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648B1 - 석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석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648B1
KR100428648B1 KR10-2001-0023371A KR20010023371A KR100428648B1 KR 100428648 B1 KR100428648 B1 KR 100428648B1 KR 20010023371 A KR20010023371 A KR 20010023371A KR 100428648 B1 KR100428648 B1 KR 100428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polishing
designed
plate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157A (ko
Inventor
안정민
Original Assignee
안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민 filed Critical 안정민
Priority to KR10-2001-0023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648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석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제조방법은 다공질의 현무암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 이 모재를 판재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판재로 형성된 모재의 다공부에 특정의 형상을 디자인하는 단계, 상기 모재에 디자인된 형상에 따른 다공부에 점성이 강한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원료가 주입된 모재를 일정시간 동안 건조 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모재의 디자인된 거친면을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연마 단계를 거친 모재의 디자인된 면을 광택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현무암에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형성된 특정형상의 다공부에 원료를 충전시킴으로써 모재인 판재에 특정의 그림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어 외관이 미려한 석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증대되게 된다.

Description

석화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icture on stone}
본 발명은 석화(石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무암에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형성된 특정형상의 다공부에 채색에 필요한 안료와 수지 및 경화제 등으로 이루어진 원료를 충전시킴으로써 모재인 판재에 특정의 그림을 형성시킬 수 있는 석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석을 이용한 건축자재는 대리석과 같은 자연상태의 석재를 일정한 형태로 절단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건물이 점차적으로 고급화되면서 차별적인 다양한 형태의 건축자재가 요구되므로, 이에 따라 합성수지를 주원료로한 광택성물질과 안료 등을 혼합 가열하여 석재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초자물질이나 규석, 석회석 등을 혼합하고 채색용 안료를 이용하여 인조대리석이나 타일 등을 제조하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석재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가 주변환경 즉 열과 빛에는 열악하여 변형 및 변질이 용이하며, 초자 물질 등을 이용하여 인조대리석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주변환경에는 어느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제조 단가가 고가이어서 경제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취성이 강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건물의 내외벽에 특정 무늬나 그림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벽화를 특별히 주문 제작하거나 벽면에 직접 시공하게 되는데 이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고도의 기술과 시간 및 비용이 증대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무암에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형성된 특정형상의 다공부에 원료를 충전시킴으로써 모재인 판재에 특정의 그림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어 외관이 미려한 석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증대되는 석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화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화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현무암, 11: 판매,
13: 원료, 112: 원판,
113: 천공기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석화 제조방법은, 다공질의 현무암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모재를 판재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판재로 형성된 모재의 다공부에 특정의 형상을 디자인하는 단계, 상기 모재에 디자인된 형상에 따른 다공부에 점성이 강한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원료가 주입된 모재를 일정시간 동안 건조 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모재의 디자인된 거친면을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연마 단계를 거친 모재의 디자인된 면을 광택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료는 채색에 필요한 안료와, 수지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며, 보석가루나 옥가루가 및 야광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석화 제조방법은, 상기 판재에 특정 그림이 그려진 원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에 부착된 원판의 특정그림을 따라 타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석화 제조방법은, 상기 판재에 형성된 다공부에 반사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물질이 도포된 다공부에 상기 원료를 충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따른 석화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차적인 공정 설명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화 제조방법은 다단계로 분류되는데 우선적으로 자연석으로 존재하는 다공질의 현무암 모재(10)를 마련한다.
그후 상기 모재를 판재(11)로 가공한 후 다공부를 중심으로 하여 특정의 형상을 디자인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트 모양(12)으로 밑그림을 그렸다. 다음에는 상기 모재에 디자인된 형상에 따른 다공부에 점성이 강한 원료(13)를 주입한다.
이때 상기 원료(13)는 채색에 필요한 안료와, 수지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데, 모양과 형태에 따라 보석가루나 옥가루가 첨가될 수 도 있으며 야광물질이 첨가되어 야간에도 특정형상이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상기 원료(13)가 주입된 모재(14)를 일정시간 동안 건조 시키는데 본 출원인의 실험결과 약 하루 정도면 충분하고, 건조된 모재의 디자인된 거친면을 연마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재에 디자인된 밑그림은 제거되고 모재(15)의 상면은 편탄하게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마 단계를 거친 모재의 디자인된 면을 광택처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석화의 제조방법은 완료되고 이에 따라 외관이 미려하고 강도가 보강된 석재(16)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한 석재(16)는 상술한 것처럼 건축자재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지만 장식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을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따른 석화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차적인 공정 설명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화 제조방법은다단계로 분류되는데 우선 자연석으로 존재하는 다공질의 현무암 모재(100)를 마련하고, 이 모재를 판재(11)로 가공한 후 이 판재에 특정 그림이 그려진 원판(112)을 부착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별을 소재로 한다.
그후 천공기(113)를 이용하여 특정그림의 형상을 따라 일정깊이로 상기 판재에 홈을 형성시키고, 원판(112)을 제거시킨 후 원료(114)를 충전시키게 되는데 이하의 공정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1 에 따른 방법과 유사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 부호 115 는 연마된 모재이고 116 은 광택처리된 모재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 1 과 도 2 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판재에 형성된 다공부에 반사물질을 도포한 후 상기 원료를 충전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원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을 보면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현무암의 단점을 이용하여 최대한의 장점으로 부각시킨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즉, 자연상태의 현무암을 건축자재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공성이면서 흡수성이 강하므로 우천시에 흡수된 물이 구멍에 저장되어 강도적인 면에서 매우 취약할 뿐만 아니라 그 색상이 너무 단조로워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석화 방법을 이용한 현무암 석재는 자연적으로 발생된 다공부에 안료와 수지제 및 접착경화제 등을 충전시키므로써 다양한 색상, 특히 특정의 무늬 또는 그림을 용이하게 표면에 형성시킬수 있고 강도 또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현무암에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형성된 특정형상의 다공부에 원료를 충전시킴으로써 모재인 판재에 특정의 그림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어 외관이 미려한 석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다공질의 현무암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모재를 판재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판재로 형성된 모재의 다공부에 특정 그림이 그려진 원판을 부착하고, 상기 판재에 부착된 원판의 특정그림을 따라 타공하여서 상기 판재에 특정의 형상을 디자인하는 단계;와 상기 모재에 디자인된 형상에 따른 다공부에 채색에 필요한 안료, 합성수지, 경화제, 보석가루, 옥가루 및 야광물질이 혼합된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가 주입된 모재를 일정시간 동안 건조 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모재의 디자인된 거친면을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연마 단계를 거친 모재의 디자인된 면을 광택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화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1-0023371A 2001-04-30 2001-04-30 석화 제조방법 KR10042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371A KR100428648B1 (ko) 2001-04-30 2001-04-30 석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371A KR100428648B1 (ko) 2001-04-30 2001-04-30 석화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157A KR20010068157A (ko) 2001-07-13
KR100428648B1 true KR100428648B1 (ko) 2004-04-27

Family

ID=1970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371A KR100428648B1 (ko) 2001-04-30 2001-04-30 석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6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918B1 (ko) 2009-12-30 2010-06-30 송봉섭 도화판석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도화판석
KR200458790Y1 (ko) * 2009-03-26 2012-02-20 박공영 가로수 장식체
KR20180002467U (ko) 2017-02-06 2018-08-16 김원종 주방 설비의 높낮이 조절용 받침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15A (ko) * 2001-08-17 2003-02-25 김홍범 화산석 및 다공성을 띤 세라믹 광물을 이용한 기능성벽화
KR100840517B1 (ko) * 2007-07-18 2008-06-24 (주)바이오폴리텍 승화 전사부를 갖는 화산석 용기.
KR20100005163A (ko) * 2008-07-04 2010-01-14 최용준 석재표면의 문양개선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석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90Y1 (ko) * 2009-03-26 2012-02-20 박공영 가로수 장식체
KR100966918B1 (ko) 2009-12-30 2010-06-30 송봉섭 도화판석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도화판석
KR20180002467U (ko) 2017-02-06 2018-08-16 김원종 주방 설비의 높낮이 조절용 받침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157A (ko) 200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4207B (zh) 水晶石材加工方法
CN101020336A (zh) 一种具有真实孔洞的人造洞石及其制备方法
KR100428648B1 (ko) 석화 제조방법
DE60221531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ierflächenelementen
CN109109540A (zh) 一种盐雕工艺品的制备方法
CN113816702A (zh) 一种仿石材透光纳米水泥及制备方法
KR101379975B1 (ko)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7627780A (zh) 浮雕装饰墙面形成方法
CN1097519C (zh) 一种工艺品书画的制造方法
CN106903941A (zh) 逆向成型制备仿石贴片的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仿石贴片
CN2578115Y (zh) 一种美术石材
CN206012159U (zh) 一种带多个装饰区的砚台
JP4467953B2 (ja) 無機質化粧建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25422B1 (ko) 서로 다른 색상의 석재와 광섬유를 이용한 조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58900B1 (ko) 원적외선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조명등갓 장식물
KR101575496B1 (ko) 상감 장식 제공 방법
KR20030082673A (ko) 야광 장식 타일
CN206418038U (zh) 一种用于室内装饰用厚抛釉砖
CN206917167U (zh) 一种镶嵌式彩斑抛光砖
JPH0349904A (ja) 加飾施工法と成形体
KR100198135B1 (ko) 장식돌이 취부된 시멘트판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101648A (ko) 표면에 무늬를 갖는 인조석 제조 방법
CN104790604B (zh) 建筑墙面分段式涂敷装饰工艺
US20050227046A1 (en) Glass shard-paved structure
KR100592701B1 (ko) 건축용 석재를 이용한 조명이 있는 시계장식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