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634B1 -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634B1
KR100758634B1 KR1020060068250A KR20060068250A KR100758634B1 KR 100758634 B1 KR100758634 B1 KR 100758634B1 KR 1020060068250 A KR1020060068250 A KR 1020060068250A KR 20060068250 A KR20060068250 A KR 20060068250A KR 100758634 B1 KR100758634 B1 KR 100758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hold
input
constant voltage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우
김학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634B1/ko
Priority to US11/642,832 priority patent/US915460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3On hold, intercom or transfer communication mod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상태에서 홀드 키(hold key) 입력시 이동단말 제어부의 범용 입출력단자(General Purpose Input/Output port)와 소정의 정전압 전원부를 일시 접속시켜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에서의 전압변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동단말 제어부가 하드웨어적 구성에 의해 홀드 키 입력을 인식하여 홀드기능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에 있어서, 범용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이동단말 제어부; 소정의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정전압 전원부;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와 상기 정전압 전원부를 일시적으로 접속시켜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의 전압변동을 발생시키는 홀드 키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단말 제어부는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의 전압변동을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범용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제어부를 갖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상태에서, 상기 범용 입출력 단자의 전압변동 여부를 감지하는 제 2단계; 상기 범용 입출력 단자의 전압변동을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 키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3단계; 상기 홀드 키 입력을 인식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기능을 해제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 제어부가 홀드기능 해제명령을 하드웨어적 구성에 의해 인식하므로, 홀드기능 해제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 신호처 리시간이 소모되지 않고, 그에따라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해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홀드 키, 정전압 전원부, 범용 입출력단자

Description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hold mode of a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 키 패드 입력 인식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홀드 키입력 인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상태에서 홀드 키(hold key) 입력시 이동단말 제어부의 범용 입출력단자(General Purpose Input/Output port)와 소정의 정전압 전원부를 일시 접속시켜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에서의 전압변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동단말 제어부가 하드웨어적 구성에 의해 홀드 키 입력을 인식하여 홀드기능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의 홀드 키라 함은, 이동단말 이용 중 키 패드 단자의 입력이 무효로 되도록 하는 키 보호 기능(홀드기능)을 설정하는 키 패드단자를 말 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이동단말의 키 패드 입력 인식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 이동단말 대기상태(power-on)에서, 이동단말 사용자가 이동단말 키 입력부(115)의 임의의 키를 입력하면 이동단말 제어부(119)는 임의의 키 패드 단자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한다. 특히, 3x4 어레이(array)구조의 12개 문자숫자키(alphanemeric key) 중 하나를 홀드 키(hold key)(115a)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12개 단자 중 어느 특정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이동단말 제어부(119)가 판단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즉, 이동단말 제어부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3x4 어레이(array)구조의 12개 단자 중 특정 키 입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인 신호처리과정을 거치므로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더욱이, 이동단말 홀드기능 설정상태에서 홀드 기능 해제를 위해 홀드 키(115a) 또는 임의의 키를 입력하면, 이동단말 제어부(119)가 상기 키 입력이 홀드기능 해제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홀드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 판별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따른 시간지연(약 4초~5초)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단말의 홀드 키 입력시 범용 입출력부와 정전압 전원부를 전기회로적으로 연결시켜 이동단말 제어부가 홀드 키 단자의 입력을 하드웨어적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홀드기능 설정상태 해제를 위한 홀드 키 단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에 있어서, 범용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이동단말 제어부; 소정의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정전압 전원부;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와 상기 정전압 전원부를 일시적으로 접속시켜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의 전압변동을 발생시키는 홀드 키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단말 제어부는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의 전압변동을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범용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제어부를 갖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상태에서, 상기 범용 입출력 단자의 전압변동 여부를 감지하는 제 2단계; 상기 범용 입출력 단자의 전압변동을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 키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3단계; 상기 홀드 키 입력을 인식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기능을 해제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은 카메라 촬영기능, 이동통신기능 또는 방송수신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제어부(211), 정전압 전원부(213), 키 입력부(215), 홀드 키 단자(215a), 오디오 처리부(217), RF부(219), 데이터 처리부(221), 메모리 부(223), GPIO단자(225), 표시 부(2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 부(215)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들의 단축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단말 홀드기능 설정을 위한 홀드 키(215a)의 단축키는 '#' 또는 '*' 일 수 있다. 상기 홀드 키 단자(215a)는 3x4 어레이(array) 구조를 갖는 12개 문자숫자 키(alpha-numeric key)단자 중 하나로 설치되거나 또는 12개 단자와는 별도의 단자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17)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21)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21)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9)는 이동단말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9)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21)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21)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 부(223)는 프로그램 메모리 부 및 데이터 메모리 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 부는 이동 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225)는 상기 영상처리부(21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21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25)는 발광소자(예를 들어, liquid crystal displa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 패널(panel)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터치스크린(touch-screen)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이동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처리부(217), 데이터 처리부(221), 메모리 부(223), 표시부(225)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 가공, 처리하고, 호(call)를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11)는 제어부(211)의 입출력신호의 송수신단자로서 이용되는 GPIO단자(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GPIO 단자(225)는 범용 입출력 단자(General Purpose I/O)로서, 다양한 커스텀 커넥터(custom connector)가 허용되는 가변성 병렬 인터페이스를 말하며,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입출력 핀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GPIO단자(225)를 이용해서 키 입력신호를 수신받을 수도 있고 특정 디바이스(device)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demand)에 따라 어떤 부품을 on/off 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11)는 입출력신호의 송수신단자로서 연결된 GPIO단자(225)에서의 특정 이벤트(EVENT)의 발생(예를들어, 홀드 키 입력에 따른 GPIO단자에서의 정전압 변동)을 감시하므로,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GPIO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Low에서 High로 바뀌거나, 또는 High에서 Low로 바뀌면 특정 이벤트(EVENT)(홀드 키 입력)가 발생한 것을 즉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전압 전원부(213)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정전압 전류는 이동단말 홀드 키(215a) 입력시 상기 GPIO단자(225)에서의 전압을 Low에서 High(정전압 전원부의 전압)로 변화시키며, 그에따라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홀드 키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압 전원부(213)의 전압이 접지 전압(ground volt)인 경우에는, power-on 상태인 이동단말 제어부(211) 내에 설치된 상기 GPIO단자(225)에서의 전압이 High에서 Low로 변화되며, 그에따라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홀드 키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정전압 전원부(213)로부터 상기 GPIO단자(225)로 유입되는 일정크기의 정전압 펄스(High펄스 또는 Low펄스)로 인해 상기 GPIO단자(225)에서 전압변동이 발생하고, 상기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상기 전압변동을 감지하여 홀드 키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상기 정전압 전원부(213)는 소정의 정격전압을 계속하여 방출하며, 특히 상기 소정의 정격전압은 1.775V 내지 3V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의 홀드 키(215a) 입력시 상기 GPIO단자(225) 및 정전압 전원부(213)가 전기회로적으로 일시 연결되고, 소정의 정전압 전류가 상 기 정전압 전원부(213)로부터 상기 GPIO단자(225)를 거쳐 이동단말 제어부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이동단말의 홀드 키(215a)가 입력되었음을 하드웨어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 301단계에서, 이동단말은 전원-ON(power-on)되어 대기상태에 있다.
S 303단계에서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상태인지 여부를 점검한다. 상기 홀드기능 설정상태란 이동단말 이용 중 키 패드 단자의 입력이 무효로 되는 상태이다.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은 이동단말 대기상태에서 상기 홀드 키 단자(215a)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홀드 키 단자(215a) 및 특정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동단말 사용자가 홀드 키(215a)를 입력하면 GPIO단자(225)와 정전압 전원부(213)가 전기회로적으로 일시 연결되었다가 분리됨으로써 소정의 정전압 펄스가 상기 GPIO단자(225)로 유입되고, 상기 GPIO단자(225)의 전압이 Low에서 High로 변동된다. 한편, 상기 정전압 전원부(213)의 전압이 접지 전압인 경우에는 상기 GPIO단자(225)의 전압은 High에서 Low로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상기 GPIO단자(225)에서의 전압변동을 홀드 키 입력으로서 인식한다. 따라서, 이동단말의 대기상태(S 301)에서 홀드 키(hold key)(215a)를 입력하면 GPIO단자(225)와 정전압 전원부(213)가 전기회로적으로 일시 연결되어 GPIO단 자(225)로 소정의 정전압 펄스가 입력되고,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상기 GPIO단자(213)에서의 정전압펄스를 홀드기능 설정명령으로 판단하여 이동단말에 홀드기능을 설정한다.
S 305단계에서,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상기 GPIO단자(225)에서 전압변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홀드 키(215a)는 GPIO단자(225)와 정전압 전원부(213)와 동시 접속하는 원-터치 스위치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홀드 키 단자(215a) 입력시 GPIO단자(225)와 정전압 전원부(213)는 일시 전기회로적으로 접속된다. 그에따라 상기 정전압 전원부(213)로부터 상기 GPIO단자(225)로 정전압 펄스가 일시적으로 입력되며,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상기 GPIO단자(225)에서의 전압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S 307단계에서,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상기 GPIO단자(225)의 전압변동을 감지하면 홀드 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S 309단계에서, 이동단말 제어부(211)는 이동단말 홀드기능 설정상태에서의 홀드 키 입력을 홀드기능 해제명령으로서 인식하며, 그에따라,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홀드기능 설정상태 해제는 하드웨어적 구성(즉, GPIO단자(225) 및 정전압 전원부(213)가 전기회로적 연결)에 의한 홀드 키 입력 인식에 의한 것으로서, 임의의 키 입력이 홀드 키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홀드 키 입력 인식에 따른 홀드기능 해제시간이 단축된다.
한편, 상기 S 303단계에서, 이동단말이 홀드기능 설정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 단된 경우에는, S 311단계에서, 이동단말 제어부(211)가 소정의 소프트웨어적 신호처리과정에 따라 키 입력부(215)의 임의의 키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 311단계에서, 임의의 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S 313단계에서, 상기 임의의 키 입력 명령을 실행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 제어부가 홀드기능 해제명령을 하드웨어적 구성에 의해 인식하므로, 홀드기능 해제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 신호처리시간이 소모되지 않고, 그에따라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해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10)

  1.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에 있어서,
    범용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이동단말 제어부;
    소정의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정전압 전원부;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와 상기 정전압 전원부를 접속시켜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의 전압변동을 발생시키는 홀드 키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단말 제어부는 상기 범용 입출력단자의 전압변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키는 정전압 전원부 및 범용 입출력단자에 일시적으로 동시 접속한 후 분리되는 원-터치 스위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입출력 단자는
    상기 홀드 키 입력에 의해 정전압 전원부와 일시 접속하여 상기 정전압 전원부로부터 소정의 정전압 펄스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전원부는 소정의 정격전압을 일정하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격전압은 1.775V 내지 3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격전압은 접지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장치.
  7. 범용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제어부를 갖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상태에서, 상기 범용 입출력 단자의 전압변동 여부를 감지하는 제 2단계;
    상기 범용 입출력 단자의 전압변동을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 키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3단계;
    상기 홀드 키 입력을 인식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기능을 해제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단말의 임의의 키 입력을 인식하면, 상기 임의의 키 입력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설정은 이동단말의 특정 키를 입력하거나 또는 복수의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전압변동 감지는,
    상기 홀드 키 입력에 의해 상기 이동단말의 정전압 전원부와 상기 범용 입출력 단자가 일시 접속하여 상기 정전압 전원부로부터 상기 범용 입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소정의 정전압 펄스를 이동단말 제어부가 인식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KR1020060068250A 2006-07-21 2006-07-21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58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250A KR100758634B1 (ko) 2006-07-21 2006-07-21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642,832 US9154600B2 (en) 2006-07-21 2006-12-21 Hold fun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250A KR100758634B1 (ko) 2006-07-21 2006-07-21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634B1 true KR100758634B1 (ko) 2007-09-14

Family

ID=3873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250A KR100758634B1 (ko) 2006-07-21 2006-07-21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54600B2 (ko)
KR (1) KR100758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8791B2 (en) * 2017-05-16 2019-05-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Using transient responses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control panel connec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320A (ko) * 1994-10-28 1996-05-22 박성규 전화기의 후크 기능 잠금 장치
JPH09107324A (ja) * 1995-10-09 1997-04-22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装置操作部の制御方法とその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3117B (en) * 1990-04-20 1994-04-20 Technophone Ltd Portable radio telephone
KR930008505Y1 (ko) * 1991-05-04 1993-12-22 주식회사 금성사 마이크로 컴퓨터의 키이신호 입력회로
FI101846B (fi) * 1995-10-13 1998-08-31 Nokia Mobile Phones Ltd Näppäimistölukon aktivointi
KR100193829B1 (ko) * 1996-06-26 1999-06-15 윤종용 이동무선전화기의 키잠금 제어장치 및 방법
US5900829A (en) * 1996-07-23 1999-05-04 Motorola,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key actuations
US5914677A (en) * 1997-01-15 1999-06-22 Chips &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canning a switch array
US6188889B1 (en) * 1998-09-15 2001-02-13 Shyi-Tong Tsai Radio transmitter with learning function, and the related control method
SE0001771D0 (sv) * 2000-05-15 2000-05-15 Ericsson Telefon Ab L M A portable phone
KR100447676B1 (ko) * 2002-12-11 2004-09-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말기 오프 방지 회로 및 방법
KR100447306B1 (ko) * 2002-12-24 2004-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전화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하는복합휴대단말장치 및 그 방법
TWI221045B (en) * 2003-05-20 2004-09-11 Benq Corp Voltage-detecting method and related circuits
US7340271B2 (en) * 2003-06-24 2008-03-04 Motorola Inc Dual inpu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WI249326B (en) * 2004-09-01 2006-02-11 Asia Optical Co Inc Smart type automatic unlocking of keyboard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320A (ko) * 1994-10-28 1996-05-22 박성규 전화기의 후크 기능 잠금 장치
JPH09107324A (ja) * 1995-10-09 1997-04-22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装置操作部の制御方法とその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45171A1 (en) 2008-02-21
US9154600B2 (en)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5785B1 (en) Power management metho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90280872A1 (en) Mobile apparatus
US7356359B2 (en) Device det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274701A (ja) 移動通信端末機のデータ受信方法及びその装置
EP2953003A1 (en) Touch screen terminal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20110028056A (ko)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38311A (ko)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135305B (zh) 一种消息提醒方法、装置和终端
KR101297776B1 (ko) 통신모드를 변경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US6459778B1 (en) Connected apparatus detection system
US20230378767A1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harger
KR100758634B1 (ko) 이동단말의 홀드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30149986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enabling urgent communication
CN105407221A (zh) 使用自拍杆时的防误触方法和系统
KR100442942B1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KR10069072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구분 동작 온/오프 장치 및 방법
KR20100004001A (ko) 일측 단말의 제어로 타 단말의 주변장치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방법
KR20140118532A (ko) 이동단말기 분실 방지 시스템
KR101290218B1 (ko) 근거리 네트워크 관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960002065A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를 활용하는 휴대용 정보 처리 시스템
JP2002033824A (ja) 携帯型通信機器
CN106060274A (zh) 一种环境光传感器数据的上报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12383953A (zh) 便携式组网协助装置和无线传感器组网系统
KR100452844B1 (ko)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3097702A (ja) 携帯情報処理装置、外部装置およびそれらを含ん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