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637A -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637A
KR20100002637A KR1020080062603A KR20080062603A KR20100002637A KR 20100002637 A KR20100002637 A KR 20100002637A KR 1020080062603 A KR1020080062603 A KR 1020080062603A KR 20080062603 A KR20080062603 A KR 20080062603A KR 20100002637 A KR20100002637 A KR 20100002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or
control signal
selection area
photograp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637A/ko
Publication of KR2010000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프로젝터의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젝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 제어, 리모컨, 원격, 카메라, 촬영

Description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PROJEC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젝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각종 영상기기들의 영상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투사렌즈를 통해 확대된 영상을 스크린 등에 투사하는 장치이다.
그 종류로는 PRT(CRT) 방식 프로젝터,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프로젝터 그리고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PC와의 연결에 대한 강점을 가지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프로젝터가 많이 사용된다.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프로젝터는 빛을 발하는 광원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투과형의 LCD 패널을 통과시킨 다음 렌즈로 전면스크린에 상을 맺도록 하는 방식의 프로젝터로 최근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프로젝터는 컴퓨터의 보급과 동시에 사용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터는 넓은 박스형상의 하우징(20') 전면에 투사렌즈부(10')가 구비되어 생성된 영상을 투사한다.
프로젝터 광학계는 광원을 이용하여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조명부, 그리고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 소자 그리고 생성된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렌즈부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소자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방식 프로젝터의 경우 투과형 LCD 패널이며, 외부로부터 영상입력을 수신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그리고, 최근 프로젝터는 단순히 영상을 상영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외에도, 컴퓨터 등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청중에게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터(100')는 넓은 박스 형상으로,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테이블 위에 배치하거나, 천정 등에 설치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거나, 공공장소에 프로젝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장소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프로젝터를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 프로젝터의 전원을 온-오프(on-off) 제어를 포함하는 기본적인 제어동작은 프로젝터와 함께 제공되는 리모컨에 의한다.
상기 리모컨에 의한 프로젝터의 제어는 전원을 온-오프(on-off) 제어를 비롯하여,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되는 영상의 밝기, 색감 또는 핀조절 등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공공장소에서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모컨은 쉽게 분 실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을 분실하지 않은 경우라도,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사용자가 단순한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매번 리모컨을 조작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지 않는 곳에 설치된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이외의 간단한 제어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젝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선택영역이 포함되는 화상을 촬영하는 화상촬영단계,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촬영화상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화상비교단계 및, 상기 화상비교단계에서 화상의 동일성이 판단되면,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발생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입력화상은 상기 화상촬영단계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선택영역은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투사영상의 일부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촬영화상은 특정 모양, 특정 색상 또는 그 움직임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촬영단계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촬영단계와 상기 화상비교단계는 다단계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계의 화상비교단계에서 화상의 동일성이 판단되면 다음 단계의 화상촬영단계로 진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의 제어신호발생단계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세분화된 메뉴선택을 위한 화상촬영단계의 진입을 지시하는 제어신호이며, 최후의 제어신호발생단계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프로젝터의 제어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는 상기 프로젝터의 전원오프 신호, 밝기조절 신호, 핀조절 신호, 색감조절 신호 및 투사각도조절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촬영단계는 상기 프로젝터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비교단계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가 수행 또는 완료됨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발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상비교단계와 상기 화상촬영단계의 사이에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발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상기 선택영역은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된 구획표시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화상촬영단계는 동시에 복수 개의 선택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화상비교단계는 특정 선택영역에서 상기 입력화상과 동일한 화상이 촬영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신호발생단계는 상기 특정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선택영역 을 주기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특정화상이 저장되며,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화상과 동일성을 판단하는 이미지처리부 및, 상기 이미지처리부에서 동일성이 판단되면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이미지처리장치는 상기 프로젝터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화상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화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처리장치는 이미지처리프로세서와 저장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처리프로세서와 상기 저장부는 상기 프로젝터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프로젝터의 리모컨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원격으로 기본적인 프로젝터 제어가 가능하다.
이 경우, 원격으로 기본적인 프로젝터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리모컨이 부재 중에도 프로젝터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프로젝터를 간단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 구성도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100)은 프로젝터(200), 카메라부(300) 및 이미지처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젝터(100)는 광원 등이 구비되는 조명부(210), 복수 개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광학부(220),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투사될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처리부(230), 프로젝터에서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40) 및 그 이외의 부품(기타, 250)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60)에 의하여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프로젝터와 함께 제공되는 리모컨(270) 등에 의하여 원격으로 송신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200)의 하우징에 간단한 제어신호의 입력을 위한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으나, 프로젝터의 설치장소가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없는 곳인 경우 리모컨 등을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100)은 카메라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300)는 특정 선택영역(C)을 촬영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선택영역(C)은 상기 프로젝터(200)에 의해 영상이 투사되는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영역일 수 있다.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100)은 상기 카메라부(300)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화상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이미지처리부(400)를 구비한다.
상기 촬영화상과 입력화상의 동일성이 판단되면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260)는 상기 프로젝터(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시킨다.
상기 이미지처리부(400)는 이미지처리 프로세서(410)와 저장용 메모리(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410)는 상기 카메라부(300)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화상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촬영화상과 입력화상은 특정 모양, 특정 색상 또는 그 움직임일 수 있다.
여기서, 선택영역(C)이란 상기 카메라부(300)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촬영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선택영역(C)은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되는 영상의 일부 또는 그 외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선택영역(C)이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되는 영상의 일부인 경우의 장점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부(300)가 상기 선택영역(C)을 주기적으로 촬영하는 이유는 상기 선택영역(C)에 특정화상이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선택영역(C)에 특정화상이 위치하고 있는지를 일정 간격으로 촬영하여, 후술하는 제어방법에 의한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300)는 상기 선택영역을 예를 들면 약 1초 간격으로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처리부(400)는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과 상기 카메라부(300) 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화상의 동일성이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300)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상기 선택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촬영화상이란 미리 정해진 선택영역(C)을 촬영한 화상으로, 특정 모양의 형상이 선택영역(C)에 위치한 경우 그 선택영역을 촬영한 화상을 의미한다.
상기 입력화상은 상기 이미지처리부의 저장용 메모리(4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특정 화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가 구비된 장소라면 카메라부(300) 또는 프로젝터 제어부(260)라도 입력화상의 저장장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100)은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이미지처리부(400)와 프로젝터(200)이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이미지처리부(400)는 상기 프로젝터(2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처리부(400)는 프로젝터의 제어부(26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별도의 이미지처리 프로세서(410)을 구비하지 않고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프로세서를 공유하여 이미지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이미지처리부(400)는 각각 상기 프로젝터(200)와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프로젝터(200)와 독립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300)와 이미지처리 프로세서(410)와 저장용 메모리(420)를 갖는 별도의 이미지처리부(4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처리부(400)는 일반적인 컴퓨터 등을 활용할 수 있음은 쉽게 예측이 가능하 다.
도 3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촬영화상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컴퓨터에서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의 투사영상(S)의 일부인 투사영상(S)의 우측 상단 모서리 영역이다.
상기 선택영역(C)에 컴퓨터 운영체제(OS)의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택영역(C)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촬영하면, 상기 이미지처리부(400)는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과 상기 촬영화상을 비교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에 영상을 공급하는 컴퓨터의 운영체제의 마우스 포인터(P)가 상기 선택영역(C) 내에 위치한다.
상기 선택영역(C) 내부에 상기 마우스 포인터(P)를 위치시키고, 상기 카메라부(300)에 의하여 상기 선택영역(C)를 포함하는 화상을 촬영하면, 상기 포인터(P)가 표시된 선택영역(C)이 촬영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포인터(P)는 사용자에 의하여 변위(變位)되는 마우스의 지시자이므로, 선택영역(C)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도 동일한 좌표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도 3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영역(C) 내에 위치하는 마우스 포인터(P)의 위치가 변화되어도, 상기 이미지처리부(400)는 상기 카메라부(300)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화상은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이미지처리부(400)에서 비교되는 촬영화상과 입력파일은 모두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고, 비교될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이미지 파일의 헤더(header)부를 제외한 데이터부를 비교하여, 특정 형상, 색상 또는 움직임 등의 동일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움직임이란 복수 개의 정지된 촬영화상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기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부(300)의 특성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촬영된 촬영화상의 집합에 의한 움직임이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의 집합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두 움직임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화상과 상기 촬영화상의 동일성이란 정밀한 동일성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며, 육안으로 큰 차이를 느낄 수 없는 경우 동일하다고 판단될 수 있을 정도이면 된다.
이러한 이미지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프로그램적인 알고리즘은 이미 많이 소개되었으므로 그 구체적인 판단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마우스 포인터(P)는 상기 프로젝터에 영상을 공급하는 영상공급원으로 컴퓨터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마우스로 컴퓨터를 제어함과 동시에 컴퓨터의 영상을 프로젝터로 투사하는 경우, 투사되는 영상에 표시되는 화상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촬영화상 내에 상기 마우스 포인터(P)를 위치시키는 경우이다.
그러나, 상기 선택영역(C) 내에 위치시키는 특정화상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기타 영상공급장치, 예를 들면 DVD 플레이어, VHS 또는 TV 등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해야 한다.
상기 DVD 플레이어, VHS 또는 TV 등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프리젠테이션에서 많이 사용되는 레이져 포인터 등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쉽게 짐작이 가능하다.
레이져 포인터가 사용되는 경우, 레이져 포인터의 형상은 특정색상을 갖으며○, ☆, ♤, ♡, ♧, ☜ 또는 ♂ 등의 다양한 형상의 불빛이 스크린 등에 형성된다. 레이저 포인터에 의한 불빛의 모양은 레이져 광원에서 투사되는 불빛의 토출구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특정 색상 또는 형상을 갖는 불빛을 입력화상으로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부(300)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화상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화상을 레이져 포인터 형상 등으로 입력한 경우,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된 화상이 선택영역(C) 내에 위치한 레이져 포인터인 경우, 상기 선택영역(C)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정 선택영역(C)을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화상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을 비교하여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에 대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선택영역이 포함되는 화상을 촬영하는 화상촬영단계,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촬영화상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의 동일성을 비교하는 화상비교단계 및, 상기 화상비교단계에서 화상의 동일성이 판단되면,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발생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촬영단계(S2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에 구비된 카메라부(300, 도 2 참조)에 의하여 미리 선택된 선택영역을 촬영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선택영역은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된 투사영상의 일부영역일 수도 있으며, 그 외의 영역일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선택영역(C)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최근 프로젝터는 영상입력매체로서 컴퓨터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투사영상은 컴퓨터의 운영체제의 바탕화면 모습을 도시한다.
즉,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각종 프리젠테이션 등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컴퓨터의 출력화면을 프로젝터에 의하여 스크린 등에 투사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의 화상촬영단계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선택영역(C)을 포함하는 화상(畵像)을 촬영한다. 도 5에 도시된 투사영상(S)에서, 상기 선택영역(C)은 투사영상(S)의 구석에 위치한 점선처리된 영역이다.
도 5에 도시된 선택영역(C)은 투사영상(S)의 일부를 구성하는 영역이지만, 투사영상(S)의 외부영역이어도 상관없다.
다만, 상기 선택영역(C)이 상기 투사영상(S)의 일부인 경우에는 프로젝터에 영상을 공급하는 영상공급장치로서 컴퓨터가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운영체제의 마 우스 포인터(P) 등을 이용한 프로젝터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더 갖는다.
물론, 상기 선택영역(C)이 상기 투사영상(S)에 포함되는 경우, 단지 운영체제의 마우스 포인터(P)에 의한 제어만이 가능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상기 선택영역(C)이 상기 투사영상(S)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프로젝터와 연결되어 영상을 제공하는 컴퓨터 등의 운영체제의 마우스 포인터(P) 등을 프로젝터의 제어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영역(C)은 한 개가 도시되어 있지만, 여러 개의 선택영역(C)이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투사영상(S) 내에 복수 개의 선택영역(C1, C2, C3, C4, C5)이 구비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각각의 선택영역(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할 수도 있으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택영역(C)은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되는 구획표시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투사영상의 경우 상기 선택영역(C)은 선 또는 음영 표시가 프로젝터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투사되어 사용자가 선택영역(C)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마우스 포인터(P) 또는 특정화상(예를 들면, 레이져 포인터 등)을 상기 선택영역(C)에 위치시키는 것을 안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선택영역(C)을 안내하는 구획표시(L)는 프로젝터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계속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특정 시기에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에서 공급되는 영상이 계속 동일한 화면이 유지되며 변화 가 없는 경우 등에 상기 구획표시를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구획표시(L)는 선택영역 C1, C2, C3을 구획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그러나, 선택영역 C4 및 C5을 구획하는 점선은 실제로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되는 구획표시가 아니라, 선택영역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표시된 가상의 점선이다. 따라서, 이하 별도의 설명이 없어도 점선에 의한 구획표시는 선택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표시된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적어도 1개 이상의 선택영역(C)이 포함된 화상을 촬영하는 화상촬영단계(S20)가 완료되면,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촬영화상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의 동일성을 비교하는 화상비교단계(S30)가 수행된다.
상기 화상비교단계(S30)는 선택영역(C)을 포함된 화상이 촬영된 촬영화상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이란 도 2의 이미지처리부(400) 등에 저장된 화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화상은 상기 마우스 포인터(P) 형상의 화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선택영역(C)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택영역(C)을 포함하는 화상이 촬영되면, 상기 포인터 화상과 촬영화상을 비교하게 된다.
이러한 화상비교단계(S30)에서 화상의 동일성이 인정되면, 그 다음 단계인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발생단계(S40)가 수행된다.
즉, 미리 입력된 화상과 동일한 화상이 상기 선택영역(C)에서 촬영되는 경우, 상기 선택영역(C)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선택영역(C) 중 C1 선택영역은 프로젝터의 전원오프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경우, 사용자가 마우스 포인터를 C1 선택영역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화상촬영단계(S20)에서 촬영되고, 화상비교단계(S30)에서 동일성이 판단되면, 도 2의 이미지처리부(400)는 동일성이 판단되었음을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에 전달하며, 프로젝터 제어부(260)는 각각의 선택영역(C)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인 전원오프 신호에 근거하여 프로젝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이다.
선택영역(C) 중 C1은 전원오프 신호에 대응된다면, 다른 선택영역(C2, C3, C4, C5)들은 예를 들면, 프로젝터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신호 또는 색감을 조절하는 제어신호 등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선택영역(C)을 구획하는 경우, 프로젝터의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화상이 마우스 포인터 형상의 화상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입력화상은 다른 형태의 화상일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하였다.
상기 입력화상은 프로젝터의 제조자 측에서 프로젝터 등에 입력된 상태로 제품을 출고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선택영역(C)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한 후, 선택영역(C)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입력단 계(S10)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터와 컴퓨터 등의 외부 입력장치를 연결하여, 외부입력장치에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에 구비된 도 2의 카메라부(300)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선택영역(C)이 선택된 뒤 특정 화상을 상기 선택영역(C) 내에 배치한 뒤 이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화상입력단계(S10)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을 계속 설명한다.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촬영화상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의 동일성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상기 화상촬영단계(S20)와 상기 화상비교단계(S30)는 다단계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계의 화상비교단계(S30)에서 화상의 동일성이 판단되면 다음 단계의 화상촬영단계(S20)로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상촬영단계(S20)와 화상비교단계(S30)를 다단계로 구성하면, 최초의 제어신호발생단계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세분화된 메뉴선택을 위한 화상촬영단계(S20)의 진입을 지시하는 제어신호이며, 최후의 제어신호발생단계(S50)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프로젝터의 제어신호일 수 있다.
세분화된 메뉴를 구비하여,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유는 프로젝터의 투사영상 내에 세분화된 프로젝터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선택영역(C)을 설정하는 것보다 단계별로 세분화된 제어신호로 접근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7과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에 의하여 투사되는 투사영상(S)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투사영상에 구획된 복수 개의 선택영역(C) 중 좌측 상단의 C6 선택영역(C)은 전원오프를 위한 선택영역(C)이며, 우측 상단의 C7 선택영역(C)은 세분화된 메뉴선택을 위한 선택영역(C)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영역 C6, C7은 도 6에 도시된 선택영역 C1, C2, C3과 달리, 구획표시가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선택영역은 개수가 많지 않으므로, 프로젝터의 사용자는 각각의 선택영역 C6, C7에 대응하는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를 기억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상기 마우스 포인터 등을 C6 선택영역(C) 내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화상비교단계에서 촬영화상과 입력화상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경우 프로젝터의 전원오프 신호를 발생시켜 프로젝터의 전원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구획표시가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각각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상이한 선택영역 내에 상기 마우스 포인터 등을 쉽게 위치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마우스 포인터를 C7 선택영역(C) 내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화상비교단계에서 촬영화상과 입력화상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세분화된 메뉴선택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도 8은 세분화된 메뉴선택을 위한 선택영역(C)이 제공되는 투사영상(S)을 도 시한다. 도 7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C7 선택영역(C) 내에 위치시킨 경우, 세분화된 메뉴는 선택영역(C) C8 내지 C13으로 세분화된다.
도 7의 경우, 투사영상에 제공되는 선택영역(C)의 개수가 많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이를 별도의 구획표시가 없더라도 선택영역(C)에 마우스 포인터 등의 특정화상을 위치시킬 수 있으나, 도 8과 같이 세분화된 메뉴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각각의 선택영역(C)을 구분하여 마우스 포인터 등을 위치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선택영역 C6, C7과 달리, 도 8에 도시된 선택영역 C8, C9, C10, C11, C12, C13은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되는 구획표시(L)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선택영역이 인접한 상태로 복수 개가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영역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선택영역(C)이 복수 개인 경우, 선택영역(C)을 안내하여 구획하는 구획표시(L)가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될 수 있다.
프로젝터에서 영상이 투사되는 동안 상기 구획표시가 계속 표시되는 것은 투사되는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집중을 방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지만, 새로운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선택영역(C)에 마우스 포인터 등을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구획표시에 의하여 상기 선택영역(C)이 안내될 수 있다.
이 경우, 세분화된 메뉴에 대응하는 선택영역(C) 중 C8은 프로젝터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경우이며, C9는 프로젝터의 밝기를 어둡게 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선택영역(C) 중 C10과 C11은 프로젝터의 색감을 조절하기 위한 선택영 역(C)일 수 있으며, 선택영역(C) 중 C12과 C13은 프로젝터의 핀을 조절하기 위한 선택영역(C)일 수 있다.
만일 프로젝터에 스피커가 구비된 경우라면, 상기 선택영역(C) 중 일부는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선택영역(C)일 수 있다. 또한, 투사각도조절 신호 등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적인 제어신호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는 프로젝터의 제어신호의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로 사용되는 신호라면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4의 화상촬영단계(S20)와 화상비교단계(S30)가 다단계로 구성되는 경우, 최후 단계가 아닌 제어신호발생단계(S50)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세분화된 메뉴선택을 위한 화상촬영단계(S20)의 진입을 지시하는 제어신호이므로, 다시 화상촬영단계(S20)를 진입하게 되며, 최후의 제어신호발생단계(S50)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실질적으로 프로젝터를 제어(S70)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화상촬영단계(S20)에서 촬영된 촬영화상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의 동일성을 비교하는 화상비교단계(S30)에서 촬영화상과 입력화상의 동일성이 판단되는 경우, 그 선택영역이 세분화된 메뉴선택을 위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S40)하게 된다.
상기 화상촬영단계(S20)와 상기 화상비교단계(S30)가 다단계로 구성되는 경우, 특정 화상비교단계(S30)에서 화상의 동일성이 판단되어 다음 단계의 화상촬영단계(S20)에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화상비교단계(S30)가 종료되어 새로운 화상촬영단계가 시작됨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 발생단계(S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음 발생단계(S90)는 다음 단계의 화상촬영단계(S20)의 진입을 알리는 신호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화상촬영단계와 상기 화상비교단계를 다단계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세분화된 제어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활성화에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의 사용자가 먼저 선택영역 C7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화상촬영단계(S20)에서 촬영된 촬영화상의 화상비교단계(S30)가 종료되었으니, 새로운 제어신호의 발생을 위한 화상촬영단계(S20)가 수행될 것임을 알려, 사용자로 하여금 마우스 포인터 등을 새로운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선택영역(C)으로 위치시킬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신호음 발생단계(S9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새로운 선택영역(C)으로 마우스 포인터 등을 이동시키면 새로운 선택영역(C)에 위치한 마우스 포인터 등을 촬영한 뒤 화상비교단계(S30)를 통하여, 새로운 선택영역(C)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음 발생단계(S90)는 상기 화상촬영단계와 상기 화상비교단계를 다단계로 구성되는 경우 이외에도, 화상촬영단계와 화상비교단계에 의하여 제어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을 계속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의 제어신호 발생단계에서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프로 젝터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가 만일 프로젝터의 전원종료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S60)하고, 상기 제어신호가 프로젝터의 전원종료 신호인 경우에는 프로젝터의 제어부는 전원을 종료(S80)하고, 그 이외의 제어신호인 경우 프로젝터를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S70)하고, 다시 선택영역을 촬영하는 화상촬영단계(S20)로 복귀한다.
만일 프로젝터 제어신호가 프로젝터의 전원신호가 아닌 경우, 프로젝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가 프로젝터의 전원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프로젝터의 제어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화상촬영단계와 화상비교단계는 계속 반복될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 구성도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촬영화상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방법에 대한 블록선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선택영역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투사영상 내에 복수 개의 선택영역이 구비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에 의하여 투사되는 투사영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세분화된 메뉴선택을 위한 선택영역이 제공되는 투사영상을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로젝터 시스템
200 : 프로젝터 260 : 제어부
270 : 리모컨 300 : 카메라부
400 : 이미지처리부 S : 투사영상
P : 마우스 포인터 C : 선택영역

Claims (18)

  1. 적어도 1개 이상의 선택영역이 포함되는 화상을 촬영하는 화상촬영단계;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촬영화상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화상비교단계; 및,
    상기 화상비교단계에서 화상의 동일성이 판단되면,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발생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화상은 상기 화상촬영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촬영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되는 선택영역은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투사영상의 일부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촬영화상은 선택영역 내에 위치한 특정 모양, 특정 색상 또는 그 움직임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촬영단계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촬영단계와 상기 화상비교단계는 다단계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계의 화상비교단계에서 화상의 동일성이 판단되면 다음 단계의 화상촬영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최초의 제어신호발생단계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세분화된 메뉴선택을 위한 화상촬영단계의 진입을 지시하는 제어신호이며, 최후의 제어신호발생단계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프로젝터의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의 제어신호는 상기 프로젝터의 전원오프 신호, 밝기조절 신호, 핀조절 신호, 색감조절 신호 및 투사각도조절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촬영단계는 상기 프로젝터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비교단계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가 수행 또는 완료됨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발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비교단계와 상기 화상촬영단계의 사이에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발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영역은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된 구획표시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영역은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된 영상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화상촬영단계는 동시에 복수 개의 선택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화상비교단계는 특정 선택영역에서 상기 입력화상과 동일한 화상이 촬영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신호발생단계는 상기 특정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15. 적어도 1개 이상의 선택영역을 주기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미리 입력된 입력화상이 저장되며,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화상과 동일성을 판단하는 이미지처리부; 및,
    상기 이미지처리장치에서 동일성이 판단되면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이미지처리부는 상기 프로젝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화상은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처리장치는 이미지처리프로세서와 저장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처리프로세서와 상기 저장 메모리는 상기 프로젝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시스템.
KR1020080062603A 2008-06-30 2008-06-30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KR20100002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03A KR20100002637A (ko) 2008-06-30 2008-06-30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03A KR20100002637A (ko) 2008-06-30 2008-06-30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37A true KR20100002637A (ko) 2010-01-07

Family

ID=4181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603A KR20100002637A (ko) 2008-06-30 2008-06-30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6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7846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362999B1 (ko) 멀티-소스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US10228611B2 (en) Projector, proj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projector
KR101380932B1 (ko) 멀티미디어 투사 관리
US10373589B2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controller,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CN104062829A (zh) 投影型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076888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storage medium, and display system for configuring multi-display settings
US10416813B2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4284117B (zh) 图像投影装置以及图像投影装置的控制方法
JP2011158522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07225859A (ja) プロジェクタ
KR20100002637A (ko) 프로젝터 시스템 및 프로젝터의 제어방법
US20200388240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16139902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5328341A (ja) 投影装置
JP6778819B2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KR100517307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상태 표시 및키스톤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09169134A (ja) プロジェクタ、調整装置および投写方法
JPH11298830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17151183A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5043010A (ja) 光投射装置、及び光投射装置の制御方法
JP2008242005A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