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929A -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929A
KR20100002929A KR1020080062994A KR20080062994A KR20100002929A KR 20100002929 A KR20100002929 A KR 20100002929A KR 1020080062994 A KR1020080062994 A KR 1020080062994A KR 20080062994 A KR20080062994 A KR 20080062994A KR 20100002929 A KR20100002929 A KR 20100002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lifter
pin
product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929A/ko
Publication of KR2010000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7Combined feeding and 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3/00Methods of pressing not special to the use of presses of an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하형홀더(50)에는 백킹플레이트(52)와 하형리테이너(54)가 장착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54)에는 모재(m)로부터 타발된 제품이 안내되는 안내경사면(55)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이(60)가 설치되는 다이포켓(56)이 형성된다. 상기 다이(60)의 내부에는 리프터핀(7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형홀더(50)의 상방에는 상형홀더(80)가 구비된다. 상기 상형홀더에는 펀치(88)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84)가 구비된다. 상기 리프터핀(70)은 상기 펀치(88)가 상기 다이(60)를 타격한 후 상기 상형홀더(80)가 상기 하형홀더(50)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품을 밀어 올려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안내경사면(55)을 향해 상기 제품이 밀리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형홀더(50)의 하형리테이너(54)에는 리프트핀(70)이 구비되어 모재(m)로부터 타발된 제품을 밀어 올려주므로, 제품이 하형리테이너(54) 상에 형성되는 안내경사면(55)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제품의 배출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프로그레시브 금형, 배출, 리프터핀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Product discharging apparatus for progressive mold}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재로부터 타발되는 제품 형상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품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사용되는 모재는 긴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프로그레시브 금형 내에서 이동되면서 순차적으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모재에는 모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 연결되는 제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재 양단의 캐리어에 각각 제품 형상이 교대로 형성되는 2열 금형에서는 양측의 제품 형상 사이에 연결스크랩이 형성된다.
모재가 가공되어 제품 형상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모재로부터 제품 형상만이 타발되어야 하고, 타발된 제품 형상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이에 앞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모재가 2열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제품 형상 사이의연결스크랩을 우선 타발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품 형상이 타발되고 나서 남겨지는 캐리어 역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 순차적으로 타발되어 배출되는 연결스크랩, 제품 형상 그리고 캐리어는 배출되는 과정에서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특히, 일반적으로 상기 제품 형상의 경우에는 배출되는 경우에는 배출되는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금형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품 형상은 펀치에 의해 타발됨과 동시에 하형리테이너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하방에 구비되는 백킹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어 연통되는 배출구를 통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은 상기 하형리테이너가 설치되는 하형홀더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따라 미끌어지면서 상기 금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제품이 타발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품은 상기 하형리테이너와 백킹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낙하한 상기 제품은 상기 하형홀더의 경사면에 안착되어 미끌어져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품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미끌어지지 못하고, 경사면 상에 적층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일단 제품이 경사면 상에서 적층되기 시작하면 뒤이어 낙하하는 제품들 역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제품을 배출하는 등 별도의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상기 모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모재 혹은 금형에 유막이 종종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는 상기 모재를 가공하는 펀치나 다이에 타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윤활유가 도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막은 상기 제품이 상기 경사면에 더욱 쉽게 적층될 수 있도록 유도하므로 제품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모재로부터 타발된 제품을 밀어올리는 리프트핀이 구비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재로부터 타발된 제품이 안내되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하형리테이너가 장착되고, 내부에 서포트스프링이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 상기 안내경사면과 인접한 하형리테이너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재가 안착되고, 일부가 관통되어 리프터포켓이 형성되는 다이; 그리고 상기 리프터포켓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서포트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펀치가 상기 다이를 타격한 후 상기 상형홀더가 상기 하형홀더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서포트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형홀더를 향해 상승되어 상기 제품을 밀어올리는 리프터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핀과 상기 서포트스프링 사이에는 밀핀이 구비되어 상기 리프트핀을 지지한다.
상기 리프터포켓의 내면에는 걸림부가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핀의 일단에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어진다.
상기 걸림부의 높이는 상기 리프터핀의 걸이턱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형리테이너에 설치되는 다이의 내부에 리프터핀이 구비되어 모재로부터 타발된 제품을 리프터핀이 밀어 올림으로써, 제품이 하형리테이너에 형성된 안내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이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적층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프터핀이 모재로부터 타발된 제품을 분리하는 모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형홀더(50) 상에는 백킹플레이트(52)와 하형리테이너(54)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와 하형리테이너(54)는 상기 하형홀더(50) 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54)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홀더(50)에는 설치통공(5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통공(50')은 아래에서 설명될 서포트스프링(S) 및 밀핀(53)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에는 승강통공(5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 통공(52')은 밀핀(53)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의 승강통공(52')은 그 직경이 상기 하형홀더(50)의 설치통공(50')보다 작다.
상기 설치통공(50')과 승강통공(52')에는 밀핀(53)이 설치된다. 상기 밀핀(53)은 아래에서 설명될 리프터핀(70)을 밀어 올려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핀(53)의 선단에는 걸이단(53')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단(53')은 다룬 부분에 비해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밀핀(53)은 상기 밀핀(53)의 걸이단(53')이 상기 설치통공(50')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백킹플레이트(52)에 걸어짐에 의해 후단이 상기 백킹플레이트(5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규제된다.
상기 밀핀(53)은 상기 하형홀더(50)의 설치통공(50')에 설치되는 서포트스프링(S)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스프링(S)은 상기 하형홀더(50)에 대해 상기 밀핀(53)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서포트스프링(S)은 그 일단이 상기 밀핀(53)에 지지되고, 그 타단이 상기 하형홀더(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세트스크류(53a)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세트스크류(53a)는 상기 하형홀더(50)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그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체결됨에 의해 상기 하형홀더(50)에 고정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54)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그 일측에는 안내경사면(55)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55)은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일부가 외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모재로부터 타발된 제품이 된 후에 상기 금형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도 2참조).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되게 다이포켓(56)이 형성된다. 상기 다이포켓(56)은 상기 하형리테이너(54)에 다수개가 소정의 피치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이포켓(56)은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안내경사면(55)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다이포켓(56) 내에는 다이(60)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60)는 그 상면에 모재(m)가 안착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펀치(25)가 상기 모재(m)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작업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다이(60)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핀삽입공(60')이 형성된다. 상기 핀삽입공(60')은 아래에서 설명될 펀치(88)가 입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다이(60)의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되게 리프터포켓(62)이 형성된다. 상기 리프터포켓(62)은 리프터핀(70)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리프터포켓(62)은 상기 백킹플레이트(52)의 설치통공(52')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리프터포켓(62)의 내면에는 걸림부(6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3)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프터핀(70)의 걸이턱(70b)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부(63)는 상기 리프터포켓(62)의 내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림부(63)의 높이(t)는 리프터핀(70)의 걸이턱(70b)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63)는 상기 백킹플레이트(52)와 마주보는 상기 리프터포켓(62)의 일측단부 가장자리에서 리프터핀(70)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3)는 리프터핀(70)의 걸이턱(70b)이 걸어져 리프터핀(7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프터포켓(62)의 내부에는 리프터핀(70)이 구비된다. 상기 리프터핀(70)은 상기 백킹플레이트(52)의 내부에 설치된 밀핀(53)에 지지된다. 상기 리프터핀(70)은 모재(m)로부터 타발된 제품을 상기 다이(60)로부터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리프터핀(70)은 제품이 상기 상형리테이너(84)의 안내경사면(55)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프터핀(70)의 골격은 몸체(70a)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70a)는 대략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70a)는 상기 모재(m)로부터 타발된 제품을 상기 다이(60)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70a)의 일단에는 걸이턱(70b)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70b)은 상기 몸체(70a)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70b)은 상기 리프터포켓(62)의 걸림부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리프터핀(70)이 상기 리프터포켓(6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형홀더(50)의 상방에는 상형홀더(80)가 구비된다. 상기 상형홀더(8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서,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82)와 상형리테이너(84)가 설치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82)와 상형리테이너(84)는 상기 상형홀더(80)에 함께 장착된다. 실제로 상기 백킹플레이트(82)는 상기 상형리테이너(84)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84)의 하면에는 가동스트리퍼(85)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85)는 작업시 모재(m)의 변형을 방지하고 작업후 모재가 아래에서 설명될 펀치(88)에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동스트리퍼(85)는 상기 상형홀더(80)가 하강하면 함께 하강되어 모재(m)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85)의 가장자리에는 걸이턱(8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85')은 상기 가동스트리퍼(85)의 측면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8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바(90)의 걸이단(92)이 걸어진다.
상기 상형리테이너(84)에는 펀치(88)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는 상기 상형홀더(80)의 승강과 함께 승강한다. 상기 펀치(88)는 상기 다이(60)에 안착된 모재(m)를 타격하여 원하는 형상을 만들게 된다. 참고로, 상기 하형리테이너(54)와 상형리테이너(84)에는 반드시 다이와 펀치만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모재(m)의 가공을 위한 다른 구성들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스트리퍼(85)는 상기 상형리테이너(8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형홀더(80)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가동스트리퍼(85)의 걸이턱(85')에 걸어지게 고정바(90)가 사용된다. 상기 고정바(90)는 상기 상형홀더(80)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선단에 상기 가동스트리퍼(85)의 걸이턱(85')에 걸어지는 걸이단(9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90)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볼트(B)가 관통하여 상기 상형홀더(8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고정바(90)는 다수개가 사용되어 상기 가동스트리퍼(8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90)의 개수는 상기 가동스트리퍼(85)의 크기와 무게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긴 띠모양의 모재(m)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터미널 등의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한 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가공은 다이(60) 상에 모재(m)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펀치(88)가 원재료에 힘을 가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우선, 상기 모재(m)를 상기 다이(6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형홀더(80) 측을 상기 하형홀더(50)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상형홀더(80) 측이 상기 하형홀더(50)를 향해 계속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동스트리퍼(85)는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터핀(70)은 상기 하형리테이너(54)에 의해 눌려 상기 밀핀(53)을 누르게 되고, 상기 밀핀(53)을 지지하는 서포트스프링(S)은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프터핀(70)이 상기 하형홀더(50)를 향해 눌러지면, 상기 상형홀더(80)의 하강에 의해 상기 펀치(88)도 함께 하강되어 상기 모재(m)를 타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모재(m)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펀치(88)가 상기 모재(m)를 누른 후에 상형홀더(80)가 상기 하형홀더(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동스트리퍼(85)가 더 이상 상기 모재(m)를 누르지 않게 됨에 의해 상기 서포트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밀핀(53)의 걸이단(53)은 상기 밀핀(53)이 삽입되는 상기 설치통공(52')의 가장자리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밀핀(53)에 의해 상기 리프터핀(70)이 상기 상형홀더(80)를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핀(70)의 걸이턱(70b)은 상기 다이(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리프터포켓(62)의 걸림부(63)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리프터핀(70)의 몸체(70a)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모재(m)로부터 타발된 제품의 일측을 밀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핀(70)에 의해 상기 모재(m)가 이송과정에서 상기 하형리테이너(54)에 설치된 다이(60)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모재(m)의 무게중심은 상기 리프터핀(70)을 중심으로 먼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터핀(70)에 의해 상기 모재(m)로부터 타발된 제품은 상기 다이(60)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안내경사면(55) 방향, 즉, 화살표 B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품은 상기 안내경사면(55)에 쌓이지 않게 된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프터핀(70)은 서포트스프링(S)에 지지된 밀핀(53)에 의해 상형홀더(80) 방향으로 상승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밀핀(53) 없이도 리프터핀(70)이 서포트스프링(S)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프터핀이 모재로부터 타발된 제품을 밀어 올리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하형홀더 52: 백킹플레이트
53: 밀핀 54: 하형리테이너
55: 안내경사면 56: 다이포켓
60: 다이 62: 리프터포켓
63: 걸림부 70: 리프터핀
70a: 몸체 70b: 걸이턱
80: 상형홀더 82: 백킹플레이트
84: 상형리테이너 85: 가동스트리퍼
88: 펀치 90: 고정바
S: 서포트스프링 m: 모재

Claims (4)

  1. 모재로부터 타발된 제품이 안내되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하형리테이너가 장착되고, 내부에 서포트스프링이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
    상기 안내경사면과 인접한 하형리테이너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재가 안착되고, 일부가 관통되어 리프터포켓이 형성되는 다이; 그리고
    상기 리프터포켓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서포트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펀치가 상기 다이를 타격한 후 상기 상형홀더가 상기 하형홀더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서포트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형홀더를 향해 상승되어 상기 제품을 밀어올리는 리프터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핀과 상기 서포트스프링 사이에는 밀핀이 구비되어 상기 리프트핀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포켓의 내면에는 걸림부가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핀의 일단에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높이는 상기 리프터핀의 걸이턱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20080062994A 2008-06-30 2008-06-30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 KR20100002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994A KR20100002929A (ko) 2008-06-30 2008-06-30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994A KR20100002929A (ko) 2008-06-30 2008-06-30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29A true KR20100002929A (ko) 2010-01-07

Family

ID=4181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994A KR20100002929A (ko) 2008-06-30 2008-06-30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9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3364A (zh) * 2012-07-20 2012-11-14 宁波鸿达电机模具有限公司 冲片的自动出片装置
CN109676015A (zh) * 2018-12-20 2019-04-26 苏州冬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顶料功能的显示器后板冲压模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3364A (zh) * 2012-07-20 2012-11-14 宁波鸿达电机模具有限公司 冲片的自动出片装置
CN109676015A (zh) * 2018-12-20 2019-04-26 苏州冬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顶料功能的显示器后板冲压模具
CN109676015B (zh) * 2018-12-20 2024-03-26 苏州冬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顶料功能的显示器后板冲压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120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JP6888470B2 (ja) 金属板材のプレス加工装置及びプレス加工方法
US7000446B2 (en) Stamping press having four in one guide pin assembly
WO2012042326A1 (en) An improved mechanism for upward lancing in a progressive die assembly
KR20100045123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취출장치
KR20100002929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
KR100830700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캐리어커팅장치 및 그 방법
JP5145475B2 (ja) 打抜き屑受具およびストリッピング装置
KR10149398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KR20090006611U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0838778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CN216757915U (zh) 一种金属快速成型机床
JP2013141679A (ja) ブランキング加工方法および装置
CN216801332U (zh) 一种侧冲孔装置
JP5879144B2 (ja) プレス加工方法及びプレス金型
KR101182778B1 (ko) 열간 단조용 펀칭 장치
KR200445638Y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KR20090133028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KR100838779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및 그방법
CN113857382B (zh) 一种连续冲压模具系统卸料板和产品脱离机构
KR20090005140U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090073875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CN214719866U (zh) 用于侧翻边的连续模装置
KR200448595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212121548U (zh) 一种锻造件的锻造弯曲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