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397A - 다색조 용기 - Google Patents

다색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397A
KR20100001397A KR1020080061285A KR20080061285A KR20100001397A KR 20100001397 A KR20100001397 A KR 20100001397A KR 1020080061285 A KR1020080061285 A KR 1020080061285A KR 20080061285 A KR20080061285 A KR 20080061285A KR 20100001397 A KR20100001397 A KR 20100001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color
layer
gradient
ma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0689B1 (ko
Inventor
김남수
손형근
신애라
허남춘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허남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허남춘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6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68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색조(multi-tone)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이루는 메인 수지층과 좌우 색조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색조 구배 착색층을 가지거나, 선택적으로는 이와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상기한 메인 수지층과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gradation) 착색층을 가지거나, 또한 선택적으로는 이들과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종 방향 및/또는 나선방향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층 또는 단색조 착색층을 가지거나 다른 색조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 착색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되며, 본 발명에 따른 다색조 용기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용기 자체의 디자인 자유도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가 있으며, 용기의 외관을 이루는 수지 자체의 색조가 다색조로서 미려한 고품격미를 발현하므로 수요 증대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 자체의 제작 후 별도의 장치를 이용한 열전사나 인쇄 또는 코팅 작업과 같은 별도의 후가공 표면 처리 공정을 최소화할 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투명층 또는 투명부를 형성할 경우에는 제품판매 시 수용된 내용물을 용기 개봉 없이도 직접 육안 확인 가능하고 사용 시에도 내용물의 소모 정도를 간단히 육안 확인할 수가 있다.
다색조(multi-tone), 용기, 연속, 캐스케이드(cascade), 나선, 투명, 블로우

Description

다색조 용기{VESSEL HAVING MULTI-TONE}
본 발명은 다색조(multi-tone) 용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를 이루는 메인 수지층과 좌우 색조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색조 구배(gradation) 착색층을 가지거나, 선택적으로는 이와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상기한 메인 수지층과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을 가지거나, 또는 이들과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종 방향 및/또는 나선방향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층 또는 상기한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구배의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로 된 다른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 착색층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색조 착색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색조 용기는 그 외표면에의 다색조 색상 표현을 위하여 수지제의 단색조 용기 제조 후 별도의 장치를 이용한 열전사나 인쇄 또는 코팅 작업과 같은 별도의 후가공 표면 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며, 이는 용기 제작에 있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상기한 종래의 단색조 수지 용기가 갖는 단조로움을 개선할 목적으로 색조 구배를 갖는 그라데이션(gradation) 용기가 종래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은 오 직 상하 종 방향으로만 색조 구배를 가지며, 횡 방향으로 색조 구배를 나타내거나 종 방향 혹은 나선상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부 및/또는 상기한 연속적 종 방향 구배의 색조와는 상이한 단색조로 된 적어도 하나의 착색층을 더욱 포함하는 다색조는 결코 표현할 수 없었으므로 용기 표면의 색상 디자인 자유도에 있어 여전히 상당한 제약이 있어 왔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서는 그라데이션 패턴을 갖는 병(bottol) 및 프리폼(preform)의 사출성형 방법에 관한 국제공개팜플렛 WO 2006/118067(2006.11.09.)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6-306470호(2006.11.09.)와,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한국특허등록 제588776호(2006.06.05.), 그리고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에 관한 한국특허등록 제552,097호(2006.02.07.)가 있다.
상기한 국제공개팜플렛 WO 2006/118067(2006.11.09.)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6-306470호(2006.11.09.)는 1차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프리폼을 형성한 후 이를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용기 및 그 프리폼에 관한 것으로서, 주재료 수지층 내에 이와는 색상이 다른 착색 수지 중간층을 서서히 그 두께를 감소시킨 상태로 침투시킴으로서 상하 종 방향으로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병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프리폼을 개시(開示)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 중 일부 출원인에 의한 한국특허등록 제588776호(2006.06.05.)는 하나의 메인 압출기와 그 좌우 양측의 보조 사출기를 구비한 성형 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며, 메인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는 주재료 수지의 외표면에 보조 사출기를 통하여 정밀하게 제어되어 점진적으로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는 양 및 속도로 사출되는 착색 수지층이 형성된 패리슨(parison)을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상하 종 방향으로의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 제552,097호(2006.02.07.)는 3개의 압출기를 이용한 다층 중공 성형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며, 3층으로 형성되는 용기의 최외층 수지의 두께를 축방향(상하 종 방향)으로 점차 얇아지거나 또는 두꺼워지게 한 패리슨을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상하 종 방향으로의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용기를 개시(開示)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병 형태의 중공(中空) 용기는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일반적인 블로우 성형기는 유압 스크류식 압출 장치부, 몰드부, 다이헤드부 및, 취입부로 구성되며, 몰드부는 좌우 금형을 스트로크에 의해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블로우 공기압은 약 7㎏/㎠ 정도로서 사출 성형 시의 형압력에 비하여 약 1/50 정도에 불과하므로 경량형 몰드에 적합하며, 다이헤드부는 압출 장치부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류의 방향을 90° 변경하여 하방을 향해 중공상(中空狀)의 패리슨을 형성하며, 취입부는 패리슨 내로 공기를 불어 넣어 패리슨을 부풀려 몰드부 내면을 외표면 경계로 하는 용기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부분이며 취입 방식으로는 상취(上吹), 하취(下吹), 횡취(橫吹)로 대별되나 통상적으로는 상취 또는 하취가 주로 이용된다.
오늘날 상기한 블로우 성형법은 중공형 용기, 특히 액상 제품을 수납하는 중공형 병의 성형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종 방향으로의 색조 구배를 갖는 그라데이션 용기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종래기술로서 상기한 한국특허등록 제552,097호를 들어 그 제작에 이용되는 블로우 성형장치 및 블로우 성형방법과 함께 약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종래의 그라데이션 용기 성형용 블로우 성형장치는 3본의 압출기(12′) (13′)(14′)로 구성된 성형기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블로우 성형장치는 프레임(1′)의 상부에 3본의 압출기(12′)(13′)(14′)가 장착되고, 상기한 3본의 압출기(12′)(13′)(14′)의 선단부는 다이헤드(6′)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한 다이헤드(6′)의 하방에는 몰드(7′)가 위치한다.
3본의 압출기(12′)(13′)(14′)에 설치된 호퍼(3′)를 통하여 공급되는 수지 그레인(grain)은 실린더(5′) 외부의 히터(4′)에 의하여 가열 용융된 다음, 실린더(5′) 내부의 압출 스크루(19′)에 의하여 다이헤드(6′)로 압출되고, 다이헤드(6′)에 의해 각각의 압출기(12′)(13′)(14′)로부터 압출된 3겹의 합성수지층이 튜브형상으로 적층된 패리슨(parison)(29′)(도 3a 참조)이 압출되며, 다이헤드(6′)로부터 압출된 패리슨(29′)은 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의 주입에 의해 체적 팽창될 때 몰드(7′)에 의해 일정한 용기 형태로 성형된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압출 스크루(19′) 구동용 모터이다.
도 1c는 상기한 도 1b의 A-A선 단면도로서, 종래의 블로우 성형장치에 있어서의 다이헤드(6′)의 단면도이다.
예시된 종래의 다이헤드(6′) 구조는 몸체(8′)의 내측에 제1, 제2, 제3 고정구(9′, 10′, 11′)가 맨드렐(18′)(mandrel)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제1 압출기(12′)는 제1 고정구(9′)와 제2 고정구(10′)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하여 용융된 제1 수지(22′)(도 2 참조)를 압출하고, 제2 압출기(13′)는 제2 고정구(10′)와 제3 고정구(11′)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하여 용융된 제2 수지(23′)(도 2 참조)를 압출하며, 제3 압출기(14′)는 몸체(8′)와 제3 고정구(11′)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하여 용융된 제3 수지(24′)(도 2 참조)를 압출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는 환형 유로를, 5′는 실린더를, 그리고 19′는 압출 스크루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6′)에서 압출된 합성수지층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제1 압출기(12′)로부터 압출된 제1 수지(22′)는 제1 고정구(9′)와 제2 고정구(10′)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해 최내층으로서의 하방류를 형성하고, 제2 압출기(13′)로부터 압출된 제2 수지(23′)는 제2 고정구(10′)와 제3 고정구(11′)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해 중간층으로서의 하방류를 형성하며, 제3 압출기(14′)로부터 압출된 제3 수지(24′)는 몸체(8′)와 제3 고정구(11′)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해 최 외층으로서의 하방류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수지(22′), 제2 수지(23′) 및, 제3 수지(24′)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튜브형태의 패리슨(29′)(도 2a 참조)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리슨(29′)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제3 수지(24′)는 제3 압출기(14′)에 의해 다이헤드(6′)로부터 압출될 때 컨트롤러(21′)에 의해 그 압출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제3 수지(24′)에 의해 형성되는 최외층(도면부호 미부여)의 두께(t)를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하거나 또는 점진적으로 두꺼워지게 형성하며, 이에 의해 용기의 색조가 종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짙어지거나 옅어지게 하고 있다.
상기한 컨트롤러(21′)에 의한 압출량의 제어는 통상적으로 압출 스크루(19′)의 회전수를 제어하거나, 또는 제3 압출기(14′)의 압출 개구 면적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하기는 하나, 통상적으로 압출기의 압출 압력은 사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압으로서 지속적인 일정한 압출 압력의 유지에 적합한 형태이므로 압출 압력의 정밀한 제어가 용이하지 않아서 종 방향 그라데이션 용기의 제조 시 균질성을 담보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의 다이헤드(6′)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 적층 구조의 패리슨(parison)(29′)을 블로우(blow) 성형에 의해 중공 용기로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 설명도로서, 도 3a에서와 같이 다이헤드(6′)로부터 패리슨(29′)이 압출되면 커터(25′)가 패리슨(29′)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도 3b에서와 같이 절단된 패리슨(29′)을 몰드(7′)가 밀폐시키면서 취입부의 에어노즐(27′)이 패리슨(29′)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패리슨(29′)이 팽창되면서 몰드(7′)의 내면에 압착되어 중공 용기(28′)의 형상으로 성형 되며, 도 3c에서와 같이 몰드(7′)를 분리하고 중공 용기(28′)에 형성된 잉여 플래시(30′)를 제거하여 완전한 형태의 중공 용기(28′)가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커터(25′)에 의한 절단은 도 3b에 도시한 단계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도 4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종래의 종 방향 색조 구배를 갖는 중공 용기(28′)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그 몸체는 제1 수지(22′), 제2 수지(23′) 및 제3 수지(24′)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제3 수지(24′)로 된 층의 두께(t)는 중공 용기(28′)의 축 방향(종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두꺼워지거나 또는 점차적으로 얇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공 용기(28′)의 색상은 그 축 방향(종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옅어지거나 짙어지는 종 방향으로의 그라데이션 톤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을 포함한 언급된 모든 종래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것이나 모두 오직 상하 종 방향으로만 색조 구배를 갖는 그라데이션 용기를 제안하고 있을 뿐, 좌우 횡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는 암시되거나 시사되어 있는바 전혀 없으며, 더욱이 종 방향 혹은 나선방향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부 및/또는 상기한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구배의 색조와는 상이한 단색조로 된 적어도 하나의 착색층을 갖는 다색 조 용기도 알려져 있는바 전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횡 방향(즉, 용기 좌우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부여함으로써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다색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횡 방향(즉, 용기 좌우 방향)으로의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를 부여함으로써,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다색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좌우로 적어도 2가지의 색조를 가지며 상기한 적어도 2가지 색조의 각각은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지는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다색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지면서도 적어도 일 개소에 내용물 확인 또는 사용 시의 소모량 확인을 위한 투명층(투명부)이 종방향으로 부여된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다색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짐과 아울러, 적어도 일 개소에 내용물 확인 또는 사용 시의 소모량 확인을 위한 투명층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한 연속적 구배를 갖는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착색 층(착색부)이 더욱 부여된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다색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한 연속적 구배를 갖는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를 갖는 복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이 종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더욱 부여된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다색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짐과 아울러, 종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줄무늬 형상의 투명층이 더욱 부여된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다색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횡 방향(즉, 용기 좌우 방향)으로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를 가짐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지며, 적어도 일 개소에 내용물 확인 또는 사용 시의 소모량 확인을 위한 종 방향 투명층 및/또는 또한 상기한 횡 방향으로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구배를 갖는 색조 또는 상기한 종 방향으로의 연속적 구배를 갖는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단색조 착색층이 더욱 부여된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새로운 타입의 다색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홉 번째 목적은 상기한 제반 목적에 수반하거나 또는 그와 독립 적으로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나선방향으로 된 투명층 또는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질 수도 있는 착색층이 부여된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다색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 번째 목적은 상기한 제반 목적에 부수하여 별도의 장치를 이용한 열전사나 인쇄 또는 코팅 작업과 같은 별도의 후가공 표면 처리 공정 및 그에 따른 비용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색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단색조의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색조와는 다른 색조를 가지며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증대된 두께로 적층되어 두께 차이로 인한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며 후엽부(厚葉部)와 박엽부(薄葉部)를 갖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박엽부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며 후엽부(厚葉部)와 단계적인 두께 차이를 갖는 박엽부(薄葉部)를 갖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박엽부 외주연을 따라 상기한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의 단색조 착색층이 단계적인 두께 차이로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나머지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절반을 이루는 좌우측의 반원상 영역에 각각 형성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호 다른 색조의 2개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투명한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는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관통하여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메인 수지층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투명한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는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관통하여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는 다른 색조 또는 기본 착색 수지층과 동일한 색조를 갖는 상하 종 방향의 단색조 착색층이 형성된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 한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을 따라 종 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다수의 줄무늬 형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사이사이에 노출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이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을 형성하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투명한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을 따라 종 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줄무늬 형상으로 적층되는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의 외표면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종 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에 적층되며 상기한 다수의 줄무늬 형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사이사이에 다수의 투명층이 형성된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 및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는 투명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 및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 및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아홉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나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 또는 투명층이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다색조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열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양태에 따른 증대된 디자인 자유도를 갖는 다색조 용기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색조 용기는 용기 본체를 이루는 메인 수지층과 좌우 색조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색조 구배(gradation) 착색층을 가지거나, 선택적으로는 이와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상기한 메인 수지층과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을 가지거나, 또는 이들과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종 방향 및/또는 나선방향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층 또는 상기한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구배의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로 된 다른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 착색층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색조 착색층을 갖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용기 자체의 디자인 자유도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가 있으며, 용기의 외관을 이루는 수지 자체의 색조가 다색조로서 미려한 고품격미를 발현하므로 수요 증대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 자체의 제작 후 별도의 장치를 이용한 열전사나 인쇄 또는 코팅 작업과 같은 별도의 후가공 표면 처리 공정을 최소화할 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투명층 또는 투명부를 형성할 경우에는 제품 판매 단계에서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기 개봉 없이도 직접 육안 확인이 가능하고 구매하여 사용 시에도 내용물의 소모 정도를 간단히 육안 확인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색조 용기는 블로우 성형(blow molding)(또는 취입성형(吹入成型))에 의하여 제조되며, 메인 수지층,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 또는 투명층의 형성은 균일하고 충분한 가소화를 위하여 L/D 20 이상의 스크루 압출기를 이용함과 아울러,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형성은 정밀한 압력 제어가 용이한 사출기를 이용함으로써 수지 사출량의 정밀 제어에 의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균질한 색조 구배발현을 도모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독특한 구조의 다이 헤드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색조 용기의 제조에 적용 가능한 전형적인 수지의 종류로서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폴리아세탈수지(압축비: 3.1-3.5), 아이오노머(압축비: 3.4-4.0), 폴리카보네이트(압축비: 2.0-3.0), 고밀도 폴리에틸렌(압축비: 3.2-3.6), 저밀도 폴리에틸렌(압축비: 3.2-3.8), 폴리비닐클로라이드(압축비: 2.0-3.0), 폴리프로필렌(압축비: 3.5-4.0)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투명성, 내구성, 내열성, 재생성, 무독위생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식품 포장용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에는 미리 병목 부분이 형성된 시험관 형태의 프리폼으로 사출성형된 다음, 병목 아래 부분을 2축 연신하여 최종적인 용기 형태로 성형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제조에 적합하지 않지만, PET-G(글리콜 개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연화점 약 83℃, 열변형 온도 약 70~74℃, 로크웰 경도 약 115, 비중 약 1.27, 광투과율 약 90%)의 경우에는 프리폼을 성형할 필요 없이 직접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중공형 용기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기(vessel or container)'라는 용어는 통상적으로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중공형(中空形) 병(bottle)을 지칭하는 의미이지만, 반드시 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로우 성형에 의해 중공형으로 제조되는 임의의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한편 '색조(tone)'라는 용어는 색이 짙거나 옅은 정도를 이르며, 색상, 명도 및, 채도의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하여 색조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는 색상(hue), 색조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명도(brightness), 색조의 순수한 정도를 나타내는 채도(saturation)와 관련되는 의미로 정의된다.
따라서, '다색조 용기'라는 용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된 용기 자체가 다색상이거나, 또는 명도만 다양하게 상이한 동일 색상이거나, 또는 채도만 다양하게 상이한 동일 색상이거나,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표면을 가지는 용기로 정의된다.
또한, '색조 구배(gradation of tone)'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용기 외표면의 색조가 상하 또는 좌우로 연속적으로 자연스럽게 변화하거나 또는 좌우로 단속적인 캐스캐이드(cascade) 형태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라는 용어는 용기의 직립 상태에서 그 외주면의 임의의 한 지점에서 그 지점을 통과하는 용기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임의의 수직선으로부터 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임의의 거리만큼 이동한 외주면 상의 다른 임의의 한 지점에서 그 지점을 통과하는 용기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임의의 수직선 사이의 영역에서 외주면을 따라 좌우로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의 색조 구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임의의 동일 수직선상의 모든 지점에서의 색조는 동일한 착색층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라는 용어는 용기의 직립 상태에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 바람직하게는 유사 계열의 색상이거나, 또는 동일 색상으로서 명도 차이를 갖거나, 또는 동일 색상으로서 채도 차이를 갖거나, 또는 이들이 임의로 조합되어 있는 적어도 2가지, 바람직하게는 3가지 이상의 단계적인 단색조 착색층이 상호 평행한 줄무늬 형태로 종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는 좌우로 단계적인 색조 구배 차이를 나타내는 착색층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이라는 용어는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라는 용어의 정의에서 용기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임의의 동일 수직선상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에 이르기까지 상하로 연속적 색조 구배가 형성되는 반면, 상기한 임의의 한 수직선과 임의의 다른 수직선 사이의 영역 내에서는 동일 높이에서의 색조는 동일한 착색층으로 정의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색조 용기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성형장치(100)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한 대의 메인 압출기(110)와 두 대의 보조 사출기(200)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대의 메인 압출기(110)와 1 내지 4대의 보조 압출기(110a), 그리고 한 대의 보조 사출기(200)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는 제작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의 색조 발현 양태에 따라 특정한 다이 헤드(300)를 선택하여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의 성형장치(100)는 용기의 내측을 이루는 메인 수지층 형성용 수지를 메인 호퍼(111)를 통하여 공급받아 용융 압출하는 메인 압출기(110)와, 용기의 외측을 이루는 색조 구배 착색층 형성용 수지를 사출 속도 제어변(220)을 통하여 정밀 제어된 가변 사출량으로 사출하는 보조 사출기(200)와 특정한 구성의 다이 헤드(300)와 블로우 몰드(130)로 구성되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0은 블로우 실린더이다.
도 6은 도 5의 성형장치(100)의 다른 예에 대한 요부 개략 평면도로서, 메인 압출기(110)와 4대의 보조 압출기(110a)와, 한 대의 보조 사출기(200)가 다이 헤드(300)에 연결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1은 메인 압출기 호퍼를, 111a는 보조 압출기 호퍼를, 112a는 압출 속도 제어변을, 210은 보조 사출기 호퍼를, 그리고 220은 사출 속도 제어변을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d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a,1b,1c,1d)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a,1b,1c,1d)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이루어지며, 본체(2)와 네크부(3)의 표면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 색조 착색층(5) 및,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d의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a,1b,1c,1d)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parison)(10)의 횡단면도로서,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동일 두께의 메인 수지부(11)와 보조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면 상에 적층되며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로 구성된다.
상기한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의 두께는 t1〉t2〉t3의 순서이며, 가장 두꺼운 두께 t1에 인접한 부분은 진한 색조 착색부(12)를, 중간 두께 t2에 인접한 부분은 중간 색조 착색부(13)를, 가장 얇은 두께 t3에 인접한 부분은 옅은 색조 착색부(14)를 이룬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I 및 IV 사분면이 만나는 최고점 부분은 진한 색조 착색부(12)를, I 및 II 사분면과 III 및 IV 사분면이 만나는 수평 부분은 중간 색조 착색부(13)를, 그리고 II 및 III 사분면이 만나는 최저점 부근은 옅은 색조 착색부(14)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면 일부에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가 적층되지 않은 상태로 압출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가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메인 수지부(11)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 노출된 부분은 메인 수지부(11) 자체의 단색조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8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7a 내지 7d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a,1b,1c,1d)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단색조의 메인 수지층(도 7a 내지 7d 상에는 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색조와는 다른 색조를 가지며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증대된 두께로 적층되어 두께 차이로 인한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단색조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 층(7)이 적층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 경우에는 단색조 메인 수지층의 색조가 상하 줄무늬 형태로 외부에 표현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다색조 용기(1a,1b,1c,1d) 및 후술하는 다른 다색조 용기에 있어서의 메인 수지층의 두께는 약 500~2000㎛, 바람직하게는 800~1200㎛이고,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두께는 0~1000㎛, 바람직하게는 0.1~1000㎛, 특정하게는 200~600㎛의 범위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한 메인 수지층에는 연한 색조가 사용되며 색조 구배 착색 수지층에는 이보다 짙은 색조가 사용되며, 예를 들면 메인 수지층에는 유백색 계열이 일반적일 수 있다.
도 9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a,1b,1c,1d)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로서, 다이헤드(300)의 구조는 몸체(301)의 내측에 제1 및 제2 고정구(302,303)가 맨드렐(350)(mandrel)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메인 압출기(110)는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수지를 압출하고, 보조 압출기(110a)는 몸체(301)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된 제2 환형 유로(320)를 경유한 제2 유로(32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압출한다.
상기한 맨드렐(350)의 하단부는 편심 헤드(352)로 형성되어 제2 유로(321)를 통과하는 용융된 착색 수지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차이를 갖도록 유도하 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압출기(110)로부터 압출된 메인 수지는 용기 본체를 이루는 메인 수지층(내층)으로 유도되며, 보조 압출기(110a)로부터 압출된 착색 수지는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면 상에 적층되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도 7a 내지 도 7d의 도면부호 7 참조)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한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은 맨드렐(350)의 편심 헤드(352)에 의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의 두께가 t1〉t2〉t3의 순서를 갖는 페리슨의 형태로 압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스캐이드(cascade)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e)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e)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이루어지며, 본체(2)와 네크부(3)의 표면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 색조 착색층(5) 및,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으로 이루어진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10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e)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10)의 횡단면도이다.
도 11a에 도시된 페리슨(10)은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후엽부(厚葉部)(11a)와 박엽부(薄葉部)(11b)를 갖는 메인 수지부(11)와 각각 색조가 상이한 착색 수지를 압출하는 3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박엽부(11b)의 외주면 상에 적층되어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의 두께는 동일하며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로 이루어져 있으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를 이루는 보조 압출기의 수효는 적어도 2대 이상이면 충분하며 바람직하게는 3대, 또는 그 이상 일수 있으며, 보조 압출기의 대수가 많아질수록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를 이루는 색조수도 그 만큼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상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은 메인 수지부(10) 자체의 색조를 나타내며,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은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1a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e)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며 후엽부(厚葉部)(11a)와 박엽부(薄葉部)(11b)를 갖는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박엽부(11b)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단색조 착색층로서의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가 종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11b에 도시된 페리슨(10)은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후엽부(11a)와 단계적인 두께 차이를 갖는 박엽부(11b)를 갖는 메인 수지부(11)와, 한 가지 색조의 착색 수지를 압출하는 단 1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되어 상기한 박엽부(11b)의 외주면 상에 단계적인 두께 차이를 갖도록 적층되는 캐스캐이 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의 두께는 캐스캐이드식으로 단계적으로 변화되며, 두께가 큰 부분은 진한 색조 착색부(12)를 이루고 두께가 중간인 부분은 중간 색조 착색부(13)를 이루며 두께가 작은 부분은 옅은 색조 착색부(14)를 이룬다.
결과적으로 도 11b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e)의 다른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며 후엽부와 단계적인 두께 차이를 갖는 박엽부를 갖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단계적인 두께 차이를 갖는 박엽부 외주연을 따라 상기한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의 단색조 착색층이 단계적인 두께 차이로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를 이루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으로 형성되며,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 사이의 경계는 선명하게 구분되지 않고 다소 모호한 패턴으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도 12a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색조 용기(1e)를 제조하기 위한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페리슨(10)을 압출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로서, 다이헤드(300)의 구조는 몸체(301)의 내측에 제1 및 제2 고정구(302,303)가 맨드렐(350)(mandrel)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메인 압출기(110)는 제 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수지를 압출하고, 3대의 보조 압출기(110a)는 각각 몸체(301)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고 격벽(도면부호 미부여)으로 분리되어 있는 제2 좌측 환형 유로(320a), 제2 중앙 환형 유로(320b), 제2 우측 환형 유로(320c)를 경유한 제2 좌측 유로(321a), 제2 중앙 유로(321b), 제2 우측 유로(321c)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압출한다.
여기서, 제2 좌측 환형 유로(320a)와 제2 좌측 유로(321a)는 상호 연통되어 있으며, 이와는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2 중앙 환형 유로(320b)와 제2 중앙 유로(321b)도 상호 연통되어 있고, 이들과 격벽으로 분리된 제2 우측 환형 유로(320c)와 제2 우측 유로(321c)도 상호 연통되어 있다.
한편, 맨드렐(350)의 하단부는 편심되지 않은 원형 헤드(351)로 형성된다.
도 12b는 도 12a의 B-B선 단면도로서, 중앙의 맨드렐(350) 외주연에 제1 고정구(302)가 위치하고 상기한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311)는 제2 고정구 내면의 환형 돌출부(303a)에 의해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페리슨(10)의 메인 수지부(11)의 박엽부(11b)가 도 12a에서의 메인 압출기(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제2 고정구(303)의 환형 돌출부(303a)가 형성된 내주면 부분에 대응하는 외주면에는 격벽 가이드(322)로 구획된 제2 좌측 유로(321a), 제2 중앙 유로(321b), 제2 우측 유로(321c)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페리슨(10)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가 도 12a에서의 3대의 보조 압출기(110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2c는 도 11b에 도시한 페리슨(10)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헤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 12a의 B-B선 단면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중앙의 맨드렐(350) 외주연에 제1 고정구(302)가 위치하고 상기한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311)는 제2 고정구 내면의 돌출 높이가 단계적으로 증대된 제1 계단부(303b), 제2 계단부(303c), 제3 계단부(303c)에 의해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페리슨(10)의 메인 수지부(11)가 도 12a에서와 같은 메인 압출기(110)에 의해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제2 고정구(303)의 제1 계단부(303b), 제2 계단부(303c), 제3 계단부(303c)가 형성된 내주면 부분에 대응하는 외주면에는 상호 연통된 제2 좌측 유로(321a), 제2 중앙 유로(321b), 제2 우측 유로(321c)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페리슨(10)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가 단 1대의 보조 압출기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이는 도 12a에서 3대의 보조 압출기(110a)를 사용하는 것과 대비된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지며 좌우 이색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1f,1g,1h,1i,1j)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f,1g,1h,1i,1j) 중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f,1g,1h)는 용기 본체(2)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i,1j)는 용기 본체(2)의 반원형 절반으로 분리된 상호 상이한 색조를 갖는 2개 의 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은 용기 본체(2)의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진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3a 내지 도 13c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1f,1g,1h)와, 도 13d 및 도 13e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1i,1j)로 블루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10)의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14a는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동일 두께의 메인 수지부(11)와, 보조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 적층된 단색조 착색부(17)와, 보조 사출기에 의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면의 단색조 착색부(17)를 제외한 영역 상에 제어된 가변량으로 사출되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로 구성된다.
보조 사출기에 의해 초기에서 종기에 이르는 사출 속도 범위는 10m/min로부터 1㎜/min에 이르는 범위이거나 또는 역으로 1㎜/min로부터 10m/min에 이르는 범위이다. 초기 사출량이 많고 종기 사출량이 적은 경우 상기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는 하방이 짙고 상방으로 갈수록 옅어지는 연속적 색조 구배를 나타내며, 초기 사출량이 적고 종기 사출량이 많은 경우 상기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는 하방이 옅고 상방으로 갈수록 짙어지는 연속적 색조 구배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 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반면,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은 단색조의 줄무늬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4a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13a, 도 13b,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f,1g,1h)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되며 용기 본체(2)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나머지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도 14b는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동일 두께의 메인 수지부(11)와, 두 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면의 좌측과 우측의 반원상 영역에 제어된 양으로 사출되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된 두께를 갖도록 사출된 2개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16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방 및 하방의 반원상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 각각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4b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13d 및 도 13e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i,1j)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절반을 이루는 좌우측의 반원상 영역에 각각 형성되며 용기 본체(2)의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호 다른 색조의 2개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으로 형성되며, 용기의 좌측 절반의 색조와 우측 절반의 색조가 상이한 상태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도 15a는 도 13a 내지 도 13c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이고 도 15c는 도 15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5b는 도 13d 및 도 13e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이고 도 15d는 도 15b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5a는 도 13a, 도 13b,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f,1g,1h)를 제조하기 위한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페리슨(10)을 압출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로서, 다이헤드(300)의 구조는 몸체(301)의 내측에 제3, 제1, 제2 고정구(304,302,303)가 맨드렐(350)(mandrel)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메인 압출기(110)는 제3 고정구(304) 또는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수지를 압출하여 도 14a에서의 메인 수지부(11)를 형성하고, 1대의 보조 압출기(110a)는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고 환형 폐색부(도 15c에서의 도면부호 302a 참조)가 존재하지 않는 제한된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2 환형 유로(320)를 경유한 제2 유로(321)를 통하여 용융 된 착색 수지를 압출하여 도 14a에서의 단색조 착색부(17)를 형성하며, 1대의 보조 사출기(200)는 몸체(301)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한 제2 유로(321)에 대향하는 쪽의 환형 폐색부(도 15c에서의 도면부호 303e 참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3 환형 유로(330)를 경유한 제3 유로(33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제어된 양으로 사출하여 도 14a에서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를 형성한다.
도 15c는 도 15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유로(311)가 중앙의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의 내주면에 의해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2 유로(321)는 제1 고정구(302)의 환형 폐색부(302a)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에 의해 짧은 호형으로 형성되며, 제3 유로(331)는 제2 고정구(303)의 환형 폐색부(303e)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몸체(301)에 의해 긴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2 유로(321)와는 상호 엇갈린 상태로 교호적(交互的)으로 위치한다.
이어서, 도 15b는 도 13d 및 도 13e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i,1j)를 제조하기 위한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페리슨(10)을 압출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로서, 다이헤드(300)의 구조는 몸체(301)의 내측에 제3, 제1, 제2 고정구(304,302,303)가 맨드렐(350)(mandrel)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메인 압출기(110)는 제3 고정구(304) 또는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수지를 압출하여 도 14b에서의 메인 수지부(11)를 형성하고, 2대의 보조 사출기(200)중 상방의 하나는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고 반원형의 환형 폐색부(도 15d에서의 도면부호 302a 참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2 환형 유로(320)를 경유한 반원형의 제2 유로(32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제어된 양으로 사출하여 도 14b에서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를 형성하며, 2대의 보조 사출기(200)중 하방의 다른 하나는 몸체(301)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한 제2 유로(321)에 대향하는 쪽의 반원형의 환형 폐색부(도 15d에서의 도면부호 303e 참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3 환형 유로(330)를 경유한 제3 유로(33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제어된 양으로 사출하여 도 14b에서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b)를 형성한다.
도 15d는 도 15b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유로(311)가 중앙의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의 내주면에 의해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2 유로(321)는 제1 고정구(302)의 반원형 환형 폐색부(302a)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에 의해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제3 유로(331)는 제2 고정구(303)의 반원형의 환형 폐색부(303e)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몸체(301)에 의해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2 유로(321)와는 상호 엇갈린 상태로 교호적(交互的)으로 위치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8)와 투명층(9a)을 갖는 다색조 용기(1k,1ℓ)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k,1ℓ)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적어도 하나의 투명층(9a)(도시된 예에서는 각각 2개의 투명층을 가짐)으로 형성된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도 16a 및 도 16b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투명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1k,1ℓ)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압출 다이헤드를 통과한 페리슨(10)의 횡단면도로서, 도 17a는 메인 수지부(11)로서 투명 수지를 사용한 경우의 일례이고 도 17b는 메인 수지부(11)로서 불투명 수지를 사용한 경우의 일례이다.
도 17a에 도시된 페리슨(10)은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투명한 메인 수지부(11) 및 이에 연결되는 2개소의 투명부(17a)와, 상기한 투명부(17a)를 제외한 영역 상에 보조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된 불투명한 단색조의 기본 착색 수지부(18)와, 1대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하여 동일 색조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조를 갖는 착색 수지가 정밀 제어 가변 사출량으로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부(18) 상에 사출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16b)로 형성된다.
상기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과 (16b)는 1대의 보조 사출기로 사출하거나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로 동일 색조의 착색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동일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를 갖게 하거나,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로 상호 상이한 색조의 착색 수지를 독립적으로 사출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를 갖게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방 및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 각각은 블 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7a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k,1ℓ)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투명한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는 기본 착색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을 관통하여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9a)을 갖는다.
한편, 도 17b에 도시된 페리슨(10)은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메인 수지부(11)와, 2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하여 각각 압출되며 상기한 메인 수지부(11)를 관통하는 2개소의 투명부(17a)와, 상기한 투명부(17a)를 제외한 영역 상에 1대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하여 동일 색조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조를 갖는 착색 수지가 정밀 제어 가변 사출량으로 사출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16b)로 형성된다.
상기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와 (16b)는 1대의 보조 사출기로 사출하거나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로 동일 색조의 착색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동일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를 갖게 하거나,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로 상호 상이한 색조의 착색 수지를 독립적으로 사출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를 갖게 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도시된 예에서 상방 및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 각각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7b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k,1ℓ)의 다른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메인 수지층을 모두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9a)을 갖는다.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층(8)과 투명층(9a) 및 단색조 착색층(9)을 갖는 다색조 용기(1m,1n)의 정면도 및 사시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m,1n)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단색조 착색층(9), 그리고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단색조 착색층(9) 사이에서 이들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층(9a)(도시된 예에서는 각각 2개의 투명층을 가짐)으로 형성된다.
도 19a 및 도 19b는 각각 도 18a 및 도 18b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층(8)과 투명층(9a)과 단색조 착색층(9)을 갖는 다색조 용기(1m,1n)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압출 다이헤드를 통과한 페리슨(10)의 횡단면도로서, 도 17a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단면도와 비교하여 2개소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부(16a,16b) 중 어느 한 개소만을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부(16)로 하고 다른 한 개소는 단색조 착색부(17)만으로 형성(즉, 기본 착색 수지부 상에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부의 적층을 하지 않음)한 예로써, 도 19a의 경우는 상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영역을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부(16)로 형성하고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영역만을 단색조 착색부(17)로 형성한 예이고, 도 19b의 경우는 상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영역을 단색조 착색부(17)로 형성하고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영역만을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부(16)로 형성한 예이며, 그 기본 구성은 상기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17a의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o)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투명한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는 기본 착색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2)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을 관통하여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9a)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9a)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상하 종 방향의 단색조 착색층(9)으로 형성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가 교호적으로 배열된 다색조 용기(1o)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o)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이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도 21은 도 20의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층(8)과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이 교호적으로 배열된 다색조 용기(1o)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10)의 횡단면도로서,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되고 그 외주연에 일정한 등 간격을 두고 이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후엽부(11a)를 갖는 메인 수지부(11)와, 1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하여 착색 수지가 정밀 제어된 가변 사출량으로 사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다수의 후엽부(11a) 사이사이에 적층되어 일정한 등 간격을 두고 이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종 방향 줄무늬 형상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로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연에 일정한 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후엽부(11a)의 외표면은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다색조 용기(1o)의 외표면의 종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을 형성하게 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한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의 사이사이에는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이 위치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 다수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 각각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이다.
결과적으로 도 21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o)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부연하면, 착색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을 따라 종 방향으로 상호 등 간격의 다수의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 본체(2)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다수의 줄무늬 형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의 사이사이에 노출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이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종 방향으로 된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으로 형성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교호적 (交互的) 종 방향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1p)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p)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다수의 종 방향 투명층(9a)이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도 23은 도 22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교호적 종 방향 투명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1p)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10)의 횡단면도로서,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되고 그 외주연에 일정한 등 간격을 두고 이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후엽부(11a)를 갖는 투명한 메인 수지부(11)와, 1대의 보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며 상기한 다수의 후엽부(11a) 사이사이에 적층되는 다수의 기본 착색 수지부(18)와, 1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하여 착색 수지가 정밀 제어된 가변 사출량으로 사출되어 상기한 다수의 기본 착색 수지부(18) 상에 적층되어 일정한 등 간격을 두고 이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종 방향 줄무늬 형상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로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연에 일정한 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후엽부(11a)의 외표면은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다색조 용기(1o)의 외표면의 종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을 형성하게 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한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의 사이사이에는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후엽부(11a)는 투명부(17a)이다.
도시된 예에서 다수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 각각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으로 유도된다.
결과적으로 도 23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p)의 구조는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투명한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을 따라 종 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줄무늬 형상으로 적층되는 기본 착색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의 외표면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2)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종 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에 적층되며 상기한 다수의 줄무늬 형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의 사이사이에 다수의 투명층(9a)으로 형성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와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그리고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1q)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q)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이루어지며, 본체(2)와 네크부(3)의 표면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 색조 착색층(5) 및, 진한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과,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 색조 착색층(5) 및, 진한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8)과, 투명층(9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서는 투명층(9a) 대신에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도 25는 도 24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와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그리고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1q)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10)의 횡단 면도로서,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메인 수지부(11)와, 3대의 보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며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일부 외주면 상에 각각 적층되어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로 이루어지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와, 1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하여 착색 수지가 정밀 제어된 가변 사출량으로 사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다른 일부 외주면 상에 적층되어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로 이루어지는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와, 다른 별도의 1대의 보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와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를 관통하는 투명부(17a)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투명부(17a)는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예에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의 두께는 동일하며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를 이루는 보조 압출기의 수효는 적어도 2대 이상이면 충분하며 바람직하게는 3대, 또는 그 이상 일수 있고, 보조 압출기의 대수가 많아질수록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를 이루는 색조수도 그 만큼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는 3대의 보조 압출기를 사용하는 일 없이 도 11b에 나타낸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단 1대의 압출기만을 사용하여 그 두께를 계단식으로 제어하여 메인 수지부(11) 상에 적층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시된 예에서 정상부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은 투명부(17a)를 나타내며, 그 좌우 양측에 인접한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를 나타내고,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은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도 25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q)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 및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다른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2)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는 투명층(9a)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페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q)의 다른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 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 및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2)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 및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미도시)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6a 내지 도 26d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로서의 제9 실시예로서 좌우 이색의 경계가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1r,1s,1t,1u)의 정면도 또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r,1s,1t,1u)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나선상 착색층(9c)을 가진다.
그러나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나선상 착색층(9c)이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으로 이루어지는 나선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미려한 다색조 발현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7은 제9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로서, 다이헤드(300)의 구조는 몸체(301)의 내측에 제1 및 제2 고정구(302,303)가 맨드렐(350)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메인 압출기(110)는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수지를 압출하고, 1대의 보조 사출기(200)는 몸체(301)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된 제2 환형 유로(320) 를 경유한 제2 유로(32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정밀 제어된 가변 또는 불변 사출량으로 사출한다.
상기한 다이헤드(300)의 선단부에는 환형류 형성 팁(360)이 나사 결합 또는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한 환형류 형성 팁(360)의 노즐 단부에는 나선상 볼록부(361)와 나선상 오목부(362)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사출기(200)를 통한 사출량의 정밀 제어된 가변 사출은 나선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며, 불변 사출 또는 보조 압출기에 의한 불변 압출은 심플한 나선상의 단색조 착색층을 형성한다.
도 26a 내지 도 26d에 도시한 다색조 용기(1r,1s,1t,1u)를 블로우 성형함에 있어서, 메인 압출기(110)에 의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과하는 용융된 메인 수지는 도 26a 내지 도 26d에서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미도시)을 형성하며, 보조 사출기(200)에 의한 제2 환형 유로(320)를 경유한 제2 유로(321)를 통과하는 용융된 착색 수지는 상기한 메인 수지층에 적층되고 환형류 형성 팁(360)을 경유하면서 나선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 또는 나선상의 단색조 착색층과 같은 나선상 착색층(9c)을 형성한다.
상기한 환형류 형성 팁(360)은 다이 헤드(300) 선단부에 예컨대 나사 결착식 등과 같은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며, 그 말단 내측부에 나선상 볼록부(361)와 나선상 오목부(362)를 나선상으로 교호 배치하는 것에 의해 페리슨(미도시)을 꽈배기 형상의 나선상으로 형성한 다음, 블로우 성형하여 도 26a 내지 도 26d에 도시한 다색조 용기(1r,1s,1t,1u)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제2 유로(321)를 나선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또는 말단 내측부에 나선상 볼록부(361)와 나선상 오목부(362)가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 환형류 형성 팁(360)을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도 26a 내지 도 26d에 도시한 다색조 용기(1r,1s,1t,1u)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26a 내지 도 26d에 도시한 다색조 용기(1r,1s,1t,1u)의 경우 나선상 착색층(9c)은 2개이므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제2 유로(321)는 좌우 양측으로 분기(分岐)된 2개의 호형(弧形) 유로로 형성된다.
도 28a 내지 도 28c는 제6 실시예의 변형예로서의 제10 실시예로서 다수의 종 방향 줄무늬가 상호 이격된 형태로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1v,1w,1x)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v,1w,1x)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나선상 줄무늬 착색층(9d)을 가진다.
그러나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나선상 줄무늬 착색층(9d)도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 상방부 및 네크부는 옅은 색조 착색층으로 이루어지는 나선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미려한 다색조 발현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26a 내지 도 26d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1r,1s,1t,1u) 및 도 28a 내지 도 28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1v,1w,1x)등은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에 나선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 또는 투명층을 갖게 할 수 있 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구체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1a는 종래의 성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종래의 성형장치의 요부 개략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에서 압출된 합성수지층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에서 압출되어 합성수지층이 적층된 구조의 패리슨(parison)을 블로우(blow) 성형에 의해 중공 용기로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종래의 용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색조 용기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성형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성형장치의 요부에 대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d의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parison)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a 내지 도 7d와 같이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스캐이드(cascade)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1a 및 11b는 각각 도 10a 및 도 10b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의 종단면도이고, 도 12b 및 도 12c는 도 12a의 각각 다른 형태의 B-B선 횡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3a 내지 도 13c와, 도 13d 및 도 13e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15a는 도 13a 내지 도 13c와, 도 13d 및 도 13e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의 종단면도이며, 도 15b는 도 13a 내지 도 13c의 경우의 도 15a에 있어서의 C-C선 횡단면도이고 도 15c는 도 13d 내지 도 1e의 경우의 도 15a에 있어서의 D-D선 횡단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도 16a 및 도 16b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투명 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투명창을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각각 도 18a 및 도 18b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투명창을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하기 직전의 페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가 교호적으로 배열된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층과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이 교호적으로 배열된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교호적 (交互的) 종 방향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교호적 종 방향 투명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와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그리고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와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그리고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페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d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로서의 제9 실시예로서 좌우 이색의 경계가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 또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9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압출 다이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28a 내지 도 28c는 제6 실시예의 변형예로서의 제10 실시예로서 다수의 종 방향 줄무늬가 상호 이격된 형태로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b,1c,1d,1e,1f,1g,1h,1i,1j,1k,1ℓ,1m,1n,1o,1p,1q,1r,1s,1t,1u,1v,1w,1x : 본 발명에 따른 다색조 용기
2 : 용기 본체 3 : 네크부
4 : 진한 색조 착색층 5 : 중간 색조 착색층
6 : 옅은 색조 착색층 7 :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
7a :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농도 착색층
8 :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
9 : 단색조 착색층 9a : 투명층
9b :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 9c : 나선상 착색층
9d : 나선상 줄무늬 착색층
10 : 페리슨(parison)
11 : 메인 수지부 11a : 후엽부
11b : 박엽부 12 : 진한 색조 착색부
13 : 중간 색조 착색부 14 : 옅은 색조 착색부
15 :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
15a :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
16,16a,16b :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
17 : 단색조 착색부 17a,18a: 투명부
17b : 단색조 줄무늬 착색부 18 : 기본 착색 수지부
100 : 성형장치
110 : 메인 압출기 111 : 메인 압출기 호퍼
112 : 실린더 113 : 스크루
110a : 보조 압출기 111a : 보조 압출기 호퍼
112a : 실린더 113a : 스크루
120 : 블로우 실린더 130 : 블로우 몰드
200 : 보조 사출기
202: 실린더 203: 스크루
210 : 보조 사출기 호퍼 220 : 사출 속도 제어변
300 : 다이헤드
301 : 몸체 302 : 제1 고정구
302a : 환형 폐색부 303 : 제2 고정구
303a : 환형 돌출부 303b : 제1 계단부
303c : 제2 계단부 303d : 제3 계단부
303e: 환형 폐색부 304 : 제3 고정구
310 : 제1 환형 유로 311 : 제1 유로
320 : 제2 환형 유로 321 : 제2 유로
321a : 좌측 제2 유로 321b : 중간 제2 유로
321c : 우측 제2 유로 322 : 격벽 가이드
330 : 제3 환형 유로 331 : 제3 유로
350 : 맨드렐(mandrel) 351 : 헤드
352 : 편심 헤드 360 : 환형류 형성 팁
361 : 나선상 볼록부 362 : 나선상 오목부

Claims (20)

  1.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단색조(mono-tone)의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색조와는 다른 색조를 가지며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증대된 두께로 적층되어 두께 차이로 인한 색조 구배(gradation)를 나타내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multi-tone) 용기.
  2. 용기 본체를 형성하며 후엽부(厚葉部)와 박엽부(薄葉部)를 갖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박엽부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박엽부가 단계적인 두께 차이를 가지며, 상기한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동일 색조를 가지는 다색조 용기.
  4.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일부 영역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나머지 일부 영역에 적층되며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
  5.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절반을 이루는 좌우측의 반원상 영역에 각각 형성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호 다른 색조의 2개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
  6.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투명한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는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관통하여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
  7.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메인 수지층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
  8.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투명한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는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관통하여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는 다른 색조 또는 기본 착색 수지층과 동일한 색조를 갖는 상하 종 방향의 단색조 착색층이 형성된
    다색조 용기.
  9.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을 따라 종 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다수의 줄무늬 형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사이사이에 노출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이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을 형성하는
    다색조 용기.
  10.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투명한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을 따라 종 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줄무늬 형상으로 적층되는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의 외표면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종 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에 적층되며 상기한 다수의 줄무늬 형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사이사이에 다수의 투명층이 형성된
    다색조 용기.
  11.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 및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는 투명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
  12.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 및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 및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
  13.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에 나선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단색조 착색층 또는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
  14.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에 나선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 갖는
    다색조 용기.
  15.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에 나선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
  16.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색조 구배가 색상, 명도, 채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있어 변화되는 것인 다색조 용기.
  17.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가 블로우 성형에 의한 폴리아세탈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글리콜 개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지로 성형된 다색조 용기.
  18.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가 중공형(中空形) 병(bottle)인 다색조 용기.
  19. 제2항 또는 제11항 또는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유사 계열의 색상이거나, 또는 동일 색상으로서 명도 차이를 갖거나, 또는 동일 색상으로서 채도 차이를 갖거나, 또는 이들이 임의로 조합된 적어도 2가지의 단계적인 단색조 착색층이 상호 평행한 줄무늬 형태로 종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좌우로 단계적인 색조 구배 차이를 나타내는 착색층인 다색조 용기.
  20.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14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두께가 500~2000㎛이고,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두께가 0~1000㎛인 다색조 용기.
KR1020080061285A 2008-06-27 2008-06-27 다색조 용기 KR100980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285A KR100980689B1 (ko) 2008-06-27 2008-06-27 다색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285A KR100980689B1 (ko) 2008-06-27 2008-06-27 다색조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97A true KR20100001397A (ko) 2010-01-06
KR100980689B1 KR100980689B1 (ko) 2010-09-07

Family

ID=4181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285A KR100980689B1 (ko) 2008-06-27 2008-06-27 다색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686A (ko) * 2010-05-06 2013-06-11 클라리언트 마스터배치스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다층 취입-성형된 중공형 제품의 제조 방법
CN115256872A (zh) * 2022-03-17 2022-11-01 鹿啄泉矿泉水有限公司 具有颜色渐变效果的瓶体以及瓶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565A (ja) * 1993-10-15 1995-04-25 Kamaya Kagaku Kogyo Co Ltd 艶消し加飾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32135B1 (en) * 1994-02-04 1998-04-13 Oh Hyun Yong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pparatus and its manufactruring articles
KR101280765B1 (ko) * 2004-07-28 2013-07-05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용기,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 용기의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686A (ko) * 2010-05-06 2013-06-11 클라리언트 마스터배치스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다층 취입-성형된 중공형 제품의 제조 방법
KR20180086306A (ko) * 2010-05-06 2018-07-30 클라리언트 마스터배치스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다층 취입-성형된 중공형 제품의 제조 방법
CN115256872A (zh) * 2022-03-17 2022-11-01 鹿啄泉矿泉水有限公司 具有颜色渐变效果的瓶体以及瓶坯
CN115256872B (zh) * 2022-03-17 2023-11-17 鹿啄泉矿泉水有限公司 具有颜色渐变效果的瓶体以及瓶坯成型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689B1 (ko) 201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9530B1 (en)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KR101319732B1 (ko) 그라데이션 모양 부착 병체 및 프리폼의 사출성형방법
CN102922664B (zh) 通过注射包覆成型得到的双层预型件
RU2455209C1 (ru) Полиэфирная емкость, изготовленная формованием с раздувом, с наформованным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м слоем
US20050287323A1 (en) Laminated formed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med body
US20070228598A1 (en) Laminated Molded Body
US20090233026A1 (en) Laminated and molded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2026793A (zh) 容器的塑料预成型件及其制造工艺以及所述容器及其用途
JP2014530125A (ja) プリフォームを製造する方法
US7661945B2 (en) Apparatus for extruding and blow molding multicolored plastic articles
KR100980689B1 (ko) 다색조 용기
KR101024862B1 (ko)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JPH0298409A (ja) 着色多層容器とその製造方法
EP0692363B1 (en) Coextrusion head for blow-thermoforming machines with rapid changing of the coloured layers of the extruded plastic
CN114945454B (zh) 树脂制容器的制造方法、制造装置以及模具组件
KR100552087B1 (ko)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JP5472829B2 (ja) 合成樹脂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MXPA06008668A (en)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