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087B1 -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 Google Patents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087B1
KR100552087B1 KR1020050104182A KR20050104182A KR100552087B1 KR 100552087 B1 KR100552087 B1 KR 100552087B1 KR 1020050104182 A KR1020050104182 A KR 1020050104182A KR 20050104182 A KR20050104182 A KR 20050104182A KR 100552087 B1 KR100552087 B1 KR 100552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low molding
color
molding machin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원유압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원유압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원유압기계
Priority to KR102005010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션, 샴푸 및 조미료와 같은 여러 가지 내용물을 보관하는 합성수지 용기(28)를 제작하는 다층 중공 압출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28) 축방향에 따라 용기(28) 표면의 색상이 점차 옅어지거나 짙어지는 그라데이션 색상의 효과가 형성되는 용기(28)를 제작할 수 있는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다층 중공 성형기이다.
로션, 샴푸 및 조미료와 같은 여러 가지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28)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재료로 중공 성형기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중공 성형기에 의해 제조된 용기(28)는 색상이 단조로워서 용기(28)가 제조된 뒤, 별도의 인쇄필름을 부착하거나 용기(28)의 표면에 별도의 인쇄공정을 거쳐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합성수지가 적층된 다층구조의 용기(28)를 제작할 때 용기를 구성하는 여러 합성수지층중에서 최외층의 합성수지층 두께(t)가 용기(28)의 축방향으로 점차 두꺼워지거나 점차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용기(28)의 외관 색상이 용기의 축방향으로 점차 짙어지거나 옅어지는 그라데이션 색상의 효과가 형성되는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 다층 중공 성형기이다.
중공성형, 그라데이션, 용기

Description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Multi-layer blow molding machine for a bottle with a gradation of color}
도 1은 다층 중공 성형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3축의 압출구와 헤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헤드에서 합성수지가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헤드에서 압출된 다층구조의 합성수지로 용기를 중공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용기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모터
3 : 호퍼
4 : 히터
5 : 실린더
6 : 헤드
7 : 금형
8 : 몸체
9 : 제1안내구
10 : 제2안내구
11 : 제3안내구
12 : 제1압출구
13 : 제2압출구
14 : 제3압출구
15 : 가이드홈
16 : 흐름통로
18 : 센터가이드
19 : 스크류
21 : 컨트롤러
22 : 제1수지
23 : 제2수지
24 : 제3수지
25 : 커팅기
27 : 에어노즐
28 : 용기
29 : 패리손(Parison, 완성품을 성형하기 위한 용융 예비성형물)
30 : 플래시
본 발명은 로션, 샴푸 및 조미료와 같은 여러 가지 내용물을 보관하는 합성수지 용기를 제작하는 중공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표면의 색상이 용기 축방향에 따라 점차 서서히 변화하는 그라데이션 색상의 효과에 의해 외관이 미려한 용기를 제작할 수 있는 다층 중공 성형기이다.
로션, 샴푸, 조미료 및 음료수와 같은 여러 가지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합성수지를 적층하여 다층으로 형성하고, 공기를 주입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중공 성형기에 의해 용기로 제조된다.
이러한 중공 성형기에 의해 제조된 용기는 색상이 단조로워서 용기가 제조된 뒤, 별도의 인쇄필름을 부착하거나 또는 용기의 표면에 별도의 인쇄를 하는 인쇄공정을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용기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중공 성형기로서, 용기를 제조할 때 용기의 최외층의 합성수지 두께를 용기의 축방향으로 점차 두꺼워지거나 점 차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외관 색상이 축방향으로 점차 옅어지거나 짙어지는 그라데이션 색상의 효과가 형성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다층 중공 성형기를 제공하는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중공 성형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일반 제조공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3축의 압출구(12)(13)(14)가 구성된 중공 성형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공 성형기의 정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중공 성형기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1)의 상부에 압출구(12)(13)(14), 헤드(6) 및 금형(7)이 구성된다.
압출구(12)(13)(14)는 실린더(5) 외부에 히터(4)와 실린더(5) 내부의 스크류(19)에 의하여 호퍼(3)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합성수지칩을 용융하여 헤드(6)로 압출하고, 헤드(6)는 압출구(12)(13)(14)로부터 압출되는 여러 층의 합성수지를 튜브형상으로 적층한 패리손(Parison, 완성품을 성형하기 위한 용융 예비성형물)(29)을 압출하며, 금형(7)은 헤드(6)에서 압출된 패리손(29)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때에 일정한 형태를 성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3축의 압출구(12)(13)(14)와 헤드(6)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조미료, 화장품 및 음료수와 같이 다양한 물질을 보관하는 용기 (28)는 그 내용물에 따라 여러 층의 합성수지를 적층하여 용기(28)를 제조한다.
예를 들면, 용기(28)의 내용물이 자외선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차단 성질의 합성수지를 적층하거나, 용기(28)의 내용물이 음료수인 경우 탄산가스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를 적층하여 용기(28)를 제조한다.
각 압출구(12)(13)(14)는 호퍼(3)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합성수지칩을 히터(4)로 용융하여 헤드(6)로 압출한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즉, 헤드(6)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헤드(6)는 몸체(8)의 내부에 제1안내구(9), 제2안내구(10) 및 제3안내구(11)가 센터가이드(18)를 축으로하여 차례로 적층된다.
제1압출구(12)는 제2안내구(10)를 관통하여 제2안내구(10)의 내벽과 제1안내구(9)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흐름통로(16)로 용융된 제1수지(22)를 압출하고,
제2압출구(13)는 제3안내구(11)를 관통하여 제3안내구(11)의 내벽과 제2안내구(10)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흐름통로(16)로 용융된 제2수지(23)를 압출하며,
제3압출구(14)는 몸체(8)를 관통하여 몸체(8)의 내벽과 제3안내구(11)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흐름통로(16)로 용융된 제3수지(24)를 압출한다.
각 안내구(9)(10)(11)의 외벽에 형성된 가이드홈(15)은 압출구(12)(13)(14)에서 유입되는 용융 합성수지가 빠른 속도로 안내구(9)(10)(11)의 외벽에 형성된 흐름통로(16)로 골고루 번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각 압출구(12)(13)(14)에서 압출되는 제1수지(22), 제2수지(23) 및 제3수지(24)가 헤드(6)에서 튜브형태로 차례로 적층되어 패리손(29)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압출구(12)에서 압출된 제1수지(22)는 제2안내구(10)의 내벽과 제1안내구(9)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흐름통로(16)를 통해 하부방향으로 흐르고, 제2압출구(13)에서 압출된 제2수지(23)는 제3안내구(11)의 내벽과 제2안내구(10)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흐름통로(16)를 통해 하부방향으로 흐르면서 제1압출구(12)에서 압출된 제1수지(22)의 외측으로 적층된다.
제3압출구(14)에서 압출된 제3수지(24)는 몸체(8)의 내벽과 제3안내구(11)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흐름통로(16)를 통해 하부방향으로 흐르면서 제1수지(22)와 제2수지(23)가 적층된 외측에 적층되어 헤드(6)의 하부로 튜브형태의 패리손(29)이 압출된다.
상기와 같이 제1압출구(12) 내지 제3압출구(14)에서 압출되는 용융합성수가 헤드(6)의 내부에서 적층되는 상태는 도 4에서와 같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여러 합성수지중 패리손의 최외층에 적층되는 제3수지(24)가 제3압출구(14)에 의해 헤드(6)로 압출될 때 컨트롤러(21)에 의해서 헤드(6)로 압출되는 제3수지(24)의 양이 점차 많아지거나 점차 줄어들게 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헤드(6)에서 배출되는 제3수지(24)층의 두께(t)가 점차 얇아지거나 점차 두꺼워지게 된다.
컨트롤러(21)가 제3압출구(14)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19)의 회전수를 조절하거나, 제3압출구(14)의 압출구멍의 넓이를 조절함으로써 제3압출구(14)에서 헤드 (6)로 압출되는 제3수지(24)의 양이 조절된다.
도 5 내지 도 7은 헤드(6)에서 압출된 패리손(29)으로 용기(28)를 성형하는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헤드(6)에서 패리손(29)이 압출되면 커팅기(25)가 패리손(29)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절단된 패리손(29)을 금형(7)이 양측에서 눌러 밀폐시키면서 에어노즐(27)이 패리손(29)의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는다.
패리손(29)의 내부에 공기를 불어 넣으면 도 6에서와 같이 패리손(29)이 팽창되면서 금형(7)의 내면에 압착되어 용기(28)의 형상으로 성형 된다.
도 7에서와 같이 금형(7)을 확개하고 용기(28)의 상측에 형성된 플래시(30)를 떼어내면 용기(28)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완성된 용기(28)는 도 8에서와 같이 제1수지(22), 제2수지(23) 및 제3수지(24)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제3수지(24)는 두께(t)가 용기(28)의 축방향으로 점차 두꺼워지거나 점차 얇아지기 때문에 도 8에서와 같이 용기(28)의 색상이 용기(28)의 축방향으로 서서히 옅어지거나 짙어지는 그라데이션 색상의 효과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층 압출구로 구성된 중공 성형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컨트롤러(21)에 의해 패리손(29)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용융합성수지의 압출량을 조절하는 5층 및 7층 등의 다층 중공 성형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압출구(12)(13)(14)가 용융 합성수지를 헤드(6)로 압출하고, 헤드(6)의 내부에서 합성수지가 튜브형태로 적층되어 형성된 패리손(29)이 헤드(6) 외부로 압출되며, 금형(7)으로 압출된 패리손(29)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로 성형하는 다층 중공 성형기에 있어서,
패리손(29)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용융합성수지를 헤드(6)로 압출하는 제3압출구(14)는 컨트롤러(21)에 의해 용융합성수지의 양을 점차 많아지거나 적어지게 헤드(6)로 압출함으로써, 패리손(29)의 최외층 합성수지의 두께(t)가 축방향으로 점차 얇아지거나 두꺼워져서 이를 금형(7)으로 성형한 용기(28)의 색상이 축방향으로 점차 옅어지거나 짙어지는 그라데이션 색상의 효과가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핵심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장품, 음료수 및 조미료등의 다양한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28)를 제작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공 성형기는 헤드(6)에서 여러 가지 합성수지를 튜브형태로 적층할 때 최외층에 적층되는 합성수지의 두께(t)를 축방향으로 점차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도록 하고, 이를 금형(7)에 의하여 용기(28)로 성형하면 용기(28)의 표면 색상이 축방향으로 점차 옅어지거나 짙어지는 그라데이션 생상의 효과가 형성된다.
즉, 용기(28)를 중공 성형기에서 제작할 때 용기(28)의 표면에 화려한 그라데이션 색상의 효과가 형성되므로 종래의 용기(28)와 같이 용기(28)의 외관을 꾸미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제1압출구(12), 제2압출구(13) 및 제3압출구(14)가 용융 합성수지를 헤드(6)로 압출하고, 헤드(6)의 내부에서 합성수지가 튜브형태로 적층되어 형성된 패리손(29)이 금형(7)으로 압출되고, 금형(7)으로 압출된 패리손(29)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로 성형하는 다층 중공 성형기에 있어서,
    패리손(29)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조되는 용기(28) 표면의 색상이 축방향으로 점차 옅어지거나 짙어지는 그라데이션 색상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패리손(29)의 최외층 합성수지의 두께(t)가 축방향으로 점차 얇아지거나 두꺼워지게끔 패리손(29)의 최외층 합성수지를 헤드(6)로 압출하는 제3압출구(14)에 컨트롤러(21)가 장착됨으로써,
    컨트롤러(21)가 제3압출구(14)에서 헤드(6)로 압출되는 용융합성수지의 양이 점차 많아지거나 점차 적어지게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KR1020050104182A 2005-11-02 2005-11-02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KR100552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82A KR100552087B1 (ko) 2005-11-02 2005-11-02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82A KR100552087B1 (ko) 2005-11-02 2005-11-02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2087B1 true KR100552087B1 (ko) 2006-02-21

Family

ID=3717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182A KR100552087B1 (ko) 2005-11-02 2005-11-02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069B1 (ko) 2007-02-02 2008-11-24 주식회사 신광화학 용기 제조용 그라데이션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069B1 (ko) 2007-02-02 2008-11-24 주식회사 신광화학 용기 제조용 그라데이션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4618A (en) Coextrusion blowmolding process
JP3982173B2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製造方法
EP2311624B1 (en) Synthetic-resin laminated bottle body
WO2012147501A1 (ja) 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射出成形方法及び合成樹脂製壜体
JP5910953B2 (ja) 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方法
EP229522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and molded body
RO120060B1 (ro) Recipiente cu straturi multiple
JPS6137404A (ja) 多層有底パリソンの射出成形方法
JP4692737B2 (ja) 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プリフォーム、及び壜体
CN107848185A (zh) 阻挡管肩
JP4096308B2 (ja) 射出成形用ホットランナー金型
KR100552087B1 (ko)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US518687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of a novel hollow multi-layer article
JP2005342900A (ja) 積層成形体
WO2007027303A2 (en) Blow molding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CN101376440B (zh) 包装软管
US6764639B1 (en) Drum-like container out of plastic and process and device for its production
JP5392658B2 (ja) 積層ブロー壜体
EP0573683A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blow-molded reinforced thermoplastic containers, and containers produced by said method
EP0370695A2 (en) Extrusion dies and apparatus, methods of extrusion and extruded articles
JP2004098666A (ja) パリソン成形方法及び装置並びにパリソン、パリソン加工方法
KR100588776B1 (ko)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용기 제조장치
KR100980689B1 (ko) 다색조 용기
KR20070120386A (ko) 다층 포장용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기
JPH09155962A (ja) 多層ブロー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