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884A - 지엽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884A
KR20100004884A KR1020090060469A KR20090060469A KR20100004884A KR 20100004884 A KR20100004884 A KR 20100004884A KR 1020090060469 A KR1020090060469 A KR 1020090060469A KR 20090060469 A KR20090060469 A KR 20090060469A KR 20100004884 A KR20100004884 A KR 2010000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
postal matter
handling
paper sheet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266B1 (ko
Inventor
유스께 미쯔야
요시히꼬 나루오까
나루아끼 히라미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0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4Air blasts producing partial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48Air blast acting on edges of, or und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60Loosening articles in piles
    • B65H3/64Loosening articles in piles by vacuum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1Bending, buckling, curling, bringing a curvature
    • B65H2301/51212Bending, buckling, curling, bringing a curvature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of handled material, e.g. forming a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1Suction box; Suction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6Envelopes and articles of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시 수용된 우편물을 반송로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지엽류 공급 장치는 픽업 위치에 인접하게 구비된 흡입 기구(13)를 포함한다. 흡입 기구(13)는 픽업 위치에 대향된 개구를 갖는 챔버(40), 챔버(40)의 개구에 구비되는 안내판(51) 및 안내판(51)의 표면(52) 상에 수직으로 배열된 두 개의 돌출부(54, 55)를 포함한다. 안내판(51)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 구멍(53)을 통해 픽업 위치로부터 공기가 유인되는 경우, 픽업 위치에 가장 근접한 우편물의 선행 우편물은 픽업 위치로 유인되고 두 개의 돌출부(54, 55) 사이에서 만곡된다. 취급 노즐(17)은 선행 우편물이 만곡되는 경우 선행 우편물과 후속 우편물 사이에 형성된 공간 안으로 공기를 송풍한다.
우편물, 취급 노즐, 안내판, 챔버, 지엽류

Description

지엽류 공급 장치 {PAPER SHEET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축적된 지엽류를 하나씩 공급하는 지엽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엽류 공급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7-326713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지엽류 공급 장치는 우편물을 분류하기 위해 우편물의 주소를 판독하기 위한 우편물 처리 장치와 합체되고 우편물을 반송로로 하나씩 공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결국, 공급 장치는 복수의 우편물을 직립으로 동시에 수용하는 수용부(호퍼)와, 수용된 우편물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들을 픽업 위치를 향해 차례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흡입력에 의해 각각의 우편물을 픽업하여 이를 반송로로 이송하도록 픽업 위치를 따라 가동하도록 설계된 픽업 벨트와, 픽업 벨트에 의해 픽업 위치로부터 픽업된 각각의 우편물을 닙을 사용하여 당겨서 이를 픽업 속도보다 다소 높은 속도로 이송하는 반송 기구와, 이러한 우편물이 의도하지 않게 동시에 픽업되는 경우 우편물 중 가장 먼저 픽업된 우편물로부터 우편물을 분리하는 분리 기구를 포함한다.
공급 장치는 또한 픽업 위치에 위치된 (가장 먼저 픽업되는) 우편물에 음압의 공기를 가하여 픽업 위치와 동일한 곳에 신속하게 위치시키는 흡입 기구를 포함한다. 이 흡입 기구는 우편물의 픽업 방향에 대해 픽업 벨트의 상류에 위치된다. 픽업 벨트에 인접하게 흡입 기구를 위치시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픽업될 우편물이 픽업 위치에 신속하게 위치될 수 있어서, 우편물의 픽업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얇고 짧은 엽서와 같은 우편물이 상술된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경우, 선행 우편물과 후속 우편물이 동시에 픽업되는 소위 "동시 픽업"이 자주 발생될 수 있다. 즉, 픽업 방향으로 비교적 짧은 우편물이 흡입 기구의 흡입력에 의해 픽업 위치로 이동되고 그 후 흡입력을 또한 이용하여 픽업 벨트에 의해 픽업된 직후에, 픽업 방향에 대해 우편물의 후단부는 흡입 기구의 범위를 벗어나 놓이고, 흡입 기구에 의해 후속의 우편물에 음압의 공기가 가해진다.
이 때, 먼저 공급된 우편물의 후단부는 후속 우편물에 의해 픽업 벨트에 대해 가압되어서, 이러한 우편물은 서로 밀착하고, 픽업 벨트의 반송력은 또한 후속 우편물 상에 가해진다. 이는 비교적 얇고 짧은 우편물이 동시에 쉽게 픽업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 이상의 지엽류의 상술한 "동시 픽업"의 발생 가능성이 억제되는 지엽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엽류 공급 장치는, 직립으로 동시 수용된 복수의 지엽류를 이동시키고 지엽류 중 선행 지엽류를 픽업 위치를 향해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 기구와, 픽업 위치를 향해 공급된 선행 지엽류와 접촉되고 그 후 회전하여 선행 지엽류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행 지엽류를 픽업하도록 구성된 픽업 기구와, 상기 선행 지엽류가 픽업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픽업 기구가 선행 지엽류와 접촉되는 위치의 상류에, 상기 선행 지엽류를 픽업 위치로 유인하는데 사용되는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흡입 기구와, 상기 픽업 위치로 유인된 상기 선행 지엽류를 만곡시키도록 상기 흡입 기구와 협력작용하도록 구성된 만곡 수단과, 상기 만곡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선행 지엽류를 만곡시킴으로써 상기 선행 지엽류와 상기 선행 지엽류 상에 중첩된 후속 지엽류 사이에 형성된 간극 안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후속 지엽류로부터 선행 지엽류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취급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픽업 위치로 유인된 지엽류는 지엽류와 후속 지엽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만곡되고, 지엽류를 서로 분리하도록 간극 안으로 공기가 송풍된다. 결과적으로, 픽업 위치로부터 픽업되는 선행 지엽류 상에 중첩된 하나 이 상의 지엽류가 의도하지 않게 선행 지엽류와 동시에 픽업되는, 소위 "동시 픽업"이 낮은 발생 비율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일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구현에 의해 자명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이후에 특별히 지목된 수단과 조합에 의해 구현되고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상술된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이후 설명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픽업 위치로부터 픽업될 선행 지엽류 상에 중첩된 하나 이상의 지엽류가 의도하지 않게 선행 지엽류와 동시에 픽업되는, 소위 "동시 픽업"의 발생 가능성을 낮은 비율로 유지할 수 있는 지엽류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공급 장치(1)(지엽류 공급 장치)(이후, "공급 장치(1)")를 합체한 분류 장치(10)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분류 장치(10)는 복수의 우편물(지엽류)의 주소를 순차적으로 판독해서 판독된 주소에 따라 우편물을 분류하고, 교정부(2), 검출부(3), 분류부(4), 리젝트부(5), 판독 부(6) 및 축적부(7)를 합체한다.
우편물이 축적되어 공급 장치(1)에 놓이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공급 장치(1)를 작동시킴으로써 반송로(9)에 하나씩 공급된다. 반송로(9)는 (도시되지 않은) 무단 반송 벨트의 쌍에 의해 한정된다. 우편물이 반송되어 반송 벨트에 의해 유지된다.
반송로(9)로 이송된 각각의 우편물은 교정부(2)에 의해 바른 자세로 교정되어,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우편물의 동시 픽업이 형성되는지 여부와 인접한 우편물 사이의 공간(간극)이 작은지 여부와 각각의 우편물이 길고 두꺼운 정도가 검출되는 검출부(3)로 반송된다. 불규칙하게 검출되는 우편물은 분류부(4)를 거쳐 리젝트부(5)로 반송된다. 다른 우편물은 분류부(4)를 거쳐 하류측 판독부(6)로 반송된다.
판독부(6)는 각각의 우편물로부터 주소와 같은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부(6)에 의해 판독된 다양한 정보물을 기초로 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는 각각의 우편물의 목적지를 결정한다. 판독부(6)를 통과한 우편물은 분류부(4)를 거쳐 대응하는 축적부(7)로 분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급 장치(1)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공급 장치(1)는 공급 기구(11), 픽업 기구(12), 흡입 기구(13), 분리 기구(14), 보조 기구(15) 및 반송 기구(16)를 포함한다. 공급 장치(1)는 흡입 기구(13)와 보조 기구(15) 사이에 제공되며 상세히 후술되는 취급 노즐(17)을 더 포함한다.
공급 기구(11)는 화살표(F)로 표시된 방향으로 픽업 위치(20)를 향해 축적된 우편물(P)을 이동시켜 선행 우편물(P)을 픽업 위치(20)에 위치시킨다. 픽업 기구(12)는 픽업 위치(20)에 위치된 우편물(P)을 픽업해서 이를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반송로(9)로 이송시킨다. 흡입 기구(13)는 선행 우편물(P)을 픽업 위치(20)로 이동시키기 위해 공기를 유인하는데 사용되는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흡입 기구(13)는 픽업 기구(12)에 인접하고 우편물 픽업 방향(T)에 대해 상류측에 구비된다.
분리 기구(14)는 픽업 위치(20)로부터 픽업된 우편물(P)로부터 먼저 언급된 우편물과 의도하지 않게 동시에 픽업된 하나 이상의 후속 우편물(P)을 분리한다. 픽업 기구(12)의 상류에 위치된 보조 기구(15)는 회전하면서 픽업 위치(20)에 위치된 우편물(P)에 음압을 가하여 이에 따라 우편물(P)의 픽업을 가속화시킨다. 반송 기구(16)는 분리 기구(14)를 통과한 우편물(P)을 당겨서 이를 더 하방으로 반송시킨다.
공급 장치(1)는 또한 픽업 위치(20)로부터 반송로(9)로 이송되는 우편물(P)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해 6개의 센서(21, 22, 23, 24, 25, 26)를 포함한다. 센서(21 내지 26) 각각은 그 사이에 반송로(9)가 개재되어 서로 대향된 수광부와 발광부를 포함하고, 광축이 우편물에 의해 교차되는 경우 우편물(P)의 통과를 검출한다.
공급 장치(1)는 또한 복수의 반송 안내부(27, 28, 29)를 더 포함한다. 반송 안내부(27)는 (후술되는) 바닥 벨트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픽업 방향(T)에 대해 직립으로 축적되는 우편물(P)의 전방 단부를 정렬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2는 우편 물(P)의 전방 단부가 서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실제로, 작업자가 우편물(P)을 수용부(호퍼)에 놓은 경우, 이들은 반송 안내부(27)를 따라 우편물(P)의 전방 단부를 정렬시킨다. 반송 안내부(28)는 픽업 위치(20)를 따라 연장되어 픽업 위치(20)의 일측면을 한정한다. 각각의 우편물(P)의 전방면은 반송 안내부(28)와 접촉된다.
특히, 공급 기구(11)는 우편물(P)을 방향(F)으로 이동시키도록 우편물(P)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2개의 바닥 벨트(31, 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우편물(P)은 바닥 벨트(31, 32) 상에 직립으로 수용된다. 백업판(33)은 바닥 벨트(31)를 따라 픽업 위치(20)에 공급하도록 축적된 우편물(P) 중 최후방의 우편물의 표면과 접촉된 위치에 제공된다. 결국, 백업판(33)은 간단한 방식으로 바닥 벨트(31)에 연결되고 바닥 벨트(31)가 구동되는 경우 방향(F)으로 이동된다.
픽업 기구(12)는 챔버(34), 안내부(35) 및 진공 펌프(36)(또는 이에 상응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음압의 제어를 실행하거나 중지하는데 사용되는 도시되지 않은 전자기 밸브는 챔버(34)를 진공 펌프(36)에 연결하는 파이프를 가로질러 제공된다. 픽업 기구(12)는 또한 각각의 우편물(P)을 픽업하도록 방향(T)으로 픽업 위치(20)를 따라 가동되는 부품과 픽업 벨트(37)를 구동시키는 모터(38)를 포함하는 무단 픽업 벨트(37)를 포함한다.
픽업 벨트(37)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흡입 구멍을 구비하고 복수의 롤러(39) 사이에서 신장되어 픽업 벨트(37)의 적어도 일부가 방향(T)으로 픽업 위치(20)를 따라 가동한다. 안내부(35)는 그 사이에 벨트(37)가 개재되어 픽업 위 치(20)와 대향되고, 픽업 벨트(37) 내에 제공된다. 챔버(34)는 안내부(35)의 반대측과 대향된, 즉, 그 사이에 픽업 벨트(37)와 안내부(35)가 개재되어 픽업 위치(20)와 대향된 개구를 갖는다.
흡입 기구(13)는 픽업 기구(12)와 보조 기구(15) 사이에 제공된 챔버(40)를 포함하고 반송 안내부(38)의 반대측과 대향된, 즉, 그 사이에 픽업 벨트(37)와 안내부(38)가 개재되어 픽업 위치(20)와 대향된 개구를 갖는다. 흡입 기구(13)는 또한 챔버(40)로부터 공기를 유인하도록 송풍기(41)(또는 이에 상응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안내부(28)는 챔버(40)의 개구와 동일한 폭을 갖는 부분과,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 구멍(후술됨)을 포함한다.
분리 기구(14)는 그 사이에 반송로(9)가 개재된 픽업 기구(12)와 사실상 대향되고, 반송로(9)는 우편물 픽업 방향(T)에 대해 (도 2의 상부 위치에서) 픽업 위치(20)의 하류에 위치된다. 분리 기구(14)는 픽업 기구(12)의 대향측으로부터 반송로(9) 상에 이송되는 각각의 우편물(P)에 음압을 가하고, 여기에 이 방향(T)에 대향 방향으로 가해지는 분리력을 부여한다. 즉, 하나 이상의 후속 우편물(P)이 픽업 위치(20)로부터 픽업된 선행 우편물(P)과 의도하지 않게 동시에 픽업되는 경우에도, 상술된 음압과 분리력은 후속 우편물(P)을 정지시키거나 복귀시켜 선행 우편물(P)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특히, 분리 기구(14)는 반송로(9)를 따라 제공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사실상 원통형의 분리 롤러(42)를 포함한다. 분리 롤러(42)는 반송로(9) 상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거쳐 회전가능하 게 지지된다. 더욱이, 분리 롤러(42)는 내부와 외부 주연면을 서로 연통시키는, 이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흡입 구멍을 갖는다.
분리 기구(14)는 분리 롤러(4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43)와 모터(43)의 구동력을 분리 롤러(42)에 전달하는 무단 타이밍 벨트(44)를 더 포함한다. 타이밍 벨트(44)는 모터(43)의 회전축에 고정된 타이밍 풀리(43a)와 분리 롤러(42) 사이에서 신장된다. 분리 기구(14)는 또한 흡입 구멍을 거쳐 분리 롤러(42)의 외주연부에 음압을 가하는 진공 펌프(45)(또는 이에 상응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보조 기구(15)는 우편물(P)의 픽업 방향에 대해 흡입 기구(13)의 상류에(도 2의 흡입 기구(13) 아래에) 위치된다. 보조 기구(15)가 상술된 분리 기구(14)와 사실상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반송 기구(16)는 픽업 위치(20)의 하류에 반송로(9)를 한정하도록 위치된 2개의 반송 벨트(46, 47)를 포함한다. 각각의 반송 벨트(46, 47)는 복수의 롤러(48) 사이에서 신장된다. 반송로(9) 상에서 방향(T)으로 반송되는 각각의 우편물(P)의 전방 단부는 반송 벨트(46, 47)의 중첩 부분으로 형성된 닙(49)에 의해 닙핑되고, 그 후, 이러한 벨트의 가동에 따라서 하방으로 반송된다.
상술된 공급 장치(1)에서, 축적된 우편물(P)은 공급 기구(11)에 의해 방향(F)으로 이동되고, 선행 우편물(P)은 흡입 기구(13)에 의해 픽업 위치(20)로 유인된다. 따라서, 픽업 위치(20)에 위치된 흡입 기구(13)는 공급 기구(11)에 의해 공급된 우편물(P) 중 선행 우편물이 픽업 위치(20)로 신속하게 시프트될 수 있게 한다.
픽업 위치(20)로 유인된 우편물(P)은 흡입력에 의해 픽업 기구(12)의 픽업 벨트(37)의 표면 상에 유지되고, 픽업 벨트(37)를 따라 픽업 방향(T)으로 전송(forward)된다. 우편물(P)의 전방 단부가 반송 기구(16)에 도달하는 경우, 이는 6개의 센서(21 내지 26)에 의해 검출되면서 기구(16)에 의해 반송로(9) 상에서 하방으로 당겨져서 더 반송된다.
이 때, 분리 기구(14)의 분리 롤러(42)의 외주연부에 음압이 가해지고 분리 롤러(42)가 우편물 픽업 방향(T)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선행 우편물(P)과 의도하지 않게 동시에 픽업 위치(20)로부터 픽업된 하나 이상의 후속 우편물(P)은 후자의 것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보조 기구(15)의 보조 롤러(42)를 통해 픽업 위치(20)의 상류에 음압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픽업 기구(12)의 픽업 작동을 보조한다.
공급 기구(11)를 거쳐 공급 장치(1)에 공급된 우편물(P)은 두께, 중량, 길이, 폭 등이 상이하다. 따라서, 우편물의 전방 단부가 반송 안내부(27)를 따라 서로 정렬되는 경우, 그 후방 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오정렬된다. 결과적으로, 선행 우편물이 픽업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후속 우편물이 선행 우편물(P)과 의도하지 않게 동시에 픽업되는 소위 "동시 픽업"이 만약 선행 우편물(P)이 예를 들어, 비교적 작고 얇은 엽서라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픽업 기구(12)가 흡입 기구(13)를 통해 음압을 가함으로써 픽업 위치(20)로 이동된 비교적 작고 얇은 우편물(P)을 픽업한 직후, 우편물(P)의 픽업 방 향 후방 단부는 흡입 기구(13)의 챔버(40)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변위된다. 이 때, 먼저 언급한 우편물(P)(즉, 선행 우편물(P))의 후방 단부가 흡입 기구(13)를 통과한 직후 흡입 기구(13)를 통해 후속 우편물(P)에 음압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후속 우편물(P)은 픽업 위치(20)로 즉시 유인되고 선행 우편물(P)이 얇으면 선행 우편물(P)의 후방 단부는 후속 우편물(P)과 반송 안내부(28) 사이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후속 우편물(P)은 접촉압에 의해 선행 우편물(P)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어 선행 우편물(P)과 동시에 픽업 기구(12)에 의해 픽업된다. 선행 우편물(P)의 픽업이 시작된 직후 이러한 상태가 발생되기 때문에, 선행과 후속 우편물(P) 사이에서의 반송 속도의 차는 거의 없다. 따라서, 후속 우편물(P)은 선행 우편물과 동시에 더 쉽게 픽업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우편물(P)의 동시 픽업이 발생되는 경우, 분리될 우편물(P)은 픽업 위치(20)의 하류에 위치된 분리 기구(14)에 의해 분리된다. 그러나, 이상적으로, 우편물이 픽업 위치(20)로부터 픽업되는 경우 동시 픽업을 야기하는 팩터는 가능한 제거되어야 한다.
결국, 본 실시예는 픽업 위치(20)에 유인된 선행 우편물(P)이 상술된 흡입 기구(13)의 흡입 작동을 이용하여 만곡되어, 이에 따라 선행 우편물(P)과 후속 우편물(P)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우편물(P)을 서로 분리시키도록 공간 안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선행 우편물(P)을 만곡시키는 만곡 수단과, 선행 우편물로부터 후속 우편물을 분리하는 취급 수단이 설명된다. 도 3은 상 술된 흡입 기구(13)의 필수 부분과, 만곡 수단 및 취급 수단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로부터 취급 수단을 제거하여 얻어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취급 수단의 사시도이다. 픽업 위치(20)에 위치된 선행 우편물(P)과 후속 우편물(P)이 그 사이에 간극을 부여함으로써 취급되는 경우가 설명되지만, 서로 중첩된 3개 이상의 우편물이 후술되는 수단을 사용하여 동시에 취급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위치(20)를 대향하는 흡입 기구(13)의 챔버(40)의 개구는 안내판(51)에 의해 차단된다. 안내판(51)은 상술된 반송 안내부(28)의 일부를 형성하고 픽업 위치(20)와 대향하는 표면(52)을 포함한다. 안내판(51)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수평으로 신장된 흡입 구멍(53)을 구비한다.
이 구조에서, 송풍기(41)를 사용하여 공기가 챔버(40)로부터 유인되는 경우, 안내판(51)의 흡입 구멍(53)을 통해 픽업 위치(20) 근처에서 공기를 유인하도록 챔버(40)의 개구에 음압이 발생한다. 송풍기(41)의 흡입력은 픽업 기구(12)의 펌프(36)의 흡입력보다 작게 설정되고, 각각의 흡입 구멍(53)의 크기는 송풍기(41)의 비교적 작은 흡입력의 효과를 상쇄하도록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비교적 강한 음압이 픽업 위치(20)에 가장 근접한 우편물(P)에 가해져서 이를 픽업 위치(20)로 유인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흡입 기구(13)는 만곡 수단에 의해 만곡된 비교적 얇고 작은 선행 우편물(P)과 후속 우편물(P) 사이에 한정된 간극 안으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흡입 기구(13)는 얇고 작은 우편물(P)을 만 곡시키도록 후술되는 만곡 수단과 협력시키도록 작용한다. 이는, 공급 장치(1)에 의해 처리되는 우편물(P) 중에 반송 안내부(28)를 따라 가장 짧은 우편물(Pmin)의 (픽업 방향(T)에 대해) 후방 단부를 유인할 수 있는 위치에 흡입 기구(13)를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안내판(51)의 표면(52)은 그 사이에 흡입 구멍(53)이 개재되어 수직으로 분리된 상부 및 하부 돌출부(54, 55)(제1 및 제2 돌출부)를 갖는다. 돌출부(54, 55)는 우편물(P)이 표면(52)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픽업 위치(20)에 위치된 우편물(P)이 흡입 구멍(53)을 통해 이들에 가해진 음압에 의해 표면(52)을 향해 유인된 후 그 사이에서 우편물을 만곡시키는데 사용된다. 즉, 2개의 돌출부(54, 55)는 각각의 우편물(P)을 만곡시키도록 흡입 기구(13)와 협력작동하는 본 발명의 만곡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흡입 기구(13)에 의해 유인된 후 2개의 돌출부(54, 55)가 우편물(P)을 만곡시키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이들은 형상 및 크기 등에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돌출 정도가 너무 크면, 결과적인 곡률이 과도하게 되고, 이는 흡입 기구(13)의 하류에 위치된 픽업 기구(12)의 픽업 작동에 장애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선행 우편물(P)과 후속 우편물(P) 사이에 작은 간극을 형성하도록 선행 우편물(P)이 만곡되게 할 수 있는 값으로 돌출 정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돌출부가 우편물(P)을 만곡시킬 목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2개의 돌출부(54, 55) 중 적어도 하나가 안내판(51)의 표면(52)에 제공되기만 하면 충분한다. 제1 실시예의 공급 장치(1)에서, 2개의 바닥 벨트(31, 32)와 백업 판(33)을 사용하여 우편물(P)이 픽업 위치(20)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우편물(P)의 하단부는 바닥 벨트(31, 32)와 접촉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흡입 기구(13)가 우편물(P)을 픽업 위치(20)로 유인하는 경우, 우편물(P)의 하단부는 짧은 시간동안 그 마찰력에 의해 바닥 벨트(31, 32) 상에 유지되고, 우편물(P)의 상단부보다 다소 늦게 픽업 위치(20)에 도달한다. 이 구조에서, 하부 돌출부(55)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단지 하나의 돌출부만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상부 돌출부(54)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급 노즐(17)이 흡입 기구(13)의 상류에 제공되고, (도시되지 않은) 송풍기가 취급 노즐(17)의 인접 단부에 연결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급 노즐(17)은 흡입 기구(13)의 챔버(40)의 상류측과 접촉하여 제공된다. 취급 노즐(17)은 사실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 통로를 포함하고, 후술될 수직으로 연장된 얇은 배출 포트(17a)를 구비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포트(17a)가 형성된 취급 노즐(17)의 말단부는 사실상 직각으로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돌출부(54, 55)에 의해 만곡된 선행 우편물(P)과 후속 우편물(P)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지만, 노즐(17)의 말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위치(20)를 향해 불가피하게 돌출된다. 제1 실시예에서, 취급 노즐(17)의 돌출 정도는 각각의 우편물(P)의 전방 단부를 포획하지 않도록 노즐의 각진 단부의 외부면을 완만히 만곡시키도록 최소화된다.
상술된 위치에 상기 구조의 취급 노즐(17)을 제공함으로써, 선행 우편물(P)이 만곡되어 비교적 얇고 작은 선행 우편물(P)의 후방 단부와 후속 우편물(P)의 전방 단부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공기가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된 우편물(P)이 취급될 수 있다. 따라서, 취급 노즐(17)은 본 발명의 취급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된 만곡 수단과 취급 수단의 작동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우편물의 픽업 방향에 대해 상류로부터 보았을 때 얻어지는 흡입 기구(13)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선행 우편물과 후속 우편물(P)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선행 우편물이 유인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축적된 우편물(P) 중 선행 우편물만이 만곡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만곡된 선행 우편물(P)과 이와 중첩된 후속 우편물(P)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할 때 유용한 개략 사시도이다.
복수의 우편물(P)이 공급 장치(1)에 수용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기구(13)의 송풍기(41)를 작동시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픽업 위치(20)에 가장 가까운 선행 우편물(P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51)의 표면(52)을 향해 유인된다.
이 때, 선행 우편물(P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돌출부(54, 55)에 의해 만곡되어 우편물의 중심이 안내판(51)을 향해 돌출된다. 결과적으로, 선행 우편물(P1)과 후속 우편물(P2) 사이에 수직으로 신장된 공간(S)(간극)이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 우편물(P1)의 후단부의 상류측으로부터 취급 노즐(17)에 의해 공기가 공간(S)으로 유입된다. 선행 우편물(P1)이 공간을 형성하도록 만곡되는 경우, 후속 우편물(P)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공기가 공간(S)으로 유입되면, 2개의 우편물(P1, P2)은 더 신뢰성있게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비교적 작고 얇은 우편물(P), 예를 들어, 최단의 우편물(Pmin)이 음압을 가함으로써 픽업되는 경우, 우편물(Pmin)은 공기가 공급되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만곡된다. 이렇게 하여, 이러한 얇고 작은 우편물(P)이 픽업되는 경우 쉽게 발생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우편물(P)의 동시 픽업의 발생률이 감소될 수 있다.
공급 장치(1)에 의해 우편물(P)의 픽업 작업 중에 취급 노즐(17)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항상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송 안내부(28)를 따라 비교적 긴 우편물(P)이 픽업되는 경우에도, 만약 공기의 유동이 항상 생성되면, 우편물(P)의 후단부가 흡입 기구(13)를 통과할 때 공기가 공간(S)으로 공급될 수 있어서, 비교적 긴 우편물(P)이 후속 우편물(P)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엽서보다 긴 우편물(P)은 상대적으로 무겁고 단단한 밀봉 물질일 수 있고, 이 우편물(P)은 상술된 이유로 후속 우편물(P)과 동시에 픽업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이는 제1 실시예의 만곡 수단과 취급 수단이 비교적 작고 얇은 우편물(P)을 취급하는데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제1 실시예에서, 우편물을 취급하기 위해 우편물 픽업 방향(T)에 대 해 픽업 위치(20)의 상류에 노즐(17)을 위치시키고, 만곡 우편물(P)과 이 만곡 우편물(P)의 후단부 뒤로부터의 후속 우편물(P) 사이에 형성된 공간(S)으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공간(S')으로 주입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만약 픽업 위치(20)로부터 유인된 우편물(P)이 공간(S)을 형성하도록 만곡되어 공기가 공간(S)으로 주입되면 충분하다.
도 10은 상술된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흡입 기구(13')는 만곡 수단으로서 픽업 위치(20)로부터 안내판(51)에 눌려진 눌린 부분(56)을 포함한다. 눌린 부분(56)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 구멍(53)을 구비하고,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기의 유동(음압)을 이용하여 픽업 위치(20)로 유인된 각각의 우편물(P)을 만곡시키도록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이 변형예에서도, 픽업 위치(20)에 가장 근접한 선행 우편물(P1)과 후속 우편물(P2)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안내판(51)의 표면(52)은 픽업 위치(20)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아서, 우편물(P)을 픽업하는 작동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특히, 이 변형예에서 공간(S)이 제1 실시예에서보다 픽업 위치(20)로부터 더 떨어져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취급 노즐(17)의 말단부는 픽업 위치(20)를 향해 챔버(40)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급 장치(61)가 설명된다. 공급 장치(61)는 취급 노즐(62)이 구조 및 부착 각도에서 취급 노즐(17)과 다른 점을 제외 하고 제1 실시예의 공급 장치(1)와 사실상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요소와 유사한 요소는 상응하는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취급 노즐(62)은 각각의 우편물(P)의 표면에 사실상 직각으로 흡입 기구(13)에 의해 픽업 위치(20)로 유인된 각각의 우편물(P)에 공기를 송풍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취급 노즐(62)의 말단부는 제1 실시예의 취급 노즐(17)과 다르게 각지지 않는다. 취급 노즐(62)이 채용되는 경우, 노즐(62)의 말단부를 픽업 위치(20)로 돌출시키는 것이 필요하지 않고, 노즐(62)의 말단부가 픽업된 우편물(P)을 포획할 가능성이 없다. 그러나, 이 구조가 채용되는 경우, 흡입 기구(13)의 음압을 상쇄시키지 않도록 각각의 우편물(P)의 표면에 가해지는 취급 노즐(62)의 송풍압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취급 노즐(62)이 가능한 우편물 픽업 방향(T)에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급 노즐(62)을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행 우편물과 후속 우편물 사이의 상술한 공간(S)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하류로부터 픽업 방향(T)에 대해 공기를 송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 공기가 취급 노즐(62)을 통해 우편물(P)의 표면과 사실상 수직 방향으로 픽업 위치(20)에 위치된 우편물(P)로 송풍되는 경우, 선행 우편물의 후단부가 통과한 후 선행 우편물(P) 후속의 우편물(P)에 가해진다. 이 후속 우편물(P)에 가해진 공기는 그 표면 위로 퍼진다. 이 때, 이 퍼진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픽업 방향(T)으로 유동하고, 이에 따라 공기는 선행과 후속 우편물(P) 사이의 공간(S)으로 유동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취급 노즐(62)의 부착 위치가 약간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취급 노즐(62)의 공기 송풍 위치는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고, 이는 취급 노즐(62)의 부착 위치에서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급 장치(71)의 필수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공급 장치(71)는 다른 취급 노즐(72)이 픽업 위치(20)의 하류에 구비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2 실시예의 공급 장치(61)와 사실상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의 요소와 유사한 요소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취급 노즐(72)은 축적된 우편물(P)의 픽업 방향 전방 단부를 정렬시키기 위해 반송 안내부(27)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즉, 취급 노즐(72)은 후속 우편물(P)에 근접한 선행 우편물(P)의 표면에 이 표면에 사실상 수직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는 위치와 자세에서 픽업 방향(T)에 대해 픽업 위치의 전방 단부 근처에, 즉, 반송로(9)의 상류 단부 근처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된 취급 노즐(72)을 통해 공기가 선행 우편물(P)에 송풍되는 경우, 공기는 선행 우편물(P)의 표면 위로 퍼지고, 퍼진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도 12에서 대응하는 실선에 의해 표시된 방향(하방)으로 유동한다. 결과적으로, 공기는 선행 우편물(P)을 만곡시킴으로써 선행과 후속 우편물(P) 사이에 한정된 공간(S)으로 유동하고, 픽업 방향 전방 단부측 상에 서로 중첩된 이러한 우편물이 서 로 분리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첩된 우편물(P)이 픽업 위치(20)의 서로 다른 하류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어서, 이에 따라 2개 이상의 우편물(P)의 동시 공급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추가적인 효과 및 변형을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태양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특정 설명 및 대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의 기술사상이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취급 노즐(62) 및 취급 노즐(72)이 각각의 우편물(P)의 표면에 사실상 수직으로 구비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노즐은 우편물(P) 사이에 한정된 공간(S)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이 경우, 픽업 방향 상류측 취급 노즐(62)의 부착 각도가 각각의 우편물(P)의 표면에 사실상 수직인 각도로부터 픽업 방향(T)에 사실상 평행한 각도까지의 범위 내에 설정되면 충분하다. 유사하게, 픽업 방향 하류측 취급 노즐(72)의 부착 각도는 각각의 우편물(P)의 표면에 사실상 수직인 각도로부터 픽업 방향(T)의 반대 방향에 사실상 평행한 각도까지의 범위 내에 설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공급 장치를 합체한 분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분류 장치에 합체되고 제1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공급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2의 공급 장치에 합체된 취급 노즐 및 흡입 기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구조로부터 취급 노즐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취급 노즐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우편물의 픽업 방향에서 볼 때 얻어지는 도 2의 공급 장치의 흡입 기구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흡입 기구에 의해 선행 우편물이 픽업 위치로 유인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선행 우편물, 즉, 픽업 위치에서의 우편물만이 만곡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만곡된 선행 우편물과 선행 우편물과 중첩된 후속 우편물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흡입 기구의 변형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공급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공급 장치의 필수 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Claims (10)

  1. 직립으로 동시 수용된 복수의 지엽류를 이동시키고 지엽류 중 선행 지엽류를 픽업 위치를 향해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 기구와,
    픽업 위치를 향해 공급된 선행 지엽류와 접촉되고 그 후 회전하여 선행 지엽류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행 지엽류를 픽업하도록 구성된 픽업 기구와,
    상기 선행 지엽류가 픽업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픽업 기구가 선행 지엽류와 접촉되는 위치의 상류에, 상기 선행 지엽류를 픽업 위치로 유인하는데 사용되는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흡입 기구와,
    상기 픽업 위치로 유인된 상기 선행 지엽류를 만곡시키도록 상기 흡입 기구와 협력작용하도록 구성된 만곡 수단과,
    상기 만곡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선행 지엽류를 만곡시킴으로써 상기 선행 지엽류와 상기 선행 지엽류 상에 중첩된 후속 지엽류 사이에 형성된 간극 안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후속 지엽류로부터 선행 지엽류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취급 수단을 포함하는 지엽류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기구는 픽업 위치와 대향된 표면을 갖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을 통해 형성된 흡입 구멍과, 상기 흡입 구멍을 통해 안내판의 이면으로부터 공기를 유인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 수단은 상기 픽업 위치를 향해 상기 안내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지엽류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선행 지엽류가 픽업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그 사이에 흡입 구멍이 개재되어 서로 분리되는 지엽류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기구는 픽업 위치에 대향된 표면을 갖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을 통해 형성된 흡입 구멍과, 상기 흡입 구멍을 통해 상기 안내판의 이면으로부터 공기를 유인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 수단은 상기 픽업 위치로부터 상기 안내판을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구멍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지엽류 공급 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지엽류가 픽업되는 방향으로 상기 선행 지엽류가 지엽류 중에 가장 짧은 경우에도 선행 지엽류의 픽업 방향 후단부가 유인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흡입 구멍이 형성되는 지엽류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 수단은 상기 픽업 위치로 유인된 선행 지엽류와 상기 선행 지엽류 상에 중첩된 후속 지엽류 사이에 상기 만곡 수단에 의해 형성된 간극 안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취급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취급 노즐은 상기 선행 지엽류의 픽업 방향 후단부의 상류측으로부터 공기를 송풍하는 지엽류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 노즐은 만곡 수단에 의해 형성된 간극을 따라 형성된 얇은 배출 포트를 포함하는 지엽류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 노즐은 픽업 위치에 공급된 선행 지엽류의 표면에 수직인 제1 각도로부터 픽업 위치에 공급된 선행 지엽류의 표면에 사실상 평행한 제2 각도까지의 범위 내에 있는 각도에 위치되고, 상기 취급 노즐은 상기 제2 각도에 위치될 때 하류로 지향되는 지엽류 공급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 수단은 선행 지엽류가 픽업되는 방향에 대해 하류측으로부터 공기를 송풍하는 다른 취급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취급 노즐은 상기 만곡 수단을 사용하여 선행 지엽류를 만곡시킴으로써 선행 지엽류와 상기 선행 지엽류 상에 중첩된 후속 지엽류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지엽류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취급 노즐은 픽업 위치에 공급된 선행 지엽류의 표면에 수직인 제1 각도로부터 픽업 위치에 공급된 선행 지엽류의 표면에 사실상 평행한 제2 각도까지의 범위 내에 있는 각도에 위치되고, 상기 다른 취급 노즐은 상기 제2 각도에 위치될 때 상류로 지향되는 지엽류 공급 장치.
KR1020090060469A 2008-07-04 2009-07-03 지엽류 공급 장치 KR101109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75684 2008-07-04
JP2008175684A JP5203819B2 (ja) 2008-07-04 2008-07-04 紙葉類取り出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84A true KR20100004884A (ko) 2010-01-13
KR101109266B1 KR101109266B1 (ko) 2012-01-30

Family

ID=4113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469A KR101109266B1 (ko) 2008-07-04 2009-07-03 지엽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62544B2 (ko)
EP (1) EP2141099B9 (ko)
JP (1) JP5203819B2 (ko)
KR (1) KR101109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0812B2 (ja) * 2007-08-29 2012-06-13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2010269857A (ja) * 2009-05-19 2010-12-02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241294B1 (ko) 2011-02-01 2013-03-14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우편물의 겹침공급이 방지되는 우편물 공급장치
JP6430174B2 (ja) * 2014-08-21 2018-11-28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出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CN114476697B (zh) * 2022-01-28 2023-10-27 上海美诺福科技有限公司 板材试样分张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669A (en) * 1972-06-15 1975-01-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Apparatus for feeding sheet-like articles from a stack of articles
JPS62105949U (ko) * 1985-12-23 1987-07-06
US5722652A (en) * 1993-10-28 1998-03-0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with sheet absorb means and a conveyor controlled for forward and reverse conveying directions
EP0762227A3 (en) * 1995-09-11 1997-06-11 Xerox Corp Sheet feeder
US6702275B2 (en) * 2000-04-03 2004-03-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per-leaves separating/supply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6052083A (ja) * 2004-08-16 2006-02-23 Kyocera Mita Corp 用紙供給装置
JP2007001744A (ja) * 2005-06-24 2007-01-11 Fuji Xerox Co Ltd シート供給装置
JP2007055786A (ja) * 2005-08-26 2007-03-0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81206B2 (ja) * 2006-05-11 2012-02-22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分離取り出し装置
KR100902983B1 (ko) * 2006-05-11 2009-06-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FR2904617B1 (fr) * 2006-08-03 2008-10-10 Solystic Sas Dispositif de depilage avec un organe de soufflage escamo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1099B9 (en) 2013-08-21
JP2010013245A (ja) 2010-01-21
US7762544B2 (en) 2010-07-27
US20100001456A1 (en) 2010-01-07
KR101109266B1 (ko) 2012-01-30
JP5203819B2 (ja) 2013-06-05
EP2141099A3 (en) 2011-05-18
EP2141099B1 (en) 2013-04-24
EP2141099A2 (en)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9125B2 (ja) 紙葉類の取出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紙葉類処理装置
KR101142717B1 (ko) 종이 시트 픽업 장치
KR101109266B1 (ko) 지엽류 공급 장치
JP2008280139A (ja) 紙葉類分離取り出し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2781478B1 (en) Paper sheet pickup device and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2009227460A (ja) 紙葉類処理装置
JP5377237B2 (ja) 紙葉類取出し装置
US11319175B2 (en) Sheet fee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heet feeding device
JP4624185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4549238B2 (ja) 給紙装置
JP3531525B2 (ja) 紙葉類分離装置
JP3613048B2 (ja) 紙葉類分離装置
JP3716103B2 (ja) 紙葉類分離装置
JP2013112465A (ja) 紙葉類取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紙葉類処理装置
JP3817360B2 (ja) 紙葉類分離装置
JPH10329980A (ja) 紙葉類供給装置および紙葉類区分装置
JP2000296929A (ja) 紙葉類分離装置
JP2001158540A (ja) 紙葉類分離装置
JP2001106356A (ja) 紙葉類分離装置
JPH1087084A (ja) 紙葉類取出装置および郵便書状区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