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326A -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326A
KR20100004326A KR1020080064434A KR20080064434A KR20100004326A KR 20100004326 A KR20100004326 A KR 20100004326A KR 1020080064434 A KR1020080064434 A KR 1020080064434A KR 20080064434 A KR20080064434 A KR 20080064434A KR 20100004326 A KR20100004326 A KR 20100004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navigation
navig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419B1 (ko
Inventor
신의현
김승권
길우영
박성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4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04W4/185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by embedding added-value information into content, e.g. geo-ta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 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보제공서버가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교통 혼잡도가 반영된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의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는 복수의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의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교통정보, TPEG, 티펙, 혼잡도, 경로정보, 네비게이션, GPS, 도로정보

Description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 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Server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Thereof for Navigation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Thereof from Server of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 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전자지도 상에 위치측정장치(이하, GPS 수신기라 함)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이동체의 현재위치, 이동체의 진행방향, 목적지까지의 거리, 이동체의 현재 이동속도, 목적지까지의 최적경로 등을 표시하여 주는 등 주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이동체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갑작스런 사고의 발생으로 인한 정체나 도로의 산사태나 매몰 등에 의 한 도로통제, 각종 불심검문 등은 해당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 가장 먼저 알 수 있다.
그러나 차량에 장착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별도의 정보제공서버(TPEG 등)에서 현재 주행 중인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현재 주행 중인 도로상황을 직접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할 수는 없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현재 주행 중인 도로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이를 취합하여 다시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달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실시간으로 주행 도로구간의 혼잡도, 교통통제정보 등을 정보제공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이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이후,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주행경로를 제공 시 적용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 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제공서버가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검색된 주행경로의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하여, 상기 주행경로 상의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산출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 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는 복수의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의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베 이스에서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혼잡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고,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도로구간에 따른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에 의해 산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혼잡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주행경로를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 전달하고,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에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검색된 주행경로의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함으로써 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는 해당 주행도로에 대한 소통상황정보, 교통사고정보, 도로통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위치정보 및 목적지 정보와 함께 원하는 도착시간을 더 전달받고, 상기 현재위치 및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에 따른 주행소요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에게 최적의 출발시간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주행경로 상의 각 도로구간을 혼잡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사용자가 색상만으로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인지 가 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에 전자지도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변지도데이터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이를 상기 주행경로와 함께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설정지점 간의 실제 주행경로인 사용자테마경로를 전달받음으로써 이후,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테마경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로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도로구간에 따른 혼잡도가 반영된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어 현재위치 및 목적지 간의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행경로를 제공받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혼잡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혼잡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에 따라 지도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검색된 주행경로를 전달받으며, 이후,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정보제공서버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 보를 전달하면,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가 누적 계산되어 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는 해당 주행도로에 대한 소통상황정보, 교통사고정보, 도로통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현재 위치정보 및 목적지 정보와 함께 원하는 도착시간을 정보제공서버로 더 전달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주행경로에 따른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계산된 주행소요시간에 의한 최적의 출발시간을 제공받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주행경로 상의 각 도로구간을 혼잡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색상만으로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인지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상기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검색된 주변지도데이터를 상기 주행경로와 함께 제공받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설정지점 간의 실제주행경로인 사용자테마경로를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이후,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테마경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서버가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정보제공서버가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서, (a)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b)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의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1)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단계; 및 (2)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도로구간에 따른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도로구간에 따른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1) 복수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2)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주행경로를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 전달하는 단계; (3)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검색된 주행경로의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하여, 상기 주행경로 상의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복수의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으로서, (a)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b)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도로구간에 따른 혼잡도가 반영된 지 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어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행경로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1)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도로구간에 따른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도로구간에 대한 혼잡도를 산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1)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2)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에 검색된 주행경로를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하여 상기 주행경로 상의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산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공서버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도로구간에 따른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의 혼잡도, 교통통제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제공서버는 주행경로의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하여, 별도로 도로상에 카메라 또는 차량 이동량 측정장치 등을 설치할 필요 없 이 상기 주행경로 상의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효과적으로 산출할 수 있어 도로의 혼잡도 산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제공서버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주행경로에 따른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른 주행소요시간을 계산하여 최적의 출발시간을 제공할 수 있어 네비게이션 단말기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목적지까지 먼저 출발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제공서버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하여금 주행경로 상의 각 도로구간을 혼잡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게 함으로써 네비게이션 단말기 사용자가 색상만으로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제공서버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설정지점 간의 실제주행경로인 사용자테마경로를 전달받음으로써 이후, 타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테마경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많은 사용자가 이를 사용할 경우 이를 전달한 사용자에게 혜택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정보제공서버 등을 포함한다.
이하 구성요소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는 키입력부(12), 지도데이터베이스(16), GPS 수신기(14), 통신모듈(19) 및 표시부(18) 등을 포함한다.
상기 키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서, 통상의 키패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부(12)는 표시부와 연동될 경우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가고자 하는 목적지인 목적지 정보, 목적지에 대한 원하는 도착시간정보 등을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지도상에 특정지점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특정지점의 위치를 전자지도 상의 실제 위치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소통상황정보, 교통사고정보 또는 공사 및 산사태 등에 의한 도로통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상기 소통상황정보는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매우혼잡, 혼잡, 보통, 원활, 매우 원활 등의 단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16)는 각종 교통정보, 안내정보, 시설물정보, 도로정보 등이 격납된 전자지도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저장 공간이 마련된 PDA, PMP, 노트북 등의 단말기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는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폰과 같이 별도의 저장 공간이 없거나 협소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는 현재위치 및 목적지를 정보제공서버(20)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20)로부터 현재위치 및 목적지에 대한 주행경로 및 주변지도데이터를 함께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된다.
한편 상기 GPS 수신기(14)는 GPS 위성으로부터 네비게이션 단말기(10)의 현재위치 및 시각정보를 제공받는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19)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정보제공서버(20)와 서로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휴대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CDMA 통신모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PDA, PMP, 노트북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통신모듈(19)은 무선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모듈 또는 와이브로 모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8)는 지도정보 및 음성안내정보 등을 표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에는 주행경로를 저장하는 경로저장부(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로저장부(15)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사용자로부터 출발 시 키입력부(12)를 통해서 출발지점을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도착 시 키입력부(12)를 통해서 도착지점을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 간의 경로데이 터를 사용자테마경로로 지정하여 지도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기본적으로 지도데이터베이스(24), 경로탐색부(22) 및 통신모듈(26)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24)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의 지도데이터베이스(16)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각종 교통정보, 안내정보, 시설물정보, 도로정보 등이 격납된 전자지도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의 역할을 한다.
상기 경로탐색부(22)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로부터 전달된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된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주행경로를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경로탐색부(22)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전달한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지도데이터베이스(24)에 업데이트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전달받은 도로구간에 따른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지도데이터베이스(24)에 반영하여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행경로를 검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26)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의 통신모듈(19)과 대응되게 마련되어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경로탐색부(22)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지도데이터베이스(16)가 마련되지 않은 휴대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 들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변지도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주행경로와 함께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제공한다.
물론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지도데이터베이스(16)가 마련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경로탐색부(22)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만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경로탐색부(22)의 주행경로 검색의 다른 실시예로서,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의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검색된 주행경로의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하여, 상기 주행경로 상의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전달받은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지도데이터베이스(24)에 반영하여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행경로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탐색부(22)는 상기 주행경로 상의 각 도로구간을 혼잡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색상만으로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인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방 법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정보제공서버 간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정보제공서버(20)에 전달하게 된다(S100).
이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검색하고(S102), 상기 주행경로를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전달하게 된다(S104).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지도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지 않은 단말기일 경우,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변지도데이터를 검색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제공하게 된다(S106).
이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S108), 상기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정보제공서버(20)로 전달하게 된다(S110).
여기서 상기 (S100) 단계 내지 (S106) 단계 대신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정보제공서버(20)로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전달하지 않고, 주행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S110) 단계는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출발지가 삼성역이고 목적지가 서초역인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역삼역과 강남역의 사이를 주행 중 차량이 정체될 경우 상기 역삼역과 강남역사이의 도로구간에서 차량의 혼잡도가 높다는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정보제공서버(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상기와 같이 복수의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S112), 각 도로구간에 따른 혼잡도를 예측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이후,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고(S114), 상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 검색 시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행경로를 검색하여(S116), 검색된 주행경로를 해당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전달하여 제공할 수 있다(S118).
여기서 "이후"란 타 네비게이션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 및 목적지 정보 전달에 따른 주행경로 요청을 말한다.
물론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도로구간의 혼잡도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정보, 도로통제정보 등도 지도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이후, 네비게이션 단말기(10)의 주행경로 검색 시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행경로를 검색하여 해당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은 정보제공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주행경로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다(S120).
(실시예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방법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정보제공서버 간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현재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정보제공서버(20)에 전달하게 된다(S200).
이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검색하고(S202), 상기 주행경로를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전달하게 된다(S204).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지도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지 않은 단말기일 경우,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변지도데이터를 검색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제공하게 된다(S206).
이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의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검색된 주행경로의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하여, 상기 주행경로 상의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산출하게 된다(S208).
예컨대,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제1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역삼역 및 서초역을 각각 현재위치 및 목적지정보로 전달받고, 상기 제1네비게이션 단말기(10)에게 역삼역사거리-강남역사거리-칠성사거리-교대역사거리-법원3거리-서초역사거리의 주행경로를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제2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양재역 및 교대역을 각각 현재위치 및 목적지정보로 전달받고, 상기 제2네비게이션 단말기(10)에게 양재역사거리-뱅뱅사거리-우성사거리-강남역사거리-칠성사거리-교대역 사거리의 주행경로를 제공한다.
이후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제3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칠성사거리 및 성모병원사거리를 각각 현재위치 및 목적지정보로 전달받고, 상기 제3네비게이션 단말기(10)에게 칠성사거리-교대역사거리-법원3거리-서초역사거리-성모병원사거리의 주행경로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제1네비게이션 단말기(10) 내지 제3네비게이션 단말기(10)의 주행경로의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하게 되고, 칠성사거리-교대역사거리의 도로구간은 3회가 되고, 강남역사거리-칠성사거리의 도로구간은 2회가 되며, 나머지 구간들은 1회가 된다.
결국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주행경로의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의 누적 계산에 따라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상기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
이후,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고(S210), 상기 현재 위치 및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 검색 시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행경로를 검색하여(S212) 해당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전달하여 제공할 수 있다(S114).
여기서 상기 도로구간은 임의에 따라 특정 사거리 간의 구간을 지정할 수 있고, 절대적인 거리(예컨대 2km)를 지정할 수도 있으며, 특정 도로(예컨대 테헤란 로)를 모두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로구간은 넓게 보아 서울, 부산 등 도시단위 또는 고속도로 전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의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설정시간 간격으로 누적하고 이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도로구간의 혼잡도를 예측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들은 정보제공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주행경로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까지 주행할 수 있다(S216).
(실시예 3)
여기서 상기 S110, S114, S200, S2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원하는 도착시간을 함께 정보제공서버(20)로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주행경로에 따른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른 주행소요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에게 최적의 출발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역삼역 및 서초역을 각각 현재위치, 목적지정보 및 원하는 도착 시간을 오후 9시 50분을 전달받고, 역삼역 및 서초역에 대한 주행경로에 따른 주행소요시간이 50분이라면 9시를 네비게이션 단말기(10)에게 최적의 출발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경로에 따른 주행소요시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로 구간별 혼잡도를 이용하여 계산하게 된다.
(실시예 4)
한편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S104, S114, S204, S214 단계에서 주행경로 상의 각 도로구간을 혼잡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네비게이션 단말기(10) 사용자가 전자지도 상의 도로구간별 색상만으로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인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매우 혼잡한 도로구간은 적색, 약간 혼잡한 도로구간은 노랑색, 소통이 원활한 구간은 녹색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특정 지점 예컨대, 일산호수공원에서 경포대까지 주행하고, 상기 일산호수공원에서 경포대까지의 주행경로를 저장한 사용자테마경로를 상기 정보제공서버(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제공서버(20)는 이후,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 하여금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가 전달한 상기 사용자테마경로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방법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정보제공서버 간의 데이터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방법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정보제공서버 간의 데이터 흐름도.

Claims (22)

  1. 복수의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의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고,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도로구간에 따른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에 의해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 를 지도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주행경로를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 전달하고,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에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검색된 주행경로의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함으로써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는 해당 주행도로에 대한 소통상황정보, 교통사고정보, 도로통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위치정보 및 목적지 정보와 함께 원하는 도착시간을 더 전달받고,
    상기 현재위치 및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에 따른 주행소요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에게 최적의 출발시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주행경로 상의 각 도로구간을 혼잡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사용자가 색상만으로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인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에 전자지도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변지도데이터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이를 상기 주행경로와 함께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설정지점 간의 실제 주행경로인 사용자테마경로를 전달받음으로써 이후,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테마경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 하는 정보제공서버.
  9.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로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도로구간에 따른 혼잡도가 반영된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어 현재위치 및 목적지 간의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행경로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도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에 따라 지도데이 터베이스 기반으로 검색된 주행경로를 전달받으며,
    이후,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정보제공서버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하면,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가 누적 계산되어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는 해당 주행도로에 대한 소통상황정보, 교통사고정보, 도로통제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현재 위치정보 및 목적지 정보와 함께 원하는 도착시간을 정보제공서버로 더 전달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주행경로에 따른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따라 계산된 주행소요시간에 의한 최적의 출발시간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주행경로 상의 각 도로구간을 혼잡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색상만으로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인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상기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검색된 주변지도데이터를 상기 주행경로와 함께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설정지점 간의 실제주행경로인 사용자테마경로를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이후,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테마경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7. 정보제공서버가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b)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의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가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1)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단계; 및
    (2)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도로구간에 따른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도로구간에 따른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가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1) 복수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2)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의 주행 경로를 지도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주행경로를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 전달하는 단계;
    (3)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검색된 주행경로의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하여, 상기 주행경로 상의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버가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0. 복수의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으로서,
    (a)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b)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도로구간에 따른 혼잡도가 반영된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어 혼잡도가 낮은 도로구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행경로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1)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현재 주행 중인 도로구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받은 도로구간에 따른 사용자 입력 교통정보를 이용하 여 도로구간에 대한 혼잡도를 산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1)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정보제공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2)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현재위치와 목적지 간에 검색된 주행경로를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정보제공서버가 기 설정 주기의 설정 시간 동안 네비게이션 단말기들이 선택한 현재위치와 목적지에 따라 도로구간 별 전달횟수를 누적 계산하여 상기 주행경로 상의 도로구간별 혼잡도를 산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방법.
KR1020080064434A 2008-07-03 2008-07-03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방법 KR100978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34A KR100978419B1 (ko) 2008-07-03 2008-07-03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34A KR100978419B1 (ko) 2008-07-03 2008-07-03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26A true KR20100004326A (ko) 2010-01-13
KR100978419B1 KR100978419B1 (ko) 2010-08-26

Family

ID=4181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434A KR100978419B1 (ko) 2008-07-03 2008-07-03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608A (ko) * 2013-04-12 2014-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전 지원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20160075142A (ko) *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케이티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661B1 (ko) * 2012-12-11 2014-06-09 현대건설주식회사 차량내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530824B1 (ko) 2021-02-10 2023-05-09 이도훈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내비게이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840B1 (ko) * 2006-03-31 2008-04-07 (주)더싸인 교통정보 수집 및 수신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네비게이션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608A (ko) * 2013-04-12 2014-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전 지원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US9197705B2 (en) 2013-04-12 201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riv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of
KR20160075142A (ko) *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케이티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419B1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9018B (zh) 用于提供所关注点信息的方法及设备
KR20150021857A (ko) 교통 신호등 정보를 활용한 차량용 항로 결정 방법
KR101087725B1 (ko) 실시간 교통정보 측정·도로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EP1582841B1 (en) Route search server, system and method
KR100839540B1 (ko) 실시간 교통 정보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그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JP4246250B1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探索方法
JP5047920B2 (ja) 経路情報配信システム、経路情報案内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情報配信方法
JP5708230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サーバ装置
JP4018345B2 (ja) 渋滞情報提供システム、渋滞情報提供装置に用いられるサーバ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978419B1 (ko)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방법
KR100471303B1 (ko) 주차장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40144043A (ko) 차로변경행태를 고려한 안전운전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JP2012137833A (ja) 渋滞情報生成装置、渋滞情報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62659B2 (ja) 電子装置
JP4436891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KR20170046929A (ko)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080068215A (ko) 속도에 따른 주행상태 감지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100529016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JP2007303951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JP2009210532A (ja) 地図表示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KR20140098970A (ko) 도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6084257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端末装置、センタ装置
KR20120097149A (ko) 차량간 실시간 교통정보 공유방법
KR20100074540A (ko) 주차장 위치 표시 장치 및 방법
JP542271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