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999B1 - 멀티-소스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멀티-소스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999B1
KR101362999B1 KR1020127000184A KR20127000184A KR101362999B1 KR 101362999 B1 KR101362999 B1 KR 101362999B1 KR 1020127000184 A KR1020127000184 A KR 1020127000184A KR 20127000184 A KR20127000184 A KR 20127000184A KR 101362999 B1 KR101362999 B1 KR 10136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ed
projection
light source
project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052A (ko
Inventor
윌리엄 제이. 플룻
Original Assignee
트랜스퍼시픽 이미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랜스퍼시픽 이미지, 엘엘씨 filed Critical 트랜스퍼시픽 이미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3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1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 H04N9/311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by using a sequential colour filter producing two or more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creating scrolling colou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복수의 투사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베이스 내의 광원 및 복수의 투사 출력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투사 출력은 광학 변조 디바이스 및 투사 렌즈 시스템을 포함한다. 광원은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레이저들 또는 LED들과 같은 복수의 광원들 및 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는 광원들로부터 광빔들을 수용하고, 미리 결정된 순차적인 순서로, 광원들로부터 광 빔들을 복수의 투사 출력들로 전환시킨다.

Description

멀티-소스 투사-타입 디스플레이{MULTI-SOURCE PROJECTION-TYPE DISPLAY}
일반적으로,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또는 비디오 투사기는 투사 스크린 또는 다른 표면(예를 들어, 벽) 상에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주요 특성들 중 하나는 CRT(음극선관) 또는 LCD(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른 디스플레이들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들보다 사이즈가 더 큰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들의 능력이다.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투사될 수 있는 이미지에 비하여 비교적 더 작은 사이즈를 갖는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비디오 투사 디바이스들은 비지니스 프레젠테이션들, 클래스룸 트레이닝, 홈 시어터 등에 대하여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투사 디바이스들은 다수의 학교들 및 기관들에서 학생들을 교육하는 동안에 상호작용 화이트 보드(interactive white board) 상에 투사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대부분의 현대적인 투사 디바이스들은 수동 제어들을 통해 왜곡(distortion), 포커스(focus), 및 다른 불일치들을 정정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종래의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큰 이미지에 대한 휴대성의 결여 또는 디바이스 당 단일 비디오 출력과 같은 고정된 CRT/LCD 전통적인 사고 방식으로 설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이미지들의 선택적인 투사를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멀티-이미지 투사를 용이하게 하는 절차들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투시도를 예시한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투사 출력들로 광원으로부터 광 빔들을 전환시키는 스위치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식 차트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베이스 내의 컴포넌트들의 간략화된 도면을 예시한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광원 구성의 간략화된 전면도를 예시한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광원 구성의 간략화된 상면도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투사 컴포넌트들의 간략화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포지셔널 인터페이스 및 하부 부분 컷어웨이(cutaway)를 갖는 투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면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다수의 포지셔널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투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대안 실시예의 전면도를 예시한다.
도 11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대안 투시도를 예시한다.
도 12는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투사 출력들로 광원으로부터 광 빔들을 전환시키는 스위치를 도시하는 대안 도식 차트를 예시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수용 표면 상에 투사 이미지들을 캐스팅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들을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은 실시예들에 따른, 3개의 수용 표면들 상에 3개의 투사 이미지들을 각각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들을 도시한다.
도 19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회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20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시각 출력을 예시한다.
도 21은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시각 출력을 예시한다.
도 22는 비디오 게임 콘텐츠와 같은 투사된 미디어의 전경(foreground) 및 배경 콘텐츠의 콘텐츠 민감 결정이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는 예시적인 비-한정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도 23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채용될 수 있는 투사기 모듈의 다른 타입을 예시한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투사기 모듈의 타입이 다수의 출력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채용되는 또 다른 비-한정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며,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전반에 걸쳐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들이 설명을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들이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지의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 및 "시스템"이라는 용어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와 같은 컴퓨터 관련된 엔티티들을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예컨대,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파일, 실행의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써, 서버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양자 모두가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화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서 분산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고 청구되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서, 단일 또는 복수의 표면들 상에 복수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투사 시스템을 포함한다.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투사 출력들의 각각에 광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스위치가 제공된다. 다수의 투사 출력들은 단일 또는 다수의 표면들 상에 다수의 이미지들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컬러 휠(color wheel)들이 아날로그 스위치의 타입으로서 종래에 사용되어 왔지만, 뷰잉(view) 동안에 종종 두드러지는 결과의 디스플레이에서의 일시적인 갭들을 야기할 수 있는 컬러 휠들을 이용하는 스위칭에 내재하는 결함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하나의 비-한정 이익에 따르면, 아날로그 컬러 휠들에 내재하는 일시적인 갭들을 겪지 않는 다수의 색 광 출력의 디지털 스위칭이 가능하게 된다. 다수의 출력들의 비-한정 구현들에서, 발광 다이오드들(LED들) 또는 레이저들과 같은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원들과 같은 3개의 광원들에 대응하여, 3개의 투사 헤드들로부터 3개의 출력들이 제공된다.
다른 비-한정 실시예들에서, 투사 장치는, 다수의 광 출력들의 포지셔닝의 디지털 제어뿐만 아니라 광 출력들의 디지털 제어 외에 기계적인 제어도 제공한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색 광 출력들 사이의 디지털 스위칭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색 광 출력들의 부가적인 조준을 위해, 반-강성(semi-rigid)이지만 벤딩 가능한 구조와 같은 기계적인 구조를 통해 광 출력들이 물리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사 장치가 60 인치 이미지/비디오 렌더링을 핸들링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광 출력들이 40 인치 이미지/비디오 렌더링을 커버하도록 가능한 총 이미징 공간의 서브세트를 달성하기 위해 출력들을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색 광 출력들의 디지털 스위칭뿐만 아니라 광 출력들의 기계적인 기동성의 조합을 통해, 총 이미징 공간 미만의 이미징 공간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에서,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의 각각(또는 전부)의 해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적절하게 또는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대로, 다수의 이미지 정렬이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된 표면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해, 키스톤 정정이 채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미지 품질이 모니터링될 수 있고,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캡처된 데이터의 함수로서 광원들이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처음에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투사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100)은 예시된 투사-타입 디바이스(100)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들이 투사되게 할 수 있는 투사 관리 시스템(101)을 포함할 수 있다. 투사 관리 시스템(101)은 스위칭 컴포넌트(105) 및 멀티-투사 출력 컴포넌트(10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위칭 컴포넌트(105) 및 멀티-투사 출력 컴포넌트(107)는 함께, 단일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부터의 다수의 이미지들의 동시 투사를 용이하게 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은, 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 세트들과 같은 다수의 소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 세트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칭 컴포넌트(105)는 미리결정된 순서로 적색 레이저, 녹색 레이저 및 청색 레이저를 멀티-챔버 투사 컴포넌트(107) 내의 광 변조 디바이스로 안내 또는 라우팅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일 예에서, 각각의 투사 출력 컴포넌트(107)가 개별적인 소스로부터 발생된 광을 순차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스위칭 컴포넌트(105)가 교번하는 순서, 순환하는 순서, 또는 다른 결정된 순서로 광을 안내할 수 있다.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다수의 이미지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다수의 투사 출력들(107)을 채용할 수 있으면서, 광원들(103)이 출력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각의 투사 출력에 대하여 전용 광원들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투사-타입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수의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예를 들어, 흐름도의 형태로 여기서 도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이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몇몇 동작들이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그리고/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고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방법이 대안적으로 상태도와 같이, 일련의 상호 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 및 인식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요구되지는 않을 수 있다.
참조 번호 202에서, 다수의 레이저 세트들과 같은 다수의 광원들을 통해 광이 생성된다. 대안적인 양상들에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LED들) 또는 다른 적합한 광원을 통해 광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참조 번호 204에서, 예를 들어, 의도된 디스플레이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비디오 데이터가 분석될 수 있다. 예들에서, 단일 표면 상에 다수의 이미지들을 투사하기 위해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양상들에서, 다수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다수의 표면들이 채용될 수 있다.
참조 번호 206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출력들(107)로 광이 전환될 수 있다. 동작에서, 참조 번호 204의 분석에 기초하여, 출력들(107)로 광이 라우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방식 또는 타이밍 시퀀스로 출력들(107)의 각각에 광이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거나 또는 라우팅될 수 있다. 대부분의 임의의 시퀀스 또는 원하는 프레젠테이션 기법에 따라 타이밍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참조 번호 208에서, 광이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출력 내의 변조 디바이스들은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전송할 수 있다. 참조 번호 210에서, 표면 또는 스크린 상에 전송된 광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이미지들을 출력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다수의 표면들 또는 스크린들이 채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광 출력들이 충분한 점에서 챔버들이 선택적이지만, 단일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들을 투사하기 위해, 다수의 투사 챔버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특징들, 기능들, 및 이익들에 따라 더 상세한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들에 대한 개시의 검토시에 더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상면도가 예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원하는 대로 하나 이상의 수용 표면들 상에 하나 이상의 비디오 이미지들을 생성 및 투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베이스(12), 별개의 투사 출력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투사 출력들/챔버들(14), 및 복수의 포지셔널 인터페이스들(16)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예를 들어 고정 오브젝트에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포지션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서, 베이스(1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하여금 테이블 또는 데스크와 같은 평탄한 표면 상에 놓이게 허용하는 비교적 평탄한 저부를 포함한다. 평탄한 표면과의 정지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베이스(12)의 저부 표면(22b)에 하나 이상의 고 마찰 패드들(18)이 부착된다. 베이스(12)는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한 기능적 액세서리들의 모듈식 부착(modular attachment)을 허용하는 수용 슬롯(2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27)은 고정 오브젝트 상에 베이스(12)를 클램핑하기 위한 스프링-동력 클립을 포함하는 클립 부착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베이스(12)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하여금 벨트들 또는 스트랩들과 같은 개인 의류 또는 액세서리들, 및 책꽂이들 및 큐비클(cubicle)들의 수직 벽들과 같은 비-평탄 또는 비-수평 표면들 상에 장착되게 허용한다. 베이스(12)는 또한, 베이스(12)의 저부측 상에 기능적 액세서리들의 수용을 허용하기 위해 베이스(12)의 저부측 상에 동일한 치수의 다른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베이스(12) 내의 내부 컴포넌트들을 보호하고, 베이스(12)의 외측 치수들을 정의하며, 내부 광원 출력의 치수들을 정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거의 직사각형이며, 4개의 측벽들(22c-f)(대면하는 측벽들(22c 및 22d)만이 도면에 도시됨), 상부 벽(22a), 및 저부 벽(22b)을 포함한다. 벽들(22)은 베이스(12)에 대한 구조적 강성 및 하우징(20) 내의 내부 컴포넌트들에 대한 기계적인 보호를 부여하는 적합한 단단한(stiff) 또는 강성 재료를 포함한다. 이에 대하여, 경량 및 강성 플라스틱, 복합물, 합금, 또는 알루미늄이 적합하다. 하우징(20)의 하나 이상의 벽들은 또한, 하우징(20) 외부의 환경과 내부 챔버 사이의 에어 흐름을 허용하는 에어 통풍구들(2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20)은 도 3에서 도시된 것보다 더 라운딩된 또는 등고선(contoured) 형상을 포함하며, 직각 벽들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하지 않는다.
지금 설명되는 바와 같은 투사 챔버(14)와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각각의 투사 출력(14)은 수용된 광 및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의 생성을 책임지는 컴포넌트들, 및 이러한 이미지들의 투사가 가능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투사 챔버(14)는 투사 챔버 하우징(32), 광학 변조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지만 투사 챔버 하우징(32) 내에 존재함) 및 출력 투사 렌즈 시스템(도시되지 않지만 투사 챔버 하우징(32) 내에 존재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르면, 광학 변조 디바이스는 광학 변조 디바이스에 제공된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베이스(12)에서의 광원에 의해 발생된 광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며, 다음의 도면들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투사 렌즈 시스템은 투사 경로를 따라, 광학 변조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광을 출력하며, 또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동작에서, 베이스(12) 내의 광원은 투사 챔버(14) 내의 광학 변조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광을 광속(luminos flux)으로서 발생시킨다.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광섬유들은 베이스(12) 내의 광원으로부터 투사 챔버(14) 내의 광학 변조 디바이스에 광을 전송한다. 광학 변조 디바이스는 투사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신호에서의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광을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투사 렌즈 시스템은 광학 변조 디바이스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를 확대하고 투사한다. 수용 표면으로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이미지는 이미지가 확대되도록 스플레이(splay) 각으로 캐스팅된다.
투사 챔버(14)는 투사 챔버(14)의 내부 컴포넌트들을 보호하며 투사 챔버(14)의 외측 및 내측 치수들을 정의하는 투사 챔버 하우징(3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 챔버 하우징(32)은 투사 챔버 하우징(32)의 저부측 상에 부가된 수용 표면(29)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이다. 투사 챔버 하우징(32)은 출력 투사 경로와 거의 동일 선상에 있는 실린더 축을 가진다. 투사 렌즈 시스템의 출력 광학 투사 렌즈(37)는 투사 챔버(14)의 포워드 엔드를 형성하고 밀봉한다.
실시예들에서, 실린더형 투사 챔버 하우징(32)의 평균 직경은 상대적으로 출력 광학 투사 렌즈(37)의 직경의 10 퍼센트 이내에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투사 챔버 하우징(32)은 투사 챔버 하우징(32)의 포워드 엔드가 애프트(aft) 엔드보다 약간 더 크도록 약간 테이퍼링(taper)하여, 렌즈(37)가 더 큰 엔드를 구성하는 프러스토코니컬(frustoconical) 형상을 산출한다.
투사 챔버(14)의 형상 및 설계가 대안적인 양상들에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투사 챔버(14)의 포워드 엔드는 원형 출력 렌즈(37)를 수용하도록 라운딩될 수 있는 한편, 애프트 엔드는 국부적으로 직사각형 하우징에 의해 더 양호하게 포함되는 직사각형 광학 변조 디바이스 및 연관된 지원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코너링(corner)된다. 투사 챔버 하우징(32)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내부 챔버를 정의한다. 투사 챔버 하우징(32)은 베이스(12)의 구조적 강성 및 내부 컴포넌트 보호를 위해 적합한 단단한 재료를 포함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경량 및 강성 플라스틱, 복합물, 합금, 또는 알루미늄이 적합하다.
수용 인터페이스(29)는 투사 챔버(14)의 하부측 상에 배치되고, 투사 챔버(14)와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 사이의 커플링을 허가한다. 수용 인터페이스(29)는 또한, 투사 챔버(14) 내에 완전히 피팅(fit)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컴포넌트들, 또는 투사 챔버(14)의 외부에 공간 배열들을 요구하는 컴포넌트들의 포함 및 보호를 허가한다. 실시예들에서, 수용 인터페이스(29)는 투사 챔버 하우징(32)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투사 챔버 하우징(32)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의 투사 챔버를 확장한다.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는 투사 챔버(14)로 하여금 베이스(12)에 관련하여 이동되게 허용하고, 투사 챔버(14)로 하여금 이동된 후에 베이스(12)에 관련하여 일정한 포지션을 유지하게 허용한다. 따라서,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는 사용자로 하여금, 투사 챔버(14)를 포인팅 또는 조준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의해 투사되는 출력 이미지의 포지션을 쉽게 조작하게 허용한다. 실시예들에서,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는 투사 챔버(14)와 베이스(12)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움직임을 허가하는 볼 및 소켓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는 물결 모양의 금속 튜빙을 포함하며, 물결 모양의 금속 튜빙은 투사 챔버(14)에 대한 포지션을 홀딩하기에 충분히 강성이면서, 사용자가 투사 챔버(14)에 대한 원하는 포지션 및 배향을 달성하기 위해 튜빙을 벤딩(bend)하기에 충분히 순응적이다.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는 베이스(12)에 커플링되고 투사 챔버(14)에 커플링된다. 도 3에서 도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는 베이스(12)의 하우징(20)에 부착되거나 또는 커플링된 하측 엔드, 및 투사 챔버 하우징(32)에 부착된 상측 엔드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수용 인터페이스(29)의 투사 챔버 하우징(32) 부분이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의 상측 엔드에 대한 부착을 허용하는 한편, 상부 벽(22a)의 중심 부분이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의 하측 엔드에 대한 부착을 허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는 투사 챔버(14)의 애프트 엔드와 출력 광학 투사 렌즈(37)를 포함하는 포워드 엔드 사이의 위치에서 투사 챔버 하우징(32)에 커플링된다.
실시예들에서,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의 상측 엔드는, 예를 들어 베이스(12)에 대한 질량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투사 챔버(14)의 질량의 중심의 변위로부터 기인하는 베이스(12) 상에 전달되는 기계적인 모멘트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사 챔버(14)의 질량의 중심에 비교적 근접한 위치에서 커플링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베이스(12)는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로 하여금 상부 벽(22a)으로 폴딩(fold)되거나 또는 접히게 허용하는 상부 벽(22a)에서의 리세스된(recessed) 그루브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비-사용 동안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10)의 프로파일을 감소시킨다.
도 4는 본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베이스(12)에서 구성된 광원(64)(도 5)으로부터 각각의 투사 챔버(14)와 같은 다수의 투사 출력들(107)로의 광학 경로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식 차트를 예시한다. 광원(64)은, 적색 레이저 빔, 녹색 레이저 빔 및 청색 레이저 빔과 같은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복수의 레이저 빔들을 발생시키는, 적색 레이저 세트(961), 녹색 레이저 세트(962), 및 청색 레이저 세트(963)와 같은 복수의 레이저 세트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64)은 적색 레이저 세트(961), 녹색 레이저 세트(962), 및 청색 레이저 세트(963)로부터 적색 레이저 빔, 녹색 레이저 빔 및 청색 레이저 빔을 각각 수용하는 스위치(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3개의 투사 챔버들(14)을 포함한다. 투사 챔버들(14)의 각각은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및 투사 렌즈 시스템(112)을 포함한다.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는 수신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광원에 의해 발생된 광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투사 렌즈 시스템(112)은 하나 이상의 외부 수용 표면들 상에 투사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투사 경로를 따라,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의해 전송된 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치(8)는 미리 결정된 순차적인 순서로 적색 레이저 빔, 녹색 레이저 빔, 및 청색 레이저 빔을 3개의 투사 챔버들(14)의 각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제 1 시간 프레임, 제 2 시간 프레임, 및 제 3 시간 프레임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모드들이 존재한다.
제 1 모드에서, 제 1 시간 프레임 동안,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a)로 적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b)로 녹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c)로 청색 레이저 빔이 전송된다.
제 2 모드에서, 제 2 시간 프레임 동안,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c)로 적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a)로 녹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b)로 청색 레이저 빔이 전송된다.
제 3 모드에서, 제 3 시간 프레임 동안,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b)로 적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c)로 녹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a)로 청색 레이저 빔이 전송된다.
실시예들에서, 제 1 시간 프레임, 제 2 시간 프레임, 및 제 3 시간 프레임의 지속 시간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 1 모드, 제 2 모드, 및 제 3 모드는 광원(64)에 적용되기 위해 균등하게 교대한다.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1 시간 프레임, 제 2 시간 프레임, 및 제 3 시간 프레임의 지속 시간은 시스템 요건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지속 시간에 대한 이러한 조절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색 제어 방식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베이스(12) 내의 컴포넌트들의 간략화된 상면도를 도시한다. 광원 챔버(65)는 베이스(12)의 내부 벽들(22a-f)에 의해 볼륨 및 형상에서 정의된다. 광원 챔버(65)는 팬들(62a 및 62b), 광원(64), 전원 공급기(66), 광섬유 인터페이스(70), 광섬유 케이블(72), 입력/출력 회로(74), 제어 회로(76), 및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들(78)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베이스(1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구성된다. 이 경우에서, 베이스(12)가 평탄한 표면에 놓여있는 동안에 베이스(12)에 관련하여 투사 챔버(14)의 임의의 포지션에 대해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베이스(12)가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2) 내의 컴포넌트들이 베이스(12)의 풋프린트(footprint)에 대한 기하학적인 중심에 비교적 근접한 질량(23)의 중심을 점증적으로(cumulatively) 제공하도록, 베이스(12) 내의 컴포넌트들이 배열 및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에서 전형적으로 가장 무거운 컴포넌트들인 광원(64) 및 전원 공급기(66)는 하나의 차원에서 풋프린트의 비교적 중심에 배치되고, 다른 차원에서 질량의 중심(23)의 대향하는 측들 상에 배치된다. 실시예들에서, 질량의 중심(23)에 대하여 모멘트들을 실질적으로 밸런싱하기 위해, 베이스(12) 내의 컴포넌트들의 무게에 따라 베이스(12) 내의 컴포넌트들이 베이스(12) 내에 배열된다. 각각의 컴포넌트의 정확한 포지션은 베이스(12) 레이아웃 및 컴포넌트들의 수 및 타입에 의존할 것이다. 부가하여, 베이스(12)에 대한 질량(23)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투사 챔버(14)의 포지션들 및 배향들에 의해 생성되는 모멘트들을 밸런싱하기에 충분히 넓은 풋프린트를 제공하도록 하우징(20)이 사이징될 수 있다.
팬들(62a 및 62b)은 광원 챔버(65) 내의 컴포넌트들을 냉각(cool)시키기 위해 광원 소스 챔버(65)를 통해 에어를 이동시킨다. 실시예들에서, 팬들(62a 및 62b)은 베이스(12)의 일측 상에서 인렛(inlet) 에어 통풍구들(24a)을 통해 에어를 드로잉(draw)하고, 에어가 베이스(12)의 내부 컴포넌트들 및 하우징(20)의 벽들을 냉각시킨 후에, 가열된 에어를 배출 에어 통풍구들(24b) 밖으로 배출한다. 당업자는 팬들(62a 및 62b), 인렛 에어 통풍구들(24), 및 배출 에어 통풍구들(24b)의 배치가 광원 챔버(65) 내의 내부 컴포넌트 배치에 따라 변화할 것을 인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팬(62a 및 62b) 배치 및 광원 챔버(65) 내의 팬들(62)에 의해 실시되는 에어 흐름 패턴들은 베이스(12) 내의 컴포넌트들의 열 발생 기여들 및 개별적인 온도 조절 요건들에 따라 설계된다. 광원(64) 및 전원 공급기(66)가 베이스(12) 내의 열의 가장 큰 비율을 발생시키는 한편, 제어 회로(76) 및 입력/출력 회로(74)는 더 엄격한 온도 조절을 필요로 한다. 대응하여, 인렛 에어(69)는 인렛 에어 통풍구들(24a)을 통과하고, 초기에 에어가 비교적 차가운 동안 제어 회로(76) 및/또는 입력/출력 회로(74)를 통과하고 냉각시키고, 전원 공급기(66) 및 광원(64)을 통과하며, 배출 에어 통풍구들(24b) 밖으로 나간다. 배출 에어는 또한 팬들(62a 및 62b)을 각각 회전시키는 팬 모터들(63a 및 63b)을 냉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베이스(12)에 대한 더 낮은 프로파일을 허가하기 위해 다수의 팬들이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열 소멸 목표들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팬들의 사이즈 및 수가 원하는 에어 흐름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내의 열 발생에 의존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광원 챔버(65)는 또한, 원하는 대로 에어 흐름을 안내 및 분산하기 위해 광원 출력(65) 내의 하나 이상의 수평 또는 수직 에어 흐름 가이드들(67)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광원(64)은 다이오드 레이저들에 전원공급하고 다이오드 레이저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 보드들 및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 레이저 어레이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서, 각각의 회로 보드의 표면들을 지나게 냉각 에어를 안내하도록 에어 흐름 가이드들(67)이 배열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팬들(62a 및 62b)은 또한, 투사 출력(14)에 포함된 광학 변조 디바이스를 냉각시키기 위해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를 통해 투사 챔버(14)로 그리고 투사 챔버(14)로부터 에어를 드로잉하는 것을 책임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구성의 간략화된 전면 및 상면도들을 각각 예시한다. 이 경우에서, 광원 챔버(65)는 시준된(collimated)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레이저들은 예를 들어, 다이오드 레이저들 및/또는 다이오드 펌핑된 고체-상태(DPSS) 레이저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 레이저에 의해 생성된 시준된 광은 복사 광과 상이하고, 거의 동일한 출력 방향 및 상당히 동상(in phase)으로 출력되는 광에 의해 특성화된다.
레이저들의 어레이는 하나 이상의 적색 다이오드 레이저들(96a), 하나 이상의 녹색 다이오드 레이저들(96b), 및 하나 이상의 청색 다이오드 레이저들(96c)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레이저 세트(961)는 복수의 적색 다이오드 레이저들(96a)을 포함한다. 녹색 레이저 세트(962)는 복수의 녹색 DPSS 레이저들(96b)을 포함한다. 청색 레이저 세트(963)는 복수의 청색 다이오드 레이저들(96c)을 포함한다. 각각의 색에 대한 레이저들의 수 및 전력은, 각각의 색에 대한 뷰어의 광 민감도에 따라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한 원하는 광 강도 출력에 따라 스케일링된다.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회로 보드(97) 상에 설치되며, 회로 보드(97)는 회로 보드(97) 상에 설치된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탑재하고 그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대한 전기 제어를 제공한다. 광원(64)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일 보드(97) 상에 다수의 레이저들이 탑재될 수 있다. 단일 색에 대하여 다수의 레이저들을 포함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출력 광도(luminosity)로 하여금 각각의 색에 대하여 턴온되는 레이저들의 수에 따라 변화하게 허용하고, 레이저들에 의한 광 발생의 리던던트(redundant) 제어를 허용한다. 따라서, 적은 광 강도가 요구되거나, 개별적인 레이저들의 수명(longevity)이 주기적인 셧-다운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한 전력 보존이 선호되는 경우에, 레이저들 중 하나 이상이 턴 오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서, 광섬유 케이블링(72)에 레이저들로부터 출력된 광이 제공된다. 광섬유 케이블링(72)은 각각의 레이저로부터 광섬유 케이블링(72)의 출구 엔드와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사이의 광 경로를 따라 배치된 릴레이 광학 시스템(106 및 108)으로 다수의 또는 공통 광학 경로들을 따라 광을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 케이블들을 포함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케이블(72)은 적색 레이저(96a), 녹색 레이저(96b), 또는 청색 레이저(96c)로부터 광을 수용하는 인렛 엔드(72a)를 갖고; 각각의 케이블(72)은 또한, 릴레이 광학계(106 및 108)로의 전송 및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로의 후속하는 전송을 위해 레이저 광을 아웃렛(outlet)하는 아웃렛 엔드(72b)를 갖는다. 광섬유 케이블링(72)이 벤딩될 수 있고 유연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으므로, 광섬유 케이블링(72)은 유리하게, 레이저들과 광학 시스템 사이의 포지셔닝 및 배향에 관계 없이 레이저들과 릴레이 광학 시스템 사이에서 광 전송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이는 레이저들, 릴레이 광학계(106 및 108), 및 프리즘(110)(도 8)의 유연한 배열을 허용하며, 그 유연한 배열은, 베이스(12) 내의 공간 보존을 개선하고, 베이스(12)의 풋프린트를 감소시키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사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가하여, 유연한 광섬유 케이블링(72)은 또한,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로 하여금 투사 챔버(14)에서의 광학 변조 디바이스로의 광 제공을 타협하지 않으면서 이동하게 허용한다.
케이블링(72)에서의 광 섬유 케이블들의 수는 설계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각각의 케이블이 스위치에 하나 이상의 색들을 서비스하고, 하나의 케이블이 스위치로부터 각각의 광학 변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설계에서,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레이저(96a), 녹색 레이저(96b), 또는 청색 레이저(96c)로부터의 광은 각각의 색에 전용되는 광섬유 케이블로 먼저 전송되고; 후속하여, 스위치에 의해 공통 광섬유 케이블(71)로 라우팅된다.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광섬유 케이블은 개별적인 레이저에 직접 부착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광섬유 케이블은 레이저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 스레딩된 인터페이스에 매칭하는 내측 스레딩된 인터페이스를 갖는 픽스처(fixture)를 포함할 수 있다. FL, Dunedin의 Ocean Optics Inc.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것과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광섬유 케이블들에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커플링 및 정렬 픽스처들이 딸려 있다. 실시예들에서, 케이블로의 시준된 전달 및 레이저-대-섬유 광 전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케이블의 인렛 엔드에 단 촛점 길이 노멀 또는 GRIN 렌즈가 탑재된다.
정션(75)은 광섬유 케이블들(72)로부터 수렴 광학계(77) 및 공통 광섬유 케이블(79)로의 광의 전송을 허가한다. 수렴 광학계(77)는 각각의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공통 광섬유 케이블(79)로 인입 광을 재안내하며, 재-시준 렌즈(77b)를 향해 광을 재안내하는 수렴 렌즈(77a)를 포함하고, 재-시준 렌즈(77b)는 수렴 렌즈(77a)로부터 공통 광섬유(79)로 인입 레이저 광을 시준하고 재-안내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션(75)은 또한, 광섬유 케이블들 및 공통 광섬유 케이블(79)을 고정(예를 들어, 홀딩 및 포지셔닝)시키는, 적합한 치수의 몰딩된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정션(75)은 수렴 렌즈(77a)에 직접 케이블들을 부착하는 광학 부착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아웃렛 엔드(72b)에서, 광섬유 케이블들은 다수의 섬유들을 포함하는 더 큰 케이블로 결합된다. 섬유 리본-기반 케이블들 및 라운드 튜브 내의 원주에 위치되는 다수의 섬유들을 채용하는 것들과 같은 다수의 섬유 케이블들이 다양한 벤더들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각각의 케이블이 원색(primary color)을 전송하는 경우에,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 설계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케이블이 3개의 상이한 광학 경로들을 따라 레이저들의 원색 세트로부터 3개의 원색 전용 광학 변조 디바이스들로 광을 전송하는 3개의 광섬유 케이블들이 채용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광 챔버(65)는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대한 광을 발생시키기 위해 다른 광 소스 배열들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광원 배열들은 복사, 비-레이징(non-lasing) 또는 비-시준 광 발생에 의해 특성화되는 복사 발광 다이오드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 및 DPSS 레이저들과 유사하게, 복사 발광 다이오드들은 백색 광 램프보다 전력을 덜 소비하고 열을 덜 발생시키며, 또한 색 광을 방사하고, 이로 인해, 컬러 휠(color wheel)이 없이 동작할 수 있다. 광 챔버(65)는 또한, 적색, 녹색, 및 청색 제어를 위해 채용된 3개의 액정 디스플레이(LCD) 밸브들과 같은 색 전용 광학 변조 디바이스들로의 광섬유 케이블들(72) 내에서의 전송을 위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분리시키기 위해, 백색 광 발생 어셈블리들에서 하나 이상의 이색성(dichroic) 미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기(66)는 광원(64) 및 전기 전력에 의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내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전기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원 공급기(66)는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도 8)와 같은 투사 챔버(14) 내의 컴포넌트들, 전원 다이오드(80), 팬들(62a 및 62b), 입력/출력 회로(74), 및 제어 회로(76)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전원 다이오드(80)는 외부 전원 스위치(82)와 전기적으로 통신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온 또는 오프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턴 온되는 경우에 조명할 수 있다. 전원 코드 포트(81)는 벽 전원 공급기와 같은 AC 전력 소스에 전원 공급기(66)를 커플링시키는 전원 코드를 수용한다.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랩톱 컴퓨터 전원 코드들과 공통적인 바와 같이, AC 전력 대 DC 전력의 변환은 전원 코드의 엔드들 사이에 포함된 변압기에서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원 공급기(66), 베이스(12),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휴대성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전원 공급기(66) 내의 회로는 인입 전력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DC 전압들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원 공급기(66)는 적어도 하나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66a)를 포함한다. 배터리(66a)는 인렛 포트(81)를 통해 제공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재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66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하여금 AC 전력 소스에 대한 근접성에 의존하지 않고 저장된 에너지로 동작하게 하용하며,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휴대성을 더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베이스(12)로의 배터리의 포함은 자동차, 도서관, 커피 숍, 원격 환경 또는 AC 및 고정 전력 아웃렛들이 쉽게 이용 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닿지 않는 경우 임의의 다른 세팅으로 사용을 확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72)은 광섬유 케이블(72)의 출구 엔드와 투사 챔버(14)에서의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도 8) 사이의 광 경로를 따라 배치된 릴레이 광학계에 광원(64)으로부터 광을 전송한다. 디바이스(10) 구조에 대하여, 광섬유 케이블(72)은 하나의 구획(compartment)으로부터 별개의 구획으로, 즉, 베이스(12)에서의 광원 챔버로부터 투사 챔버(14)로 광을 전송한다. 광섬유 케이블들의 수는 설계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각각의 광섬유 케이블(72)이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 레이저들을 서비스하는 레이저 광 발생 설계에서,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들이 채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광섬유 케이블(72)은 원색을 서비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은 다이오드 레이저 어레이에 의해 발생되고, 단일 광 경로를 따라 단일 미러-기반 광학 변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순차적으로 제어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3개의 광섬유 케이블들이 3개의 광섬유 케이블들로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어레이로부터, 원색의 변조에 각각 전용되는 3개의 광학 변조 디바이스들로 광을 전송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광섬유 인터페이스(70)는 각각의 레이저로부터 광섬유 케이블링(72)으로의 광의 전송을 용이하게 한다. 광섬유 인터페이스(70)는, 광원으로부터 출력된 광이 광섬유 케이블로 전송되도록, 광섬유 케이블링(72)에 포함된 각각의 광섬유 케이블에 대한 인렛 엔드를 포지셔닝하고 홀딩하는 하나 이상의 픽스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 인터페이스(70)는 또한, 레이저들로부터 광섬유 케이블링(72)으로 광을 안내하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케이블링(72)에서 단일 광섬유 케이블이 사용되고, 광섬유 인터페이스(70)는 케이블로 광을 안내하기 위해, 단일 광섬유 케이블의 인렛과 각각의 레이저 또는 램프의 아웃렛 사이에 배치된 렌즈 시스템을 포함한다.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 입구를 향해 광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렌즈, 및 케이블에 진입하는 광을 시준하는 제 2 렌즈. 1-대-1 레이저 대 광섬유 케이블 관계를 구현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광섬유 인터페이스(70)는 각각의 레이저의 아웃렛으로부터 광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레이저의 아웃렛에 비교적 근접하게 각각의 광섬유 케이블에 대한 인렛 엔드를 홀딩한다. 이 경우에서, 각각의 케이블은 광 캡처 및 케이블로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수렴 렌즈를 각각의 케이블의 인렛 엔드에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1-대-1 설계에서, 광섬유 케이블링(72)에서의 각각의 광섬유 케이블은 다른 오브젝트로의 부착을 허가하는 픽스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FL, Dunedin Ocean Optics Inc.와 같은 벤더들로부터 이용 가능한 종래에 이용 가능한 광섬유 케이블들은, 레이저 하우징 상에 배치된 메이팅(mating) 스레드에 대한 광섬유 케이블의 스크루잉(screwing) 및 고정을 허용하는 스레드를 갖는 분리 가능한 픽스처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서, 광섬유 인터페이스(70)는 각각의 케이블로부터의 스레드된 픽스처 및 레이저 상의 메이팅 스레드를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다수의 출력들을 갖는 투사 디바이스는 단일 출력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적색, 녹색 및 청색 레이저들이 단일 광섬유 케이블을 따라 단일 광학 변조 디바이스에 색 광을 전송하는 단일 경로 실시예들에서, 스위치(105) 및 광섬유 인터페이스(70)는 제어 회로(76)에 의해 레이저들에 제공되는 타이밍된 제어 신호들에 따라 차례로 각각의 색 레이저로부터 색 광을 수용한다.
입력/출력 회로(74)는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들(78)과 제어 회로(76)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들(78)은 디지털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들(78)과 사용하기에 적합한 공통 포트들은 S 비디오 케이블, 6-핀 미니 DIN, VGA 15-핀 HDDSUB 피메일(female), 오디오 케이블, S-비디오 어댑터를 통한 컴포넌트 RCA, 복합 비디오 RCA 케이블링,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케이블, 파이어 와이어 등을 수용하는 포트들을 포함한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들(78)은 또한, 헤드폰 또는 스피커 시스템에 의해 채용되는 스피커들로의 와이어 접속을 위한 오디오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76)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컴포넌트들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서, 제어 회로(76)는 입력/출력 회로(74)로부터의 데이터를 라우팅함으로써 베이스(12) 내에 있지 않은 컴포넌트들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제어 회로(76)는 언제 광원(64)이 턴 온/오프되는지를 결정하는 제어 신호들을 광원(64)에 제공할 수 있다. 부가하여, 회로(76)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내의 컴포넌트들의 동작을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열 조절 명령들에 따라 팬들(24)을 제어하기 위해, 회로(74)가 제어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열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들이 또한 베이스(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76)에 의해 제어되는 베이스(12) 내의 폐루프 온도 제어에 참여하고 온도 레벨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온도 센서가 회로(74 및 76)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74) 및 입력 포트들(78)은 비디오 데이터를 반송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사이의 통신을 일괄적으로 허가한다.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개인용 정보 단말(PDA)들, 셀룰러 전화들, 비디오 게임 콘솔들, 디지털 카메라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들, DVD 플레이어들, 및 VCR들은 모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제어 회로(76)에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태일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입력/출력 회로(74) 및 제어 회로(76)는 액정 디스플레이 "LCD"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DMD" 디바이스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포함된 광학 변조 디바이스의 디지털 제어에 적합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들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들을 변환한다. 따라서, 입력/출력 회로(74) 또는 제어 회로(76)는 또한, S-비디오 케이블링 또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요구되는 프로세싱 로직과 같은 특정 커넥터 타입들에 대한 로직 및 지원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76)는 또한, 인입 데이터 타입들의 변환을 용이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비디오 호환성을 강화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그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제어 회로(76)에 의해 액세스되는 메모리 내의 저장된 변환 명령들을 갖는 적합한 비디오 포맷들은 예를 들어, NTSC, PAL, SECAM, EDTV 및 HDTV(1080i 및 720p RGBHV)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광원(64) 내의 광 발생을 위해 레이저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제어 회로(76)는 하나 이상의 입력 포트들(78) 및 입력/출력 회로(74)를 통해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색 프레임 순차 데이터로 변환하며, 각각의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및 각각의 레이저(96)로의 전달을 위해 프레임 순차 데이터를 동기화시킨다. 광섬유들이 각각의 광학 변조 디바이스에 시간 제어된 순차적인 순서로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전송하는, 광학 변조 디바이스, 스위치, 및 레이저들(96) 사이의 단일, 더블, 또는 트리플 경로 설계에서, 이는 레이저들(96)에 송신되는 온-오프 커맨드들 및 광학 변조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타이밍을 동기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와 같은 회로가 하드웨어로만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회로 또는 제어기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8은 몇몇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사 챔버(14)의 실린더 축을 따라 챔버(14)의 수직 중간점에 걸쳐 취해진, 도 3의 투사 챔버(14) 내의 컴포넌트들의 간략화된 측면도 예시를 도시한다. 도 9는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 및 하부 투사 챔버(29)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하기 위해,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 및 하부 투사 챔버(29) 컷어웨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전면도 예시를 도시한다. 투사 챔버(14)는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광섬유 인터페이스(104), 릴레이 광학계(106 및 108), 프리즘 구조(110), 투사 렌즈 시스템(112), 제어 및 전력 케이블링(120), 및 에어 덕트(duct)(122)를 포함한다.
광섬유 케이블링(72)은 광섬유 인터페이스(104)에 부착하고 릴레이 광학계(106)에 광을 출력한다. 실시예들에서, 광섬유 인터페이스(104)에서의 부착과 베이스(12) 내의 부착 사이에서 광섬유 케이블링(72)에 대하여 슬랙(slack)이 제공되도록, 광섬유 인터페이스(104)는 광섬유 케이블링(72)을 고정시킨다. 슬랙은 광섬유 케이블링(72)으로 하여금 베이스(12)에 관련하여 투사 챔버(14)의 다양한 포지션들을 위해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에 따라 디플렉트(deflect)하게 허용한다.
광섬유 케이블링(72) 및 광섬유 인터페이스(104)는 함께, 광원(64)에 의해 발생된 광을 프리즘(110)으로 안내한다. 실시예들에서, 광섬유 케이블링(72) 및 인터페이스(104)는 프리즘(110)의 입사(incident) 표면에 거의 수직인 입사 광의 광학 경로를 제공하도록 프리즘(110)에 대하여 구성된다. 몇몇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광 변조기 설계들은, 투사 경로(31)를 따르는 광 출력을 허용하기 위해 인입 광이 광 변조기의 광 반사 표면 위 또는 아래로부터 광 변조기 상에 입사하는 것을 요구한다.
투사 챔버 하우징(32) 및 광섬유 인터페이스(104)의 수용 인터페이스(29)는 그 요건을 경감하며, 광섬유 인터페이스(104)가 프리즘(110)에 관련하여 특정한 원하는 각으로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상에 광을 안내하도록, 설계자로 하여금 수용 인터페이스(29) 내의 광섬유 케이블링(72) 및 광섬유 인터페이스(104)를 배열하게 허용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110)의 입사 표면 상에 수직하고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관련하여 45도 각을 갖는(예를 들어, 프리즘(110)이 투사 경로(31)에 대하여 45도 회전됨) 입사 광 경로를 제공하도록 광섬유 인터페이스(104)가 수용 인터페이스(29)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4)와 하우징(29) 사이의 부착은,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의 리포지셔닝(reposition)에 의해 야기되는 광섬유 케이블링(72)의 길이를 따라 광섬유 케이블링(72)의 포지션들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인입 광 각을 유지한다.
릴레이 광학계(106 및 108)는 광섬유 케이블링(72)으로부터 광 수용을 프리즘 구조(110)로 그리고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상으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광으로 변환한다. 이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을 사용하여 광섬유 케이블링(72)으로부터 수용된 광 플럭스를 형상화하고 리사이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광원(64)과 프리즘(110) 사이의 광학 경로에 배열된 플라이-아이(fly-eye) 렌즈들의 쌍을 포함한다. 점증적으로, 플라이-아이 렌즈들의 쌍은 광섬유 케이블링(72)으로부터 수용된 광을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상에 전송되는 플럭스로 균일하게 분산한다. 실시예들에서, 플라이-아이 렌즈들의 쌍은 양측에 및 광섬유 케이블링(72) 상에 배열된다. 제 1 플라이-아이 렌즈는 베이스(12) 내의 광섬유 인터페이스(70)에 배치되고, 램프 또는 다이오드 레이저 어레이로부터 광을 수용하며, 전체 입력 광 플럭스를 인렛 플럭스의 총 영역의 일부를 각각 포함하는 블록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세트로 공간적으로 분할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블록 또는 컴포넌트에 대한 광은 각각의 블록 또는 컴포넌트의 광섬유 케이블링(72)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제 2 플라이-아이 렌즈는 동일한 수의 블록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릴레이 렌즈(106)에 배치된다. 제 2 플라이-아이 렌즈는 각각의 블록 또는 컴포넌트에 대한 광섬유 케이블을 수용하고, 투사된 이미지 및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의 다운스트림 치수들을 스패닝(span)하기 위해 각각의 컴포넌트로부터의 광이 확장되도록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한 광을 출력한다.
프리즘 구조(110)는 미리 결정된 각들로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광을 제공하는 광학 변조 시스템이다. 프리즘 구조(110)는 또한,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로부터 투사 렌즈 시스템(112)으로 투사 경로(31)를 따라 광을 전송한다. 프리즘 구조(110)는 에어 공간(air space) 또는 본딩 인터페이스(110c)에 의해 분리된 프리즘 컴포넌트들(110a 및 110b)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10c)는, 광섬유 케이블들(72)(및 중간 릴레이 광학계)로부터 제공된 광을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를 향해 반사하기 위한 각으로 배치된다. 부가하여, 인터페이스(110c)는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의해 반사된 광으로 하여금 투사 경로(31)를 따라 투사 렌즈 시스템(112)로 전송되게 허용한다.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는 투사 경로(31)를 따라 출력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광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렇게 하기 위해,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는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가 공급되고,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는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전송한다. 전형적으로, 개별적인 픽셀 값들에 따라 프레임 기초로 디바이스(102)에 비디오 데이터가 제공된다. 비디오 데이터가 이 포맷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베이스(12)에서의 제어 회로(76)는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의 동작에 대해 적합한 포맷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출력 이미지 상의 개별적인 픽셀에 각각 대응하는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내의 개별적인 광 변조 엘리먼트들은 수신된 디지털화된 픽셀 값들을 각각의 픽셀에 대한 대응하는 광 출력 값들로 번역한다.
실시예들에서,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는 Texas Instruments,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또는 DMD, Texas Instruments Inc.의 상표)와 같은 미러 기반 광학 변조 디바이스이다. 이 경우에서,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는 작은 알루미늄 마이크로메커니컬 미러들의 직사각형 어레이를 포함하며, 작은 알루미늄 마이크로메커니컬 미러들의 각각은 투사 경로(31) 아래쪽으로 출력 이미지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며 투사 경로(31)로부터 멀어지게 비-이미지 광을 반사하기 위해 힌지(hinged) 축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디플렉트된다. 미러 리셋 신호 및 언더라잉 어드레싱 회로의 메모리 콘텐츠들을 변경함으로써, 각각의 미러의 디플렉션 상태 또는 각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각각의 미러가 비디오 이미지에서의 단일 픽셀의 광 출력을 책임지도록, 미러들의 어레이가 배열된다. 각각의 미러의 근처에 배치된 전극들을 제어하기 위해, 픽셀 출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이 공급되고, 이로 인해, 픽셀 기초로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전자기력에 의해 개별적인 미러들을 선택적으로 디플렉트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은 투사 경로(31)를 따라 프리즘 구조(110)를 통해 투사 렌즈 시스템(112)을 사용하여 투사 챔버(14) 밖으로 전송된다.
제어기(114)가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포함되고, 각각의 픽셀에 대한 픽셀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광 반사 상태들로 각각의 마이크로메커니컬 미러를 안내하는 제어 전기 신호들을 제공한다. 제어 및 전력 케이블링(120)은 베이스(12)에서의 제어 회로(76)(도 3)와 제어기(114) 사이의 전기적인 통신을 제공한다. 따라서, 케이블링(1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커넥터는 투사 챔버(14)에서의 제어기(114) 및 베이스(12)에서의 제어 회로(76)에 커플링되고, 그 사이의 전기적인 통신을 제공한다. 케이블링(120) 내의 전력 라인은 투사 챔버(14)에서의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와 베이스(12)에서의 전원 공급기(66) 사이에서 확장하고, 전원 공급기(66)로부터 디바이스(102)로 전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어 및 전력 케이블링(120)은 제어 및 전력 케이블링(120)으로 하여금 투사 챔버(14)의 임의의 포지션에 대하여 제어 및 전력 케이블링(120) 상의 충돌 없이 통과하게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홀들 또는 어퍼처들을 포함하는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이동한다. 실시예들에서, 제어 및 전력 케이블링(120)은 와이어들을 추가로 보호하기 위해 포지셔널 인터페이스(16)에서의 플라스틱 튜브를 통해 통과한다.
광섬유 인터페이스(102)의 출력 방향, 릴레이 광학계(106 및 108)의 배열, 및 프리즘 구조(110)의 면들에 의해,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대한 조명 각들이 세팅된다.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의 개별적인 미러들에 의한 광 반사 후에, 반사된 광은 투사 경로(31)를 따라 렌즈들(112)을 향해 프리즘 구조(110)를 나간다.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근접한 투사 챔버 하우징의 애프트 부분 상에 통풍구들(118)이 배치된다. 에어 덕트(122)는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및 제어기(114)에 근접한 고압 엔드, 및 베이스(12) 내에 배치된 저압 엔드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팬들(62a 및 62b)은 베이스(12) 내부로부터 에어를 드로잉할 수 있고, 배출 통풍구들(24b) 밖으로 에어를 배출할 수 있으며, 이는 주변의 룸 또는 서라운딩들에 관련하여 베이스(12) 내에서 부압(negative pressure)을 생성한다. 대응하여, 팬들(62a 및 62b)은 투사 챔버(14)에서의 반대편 엔드에 관련하여 베이스(12) 내의 에어 덕트(122)의 엔드에 대해 부압을 생성하며, 그렇지 않으면 통풍구들(118)로 인해 룸 압력에 놓일 수 있다. 베이스(12) 내에 에어 덕트(122)의 하나의 엔드를 배치하고,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주위의 공간(125)에 다른 엔드를 배치함으로써, 팬들(62)은 공간(125)으로부터 에어를 드로잉하고,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를 냉각시킨다. 점증적으로, 냉각 에어는 투사 챔버(14) 주위의 주변 서라운딩들로부터, 통풍기들(118)을 통해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를 서라운딩하는 공간(125)으로, 엔드(122a)에서의 덕트(122)로, 덕트(122)를 통해, 엔드(122b)에서 덕트(122) 밖으로, 베이스(12)로, 그리고 에어 통풍구들(24b) 밖으로 드로잉된다. 팬들(62)은 엔드(122a)에 비하여 낮은 압력으로 엔드(122b)를 유지하고, 따라서,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냉각을 제공한다.
투사 렌즈 시스템(112)은 투사 경로(31)를 따라 광학 변조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광을 출력하기 위해 투사 경로(31)를 따라 배치된다. 투사 렌즈 시스템(112)은, 수용 표면 상에 캐스팅된 투사된 이미지가 출력 광학 투사 렌즈(37)로부터 수용 표면으로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확대하도록 투사 경로(31)를 따라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의해 전송되는 이미지 광을 조작한다. 투사 렌즈 시스템(112)은 렌즈들(112a, 112b, 112c) 및 출력 광학 투사 렌즈(37)를 포함하고, 이들의 각각은 투사 경로(31)를 따라 중심에 배치되고 투사 경로(31)에 직각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렌즈 사이의 거리들은, 사용되는 렌즈들의 수에 따라 출력 광학 투사 렌즈(37)로부터 원하는 스플레이 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약 6인치와 약 15 피트 사이와 같은 짧은 스로우(throw) 거리에 대하여 설계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투사 렌즈 시스템(112)으로부터의 출력을 수동으로 포커싱하고 수동으로 줌(zoom)하게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들 또는 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사 챔버(14)는 또한, 투사 경로(31)를 향해 디바이스(102)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 광을 수렴시키는 렌즈를 프리즘(110)과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사이에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출력 렌즈(112) 직경들의 감소 및 투사 챔버(14)에 대한 직경 및 사이즈의 대응하는 감소를 허용한다.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광 변조기들 및 광 경로 설계들의 다른 타입들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섬유 케이블링(72)은 3개의 원색 전용 LCD 광학 변조기들 또는 3개의 원색 전용 DMD 광학 변조기들에 광을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광 경로 설계에 대하여 배열될 수 있다. LCD 광학 변조 디바이스의 경우에서, 광의 선택적인 전송은 픽셀 기초로 액정 매체를 통하는 광의 선택적인 통행을 포함한다.
부가하여, 도 3의 베이스(12)가 투사 기능에 전용된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주로 설명되었지만, 베이스(12)가 더 큰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출력에 단독으로 안내되지 않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베이스(12)는 투사 기능을 위한 컴포넌트들, 및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컴퓨터 기능을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하우징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터 기능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서, 하드 드라이브,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및 제어 보드들, 디스크 또는 플로피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하우징(20)은 결합된 기능 및 컴포넌트들을 수용하기 위해 상당히 더 크다. 부가하여, 하우징 내의 에어의 움직임을 위해 사용되는, 팬들 및 전원 공급기와 같은 몇몇 컴포넌트들이 공유될 수 있다.
도 10은 비-한정 실시예에 따른, 투사 출력들(1014)로부터의 다수의 광 출력들을 위한 3개의 포지셔널 인터페이스들(1016)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0)의 전면도 예시를 도시한다. 포지셔널 인터페이스들(1016)은 광섬유 인터페이스들(1004), 릴레이 광학계(1006 및 1008), 프리즘 구조들(1010)을 포함한다. 광섬유 케이블링들(1072)은 광섬유 인터페이스들(1004)에 부착되고, 릴레이 광학계(1006)에 광을 출력한다. 광섬유 케이블링들(1072) 및 광섬유 인터페이스들(1004)은 함께, 각각의 광원들에 의해 발생된 광을 프리즘들(1010)에 안내한다. 실시예들에서, 광섬유 케이블링들(72) 및 인터페이스들(1004)은, 프리즘(1010)의 입사 표면에 거의 수직한 입사 광의 광학 경로를 제공하도록 프리즘(1010)에 대하여 구성된다.
광섬유 인터페이스들(1004)은, 설계자로 하여금 광섬유 인터페이스들(1004)이 프리즘(1010)에 관하여 특정 원하는 각으로 광을 안내하도록 광섬유 케이블링들(1072) 및 광섬유 인터페이스들(104)을 배열하게 허용한다. 릴레이 광학계(1006 및 1008)는 광섬유 케이블링들(72)로부터 수용된 광을 프리즘 구조들(1010)로의 전송에 적합한 광으로 변환한다. 이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을 사용하여 광섬유 케이블링들(72)로부터 수용되는 광 플럭스를 형상화하고 리사이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0)는 광원들과 프리즘들(1010) 사이의 광학 경로에서 배열된 플라이-아이 렌즈들의 쌍을 포함한다.
프리즘 구조들(1010)은 미리 결정된 각들로 광학 변조 디바이스들에 광을 제공하는 광학 변조 시스템들이다. 광섬유 인터페이스들의 출력 방향들, 릴레이 광학계(1006 및 1008)의 배열 및 프리즘 구조들(1010)의 면들에 의해 광학 변조 디바이스들에 대한 조명 각들이 세팅된다. 광학 변조 디바이스들의 개별적인 미러들에 의한 광 반사 후에, 반사된 광은 상이한 포지셔널 인터페이스들(1016)로부터 투사 경로들(1031a, 1031b 및 1031c) 각각을 따라 프리즘 구조들(1010)을 나간다.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광 변조기들 및 광 경로 설계들의 다른 타입들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섬유 케이블링들(72)은 출력들(1014)의 각각으로부터 광을 전송하기 위해 다수의 광 경로 설계에 대하여 배열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의 투시도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는 베이스(12), 2개의 투사 챔버들(14), 및 2개의 포지셔널 인터페이스들(16)을 포함한다.
도 12는 베이스(12)(도 11)에서 구성된 광원(64)으로부터 각각의 투사 챔버(14)로의 광 경로를 예시하는 도식 차트를 예시한다. 광원(64)은 적색 레이저 빔, 녹색 레이저 빔 및 청색 레이저 빔과 같은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진 복수의 레이저 빔들을 발생시키는 적색 레이저 세트(961), 녹색 레이저 세트(962) 및 청색 레이저 세트(963)와 같은 복수의 레이저 세트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64)은 또한, 적색 레이저 세트(961), 녹색 레이저 세트(962) 및 청색 레이저 세트(963)로부터 적색 레이저 빔, 녹색 레이저 빔 및 청색 레이저 빔을 각각 수용하는 스위치(8)를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는 2개의 투사 챔버들(14)을 포함한다. 투사 챔버들(14)의 각각은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 및 투사 렌즈 시스템(112)을 포함한다.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는 수신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광원에 의해 발생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투사 렌즈 시스템(112)은 하나 이상의 외부 수용 표면들 상에 투사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미리 결정된 투사 경로를 따라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의해 전송되는 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치(8)는 2개의 광학 변조 디바이스들(102)의 각각에 미리 결정된 순차적인 순서로 적색 레이저 빔, 녹색 레이저 빔 및 청색 레이저 빔을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개별적으로 제 1 시간 프레임, 제 2 시간 프레임 및 제 3 시간 프레임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모드들이 존재한다.
제 1 모드에서, 제 1 시간 프레임 동안,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a)로 적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b)로 녹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청색 레이저 세트(963)는 턴 오프되거나 또는 레이저 광이 발생되지 않는 저 전압 스테이지에 머무른다.
제 2 모드에서, 제 2 시간 프레임 동안,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a)로 녹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b)로 청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적색 레이저 세트(961)는 턴 오프되거나 또는 레이저 광이 발생되지 않는 저 전압 스테이지에 머무른다.
제 3 모드에서, 제 3 시간 프레임 동안,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b)로 적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스위치(8)로부터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a)로 청색 레이저 빔이 전송되고; 녹색 레이저 세트(962)는 턴 오프되거나 또는 레이저 광이 발생되지 않는 저 전압 스테이지에 머무른다.
실시예들에서, 제 1 시간 프레임, 제 2 시간 프레임 및 제 3 시간 프레임의 지속 시간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 1 모드, 제 2 모드 및 제 3 모드는 광원(64)에 적용되기 위해 균등하게 교대한다.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1 시간 프레임, 제 2 시간 프레임 및 제 3 시간 프레임의 지속 시간은 시스템 요건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지속 시간에 대한 이러한 조절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의 색 제어 방식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가 수용 표면(521) 상에 투사 이미지들을 투사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는 제 1 투사 영역(501) 및 제 2 투사 영역(502)에 투사 이미지들을 각각 제어 가능하게 포지셔닝하는 이동 가능한 투사 챔버들 및 출력 광학계를 가진 2개의 투사 출력들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투사 영역(501) 및 투사 영역(502)은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지만 접속되지 않게 세팅된다.
직교 이미지 좌표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수용 표면(521)에 수직하지 않은 투사 챔버(14)의 투사 경로(31)의 조건에서 키스톤 정정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직교 이미지 좌표들은 저장된 데이터 포맷, 픽셀들에 대한 포지셔널 배열, 또는 비디오 정보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가정된 출력 포맷을 지칭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직각 x-y 좌표 시스템과 같은 평면 이미지에서의 픽셀들의 포지셔널 배열에 따라 픽셀 값들이 할당 또는 저장된다. 다음으로, 이미지 상의 어느 곳에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x-y 좌표 픽셀 위치들이 사용된다. 직교 이미지 좌표들에 따라 비디오 정보를 특성화하는 것은 이들이 디스플레이를 위해 어떻게 의도되는지 그리고/또는 어떻게 저장되는지를 나타내지만, 이들이 어떻게 실제로 캐스팅되는지 또는 디스플레이되는지를 나타낼 필요는 없다. 따라서, 여러 본 실시예들에 대하여, 키스톤 정정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 투사 이미지는 항상 정확히 직교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투사 챔버(14)의 투사 경로(31)가 수용 표면(521)에 수직하지 않는 경우에, 이미지의 키스톤 왜곡이 나타날 수 있다. 키스톤 왜곡은 종종 직교 이미지 좌표들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위해 의도된 직사각형 비디오 정보에 대해 사다리꼴 이미지를 생성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키스톤 왜곡을 감소시키기 위한 키스톤 정정 툴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는 또한, 제 1 투사 영역(501) 및 제 2 투사 영역(502)에 투사되는 비디오 이미지들과 같은 투사 이미지들을 검출하고, 수용 표면(521)과 같은 외부 환경의 이미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 검출기들(119)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투사 렌즈 시스템(112)의 광학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0a)의 2개의 투사 챔버(14)의 각각 내에 2개의 이미지 검출기들이 각각 배치된다.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투사 챔버(14) 외부에 이미지 검출기가 배치되고, 투사 챔버들(14)의 각각은 외부적으로 투사 챔버 하우징에 커플링된 이미지 검출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는, 선택적으로 다양한 포지션들에서 이미지를 검출하도록 포지셔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미지 디바이스(119)의 뷰잉 각을 시프트하기 위해, 베이스(12)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검출기(들)는 자동 키스톤 정정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에 투사 이미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는 제 1 투사 영역(501) 및 제 2 투사 영역(502)에 테스트 이미지들을 먼저 투사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테스트 이미지들이 빠르게 플래시(flash)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테스트 이미지들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거나 또는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미지 검출기들의 각각은 폐루프들에서 키스톤 왜곡을 바로잡도록, 실시간으로 투사 테스트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고, 제어 회로(76)에 수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투사 이미지들(501 및 502)의 검출된 아웃라인들은 자동 키스톤 정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결정된 직교 이미지 좌표들과 비교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테스트 이미지는 수평 레퍼런스 라인(531) 및 수직 레퍼런스 라인(53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레퍼런스 라인(531) 및 수평 레퍼런스 라인(532)은 그 안에 눈금 라벨을 포함할 수 있다. 투사 이미지의 수평 레퍼런스 라인(531) 및 수직 레퍼런스 라인(532)의 왜곡을 검출함으로써, 자동 키스톤 정정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는 제 1 투사 영역(501) 및 제 2 투사 영역(502)과 같은 다수의 투사 영역들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해 이미지 조정 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a)는 듀얼-스크린 GUI(그래픽-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컴퓨터 디바이스의 비디오 출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투사 영역(501)은 호스트 또는 오리지널 데스크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 2 투사 영역(502)은 확장 데스크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는 동일한 사이즈 및 동일한 고도(altitude)를 갖는 제 1 투사 영역(501) 및 제 2 투사 영역(502)을 가지기를 원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미지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수평 라인들(531)은 각각의 투사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 및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해 이미지 조정 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수평 라인들을 정렬시킴으로써, 이미지 조정 툴은 동일한 고도에서 제 1 투사 영역(501) 및 제 2 투사 영역(502)을 배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미지들(501 및 502)은 수평으로 접속된다. 이 경우에서, 키스톤 정정 후에, 수용 표면 상의 이미지들(502 및 504) 사이의 임의의 투사 중첩을 제거하기 위해, 이미지 조정이 사용될 수 있다. 투사된 이미지(502 또는 504)로부터 디스플레이의 제거되는 부분이 취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들과 연관된 그래픽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투사 이미지들(501 및 502) 사이에 연속적인 디지털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마우스 또는 포인터가 투사 이미지들(501 및 502)의 교차점에서 투사 이미지들(501 및 502) 사이에서 부드럽게 이동한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본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라 수용 표면(521) 상에 2개의 투사 이미지들을 투사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한다. 도 3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3개의 투사 챔버들(14)을 포함한다. 2개의 비디오 신호 소스들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커플링되고 따라서 이 예에서 2개의 투사 챔버들(14)만이 사용된다. 키스톤 정정 후에 제 1 투사 영역(501) 및 제 2 투사 영역(502)에 투사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실시예들에서, 투사 영역(501) 및 투사 영역(502)은 서로 수직으로 인접하지만 접속되지 않게 세팅된다. 대안적으로, 투사 영역들(501 및 502)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직접 인접하여 놓이거나 또는 중첩할 수 있다. 이미지 검출기에 의해 캡처된 각각의 영역의 수직 레퍼런스 라인들(532)은, 수직 레퍼런스 라인들(532)을 정렬시킴으로써 제 1 투사 영역(501) 및 제 2 투사 영역(502)을 라인 업(line up)하기 위해 이미지 조정 툴에 의해 사용된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본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라 수용 표면(521) 상에 투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3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3개의 투사 챔버들(14)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단일 비디오 신호 소스가 커플링되며; 제 1 투사 영역(501), 제 2 투사 영역(502) 및 제 3 투사 영역(502)에 공동으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3개의 투사 챔버들(14)이 사용된다. 달리 말하면, 제 1 투사 영역(501), 제 2 투사 영역(502), 및 제 3 투사 영역(503)의 각각은 투사 이미지의 3분의 1과 같은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서로에 관련하여 각각의 이미지의 디지털 배치 및/또는 그러한 미리 결정된 세팅들에 매칭하는 투사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 키스톤 정정 툴 및 이미지 조정 툴에 의해, 눈금 라벨들을 갖는 수평 레퍼런스 라인들(531)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투사 디바이스(10)가 상술된 포지셔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각각의 이미지의 이 디지털 포지셔닝 제어는 투사 이미지를 포지셔닝하기 위해 2개의 메커니즘들을 제공한다.
도 16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본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라 수용 표면(521) 상에 3개의 투사 이미지들을 투사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한다. 도 1, 도 3, 또는 도 4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3개의 투사 출력들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3개의 투사 영역들 내에 이미지들을 투사하기 위해 3개의 투사 챔버들(14)을 사용한다. 제 1 투사 영역(501) 및 제 3 투사 영역(503)은 수평으로 라인 업되지만, 제 2 투사 영역(5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사 영역(501) 및 제 3 투사 영역(503) 아래에 배치된다.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사이즈 및 감소된 키스톤 왜곡을 갖는 투사 영역들을 형성하도록 키스톤 정정 툴에 의해, 눈금 라벨들을 갖는 수평 레퍼런스 라인들(531) 및 수직 레퍼런스 라인들(532)이 채용될 수 있다. 수평 레퍼런스 라인들(531) 및 수직 레퍼런스 라인(532)의 교차점들은 이러한 세팅 또는 디폴트에 매칭하도록 3개의 투사 영역들의 위치들을 조절하기 위해 이미지 조정 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그/그녀의 선호도에 따라 수용 표면(521) 상에 제 1 투사 영역(501), 제 2 투사 영역(502), 및 제 3 투사 영역(503)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시된 화살표와 같은 OSD(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533)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투사 영역들의 포지션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외부 디스플레이(19)에 접속할 수 있거나, 또는 빌트-인(built-in) 스크린을 통합한다. 사용자는 마우스 입력과 같은 포인터에 의해, 빌트 인 스크린 또는 액세서리 외부 디스플레이(19)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GUI(그래픽-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호되는 위치에 투사 영역들의 각각을 드래그(drag)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외부 디스플레이(19) 또는 빌트-인 스크린 상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투사 영역들의 각각을 드래그할 수 있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3개의 벽들 상의 3개의 수용 표면들, 즉, 제 1 수용 표면(601), 제 2 수용 표면(602), 및 제 3 수용 표면(603) 상에 3개의 투사 이미지들을 각각 투사하는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3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3개의 투사 챔버들(14)을 포함한다. 투사 챔버들의 각각은 하나의 수용 표면 상에 이미지를 투사한다.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용 표면(602) 및 제 3 수용 표면(603) 상의 투사 이미지들은 제 2 수용 표면(602) 및 제 3 수용 표면(603)에 수직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부터의 투사 경로들(31)로 인해 키스톤 정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제 1 수용 표면(601) 상의 투사 이미지는 또한, 키스톤 정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17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부터의 투사 경로가 제 1 수용 표면(601)에 수직하지만, 디스플레이(10)가 플로어 상에 배치된 조건에서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은 벽(1)에 수평으로 중심에 놓여질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단면에서 수직하지 않을 수 있으며, 표면(601) 상의 이미지는 상황 특정 키스톤 정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근접 주변 서라운딩 비디오를 발생시키기 위해 비디오 게임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채용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앞에 앉아 있는 사용자는, 오브젝트들이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들에도 나타날 수 있고, 주변 시각(vision)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풀 주변 시각 비디오 게임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그림자를 캐스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장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이 다수의 이미지들을 접속시키는 것보다 더 일반적이고, "고정된 TV 박스"의 가정이 이용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표면 상에 이미지들을 캐스팅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더 일반적으로, 본 설명된 실시예들은 시인성(viewability)을 최적화하기 위한 레이아웃에 따라 투사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눈으로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지 알고 있지 않으면서, 다수의 이미지들에 대해, 수직 라인들이 수직하고 수평 라인들이 수평한 것을 보장하는 실시예들이 여기서 설명되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벽 상의 다수의 이미지들의 투사로부터 기인하는 비디오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로, 디바이스는 투사된 콘텐츠에 대하여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보는 것"을 행할 수 있고, 투사된 콘텐츠에 관한 어떤 것이 시인성을 방해하는 경우에 인공 조절들을 행할 수 있다.
하나의 이미지 투사기는 항상, 그 이미지 투사기의 수용 표면에 직교하게 캐스팅한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직교성이 반드시 유지 가능하거나 또는 지속 가능할 필요가 없으므로, 여기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수의 출력들을 갖는 3개의 이미지 투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수직 및 수평 키스토닝 효과들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미지들이 어떻게 디스플레이하고 있는지에 관한 카메라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의 투사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소프트웨어를 채용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투사 시스템에 포함된 카메라는 3개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한 이미지 피드백을 획득한다. 투사기와 통신하는 디바이스 또는 투사기 상의 제어기는 카메라 피드백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수직 및 수평 키스토닝을 변경한다. 카메라는 또한,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수직 및 수평 왜곡의 측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표면들 상의 높이에서의 오프셋 이미지 캐스팅들에도 불구하고, 모든 3개의 이미지들 상의 연속하는 수평 라인이 수평 및 수직 방향들 양자 모두에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비디오 게임들은 종종, 게임 그래픽의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수평 라인들의 지식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설명된 실시예는, 상이한 이미지 캐스팅 조건들에도 불구하고, 비디오 게임들의 일관된 프레젠테이션을 용이하게 한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들과 함께 이동하는 핸드헬드 디바이스로부터의 유비쿼터스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들의 소프트웨어 정렬 및 조정이 달성 가능하다. 결과는 모든 3개의 표면들 상의 직사각형 이미지들의 자동 유지이다. 이미지 수직 및 수평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정 마크들이 캐스팅될 수 있다. 카메라를 이용하는 폐루프 피드백을 허가하는 라인들 또는 다른 기준의(fiduciary) 그래픽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인접한 이미지들 상에서 접속되어야 하는 적색 라인들이 플래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소프트웨어는 기준의 라인들을 적합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이미지들을 조작할 수 있다.
도 18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제 1 수용 표면(601), 제 2 수용 표면(602), 및 제 3 수용 표면(603) 상에 3개의 투사 이미지들을 투사하는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제 1 수용 표면(60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전면의 벽 상에 있다. 제 2 수용 표면(602)은 천장 상에 있고; 제 3 수용 표면(603)은 플로어 상에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근접-주변 서라운딩 비디오를 발생시키기 위해 비디오 게임 디바이스에 의해 채용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그라운드가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는 수평선 변경에 대한 풀 시각 피드백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헬리콥터, 비행기, 및 다른 비행 게임들에 이러한 종류들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적절한 포지션들에서 투사될 투사 이미지들을 조절하기 위해, 이미지 조정 툴이 적용될 수 있다. 3개의 수용 표면들의 다른 실시예들은 2개의 벽들 및 천장, 또는 2개의 벽들 및 플로어 상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및 본원에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 포함될 다른 멀티-표면 예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이해 및 인식될 것이다.
도 19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제어 회로(76)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입력/출력 회로(74) 및 입력 포트들(78)은 비디오 데이터를 반송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사이에서 통신을 일괄적으로 허가한다. 제어 회로(76)에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입력/출력 회로(74) 및 제어 회로(76)는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의 디지털 동작에 적합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들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들을 변환한다.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입력/출력 회로(74)는 또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 또는 S-비디오 케이블링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요구되는 프로세싱 로직과 같은, 특정한 커넥터 타입들에 대한 로직 및 지원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76)는 입력/출력 회로(76)에 의해 프리-프로세싱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다음으로, 비디오 신호에 따라 비디오 투사를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컴포넌트들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비디오 신호를 추가로 프로세싱한다.
실시예들에서, 제어 회로(76)는 프로세서(761), 메모리(762), 제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63),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764), 및 비디오 출력 인터페이스(765)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764)는 입력/출력 회로(764)로부터 프리-프로세싱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입력/출력 회로(74)에 커플링된다. 비디오 출력 인터페이스(765)는 비디오 신호 및 제어 회로(76)에 의한 추가의 변조에 기초한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광학 변조 디바이스들(102) 및 광원(64)에 커플링된다.
제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63)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 이미지 검출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접속하는 네트워크에 커플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731), 이미지 검출기 인터페이스(73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임베딩/빌트-인 제어 버튼(들), 키패드,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또는 스틱 컨트롤러; 또는 액세서리 외부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은 디스플레이, 원격 컨트롤러, 또는 다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임베딩/빌트-인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스크린, 외부 디스플레이, 또는 투사 이미지 상에 OSD(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명령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세서(761)는 메모리(762) 내의 프로그램들, 모듈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프로세싱/계산하기 위한 인텔 또는 모토롤라 계열의 칩들 중 하나와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761) 및 메모리(762)의 적어도 일부는 단일 칩으로서 제조되며; 즉, 시스템 온 칩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조된다. 메모리(76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62)는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76) 내의 메모리(762)는 다음의 프로그램들,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 또는 수퍼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운영 시스템(710),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모듈(711), 광원 제어 모듈(712), 광학 변조 제어 모듈(713), 키 스톤 정정 툴(714), 이미지 조정 툴(715), 열 제어 애플리케이션(718), OSD(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719) 등.
운영 시스템(710)은 다양한 기본 시스템 서비스들을 핸들링하고 하드웨어 의존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들을 포함한다.
OSD(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719)은 임베딩/빌트-인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스크린, 외부 디스플레이, 또는 투사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제어 아이콘들 또는 피규어들을 포함하며; 또한 사용자의 입력과 연관된 규칙들 및 명령들을 포함한다.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모듈(711)은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에 의해 적응될 수 있는 프레임 기반 제어 신호들을 구축하기 위해, 입력/출력 회로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사용된다.
광원 제어 모듈(712)은 미리 결정된 순차적인 순서로 적색 레이저 빔, 녹색 레이저 빔, 및 청색 레이저 빔을 3개의 투사 챔버들(14)의 각각으로 전환시키도록 광원(64)을 구동시키기 위해, 광원(64) 내의 적색 레이저 세트(961), 녹색 레이저 세트(962), 청색 레이저 세트(963), 및 스위치(8)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광학 변조 제어 모듈(713)은 광학 변조 디바이스(102)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키스톤 정정 툴(714)은 하나 이상의 왜곡 감소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키스톤 정정 툴(714)은 상술된 도면들에서 도시된 수평 레퍼런스 라인(531) 및/또는 수직 레퍼런스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들과 같은 여러 저장된 디폴트 테스트 이미지들(741)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자동 키스톤 정정을 수행하기 위해 이미지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투사 이미지 피드백과 같은 검출된 정보(742)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키스톤 정정 툴(714)은 디폴트 테스트 페이지 및 검출된 투사 이미지 피드백의 매치-업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정정 파라미터를 신속하게 정의하기 위한 왜곡 룩-업 테이블을 포함한다.
이미지 조정 툴(715)은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디폴트 구성들에 따라, 다수의 투사 챔버들에 의해 투사될 이미지들을 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디폴트 이미지 구성들(751) 및/또는 사용자 선호도들(752)은 메모리(762)에 저장될 수 있다. 이미지 조정 툴(715)은 타겟 위치들뿐만 아니라 원하는 형상들 및 사이즈들에 더 양호하게 매칭하는 비디오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폐루프에서 다수의 이미지들을 조정하기 위한 키스톤 정정 툴(714)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조정 툴(715)에 포함된 정렬 애플리케이션(753)은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미지들을 정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정렬 애플리케이션(753)은 정렬 애플리케이션(753)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키스톤 정정 툴(714)의 수평 레퍼런스 라인(531) 및/또는 수직 레퍼런스 라인(532)을 채용할 수 있다.
열 제어 애플리케이션(718)은 저장된 열 조절(781) 및 팬 구동기(782)를 포함할 수 있다. 열 검출기(80)에 의해 검출된 온도 정보는 열 인터페이스(738)를 통해 제어 회로(76)에 제공된다. 열 제어 애플리케이션(718)은 열 조절(782) 및 수신된 열 정보에 기초하여 62a 및/또는 62b를 구동시킨다.
도 20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비디오 출력을 도시한다.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중앙 이미지(2004)에 대해 비교적 더 높은 프로세싱 리소스를 할당하고, 우측 이미지(2002) 및 좌측 이미지(2006)와 같은 부차적 이미지들에 대해 비교적 더 낮은 프로세싱 리소스를 할당하며; 즉, 중앙 이미지(2004)의 비디오 해상도가 우측 이미지(2002) 및 좌측 이미지(2006)의 비디오 해상도보다 더 높다. 이는, 이미지 조정 툴(715)에 포함된 해상도 조절 명령(734)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710)에 대한 데이터 프로세싱에 유익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동 전화 또는 다른 핸드헬드 미디어 또는 콘텐츠 렌더링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여기서 설명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된 다수의 광 출력들의 제어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의 전력의 제한들 등으로 인해 풀 커버리지가 아닐 수 있지만 벽의 상당한 커버리지가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콘텐츠의 투사 없이 과거에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상의 게이밍 콘텐츠가 겪은 제한들이 특히 주의된다. 즉, 제한된 스크린 실 에스테이트(real estate)로 인해,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상의 게이밍 경험이 악화되었다. 요컨대, 눈 또는 픽셀 해상도의 제한된 양은 작은 스크린만이 이용 가능하게 하여, 게임에서의 몇몇 태스크들을 지루하게 한다. 예를 들어, 작은 스크린 또는 제한된 해상도를 갖는 스크린 상에서 약간의 모션은 거의 두드러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된 다수의 투사 출력 스위칭 기술들을 이용하여, 벽 또는 다른 표면 상에서 훨씬 더 큰 스크린이 실현되며, 작은 폼 팩터(form factor) 디바이스들로부터 게이밍 경험이 엄청나게 개선되고, 예를 들어, 60 인치 이상의 이미지들이 표면 상에 효율적으로 투사될 수 있는 경우에 작은 폼 팩터들로부터의 게이밍은 제한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엑셀 스프레드시트들과 같은 문서들은 작은 스크린 상에서 뷰잉하기 어렵지만, 여기서의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투사되는 경우에, 엑셀 스프레드 시트가 풀 또는 심지어 더 큰 사이즈에서 뷰잉될 수 있다.
설명된 중앙 가중된 실시예들 이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시야의 미리 결정된 각 범위에 대해 비교적 더 높은 프로세싱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이는 제어 회로에 커플링되며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눈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제시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지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서, 예를 들어, 게임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비디오를 인지하고 제어하는 비디오 게임에서, 시스템은 다른 부분들에 대한 비디오 정보 및 프로세싱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곳에 관하여 추정들을 행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서, 이미지 조정 툴(715)에 포함되는 눈 검출 모듈(755)은 가중된 비디오 영역을 셋업하기 위해 눈 센서에 의해 리트리브(retrieve)되는 중심와(fovea) 정보를 사용하고; 가중된 비디오 영역 외부의 영역에서 비디오 해상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해상도 조절을 수행하도록, 가중된 비디오 영역 외부의 영역들에 해상도 조절 명령(754)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시선과 같은 사용자의 중심와로부터의 각 분리에서 약 40도 밖에서 비디오 세부들이 감소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테이지들에서 비디오 세부들이 감소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중심와로부터의 각 분리에서 20 도를 지나서 색이 감소될 수 있고; 40 또는 60 도 등을 지나서 해상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21은 플로어에서 천장까지의 전체 벽에 걸쳐 이미지를 투사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콘솔,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 셋톱 박스, 디스크 플레이어, 미디어 렌더링 디바이스 등, 즉, 전형적인 핸드헬드 디바이스보다 더 큰 투사 능력들을 갖는 시스템이 채용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비디오 출력을 도시한다. 도 20과 마찬가지로, 중앙 이미지(2104)에 대해 비교적 더 높은 프로세싱 리소스들이 할당될 수 있으며, 우측 이미지(2102) 및 좌측 이미지(2106)와 같은 부차적 이미지들에 대해 비교적 더 낮은 프로세싱 리소스들이 할당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몇몇 제한들을 가질 수 있는 휴대용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다르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여기서의 기술들에 따라 플로어에서 천장까지의 벽에 걸쳐 투사된 이미지들/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PC, 셋톱 박스, 멀티미디어 또는 게이밍 콘솔, 또는 다른 풀 사이즈 미디어 렌더링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22는 비디오 게임 콘텐츠와 같은 투사된 미디어의 전경 및 배경 콘텐츠의 콘텐츠 민감 결정을 채용하는 예시적인 비-한정 실시예를 예시하며,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고, 인간 시각 시스템에 대하여, 배경의 임의의 프레젠테이션에 이어서 설명된다. 이에 대하여, 뷰어가 그 또는 그녀의 눈들로 미디어 콘텐츠의 어떤 부분을 주시하고 있는지 또는 응시하고 있는지의 지식을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의 발행자 또는 미디어 렌더링 디바이스는, 전경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 사이의 구별에 기초하여, 비디오 게임과 같은 미디어 콘텐츠에 강화 알고리즘들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비-한정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투사된 이미지들에 대한 비디오 출력에 대한 전경과 배경 사이의 구별을 위한 사용자 컨텍스트 민감 기술들이 제공된다.
임의의 배경을 통해, 환경에서의 시각 정보의 양을 관리 가능한 레벨까지 감소시키기 위해, 인간 시각은 다수의 정보 감소 메커니즘들을 채용한다. 그러한 메커니즘들은 형상 검출 및 전경/배경 분리를 포함한다. 전경/배경 분리는, 더 많은 정보가 프로세싱되는 (예를 들어, 더 많은 세부) 전경 및 더 적은 정보가 프로세싱되는 (더 적은 세부) 배경으로 환경을 분할한다. 형상 검출은 사람으로 하여금, 오브젝트에 대한 형상과 비슷한 외측 윤곽들과 같은 감소된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들을 인지하게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수의 이미지 투사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정보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경 정보 감소 메커니즘을 레버리지(leverage)한다. 인간 시각의 전경은 간상체(rod)들 및 추상체(cone)들의 각 분리에 의해 정의된다. 추상체들은 중심 또는 중심와에 집중된다. 간상체들은 중심 또는 중심와에는 없지만, 다른 곳에 밀집해 있다.
망막 상의 간상체들 및 추상체들에 대한 측정된 밀도 커브들은 중심와에서 추상체들의 큰 밀도를 나타내며, 이는, 색각 능력 및 가장 높은 시력에 대해 기인된다. 작은 세부의 시각 검사(visual examination)는 그 세부로부터의 광을 중심와 상에 포커싱하는 것을 수반한다. 반면에, 간상체들은 중심와에는 없다. 중심와로부터 몇 도 정도 벗어난 곳에서, 간상체들의 밀도는 높은 값으로 상승하고, 망막의 큰 영역에 걸쳐 확산한다. 이들 간상체들은 야간 시각, 모션 검출의 높은 민감 타입, 뿐만 아니라 우리의 주변 시각을 책임진다.
특히, 추상체들은 높은 해상도 시각을 책임진다. 눈은 관심이 있는 오브젝트로부터의 광이 대부분의 추상체들이 존재하는 중심와 상에 떨어지게 유지하기 위해 계속 움직인다.
대응하여, 미디어 콘텐츠에서의 전경 및 배경 영역들의 지식을 이용하여, 비디오 디스플레이의 배경 부분들에서의 시각 정보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그 기술은 비디오 저장 및 프로세싱 요구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간들의 전경/배경 시각 프로세싱 메커니즘을 레버리지한다. 인간이 배경 시각 영역에서 더 적은 정보를 프로세싱하므로, 비활성 부분에서 비디오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지각되는 비디오 품질을 희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비-한정 실시예에서, 비디오 세부는 중심와로부터 약 40 도의 각 분리 밖에서 감소된다.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변수들에 기초하여, 다른 각 분리 양들 또는 범위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들에서, 스테이지들에서 비디오 세부들이 감소된다. 예를 들어, 중심와로부터 20 도의 각 분리를 지나서 색이 감소될 수 있고; 40 또는 60 도를 지나서 해상도가 감소될 수 있는 등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람이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관심이 있는 비디오의 부분, 예를 들어 사람이 알려진 위치에서 판독하고 있어야 하는 텍스트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이 전경 섹션으로부터 떨어진 비디오는 예민성(acuity) 및 세부가 저하된다.
전경 및 배경을 분리시키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기술들이 존재한다. 첫번째로, 사람의 시각 전경이 어디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원조하도록 사람이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으며, 즉, 응시 트레킹(gaze tracking)이 채용될 수 있다. 컨텍스트 민감 시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크린 상의 필드 또는 다른 UI 엘리먼트로 입력을 엔터링하고 있는 경우에(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을 엔터링하는 경우에), 사용자 및 사용자의 눈들을 발견하도록 카메라가 교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입력을 엔터링할 시에, 사용자가 그 필드 또는 다른 UI 엘리먼트를 주시할 가능성이 높다. 그 때, UI 엘리먼트가 전경과 같이 취급되어, 이로 인해, 배경 요건들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사용자의 눈들을 발견하도록 교정된다. 다음으로, 주변에서의 휘도 세부 및 모션의 비교적 더 높은 지각로부터 약화시키지 않기 위해, 휘도 세부 및 모션을 유지하면서, 배경 섹션에서의 정보, 특히 색에서 세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기술에 대하여, 예를 들어,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수반하는 몇몇 실시예들에 대해 여기서 설명된 비디오 콘텐츠를 투사하기 위한 특정 환경들에 대해 응시 트레킹이 이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배경 및 전경의 실시간 결정의 개념이 컨텍스트 민감 사용자 동작들에 기초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사수가 공룡들을 사냥하기 위해 적시에 되돌아가는 비디오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게임에서, 사용자가 3-D 공룡 오브젝트(2204)의 머리 상에 타겟(2202)을 조준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공룡의 머리를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 알려진다. 그러한 경우에서, 전체 공룡(2204)(또는 단지 그 머리)가 전경(현재 중요한 시각 데이터)으로서 취급될 수 있고, 이미지의 나머지(2206)가 배경으로서 취급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덜 강조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게임들은 근접 주변 서라운딩 비디오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 온-스크린과 연관된 입력을 엔터링하는 것을 콘텐츠가 요구할 때마다와 같이,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들이 가장 바라볼 것 같은 것이 디스플레이 또는 게임 콘텐츠에 기초하여 알려지는 다른 예들이 주어질 수 있다.
배경을 덜 강조하는 것은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사이즈의 감소를 산출하고, 또한, 큰 이미지들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싱 간상체를 감소시켜서, 또한 전력을 절약한다.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미지 투사기들에 의해 캐스팅되는 큰 이미지들은, 과거에서보다 사람에게 굉장히 더 큰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서 혁신적이며, 즉, 이는 LCD 스크린들로부터의 패러다임 시프트를 나타낸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작자들, 비디오 게임 회사들, 그래픽 회사들 등이 모두 여기서 설명된 전경 및 배경 콘텐츠 사이의 구별에 대한 기술들의 이점을 취할 수 있다.
도 23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채용될 수 있는 투사기 모듈의 다른 타입을 예시한다. 투사기 모듈(98)은 하우징(90), 적색 레이저 세트(92), 녹색 레이저 세트(94), 청색 레이저 세트(96), 광학계(91), 제어 회로(97), 마이크로 스캐너(99), 입력/출력 회로(도시 안됨),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들(도시 안됨), 전원 공급기(도시 안됨), 및 투사 렌즈 시스템(93)을 포함한다. 투사기 모듈(98)은 3개의 광원들(92, 94, 및 96)을 포함하지만, 3개의 별개의 출력들(95)을 갖는다. 이에 대하여, 다수의 챔버들의 컨텍스트에서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들은 각각의 광원을 챔버로 제약하지 않으면서 다수의 투사 출력들로서 더 일반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90)은 투사기 모듈(98)의 외측 치수들을 정의하고, 또한, 투사기 모듈(98)의 내부 컴포넌트들에 대한 기계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하우징(90)은 또한, 하우징(90)의 챔버와 외부 환경 사이에서 에어 흐름을 허가하는 에어 통풍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풍구들은 또한, 하우징(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기는 적색 레이저 세트(92), 녹색 레이저 세트(94), 청색 레이저 세트(96), 및 전기 전력을 소비하는 투사기 모듈(98) 내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전기 전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원 공급기는 제어 회로, 입력/출력 회로, 팬들, 제어 회로(97), 및 마이크로 스캐너(99)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적색 레이저 세트(92), 녹색 레이저 세트(94), 및 청색 레이저 세트(96)의 여러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제공될 수 있다. 광학계(91)는 적색 레이저 세트(92), 녹색 레이저 세트(94), 및 청색 레이저 세트(96)로부터 적색, 녹색, 및 청색 레이저 광을 각각 수용하고, 3개의 별개의 광 출력들을 마이크로 스캐너(99)에 제공한다. 입력/출력 회로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들로부터 제어 회로(97)에 비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제어 회로(97)는 적색 레이저 세트(92), 녹색 레이저 세트(94), 및 청색 레이저 세트(96)를 각각 제어한다. 픽셀의 시간 프레임 동안에, 적색 레이저 세트(92), 녹색 레이저 세트(94), 및 청색 레이저 세트(96)는 제어 회로(9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미리 결정된 그레이 스케일에 대응하는 레이저의 미리 결정된 전력을 각각 발생시킨다.
도 24는 도 24에서 설명된 프로젝터 모듈의 타입에 기초하여, 다른 비-한정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4와 유사하게, 투사 장치(2402)는 광원들(2492, 2494, 2496) 사이에서 디지털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2408)에 입력되는 별개의 레이저(또는 LED) 광원들(2492, 2494, 2496)을 포함한다. 광원들(2492, 2494, 2496)에 적용된 제어된 타이밍으로부터의 스위치(2408)로부터의 출력들은 투사된 출력들(a, b, 및 c)을 각각 발생시키는 투사기 모듈들(2490)에 입력된다. 각각의 투사 모듈(2490)은 각각의 출력들(a, b, 및 c)을 발생시키기 위해 변조 광학계(2491a), 스캐너(99), 및 투사 렌즈 시스템들(2493)을 포함한다.
전술한 발명이 이해의 명료함을 위해 다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서 설명된 포지셔널 인터페이스들이 저부로부터 투사 챔버에 커플링되었지만, 포지셔널 인터페이스가 후면으로부터 투사 챔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 경우에서, 에어 덕트, 전기 접속, 및 광학 케이블링은 그 각각의 기능 위치로 투사 챔버를 통해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 및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형태들 또는 변형들 중 임의의 것으로 청구된다.
상술된 바는 본 발명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다수의 추가적인 조합들 및 치환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변경들, 변형들, 및 변화들을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포함한다(include)"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에, 그러한 용어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가 청구항에서 전이어로서 채용되는 경우에 해석되는 것처럼 "포함하는"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이도록 의도된다.

Claims (40)

  1. 표시된 이미지에 관련한 시각적 초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눈 센서;
    상기 눈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시각적 초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이미지 이후의 다음 이미지의 제 1 이미지 부분 및 상기 다음 이미지의 제 2 이미지 부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눈 검출 모듈 ― 상기 제 1 이미지 부분은 제 1 해상도로 표시되고,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은 상기 제 1 해상도보다 낮은 제 2 해상도로 표시됨 ―; 및
    상기 다음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다음 이미지의 상기 제 1 이미지 부분을, 상기 제 1 이미지 부분을 투사하고 상기 제 1 해상도로 제 1 투사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 1 이미지 부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 1 투사 챔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제어 컴포넌트는 추가적으로 상기 다음 이미지의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을,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을 투사하고 상기 제 2 해상도로 제 2 투사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 2 투사 챔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사된 이미지는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의 순색량(color content)을 감소시키도록 조절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색량은, 상기 시각적 초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의 20 도의 각 분리의 범위를 넘어서 감소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으로의 이행은 상기 시각적 초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의 40 도의 각 분리 이후에 발생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으로의 이행은 상기 시각적 초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의 60 도의 각 분리 이후에 발생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 검출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눈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시각적 초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컨텍스트 민감(context sensitivity) 정보로 보충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민감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눈 검출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제 1 투사된 이미지로 지정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색, 휘도 정보 및 모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제어 컴포넌트는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색을 감소시키고 상기 휘도 정보 및 상기 모션 정보는 유지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민감 정보는 상기 제 1 투사된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투사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을 식별하는 타겟 장치에 관련된,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사된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투사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투사 챔버 또는 상기 제 2 투사 챔버로 광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위칭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사된 이미지는 상기 다음 이미지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투사된 이미지와 결합되는,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컴포넌트는 추가적으로 상기 다음 이미지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수신된 광 출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적색 광원, 녹색 광원 또는 청색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이미지의 제 1 이미지 부분은 상기 시각적 초점으로부터 20 도의 각 분리까지의 상기 다음 이미지의 영역을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이미지의 제 1 이미지 부분은 상기 시각적 초점으로부터 40 도의 각 분리까지의 상기 다음 이미지의 영역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사 챔버는 상기 제 1 투사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이미지 부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 1 광학 모듈레이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투사 챔버는 상기 제 2 투사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이미지 부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 2 광학 모듈레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현재 투사되는 이미지에 대해 결정된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투사되는 이미지에 이어 투사될 다음 이미지를 제 1 투사된 부분 및 제 2 투사된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단계 ― 상기 다음 이미지는 제 1 레벨의 해상도를 가지고,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의 위치는 상기 시각적 초점에 의해 정의됨 ―;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을 제 1 투사 챔버로 향하게 하는 단계 ― 상기 다음 이미지의 제 1 투사된 부분의 제 1 레벨의 해상도는 변경되지 않음 ―; 및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을 제 2 투사 챔버로 향하게 하는 단계 ― 상기 다음 이미지의 제 2 투사된 부분의 제 1 레벨의 해상도는 상기 제 1 레벨의 해상도보다 낮은 제 2 레벨의 해상도로 변경됨 ―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순색량(color content)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순색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으로부터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20 도의 각 분리를 지나서 발생하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제 2 레벨의 해상도는 상기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으로부터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40 도의 각 분리를 지나서 발생하는,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제 2 레벨의 해상도는 상기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으로부터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60 도의 각 분리를 지나서 발생하는,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투사된 이미지의 상기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은 컨텍스트 민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민감 정보는 투사될 다음 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모션 정보 또는 휘도량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 또는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제 1 투사 챔버 및 상기 제 2 투사 챔버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적색 광원, 녹색 광원 또는 청색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이미지의 제 1 투사된 부분은 상기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으로부터 20 도의 각 분리까지의 상기 다음 이미지의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3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이미지의 제 1 투사된 부분은 상기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으로부터 40 도의 각 분리까지의 상기 다음 이미지의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31.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실행에 응답하여,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현재 투사되는 이미지에 대해 결정된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투사되는 이미지에 이어 투사될 다음 이미지를 제 1 투사된 부분 및 제 2 투사된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동작 ― 상기 다음 이미지는 제 1 레벨의 해상도를 가지고,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의 위치는 상기 시각적 초점에 의해 정의됨 ―;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을 제 1 투사 챔버로 향하게 하는 동작 ―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의 제 1 레벨의 해상도는 변경되지 않음 ―; 및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을 제 2 투사 챔버로 향하게 하는 동작 ―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제 1 레벨의 해상도는 상기 제 1 레벨의 해상도보다 낮은 제 2 레벨의 해상도로 변경됨 ― 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의 순색량(color content)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컨텍스트 민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다음 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다음 이미지에서 관심 지점을 식별하는 타겟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컨텍스트 민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 또는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제 1 투사 챔버 및 상기 제 2 투사 챔버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적색 광원, 녹색 광원 또는 청색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7. 현재 투사되는 이미지에 대해 결정된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투사되는 이미지 이후에 투사될 다음 이미지를 제 1 투사된 부분 및 제 2 투사된 부분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 ― 상기 다음 이미지는 해상도를 가지고,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의 위치는 상기 관심 지점의 시각적 초점에 의해 정의됨 ―;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을 제 1 투사 챔버로 향하게 하고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을 상기 해상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을 제 2 투사 챔버로 향하게 하고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을 상기 해상도보다 낮은 다른 해상도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이미지의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에서의 순색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사된 부분 또는 상기 제 2 투사된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 1 투사 챔버 및 상기 제 2 투사 챔버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의 출력을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적색 광원, 녹색 광원 또는 청색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27000184A 2009-06-03 2010-04-05 멀티-소스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KR101362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77,534 2009-06-03
US12/477,534 US20100309391A1 (en) 2009-06-03 2009-06-03 Multi-source projection-type display
PCT/US2010/029964 WO2010141148A1 (en) 2009-06-03 2010-04-05 Multi-source projection-type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052A KR20120031052A (ko) 2012-03-29
KR101362999B1 true KR101362999B1 (ko) 2014-02-17

Family

ID=4235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184A KR101362999B1 (ko) 2009-06-03 2010-04-05 멀티-소스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100309391A1 (ko)
EP (1) EP2438761A1 (ko)
JP (1) JP5566453B2 (ko)
KR (1) KR101362999B1 (ko)
CN (2) CN102461177A (ko)
WO (1) WO2010141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4757B2 (en) * 2007-03-15 2015-03-31 Scalable Display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display quality by display adjustment and image processing using optical feedback
TWM367356U (en) * 2009-06-04 2009-10-21 Delta Electronics Inc LED light source module and projec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5442393B2 (ja) * 2009-10-29 2014-03-12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JP5454325B2 (ja) * 2009-11-18 2014-03-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20057136A1 (en) * 2010-09-02 2012-03-08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20320281A1 (en) * 2011-06-14 2012-12-20 Teruo Kinoshita Television receiv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370637B2 (en) * 2011-12-21 2016-06-21 The Hospice of Dayton, Incorporated Sensory device useful in bringing a patient neurological or psychological relief
US9039548B2 (en) * 2012-01-03 2015-05-26 James I. Sams, III Swing training device and system
US9298071B2 (en) * 2012-07-12 2016-03-29 Cj Cgv Co., Ltd. Multi-projection system
US9817305B2 (en) * 2012-07-12 2017-11-14 Cj Cgv Co., Ltd. Imag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rojection
CN102913866B (zh) * 2012-09-25 2016-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源的背板结构、背光模组和显示装置
CN103728821B (zh) * 2012-10-12 2015-10-28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US20140160439A1 (en) * 2012-12-10 2014-06-12 Funai Electric Co., Ltd. Image display device
CN103869585B (zh) * 2012-12-13 2016-01-27 联想(北京)有限公司 投影设备和用于其的信息处理方法
US20140218695A1 (en) * 2013-02-01 2014-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gonally disposed projection surfaces
US9736443B2 (en) * 2013-03-04 2017-08-15 Intel Corporation Adaptive image management of a projector system
WO2014171147A1 (ja) * 2013-04-18 2014-10-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6413214B2 (ja) * 2013-07-24 2018-10-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3215586B4 (de) * 2013-08-07 2017-02-23 Manfred Hans Korytowski Projektionsvorrichtung
KR101489261B1 (ko) * 2013-08-26 2015-02-04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상영관 파라미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50026435A (ko) * 2013-09-03 2015-03-11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실내면을 투사면으로 활용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CN103595912B (zh) 2013-09-30 2018-02-06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局部缩放的成像方法和装置
US9473754B2 (en) * 2013-10-31 2016-10-18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Dynamic light distribution system and apparatus
US20150138509A1 (en) * 2013-11-20 2015-05-21 Christie Digital Systems Canada Inc. Light distribution system with a blue laser and colour conversion
US9530450B2 (en) * 2014-03-18 2016-12-27 Vixs Systems, Inc. Video system with fovea tracking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6677173B2 (ja) * 2015-01-20 2020-04-08 ソニー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US9838675B2 (en) * 2015-02-03 2017-12-05 Barco, Inc. Remote 6P laser projection of 3D cinema content
EP3274653B1 (en) * 2015-03-22 2020-11-25 Facebook Technologies, LLC Depth mapping with a head mounted display using stereo cameras and structured light
TW201710113A (zh) * 2015-06-02 2017-03-16 康寧公司 車輛投影系統
US10616540B2 (en) * 2015-08-06 2020-04-07 Signify Holding B.V. Lamp control
JP6596278B2 (ja) * 2015-09-14 2019-10-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IL242895B (en) * 2015-12-03 2021-04-29 Eyeway Vision Ltd Image projection system
CN108780226B (zh) * 2016-03-09 2019-09-27 富士胶片株式会社 投影型显示装置、投影控制方法、投影控制程序
JP2017208688A (ja) * 2016-05-18 2017-11-24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装置、プログラム実行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AU2016412141B2 (en) 2016-06-14 2022-03-03 Razer (Asia-Pacific) Pte. Ltd. Image processing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a
KR102461253B1 (ko) * 2017-07-24 2022-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선 추적기를 구비하는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9407913B (zh) * 2017-08-16 2023-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投影仪及其控制方法
CN108419066A (zh) * 2018-05-08 2018-08-17 深圳汇通九州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投影形状的方法及投影机
KR20220007100A (ko) * 2019-05-08 2022-01-18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단일 및 다중 프로젝터용 광 스위치
CN110213413B (zh) * 2019-05-31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DE102020005517A1 (de) * 2020-09-09 2022-03-10 Axion Ag Anordnung eines optischen Projektionssystems zur Anwendung an und/oder in Fahrzeugen
CN112433434B (zh) * 2020-12-04 2021-12-10 广州力富科技有限公司 基于多媒体会议管理平台的定点投影装置及其操作方法
CN112540676B (zh) * 2020-12-15 2021-06-18 广州舒勇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基于投影系统的可变信息展示装置
CN113485061B (zh) * 2021-06-30 2022-07-22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投影系统
US20240012112A1 (en) * 2022-07-08 2024-01-11 Silc Technologies, Inc. Imaging sytem with enhanced scan rate
KR20240014883A (ko) * 2022-07-26 2024-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프로젝션부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8596A (en) * 1992-05-19 1994-01-11 Machtig Jeffrey S LCD projection apparatus
US20010048801A1 (en) * 2000-05-23 2001-12-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jection system utilizing fiber optic illumination
US20020063854A1 (en) * 2000-10-26 2002-05-30 Flint Graham W. Multi-screen laser projection system using a shared laser sourc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8186A (en) * 1979-12-17 1982-09-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ilot helmet mounted CIG display with eye coupled area of interest
US4634384A (en) * 1984-02-02 1987-01-06 General Electric Company Head and/or eye tracked optically blended display system
JPH01252993A (ja) * 1988-04-01 1989-10-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像表示方法
KR950007875B1 (ko) * 1991-01-30 199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표시장치
US5242306A (en) * 1992-02-11 1993-09-07 Evans & Sutherland Computer Corp. Video graphic system and process for wide field color display
JP2868389B2 (ja) * 1993-06-14 1999-03-10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通信システム研究所 画像表示装置
US6778150B1 (en) * 1993-09-14 2004-08-17 Francis J. Maguire, Jr. Method and apparatus for eye tracking
US5746599A (en) * 1994-10-31 1998-05-05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Modular video display system
JPH09134135A (ja) * 1995-11-09 1997-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ザ投影表示装置
US7312765B2 (en) * 1998-08-05 2007-12-25 Microvision, Inc.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magnitude of or eliminating a visual artifact caused by a shift in a viewer's gaze
US5980044A (en) * 1998-09-16 1999-11-09 Evans & Sutherland Computer Corp. Area of interest display system with image combining using error dithering
DE19902110C2 (de) * 1999-01-20 2001-08-30 Schneider Laser Technologies Videoprojektionssystem zur Projektion von mehreren Einzelbildern
US6437759B1 (en) * 2000-03-07 2002-08-20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Vehicle simulator having head-up display
CA2452064A1 (en) * 2001-06-26 2003-01-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jection system utilizing fiber optic illumination
KR100441603B1 (ko) * 2002-05-02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정방행렬 구조의 광스위치를 갖는 영상 투사 장치
KR100481519B1 (ko) * 2002-05-21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크로익 미러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JP3880561B2 (ja) * 2002-09-05 2007-02-1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表示システム
US6943754B2 (en) * 2002-09-27 2005-09-13 The Boeing Company Gaze tracking system, eye-tracking assembly and an associated method of calibration
US7872635B2 (en) * 2003-05-15 2011-01-18 Optimetrics, Inc. Foveated display eye-tracking system and method
US7281807B2 (en) * 2003-07-16 2007-10-16 Honeywood Technologies, Llc Positionable projection display devices
KR20050042399A (ko) * 2003-11-03 2005-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즈 디텍션을 이용한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US7488072B2 (en) * 2003-12-04 2009-02-10 New York University Eye tracked foveal display by controlled illumination
US20050207486A1 (en) * 2004-03-18 2005-09-22 Sony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acquisition and visualization system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FR2872924A1 (fr) 2004-07-06 2006-01-13 Thomson Licensing Sa Projecteur d'images numeriques pour grand ecran
JP5200349B2 (ja) * 2006-08-31 2013-06-05 ソニー株式会社 投射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388918B (zh) * 2007-06-21 2013-03-11 Univ Nat Taiwan Multi - resolution digital desktop display system
JP4553046B2 (ja) * 2008-02-13 2010-09-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マルチスクリーン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制御方法、プロジェクタ制御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
WO2010018623A1 (ja) * 2008-08-12 2010-02-18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494215B2 (en) * 2009-03-05 2013-07-23 Microsoft Corporation Augmenting a field of view in connection with vision-tracking
US8269902B2 (en) * 2009-06-03 2012-09-18 Transpacific Image, Llc Multimedia projection management
US8203600B2 (en) * 2009-06-04 2012-06-19 Transpacific Image, Llc Projection-type stereoscopic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8596A (en) * 1992-05-19 1994-01-11 Machtig Jeffrey S LCD projection apparatus
US20010048801A1 (en) * 2000-05-23 2001-12-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jection system utilizing fiber optic illumination
US20020063854A1 (en) * 2000-10-26 2002-05-30 Flint Graham W. Multi-screen laser projection system using a shared laser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1148A1 (en) 2010-12-09
KR20120031052A (ko) 2012-03-29
US8646920B2 (en) 2014-02-11
US8459803B2 (en) 2013-06-11
JP5566453B2 (ja) 2014-08-06
JP2012529222A (ja) 2012-11-15
CN102461177A (zh) 2012-05-16
US20130258290A1 (en) 2013-10-03
EP2438761A1 (en) 2012-04-11
CN104065938A (zh) 2014-09-24
US20100309391A1 (en) 2010-12-09
US20120206343A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999B1 (ko) 멀티-소스 투사-타입 디스플레이
KR101380932B1 (ko) 멀티미디어 투사 관리
KR101352468B1 (ko) 3차원 투사 시스템
US7806535B2 (en) Low power projection display devices
US8585213B2 (en) Projection-type display and control thereof
US20240040094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jecting imag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20152112A (ko)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