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862B1 -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862B1
KR101024862B1 KR1020090000289A KR20090000289A KR101024862B1 KR 101024862 B1 KR101024862 B1 KR 101024862B1 KR 1020090000289 A KR1020090000289 A KR 1020090000289A KR 20090000289 A KR20090000289 A KR 20090000289A KR 101024862 B1 KR101024862 B1 KR 10102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astener
annular
passag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031A (ko
Inventor
김남수
손형근
신애라
허남춘
Original Assignee
허남춘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춘,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허남춘
Priority to KR102009000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8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35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 B29C48/336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the components merging one by one down streams in the die
    • B29C48/3366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the components merging one by one down streams in the die using a die with concentric parts, e.g. rings,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12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two or more fixed moulds, e.g. in tand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Articles with a cross-section var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corrug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19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0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one of the layers being a strip, e.g. a partially embedded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35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며, 용기 본체를 이루는 메인 수지층과 좌우 색조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 착색층을 가지거나, 선택적으로는 이와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상기한 메인 수지층과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을 가지거나, 또한 선택적으로는 이들과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종 방향 및/또는 나선방향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층 또는 단색조 착색층을 가지거나 다른 색조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 착색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의 제조가 가능한 다이헤드 및 그 성형장치가 제공되며, 본 발명은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용기 자체의 디자인 자유도를 증대시켜 용기를 다색조로 제작함으로써 미려한 고품격미에 의한 수요증대 도모와, 용기 제작 후 열전사나 인쇄 또는 코팅 작업과 같은 별도의 후가공 표면 처리공정을 최소화할 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제품판매 단계 또는 구매 후 사용 과정에서 용기 수용 내용물이나 그 소모 정도를 개봉하지 않고서도 직접 육안 확인이 가능한 투명층 또는 투명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 신규 유용한 장치 발명이다.
다이헤드, 압출, 사출, 다색조(multi-tone), 용기, 연속, 색조 구배, 캐스케이드(cascade), 나선, 투명, 블로우, 성형

Description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DIE HEAD FOR MOLDING OF VESSEL HAVING MULTI-TONE AND MOLDING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색조(multi-tone)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를 이루는 메인 수지층과 좌우 색조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색조 구배(gradation) 착색층을 가지거나, 선택적으로는 이와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상기한 메인 수지층과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을 가지거나, 또는 이들과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종 방향 및/또는 나선방향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층 또는 상기한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구배의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로 된 다른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 착색층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색조 착색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색조 용기는 그 외표면에의 다색조 색상 표현을 위하여 수지제의 단색조 용기 제조 후 별도의 장치를 이용한 열전사나 인쇄 또는 코팅 작업과 같은 별도의 후가공 표면 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며, 이는 용기 제작에 있어 필수적인 것 으로 간주되어 왔다.
상기한 종래의 단색조 수지 용기가 갖는 단조로움을 개선할 목적으로 색조 구배를 갖는 그라데이션(gradation) 용기가 종래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은 오직 상하 종 방향으로만 색조 구배를 가지며, 횡 방향으로 색조 구배를 나타내거나 종 방향 혹은 나선상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부 및/또는 상기한 연속적 종 방향 구배의 색조와는 상이한 단색조로 된 적어도 하나의 착색층을 더욱 포함하는 다색조는 결코 표현할 수 없었으므로 용기 표면의 색상 디자인 자유도에 있어 여전히 상당한 제약이 있어 왔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서는 그라데이션 패턴을 갖는 병(bottol) 및 프리폼(preform)의 사출성형 방법에 관한 국제공개팜플렛 WO 2006/118067(2006.11.09.)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6-306470호(2006.11.09.)와,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한국특허등록 제588776호(2006.06.05.), 그리고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에 관한 한국특허등록 제552,097호(2006.02.07.)가 있다.
상기한 국제공개팜플렛 WO 2006/118067(2006.11.09.)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6-306470호(2006.11.09.)는 1차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프리폼을 형성한 후 이를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용기 및 그 프리폼에 관한 것으로서, 주재료 수지층 내에 이와는 색상이 다른 착색 수지 중간층을 서서히 그 두께를 감소시킨 상태로 침투시킴으로서 상하 종 방향으로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병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프리폼을 개시(開示)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 중 일부 출원인에 의한 한국특허등록 제588776호(2006.06.05.)는 하나의 메인 압출기와 그 좌우 양측의 보조 사출기를 구비한 성형 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며, 메인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는 주재료 수지의 외표면에 보조 사출기를 통하여 정밀하게 제어되어 점진적으로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는 양 및 속도로 사출되는 착색 수지층이 형성된 패리슨(parison)을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상하 종 방향으로의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용기를 개시(開示)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 제552,097호(2006.02.07.)는 3개의 압출기를 이용한 다층 중공 성형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며, 3층으로 형성되는 용기의 최외층 수지의 두께를 축방향(상하 종 방향)으로 점차 얇아지거나 또는 두꺼워지게 한 패리슨을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상하 종 방향으로의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용기를 개시(開示)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병 형태의 중공(中空) 용기는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일반적인 블로우 성형기는 유압 스크류식 압출 장치부, 몰드부, 다이헤드부 및, 취입부로 구성되며, 몰드부는 좌우 금형을 스트로크에 의해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블로우 공기압은 약 7㎏/㎠ 정도로서 사출 성형 시의 형압력에 비하여 약 1/50 정도에 불과하므로 경량형 몰드에 적합하며, 다이헤드부는 압출 장치부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류의 방향을 90° 변경하여 하방을 향해 중공상(中空狀)의 패리슨을 형성하며, 취입부는 패리슨 내로 공기를 불어 넣어 패리슨을 부풀려 몰드부 내면을 외표면 경계로 하는 용기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부분이며 취입 방식으로는 상취(上吹), 하취(下吹), 횡취(橫吹)로 대별되나 통상적으로는 상취 또는 하취가 주로 이용된다.
오늘날 상기한 블로우 성형법은 중공형 용기, 특히 액상 제품을 수납하는 중공형 병의 성형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종 방향으로의 색조 구배를 갖는 그라데이션 용기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종래기술로서 상기한 한국특허등록 제552,097호를 들어 그 제작에 이용되는 블로우 성형장치 및 블로우 성형방법과 함께 약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종래의 그라데이션 용기 성형용 블로우 성형장치는 3본의 압출기(12′) (13′)(14′)로 구성된 성형기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블로우 성형장치는 프레임(1′)의 상부에 3본의 압출기(12′)(13′)(14′)가 장착되고, 상기한 3본의 압출기(12′)(13′)(14′)의 선단부는 다이헤드(6′)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한 다이헤드(6′)의 하방에는 몰드(7′)가 위치한다.
3본의 압출기(12′)(13′)(14′)에 설치된 호퍼(3′)를 통하여 공급되는 수지 그레인(grain)은 실린더(5′) 외부의 히터(4′)에 의하여 가열 용융된 다음, 실린더(5′) 내부의 압출 스크루(19′)에 의하여 다이헤드(6′)로 압출되고, 다이헤드(6′)에 의해 각각의 압출기(12′)(13′)(14′)로부터 압출된 3겹의 합성수지층이 튜브형상으로 적층된 패리슨(parison)(29′)(도 3a 참조)이 압출되며, 다이헤 드(6′)로부터 압출된 패리슨(29′)은 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의 주입에 의해 체적 팽창될 때 몰드(7′)에 의해 일정한 용기 형태로 성형된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압출 스크루(19′) 구동용 모터이다.
도 1c는 상기한 도 1b의 A-A선 단면도로서, 종래의 블로우 성형장치에 있어서의 다이헤드(6′)의 단면도이다.
예시된 종래의 다이헤드(6′) 구조는 몸체(8′)의 내측에 제1, 제2, 제3 고정구(9′, 10′, 11′)가 맨드렐(18′)(mandrel)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제1 압출기(12′)는 제1 고정구(9′)와 제2 고정구(10′)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하여 용융된 제1 수지(22′)(도 2 참조)를 압출하고, 제2 압출기(13′)는 제2 고정구(10′)와 제3 고정구(11′)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하여 용융된 제2 수지(23′)(도 2 참조)를 압출하며, 제3 압출기(14′)는 몸체(8′)와 제3 고정구(11′)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하여 용융된 제3 수지(24′)(도 2 참조)를 압출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는 환형 유로를, 5′는 실린더를, 그리고 19′는 압출 스크루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6′)에서 압출된 합성수지층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제1 압출기(12′)로부터 압출된 제1 수지(22′)는 제1 고정구(9′)와 제2 고정구(10′)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해 최내층으로서의 하방류를 형성하고, 제2 압출기(13′)로부터 압출된 제2 수 지(23′)는 제2 고정구(10′)와 제3 고정구(11′)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해 중간층으로서의 하방류를 형성하며, 제3 압출기(14′)로부터 압출된 제3 수지(24′)는 몸체(8′)와 제3 고정구(11′)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16′)를 통해 최외층으로서의 하방류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수지(22′), 제2 수지(23′) 및, 제3 수지(24′)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튜브형태의 패리슨(29′)(도 2a 참조)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도 3a에 나타낸바와 같이, 패리슨(29′)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제3 수지(24′)는 제3 압출기(14′)에 의해 다이헤드(6′)로부터 압출될 때 컨트롤러(21′)에 의해 그 압출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제3 수지(24′)에 의해 형성되는 최외층(도면부호 미부여)의 두께(t)를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하거나 또는 점진적으로 두꺼워지게 형성하며, 이에 의해 용기의 색조가 종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짙어지거나 옅어지게 하고 있다.
상기한 컨트롤러(21′)에 의한 압출량의 제어는 통상적으로 압출 스크루(19′)의 회전수를 제어하거나, 또는 제3 압출기(14′)의 압출 개구 면적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하기는 하나, 통상적으로 압출기의 압출 압력은 사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압으로서 지속적인 일정한 압출 압력의 유지에 적합한 형태이므로 압출 압력의 정밀한 제어가 용이하지 않아서 종 방향 그라데이션 용기의 제조 시 균질성을 담보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의 다이헤드(6′)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 적층 구조의 패리슨(parison)(29′)을 블로우(blow) 성형에 의해 중공 용 기로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 설명도로서, 도 3a에서와 같이 다이헤드(6′)로부터 패리슨(29′)이 압출되면 커터(25′)가 패리슨(29′)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도 3b에서와 같이 절단된 패리슨(29′)을 몰드(7′)가 밀폐시키면서 취입부의 에어노즐(27′)이 패리슨(29′)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패리슨(29′)이 팽창되면서 몰드(7′)의 내면에 압착되어 중공 용기(28′)의 형상으로 성형 되며, 도 3c에서와 같이 몰드(7′)를 분리하고 중공 용기(28′)에 형성된 잉여 플래시(30′)를 제거하여 완전한 형태의 중공 용기(28′)가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커터(25′)에 의한 절단은 도 3b에 도시한 단계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도 4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종래의 종 방향 색조 구배를 갖는 중공 용기(28′)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그 몸체는 제1 수지(22′), 제2 수지(23′) 및 제3 수지(24′)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제3 수지(24′)로 된 층의 두께(t)는 중공 용기(28′)의 축 방향(종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두꺼워지거나 또는 점차적으로 얇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공 용기(28′)의 색상은 그 축 방향(종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옅어지거나 짙어지는 종 방향으로의 그라데이션 톤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을 포함한 언급된 모든 종래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것이나 모두 오직 상하 종 방향으로만 색조 구배를 갖는 그라데이션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 있을 뿐, 좌우 횡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는 암시되거나 시사되어 있는바 전혀 없으며, 더욱이 종 방향 혹은 나선방향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부 및/또는 상기한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구배의 색조와는 상이한 단색조로 된 적어도 하나의 착색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는 알려져 있는바 전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횡 방향(즉, 용기 좌우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다이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횡 방향(즉, 용기 좌우 방향)으로의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다이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좌우로 적어도 2가지의 색조를 가지며 상기한 적어도 2가지 색조의 적어도 일측이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다이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지면서도 적어도 일 개소에 내용물 확인 또는 사용 시의 소모량 확인을 위한 투명층(투명부)이 종방향으로 부여된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다이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짐과 아울러, 적어도 일 개소에 내용물 확인 또는 사용 시의 소모량 확인을 위한 투명층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한 연속적 구배를 갖는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착색 층(착색부)이 더욱 부여된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다이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한 연속적 구배를 갖는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를 갖는 복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이 종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더욱 부여된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다이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짐과 아울러, 종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줄무늬 형상의 투명층이 더욱 부여된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다이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목적은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횡 방향(즉, 용기 좌우 방향)으로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를 가짐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 종 방향(즉, 용기의 상하(길이) 방향)으로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지며, 적어도 일 개소에 내용물 확인 또는 사용 시의 소모량 확인을 위한 종 방향 투명층 및/또는 또한 상기한 횡 방향으로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구배를 갖는 색조 또는 상기한 종 방향으로의 연속적 구배를 갖는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단색조 착색층이 더욱 부여된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다이 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홉 번째 목적은 상기한 제반 목적에 수반하거나 또는 그와 독립 적으로 블로우 성형된 용기 자체가 나선방향으로 된 투명층 또는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질 수도 있는 착색층이 부여된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다이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 번째 목적은 상기한 제반 목적에 따른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다이헤드를 포함하는 효과적인 다색조 용기 성형용 성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와, 몸체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유로를 통과하는 단색조의 메인 수지 층의 외주연 상에, 상기한 제2 유로를 통과하고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색조와는 다른 색조를 가지며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증대된 두께로 적층되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구성된 패리슨을 압출함으로써 두께 차이로 인한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도록, 상기한 맨드렐이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 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와, 몸체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고정구의 내주면 일부 영역에는 박엽부(薄葉部)를 갖는 단색조의 메인 수지층을 형성하도록 환형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고정구의 상기한 환형 돌출부가 형성된 내주면의 외측 외주면 일부 영역에는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박엽부를 따라 이와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도록 상호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제2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바로 직전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환형 돌출부가 계단부에 의해 단계적으로 증대된 돌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한 제2 유로가 격벽 없이 계단부에 의해 단계적으로 증대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2 고정구,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와, 상기한 제2 고정구 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와, 상기한 몸체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단색조 메인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한 제1 유로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이와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유로가 제1 고정구의 환형 폐색부가 존재하지 않는 일부 외주면과 제2 고정구의 내주면 일부 영역에 의하여 한정되는 호형(弧形)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상기한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고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3 유로가 제2 고정구의 환형폐색부가 존재하지 않는 일부 외주면과 몸체의 내주면 일부 영역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한 제2 유로의 외측의 상호 엇갈린 교호적 위치에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1 유로는 메인 압출기와, 제2 유로는 보조 압출기와, 그리고 제3 유로는 제어변을 갖는 사출기와 각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바로 위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제2 유로 및 제3 유로가 반원형이고, 상기한 제3 유로가 제2 유로의 외측의 상호 엇갈린 교호적 위치에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2 및 제3 유로가 각각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도록 제어변을 갖는 보조 사출기에 의해 사출된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2 고정구,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와, 상기한 제2 고정구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와, 상기한 몸체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제1 유로가 중앙의 맨드렐과 제1 고정구의 내주면과, 제1 고정구의 적어도 두 개의 만입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확장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고, 상기한 제2 유로가 제1 고정구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환형 폐색부에 의해 제2 유로 및 제2 분기 유로로 나뉘어 지며, 상기한 제2 유로 및 제2 분기 유로는 제1 고정구의 상기한 환형 폐색부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제2 고정구의 내주면에 의해 각각 호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동일한 베이스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되 상기한 환형 폐색부는 상기한 확장부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帶:zone)의 형상으로 위치하고, 상기한 제3 유로가 제2 고정구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환형 폐색부에 의해 제3 유로 및 분기 제3 분기 유로로 나뉘어 지며, 상기한 제3 유로 및 분기 제3 분기 유로는 제2 고정구의 상기한 환형 폐색부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몸체에 의해 각각 호형으로 형성되어 한 대 또는 두 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한 동일 또는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두께 차이에 의해 부여하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 로로 사용되되 상기한 제3 유로 및 분기 제3 분기 유로는 각각 제2 유로 및 제2 분기 유로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의 형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바로 위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유로가 중앙의 맨드렐과 제1 고정구의 적어도 두 개의 만입부(302b)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확장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 상호 이격한 적어도 두 개의 호형으로 형성되고 한 대 또는 적어도 두 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첫 번째 양태에 있어서 제3 분기 유로가 환형 폐색부로 채워져 막혀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첫 번째 양태에 있어서 제3 유로가 환형 폐색부로 채워져 막혀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와, 몸체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중앙의 편심되지 않은 정중앙의 맨드렐과 제1 고정구의 내주면이 당접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1 유로가 제1 고정구의 외주면 및 제2 고정구의 내주면과, 제2 고정구의 내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와 환형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사상 확장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기본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제2 유로는 제2 고정구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로 형성되는 확장부 사이사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몸체의 내주연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영역에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줄무늬 형상의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며, 제1 유로를 통과하는 기본 착색 수지 상에 제2 유로를 통과한 착색 수지가 적층되지 않는 영역은 단색조 줄무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2 고정구,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와, 상기한 제2 고정구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와, 상기한 몸체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제1 유로가 제1 고정구의 외주면 및 제2 고정구의 내주면과, 제1 고정구의 내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사상 확장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제2 유로는 제1 고정구의 외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사상 확장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여기서 상기한 제2 유로는 제1 고정구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로 형성되는 확장부 사이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제2 고정구의 내주연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영역에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베이스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제3 유로는 제2 유로의 외측으로 제2 고정구의 외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몸체의 내주연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영역에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여기서 상기한 제2 유로를 통과한 베이스 착색 수지가 제1 유로의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확장부 사이사이의 투명 수지상에 적층되어 기본 착색 수지층을 형성한 다음, 제3 유로를 통과한 착색 수지가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 상에 다시 적층되어 상기한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는 한편, 착색 수지층이 적층되지 않는 상기한 제1 유로의 확장부로부터 유래하는 투명 수지는 투명층을 형성하게 되며, 다수의 투명층과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이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2 고정구,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와, 상기한 제2 고정구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와, 상기한 몸체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제1 유로가 제1 고정구의 내주면과 맨드렐의 외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환형 돌출부에 의해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1 유로는 메인 압출기에 의한 기본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제2 유로는 상기한 환형 돌출부 외측의 이에 대향하는 제1 고정구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단색조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는 한편, 제1 고정구의 상기한 제2 유로의 반대쪽에는 환형 폐색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격벽 가이드에 의해 상호 분리된 좌측 제2 유로, 중앙 제2 유로, 우측 제2 유로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나타낼 수 있도록 세 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해 각각 상이한 색조 구배를 갖는 단색조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며, 제3 유로는 제2 고정구와 몸체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한 제3 유로는 상기한 좌측 제2 유로, 중앙 제2 유로 및, 우측 제2 유로의 인접한 외측에 형성되는 환형 폐색부와 상기한 제2 유로의 인접한 외측에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대칭적으로 2개가 분리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여기서 상기한 제1 유로를 경유한 고리 형상의 기본 착색 수지상에, 좌측 제2 유로, 중앙 제2 유로 및, 우측 제2 유로를 통과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단색조 착색 수지가 상기한 고리 형상의 기본 착색 수지의 전방에 적층됨과 동시에, 상기한 고리 부분에는 제2 유로를 통과한 단색조 착색 수지 또는 투명 수지가 채워지며, 다시 보조 사출기에 의해 제3 유로를 통과한 착색 수지가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 상에 다시 적층되어 2개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아홉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와, 몸체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를 경유한 제1 유로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압출기에 의한 메인 수지가 압출되고, 몸체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된 제2 환형 유로를 경유한 제2 유로를 통하여 보조 사출기 또는 보조 압출기에 의한 제어된 가변 또는 불변 사출량, 또는 불변 압출량으로 압출되며, 상기한 다이헤드의 선단부에는 환형류 형성 팁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환형류 형성 팁의 노즐 단부에는 나선상 볼록부(361)와 나선상 오목부(3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열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양태에 따른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를 포함하는 성형 장치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는 용기 본체를 이루는 메인 수지층과 좌우 색조의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색조 구배(gradation) 착색층을 가지거나, 선택적으로는 이와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상기한 메인 수지층 과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을 가지거나, 또는 이들과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종 방향 및/또는 나선방향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층 또는 상기한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구배의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로 된 다른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색조 구배 착색층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색조 착색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의 효과적인 제조를 가능케 하므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용기 자체의 디자인 자유도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가 있으며, 이에 의해 용기의 외관을 이루는 수지 자체의 색조를 다색조로 함으로써 미려한 고품격미를 발현케 하여 수요 증대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 제작 후 별도의 장치를 이용한 열전사나 인쇄 또는 코팅 작업과 같은 별도의 후가공 표면 처리 공정을 최소화할 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제품 판매 단계에서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기 개봉 없이도 직접 육안 확인이 가능하고 구매하여 사용 시에도 내용물의 소모 정도를 간단히 육안 확인할 수가 있는 투명층 또는 투명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 신규 유용한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다이헤드와 이를 포함하는 성형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다색조 용기는 블로우 성형(blow molding)(또는 취입성형(吹入成型))에 의하여 제조되며, 메인 수지층,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 또는 투명층의 형성은 균일하고 충분한 가소화를 위하여 L/D 20 이상의 스크루 압출기를 이용함과 아울러,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형성은 정밀한 압력 제어가 용이한 사출기를 이용함으로써 수지 사출량의 정밀 제어에 의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균질한 색조 구배발현을 도모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독특한 구조의 다이헤드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다이헤드와 이를 포함하는 성형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다색조 용기의 제조에 적용 가능한 전형적인 수지의 종류로서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폴리아세탈수지(압축비: 3.1-3.5), 아이오노머(압축비: 3.4-4.0), 폴리카보네이트(압축비: 2.0-3.0), 고밀도 폴리에틸렌(압축비: 3.2-3.6), 저밀도 폴리에틸렌(압축비: 3.2-3.8), 폴리비닐클로라이드(압축비: 2.0-3.0), 폴리프로필렌(압축비: 3.5-4.0)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투명성, 내구성, 내열성, 재생성, 무독위생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식품 포장용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에는 미리 병목 부분이 형성된 시험관 형태의 프리폼으로 사출성형된 다음, 병목 아래 부분을 2축 연신하여 최종적인 용기 형태로 성형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다이헤드와 이를 포함하는 성형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용기의 제조에 적합하지 않지만, PET-G(글리콜 개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연화점 약 83℃, 열변형 온도 약 70~74℃, 로크웰 경도 약 115, 비중 약 1.27, 광투과율 약 90%)의 경우에는 프리폼을 성형할 필요 없이 직접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중공형 용기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기(vessel or container)'라는 용어는 통상적으로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중공형(中空形) 병(bottle)을 지칭하는 의미이지만, 반드시 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로우 성형에 의해 중공형으로 제조되는 임의의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한편 '색조(tone)'라는 용어는 색이 짙거나 옅은 정도를 이르며, 색상, 명도 및, 채도의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하여 색조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는 색상(hue), 색조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명도(brightness), 색조의 순수한 정도를 나타내는 채도(saturation)와 관련되는 의미로 정의된다.
따라서 '다색조 용기'라는 용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된 용기 자체가 다색상이거나, 또는 명도만 다양하게 상이한 동일 색상이거나, 또는 채도만 다양하게 상이한 동일 색상이거나,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표면을 가지는 용기로 정의된다.
또한 '색조 구배(gradation of tone)'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용기 외표면의 색조가 상하 또는 좌우로 연속적으로 자연스럽게 변화하거나 또는 좌우로 단속적인 캐스캐이드(cascade) 형태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라는 용어는 용기의 직립 상태에서 그 외주면의 임의의 한 지점에서 그 지점을 통과하는 용기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임의의 수직선으로부터 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임의의 거리만큼 이동한 외주면 상의 다른 임의의 한 지점에서 그 지점을 통과하는 용기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임의의 수직선 사이의 영역에서 외주면을 따라 좌우로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의 색조 구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임의의 동일 수직선상의 모든 지점에서의 색조는 동일한 착색층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라는 용어는 용기의 직립 상태에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 바람직하게는 유사 계열의 색상이거나, 또는 동일 색상으로서 명도 차이를 갖거나, 또는 동일 색상으로서 채도 차이를 갖거나, 또는 이들이 임의로 조합되어 있는 적어도 2가지, 바람직하게는 3가지 이상의 단계적인 단색조 착색층이 상호 평행한 줄무늬 형태로 종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는 좌우로 단계적인 색조 구배 차이를 나타내는 착색층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이라는 용어는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라는 용어의 정의에서 용기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임의의 동일 수직선상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에 이르기까지 상하로 연속적 색조 구배가 형성되는 반면, 상기한 임의의 한 수직선과 임의의 다른 수직선 사이의 영역 내에서는 동일 높이에서의 색조는 동일한 착색층으로 정의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100)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한 대의 메인 압출기(110)와 두 대의 보조 사출기(200)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대의 메인 압출기(110)와 1 내지 4대의 보조 압출기(110a), 그리고 한 대의 보조 사출기(200)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는 제작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의 색조 발현 양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다이헤드(300)를 선택하여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100)는 용기의 내측을 이루는 메인 수지층 형성용 수지를 메인 호퍼(111)를 통하여 공급받아 용융 압출하는 메인 압출기(110)와, 용기의 외측을 이루는 색조 구배 착색층 형성용 수지를 사출 속도 제어변(220)을 통하여 정밀 제어된 가변 사출량으로 사출하는 보조 사출기(200)와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구성의 다이헤드(300)와 블로우 몰드(130)로 구성되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0은 블로우 실린더이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100)의 다른 예에 대한 요부 개략 평면도로서, 메인 압출기(110)와 4대의 보조 압출기(110a)와, 한 대의 보조 사출기(200)가 다이헤드(300)에 연결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1은 메인 압출기 호퍼를, 111a는 보조 압출기 호퍼를, 112a는 압출 속도 제어변을, 210은 보조 사출기 호퍼를, 그리고 220은 사출 속도 제어변을 나타낸다.
도 7은 후술하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a,1b,1c,1d)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출다이헤드(300)의 단면도로서, 다이헤드(300)의 구조는 몸체(301)의 내측에 제1 및 제2 고정구(302,303)가 맨드렐(350)(mandrel)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메인 압출기(110)는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수지를 압출하고, 보조 압출기(110a)는 몸체(301)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된 제2 환형 유로(320)를 경유한 제2 유로(32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압출한다.
상기한 맨드렐(350)의 하단부는 편심 헤드(352)로 형성되어 제2 유로(321)를 통과하는 용융된 착색 수지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차이를 갖도록 유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압출기(110)로부터 압출된 메인 수지는 용기 본체를 이루는 메인 수지층(내층)으로 유도되며, 보조 압출기(110a)로부터 압출된 착색 수지는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면 상에 적층되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도 9a 내지 도 9d의 도면부호 7 참조)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한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은 맨드렐(350)의 편심 헤드(352)에 의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의 두께가 t1〉t2〉t3의 순서를 갖는 패리슨의 형태로 압출된다.
도 9a 내지 도 9d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a,1b,1c,1d)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a,1b,1c,1d)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이루어지며, 본체(2)와 네크부(3)의 표면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 색조 착색층(5) 및,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후술하는 도 9a 내지 도 9d의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a,1b,1c,1d)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parison)(10)의 횡단면도로서,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동일 두께의 메인 수지부(11)와 보조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면 상에 적층되며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로 구성된다.
상기한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의 두께는 t1〉t2〉t3의 순서이며, 가장 두꺼운 두께 t1에 인접한 부분은 진한 색조 착색부(12)를, 중간 두께 t2에 인접한 부분은 중간 색조 착색부(13)를, 가장 얇은 두께 t3에 인접한 부분은 옅은 색조 착색부(14)를 이룬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I 및 IV 사분면이 만나는 최고점 부분은 진한 색조 착색부(12)를, I 및 II 사분면과 III 및 IV 사분면이 만나는 수평 부분은 중간 색조 착색부(13)를, 그리고 II 및 III 사분면이 만나는 최저점 부근은 옅은 색조 착색부(14)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면 일부에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가 적층되지 않은 상태로 압출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가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메인 수지부(11)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 노출된 부분은 메인 수지부(11) 자체의 단색조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8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9a 내지 9d에 도시한 다색조 용기(1a,1b,1c,1d)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단색조의 메인 수지층(도 9a 내지 9d 상에는 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색조와는 다른 색조를 가지며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증대된 두께로 적층되어 두께 차이로 인한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단색조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이 적층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 경우에는 단색조 메인 수지층의 색조가 상하 줄무늬 형태로 외부에 표현되게 된다.
상기한 다색조 용기(1a,1b,1c,1d) 및 후술하는 다른 다색조 용기에 있어서의 메인 수지층의 두께는 약 500~2000㎛, 바람직하게는 800~1200㎛이고, 연속적 또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이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의 두께는 0~1000㎛, 바람직하게는 0.1~1000㎛, 특정하게는 200~600㎛의 범위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한 메인 수지층에는 연한 색조가 사용되며 색조 구배 착색 수지층에는 이 보다 짙은 색조가 사용되며, 예를 들면 메인 수지층에는 유백색 계열이 일반적일 수 있다.
도 10a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e)를 제조하기 위한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리슨(10)을 압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로서, 다이헤드(300)의 구조는 몸체(301)의 내측에 제1 및 제2 고정구(302,303)가 맨드렐(350)(mandrel)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메인 압출기(110)는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수지를 압출하고, 3대의 보조 압출기(110a)는 각각 몸체(301)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고 격벽(도면부호 미부여)으로 분리되어 있는 제2 좌측 환형 유로(320a), 제2 중앙 환형 유로(320b), 제2 우측 환형 유로(320c)를 경유한 제2 좌측 유로(321a), 제2 중앙 유로(321b), 제2 우측 유로(321c)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압출한다.
여기서, 제2 좌측 환형 유로(320a)와 제2 좌측 유로(321a)는 상호 연통되어 있으며, 이와는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2 중앙 환형 유로(320b)와 제2 중앙 유 로(321b)도 상호 연통되어 있고, 이들과 격벽으로 분리된 제2 우측 환형 유로(320c)와 제2 우측 유로(321c)도 상호 연통되어 있다.
한편 맨드렐(350)의 하단부는 편심되지 않은 원형 헤드(351)로 형성된다.
도 10b는 도 10a의 B-B선 단면도로서, 중앙의 맨드렐(350) 외주연에 제1 고정구(302)가 위치하고 상기한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311)는 제2 고정구 내면의 동일 높이를 갖는 환형 돌출부(303a)에 의해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리슨(10)의 메인 수지부(11)의 박엽부(11b)가 도 10a에서의 메인 압출기(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제2 고정구(303)의 환형 돌출부(303a)가 형성된 내주면 부분에 대응하는 외주면에는 격벽 가이드(322)로 구획된 제2 좌측 유로(321a), 제2 중앙 유로(321b), 제2 우측 유로(321c)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리슨(10)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가 도 10a에서의 3대의 보조 압출기(110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0c는 도 11b에 도시한 패리슨(10)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헤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 10a의 B-B선 단면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중앙의 맨드렐(350) 외주연에 제1 고정구(302)가 위치하고 상기한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311)는 제2 고정구 내면의 돌출 높이가 단계적으로 증대된 제1 계단부(303b), 제2 계단부(303c), 제3 계단부(303c)(즉, 도 10b에서의 환형 돌출부를 구성하나 그 돌출 높이가 계단식으로 증대되게 형성)에 의해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리슨(10)의 메인 수지부(11)가 도 10a에서와 같은 메인 압출기(110)에 의해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제2 고정구(303)의 제1 계단부(303b), 제2 계단부(303c), 제3 계단부(303c)가 형성된 내주면 부분에 대응하는 외주면에는 상호 연통된 제2 좌측 유로(321a), 제2 중앙 유로(321b), 제2 우측 유로(321c)가 형성(즉, 도 10b에서의 제2 유로가 격벽 없이 계단부에 의해 단계적으로 증대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의해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리슨(10)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가 단 1대의 보조 압출기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이는 도 10a에서 3대의 보조 압출기(110a)를 사용하는 것과 대비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후술하는 도 12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e)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10)의 횡단면도이다.
도 11a에 도시된 패리슨(10)은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후엽부(厚葉部)(11a)와 박엽부(薄葉部)(11b)를 갖는 메인 수지부(11)와 각각 색조가 상이한 착색 수지를 압출하는 3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박엽부(11b)의 외주면 상에 적층되어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의 두께는 동일하며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로 이루어져 있으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를 이루는 보조 압출기의 수효는 적어도 2대 이상이면 충분하며 바람직하게는 3대, 또는 그 이상 일수 있으며, 보조 압출기의 대수가 많아질수록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를 이루는 색조수도 그 만큼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상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은 메인 수지부(10) 자체의 색조를 나타내며,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은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1a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후술하는 도 12에 도시한 다색조 용기(1e)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며 후엽부(厚葉部)(11a)와 박엽부(薄葉部)(11b)를 갖는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박엽부(11b)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단색조 착색층로서의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가 종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11b에 도시된 패리슨(10)은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후엽부(11a)와 단계적인 두께 차이를 갖는 박엽부(11b)를 갖는 메인 수지부(11)와, 한 가지 색조의 착색 수지를 압출하는 단 1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되어 상기한 박엽부(11b)의 외주면 상에 단계적인 두께 차이를 갖도록 적층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의 두께는 캐스캐이드식으로 단계적으로 변화되며, 두께가 큰 부분은 진한 색조 착색부(12)를 이루고 두께가 중간인 부분은 중간 색조 착색부(13)를 이루며 두께가 작은 부분은 옅은 색조 착색부(14)를 이룬다.
결과적으로 도 11b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후 술하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1e)의 다른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며 후엽부와 단계적인 두께 차이를 갖는 박엽부를 갖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단계적인 두께 차이를 갖는 박엽부 외주연을 따라 상기한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의 단색조 착색층이 단계적인 두께 차이로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를 이루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으로 형성되며,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 사이의 경계는 선명하게 구분되지 않고 다소 모호한 패턴으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도 12는 도 10a 내지 도 10c의 본 발명에 따른 다이헤드(300)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1e)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다색조 용기(1e)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이루어지며, 본체(2)와 네크부(3)의 표면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 색조 착색층(5) 및,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으로 이루어진다.
도 13a는 후술하는 도 15a 내지 도 15c의 일측 만이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이고, 도 13c는 도 13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3b는 후술하는 도 15d 및 도 15e의 좌우 양측이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이고 도 13d는 도 13b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3a는 후술하는 도 15a, 도 15b 및,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1f,1g,1h)를 제조하기 위한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리슨(10)을 압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로서, 다이헤드(300)의 구조는 몸체(301)의 내측에 제3, 제1, 제2 고정구(304,302,303)가 맨드렐(350)(mandrel)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메인 압출기(110)는 제3 고정구(304) 또는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수지를 압출하여 도 14a에서의 메인 수지부(11)를 형성하고, 1대의 보조 압출기(110a)는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고 환형 폐색부(도 13c에서의 도면부호 302a 참조)가 존재하지 않는 제한된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2 환형 유로(320)를 경유한 제2 유로(32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압출하여 도 14a에서의 단색조 착색부(17)를 형성하며, 1대의 보조 사출기(200)는 몸체(301)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한 제2 유로(321)에 대향하는 쪽의 환형 폐색부(도 13c에서의 도면부호 303e 참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3 환형 유로(330)를 경유한 제3 유로(33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제어된 양으로 사출하여 도 14a에서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를 형성한다.
도 13c는 도 13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유로(311)가 중앙의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의 내주면에 의해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2 유로(321)는 제1 고정구(302)의 환형 폐색부(302a)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에 의해 짧은 호형으로 형성되며, 제3 유로(331) 는 제2 고정구(303)의 환형 폐색부(303e)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몸체(301)에 의해 긴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2 유로(321)와는 상호 엇갈린 상태로 교호적(交互的)으로 위치한다.
이어서 도 13b는 후술하는 도 15d 및 도 15e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1i,1j)를 제조하기 위한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리슨(10)을 압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로서, 다이헤드(300)의 구조는 몸체(301)의 내측에 제3, 제1, 제2 고정구(304,302,303)가 맨드렐(350)(mandrel)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메인 압출기(110)는 제3 고정구(304) 또는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수지를 압출하여 도 14b에서의 메인 수지부(11)를 형성하고, 2대의 보조 사출기(200)중 상방의 하나는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고 반원형의 환형 폐색부(도 13d에서의 도면부호 302a 참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2 환형 유로(320)를 경유한 반원형의 제2 유로(32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제어된 양으로 사출하여 도 14b에서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를 형성하며, 2대의 보조 사출기(200)중 하방의 다른 하나는 몸체(301)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한 제2 유로(321)에 대향하는 쪽의 반원형의 환형 폐색부(도 13d에서의 도면부호 303e 참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3 환형 유로(330)를 경유한 제3 유로(33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제어된 양으로 사출하여 도 14b에서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b)를 형성한다.
도 13d는 도 13b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유로(311)가 중앙의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의 내주면에 의해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2 유로(321)는 제1 고정구(302)의 반원형 환형 폐색부(302a)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에 의해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제3 유로(331)는 제2 고정구(303)의 반원형의 환형 폐색부(303e)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몸체(301)에 의해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2 유로(321)와는 상호 엇갈린 상태로 교호적(交互的)으로 위치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후술하는 도 15a 내지 도 15c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1f,1g,1h)와, 도 15d 및 도 15e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1i,1j)로 블루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10)의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14a는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동일 두께의 메인 수지부(11)와, 보조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 적층된 단색조 착색부(17)와, 보조 사출기에 의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면의 단색조 착색부(17)를 제외한 영역 상에 제어된 가변량으로 사출되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로 구성된다.
보조 사출기에 의해 초기에서 종기에 이르는 사출 속도 범위는 10m/min로부터 1mm/min에 이르는 범위이거나 또는 역으로 1mm/min로부터 10m/min에 이르는 범위이다. 초기 사출량이 많고 종기 사출량이 적은 경우 상기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는 하방이 짙고 상방으로 갈수록 옅어지는 연속적 색조 구배를 나타 내며, 초기 사출량이 적고 종기 사출량이 많은 경우 상기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는 하방이 옅고 상방으로 갈수록 짙어지는 연속적 색조 구배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반면,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은 단색조의 줄무늬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4a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후술하는 도 15a, 도 15b,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1f,1g,1h)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되며 용기 본체(2)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나머지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도 14b는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동일 두께의 메인 수지부(11)와, 두 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면의 좌측과 우측의 반원상 영역에 제어된 양으로 사출되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된 두께를 갖도록 사출된 2개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16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방 및 하방의 반원상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 각각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4b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후술하는 도 15d 및 도 15e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1i,1j)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절반을 이루는 좌우측의 반원상 영역에 각각 형성되며 용기 본체(2)의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호 다른 색조의 2개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으로 형성되며, 용기의 좌측 절반의 색조와 우측 절반의 색조가 상이한 상태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각각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가지며 좌우 이색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1f,1g,1h,1i,1j)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다색조 용기(1f,1g,1h,1i,1j) 중 다색조 용기(1f,1g,1h)는 용기 본체(2)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으로 형성되며, 다색조 용기(1i,1j)는 용기 본체(2)의 반원형 절반으로 분리된 상호 상이한 색조를 갖는 2개의 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은 용기 본체(2)의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진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3a의 C-C선 횡단면도와 유사한 다른 변형된 형태의 다이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16a로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유로(311)가 중앙의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의 내주면과, 제1 고정구(302)의 2개의 만입부(302b)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확장부(311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고, 제2 유로(321) 및 제2 분기 유로(321a′)는 제1 고정구(302)의 환형 폐색부(302a)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에 의해 각각 긴 호형과 짧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동일한 베이스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며 상기한 환형 폐색부는 상기한 확장부(311a)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帶:zone)의 형상으로 위치하고, 제3 유로(331) 및 분기 제3 분기 유로(331a)는 각각 제2 고정구(303)의 환형 폐색부(303e)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몸체(301)에 의해 긴 호형과 짧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한 대 또는 두 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한 동일 또는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며 이들은 각각 제2 유로(321) 및 제2 분기 유로(321a′)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帶:zone)의 형상으로 위치한다.
상기한 만입부(302b)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부(311a)의 개수는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연통되는 보조 사출기의 대수 역시 1대 또는 적어도 2대 이상일 수 있고, 그 개수나 대수는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않으며 임의 선택적이며, 이하의 유사 설명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도 16b로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유로(311)가 중앙의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의 2개의 만입부(302b)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확장부(도 16a에서의 도면부호 311a 참조)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 상호 이격한 2개의 짧은 호형으로 한 대 또는 두 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고, 제2 유로(321) 및 제2 분기 유로(321a′)는 제1 고정구(302)의 환형 폐색부(302a)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에 의해 각각 긴 호형과 짧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동일한 베이스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며 상기한 환형 폐색부는 상기한 제1 유로(311)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帶:zone)의 형상으로 위치하고, 제3 유로(331) 및 분기 제3 유로(331a)는 각각 제2 고정구(303)의 환형 폐색부(303e)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몸체(301)에 의해 긴 호형과 짧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한 대 또는 두 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한 동일 또는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며 이들은 각각 제2 유로(321) 및 제2 분기 유로(321a′)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帶:zone)의 형상으로 위치한다.
즉, 도 16b에서는 제1 유로(311)가 도 16a에서의 제1 유로(311)는 존재하지 않고 오로지 확장부(311a)만 제1 유로로 사용되며, 나머지 구성은 완전히 동일하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도 16a 및 도 16b의 압출 다이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후술하는 도 18a 및 도 18b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1k,1ℓ)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압출 다이헤드를 통과한 패리슨(10)의 횡 단면도로서, 도 17a는 메인 수지부(11)로서 투명 수지를 사용한 경우의 일례이고 도 17b는 메인 수지부(11)로서 불투명 수지를 사용한 경우의 일례이다.
도 17a에 도시된 패리슨(10)은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투명한 메인 수지부(11) 및 이에 연결되는 2개소의 투명부(17a)와, 상기한 투명부(17a)를 제외한 영역 상에 보조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된 불투명한 단색조의 기본 착색 수지부(18)와, 1대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하여 동일 색조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조를 갖는 착색 수지가 정밀 제어 가변 사출량으로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부(18) 상에 사출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16b)로 형성된다.
상기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과 (16b)는 1대의 보조 사출기로 사출하거나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로 동일 색조의 착색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동일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를 갖게 하거나,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로 상호 상이한 색조의 착색 수지를 독립적으로 사출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를 갖게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방 및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 각각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7a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k,1ℓ)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투명한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에 적층되는 기본 착색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과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을 관통하여 상기한 투명 메인 수지층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9a)을 갖는다.
한편, 도 17b에 도시된 패리슨(10)은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메인 수지부(11)와, 한 대 또는 두 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되며 상기한 메인 수지부(11)를 관통하는 2개소의 투명부(17a)와, 상기한 투명부(17a)를 제외한 영역 상에 1대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하여 동일 색조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조를 갖는 착색 수지가 정밀 제어 가변 사출량으로 사출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16b)로 형성된다.
상기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a)와 (16b)는 1대의 보조 사출기로 사출하거나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로 동일 색조의 착색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동일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를 갖게 하거나,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로 상호 상이한 색조의 착색 수지를 독립적으로 사출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를 갖게 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도시된 예에서 상방 및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 각각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7b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k,1ℓ)의 다른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메인 수지층을 모두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 방향 투명층(9a)을 갖는다.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8)와 투명층(9a)을 갖는 다색조 용기(1k,1ℓ)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k,1ℓ)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적어도 하나의 투명층(9a)(도시된 예에서는 각각 2개의 투명층을 가짐)으로 형성된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3a의 C-C선 횡단면도와 유사한 또 다른 변형된 형태의 다이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19a로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유로(311)가 중앙의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의 내주면과, 제1 고정구(302)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302b)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확장부(311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고, 제2 유로(321) 및 제2 분기 유로(321a′)는 제1 고정구(302)의 환형 폐색부(302a)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에 의해 각각 긴 호형과 짧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동일한 베이스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며 상기한 환형 폐색 부는 상기한 확장부(311a)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帶:zone)의 형상으로 위치하고, 제3 유로(331)는 각각 제2 고정구(303)의 환형 폐색부(303e)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몸체(301)에 의해 단 하나의 긴 호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며 제2 유로(321)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帶:zone)의 형상으로 위치한다.
부연하면, 도 19a에 도시된 다이헤드 구조는 도 16a에 도시된 다이헤드 구조에서 제3 분기 유로(331a)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서, 제3 유로(331)를 통과한 착색 수지는 제2 유로(321)를 통과하는 베이스 착색 수지상에 적층되어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도 21a에서의 도면부호 8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 참조)를 나타내게 되는 반면, 제3 분기 유로(331a)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2 분기 유로(321a′)를 통과한 베이스 착색 수지 는 그 자체로서 단색조 착색층(도 21a에서의 도면부호 9 참조)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도 19b로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유로(311)가 중앙의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의 내주면과, 제1 고정구(302)의 2개의 만입부(302b)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확장부(311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고, 제2 유로(321) 및 제2 분기 유로(321a′)는 제1 고정구(302)의 환형 폐색부(302a)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에 의해 각각 긴 호형과 짧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동일한 베이스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며 상기한 환형 폐색부는 상기한 확장 부(311a)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帶:zone)의 형상으로 위치하고, 제3 유로(331)는 제2 고정구(303)의 환형 폐색부(303e)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몸체(301)에 의해 단 하나의 짧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며 제2 분기 유로(321a′)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帶:zone)의 형상으로 위치한다.
부연하면, 도 19b에 도시된 다이헤드 구조는 도 16a에 도시된 다이헤드 구조에서 제3 분기 유로(331a)만 존재할 뿐 제3 유로(331)는 존재하지 않는 형태인 것을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서, 제3 유로(331: 도 16a에서는 도면부호 331a)를 통과한 착색 수지는 제2 분기 유로(321a′)를 통과하는 베이스 착색 수지상에 적층되어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도 21b에서의 도면부호 8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 참조)를 나타내게 되는 반면, 도 16a에서의 제3 유로(도 16a에서의 도면부호 331a)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2 유로(321)를 통과한 베이스 착색 수지는 그 자체로서 단색조 착색층(도 21b에서의 도면부호 9 참조)을 형성하게 된다.
도 20a 및 도 20b는 각각 도 21a 및 도 21b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층(8)과 투명층(9a)과 단색조 착색층(9)을 갖는 다색조 용기(1m,1n)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압출 다이헤드를 통과한 패리슨(10)의 횡단면도로서, 도 17a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단면도와 비교하여 2개소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부(16a,16b) 중 어느 한 개소만을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부(16)로 하고 다른 한 개소는 단색조 착색부(17)만으로 형성(즉, 기본 착색 수지부 상에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부의 적층을 하지 않음)한 예로써, 도 20a의 경우는 상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영역을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부(16)로 형성하고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영역만을 단색조 착색부(17)로 형성한 예이고, 도 20b의 경우는 상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영역을 단색조 착색부(17)로 형성하고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영역만을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부(16)로 형성한 예이며, 그 기본 구성은 상기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18a의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m,1n)의 구조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단색조 착색층(9), 그리고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단색조 착색층(9) 사이에서 이들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층(9a)(도시된 예에서는 각각 2개의 투명층을 가짐)으로 형성된다.
도 22는 도 7의 A-A선 횡단면도와 유사한 다른 변형된 형태의 다이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22로 도시된 예에서는 중앙의 편심되지 않은 정중앙의 맨드렐(350)과 제1 고정구(302)의 내주면이 당접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1 유로(311)가 제1 고정구(302)의 외주면 및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과,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303f)와 환형 돌출 부(303a)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사상 확장부(311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기본 착색 수지(즉,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베이스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고, 제2 유로(321)는 제2 고정구(303)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303f)로 형성되는 확장부(311a) 사이사이의 외측에 형성되며, 즉 환형 폐색부(303e) 사시사이의 외측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몸체(301)의 내주연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영역에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된다.
부연하면, 도 22에 도시된 다이헤드 구조는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제2 유로(321)를 통과한 착색 수지가 제1 유로(311)의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확장부(311a) 사이사이의 베이스 착색 수지상에 적층되어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도 24에서의 도면부호 8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 참조)를 나타내며, 제2 유로(321)를 통과한 착색 수지가 적층되지 않는 제1 유로(311)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확장부(311a)는 그 자체로서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도 24에서의 도면부호 9b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 참조)를 형성하며, 상기한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과,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은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도 23은 도 24의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층(8)과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이 교호적으로 배열된 다색조 용기(1o)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도 22의 압출 다이헤드에 의해 제조되는 패리슨(10)의 횡단면도로서, 메인 압출기로부 터 압출되고 그 외주연에 일정한 등 간격을 두고 이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후엽부(11a)를 갖는 착색 수지로 된 메인 수지부(11)와, 1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하여 착색 수지가 정밀 제어된 가변 사출량으로 사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다수의 후엽부(11a) 사이사이에 적층되어 일정한 등 간격을 두고 이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종 방향 줄무늬 형상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로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연에 일정한 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후엽부(11a)의 외표면은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다색조 용기(1o)의 외표면의 종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을 형성하게 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한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의 사이사이에는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이 위치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 다수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 각각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이다.
결과적으로 도 22의 압출 다이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는 도 23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1o)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부연하면, 착색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을 따라 종 방향으로 상호 등 간격의 다수의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 본체(2)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다수의 줄무늬 형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의 사이사이에 노출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이 상호 등간격의 다수의 종 방향으로 된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4에 도시한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가 교호적으로 배열된 다색조 용기(1o)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9b)이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도 25는 도 13a의 C-C선 횡단면도의 다른 변형된 형태의 다이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25로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유로(311)가 제1 고정구(302)의 외주면 및 제2 고정구(303)의 내주면과, 제1 고정구(302)의 내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302b)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사상 확장부(311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고, 제2 유로(321)는 제1 고정구(302)의 외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302b)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사상 확장부(311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고, 제2 유로(321)는 제1 고정구(302)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302b)로 형성되는 확장부(311a)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즉 환형 폐색부(302a) 사시사이의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제2 고정구(303)의 내주연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영역에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베이 스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며, 제3 유로(331)는 제2 고정구(303)의 외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즉 다수개의 만입부(302b)로 형성되는 확장부(311a)의 사이사이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유로(321)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몸체(301)의 내주연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영역에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된다.
부연하면, 도 25로 도시된 다이헤드 구조는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제2 유로(321)를 통과한 베이스 착색 수지가 제1 유로(311)의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확장부(311a) 사이사이의 투명 수지상에 적층되어 기본 착색 수지층을 형성한 다음, 제3 유로(331)를 통과한 착색 수지가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 상에 다시 적층되어 상기한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도 27에서의 도면부호 8 참조)을 형성하는 한편, 착색 수지층이 적층되지 않는 상기한 제1 유로(311)의 확장부(311a)로부터 유래하는 투명 수지는 투명층(도 27에서의 도면부호 9a 참조)을 형성하게 되며, 다수의 투명층과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은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도 26은 도 27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교호적 종 방향 투명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1p)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10)의 횡단면도로서,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되고 그 외주연에 일정한 등 간격을 두고 이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후엽부(11a)를 갖는 투명한 메인 수지부(11)와, 1대의 보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며 상기한 다수의 후엽부(11a) 사이사이에 적층되는 다수의 기본 착색 수지부(18)와, 1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하여 착색 수지가 정밀 제어된 가변 사출량으로 사출되어 상기한 다수의 기본 착색 수지부(18) 상에 적층되어 일정한 등 간격을 두고 이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종 방향 줄무늬 형상의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로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 수지부(11)의 외주연에 일정한 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후엽부(11a)의 외표면은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다색조 용기(1p)의 외표면의 종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투명층(9a)을 형성하게 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한 다수의 투명층(9a)의 사이사이에는 상기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후엽부(11a)는 투명부(17a)로 된다.
도시된 예에서 다수의 양방향 화살표로 경계 지워진 영역 각각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으로 유도된다.
결과적으로 도 26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교호적 (交互的) 종 방향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1p)의 구조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5),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다수의 종 방향 투명층(9a)이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도 28은 도 13a의 C-C선 횡단면도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의 다이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유로(311)가 제1 고정구(302)의 내주면과 맨드렐(350)의 외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형성되며 상기한 맨드렐(350)의 외주연 일부에는 환형 돌출부(35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제1 유로(311)를 원형이 아닌 환형으로 한정하고 있으며 상기한 제1 유로(311)는 메인 압출기에 의한 기본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고, 제2 유로(321)는 맨드렐(350)의 상기한 환형 돌출부(353) 외측의 대향하는 제1 고정구(302)에 짧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단색조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는 한편, 제1 고정구(302)의 상기한 제2 유로(321)의 반대쪽에는 환형 폐색부(302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격벽 가이드(322)에 의해 상호 분리된 유로를 형성하는 좌측 제2 유로(321a), 중앙 제2 유로(321b), 우측 제2 유로(321c)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나타낼 수 있도록 세 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해 각각 상이한 색조 구배를 갖는 단색조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되고, 제2 고정구(303)와 몸체(301)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는 제3 유로(331)가 형성되며 상기한 제3 유로(331)는 상기한 좌측 제2 유로(321a), 중앙 제2 유로(321b) 및, 우측 제2 유로(321c)의 인접한 외측에 형성되는 환형 폐색부(303e)와 상기한 제2 유로(321)의 인접한 외측에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303g)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대칭적으로 2개가 분리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로 사용된다.
부연하면, 도 28에 도시된 다이헤드 구조는 제1 유로(311)를 경유한 고리 형상의 기본 착색 수지와, 좌측 제2 유로(321a), 중앙 제2 유로(321b) 및, 우측 제2 유로(321c)를 통과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3가지 단색조 착색 수지가 상기한 고리 형상의 기본 착색 수지의 전방에 적층(도 29의 도면부호 15a 및 도 30에서의 도면부호 7a 참조)됨과 동시에, 상기한 고리 부분에는 제2 유로(321)를 통과한 단색조 착색 수지 또는 투명 수지가 채워지며(도 29의 도면부호 17a 및 도 30에서의 도면부호 9a 참조), 다시 보조 사출기에 의해 제3 유로(331)를 통과한 착색 수지가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 상에 다시 적층되어 2개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도 29의 도면부호 16 및 도 30에서의 도면부호 8 참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맨드렐(350)에 환형 돌출부(353)를 형성하는 대신에 원형 맨드렐로 형성하고 제1 고정구(302)에 환형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29는 도 30의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와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그리고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1q)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10)의 횡단면도로서, 메인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메인 수지부(11)와, 3대의 보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며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일부 외주면 상에 각각 적층되어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로 이루어지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와, 1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하여 착색 수지가 정밀 제어된 가변 사출량으로 사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의 다른 일부 외 주면 상에 적층되어 진한 색조 착색부(12)와 중간 색조 착색부(13) 그리고 옅은 색조 착색부(14)로 이루어지는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와, 다른 별도의 1대의 보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어 상기한 메인 수지부(11)와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를 관통하는 투명부(17a)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투명부(17a)는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예에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의 두께는 동일하며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를 이루는 보조 압출기의 수효는 적어도 2대 이상이면 충분하며 바람직하게는 3대, 또는 그 이상 일수 있고, 보조 압출기의 대수가 많아질수록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를 이루는 색조수도 그 만큼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는 3대의 보조 압출기를 사용하는 일 없이 도 11b에 나타낸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단 1대의 압출기만을 사용하여 그 두께를 계단식으로 제어하여 메인 수지부(11) 상에 적층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시된 예에서 정상부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은 투명부(17a)를 나타내며, 그 좌우 양측에 인접한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은 블로우 성형 시 용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적층 두께가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착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16)를 나타내고, 하방의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영역은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15a)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도 29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q)의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 및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다른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2)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는 투명층(9a)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q)의 다른 구조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미도시)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를 따라 메인 수지층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 및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과는 다른 색조로서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일부에 적층되며 용기 본체(2)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 및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8)과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 색층(미도시)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0은 도 28의 본 발명에 따른 다이헤드에 의해 제조되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리슨(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와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그리고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1q)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색조 용기(1q)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이루어지며, 본체(2)와 네크부(3)의 표면은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 색조 착색층(5) 및, 진한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7a)과, 진한 색조 착색층(4), 중간 색조 착색층(5) 및, 진한 색조 착색층(6)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8)과, 투명층(9a)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투명층(9a) 대신에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도 31은 다색조 용기에 니선상 줄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압출 다이헤드(300)의 단면도로서, 다이헤드(300)의 구조는 몸체(301)의 내측에 제1 및 제2 고정구(302,303)가 맨드렐(350)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구조로서, 메인 압출기(110)는 제1 고정구(302)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수지를 압출하고, 1대의 보조 사출기(200)(또는 단색조 착색 수지 압출용 보조 압출기를 사용할 수도 있음)는 몸체(301)와 제2 고정구(303) 사이에 형성된 제2 환형 유로(320)를 경유한 제2 유로(321)를 통하여 용융된 착색 수지를 정밀 제어된 가변 또는 불변 사출량으로 사출한다.
상기한 다이헤드(300)의 선단부에는 환형류 형성 팁(360)이 나사 결합 또는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한 환형류 형성 팁(360)의 노즐 단부에는 나선상 볼록부(361)와 나선상 오목부(362)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출되는 패리슨을 나선상으로 비틀어 토출하게 되나,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비틀린 부분은 용기 성형 시 매끈한 용기 표면으로 성형된다.
보조 사출기(200)를 통한 사출량의 정밀 제어된 가변 사출은 나선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며, 불변 사출은 심플한 나선상의 단색조 착색층을 형성한다.
도 32a 내지 도 32d에 도시한 다색조 용기(1r,1s,1t,1u)를 블로우 성형함에 있어서, 메인 압출기(110)에 의한 제1 환형 유로(310)를 경유한 제1 유로(311)를 통과하는 용융된 메인 수지는 도 29a 내지 도 29d에서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미도시)을 형성하며, 보조 사출기(200)에 의한 제2 환형 유로(320)를 경유한 제2 유로(321)를 통과하는 용융된 착색 수지는 상기한 메인 수지층에 적층되고 환형류 형성 팁(360)을 경유하면서 나선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 또는 나선상의 단색조 착색층과 같은 나선상 착색층(9c)을 형성한다.
상기한 환형류 형성 팁(360)은 다이헤드(300) 선단부에 예컨대 나사 결착식 등과 같은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며, 그 말단 내측부에 나선상 볼록부(361)와 나선상 오목부(362)를 나선상으로 교호 배치하는 것에 의해 패리슨(미도시)을 꽈배기 형상의 나선상으로 형성한 다음, 블로우 성형하여 도 32a 내지 도 32d에 도시한 다색조 용기(1r,1s,1t,1u)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제2 유로(321)를 나선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또는 말단 내측부에 나선상 볼록부(361)와 나선상 오목부(362)가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 환형류 형성 팁(360)을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도 32a 내지 도 32d에 도시한 다색조 용기(1r,1s,1t,1u)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32a 내지 도 33d에 도시한 다색조 용기(1r,1s,1t,1u)의 경우 나선상 착색층(9c)은 2개이므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제2 유로(321)는 좌우 양측으로 분기(分岐)된 2개의 호형(弧形) 유로로 형성된다.
도 32a 내지 도 32d는 좌우 이색의 경계가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1r,1s,1t,1u)의 정면도 또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다색조 용기(1r,1s,1t,1u)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나선상 착색층(9c)을 가진다.
그러나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나선상 착색층(9c)이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 상방부 및 네크부(3)는 옅은 색조 착색층으로 이루어지는 나선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미려한 다색조 발현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다른 변형예로서 다수의 종 방향 줄무늬가 상호 이격된 형태로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1v,1w,1x)의 정면도로서, 다색조 용기(1v,1w,1x)는 용기 본체(2)와 네크부(3)로 형성되며 나선상 줄무늬 착색층(9d)을 가진다.
그러나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나선상 줄무늬 착색층(9d)도 하방은 진한 색조 착색층, 중간부는 중간 색조 착색층, 상방부 및 네크부는 옅은 색조 착색층으로 이루어지는 나선상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미려한 다색조 발현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32a 내지 도 32d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1r,1s,1t,1u) 및 도 33a 내지 도 3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색조 용기(1v,1w,1x)등은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수지층과, 상기한 메인 수지층에 나선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 또는 투명층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구체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구체예들 상호 간의 선택 결합에 의한 다양한 임의의 조합 역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1a는 종래의 성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종래의 성형장치의 요부 개략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에서 압출된 합성수지층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의 압출 다이헤드에서 압출되어 합성수지층이 적층된 구조의 패리슨(parison)을 블로우(blow) 성형에 의해 중공 용기로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종래의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종래의 용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요부에 대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다이헤드로부터 만들어지며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parison)의 횡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각각 도 7의 다이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는 도 8의 패리슨 으로부터 성형되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0a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헤드의 종단면도이고, 도 10b 및 도 10c는 도 10a의 각각 다른 형태의 B-B선 횡단면도이다.
도 11a 및 11b는 각각 도 10b 및 도 10c의 다이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b 및 도 10c의 다이헤드로부터 만들어지는 도 11a 및 11b의 패리슨으로부터 성형되는 캐스캐이드(cascade)식 좌우 색조 구배를 갖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헤드의 종단면도이며, 도 13c는 도 13a에 있어서의 C-C선 횡단면도이고 도 13d는 도 13b에 있어서의 D-D선 횡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3c 및 도 13d의 다이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와, 도 15d 및 도 15e는 각각 도 13c 및 도 13d의 다이헤드에 의해 제조되는 도 14a 및 도 14b의 패리슨으로부터 성형되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를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3a의 C-C선 횡단면도와 유사한 다른 변형된 형태의 다이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도 16a 및 도 16b의 다이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도 16a 및 도 16b의 다이헤드에 의해 제조되는 도 17a 및 도 17b의 패리슨으로부터 성형되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3a의 C-C선 횡단면도와 유사한 또 다른 변형된 형태의 다이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각각 도 19a 및 도 19b의 다이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투명창을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하기 직전의 패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각각 도 20a 및 도 20b의 패리슨에 의해 성형되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투명창을 갖는 좌우 이색의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7의 A-A선 횡단면도와 유사한 다른 변형된 형태의 다이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다이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층과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이 교호적으로 배열된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패리슨에 의해 성형되는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다수의 단색조 줄무늬가 교호적으로 배열된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13a의 C-C선 횡단면도의 다른 변형된 형태의 다이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다이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교호적 종 방향 투명층을 갖는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패리슨에 의해 성형되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와 교호적 (交互的) 종 방향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13a의 C-C선 횡단면도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의 다이헤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다이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와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그리고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기 직전의 패리슨의 횡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4의 패리슨에 의해 제조되는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와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그리고 투명창을 갖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1은 좌우 이색의 경계가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32a 내지 도 32d는 도 31의 다이헤드에 의해 제조되는 좌우 이색의 경계가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 또는 사시도이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도 31의 다이헤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다수의 종 방향 줄무늬가 상호 이격된 형태로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b,1c,1d,1e,1f,1g,1h,1i,1j,1k,1ℓ,1m,1n,1o,1p,1q,1r,1s,1t,1u,1v,1w,1x : 본 발명에 따른 다이헤드를 포함하는 성형 장치에 의해 제조된 다색조 용기
2 : 용기 본체 3 : 네크부
4 : 진한 색조 착색층 5 : 중간 색조 착색층
6 : 옅은 색조 착색층 7 :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
7a :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농도 착색층
8 :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층
9 : 단색조 착색층 9a : 투명층
9b :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 9c : 나선상 착색층
9d : 나선상 줄무늬 착색층
10 : 패리슨(parison)
11 : 메인 수지부 11a : 후엽부
11b : 박엽부 12 : 진한 색조 착색부
13 : 중간 색조 착색부 14 : 옅은 색조 착색부
15 :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
15a :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부
16,16a,16b : 연속적 상하 색조 구배 착색부
17 : 단색조 착색부 17a,18a : 투명부
17b : 단색조 줄무늬 착색부 18 : 기본 착색 수지부
100 :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
110 : 메인 압출기 111 : 메인 압출기 호퍼
112 : 실린더 113 : 스크루
110a : 보조 압출기 111a : 보조 압출기 호퍼
112a : 실린더 113a : 스크루
120 : 블로우 실린더 130 : 블로우 몰드
200 : 보조 사출기
202: 실린더 203: 스크루
210 : 보조 사출기 호퍼 220 : 사출 속도 제어변
300 : 본 발명에 따른 다이헤드
301 : 몸체 302 : 제1 고정구
302a : 환형 폐색부 302b: 만입부
302c: 폐색부 303 : 제2 고정구
303a : 환형 돌출부 303b : 제1 계단부
303c : 제2 계단부 303d : 제3 계단부
303e: 환형 폐색부 303f: 만입부
304 : 제3 고정구 310 : 제1 환형 유로
311 : 제1 유로 311a: 확장부
312: 돌출부 320 : 제2 환형 유로
321 : 제2 유로 321a : 좌측 제2 유로
321b : 중간 제2 유로 321c : 우측 제2 유로
321a′: 제2 분기 유로 322 : 격벽 가이드
330 : 제3 환형 유로 331 : 제3 유로
331a: 제3 분기 유로 350 : 맨드렐(mandrel)
351 : 헤드 352 : 편심 헤드
360 : 환형류 형성 팁 361 : 나선상 볼록부
362 : 나선상 오목부

Claims (15)

  1.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와, 몸체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유로를 통과하는 단색조(mono-tone)의 메인 수지층 상에, 상기한 제2 유로를 통과하고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색조와는 다른 색조를 가지며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증대된 두께로 적층되는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gradation) 착색층으로 구성된 패리슨(parison)을 압출함으로써 두께 차이로 인한 연속적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도록, 상기한 맨드렐(mandrel)이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multi-tone)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2.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와, 몸체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고정구의 내주면 일부 영역에는 박엽부(薄葉部)를 갖는 단색조의 메인 수지층을 형성하도록 환형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고정구의 상기한 환형 돌출부가 형성된 내주면의 외측 외주면 일부 영역에는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박엽부를 따라 이와는 다른 색조로서 상호 다른 색조 차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단색조 착색층이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도록 상호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2개의 제2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환형 돌출부가 계단부에 의해 단계적으로 증대된 돌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한 제2 유로가 계단부에 의해 단계적으로 증대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4.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2 고정구,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와, 상기한 제2 고정구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와, 상기한 몸체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단색조 메인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한 제1 유로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이와는 다른 색조를 갖는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유로가 제1 고정구의 환형 폐색부 가 존재하지 않는 일부 외주면과 제2 고정구의 내주면 일부 영역에 의하여 한정되는 호형(弧形)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메인 수지층의 외주연중 상기한 종 방향 단색조 줄무늬 착색층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며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3 유로가 제2 고정구의 환형폐색부가 존재하지 않는 일부 외주면과 몸체의 내주면 일부 영역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한 제2 유로의 외측의 상호 엇갈린 교호적 위치에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1 유로는 메인 압출기와, 제2 유로는 보조 압출기와, 그리고 제3 유로는 제어변이 달린 사출기와 각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유로 및 제3 유로가 각각 반원형이고, 상기한 제3 유로가 제2 유로의 외측의 상호 엇갈린 교호적 위치에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2 및 제3 유로가 각각 용기 본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 차이를 가지는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도록 보조 사출기에 의해 사출된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6.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2 고정구,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와, 상기한 제2 고정구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와, 상기한 몸체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제1 유로가 중앙의 맨드렐과 제1 고정구의 내주면과, 제1 고정구의 적어도 2 개의 만입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확장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상기한 제2 유로가 제1 고정구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환형 폐색부에 의해 제2 유로 및 제2 분기 유로로 나뉘어 지며, 상기한 제2 유로 및 제2 분기 유로는 제1 고정구의 상기한 환형 폐색부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제2 고정구의 내주면에 의해 각각 호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동일한 베이스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되 상기한 환형 폐색부는 상기한 확장부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帶:zone)의 형상으로 위치하고,
    상기한 제3 유로가 제2 고정구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환형 폐색부에 의해 제3 유로 및 분기 제3 분기 유로로 나뉘어 지며, 상기한 제3 유로 및 제3 분기 유로는 제2 고정구의 상기한 환형 폐색부가 존재하지 않는 외주면과 몸체에 의해 각각 호형으로 형성되어 1대 또는 2대의 보조 사출기에 의한 동일 또는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두께 차이에 의해 부여하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되 상기한 제3 유로 및 분기 제3 분기 유로는 각각 제2 유로 및 제2 분기 유로가 위치하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환형 대의 형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유로가 중앙의 맨드렐과 제1 고정구의 적어도 2 개의 만입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확장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 상호 이격한 적어도 2개의 호형으로 형성되고 1대 또는 적어도 2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고정구의 적어도 2개의 환형 폐색부가 상호 연결되어 제3 분기 유로가 상기한 환형 폐색부로 채워져 막혀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고정구의 적어도 2개의 환형 폐색부가 상호 연결되어 제3 유로가 상기한 환형 폐색부로 채워져 막혀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10.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와, 몸체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중앙의 편심되지 않은 정중앙의 맨드렐과 제1 고정구의 내주면이 당접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1 유로가 제1 고정구의 외주면 및 제2 고정구의 내주면과, 제2 고정구의 내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와 환형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사상 확장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기본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제2 유로는 제2 고정구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로 형성되는 확장부 사이사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몸체의 내주연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영역에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줄무늬 형상의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며,
    제1 유로를 통과하는 기본 착색 수지 상에 제2 유로를 통과한 착색 수지가 적층되지 않는 영역은 단색조 줄무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11.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2 고정구,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와, 상기한 제2 고정구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와, 상기한 몸체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제1 유로가 제1 고정구의 외주면 및 제2 고정구의 내주면과, 제1 고정구의 내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사상 확장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제2 유로는 제1 고정구의 외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사상 확장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메인 압출기에 의한 투명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여기서 상기한 제2 유로는 제1 고정구에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만입부로 형성되는 확장부 사이사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제2 고정구의 내주연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영역에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베이스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제3 유로는 제2 유로의 외측으로 제2 고정구의 외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몸체의 내주연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영역에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여기서 상기한 제2 유로를 통과한 베이스 착색 수지는 제1 유로의 상호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확장부 사이사이의 투명 수지상에 적층되어 기본 착색 수지층을 형성한 다음, 제3 유로를 통과한 착색 수지가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 상에 다시 적층되어 상기한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는 한편, 착색 수지층이 적층되지 않는 상기한 제1 유로의 확장부로부터 유래하는 투명 수지는 투명층을 형성하게 되며, 다수의 투명층과 다수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이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12.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2 고정구,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와, 상기한 제2 고정구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와, 상기한 몸체와 제3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제1 유로가 제1 고정구의 내주면과 맨드렐의 외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환형 돌출부에 의해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1 유로는 메인 압출기에 의한 기본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제2 유로는 상기한 환형 돌출부 외측의 이에 대향하는 제1 고정구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보조 압출기에 의한 단색조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는 한편, 제1 고정구의 상기한 제2 유로의 반대쪽에는 환형 폐색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격벽 가이드에 의해 상호 분리된 좌측 제2 유로, 중앙 제2 유로, 우측 제2 유로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나타낼 수 있도록 세 대의 보조 압출기에 의해 각각 상이한 색조 구배를 갖는 단색조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며,
    제3 유로는 제2 고정구와 몸체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한 제3 유로는 상기한 좌측 제2 유로, 중앙 제2 유로 및, 우측 제2 유로의 인접한 외측에 형성되는 환형 폐색부와 상기한 제2 유로의 인접한 외측에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대칭적으로 2개가 분리 형성되어 보조 사출기에 의한 상이한 상하 색조 구배를 나타내게 되는 착색 수지의 통과 유로가 되고,
    여기서 상기한 제1 유로를 경유한 고리 형상의 기본 착색 수지상에, 좌측 제2 유로, 중앙 제2 유로 및, 우측 제2 유로를 통과한 캐스캐이드식 좌우 색조 구배를 나타내는 단색조 착색 수지가 상기한 고리 형상의 기본 착색 수지의 전방에 적층됨과 동시에, 상기한 고리 부분에는 제2 유로를 통과한 단색조 착색 수지 또는 투명 수지가 채워지며, 다시 보조 사출기에 의해 제3 유로를 통과한 착색 수지가 상기한 기본 착색 수지층 상에 다시 적층되어 2개의 상하 연속적 색조 구배 착색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유로 상의 환형 돌출부가 맨드렐 또는 제1 고정구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14. 몸체 내에 맨드렐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와,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와, 몸체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환형 유로 및 이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갖는 압출 다이헤드에 있어서,
    상기한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된 제1 환형 유로를 경유한 제1 유로를 통하여 용융된 메인 압출기에 의한 메인 수지가 압출되고, 몸체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형성된 제2 환형 유로를 경유한 제2 유로를 통하여 보조 사출기 또는 보조 압출기에 의한 제어된 가변 또는 불변 사출량, 또는 불변 압출량으로 압출되며,
    상기한 다이헤드의 선단부에는 환형류 형성 팁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환형류 형성 팁의 노즐 단부에는 나선상 볼록부(361)와 나선상 오목부(3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이헤드를 포함하는 다색조 용기 성형용 압출 성형장치.
KR1020090000289A 2009-01-05 2009-01-05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KR10102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89A KR101024862B1 (ko) 2009-01-05 2009-01-05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89A KR101024862B1 (ko) 2009-01-05 2009-01-05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031A KR20100081031A (ko) 2010-07-14
KR101024862B1 true KR101024862B1 (ko) 2011-03-31

Family

ID=4264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289A KR101024862B1 (ko) 2009-01-05 2009-01-05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540A1 (ko) * 2017-10-18 2019-04-25 롯데첨단소재(주) 색상 그라데이션을 갖는 사출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7018A (zh) * 2015-01-21 2015-04-22 湖北凯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色条料与聚乙烯护套共挤模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055A (ja) 1999-04-30 2000-11-14 Japan Steel Works Ltd:The 多層射出式中空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2004098666A (ja) 2002-08-23 2004-04-02 Toyo Seikan Kaisha Ltd パリソン成形方法及び装置並びにパリソン、パリソン加工方法
KR100588776B1 (ko) 2005-08-02 2006-06-12 허남춘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용기 제조장치
JP2008189314A (ja) 2007-01-31 2008-08-21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055A (ja) 1999-04-30 2000-11-14 Japan Steel Works Ltd:The 多層射出式中空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2004098666A (ja) 2002-08-23 2004-04-02 Toyo Seikan Kaisha Ltd パリソン成形方法及び装置並びにパリソン、パリソン加工方法
KR100588776B1 (ko) 2005-08-02 2006-06-12 허남춘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용기 제조장치
JP2008189314A (ja) 2007-01-31 2008-08-21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540A1 (ko) * 2017-10-18 2019-04-25 롯데첨단소재(주) 색상 그라데이션을 갖는 사출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3380A (ko) * 2017-10-18 2019-04-26 롯데첨단소재(주) 색상 그라데이션을 갖는 사출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2796B1 (ko) 2017-10-18 2019-12-05 롯데첨단소재(주) 색상 그라데이션을 갖는 사출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031A (ko)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5209C1 (ru) Полиэфирная емкость, изготовленная формованием с раздувом, с наформованным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м слоем
EP1559530B1 (en)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CN102922664B (zh) 通过注射包覆成型得到的双层预型件
EP229522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and molded body
KR101319732B1 (ko) 그라데이션 모양 부착 병체 및 프리폼의 사출성형방법
RU2133699C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отформованная заготовка для дутьевого формования сосуд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ый сосуд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806239B1 (ko) 플라스틱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RU2359824C2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порция материала, имеющая вогнутую поверхность
US20070228598A1 (en) Laminated Molded Body
US20120256356A1 (en) Laminated and molded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4530125A (ja) プリフォームを製造する方法
JPH08252861A (ja) 装飾帯を持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KR101024862B1 (ko) 다색조 용기 성형용 다이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KR100980689B1 (ko) 다색조 용기
AU2004283959B2 (en) Multilayered molten resin mass, multilayered preform for blow molding formed from the multilayered molten resin mass by compression molding, and multilayered container
KR100552087B1 (ko) 그라데이션 색상의 용기 제조용 다층 중공 성형기
CN114981066A (zh) 树脂制容器的制造方法、制造装置以及模具组件
MXPA06008668A (en)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