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001A -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001A
KR20100004001A KR1020080064081A KR20080064081A KR20100004001A KR 20100004001 A KR20100004001 A KR 20100004001A KR 1020080064081 A KR1020080064081 A KR 1020080064081A KR 20080064081 A KR20080064081 A KR 20080064081A KR 20100004001 A KR20100004001 A KR 20100004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terminal
data
peripher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704B1 (ko
Inventor
유상규
유준선
Original Assignee
유상규
유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8006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704B1/ko
Application filed by 유상규, 유준선 filed Critical 유상규
Priority to CN200980126022XA priority patent/CN102089747A/zh
Priority to CA2766915A priority patent/CA2766915A1/en
Priority to JP2011516146A priority patent/JP5829519B2/ja
Priority to EP09773726A priority patent/EP2312446A4/en
Priority to MX2011000118A priority patent/MX2011000118A/es
Priority to RU2012102325/08A priority patent/RU2494449C1/ru
Priority to PCT/KR2009/003590 priority patent/WO2010002190A2/ko
Priority to US13/000,439 priority patent/US20110113165A1/en
Priority to AU2009266567A priority patent/AU2009266567B2/en
Publication of KR2010000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05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by remotely controlling devic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단말 장치와 제 2단말 장치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여 이용하는 단말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말 장치는,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단독으로 직접 제어하여 제 2단말 장치의 기능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제 1단말 장치의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 2단말 장치와 유선 접속하는 접속 수단; 유선 접속한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제 1단말 장치의 데이터를 제 2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변환하는 송신 에뮬레이터 수단; 및 제 2단말 장치의 입력 데이터를 제 1단말 장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신 에뮬레이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단말 장치와 제 2단말 장치가 상호 연결되어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자신의 주변 장치로 이용하고 제 2단말 장치에서 비사용 중인 자원은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제 2단말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절감한다.

Description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A terminal unit using a peripheral device of the other terminal by control of one terminal and an interfa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종 또는 동종의 단말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제 1단말이 연결된 제 2단말의 주변장치를 제어하여 제 2단말의 출력 기능 또는 입력 기능을 이용하는 동안 제 2단말의 이용 중인 주변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장치들은 휴면 상태로 들어가 제 2단말의 전력 소비를 절감시키는 단말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2개의 단말이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2개의 단말 모두는 CPU가 가용 상태에 있게 된다. 데이터 출력 기능을 예로 들면, 제 1단말 장치는 제 2단말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 2단말 장치는 전송받은 출력 데이터를 자신의 주변 장치로 출력한다. 그리고 데이터 입력 기능을 예로 들면, 제 2단말 장치는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그 입력 데이터를 제 1단말 장치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2개의 단말이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장치를 이용할 경우 양측의 하드웨어 자원은 모두 가용 상태로 존재하여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제 1단말 장치가 소형이기에 상대적으로 대형인 제 2단말 장치의 출력 장치와 입력 장치를 이용하고자 제 1단말 장치와 제 2단말 장치를 유선으로 상호 접속하는 경우, 제 2단말 장치는 보유하고 있는 자원 중 일부 주변 장치만을 제 1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로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제 2단말 장치의 모든 자원을 가용 상태로 대기시키고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2개의 독립 단말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이용할 때,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직접 제어하고, 제 2단말 장치에서 제 1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주변 장치 이외의 자원은 휴면 상태(idle state, sleep state)로 전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 따르면,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단독으로 직접 제어하여 제 2단말 장치의 영상 출력 기능, 음성 출력 기능 또는 데이터 입력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 1단말 장치의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 2단말 장치와 유선 접속하는 접속 수단; 유선 접속한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접속 수단을 통하여 제 1단말 장치의 데이터를 제 2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변환하는 송신 에뮬레이터 수단; 및 상기 접속 수단을 통하여 전송받은 제 2단말 장치의 입력 데이터를 제 1단말 장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신 에뮬레이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상기 접속 수단이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될 경우, 제 2단말 장치의 기종 및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 나 이상의 주변 장치를 자동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송신 에뮬레이터 수단 및 수신 에뮬레이터 수단이 자동 감지한 제 2단말 장치의 기종 및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자동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상기 접속 수단을 통하여 제 2단말 장치가 접속될 때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자동 설치 또는 구동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경우, 인터넷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고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아이들(idle) 버튼을 구비하고, 제 1단말 장치와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들 버튼이 온(on)되면, 제 1단말 장치에서 이용하는 주변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자원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이기종의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제 1단말 장치의 키 버튼 입력 화면을 제 2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 2단말 장치의 화면을 통하여 제 1단말 장치의 키 입력 방식과 동일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제 2단말 장치와 유선 연결된 상태에서,
제 2단말 장치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내장 배터리(battery)를 충전받는 기능; 및 제 2단말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제 2단말 장치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따르면,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단독으로 직접 제어하여 제 2단말 장치의 영상 출력 기능, 음성 출력 기능 또는 데이터 입력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S11)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상기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상기 제 2단말 장치의 기종과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를 자동 감지하는 단계; (S12)상기 제 2단말 장치의 아이들 버튼이 온(on)되면, 상기 제 2단말 장치가 상기 제 1단말 장치에서 이용하는 주변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자원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S13)상기 제 1단말 장치가 화면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영상 출력 데이터를 상기 제 2단말 장치의 영상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 2단말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단계; (S14)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음성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음성 출력 데이터를 상기 제 2단말 장치의 음성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 2단말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S15)상기 제 2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상기 제 2단말 장치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상기 제 1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로 변환한 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은, 제 1단말 장치와 제 2단말 장치가 상호 연결되어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그 주변 장치의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또는 데이터 입력 기능을 이용할 때 제 2단말 장치에서 비사용 중인 자원은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제 2단말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절감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1.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 2)의 기술 모델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처리 장치(예 : CPU), 저장 장치(예 : 메모리, 디스크), 출력 장치(예 : 모니터, 스피커) 및 입력 장치(예 : 키보드, 키버튼)를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예를 들면, 노트북 PC, 데스크탑 PC는 물론이며, 이동통신단말, PDA, UMPC, PMP, MP3,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DMB 단말, 내비게이션 단말, TV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접속된 다른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측을 제 1단말 장치(1)라 하고 제 1단말 장치(1)의 제어에 따라 자신이 보유한 주변 장치를 이용하게 하는 측을 제 2단말 장치(2)라 한다. 나아가, 제 1단말 장치(1)는 소형 단말이고, 제 2단말(2)은 제 1단말 장치(2)보다 상대적으로 화면 출력 장치 및 입력 장치가 더 큰 단말로 가정한다. 즉, 제 1단말 장치(1)가 제 2단말 장치(2)의 주변 장치 를 직접 제어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물론, 역으로 제 1단말 장치(1)가 대형 단말이고 제 2단말 장치(2)가 소형 단말일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단말 장치(1)가 노트북인데 모니터가 고장난 경우, 불편하지만 임시 방편으로 제 2단말 장치(2)인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을 이용하여 노트북 작업을 하는 것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 1단말 장치(1)가 동종 또는 이종의 제 2단말 장치(2)와 연결되어, 제 1단말 장치(1)가 제 2단말 장치(2)의 주변 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자신의 주변 장치처럼 이용한다. 제 1단말 장치(1)는 제 2단말 장치(2)의 주변 장치가 보유한 영상 출력 기능, 음성 출력 기능 또는 데이터 입력 기능을 이용한다. 즉, 제 1단말 장치(1)의 사용자는 제 2단말 장치(2)를 이용하여 제 1단말 장치(1)의 영상 데이터를 제 2단말 장치(2)의 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제 2단말 장치(2)에서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 2단말 장치(2)로부터 전송받는다.
바람직하게, 제 1단말 장치(1)가 제 2단말 장치(2)의 주변 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이용할 때 제 2단말 장치는 제 1단말 장치(1)가 이용하는 기능에 따라서 대응하는 일부 자원만 이용되며 나머지 자원은 이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단말 장치(2)에서는 제 1단말 장치(1)가 이용하는 자원으로만 전력을 공급하며 비이용되는 자원으로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단말 장치의 중앙 제어 장치(예 : CPU, MCU)는 아이들(idle) 상태로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이상의 기술 모델에 따른 단말 장치(2)의 사용 환경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가 보다 확대된 화면에서 이용하고 싶으면, 노트북과 연 결한다. 연결이 완료되는 순간 이동통신단말의 액정 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영상은 노트북의 모니터에서 동일하게 표시되고, 사용자가 노트북 키보드에서 입력하는 모든 입력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로 전달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반영하여 변경되는 이동통신단말의 화면 데이터는 다시 노트북 모니터로 전달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라면 노트북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입력 화면에서 노트북 키보드 입력을 통하여 문자를 작성하고 그 입력 데이터는 노트북 키보드로부터 제 1단말 장치(1)가 수신한다. 물론, 문자 메시지 작성 중에 이동통신단말이 통화호를 수신하면, 노트북의 모니터 화면이 통화호 수신 도착을 알리는 화면으로 전환한다.
바람직하게, 제 1단말 장치(1)와 제 2단말 장치(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 1단말 장치(1)의 제어에 따라서 일측이 타측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예에서, 이동통신단말이 제 1단말 장치(1)로서 노트북을 제어하며 연결된 경우, 이동통신단말이 노트북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은 콘센트 접속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일 수 있고, 콘센트 접속없이 내장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노트북 측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동일하게, 이동통신단말의 제어하에 노트북의 내장 배터리가 보유한 전원 또는 외부 콘센트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이동통신단말이 공급받아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단말 장치(1)와 제 2단말 장치(2)에서의 데이터 변환 및 통신을 위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1단말 장치(1)는 제 1단말 장치(11)를 제어하며 동시에 제 2단 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1), 제 2단말 장치(2)로 전송할 데이터를 제 2단말 장치(2)의 포맷에 맞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송신 에뮬레이터 수단(12), 제 2단말 장치(2)로부터 전송받은 입력 데이터를 제 1단말 장치(1)의 포맷에 맞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수신 에뮬레이터 수단(13) 및 제 2단말 장치(2)와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단말 장치(2)는 제 1단말 장치(1)와 연결되는 접속 수단(24)과 제 1단말 장치(1)가 이용하는 주변 장치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나머지 이용되지 않는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아이들 버튼(idle button)(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단말 장치(2)에서 아이들 버튼(25)이 스위치 온되면, 화면 출력 장치(201), 음성 출력 장치(202) 및 데이터 입력 장치(203)의 이용을 위한 자원을 제외한 제 2단말 장치(2)의 비이용 자원은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상기 제 1단말 장치(1)와 제 2단말 장치(2)의 구성 요소를 모두 구비한다. 그래야만 타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타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 제 1단말 장치(1)로서 기능하고, 타 단말 장치로부터 제어를 받는 경우 제 2단말 장치(2)로서 기능한다.
도 3은 도 2의 제 1단말 장치(1)에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제 2단말 장치 감지 수단(15)은 제 1단말 장치(1)가 제 2단말 장치(2)와 접속되면 자동으로 제 2단말 장치(2)의 기종을 감지하고, 이용 가능한 주변 장치를 감지한다.
드라이브 설치 구동 수단(16)은 자동 감지한 제 2단말 장치(2)의 기종과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미설치된 경우는 설치 후 구동하며 제 1단말 장치(1)에 인터넷 기능이 있는 경우 인터넷 접속하여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 설치한다.
이상에서 제 2단말 장치(2)의 기종과 주변 장치의 정보가 파악되면, 이들 간의 특성에 따라서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이 결정되고, 송신 에뮬레이터 수단(12) 및 수신 에뮬레이터 수단(13)은 결정된 데이터 포맷 변환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단말 장치(1)가 제 2단말 장치(2)의 화면 출력 장치(201)를 이용하는 경우, 그 화면 출력 장치(201)의 특성에 따라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속성을 파악하여 제 1단말 장치(1)의 영상 출력 데이터를 제 2단말 장치(2)의 화면 출력 장치(201)가 출력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충전 관리 수단(17)은 제 1단말 장치(1)의 제어에 따라서, 제 1단말 장치(1)가 제 2단말 장치(2)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제 2단말 장치(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 1단말 장치(1)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을 제공하는 측은 외부 콘센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내장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할 수 있음을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이상의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단말 장치(1, 2)를 구성하는 개별 구성 요소들의 상세한 기능과 동작은 후술하는 단말 장치(1, 2)의 확장 인터페이스 방법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단말 장치(2)에서 표시하는 제 1단 말 장치(1)의 키 입력 창(301)을 예시한다.
제 1단말 장치(1)가 이동통신단말로서 제 2단말 장치(2)인 노트북과 연결된 경우, 이동통신단말은 전용의 기능을 바로 실행하는 전용키를 입력 장치에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메뉴 버튼, 무선 인터넷 접속 버튼, 발신 버튼, 확인 버튼, 종료 버튼 등이다. 이러한 전용키는 노트북(2)의 키보드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때문에,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 2단말 장치(2)에서 제 1단말 장치(1)의 전용키 버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 2단말 장치(2)로 제 1단말 장치(1)의 키 입력 창(301)을 제공한다. 도 4에서는 노트북(2)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이동통신단말의 키 입력 창(301)을 도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 입력 창(301)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1)의 입력 방식과 동일하게 전용키를 입력할 수 있다.
<2. 방법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은 전술한 단말 장치(1, 2)의 구축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 2)의 인터페이스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다.
제 1단말 장치(1)의 사용자가 제 2단말 장치(2)의 주변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접속 수단(14, 24)에 연결선을 연결한다.
제 1단말 장치(1)의 제 2단말 장치 감지 수단(15)은 접속된 제 2단말 장 치(2)의 기종 및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를 자동으로 감지한다(S11). 자동 감지에 따라서, 드라이브 설치 구동 수단(16)은 이용하고자 하는 제 2단말 장치(2)의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미설치된 경우 당해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 후 실행한다(S111). 만약, 제 1단말 장치(1)가 인터넷 접속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면 드라이브 프로그램 설치를 위하여 웹 검색을 통하여 다운로드받고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는 제 1단말 장치(1)의 제어를 받고 있는 제 2단말 장치(2)의 전력 소비를 절약하기 위하여 제 2단말 장치(2)의 아이들 버튼(25)을 스위치 온 하면, 제 2단말 장치(2)는 제 1단말 장치(1)가 이용하는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S12).
이후, 상호 연결된 제 1단말 장치(1)와 제 2단말 장치(2) 사이에서 제 1단말 장치(1)의 영상 출력 기능, 음성 출력 기능 및 데이터 입력 기능은 제 1단말 장치(1)가 제 2단말 장치(2)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여 그 주변 장치에서 기능한다.
제 1단말 장치(1)에서 화면 출력하는 경우, 송신 에뮬레이터 수단(12)은 자동 감지한 제 2단말 장치(2)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 1단말 장치(1)의 영상 출력 데이터를 제 2단말 장치(2)에 대응하는 영상 출력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접속 수단(14)을 통하여 제 2단말 장치(2)로 전송한다(S13).
제 1단말 장치(1)에서 음성 출력하는 경우, 송신 에뮬레이터 수단(12)은 제 1단말 장치(1)의 음성 출력 데이터를 자동 감지한 제 2단말 장치(2)의 음성 출력 장치(202)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전송한다(S14). 제 1단말 장 치(1)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단계(13) 및 단계(14)를 병행적으로 실행한다.
그리고 외부 제 2단말 장치(2)로부터 데이터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수신 에뮬레이터 수단(13)은 제 2단말 장치(2)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제 1단말 장치(1)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 1단말 장치(1)는 그 입력 데이터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추가적 내구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단말 장치에서 표시하는 제 1단말의 키 입력 창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의 순서도.

Claims (13)

  1.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단독으로 직접 제어하여 제 2단말 장치의 영상 출력 기능, 음성 출력 기능 또는 데이터 입력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 1단말 장치의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 2단말 장치와 유선 접속하는 접속 수단;
    유선 접속한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접속 수단을 통하여 제 1단말 장치의 데이터를 제 2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변환하는 송신 에뮬레이터 수단; 및
    상기 접속 수단을 통하여 전송받은 제 2단말 장치의 입력 데이터를 제 1단말 장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신 에뮬레이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상기 접속 수단이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될 경우, 제 2단말 장치의 기종 및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를 자동 감지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여, 송신 에뮬레이터 수단 및 수신 에뮬레이터 수단이 자동 감 지한 제 2단말 장치의 기종 및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자동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상기 접속 수단을 통하여 제 2단말 장치가 접속될 때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자동 설치 또는 구동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경우, 인터넷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고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아이들(idle) 버튼을 구비하고,
    제 1단말 장치와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들 버튼이 온(on)되면, 제 1단말 장치에서 이용하는 주변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자원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이기종의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제 1단말 장치의 키 버튼 입력 화면을 제 2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 2단말 장치의 화면을 통하여 제 1단말 장치의 키 입력 방식과 동일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제 2단말 장치와 유선 연결된 상태에서,
    제 2단말 장치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내장 배터리(battery)를 충전받는 기능; 및
    제 2단말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제 2단말 장치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단말 장치가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단독으로 직접 제어하여 제 2단말 장치의 영상 출력 기능, 음성 출력 기능 또는 데이터 입력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이용하 는 단말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S11)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상기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상기 제 2단말 장치의 기종과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를 자동 감지하는 단계;
    (S12)상기 제 2단말 장치의 아이들 버튼이 온(on)되면, 상기 제 2단말 장치가 상기 제 1단말 장치에서 이용하는 주변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자원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S13)상기 제 1단말 장치가 화면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영상 출력 데이터를 상기 제 2단말 장치의 영상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 2단말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단계;
    (S14)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음성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음성 출력 데이터를 상기 제 2단말 장치의 음성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 2단말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S15)상기 제 2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상기 제 2단말 장치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상기 제 1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로 변환한 후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3) 내지 상기 단계(15)중 어느 한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자동 감지한 제 2단말의 기종 및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자동 변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1)는,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제 2단말 장치와 접속할 때 제 2단말 장치의 주변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자동 설치 또는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경우, 인터넷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고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 장치가 이기종의 제 2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제 1단말 장치의 키 버튼 입력 화면을 제 2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 2단말 장치의 화면을 통하여 제 1단말 장치의 키 입력 방식과 동일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 장치는,
    제 2 단말 장치와 유선 연결된 상태에서,
    제 2단말 장치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내장 배터리(battery)를 충전받는 기능; 및
    제 2단말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제 2단말 장치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80064081A 2008-07-02 2008-07-02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 KR10096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081A KR100962704B1 (ko) 2008-07-02 2008-07-02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
CA2766915A CA2766915A1 (en) 2008-07-02 2009-07-01 Terminal apparatus using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JP2011516146A JP5829519B2 (ja) 2008-07-02 2009-07-01 一側端末の制御によって他端末の周辺装置を利用する端末装置及びその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EP09773726A EP2312446A4 (en) 2008-07-02 2009-07-01 DEVICE DEVICE USING A PERIPHERAL DEVICE OF ANOTHER DEVICE THROUGH THE CONTROL OF A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FOR
CN200980126022XA CN102089747A (zh) 2008-07-02 2009-07-01 通过一侧终端的控制利用另一终端的周边装置的终端装置以及其接口方法
MX2011000118A MX2011000118A (es) 2008-07-02 2009-07-01 Aparato terminal que utiliza un aparato periferico de otra terminal via el control de una terminal, y metodo de interconexion de los mismos.
RU2012102325/08A RU2494449C1 (ru) 2008-07-02 2009-07-01 Терминал, использующий перифери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ругого терминала под управлением первого терминала, и способ их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PCT/KR2009/003590 WO2010002190A2 (ko) 2008-07-02 2009-07-01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
US13/000,439 US20110113165A1 (en) 2008-07-02 2009-07-01 Terminal apparatus usign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AU2009266567A AU2009266567B2 (en) 2008-07-02 2009-07-01 Terminal apparatus using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081A KR100962704B1 (ko) 2008-07-02 2008-07-02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001A true KR20100004001A (ko) 2010-01-12
KR100962704B1 KR100962704B1 (ko) 2010-06-11

Family

ID=4146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081A KR100962704B1 (ko) 2008-07-02 2008-07-02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113165A1 (ko)
EP (1) EP2312446A4 (ko)
JP (1) JP5829519B2 (ko)
KR (1) KR100962704B1 (ko)
CN (1) CN102089747A (ko)
AU (1) AU2009266567B2 (ko)
CA (1) CA2766915A1 (ko)
MX (1) MX2011000118A (ko)
RU (1) RU2494449C1 (ko)
WO (1) WO20100021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6981B2 (en) * 2011-07-15 2021-04-13 Vmware, Inc. Remote desktop exporting
PL2812443T3 (pl) 2012-02-06 2020-01-31 Inhibrx, Inc. Przeciwciała CD47 i sposoby ich zastosowania
US10048497B1 (en) 2014-05-13 2018-08-14 Intuit Inc. Secure pairing of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s
JP6040970B2 (ja) * 2014-08-22 2016-12-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方法、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8306A (en) * 1983-09-06 1986-12-09 South Coast Research, Inc.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ed equipment
US5280628A (en) * 1992-01-15 1994-01-18 Nitsuko Corporation Interruption controlling system using timer circuits
US5634069A (en) * 1994-01-28 1997-05-27 Vlsi Technology, Inc. Encoding assertion and de-assertion of interrupt requests and DMA requests in a serial bus I/O system
US6065679A (en) * 1996-09-06 2000-05-23 Ivi Checkmate Inc. Modular transaction terminal
JPH1091552A (ja) * 1996-09-17 1998-04-10 Nec Software Ltd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周辺装置共有方法
JPH10340199A (ja) * 1997-06-09 1998-12-22 Nec Shizuoka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6405049B2 (en) * 1997-08-05 2002-06-11 Symbol Technologies, Inc. Portable data terminal and cradle
US6813650B1 (en) * 1999-10-26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ode non-standard universal serial bus computer input device
US20010034803A1 (en) * 2000-02-10 2001-10-25 Alst Technical Excellence Center Connecting a hand-held device to peripheral devices
US6775726B2 (en) * 2001-08-28 2004-08-10 Sunrise Telecom Incorporated Serial unit identification
US7330919B2 (en) * 2001-11-09 2008-02-12 Aten Technology, Inc. Television with integrated asynchronous/synchronous KVMP signal switch for console and peripheral devices
US7600222B2 (en) * 2002-01-04 2009-10-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rivers in a computing system
JP2003316490A (ja) * 2002-04-26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遠隔操作方法
US7363363B2 (en) * 2002-05-17 2008-04-22 Xd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universal stateless digital and computing services
US7689724B1 (en) * 2002-08-16 2010-03-3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from a device between multiple computers
US20040103235A1 (en) * 2002-11-27 2004-05-27 Pei-Chung Liu USB based terminal device
JP2004287960A (ja) * 2003-03-24 2004-10-14 Fuji Photo Film Co Ltd ホスト/ファンクション装置
KR101000674B1 (ko) * 2003-05-28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와 동기하는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US20060177019A1 (en) * 2003-06-07 2006-08-10 Vladimir Portnykh Apparatus and method for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multimedia data on a recording medium
JP2005051578A (ja) * 2003-07-30 2005-02-24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121778B1 (ko) * 2004-01-06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으로 영상기기 주변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4601330B2 (ja) * 2004-05-25 2010-12-2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119929A (ko) * 2004-06-17 2005-12-22 김철호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19898B1 (ko) * 2004-08-24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장치 감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09498B1 (ko) * 2004-11-10 2006-08-09 주식회사 잉카솔루션 대기전력 제어장치
KR20060099818A (ko) * 2005-03-15 2006-09-20 엘지노텔 주식회사 멀티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법
JP2006287628A (ja) * 2005-03-31 2006-10-19 Fujitsu Component Ltd 携帯機器システムの充電方法及び携帯機器システム並びに携帯機器
US20070005839A1 (en) * 2005-06-30 2007-01-04 Foehringer Richard B Port expander device and method
US8024500B2 (en) * 2005-08-15 2011-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Universal peripheral connector
RU56028U1 (ru) * 2006-02-27 2006-08-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варта Технологи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преобразованием форматов файлов
KR100807102B1 (ko) * 2006-06-13 2008-02-26 한국과학기술원 컴퓨터 단말기의 주변 기기를 통하여 통신 단말기의 입출력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에뮬레이터 모듈 및 상기 모듈의동작 방법
US20080140867A1 (en) * 2006-12-11 2008-06-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non-disruptively disconnecting a peripheral device
TWI333149B (en) * 2007-05-11 2010-11-11 Asustek Comp Inc Driving device for extension card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therboard
US7899968B2 (en) * 2007-07-26 2011-03-01 Akros Silicon Inc. USB integrated bidirectional digital isolator channel across an interface between two USB devices
US7769940B2 (en) * 2008-02-13 2010-08-03 Belkin International, Inc. Switching device configured to couple a first computer to a first peripheral device and one or more second peripheral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586089B2 (ja) * 2008-10-10 2010-11-2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システム、ホスト装置及び端末装置
TWM365529U (en) * 2009-04-03 2009-09-21 Genesys Logic Inc Data access apparatus and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2190A3 (ko) 2010-04-22
CA2766915A1 (en) 2010-01-07
JP5829519B2 (ja) 2015-12-09
EP2312446A2 (en) 2011-04-20
JP2011526717A (ja) 2011-10-13
RU2012102325A (ru) 2013-07-27
WO2010002190A2 (ko) 2010-01-07
CN102089747A (zh) 2011-06-08
EP2312446A4 (en) 2012-11-28
US20110113165A1 (en) 2011-05-12
AU2009266567B2 (en) 2012-08-23
MX2011000118A (es) 2011-05-19
KR100962704B1 (ko) 2010-06-11
AU2009266567A1 (en) 2010-01-07
RU2494449C1 (ru)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354B1 (ko)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usb) 원격 웨이크업
US11604506B2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US9241357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20096864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
KR20120096858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원격 시동
US20110185204A1 (en) Control of accessory components by portable computing device
JP2008061111A (ja) 電子機器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US20110267282A1 (en) Wireless human machine interface apparatus, cloud computing system and portable computer
US8484499B2 (en) Applying low power enablement of computing devices to process VoIP phone calls
KR100962704B1 (ko)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
US200700837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US20070129044A1 (en) Power Saving System
CN109688393B (zh) 一种投屏控制方法及第一电子设备
TW201018132A (en) Power saving control method for wireless LAN
KR20110121435A (ko) WiFi와 이동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040095510A (ko) 컴퓨터
KR101485154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의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CN113220106A (zh) 省电控制方法和省电控制装置
KR100452844B1 (ko)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H10133788A (ja) 電源制御機能付き無線型情報入力装置
CN106033358B (zh) 一种应用程序的批量安装方法和装置
CN211655786U (zh) 电子设备及移动电源
CN109445566B (zh) Otg节电处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0758634B1 (ko)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JP3679650B2 (ja) 携帯情報機器、携帯情報機器ステーション、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