 냉ㆍ난방 에너지 절약에 상당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빗물의 저수 기능, 기온의 조정, 공기 정화, 소음 감소의 효과를 가져올 수 다각적인 연구 및 녹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의 옥상 녹화시스템에서 식재되는 세덤류(Sedum spp.)는 보통 초장(草長)이 낮은 다육질의 식물로 강한 내건성(耐乾性)을 갖고 있어, 다른 식물이 생육하지 못하는 척박하고 건조한 토양에서도 뿌리를 내려 생육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근들어 많이 식재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 일례로 특허출원번호 10-2000-0038462호에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한 옥상 녹화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한 옥상 녹화 시스템은, 지붕상에 단열제와 다수개의 각재를 고정시키고 각재 상부에 루바를 거취시키되 단열제와 루바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며 루바 상단부에 방수쉬트를 설치하고 방수쉬트 상부에 세덤 블럭을 고정시키고 루바와 세덤 블럭을 관통되게 환기구를 고정 설치하며 세덤 블럭내에 세덤을 조성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한 옥상 녹화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붕상에 단열제, 각재와 상기 각재의 상단부에 루바를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루바의 상면에 방수쉬트를 설치한 후 상기 방수쉬트 상면에 세덤블럭을 설치하여 세덤을 식재하도록 구성하고 있어, 시스템이 설치됨에 따른 중량형으로 설치될 수 밖에 없어 결국 지붕에 하중이 가해져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한 옥상 녹화 시스템은 많은 구성 부품 즉, 지붕상에 구비되는 단열제와, 상기 단열재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각재와 상기 각재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루바 및 상기 루바의 상면에 설치되는 방수쉬트 그리고 방수쉬트 상면에 설치되는 세덤블럭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후관리 및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 10-2000-0038462호, 출원일 2000년07월06일 발명의 명칭: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한 옥상 녹화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안밖에 형성된 인공지반을 활용하여 도심의 자투리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는 옥상 녹화시스템을 경량형으로 설치됨에 따른 건축물의 하중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에 있어서, 방수처리된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안밖에 형성된 인공지반에 인접한 것끼리 서로 고정 연되어 토양의 배출을 방지하고 우수는 저장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배수층과,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단열 및 방음의 효과를 갖도록 구비되는 토양층과, 상기 토양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비와 바람에 의해 토양층이 유실 및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장마철에 식재된 식물의 쓰러지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토양보호층과, 상기 토양층에 식재되는 것에 의해 토양보호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식물의 식생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토양층은, 배수층의 상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단열 및 방음의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의 세라믹토양재와 30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코코피트가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토양보호층은, 황토분말 40중량부 내지 80중량부와 점토분말 20중량부 내지 60중량부와, 수분 15중량부 내지 20중량부와, 규산나트륨 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와, 제지슬러지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구성된 혼합물을 이송컨베이어와 성형부 그리고 소성로를 포함한 세라믹멀칭석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세라믹멀칭석으로 구성되되, 상기 세라믹멀칭석은 장마철에 비를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고 아울러 장마철 많은 비로 인해 토양층이 토양보호층 위로 올라오는 역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와 바람에 의해 토양층이 유실 및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5mm 이상 20mm 이하의 크기로 제조되어 10mm~25mm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에 따르면,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안밖에 형성된 인공지반을 활용하여 도심의 자투리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는 옥상 녹화시스템이 경량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인해 건축물의 하중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배제시킬 수 있는 효과 있고, 토양층과 토양보호층에 의해 비가 올 경우 수질을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이 옥상에 설치된 실험최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이 옥상에 설치된 실험 3개월이 지난 6월의 옥상녹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이 옥상에 설치된 실험 5개월이 지난 8월의 옥상녹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이 옥상에 설치된 5는 실험 마지막 달인 10월의 옥상녹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은 방수처리된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안밖에 형성된 인공지반에 경량형으로 설치됨에 따른 건축물의 하중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100)은, 방수처리된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안밖에 형성된 인공지반에 인접한 것끼리 서로 고정 연되어 토양의 배출을 방지하고 우수는 저장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배수층(110)과, 상기 배수층(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세덤류의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단열 및 방음의 효과를 갖도록 구비되는 토양층(130)과, 상기 토양층(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비와 바람에 의해 토양층(130)이 유실 및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장마철에 식재된 세덤류의 쓰러짐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토양보호층(150)과, 상기 토양층(130)에 식재되는 것에 의해 토양보호층(1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세덤류의 식생층(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100)의 배수층(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토양층(130)의 토양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배수처리가 가능하면서도 토양층(130)으로 수분을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배수층(110)은 방수처리된 건물의 옥상 바닥면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홈(111a)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저장홈은 띠형상의 연결편(111b)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인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가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수판(111)과, 상기 배수판(111) 상부에 설치되어 토양층(130) 형성시 토양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아울러 배수판(111)의 저장홈에 저장된 물을 토양층(130)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부직포로 구성된 투수시트(11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배수판(111)은 공지된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토양층(130)은 배수층(110)의 상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단열 및 방음의 효율을 갖을 뿐만 아니라 잡초 및 병충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토양층(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층(110)의 상부에 세덤류의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단열 및 방음의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의 세라믹토양재(131)와 30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코코피트(133)가 혼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토양층(130)은 시간이 경과 하더라도 딱딱하게 굳는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추가적인 경운이나 객토가 필요 없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한 세라믹토양재(131)와 코코피트(133)로 구성된 토양층(130)은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고 아울러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을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60mm~100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세라믹토양재(131)는 코코피트와 혼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2mm 이상 15mm 이하의 크기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세라믹토양재(131)가 2mm이하의 크기일 경우에는 배수층(110)의 투수시트(113)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고, 15mm 이상의 크기일 경우에는 코코피트(133)와 섞이는 부분이 적어지므로 상기한 2mm 이상 15mm 이하의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세라믹토양재(131)는 후술할 토양보호층(150)의 세라믹멀칭석과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파쇄기로 파쇄되어 구비되며, 자세한 성분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한 토양보호층(150)은 상기 토양층(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비와 바람에 의해 토양층(130)이 유실 및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장마철에 식재된 식물의 하자(쓰러짐)를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토양보호층(150)은 80~120메쉬(mesh)의 황토분말 4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및 점토분말 20중량부 내지 60중량부와, 수분 15중량부 내지 20중량부와, 규산나트륨 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와, 제지슬러지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구성된 혼합물을 이송컨베이어와 성형부 그리고 750~1,250℃의 온도를 갖는 소성로를 포함한 세라믹멀칭석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세라믹멀칭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토양보호층(150)의 세라믹멀칭석은 장마철에 비를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고 아울러 역전현상을 방지 즉, 장마철 많은 비로 인해 토양층(130)이 토양보호층(150) 위로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와 바람에 의해 토양층이 유실 및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5mm 이상 20mm 이하의 크기로 제조되어 10mm~25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규산나트륨은 황토분말과 점토분말 그리고 제지슬러지가 서로 융화력이 있게 결합되도록 접착제 역할을 함과 아울러 세라믹 멀칭석으로 성형시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세라믹멀칭석은 제지슬러지가 750~1,250℃의 온도를 갖는 소성로에서 소성되므로 인해 공간이 형성되어 기공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제지슬러지를 과다하게 혼합할 경우 강도가 저하되므로 상기한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토양보호층(150)의 세라믹멀칭석 구성물에서 제지슬러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제지슬러지 대신에 숯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을 방수처리된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다수의 배수층(110) 배수판(111)을 서로 고정되게 연결시킨 후 상기 배수판(111)의 상면에 투수시트(113)인 부직포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판(111)의 상면에 투수시트(113)인 부직포를 설치되면, 4mm 크기의 70중량부 세라믹토양재(131)와, 30중량부 코코피트(133)를 혼합하여 상기 투수시트(113) 상면에 80mm의 두께를 갖도록 투입시켜 토양층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토양층(130)이 형성되면, 세덤류의 섬기린초를 식재하여 식생층(17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세덤류의 섬기린초가 토양층(130)에 식재되어 식생층(170)이 형성되면, 비와 바람에 의해 토양층(130)이 유실 및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장마철에 식재된 식물의 쓰러짐를 방지가능하도록 100메쉬(mesh)의 황토분말 60중량부와, 점토분말 40중량부와, 수분 15중량부와, 규산나트륨 0.3중량부와, 분말 형태의 제지슬러지 5중량부로 구성되어 세라믹멀칭석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7mm 크기의 세라믹멀칭석을 투입시켜 토양보호층(15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은 간단한 시공으로 설치기간이 짧고 아울러 경량화로 건축물에 하중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추후에는 자연우수만으로도 세덤류의 생장이 가능하므로 유지관리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5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을 옥상에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옥상녹화와 본 발명의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이 적용된 토양 등의 식생변화를 관찰하고자 6개의 비교대조군을 옥상에 비교대조군당 3.0㎡의 면적으로 2014년3월부터 2014년10까지 7개월간 실험한 것이다.
실험대조군

구분

혼합비율
세라믹
멀칭석

식재
세라믹
토양재
코코피트 상토 부엽토 화산석/세라믹멀칭석 세덤
실험1 - 100% - - 세라믹멀칭석 세덤
실험2 30% 70% - - 세라믹멀칭석 세덤
실험3 50% 50% - - 세라믹멀칭석 세덤
실험4 70% 30% - - 세라믹멀칭석 세덤
실험5 40% - 40% 20% - 잔디
실험6 40% - 40% 20% 세라믹멀칭석 세덤
위 실험예 1에서는 ㎡당 세덤류를 25주 식재하여 실험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 세덤류를 50주로 촘촘하게 식재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옥상녹화 각 실험분별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1에는 토양층을 코코피트만을 형성하였고, 실험 2에는 토양층을 세라믹토양재30%와 코코피트70%롤 혼합하여 형성하였으며, 실험 3에는 토양층을 세라믹토양재50%와 코코피트50%롤 혼합하여 형성하였으며, 실험 4에는 토양층을 세라믹토양재70%와 코코피트30%롤 혼합하여 형성하였으며, 실험 5에는 토양층을 세라믹토양재40%와 상토40%와 부엽토20%를 혼합하여 형성하였으며, 그리고 마지막 실험 6에는 토양층을 세라믹토양재40%와 상토40%와 부엽토20%를 혼합하여 형성하였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실험 3개월이 지난 6월의 옥상녹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실험 1~4의 경우 뿌리가 정착하여 2배로 성장하였으나 잡초가 일부 발생하였고, 실험 5는 잡초의 개체수가 급증하였으며, 실험 6에서는 세덤이 5배로 성장하였으나 동시에 잡초의 성장도 촉진시켜 잡초의 개체수가 증가함을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도 4는 실험 5개월이 지난 8월의 옥상녹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실험 1~4의 경우 식물성장이 고르게 나타났지만, 실험 4에서 실험 1로 갈수록 세덤 잎의 변색이 발생되었고, 실험 5의 경우 설치면적에 70% 이상 잡초가 자랐으며, 실험 6은 목표식물인 세덤이 잘자라긴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잡초가 무성하게 함께 자라나 관리가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장마철 후 실험 1의 일부에서는 토양경화 즉,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첨부된 도면 5는 실험 마지막 달인 10월의 옥상녹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 1~4의 경우 식물성장이 고르게 나타났지만, 실험 3 및 실험 4는 계절변화로 인해 잡초가 고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바, 실험결과 세라믹토양재를 혼합한 토양층에서 식생이 우수하였으며, 세라믹토양재가 토양층의 통기성을 좋게하여 토양이 딱딱하게 굳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뿌리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며, 보수성과 보비력 및 보온성이 좋아짐을 할 수 있다.
결국,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토양층에 세라믹토양재를 50% 이상 섞어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110 ; 배수층
130 ; 토양층
150 ; 토양보호층
170 ; 식생층

Claims (4)

  1.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에 있어서,
    방수처리된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안밖에 형성된 인공지반에 인접한 것끼리 서로 고정 연되어 토양의 배출을 방지하고 우수는 저장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배수층(110)과;
    상기 배수층(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단열 및 방음의 효과를 갖도록 구비되는 토양층(130)과;
    상기 토양층(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비와 바람에 의해 토양층(130)이 유실 및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장마철에 식재된 식물의 쓰러지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토양보호층(150)과;
    상기 토양층(130)에 식재되는 것에 의해 토양보호층(1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식물의 식생층(170)을 포함하되,
    상기 토양층(130)은, 배수층(110)의 상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단열 및 방음의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의 세라믹토양재(131)와 30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코코피트(133)가 혼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토양보호층(150)은, 황토분말 40중량부 내지 80중량부와, 점토분말 20중량부 내지 60중량부와, 수분 15중량부 내지 20중량부와, 규산나트륨 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와, 제지슬러지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구성된 혼합물을 이송컨베이어와 성형부 그리고 소성로를 포함한 세라믹멀칭석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세라믹멀칭석으로 구성되되, 상기 세라믹멀칭석은 장마철에 비를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고 아울러 장마철 많은 비로 인해 토양층(130)이 토양보호층(150) 위로 올라오는 역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와 바람에 의해 토양층이 유실 및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5mm 이상 20mm 이하의 크기로 제조되어 10mm~25mm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토양재(131)와 코코피트(133)로 구성된 토양층(130)은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60mm~100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세라믹토양재(131)는 코코피트(133)와 혼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2mm 이상 15mm 이하의 크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4. 삭제
KR1020140175863A 2014-12-09 2014-12-09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52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863A KR101523558B1 (ko) 2014-12-09 2014-12-09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863A KR101523558B1 (ko) 2014-12-09 2014-12-09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558B1 true KR101523558B1 (ko) 2015-05-28

Family

ID=5339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86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3558B1 (ko) 2014-12-09 2014-12-09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5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1974A (zh) * 2016-07-06 2016-09-21 苏文藏 带有植被种植层的市政排水沟
KR101986375B1 (ko) * 2018-06-04 2019-06-05 장윤실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980A (ko) * 2008-07-08 2010-01-18 성 무 김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110062730A (ko) * 2009-12-04 2011-06-1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980A (ko) * 2008-07-08 2010-01-18 성 무 김 옥상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110062730A (ko) * 2009-12-04 2011-06-1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1974A (zh) * 2016-07-06 2016-09-21 苏文藏 带有植被种植层的市政排水沟
KR101986375B1 (ko) * 2018-06-04 2019-06-05 장윤실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6586A (en) Box for cultivating plant
Jim 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exploration of the origins of green roofs
CN101691822B (zh) 种植养殖循环经济日光冬暖温室
KR20160122025A (ko) 식물생장용 토양콘크리트 제조방법
CN1699700A (zh) 多功能绿化植物毯
CN107858888A (zh) 一种中空分层式轻质果壳混凝土植生构件及其构建方法
CN207911503U (zh) 一种采用建筑垃圾种植佛甲草的屋顶绿化结构
CN205357219U (zh) 一种带储水功能的免维护建筑生态草皮
KR101523558B1 (ko)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CN101126261A (zh) 屋顶生态隔热板
CN205171302U (zh) 一种适用于古树保护与大乔木移植的新型园林铺地结构
CN104912261B (zh) 一种建筑屋面的植物生态隔热方法
CN204343247U (zh) 一种利于动物栖息的植生型多孔混凝土直壁式护岸
KR101418739B1 (ko) 이끼를 포함한 비탈면 녹화용 혼합토양
KR101186843B1 (ko) 이끼시트 제조방법
JP4164649B2 (ja) 良環境醸成外壁構造
CN104358340A (zh) 垃圾再生绿化砖
CN209824725U (zh) 一种采用建筑垃圾的屋顶绿化草种植系统
CN114128556A (zh) 生长床及其制作方法、边坡修护方法
CN202722081U (zh) 铺地锦竹草草坪
CN102535762A (zh) 一种基于生物保护的屋顶绿化的方法
Flores-Ramírez et al. Construction of Technosols for green roofs and vertical green system
CN100552164C (zh) 一种佛甲草屋顶绿化的种植方法
CN105493946A (zh) 一种免养护、自动循环生长的节能系统的屋顶绿化方法
KR102557918B1 (ko)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비회수식 식생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S14-X000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405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52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