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168U -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 Google Patents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168U
KR20100003168U KR2020080012341U KR20080012341U KR20100003168U KR 20100003168 U KR20100003168 U KR 20100003168U KR 2020080012341 U KR2020080012341 U KR 2020080012341U KR 20080012341 U KR20080012341 U KR 20080012341U KR 20100003168 U KR20100003168 U KR 201000031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attached
front member
bag
pock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142Y1 (ko
Inventor
최영돈
Original Assignee
최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돈 filed Critical 최영돈
Priority to KR2020080012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14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1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30Deformable or resilient metal or like strip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달되는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달되는 우유를 보관 또는 인출하기 위한 개폐가 용이하고, 외부 온도에 의해 쉽게 변질되거나 결빙되지 않도록 하여 신선한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는, 각 상단부가 전후방으로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배달우유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되도록 부착되는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를 갖는 주머니몸체와, 주머니몸체의 상단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의 상단부에 각각 내장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의 상단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와, 주머니몸체의 상단부를 잡아당겨 개방시킬 수 있도록 주머니몸체의 전면부재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개방손잡이와, 주머니몸체의 후면부재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걸이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유, 보관, 주머니, 탄성부재, 개방손잡이, 걸이끈, 단열부재, 보조수납부

Description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CUSTODY BAG FOR DELIVERED MILK}
본 고안은 배달되는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대문에는 배달되는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주머니가 마련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으로 재봉되고 일방향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우유의 수납이 가능한 보관부(10)와, 보관부(10)의 개구부(1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보관부(10)의 상단에 마련되는 조임줄(20)로 구성되는 우유 보관 주머니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우유 보관 주머니에 우유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유를 보관부(10)의 개구부(11)를 통해 집어넣고 조임줄(20)을 잡아당겨 보관부(10)의 개구부(11)를 폐쇄시켜야 하고, 보관된 우유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름형상으로 조여져 있는 보관부(10)의 상단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외측으로 당겨 보관부(10)의 상단 주름형상을 펴야했기 때문에, 보관부(10)의 개폐에 다소 힘이 들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우유 보관 주머니는 천으로 이루어져 외부와의 단열성이 없었기 때문에, 여름철이나 겨울철 등에 변질 또는 결빙될 염려가 있어 우유를 신선 하게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달되는 우유를 보관 또는 인출하기 위한 개폐가 용이하고, 외부 온도에 의해 쉽게 변질되거나 결빙되지 않도록 하여 신선한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상단부가 전후방으로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배달우유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되도록 부착되는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를 갖는 주머니몸체와, 상기 주머니몸체의 상단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의 상단부에 각각 내장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의 상단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와, 상기 주머니몸체의 상단부를 잡아당겨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머니몸체의 전면부재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개방손잡이와, 상기 주머니몸체의 후면부재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걸이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개방손잡이는 끈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이 상기 주머니몸체의 전면부재의 상단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부착되어 고리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이끈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주머니몸체의 후면부재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주머니몸체의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 각각의 내부면에는 단열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주머니몸체는 상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되, 반으로 접힐 수 있도록 중앙부가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주머니몸체의 전면부재의 외측면 하부에는 망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구되도록 부착되는 보조수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에 의하면, 주머니몸체의 상단부에 탄성부재가 내장됨으로써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주머니몸체의 상단부가 폐쇄될 수 있으며, 아울러 주머니몸체의 상단부에 별도의 탈착수단(벨크로 등)이 마련되지 않더라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주머니몸체의 상단부가 견고하게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주머니몸체의 개방손잡이가 고리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가 우유를 수납 또는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손가락을 개방손잡이에 집어넣고 잡아당김으로써 쉽게 주머니몸체의 상단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주머니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단열부재로 인해 외부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어짐으로써, 수납되는 우유의 변질 또는 결빙이 방지될 수 있어 우유를 신선 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몸체의 외측에 망사로 이루어진 보조수납부가 마련됨으로써, 우유 요금에 대한 고지서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는 주머니몸체(100), 탄성부재(200), 개방손잡이(300), 걸이끈(400)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단열부재(500), 보조수납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머니몸체(100)는 배달되는 우유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우유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내부 수납부(140)를 갖는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몸체(100)는 전면부재(110)와 후면부재(120)를 포함하는데, 전면부재(110)와 후면부재(120)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각 상단부(112, 122)를 제외한 측단부(도면부호표시되지 않음) 및 하단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가 밀폐되 도록 재봉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며, 각 상단부(112, 122)는 전후방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따라서, 전면부재(110)와 후면부재(120)가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에 수납부(140)가 형성되고, 또한 상단부(112, 122)는 밀폐되지 않아 개방이 가능하므로 우유가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주머니몸체(100)는 전면부재(110)와 후면부재(120)의 각 하단부가 직접적으로 재봉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겠으나, 별도의 부재를 통해 전면부재(110)와 후면부재(120)의 각 하단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것은 주머니몸체(100)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따라 주머니몸체(100)는 전면부재(110)와 후면부재(120)의 각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면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머니몸체(100)의 하면부재(130)는 중앙부가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반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로 인해 우유를 수납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머니몸체(100)의 하면부재(130)가 주머니몸체(100)의 수납부(140) 쪽으로 접혀 올라가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주머니몸체(100)의 전면부재(110)와 후면부재(120)의 측단부, 그리고 전면부재(110) 및 후면부재(120)와 하면부재(130)의 연결부는 별도의 밀폐부재(150)로 재봉시킬 수 있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밀폐부재(150)는 주머니몸체(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통기성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우유가 더욱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다.
탄성부재(200)는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전면부재(110) 및 후면부재(120)의 상단부(122)에 각각 내장된다. 이때,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는 탄성부재(200)가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113, 123)를 갖는다. 여기서, 탄성부재(200)로는 탄성을 갖는 철편이나 밴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전면부재(110) 및 후면부재(120)의 상단부(122)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부재(20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전면부재(110) 및 후면부재(120)의 상단부(122)가 서로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200)가 내장된 전면부재(110) 및 후면부재(120)의 상단부(122)가 탄성부재(20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외력을 가해 탄성부재(200)가 내장된 전면부재(110)의 상단부(112)를 잡아당겨 개방시킴으로써 우유의 수납이 가능해진다.
개방손잡이(300)는 폐쇄된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를 용이하게 개방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몸체(100)의 전면부재(110)의 상단부(112)에 부착되며, 이 개방손잡이(300)를 잡아당겨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방손잡이(30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끈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이 주머니몸체(100)의 전면부재(110)의 상단부(112) 외측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부착되어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우유를 수납 또는 인출하기 위해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개방손잡이(300)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주머니몸 체(100)의 상단부(112, 122)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서 개방손잡이(300)의 양단이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개방손잡이(300)의 양단이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걸이끈(400)은 주머니몸체(100)를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의 대문에 걸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몸체(100)의 후면부재(120)에 부착되는 한 쌍의 끈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걸이끈(400)은 각각의 일단이 주머니몸체(100)의 후면부재(120)의 상단부(122)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타단을 서로 묶음으로써 주머니몸체(100)를 대문 등에 걸 수 있게 된다.
단열부재(500)는 주머니몸체(100)의 내부에 수납되는 우유가 외부의 온도에 의해 변질되거나 결빙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몸체(100)의 전면부재(110)와 후면부재(120) 각각의 내부면에 부착되며, 그 크기는 대략 전면부재(110)와 후면부재(12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단열부재(500)로는 은박 코팅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단열부재(500)가 마련됨으로 인해 주머니몸체(100)의 내부에 수납된 우유로 외부의 온도가 절단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여름철의 변질이나 겨울철의 결빙이 방지될 수 있다.
보조수납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몸체(100)의 전면부재(110)의 외측면 하부에 마련되며, 우유 요금에 대한 고지서 등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이 보조수납부(600)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부착되며, 그 수납되는 내용물이 외부에서 식별가능하도록 망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의 사용상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우유가 수납되기 전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는 내장된 탄성부재(20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주머니몸체(100)는 서로 묶여있는 한 쌍의 걸이끈(400)에 의해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의 대문 등에 걸려진다.
우유 배달원이 배달한 우유를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머니몸체(100)의 전면부재(110)의 상단부(112)에 부착된 개방손잡이(300)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잡아당겨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를 개방시킨 후 우유를 집어넣을 수 있고(도 4a 참조), 우유가 주머니몸체(100)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된 후 개방손잡이(300)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200)의 탄성력에 의해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가 자동으로 폐쇄된다(도 4b 참조). 한편, 우유를 주머니몸체(100)에 집어넣는 경우 미리 주머니몸체(100)의 하면부재(130)를 펼쳐 주머니몸체(100)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요자가 배달된 우유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유를 수납하는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개방손잡이(300)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잡아당겨 주머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를 개방시킨 후 내부에 수납된 우유를 꺼낼 수 있고, 우유를 꺼낸 후 개방손잡이(300)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200)의 탄성력에 의해 주머 니몸체(100)의 상단부(112, 122)가 자동으로 폐쇄된다.
도 1은 종래 우유 보관 주머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의 사용상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주머니몸체
110 : 전면부재
120 : 후면부재
130 : 하면부재
140 : 수납부
200 : 탄성부재
300 : 개방손잡이
400 : 걸이끈
500 : 단열부재
600 : 보조수납부

Claims (6)

  1. 각 상단부가 전후방으로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배달우유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되도록 부착되는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를 갖는 주머니몸체;
    상기 주머니몸체의 상단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의 상단부에 각각 내장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의 상단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
    상기 주머니몸체의 상단부를 잡아당겨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머니몸체의 전면부재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개방손잡이; 및
    상기 주머니몸체의 후면부재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걸이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손잡이는 끈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이 상기 주머니몸체의 전면부재의 상단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부착되어 고리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끈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주머니몸체의 후면부재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몸체의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 각각의 내부면에는 단열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몸체는 상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되, 반으로 접힐 수 있도록 중앙부가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몸체의 전면부재의 외측면 하부에는 망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구되도록 부착되는 보조수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KR2020080012341U 2008-09-11 2008-09-11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KR200452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341U KR200452142Y1 (ko) 2008-09-11 2008-09-11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341U KR200452142Y1 (ko) 2008-09-11 2008-09-11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68U true KR20100003168U (ko) 2010-03-19
KR200452142Y1 KR200452142Y1 (ko) 2011-02-08

Family

ID=4419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341U KR200452142Y1 (ko) 2008-09-11 2008-09-11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1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70Y1 (ko) * 2011-06-15 2013-08-02 이상미 배달 물품 보관 주머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884U (ko) 2015-04-30 2016-11-10 엄재영 배달품 보관용 주머니
KR101702817B1 (ko) 2016-08-24 2017-02-08 주식회사 태흥엘이디 우유보관함 걸이.
KR20190137582A (ko) 2018-06-02 2019-12-11 김태양 유제품도난방지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658A (en) * 1991-07-12 1992-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lf-expanding and reclosable flexible pouch
KR100448596B1 (ko) * 2002-01-23 2004-09-13 김효성 매실 발효액과 그것을 함유한 김의 제조방법
KR200363593Y1 (ko) * 2004-07-02 2004-10-13 장이석 배달용 냉장음료 보관주머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70Y1 (ko) * 2011-06-15 2013-08-02 이상미 배달 물품 보관 주머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142Y1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4976B2 (en) Soft-sided cooler
US9861078B1 (en) Leash pack
US20070183691A1 (en) Hanging Laundry Basket
GB2505465A (en) Expandable cool bag
KR200452142Y1 (ko) 배달우유 보관 주머니
KR200452328Y1 (ko) 배달물 수취용 가방
US20160135561A1 (en) Bag apparatus
KR200386022Y1 (ko) 보온보냉이 가능한 가방 겸용 배낭
KR200490721Y1 (ko) 가방
JP3118424U (ja) 保冷・保温バッグ
KR200363593Y1 (ko) 배달용 냉장음료 보관주머니
KR20220105091A (ko) 세탁 및 세탁물 배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대용량 박스형 가방으로 변형 가능한 의복보관케이스
KR20070075750A (ko) 배달용품 보관 주머니
JP2000308511A (ja)
CN207467352U (zh) 一种多功能包
KR200397663Y1 (ko) 배달용 냉장음료 보관함
KR200433230Y1 (ko) 물통수납백
US8869976B1 (en) Storage case for whistle
KR20120003862U (ko) 2중 덮개 구조를 갖는 음식 배달용 가방
JP3550136B2 (ja) 小物入れポケット並びに同ポケットを有するかばん類及び衣類
US20100006616A1 (en) Paintball pod harness with internal pouch
CN214805423U (zh) 一种便携式心电监护仪用收纳装置
JP3092393U (ja) 持ち手部を備えた風呂敷
KR20120000765U (ko) 배달 유제품 보관용 가방
JP3217445U (ja) 携帯用傘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