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163A -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재 - Google Patents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163A
KR20100005163A KR1020080064841A KR20080064841A KR20100005163A KR 20100005163 A KR20100005163 A KR 20100005163A KR 1020080064841 A KR1020080064841 A KR 1020080064841A KR 20080064841 A KR20080064841 A KR 20080064841A KR 20100005163 A KR20100005163 A KR 20100005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cloth
pattern
transparent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준
Original Assignee
최용준
주식회사 협성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준, 주식회사 협성하이테크 filed Critical 최용준
Priority to KR102008006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163A/ko
Priority to PCT/KR2008/004251 priority patent/WO2010002055A1/en
Priority to CNA2008101352869A priority patent/CN101380863A/zh
Publication of KR2010000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은 기초석재를 필요한 규격에 따라 가공하여 준비하는 단계(100); 상기 기초석재에 색채나 문양을 가진 투명 또는 반투명천을 씌우는 단계(300); 상기 천에 투명 수지류를 도포하여 천에 함침시키는 것과 동시에 천을 석재에 고정시키는 단계(400); 및 도포된 수지를 건조시키고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500)로 이루어져 있다. 기초 소재인 석재가 가진 색채와 문양을 살리면서 다양한 색채와 문양을 자연스럽게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의 바탕 문양이 은은하게 배어나오면서 천에 표현된 색채와 문양이 어우러져 오묘한 문양의 완전히 새로운 석재를 창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재{Method of modifying stone surface and stone made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탁이나 탁자 등의 제작에 사용되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표면의 문양이나 색채를 개선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석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이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서도 다양한 색채와 문양을 추가하여 저급의 석재를 화려한 문양을 가진 고급 석재로 개선할 수 있는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표면의 자연스런 문양이 아름다워 건축물이나 고급가구에 기초재료로서 흔히 사용되고 있다. 석재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석재가 가지는 문양이나 색채, 조직 및 투명도 등에 따라 등급이 나뉘게 된다. 석재가 가진 색채나 문양을 그대로 이용하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 채색이나 문양을 추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석재에 색채나 문양을 넣는 방법은 석재의 표면에 스프레이나 붓, 롤러 등으 로 안료를 도포하여 염색하거나 석재를 염료가 들어 있는 통에 담구어 표면을 염색하는 방법, 석재표면에 직접 인쇄하는 방법 또는 석재에 음각을 하고 거기에 안료를 주입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석재 표면에 인조대리석과 같이 인조석을 형성하여 문양이나 색채를 형성하는 방법도 있다.
석재표면을 염색하는 방법은 단색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어서 다양한 색채나 문양의 연출이 어렵고, 석재표면에 직접 인쇄하는 방법도 재질 특성상 인쇄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석재표면을 음각하고 안료를 주입하는 방법도 공정의 어려움에 비해 얻어지는 효과는 불만족스러워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석재 표면에 인조대리석을 형성하는 방법도 문양이나 색채의 표현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처럼 석재에 색채나 문양을 추가하는 것은 어렵고, 추가하더라도 자연스런 분위기를 연출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자연스런 색채와 품위있고 고급스런 문양을 추가하는 것이 극히 어려우며, 추가된 색채나 문양이 쉽게 변색되거나 탈색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석재가 가진 천연의 색채와 문양을 살리면서 거기에 추가로 다양한 색채와 품위있고 고급스런 문양을 추가하여, 석재가 가진 천연의 문양에 어우러져 오묘한 색상 및 문양을 창 조할 수 있는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초석재를 필요한 규격에 따라 가공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초석재에 색채나 문양을 가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천을 씌우는 단계; 상기 천에 투명 수지류를 도포하여 천에 함침시키는 것과 동시에 천을 석재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도포된 수지를 건조시키고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기초석재를 필요한 규격에 따라 가공하여 준비하는 단계를 시행한 후에, 필요에 따라 석재를 염색하는 단계를 추가로 행할 수도 있다. 석재 표면에 스프레이나 붓, 롤러를 이용하여 염료나 안료를 도포하여 석재를 염색하거나 염료가 든 통에 석재를 일정시간 동안 담가 두어 석재 표면을 염색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작된 석재로서 석재표면에 투명성의 천을 두르고 거기에 투명한 수지류를 도포하여 수지가 천에 함침하여 천이 더욱 투명해지면서 천에 있던 색상이나 문양이 석재의 바탕문양과 어우러져 새로운 분위기가 창출된 석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을 사용하면 비교적 낮은 품질의 석재를 가공하여 고급 품질의 석재로 탈바꿈시킬 수 있다. 기초 소재인 석재가 가진 색채와 문양을 살리면서 다양한 색채와 문양을 자연스럽게 추가하여, 석재 고유의 바탕 문양이 은은하게 배어나오면서 천에 표현된 색채와 문양이 어우러져 오묘한 문양의 완전히 새로운 석재를 창조할 수 있다. 또한 석재에 색채와 문양을 자유자재로 추가하여 원래 석재의 분위기와 전혀 다른 석재를 만들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첫번째로 석재를 필요한 규격에 따라 가공하여 준비하는 단계(100)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탁자나 식탁을 위한 대리석의 경우 식탁 상면의 규격대로 절단되고 기초적으로 표면처리된 기초석재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필요한 경우 전처리로서 석재의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의 투명도나 평활도를 높인다. 석재는 대리석과 같은 천연석재가 주로 사용되나 인조 대리석과 같은 인조석재도 본 발명의 기초석재로 사용가능하므로 기초석재의 개념에 포함된다. 물론 인조석재가 완성되기 전에 인조석재의 제작과정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단계는 석재표면을 염색하는 단계(200)이다. 천역석재는 필요에 따라 스프레이나 붓 등으로 석재표면에 안료나 염료를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염료통에 석재를 몇 시간 담구어 두면 석재조직 속으로 염료를 침투시킬 수 있어서 염색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석재의 염색단계(200)는 생략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된다. 석재를 염색한 경우 석재를 일정한 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염색처리 또는 전처리된 기초석재에 색채나 문양을 가진 투명 또는 반투명천을 씌우는 단계(300)를 시행한다. 천을 씌우고 클램핑하거나 테이프나 접착제 등으로 천을 잡아두면 된다. 기초석재의 표면에 있는 색채나 문양이 천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천을 사용한다. 천은 투명성이 필요하므로 얇을수록 좋은데, 비단이 바람직하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단은 얇고 투명하게 만들기 쉬워 석재에 색채나 문양을 추가하기에 적합하다.
석재에 천을 씌운 다음, 불포화 에스테르 도료와 같은 투명 수지류를 도포하여 천에 함침시키는 것과 동시에 천을 석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400)를 시행한다. 투명 또는 반투명한 얇은 천 위에 수지를 도포하면 수지가 천에 함침된다. 수지가 천을 투과하여 천을 석재에 고정시키는 것과 동시에 천을 코팅하는 작업이 하나의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투명성 있는 도료이면 우레탄도료이든 UV도료이든 사용가능한데 여기서는 수지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이때 얇고 투명한 천에 수지가 스며들면서 천이 완전하게 투명해진다. 천이 완전히 투명해짐에 따라, 기초석재의 표면문양이 천의 조직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드러나며, 천에 있던 색채와 문양이 더욱 선명해진다. 이것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얇은 천을 물에 적시면 더욱 투명해지는 현상과 같다. 기초석재의 바탕문양에 천의 색채나 문양이 어우러져 완전히 새로운 문양이 창조된다.
이렇게 색채나 문양을 가진 투명한 천을 씌우는 단계(300)와 수지를 도포하여 천을 석재에 고정시키는 수지도포 단계(400)는 필요에 따라 2회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천을 2겹 이상으로 하면 더욱 다양한 색감과 문양을 추가할 수 있고 깊이 있는 문양을 가진 석재를 창조할 수 있다. 천을 석재에 함침 후에 수지를 2회 이상 반복하여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수지로 천을 석재에 함침시킨 다음 건조시키고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500)를 시행하면 석재에 색채와 문양을 추가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석재에 천을 씌우고 수지를 도포하는 작업을 반복할 때, 수지가 건조된 경우에는 수지표면을 연마한 후, 수지 도포작업을 하여야 도포된 수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에 따라 제작된 석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단면도는 시각성을 높이기 위해 편의상 다소 과장하여 그린 것이다. 층의 두께는 실제와 다를 수 있다.
전처리된 기초 석재(10)에 색상이나 문양을 가진 투명성의 천(20)을 씌우고, 그 위에 투명한 수지(30)를 도포하면 수지(30)가 천(20) 및 천(20)과 석재(10) 사이에 함침된다. 수지(30)는 천(20)에 함침하여 천(20)을 석재(10)에 고정함과 아울러 천(20)을 코팅하게 된다. 수지(30)를 건조시키고 마무리 작업을 하면 천(20)을 석재(1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기초 석재(10)가 가진 표면 문양이 투명한 천(2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살아나면서 천(20)이 가진 색채와 문양이 추가되어 어루러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기초 석재의 문양과 천에 의해 추가된 문양이 어우러져 새로운 석재가 탄생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에 사용하는 기초 석재의 예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하급 또는 저급으로 분류되는 석재에 본 발명의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을 적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에 따라 제작된 석재의 표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컨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종류의 석재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완전히 새로운 분위기와 문양을 가진 석재를 창조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을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에 따라 제작된 석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에 사용하는 기초 석재의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에 따라 제작된 석재의 표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5)

  1. 기초석재(10)를 필요한 규격에 따라 절단하거나 가공하여 준비하는 단계(100);
    상기 기초석재에 색채나 문양을 가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천(20)을 씌우는 단계(300);
    상기 천에 투명 수지류(30)를 도포하여 천에 함침시키는 것과 동시에 천을 석재에 고정시키는 단계(400); 및
    도포된 수지를 건조시키고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500)로 이루어져 기초석재의 문양을 살리면서 이와 어우러지는 색채와 문양을 추가할 수 있는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석재(10)를 필요한 규격에 따라 가공하여 준비하는 단계(100)를 시행한 후에, 석재를 염색하는 단계(200)를 추가로 행하는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20)을 씌우는 단계(300):와 상기 천에 투명 수지류(30)를 도포하여 천에 함침시키는 것과 동시에 천을 석재에 고정시키는 단 계(400)를 필요에 따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은 비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작된 석재.
KR1020080064841A 2008-07-04 2008-07-04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재 KR20100005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841A KR20100005163A (ko) 2008-07-04 2008-07-04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재
PCT/KR2008/004251 WO2010002055A1 (en) 2008-07-04 2008-07-21 Method of modifying stone surface and stone made by using the same
CNA2008101352869A CN101380863A (zh) 2008-07-04 2008-08-07 改善石材表面花纹的方法及根据该方法制造的石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841A KR20100005163A (ko) 2008-07-04 2008-07-04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63A true KR20100005163A (ko) 2010-01-14

Family

ID=4046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841A KR20100005163A (ko) 2008-07-04 2008-07-04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00005163A (ko)
CN (1) CN101380863A (ko)
WO (1) WO2010002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8850B (zh) * 2011-04-23 2013-05-15 章文军 人造彩丝玉石的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402B2 (ja) * 1992-11-20 2001-07-30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材とその製造方法
JPH1181548A (ja) * 1997-09-08 1999-03-26 Daicel Chem Ind Ltd 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86315B1 (en) * 2000-03-08 2004-02-03 Digital Dimensional Stone, Llc Simulated surface building material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100428648B1 (ko) * 2001-04-30 2004-04-27 안정민 석화 제조방법
KR20070081499A (ko) * 2006-02-13 2007-08-17 (주)바스 무늬부를 갖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80863A (zh) 2009-03-11
WO2010002055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5773B (zh) 丝绸磨漆画及其制备方法
CN105667173B (zh) 一种木雕彩绘的制作方法
CN101734076A (zh) 一种脱胎大漆雕塑作品的制作方法
CN102690904A (zh) 一种皮革表面涂饰工艺
KR101015775B1 (ko) 다색 무늬 피혁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N201777068U (zh) 纤维涂料工艺画
KR100914246B1 (ko) 목재표면의 문양추가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목재
KR20100005163A (ko)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재
CN1277698C (zh) 一种在基材上制作彩画的方法
CN100486820C (zh) 真皮雕刻方法
KR101438396B1 (ko) 자개 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RU267248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на поверхности плоских пробковых панелей
CN109514110A (zh) 一种激光雕刻印花工艺及实施该工艺的设备
CN101774323B (zh) 一种木材透空雕刻工艺
CN100512913C (zh) 基于皮影靠子的挂屏制作工艺
KR101298163B1 (ko) 평면 개금방법
KR100614605B1 (ko) 종이 캔버스 및 상기 종이 캔버스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47635B1 (ko) 불상의 개금, 개채방법
RU2559557C1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живописных работ
RU185116U1 (ru) Художественное покрытие пола
CN101054041B (zh) 石材锈色染花工艺
KR102512737B1 (ko) 옻칠 방법 및 옻칠 조성물
KR101369912B1 (ko) 색채 장식품 및 그 제조 방법
US1729833A (en) Floor covering
CN106394097A (zh) 石雕作品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石雕作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03

Effective date: 200906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31

Effective date: 201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