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375B1 -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375B1
KR101986375B1 KR1020180064457A KR20180064457A KR101986375B1 KR 101986375 B1 KR101986375 B1 KR 101986375B1 KR 1020180064457 A KR1020180064457 A KR 1020180064457A KR 20180064457 A KR20180064457 A KR 20180064457A KR 101986375 B1 KR101986375 B1 KR 101986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layer
primer
forming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철
최우근
장윤실
Original Assignee
장윤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실 filed Critical 장윤실
Priority to KR102018006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06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방수 시공을 수행하고자 하는 건축물 옥상의 표면에 단열재를 적층 배치하는 단열재 배치단계(S10);와, 상기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 상부에 위치되는 방수층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단열재의 상부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 경화하여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0);와, 상기 프라이머 층의 상부로 고분자 탄성 도료를 도포 경화시켜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S30);와, 탄성 도료와 알루미늄 분말 및 UV 안정제와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한 혼합 도료를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도포 경화시켜 반사층을 형성하는 반사층 형성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방수층의 상부에 직사광선을 반사시키는 반사층을 형성하여 방수층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반사시켜 자외선에 의한 방수층의 노화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방수층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사광선으로 인한 방수층의 과열이나 심각한 기온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방수층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화층을 통해 방수층의 변형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할 수 있어 방수층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Rooftop waterproofing method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층의 상부에 직사광선을 반사시키는 반사층을 형성하여 방수층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반사시켜 자외선에 의한 방수층의 노화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방수층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사광선으로 인한 방수층의 과열이나 심각한 기온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방수층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및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설계에는 가혹한 자연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이 견딜 수 있는 기술을 접목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사계절이 뚜렷하기 때문에 온도차이가 많은 환경 속에서는 건축물의 변형 및 이에 따른 균열과 누수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균열이나 누수가 발생되는 건축물이나 새로 신축되는 건축물의 옥상이나 외벽에는 우수한 단열 및 방수성능을 갖는 방수 시공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 옥상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그 프라이머 층 위에 방수 성능을 갖는 방수 도료를 도포 경화하여 방수층을 형성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방수층은 기온변화에 쉽게 변형되면서 방수층의 부풀음, 균열, 박리, 파단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옥상에 시공되는 방수층은 직사광선에 장기간 노출되면서 온도변화 및 과열에 의해 더욱 쉽게 균열, 박리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방수층의 사용수명이 다소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특히 우리나라는 기후변화가 뚜렷한 사계절을 갖는 특성상 상기와 같은 방수층의 변형이 더욱 쉽게 유도되므로 더욱 방수층의 사용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수층은 직사광선에 그대로 노출되는 특성상 자외선에 의한 노후가 신속하게 진행되어 더욱 방수층 수명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방수층의 상부에 직사광선을 반사시키는 반사층을 형성하여 방수층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반사시켜 자외선에 의한 방수층의 노화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방수층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사광선으로 인한 방수층의 과열이나 심각한 기온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방수층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강화층을 통해 방수층의 변형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할 수 있어 방수층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은 방수 시공을 수행하고자 하는 건축물 옥상의 표면에 단열재를 적층 배치하는 단열재 배치단계(S10);와, 상기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 상부에 위치되는 방수층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단열재의 상부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 경화하여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0);와, 상기 프라이머 층의 상부로 고분자 탄성 도료를 도포 경화시켜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S30);와, 탄성 도료와 알루미늄 분말 및 UV 안정제와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한 혼합 도료를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도포 경화시켜 반사층을 형성하는 반사층 형성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탄소 섬유가 함유된 탄성 도료를 도포 경화하여 상기 방수층과 반사층 사이에 강화층을 형성하는 강화층 형성단계(S50);를 더 포함하며,
내부에 빈 공간부를 가지며, 하부 가장자리와 상부 중심에는 거칠기가 형성되는 결속 방음부재를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다수 적층 배치시키는 결속 방음단계(S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속 방음부재의 하부는 상기 방수층과 마찰되고 상부는 상기 강화층과 마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에 의하면, 방수층의 상부에 직사광선을 반사시키는 반사층을 형성하여 방수층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반사시켜 자외선에 의한 방수층의 노화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방수층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사광선으로 인한 방수층의 과열이나 심각한 기온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방수층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화층을 통해 방수층의 변형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할 수 있어 방수층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반사층 및 강화층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의 블럭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반사층 및 강화층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100)은 단열재 배치단계(S10)와, 프라이머 도포단계(S20)와, 방수층 형성단계(S30)와, 반사층 형성단계(S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재 배치단계(S10)는 방수 시공을 수행하고자 하는 건축물 옥상의 표면에 단열재(10)를 적층 배치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10)는 통상의 부직포, 발포 세라믹 등의 소재로 제작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0)는 상기 단열재(10)와 상기 단열재(10) 상부에 위치되는 후설될 방수층(3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 경화시키는 공정이다.
이러한, 프라이머의 도포 공정은 건축물의 방수 시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공정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 형성단계(S30)는 상기 프라이머 층(20)의 상부로 고분자 탄성 도료를 도포 경화시켜 방수층(3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탄성 도료로는 우수한 탄성력을 갖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도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원료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과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층 형성단계(S40)는 탄성 도료와 알루미늄 분말 및 UV 안정제와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한 혼합 도료를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도포 경화시켜 반사층(4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 도료는 탄성 도료와 알루미늄 분말 및 첨가제가 8 : 1.5 : 0.5의 중량 비율로 혼합 조성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옥상은 항상 직사광선에 노출되는데 이러한 직사광선은 건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건물의 옥상에는 직사광선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원이 건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옥상의 방수시공을 수행하면서 단열재를 사용하게 되지만 상기한 단열재만으로는 직사광선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곤란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직사광선은 옥상에 시공되는 방수층을 노화시켜 방수층의 균열 및 기능의 저하를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100)은 방수층(30)의 상부에 상기 반사층(40)을 형성하여 상기 반사층(40)에 포함되는 알루미늄을 통해 70~80%의 직사광선을 반사시킴으로 직사광선의 열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직사광선으로 인한 상기 방수층(30)의 노화 및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여 상기 방수층(30)의 우수한 방수기능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반사층(40)에 포함되는 UV 안정제와 안료를 통해 직사광선의 자외선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상기 반사층(40)의 기능(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100)을 통해 시공되는 옥상 방수의 사용수명을 대폭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30)의 상부에 탄소 섬유가 함유된 탄성 도료를 도포 경화하여 상기 방수층(30)과 반사층(40) 사이에 강화층(50)을 형성하는 강화층 형성단계(S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고분자 탄성 도료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상기 방수층(30)은 장기간 기온변화(계절변화 및 낮과 밤의 온도차)에 노출되면 쉽게 균열 되거나 부풀어올라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부풀어 오름은 상기 반사층(40)의 변형을 유도하여 상기 반사층(40)의 기능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소 섬유를 매개로 견고히 결속되는 상기 강화층(50)을 통해 상기 방수층(30)의 변형을 지지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방수층(30)의 변형으로 인한 문제점을 예방하는 동시에, 견고한 구조의 상기 강화층(50)은 외부의 충격에 상기 방수층(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방수층(30)의 기능을 더욱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부(61)를 가지며, 하부 가장자리와 상부 중심에는 거칠기(62)가 형성되는 결속 방음부재(60)를 상기 방수층(30)의 상부에 다수 적층 배치시키는 결속 방음단계(S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속 방음부재(60)의 하부는 상기 방수층(30)과 마찰 결속되고 상부는 상기 강화층(50)과 마찰 결속되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 방음단계(S60)를 통해 상기 방수층(30)의 상부에 다수의 결속 방음부재(60)가 배치된 후, 상기 강화층 형성단계(S50)가 수행되면 상기 결속 방음부재(60)의 거칠기(62)를 통해 상기 방수층(30)과 강화층(50)이 상기 결속 방음부재(6)를 매개체로 서로 견고히 결속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층(30)이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방수층(30)과 마찰 결속되는 상기 결속 방음부재(60)와 인접하는 다른 상기 결속 방음부재(60)가 상기 강화층(50)을 매개체로 견고히 상기 방수층(30)을 결속 고정하고 있어 상기 방수층(3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방수층(30)의 변형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속 방음부재(60)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부(61)를 통해 방음 및 단열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상기 방수층(30)의 보호와 함께 방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100)은 방수층(30)의 상부에 직사광선을 반사시키는 상기 반사층(40)을 형성하여 상기 방수층(30)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반사시켜 자외선에 의한 상기 방수층(30)의 노화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방수층(3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사광선으로 인한 상기 방수층(30)의 과열이나 심각한 기온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방수층(3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강화층(50)을 통해 상기 방수층(30)의 변형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할 수 있어 상기 방수층(30)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100)은 다음과 같이 방수시공을 수행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공을 수행하고자 하는 건축물 옥상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 층(20)을 형성한다. (S10)
그런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 층(20)의 상부에 단열재(10)를 적층하여 상기 프레이머 층(10)의 접착력에 의지하여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S20)
그런 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재(10)의 상부에 고분자 탄성 도료를 도포 경화시켜 간편히 방수층(30)을 형성한다. (S30)
그런 후,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3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결속 방음부재(60)를 적층 배치한다. (S60)
그런 후, 도 2e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30)의 상부에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탄성 도료를 도포 경화하여 강화층(50)을 형성한 후, 그 강화층(50)의 상부에 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는 탄성 도료를 도포 경화하여 반사층(40)을 형성하여 방수 시공을 완료한다. (S40), (S50)
여기서, 상기 반사층(40)의 상부에 상기 반사층(40)을 보호하기 위한 마감코팅을 더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고분자 탄성 도료가 도포 경화되어 형성되는 상기 방수층(30)은 우수한 탄성 결속력을 통해 건축물의 옥상 표면을 견고히 결속할 수 있어 건축물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 해소할 수 있어 건축물의 내진성능을 강화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 단열재 20. 프라이머 층
30. 방수층 40. 반사층
50. 강화층 60. 결속 방음부재
61. 공간부 62. 거칠기
S10. 프라이머 도포단계
S20. 단열재 배치단계
S30. 방수층 형성단계
S40. 반사층 형성단계
S50. 강화층 형성단계
S60. 결속 방음단계
100.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Claims (3)

  1. 방수 시공을 수행하고자 하는 건축물 옥상의 표면에 단열재(10)를 적층 배치하는 단열재 배치단계(S10);
    상기 단열재(10)와 상기 단열재(10) 상부에 위치되는 방수층(3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 경화하여 프라이머 층(20)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0);
    상기 프라이머 층(20)의 상부로 고분자 탄성 도료를 도포 경화시켜 방수층(30)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S30); 및
    탄성 도료와 알루미늄 분말 및 UV 안정제와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한 혼합 도료를 상기 방수층(30)의 상부에 도포 경화시켜 반사층(40)을 형성하는 반사층 형성단계(S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 도료는 탄성 도료와 알루미늄 분말 및 첨가제가 8 : 1.5 : 0.5의 중량 비율로 혼합 조성되며, 상기 방수층(30)의 상부에 탄소 섬유가 함유된 탄성 도료를 도포 경화하여 상기 방수층(30)과 반사층(40) 사이에 강화층(50)을 형성하는 강화층 형성단계(S50);를 더 포함하며,
    내부에 빈 공간부(61)를 가지며, 하부 가장자리와 상부 중심에는 거칠기(62)가 형성되는 결속 방음부재(60)를 상기 방수층(30)의 상부에 다수 적층 배치시키는 결속 방음단계(S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속 방음부재(60)의 하부는 상기 방수층(30)과 마찰 결속되고 상부는 상기 강화층(50)과 마찰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80064457A 2018-06-04 2018-06-04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KR101986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457A KR101986375B1 (ko) 2018-06-04 2018-06-04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457A KR101986375B1 (ko) 2018-06-04 2018-06-04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375B1 true KR101986375B1 (ko) 2019-06-05

Family

ID=6684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457A KR101986375B1 (ko) 2018-06-04 2018-06-04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894A1 (en) * 2020-08-18 2022-02-24 Milliken & Company Liquid applied roofing composi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56B1 (ko) * 2010-10-08 2013-06-14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단열부직포를 이용한 복합시트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복합시트 방수 공법
KR101296204B1 (ko) * 2012-12-21 2013-08-13 (주)노루페인트 에너지 절감형 아스팔트 슁글 지붕 코팅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방수 시공 방법
KR101523558B1 (ko) * 2014-12-09 2015-05-28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KR101817669B1 (ko) * 2017-03-31 2018-01-11 가온비 주식회사 멀티레이어 복합단열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단열방수구조 및 복합단열방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56B1 (ko) * 2010-10-08 2013-06-14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단열부직포를 이용한 복합시트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복합시트 방수 공법
KR101296204B1 (ko) * 2012-12-21 2013-08-13 (주)노루페인트 에너지 절감형 아스팔트 슁글 지붕 코팅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이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방수 시공 방법
KR101523558B1 (ko) * 2014-12-09 2015-05-28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KR101817669B1 (ko) * 2017-03-31 2018-01-11 가온비 주식회사 멀티레이어 복합단열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단열방수구조 및 복합단열방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894A1 (en) * 2020-08-18 2022-02-24 Milliken & Company Liquid applied roofing composi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7722B2 (en) Insulated wall panel
RU2655550C2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пеностекольная плита, эффективная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водо- и огнестойкости, теплоизоляции и отделки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8963B1 (ko) 방수성과 고내구성을 가지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180076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조인트 강화 복합방수공법
KR101986375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KR20150083064A (ko) 콘크리트 양생 시 골판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KR101798491B1 (ko) 통기층과 단열성이 구비되는 옥상 방수공법
KR100939726B1 (ko) 방수, 단열 및 결로방지용 시트의 제작방법
KR20190120606A (ko) 일체결합 반응형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노면 일체결합형 방수방근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1222875B1 (ko)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EP0211752A1 (fr) Eléments préfabriqués armés d'isolation et procédés de réalisation et de pose de tels éléments
KR101566591B1 (ko) 창틀과 구조물 사이의 틈새 보강방법 및 건축물의 균열보수용 보강시트
KR100718006B1 (ko) 단열재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지붕재
KR100765125B1 (ko) 코너보강용 완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코너 수직부방수구조
KR10179858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에 일체 시공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20170058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construction joint spaces
KR102088283B1 (ko) 슁글방수시트용 프라이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79600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시공 방법
KR102099728B1 (ko) 방수 타일
KR100597579B1 (ko)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0448474B1 (ko) 합성수지 패드와 이를 이용한 방진, 방음 및 방수의다기능화 시공 방법
KR101115082B1 (ko) 삽입방수층과 확장이음부를 갖는 일체형 시멘트몰탈 복합방수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JP2009127257A (ja) 外壁素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200189604Y1 (ko) 바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