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351A - 튜닝음향 피드백 장치 - Google Patents

튜닝음향 피드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351A
KR20100002351A KR1020080062207A KR20080062207A KR20100002351A KR 20100002351 A KR20100002351 A KR 20100002351A KR 1020080062207 A KR1020080062207 A KR 1020080062207A KR 20080062207 A KR20080062207 A KR 20080062207A KR 20100002351 A KR20100002351 A KR 20100002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sound
tuning
modul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920B1 (ko
Inventor
권대훈
Original Assignee
권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훈 filed Critical 권대훈
Priority to KR102008006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920B1/ko
Priority to JP2011516095A priority patent/JP5069803B2/ja
Priority to PCT/KR2008/005512 priority patent/WO2010002069A1/en
Priority to US13/000,462 priority patent/US8755538B2/en
Priority to CN200880130225.1A priority patent/CN102077608B/zh
Priority to EP08812004.3A priority patent/EP2294834A4/en
Publication of KR2010000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닝음향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튜닝용 마이크와 달리, 음향튜닝 담당자의 청각기관 내부 또는 그 근처에 직·간접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음향기기 측 음향출력터미널로부터 출력되는 튜닝음향(TS: Tuning Sound)을 픽업하고, 이를 피드백 시킬 수 있는 음향픽업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TS의 픽업 위치가 청음자의 실제 청각기관 위치(즉, 청음자의 실제 음향 픽업 위치)와 정확히 일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TS를 원천소스로 활용한 음향 튜닝절차의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결국, 음향기기 측 이퀄라이저가 적정 수준의 음향 출력능력을 융통성 있게 보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향픽업모듈들에 의해 픽업된 TS의 볼륨레벨을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자동 보정한 후, 보정 완료된 TS를 음향기기의 이퀄라이저 측으로 피드백시킬 수 있는 음향처리모듈들을 추가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측정기기를 활용한 매뉴얼 절차(예컨대, 피드백된 TS를 측정하는 절차, 피드백된 TS의 볼륨레벨을 조절하는 절차 등)의 추가진행 필요성을 안정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음향튜닝 관련업체(음향튜닝 담당자 포함) 측에서, 측정기기의 추가 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 측정기기의 추가 매뉴얼 조작에 따른 각종 문제점 등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튜닝음향 피드백 장치{Tuning sound feed-back device}
본 발명은 튜닝음향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튜닝용 마이크와 달리, 음향튜닝 담당자의 청각기관 내부 또는 그 근처에 직·간접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음향기기 측 음향출력터미널로부터 출력되는 튜닝음향(TS: Tuning Sound; 이하, "TS"라 함)을 픽업하고, 이를 피드백 시킬 수 있는 음향픽업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TS의 픽업 위치가 청음자의 실제 청각기관 위치(즉, 청음자의 실제 음향 픽업 위치)와 정확히 일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TS를 원천소스로 활용한 음향 튜닝절차의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결국, 음향기기 측 이퀄라이저가 적정 수준의 음향 출력능력을 융통성 있게 보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TS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터미널을 구비한 각종 음향기기의 발전이 거듭되면서, 이 음향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시스템들, 예컨대, 강의실용/방송용/시설용 확성 시스템(Loudspeaking system), 가정용/시설용 입체음향 시스템, 가정용/시설용 오디오 시스템,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등의 보급 또한 활발한 확산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음향기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들의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음향기기의 음향출력터미널(예컨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데이터를 어떻게 하면 청음자(예컨대, 강의 수강자, 방송 시청자, 영화/연극 관람자, 홈 시어터 시청자, TV 시청자, 음악 청음자, 차량 탑승자 등) 측에 좀더 원활하게 전달시킬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관계업체(예컨대, 음양기기 제작/판매업체,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작/판매업체,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설치된 시설, 해당 시설의 관리업체 등)(물론, 이러한 관계업체에는 청음자 본인이 포함될 수 있다) 측에서는 해당 이슈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여러 방면에 걸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종래의 체제 하에서,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각 관계업체 측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기기(2)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구비된 시설(S:예컨대, 강의실, 방송국, 가정, 극장, 상업용 시설, 차량 등) 내에 튜닝용 마이크(5)를 설치한 다음, 해당 튜닝용 마이크(5)를 활용한 일련의 음향 튜닝절차, 예컨대,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터미널(1)을 통해 TS를 출력시키는 절차>, <튜닝용 마이크(5)를 통해 TS를 픽업하는 절차>, <관계업체에 소속된 음향 튜닝 담당자가 음향기기(2)의 일부에 대형 측정기기(4)를 연결·설치한 후, 이 측정기기(4)를 통해, 튜닝용 마이크(5)에 의해 픽업된 TS를 피드백 받는 절차>, <음향 튜닝 담당자가 측정기기(4)를 통해 피드백된 TS를 측정한 후, 이의 볼륨레벨을 매뉴얼(Manual)로 조절하고, 볼륨레벨이 조절된 TS를 음향기기(2)의 이퀄라이저(3)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 <이퀄라이저(3)가 볼륨레벨이 조절된 TS를 음향출력터미널(1)을 통해 재 출력시키는 절차> 등을 적정 음향이 얻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추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기기(2)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실제 사용 국면에서, 청음자(M) 측에서, 음향기기(2)의 음향출력터미널(1)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데이터를 좀더 원활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 경우, 앞의 튜닝용 마이크(5)는 마치 청음자(M: 도 2에 도시됨)의 실제 청각기관(E)처럼 작용하여, 일련의 음향 튜닝절차 내내 <TS를 픽업하고, 이를 측정기기(4) 측으로 피드백시키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전담·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관계업체에 소속된 음향튜닝 담당자 측에서는 튜닝용 마이크(5)에 의해 픽업된 TS를 측정기기(4)를 통해 피드백 받은 후, 피드백 완료된 TS의 볼륨레벨을 매뉴얼로 조절하고, 이를 재 출력시키는 절차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일련의 음향 튜닝 절차를 완성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튜닝용 마이크(5)에 의해 픽업된 TS는 음향 튜닝업무 담당자에 의한 일련의 볼륨레벨 조절 메커니즘 내내, 기본적인 원천소스로 활용되기 때문에, <튜닝용 마이크(5)가 TS를 어떻게 픽업하고, 피드백시킬 것이냐> 하는 문제는 음향튜닝 담당자 측에 의한 전체적인 음향튜닝 품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튜닝용 마이크(5)는 각 음향튜닝 담당자의 자의적인 판단 하에, 시설(S) 내의 소정 위치에 임의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그 설치위치에 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청음자(M)의 실제 청각기관(E) 위치(즉, 청음자(M)의 실제 음향 픽업 위치)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낼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튜닝용 마이크(5)에 의해 픽업된 TS는 <음향기기(2)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실제 사용 국면에서, 청음자(M)가 실제 청취하는 음향>과 큰 차이를 나타낼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 상황 하에서, 관계업체에 소속된 음향 튜닝업무 담당자가 튜닝용 마이크(5)에 의해 픽업된 TS를 원천소스로 활용하여, 일련의 음향 튜닝절차(즉, 튜닝용 마이크(5)에 의해 픽업된 TS를 측정기기(4)를 통해 피드백 받은 후, 피드백 완료된 TS의 볼륨레벨을 매뉴얼로 조절하고, 이를 재 출력시키는 절차)를 정상적으로 수행하였다 하더라도, 음향기기(2) 측 이퀄라이저(3)는 적정 수준의 음향 출력능력을 전혀 획득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음향기기(2)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실제 사용 국면에서, 이퀄라이저(3)에 의한 음향 볼륨 컨트롤 과정이 진행된다 하더라도, 음향출력터미널(1)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음향데이터는 청음자(M)의 실제 청음상황과 동떨어진 저급한 음향품질(저급한 음감/명료도/음질)을 나타낼 수밖에 없게 된다.
당연히, 이 상황 하에서, 음향데이터를 최종 소비하는 청음자(M) 측에서는 해당 음향데이터의 품질저하(음감/명료도/음질 저하)에 따른 각종 피해(예컨대, 강의내용을 정상적으로 청취할 수 없는 피해, 방송내용을 정상적으로 청취할 수 없는 피해, 영화/드라마/연극 내용을 정상적으로 청취할 수 없는 피해, 음악을 정상적으로 청취할 수 없는 피해 등)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체제 하에서, 튜닝용 마이크(5)에 의해 픽업된 TS의 볼륨레벨을 조절하고, 이를 정상적으로 재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대형 측정기기(4)를 통한 일련의 측정절차 및 볼륨레벨 절차가 불가피하게 추가 진행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관계업체 측에서는 그에 따른 각종 문제점, 예를 들어, 측정기기(4)의 추가 설치에 따른 문제점, 측정기기(4)의 추가 매뉴얼 조작에 따른 문제점까지도 부가적으로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튜닝용 마이크와 달리, 음향튜닝 담당자의 청각기관 내부 또는 그 근처에 직·간접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음향기기 측 음향출력터미널로부터 출력되는 튜닝음향(TS: Tuning Sound)을 픽업하고, 이를 피드백 시킬 수 있는 음향픽업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TS의 픽업 위치가 청음자의 실제 청각기관 위치(즉, 청음자의 실제 음향 픽업 위치)와 정확히 일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TS를 원천소스로 활용한 음향 튜닝절차의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결국, 음향기기 측 이퀄라이저가 적정 수준의 음향 출력능력을 융통성 있게 보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향픽업모듈들에 의해 픽업된 TS의 볼륨레벨을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자동 보정한 후, 보정 완료된 TS를 음향기기의 이퀄라이저 측으로 피드백시킬 수 있는 음향처리모듈들을 추가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측정기기를 활용한 매뉴얼 절차(예컨대, 피드백된 TS를 측정하는 절차, 피드백된 TS의 볼륨레벨을 조절하는 절차 등)의 추가진행 필요성을 안정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음향튜닝 관련업체(음향튜닝 담당자 포함) 측에서, 측정기기의 추가 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 측정기기의 추가 매뉴얼 조작에 따른 각종 문제점 등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퀄라이저가 설치된 음향기기 측 음향출력터미널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튜닝절차를 관리하는 음향튜닝 담당자의 청각기관 내부 또는 근처에 직·간접적으로 설치되는 튜닝음향(TS: Tuning Sound) 픽업 케이스와, 상기 TS 픽업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음향기기 측 음향출력터미널로부터 출력되는 TS를 픽업한 후, 픽업된 TS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음/전 변환 소자와, 상기 TS 픽업 케이스에 내장되며, 음/전변환 소자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TS를 외부통신이 가능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데이터로 변환·처리하여, 상기 음향기기 측으로 출력·전송하는 TS 출력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TS 피드백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튜닝용 마이크와 달리, 음향튜닝 담당자의 청각기관 내부 또는 근처에 직·간접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음향기기 측 음향출력터미널로부터 출력되는 튜닝음향(TS: Tuning Sound)을 픽업하고, 이를 피드백 시킬 수 있는 음향픽업모듈들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TS의 픽업 위치는 청음자의 실제 청각기관 위치(즉, 청음자의 실제 음향 픽업 위치)와 정확히 일치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해당 TS를 원천소스로 활용한 음향 튜닝절차는 그 신뢰성을 최적의 상태로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음향기기 측 이퀄라이저는 적정 수준의 음향 출력능력을 융통성 있게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향픽업모듈들에 의해 픽업된 TS의 볼륨레벨을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자동 보정한 후, 보정 완료된 TS를 음향기기의 이퀄라이저 측으로 피드백시킬 수 있는 음향처리모듈들을 추가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측정기기를 활용한 매뉴얼 절차(예컨대, 피드백된 TS를 측정하는 절차, 피드백된 TS의 볼륨레벨을 조절하는 절차 등)는 그 추가진행 필요성이 안정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음향튜닝 관련업체(음향튜닝 담당자 포함) 측에서는, 측정기기의 추가 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 측정기기의 추가 매뉴얼 조작에 따른 각종 문제점 등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TS 피드백 장치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각 관계업체(예컨대, 음양기기 제작/판매업체,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작/판매업체,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설치된 시설, 해당 시설의 관리업체 등)(물론, 이러한 관계업체에는 청음자 본인이 포함될 수 있다) 측에서는 음향기기(12)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구비된 시설(S:예컨대, 강의실, 방송국, 가정, 극장, 상업용 시설, 차량 등) 내에서,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터미널(11) 및 이퀄라이저(13)를 활용한 일련의 음향 튜닝절차를 적정 음향이 얻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추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기기(12)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실제 사용 국면에서, 청음자(M)(예컨대, 강의 수강자, 방송 시청자, 영화/연극 관람자, 홈 시어터 시청자, TV 시청자, 음악 청음자, 차량 탑승자 등) 측에서, 음향기기(12)의 음향출력터미널(11)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데이터를 좀더 원활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음향출력터미널(11) 측으로부터 출력된 TS는 음향 튜닝업무 담당자(K)의 관리 하에 진행되는 일련의 음향튜닝 메커니즘 내내, 기본적인 원천소스로 활용되기 때문에, <해당 TS를 어떻게 픽업하고, 피드백시킬 것이냐> 하는 문제는 전체적인 음향튜닝 품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앞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튜닝용 마이크와 달리, 음향튜닝 담당자(K)의 청각기관(E) 내부 또는 그 근처에 직·간접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음향기기(12) 측 음향출력터미널(11)로부터 출력되는 TS를 픽업하고, 이를 출력/처리할 수 있는 TS 픽업 유닛(110)을 포함하는 새로운 유형의 TS 피드백 장치(100)를 제공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TS 픽업 유닛(110)은 마치, 음향튜닝 담당자(K: 도 3에 도시됨)의 실제 청각기관(E)처럼 작용하여, 일련의 음향 튜닝절차 내내 <TS를 픽업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전담·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종래의 튜닝용 마이크와 달리, TS 픽업 유닛(110)이 음향튜닝 담당자(K)의 청각기관(E) 내부 또는 근처에 직·간접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TS의 픽업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청음자(M)의 실제 청각기관(E) 위치(즉, 청음자(M)의 실제 음향 픽업 위치)>와 정확히 일치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에 따른 TS 픽업 유닛(110)에 의해 픽업된 TS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음향기기(12)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실제 사용 국면에서, 청음자(M)가 실제 청취하는 음향>과 세밀하게 매칭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상황 하에서, 관계업체에 소속된 음향 튜닝업무 담당자(K)가 TS 픽업 유닛(110)에 의해 픽업된 TS를 원천소스로 활용하면서, 일련의 음향 튜닝절차를 체계적으로 관리/감독하게 되는 경우, 음향기기(12) 측 이퀄라이저(13)는 적정 수준의 음향 출력능력을 융통성 있게 보유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음향기기(12)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실제 사용 국면에서, 이퀄라이저(13)에 의한 음향볼륨 컨트롤 과정이 진행되는 경우, 음향출력터미널(1)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음향데이터는 청음자(M)의 실제 청음상황에 적합한 최적의 음향품질(최적의 음감/명료도/음질)을 자연스럽게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 상황 하에서, 음향데이터를 최종 소비하는 청음자(M) 측에서는 해당 음향데이터의 품질저하(음감/명료도/음질 저하)에 따른 각종 피해(예컨대, 강의내용을 정상적으로 청취할 수 없는 피해, 방송내용을 정상적으로 청취할 수 없는 피해, 영화/드라마/연극 내용을 정상적으로 청취할 수 없는 피해, 음악을 정상적으로 청취할 수 없는 피해 등)를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TS 픽업 유닛(110)은 음향의 튜닝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음향튜닝 담당자(K)의 청각기관(E) 내부 또는 그 근처에 직·간접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TS 픽업 케이스(111)와, 이 TS 픽업 케이스(111)에 내장·설치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음향기기(12) 측 음향출력터미널(11)로부터 출력되는 TS을 픽업한 후, 픽업된 TS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음/전 변환 소자(120)와, TS 픽업 케이스(111)에 내장·설치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음/전 변환 소자(120)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TS를 외부통신이 가능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데이터로 변환·처리한 후, 변환·처리 완료된 픽업 TS를 후술하는 전자기기(201) 측으로 출력·전송하는 TS 출력모듈(130)이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앞의 TS 픽업 케이스(111)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튜닝 담당자(K)의 청각기관(E)(양쪽 청각기관 또는 선택된 어느 한쪽 청각기관을 모두 포함함) 내부 또는 그 근처에 직·간접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헤드셋 형 구조, 귀속 삽입형 구조, 귀걸이형 구조 등을 융통성 있게 취할 수 있게 된다(물론, 이러한 TS 픽업 케이스의 구체적인 구조/형상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앞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전 변환 소자(120)는 예컨대, 음향 유입구(121a)가 형성된 둥근 통체 형상의 용기(121)와, 이 용기(121)의 내부공간에 밀봉 수용되면서, TS 픽업 케이스(111) 및 음향 유입구(121a)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즉, TS에 의해 진동하는 기구물들과, 용기(121)의 내부공간에 밀봉 수용되면서, 기구물들의 진동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PCB(122)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PCB(122)의 내측에는 전기적인 신호처리를 위한 전자회로(122a,122b), 예컨대,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등이 추가 배치된다.
이때, 앞의 기구물들은 예컨대, 용기(121)의 내부공간에 순차적으로 탑재되는 진동판 어셈블리(125), 스페이서 링(Spacer ring:126), 절연베이스링(129), 유전체판(127), 도전베이스링(128) 등이 조합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물론, 이러한 기구물들은 상황에 따라, 그 종류, 배치형태 등에 탄력적인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진동판 어셈블리(125)는 폴라링(Polar ring:123) 및 진동판(124)이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되며, 유전체판(127)은 상황에 따라, 예컨대, 금속 재질 또는 Si 재질을 탄력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앞의 용기(121)는 예컨대, 알루미늄(Al), 또는 동(Cu)으로 이루어지며, 폴라링(123)은 예컨대, 니켈(Ni)이 플랫팅(Plating)된 동판(Brass plate)으로 이루어지고, 스페이서링(126)은 예컨대, 35㎛~46㎛ 정도의 두께를 갖는 PET 필름(Polyetyleneterephtalate film)으로 이루어지며, 진동판(124)은 금 또는 니켈이 코팅된 2.5㎛~3.5㎛ 정도의 두께를 갖는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다(물론,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의 재질, 형태 등이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 상황에서, 앞의 도전베이스링(128)은 유전체판(127) 및 PCB(12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진동판 어셈블리(125)의 진동판(124) 및 유전체판(127) 사이의 간극 변화에 따라 전류신호 변이가 발생되면, 해당 전류신호 변이를 PCB(122)의 트랜지스터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절연베이스링(129)은 도전베이스링(128) 및 유전체판(127)의 테두리를 커버하여, 해당 도전베이스링(128) 및 유전체판(127)이 용기(121)의 내벽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음/전 변환 소자(120)는 본 발명에서 채택할 수 있는 여러 음/전 변환 소자 중의 어느 한 일례에 해당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음/전 변환 소자를 TS 픽업 케이스(111) 내에 내장·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음/전 변환 소자(120)의 배치 구조 하에서, 음향기기(12) 측 음향출력터미널(11)로부터 TS가 출력되고, 이 TS가 TS 픽업 케이스(111) 및 용기(121)의 음향 유입구(121a)를 통해 유입되면, 진동판(124)은 그 즉시, 이 TS에 의해, 일정 속도로 진동하는 메커니즘을 취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진동판(124)의 진동이 진행되면, 이 진동에 의해 진동판(124) 및 유전체판(127)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일정 속도로 변화하게 되며, 이 간극의 변화에 따라 진동판(124) 및 유전체판(127) 사이의 정전기장 또한 TS에 대응되어 변화하게 되고, 결국, 통상의 정전기 유도법칙에 따라, 유전체판(127)의 전위 역시 TS에 대응되어 신속하게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전체판(127)의 전위 가변값이 도전베이스링(128)을 매개로 PCB(122)에 배치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 전달되면, 이 트랜지스터는 해당 전위 가변값에 따른 전류값을 증폭시킨 후, 이를 TS 출력모듈(130) 측으로 출력시키는 동작을 유연하게 취할 수 있게 되며, 결국, TS 픽업 유닛(110)에 의해 픽업된 TS는 전기적인 신호로의 변환을 정상적으로 겪어, 음향기기(12) 측으로 피드백될 수 있는 기반환경을 안정적으로 조성 받을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S 픽업 케이스(111) 내에는, 앞의 음/전 변환 소자(120)에 더하여, TS 출력모듈(130)이 추가 배치되게 되는 바, 이 경우, 본 발명의 TS 출력모듈(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픽업 TS 접수부(131), 픽업 TS 출력부(132), 유선접속 커넥터(133)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일련의 유선통신형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픽업 TS 접수부(131)는 음/전 변환 소자(120)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이루면서, 음/전 변환 소자(120)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픽업 TS를 접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유선접속 커넥터(133)는 후술하는 전자기기(121) 측과 예컨대, USB 케이블 등의 유선라인을 통해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TS 출력모듈(130)과 전자기기(201) 간의 유선통신 연결을 인터페이스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픽업 TS 출력부(132)는 픽업 TS 접수부(131)에 의해 접수된 픽업 TS를 수취한 후, 일련의 데이터 가공/변환루틴을 진행시켜, 수취 완료된 픽업 TS의 패킷구조를 유선통신이 가능한 구조로 가공/변환하고, 변환 완료된 픽업 TS를 유선 접속 커넥터(133)를 통해, 전자기기(201) 측으로 출력·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결국, TS 픽업 유닛(110)에 의해 픽업된 TS는 전자기기(201) 측으로의 전송절차를 정상적으로 겪음으로써, 음향기기(12) 측으로 피드백될 수 있는 기반환경을 안정적으로 조성 받을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TS 픽업 유닛(110)에 소속된 본 발명의 TS 출력모듈(130)은 상황에 따라, 픽업 TS 접수부(134), 기저대역 모뎀(135), A/D 변환기(136), 저역 통과필터(137), 주파수 상향 변환믹서(138), 저잡음 증폭기(140), 주파수 하향 변환믹서(141), 무선안테나(139)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일련의 무선통신형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안테나(139)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에 접속되는 구조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면서, TS 출력모듈(130)의 각 구성요소들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예 컨대, 픽업 TS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에 접속 중인 전자기기(201) 측으로 상향 전송하는 역할, 근거리 무선통신망에 접속 중인 전자기기(201) 측으로부터 하향 송신되는 데이터(예컨대, 무선통신의 연결/유지를 위한 체크 데이터 등)를 수신한 후, 수신된 데이터를 TS 출력모듈(130)의 각 구성요소들 측으로 하향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안테나(139)로는 예컨대, <2.4GHz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하게 설계된 기판 패턴 타입의 안테나>, <2.4GHz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하게 설계된 세라믹 바 타입의 안테나> 등이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물론, 이러한 무선안테나(139)의 종류, 설계내역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상황에서, 픽업 TS 접수부(124)는 음/전 변환 소자(120)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이루면서, 음/전 변환 소자(120)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픽업 TS를 접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기저대역모뎀(135)은 픽업 TS 접수부(124)에 의해 접수된 픽업 TS를 전자기기(201) 측 물리계층 규격에 맞는 디지털신호로 변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A/D 변환기(136)는 기저대역모뎀(135)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변조신호를 아날로그변조신호로 변환하거나, 무선안테나(139)를 거친 전자기기(201) 측 RF 변조신호(예컨대, 무선통신의 연결/유지를 위한 체크 데이터 등)를 디지털변조신호로 변환하여, 기저대역모뎀(135) 측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저역통과필터(137)는 A/D 변환기(136)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변조신호의 DC 오프셋을 제거하고, 해당 변조신호를 무선통신의 전송 표준에 상응하는 대역폭으로 저역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주파수 상향변환 믹서(138)는 저역통과필터(137)를 통과한 아날로그변조신호의 동상(In-phase)성분 및 직교성분을 무선통신의 전송 표준에 상응하는 RF 대역으로 각각 상향 변환하여, RF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변조신호(예컨대, 픽업 TS 데이터)를 무선안테나(139)를 통해 전자기기(201) 측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저잡음 증폭기(140)는 무선안테나(139)를 거친 전자기기(201) 측 RF변조신호(예컨대, 무선통신의 연결/유지를 위한 체크 데이터 등)를 저잡음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주파수 하향변환 믹서(141)는 저잡음 증폭기(140)에 의해 저잡음 증폭된 RF변조신호의 동상성분 및 직교성분 각각을 기저대역 변조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A/D 변환기(136) 측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각 무선통신형 전산모듈들의 기능수행 하에서도, 음/전 변환 소자(120)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픽업 TS는 무선안테나(139)를 통해, 전자기기(201) 측으로의 전송절차를 정상적으로 겪음으로써, 음향기기(12) 측으로 피드백될 수 있는 일련의 기반환경을 안정적으로 조성 받을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음향튜닝 담당자 측에서는 음향기기(12)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구비된 시설(S:예컨대, 강의실, 방송국, 가정, 극장, 상업용 시설, 차량 등) 내에서,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터미널(11) 및 이퀄라이저(13)를 활용한 일련의 음향 튜닝절차를 적정 음향이 얻어질 때까지 반복적 으로 진행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본 발명의 TS 픽업 유닛(110)에 의해 픽업된 픽업 TS는 음향기기(12) 측으로 피드백 되는 절차를 자연스럽게 거치게 된다(도 3 참조).
이러한 픽업 TS의 피드백 절차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서는 <음향기기의 일부에 대형 측정기기를 연결·설치한 후, 이 측정기기를 통해, 픽업 TS를 피드백 받는 과정>, <피드백된 TS를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한 후, 이의 볼륨레벨을 매뉴얼(Manual)로 조절하고, 볼륨레벨이 조절된 TS를 음향출력터미널을 통해 재 출력시키는 과정> 등을 불가피하게 진행하였기 때문에, 결국, 종래의 체제 하에서, 관계업체 측에서는 그에 따른 각종 문제점, 예를 들어, 측정기기의 추가 설치에 따른 문제점, 측정기기의 추가 매뉴얼 조작에 따른 문제점 등을 부가적으로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앞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S 픽업 유닛(110) 및 음향기기(12) 사이의 <픽업 TS 피드백 경로> 상에, TS 픽업 유닛(110) 측으로부터 출력/전송되는 픽업 TS를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픽업 TS의 볼륨레벨을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해당 픽업 TS의 볼륨레벨을 자동으로 중간 보정한 후, 보정 완료된 TS를 음향기기(12)의 이퀄라이저(13) 측으로 피드백시키는 픽업 TS 중간 보정유닛(150)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이 경우, 픽업 TS 중간 보정유닛(150)은 TS 픽업 유닛(110) 및 음향기기(12) 측과 유/무선 통신하는 전자기기(201) 내에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픽업 TS 중간 보정유닛(150)이 설치되는 전자기기(201)로는 예컨대, 노트북 PC 등과 같은 컴퓨팅 기기를 위시하여,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가 음향 튜닝업무 담당자(K)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물론, 이처럼, TS 픽업 유닛(110)에 의해 픽업된 TS의 볼륨레벨이 픽업 TS 중간 보정유닛(150)에 의해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자동 보정되는 절차>를 중간 시점에 겪게 되는 경우, 음향 튜닝업무 담당자(K) 측에서는 전체적인 음향 튜닝절차 내에서, 종래와 같은 <측정기기를 활용한 일련의 매뉴얼 과정(예컨대, 피드백된 TS를 스스로 자가 측정하는 과정, 피드백된 TS의 볼륨레벨을 스스로 자가 조절하는 과정 등)>을 안정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음향튜닝 관련업체(음향튜닝 담당자 포함) 측에서는, 측정기기의 추가 설치에 따른 각종 문제점, 측정기기의 추가 매뉴얼 조작에 따른 각종 문제점 등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S 중간 보정유닛(150)은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151)과, 이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151)의 제어 체제 하에 놓인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55), 픽업 TS 수취모듈(153), 운영정보 저장모듈(156), 픽업 TS 중간 보정모듈(157), 보정 TS 피드백 모듈(158) 등 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151)은 인터페이스 모듈(152)을 매개로, 전자기기(201) 내에 배치된 운영체제(202), 표시 구동모듈(204), 통신모듈(203)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전체적인 TS 중간보정 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151)에 의해 제어되는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55)은 음향 튜닝업무 담당자(K)자 전자기기(201)를 전산 조작하여, TS 중간 보정유닛(150)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운영체제(202), 표시 구동모듈(204) 등과 교신을 취하면서, 운영정보 저장모듈(156) 측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가이드 윈도우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이미지/영상/링크/프로그램 정보, 스킨정보, 설정정보 등을 융통성 있게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각 운영정보를 토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윈도우(301)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가이드 윈도우(301)를 전자기기(201)에 구비된 표시창(205)을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게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가이드 윈도우(301)에는 예를 들어, <픽업 TS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 <픽업 TS의 보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 <픽업 TS 중간 보정모듈의 기능을 컨트롤 할 수 있는 항목>, <픽업 TS의 보정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 등이 두루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음향 튜닝업무 담당자(K) 측에서는 가이드 윈도우(301)에 게시된 메뉴항목들을 선택적으로 조작(입력)/확인하는 극히 간단한 전산작업만으로도, 이를테면, <픽업 TS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 <픽 업 TS의 보정상태를 확인하는 절차>, <픽업 TS 중간 보정모듈의 기능을 컨트롤하는 절차>, <픽업 TS의 보정결과를 확인하는 절차> 등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융통성 있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15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56)은 TS 중간보정 유닛(150)의 절차운영을 위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가이드 윈도우(301)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이미지/영상/링크/프로그램 정보, 스킨정보, 설정정보, 운영체제(202)의 등록정보, 통신모듈(203)의 등록정보, 표시 구동모듈(204)의 등록정보, 유닛(150) 내부의 자원 현황정보, 픽업 TS의 볼륨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프로그램 컴포넌트 정보, 기준 청음 직선 정보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핑크 노이즈(Pink noise)를 발생시킨 후, 이 핑크 노이즈의 플랫(Flat)상태(즉, 측정된 모든 주파수가 특정한 값의 기준 볼륨값을 유지하게 되는 상태)를 픽업 TS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청음 직선(여기서, 기준 청음 직선은 청력 레벨의 상대값을 표현하게 됨)으로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151)에 의해 제어되는 픽업 TS 수취모듈(15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52), 통신모듈(203) 등을 매개로, TS 픽업 유닛(110)에 소속된 TS 출력모듈(130)과 교신을 취하면서, 이 TS 출력모듈(130) 측으로부터 출력·전송되는 픽업 TS를 수취하고, 수취 완료된 픽업 TS를 프로세싱 버퍼(154)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프로세싱 버퍼(154) 내에, TS 픽업 유닛(110)에 의해 픽업 완료된 픽업 TS가 저장 완료되는 상황에서,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151)에 의해 제어되는 픽업 TS 중간보정 모듈(157) 측에서는 프로세싱 버퍼(154), 운영정보 저장모듈(156)과 등과 일련의 교신을 취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TS 수취모듈(153)에 의해 수취된 픽업 TS 및 <특정 기준 볼륨값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준 청음 직선(J)>을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픽업 TS 및 기준 청음 직선(J)이 추출 완료되면, 픽업 TS 중간보정 모듈(157) 측에서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56)에 저장되어 있던 프로그램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면서, 앞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데이터 보정루틴을 진행시켜, 픽업 TS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1)의 볼륨레벨을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이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보정 절차 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TS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1)의 볼륨레벨은 각 영역 a1,a2,a3,a4,a5,a6,a7(물론, 이외의 다른 영역도 모두 포함함) 등에서,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하여, 이 기준 청음 직선(J)의 볼륨레벨보다 낮은 볼륨레벨은 기준 청음 직선(J)의 볼륨레벨보다 높은 볼륨레벨로 보정되는 변화를 겪게 되며, 이 기준 청음 직선(J)의 볼륨레벨보다 높은 볼륨레벨은 기준 청음 직선(J)의 볼륨레벨보다 낮은 볼륨레벨로 보정되는 변화를 겪게 되고, 결국, 픽업 TS는 <그 볼륨레벨이 기준 청음 직선(J)에 맞추어지도록 자동으로 중간 보정된 볼륨레벨 증감곡선(T2)>을 가지는 보정 TS로 변환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렇게 하여, 픽업 TS에 상응하는 보정 TS가 생성 완료되면,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151)에 의해 제어되는 보정 TS 피드백 모듈(158)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52), 통신모듈(203) 등을 매개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기기(12) 측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교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보정 TS, 즉, <그 볼륨레벨이 기준 청음 직선(J)에 맞추어지도록 자동으로 중간 보정된 볼륨레벨 증감곡선(T2)>을 가지는 보정 TS를 음향기기(12)의 이퀄라이저(13) 측으로 피드백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상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튜닝 담당자(K) 측에서는, 본 발명의 TS 피드백 장치(100)를 활용한 일련의 음향 튜닝절차를 적정 음향이 얻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결국, 음향기기(12)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실제 사용 국면에서, 청음자(M)(예컨대, 강의 수강자, 방송 시청자, 영화/연극 관람자, 홈 시어터 시청자, TV 시청자, 음악 청음자, 차량 탑승자 등) 측에서, 음향기기(12)의 음향출력터미널(11)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데이터를 좀더 원활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도 4 참조).
상술한 본 발명은 음향의 튜닝이 필요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전자기기(비 전자기기 포함)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향 튜닝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향 튜닝 절차의 완료 후, 음향기기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실제 사용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TS 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음향 튜닝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S 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음향 튜닝 절차의 완료 후, 음향기기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실제 사용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TS 피드백 장치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TS 픽업 케이스의 활용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TS 출력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윈도우의 게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 TS 중간보정 유닛의 동작수행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Claims (3)

  1. 이퀄라이저가 설치된 음향기기 측 음향출력터미널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튜닝절차를 관리하는 음향튜닝 담당자의 청각기관 내부 또는 근처에 직·간접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튜닝음향(TS: Tuning Sound) 픽업 케이스와;
    상기 TS 픽업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음향기기 측 음향출력터미널로부터 출력되는 TS를 픽업한 후, 픽업된 TS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음/전 변환 소자와;
    상기 TS 픽업 케이스에 내장되며, 음/전변환 소자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TS를 외부통신이 가능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데이터로 변환·처리하여, 상기 음향기기 측으로 출력·전송하는 TS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S 피드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S 출력모듈과 유/무선 연결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되며, 상기 TS 출력모듈 측으로부터 출력된 픽업 TS를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픽업 TS의 볼륨레벨을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해당 픽업 TS의 볼륨레벨을 자동으로 중간 보정한 후, 보정 완료된 TS를 상기 음향기기의 이퀄라이저 측으로 피드백시키는 픽업 TS 중간 보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S 픽드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TS 중간 보정유닛은 상기 픽업 TS의 전체적인 중간 보정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과;
    상기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TS 출력모듈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TS 출력모듈 측으로부터 출력·전송되는 픽업 TS를 수취 처리하는 픽업 TS 수취모듈과;
    상기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픽업 TS 수취모듈에 의해 수취된 픽업 TS의 볼륨레벨을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해당 픽업 TS의 볼륨레벨이 상기 기준 청음 직선에 맞추어지도록 자동으로 중간 보정하는 픽업 TS 중간 보정모듈과;
    상기 픽업 TS 중간보정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픽업 TS 중간 보정모듈에 의해 보정 TS가 생성되면, 생성 완료된 보정 TS를 상기 음향기기의 이퀄라이저 측으로 피드백 처리하는 보정 TS 피드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S 픽드백 장치.
KR1020080062207A 2008-06-30 2008-06-30 튜닝음향 피드백 장치 KR10097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207A KR100970920B1 (ko) 2008-06-30 2008-06-30 튜닝음향 피드백 장치
JP2011516095A JP5069803B2 (ja) 2008-06-30 2008-09-18 チューニング音響フィードバック装置
PCT/KR2008/005512 WO2010002069A1 (en) 2008-06-30 2008-09-18 Tuning sound feed-back device
US13/000,462 US8755538B2 (en) 2008-06-30 2008-09-18 Tuning sound feed-back device
CN200880130225.1A CN102077608B (zh) 2008-06-30 2008-09-18 调音声音反馈装置
EP08812004.3A EP2294834A4 (en) 2008-06-30 2008-09-18 SOUND REFERENC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207A KR100970920B1 (ko) 2008-06-30 2008-06-30 튜닝음향 피드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351A true KR20100002351A (ko) 2010-01-07
KR100970920B1 KR100970920B1 (ko) 2010-07-20

Family

ID=4146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207A KR100970920B1 (ko) 2008-06-30 2008-06-30 튜닝음향 피드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55538B2 (ko)
EP (1) EP2294834A4 (ko)
JP (1) JP5069803B2 (ko)
KR (1) KR100970920B1 (ko)
CN (1) CN102077608B (ko)
WO (1) WO20100020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4535B2 (en) 2020-07-11 2024-01-30 xMEMS Labs, Inc. Device,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vice
US11972749B2 (en) 2020-07-11 2024-04-30 xMEMS Labs, Inc. Wearable sound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4058B2 (en) 2011-12-29 2015-07-14 Sonos, Inc. Sound field calibration using listener localization
US9668049B2 (en) 2012-06-28 2017-05-30 Sonos, Inc. Playback device calibration user interfaces
US9690539B2 (en) 2012-06-28 2017-06-27 Sonos, Inc. Speaker calibration user interface
US9690271B2 (en) 2012-06-28 2017-06-27 Sonos, Inc. Speaker calibration
US9706323B2 (en) 2014-09-09 2017-07-11 Sonos, Inc. Playback device calibration
US9106192B2 (en) * 2012-06-28 2015-08-1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playback calibration
US9219460B2 (en) 2014-03-17 2015-12-22 Sonos, Inc. Audio settings based on environment
US9264839B2 (en) 2014-03-17 2016-02-16 Sonos, Inc. Playback device configuration based on proximity detection
US9910634B2 (en) 2014-09-09 2018-03-06 Sonos, Inc. Microphone calibration
US9952825B2 (en) 2014-09-09 2018-04-24 Sonos, Inc. Audio processing algorithms
US9891881B2 (en) 2014-09-09 2018-02-13 Sonos, Inc. Audio processing algorithm database
US10127006B2 (en) 2014-09-09 2018-11-13 Sonos, Inc. Facilitating calibration of an audio playback device
US10664224B2 (en) 2015-04-24 2020-05-26 Sonos, Inc. Speaker calibration user interface
WO2016172593A1 (en) 2015-04-24 2016-10-27 Sonos, Inc. Playback device calibration user interfaces
US9538305B2 (en) 2015-07-28 2017-01-03 Sonos, Inc. Calibration error conditions
JP6437695B2 (ja) 2015-09-17 2018-12-12 ソノ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ーディオ再生デバイス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を容易にする方法
US9693165B2 (en) 2015-09-17 2017-06-27 Sonos, Inc. Validation of audio calibration using multi-dimensional motion check
US9743207B1 (en) 2016-01-18 2017-08-22 Sonos, Inc. Calibration using multiple recording devices
US10003899B2 (en) 2016-01-25 2018-06-19 Sonos, Inc. Calibration with particular locations
US11106423B2 (en) 2016-01-25 2021-08-31 Sonos, Inc. Evaluating calibration of a playback device
US9991862B2 (en) 2016-03-31 2018-06-05 Bose Corporation Audio system equalizing
US9860662B2 (en) 2016-04-01 2018-01-02 Sonos, Inc. Updating playback de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based on calibration data
US9864574B2 (en) 2016-04-01 2018-01-09 Sonos, Inc. Playback device calibration based on representation spectral characteristics
US9763018B1 (en) 2016-04-12 2017-09-12 Sonos, Inc. Calibration of audio playback devices
US9794710B1 (en) 2016-07-15 2017-10-17 Sonos, Inc. Spatial audio correction
US9860670B1 (en) 2016-07-15 2018-01-02 Sonos, Inc. Spectral correction using spatial calibration
US10372406B2 (en) 2016-07-22 2019-08-06 Sonos, Inc. Calibration interface
US10459684B2 (en) 2016-08-05 2019-10-29 Sonos, Inc. Calibration of a playback device based on an estimated frequency response
US10299061B1 (en) 2018-08-28 2019-05-21 Sonos, Inc. Playback device calibration
US11206484B2 (en) 2018-08-28 2021-12-21 Sonos, Inc. Passive speaker authentication
US10734965B1 (en) 2019-08-12 2020-08-04 Sonos, Inc. Audio calibration of a portable playback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65733B1 (en) * 1984-05-31 1990-11-0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acoustic characteristic in sound field
JPH0754998B2 (ja) * 1984-10-31 1995-06-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自動音場補正装置
JPH0286399A (ja) * 1988-09-22 1990-03-27 Koken Co Ltd 基準的音響伝送システム
USRE38405E1 (en) * 1992-07-30 2004-01-27 Clair Bros. Audio Enterprises, Inc. Enhanced concert audio system
US5481615A (en) 1993-04-01 1996-01-02 Noise Cancellation Technologies, Inc. Audio reproduction system
JPH06311581A (ja) * 1993-04-19 1994-11-04 Clarion Co Ltd アンプのゲイン調整システム
DE4328620C1 (de) * 1993-08-26 1995-01-19 Akg Akustische Kino Geraete Verfahren zur Simulation eines Raum- und/oder Klangeindrucks
JPH07336791A (ja) * 1994-06-14 199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ーオーディオシステム
FI105859B (fi) * 1997-02-21 2000-10-13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digitaalisen signaalinkäsittely-yksikön audioparametrien asettamiseksi elektroniikkalaitteessa ja elektroniikkalaite
US6047601A (en) * 1998-01-23 2000-04-11 Foster; Steven G. Self-tuning crystal notch filter
JP2002535946A (ja) * 1999-01-26 2002-10-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不揮発性メモリを使用したインテリジェントスピーカの調音
KR20020054177A (ko) * 2000-12-27 2002-07-06 이계안 차량용 오디오 오토 튜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US20030123676A1 (en) * 2001-03-22 2003-07-03 Schobben Daniel Willem Elisabeth Method of deriving a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JP2002344617A (ja) * 2001-05-22 2002-11-29 Fukuoka Institute Of Technology 発振防止回路
US7483540B2 (en) 2002-03-25 2009-01-27 Bose Corporation Automatic audio system equalizing
JP2003347869A (ja) * 2002-05-30 2003-12-05 Canon Inc 音量調整方法
KR100897971B1 (ko) 2005-07-29 2009-05-18 하르만 인터내셔날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디오 튜닝 시스템
KR20070083101A (ko) * 2006-02-20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 음질 튜닝 장치 및 방법
KR100925022B1 (ko) * 2007-04-30 2009-11-04 주식회사 크리스틴 청력도 기반의 음질보정 음향출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4535B2 (en) 2020-07-11 2024-01-30 xMEMS Labs, Inc. Device,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vice
US11972749B2 (en) 2020-07-11 2024-04-30 xMEMS Labs, Inc. Wearable sou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55538B2 (en) 2014-06-17
EP2294834A4 (en) 2013-08-14
KR100970920B1 (ko) 2010-07-20
JP5069803B2 (ja) 2012-11-07
CN102077608B (zh) 2015-06-03
JP2011526765A (ja) 2011-10-13
WO2010002069A1 (en) 2010-01-07
CN102077608A (zh) 2011-05-25
US20110103616A1 (en) 2011-05-05
EP2294834A1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920B1 (ko) 튜닝음향 피드백 장치
AU2012271631B2 (en) Headset signal multiplexing system and method
KR1006330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계 발생 장치
US20080205678A1 (en) Hearing apparatus with a special energy acceptance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Kim et al. A review of assistive listening device and digital wireless technology for hearing instruments
US11711656B2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n amplifier system for minimizing variation in an acoustical signal caused by variation in gain of an amplifier
CN102625671A (zh) 听觉测试和补偿方法
CN104205877B (zh) 用于操作听力设备的方法以及听力设备
US20110235826A1 (en) Procedure and device for linearizing the characteristic curve of a vibration signal transducer such as a microphone
TW202027062A (zh) 聲音播放系統及其調整輸出聲音之方法
CN106308812A (zh) 可携式听力检测装置
CN204733348U (zh) 具蓝牙收发装置的播放设备
CN212435907U (zh) 一种天线电路、蓝牙耳机及终端设备
CN210183378U (zh) 音频输出装置及具有其的通讯终端
CN204104122U (zh) 无线音响系统及其适用的音响模块
CN117059062B (zh) 一种降低噪声的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Grimm et al. The personal hearing system—A software hearing aid for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CN213094486U (zh) 个人化听力补偿装置
KR101783130B1 (ko) 이어 마이크
CN201904853U (zh) 一种数字电视接收终端的遥控器
CN104008762A (zh) 无线录音装置
US8385512B2 (en) Achie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on handsets with low acoustic impedance receivers
CN202026440U (zh) 一种无线播放设备
CN117376797A (zh) 听力设备、验配设备、验配系统和相关方法
CN109381193A (zh) 听力检测装置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