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979U - 확장 형 프레임 힌지 - Google Patents

확장 형 프레임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979U
KR20100000979U KR2020080009656U KR20080009656U KR20100000979U KR 20100000979 U KR20100000979 U KR 20100000979U KR 2020080009656 U KR2020080009656 U KR 2020080009656U KR 20080009656 U KR20080009656 U KR 20080009656U KR 20100000979 U KR20100000979 U KR 201000009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frame
porch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408Y1 (ko
Inventor
홍은정
Original Assignee
홍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은정 filed Critical 홍은정
Priority to KR20080009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40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9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8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Special W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의 현관을 확장할 때 간편하게 중문(1)을 시공할 수 있도록 고안한 확장 형 프레임 힌지(2)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현재 일반적인 아파트의 구조는 현관과 전실이 있고 현관과 전실에 방화 문이 시공되어져 있는데, 그 중 현관에 있는 방화 문을 제거하고 중문(1)을 시공하는 인테리어 작업에 있어서 중문(1)을 튼튼하고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화 문을 제거한 후 방화 문 프레임(3)을 그대로 사용하되 방화 문 프레임(3)에 붙어있는 프레임힌지(10)와 호환될 수 있도록 중문(1)에 문짝힌지(8)를 붙여 간단한 결합만으로도 중문(1)을 방화 문 프레임(3)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현관 확장의 경우 확장되어지는 현관 바닥의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방화 문 프레임(3) 하부에 붙어있는 방화 문 프레임 힌지(10)는 확장되는 현관 확장 콘크리트(7) 속에 함몰되므로 사용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확장부의 콘크리트 때문에 높아진 바닥 높이에 중문(1)의 문짝 힌지(8)와 결합할 수 있는 확장 형 프레임 힌지(2)가 시공되어지는데 그 모습은 중문(1)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튼튼한 강철 등의 무연재질로 제작을 하되 기존의 프레임 힌지(10)가 날개 부를 통해 방화 문 프레임(3)의 내부에 용접으로 고정되어진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날개 부(4)가 아래를 향하고 있으며 방화 문 프레임(3) 외부에 피스(9) 또는 용접으로 단단히 고정 하고, 현관을 확장할 때 현관 확장 콘크리트(7)가 확장 형 프레임 힌지(2)의 날개 부(4) 상단까지 덮게 되어 날개 부(4)가 보이지 않게 마무리 된다. 문짝 힌지(8)와 결합할 수 있도록 확장 형 프레임 힌지(2)상단으로 고정 핀(5)과 회전판(6)을 부착하도록 하는 확장 형 프레임 힌지(2).
중문, 확장 형 프레임 힌지, 방화 문 프레임, 프레임 힌지, 날개 부, 고정 핀, 회전 판, 문짝 힌지

Description

확장 형 프레임 힌지 {extention frame hinge}
본 고안은 현관에 시공되게 되는 중문(1)의 종류 중 여닫이 중문(1)을 튼튼하게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게 되는 중문 용 문짝 힌지(8)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튼튼한 힌지 채결방식으로 중문(1)을 시공함에 있어서 현관을 확장하여 현관의 바닥 높이가 높아졌을 때 기존의 방화 문 프레임 힌지(10)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확장되어진 바닥에 함몰되어버린 프레임 하단의 방화 문 프레임 힌지(10)를 대신하여 중문을 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확장형 프레임 힌지(2)를 제작하여 방화 문 프레임(3)에 시공하도록 한다.
현관에 중문(1)을 시공할 때는 경첩을 통하여 문틀에 결합시켰다. 하지만 인테리어 효과를 가미한 중문의 무게는 점점 무거워져서 더 튼튼한 시공 방법이 모색되어야 했다. 그래서 나온 것이 힌지를 이용한 시공법인데 중문(1)에 문짝힌지(8)를 부착시키고 기존의 방화 문 프레임(3)에 붙어있던 프레임힌지(10)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현관을 확장하여 바닥의 높이를 높이게 되면 프레임의 하단에 붙어있는 프레임 힌지(10)는 확장한 현관 확장 콘크리트(7)에 함몰되어지기 때문에 튼튼한 힌지를 통한 중문시공이 불가능하게 되며 경첩을 통해서만 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중문(1)을 프레임에 시공함에 있어서 중문(1)에 문짝 힌지(8)를 설치하고 방화 문 프레임(3)의 프레임 힌지(10)와 결합시켜 중문(1)을 시공하게 되는데, 현관 확장을 할 경우 확장되어지는 현관 바닥의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방화 문 프레임(3) 하부에 붙어있는 방화 문 프레임 힌지(10)는 확장되는 현관의 현관 확장 콘크리트(7) 속에 함몰되므로 사용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확장부의 콘크리트 때문에 높아진 바닥 높이에 중문(1)의 문짝 힌지(8)와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프레임 힌지(10)가 필요하게 되며 문짝이 튼튼하게 시공되어지도록 하기 위해 다시 시공되어지는 확장 형 프레임 힌지(2)는 튼튼한 무연재질로 단단하게 고정되어야 함을 목적으로 한다.
현관 확장으로 콘크리트에 함몰되어지는 하단 프레임 힌지(10)를 대신할 수 있는 고정 핀(5)과 회전판(6)을 포함한 확장형 프레임 힌지(2)를 제작하도록 하는데 기존의 프레임 힌지처럼 확장형 프레임 힌지(2)는 프레임 내부 벽면에 부착시킬 수 없으므로 프레임 외부 벽면에 피스 혹은 용접을 통해 고정하도록 하되 고정 핀(5)과 회전판(6)의 위치가 기존의 프레임 힌지 고정 핀(5)과 회전 판(6)의 위치에 정확히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설계한다.
중문(1)을 시공함에 있어서 방화 문처럼 힌지를 이용하여 시공을 하게 되면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을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경첩을 이용하여 시공 하는 것보다 더욱 튼튼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목수가 어렵게 시공해야 했던 중문을 약간의 기술만 있으면 간단하게 빨리 많은 양의 중문(1)을 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현관을 확장하고 중문을 시공해야 하는 경우는 바닥의 높이가 높아져 기존의 하단 방화 문 프레임 힌지(10)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기존의 방화 문 프레임 힌지(10)처럼 동일한 시공방법으로 중문(1)을 효과적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확장 형 프레임 힌지(2)를 고안하여 시공함으로써 높아진 현관 확장 콘크리트 상단에 중문(1)과 결합할 수 있는 고정 핀(5) 존재하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중문(1)이 시공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중문(1)을 프레임에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일반적인 아파트의 구조는 현관과 전실이 있고 현관과 전실에 방화 문이 시공되어져 있으므로, 현관에 중문을 튼튼하고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화 문을 제거한 후 방화 문 프레임(3)을 그대로 사용하되 방화 문 프레임(3)에 붙어있는 프레임힌지(10)와 호환될 수 있도록 중문(1)에 문짝힌지(8)를 붙여 간단한 결합만으로도 중문(!)을 방화 문 프레임(3)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현관 확장의 경우 확장되어지는 현관 바닥의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방화 문 프레임(3) 하부에 붙어있는 방화 문 프레임 힌지(10)는 확장되는 현관의 현관 확장 콘크리트(7) 속에 함몰되므로 사용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확장부의 콘크리트 때문에 높아진 바닥 높이에 중문(!)의 문짝 힌지(8)와 결합할 수 있는 확장 형 프레임 힌지(2)가 시공 되어지는데, 확장 형 프레임 힌지(2)는 중문(1)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강철 등의 무연재질로 제작을 하되 기존의 힌지가 날개 부(4)를 통해 방화 문 프레임(3)의 내부에 용접으로 고정되어진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날개 부(4)가 아래를 향하고 있으며 날개 부(4)를 방화 문 프레임(3) 외부 면에 피스(9) 또는 용접으로 단단히 고정 하고, 현관을 확장할 때 현관 확장 콘크리트(7)가 확장 형 프레임 힌지(2)의 날개 부(4) 상단까지 덮게 되어 날개 부(4)가 보이지 않게 마무리된다. 중문(1)의 문짝 힌지(8)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확장 형 피봇 힌지(2)는 콘크리트로 덮인 날개 부(4)의 상부로 고정 핀(5)과 회전판(6)을 부착하여 시공된 중문(1)이 원활히 움직이도록 고안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확장 형 프레임 힌지(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확장 형 프레임 힌지(2)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회전판(6)과 고정 핀(5)은 중문(1)의 문짝 힌지(8)와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기존의 프레임 힌지(10)와 형태를 같이하고 시공할 때도 결합되어지는 시공위치를 같이한다. 다만 기존의 프레임 힌지(10)는 방화 문 프레임(3)을 제작할 때 방화 문 프레임(3)의 내부로 용접이 되어있지만 확장 형 프레임 힌지(2)는 방화 문 프레임(3)이 아파트에 완전히 시공이 되어진 이후에 설치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방화 문 프레임(3)의 내부에 용접되어질 수가 없다. 이에 방화 문 프레임(3)에 고정시키게 되는 날개 부(4)가 아래를 향하여 제작이 되어지고 날개 부(4)는 방화 문 프레임(3)의 외부에 피스(9)나 용접으로 고정되 어지게 된다. 날개 부(4)는 현관 확장 콘크리트(7)에 의해 깔끔하게 감추어지게 된다.
도 2는 확장 형 프레임 힌지(2)가 시공되어지는 예시 도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를 향하고 있는 날개 부(4)는 방화 문 프레임(3)에 고정되어지며 고정되어진 날개 부(4)는 확장된 현관 확장 콘크리트(7)에 함몰 된다. 확장된 현관의 콘크리트 상부로 뻗어 나와 드러나 있게 되는 확장 형 피봇 힌지(2)의 상단부분은 문짝 힌지(8)와 결합될 수 있도록 위쪽으로 회전판(6)이 있고 고정 핀(5)을 포함하고 있다. 고정 핀(5)에 문짝 힌지(8)를 설치한 중문(1)를 걸기만 하면 중문(1)은 간단하게 방화 문 프레임(3)에 시공되어질 수 있다. 회전 판(6)은 중문(1)이 잘 열리고 닫히도록 해준다.
도 3은 확장 형 프레임 힌지(2)가 시공되어진 후 문짝 힌지(8)와 결합되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확장 형 프레임 힌지(2)의 날개 부(4)는 현관 확장 시 확장되어지는 콘크리트에 뭍히게 되고 상단 받침부와 회전판(6)과 고정 핀(5)만 겉으로 드러나게 된다. 문짝 힌지(8)를 겉으로 드러나 있는 확장 형 프레임 힌지(2)의 고정 핀(5)에 얹어 고정시키기만 하면 간단히 중문(1)이 시공되어지게 된다.
도 1은 확장 형 프레임 힌지의 사시도
도 2는 확장 형 프레임 힌지가 장착되어지는 예시도
도 3은 시공된 확장 형 프레임 힌지가 중문의 문짝 힌지와 결합되어지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문 2 : 확장 형 프레임 힌지
3 : 방화 문 프레임 4 : 날개 부
5 : 고정 핀 6 : 회전 판
7 : 현관 확장 콘크리트 8 : 문짝 힌지
9 : 피스 10 : 프레임 힌지

Claims (1)

  1. 현관 확장 콘크리트(7) 상단에 고정 핀(5)이 존재함으로 중문(1)의 문짝 힌지(8)와 결합될 수 있게 확장 형 프레임 힌지(2)를 제작하되, 잘 변형되지 않는 강철로 제작을 하며, 방화 문 프레임(3)에 피스(9)로 고정시키는 날개 부(4)가 아래에 있고 상부로는 문짝힌지(8)와 결합하는 고정 핀(5)과 중문(1)이 원활히 움직일 수 있게 하는 회전판(6)이 존재하는 확장 형 프레임 힌지(2).
KR20080009656U 2008-07-21 2008-07-21 보강토 옹벽의 토사유출 차단장치 KR200445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9656U KR200445408Y1 (ko) 2008-07-21 2008-07-21 보강토 옹벽의 토사유출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9656U KR200445408Y1 (ko) 2008-07-21 2008-07-21 보강토 옹벽의 토사유출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408Y1 KR200445408Y1 (ko) 2009-07-28
KR20100000979U true KR20100000979U (ko) 2010-01-29

Family

ID=4419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9656U KR200445408Y1 (ko) 2008-07-21 2008-07-21 보강토 옹벽의 토사유출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4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640A (ko) 2015-07-23 2017-02-02 김용갑 중공형상의 도어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497B1 (ko) * 2016-04-20 2017-05-04 콘크리트월드 주식회사 옹벽 시공방법
KR101724077B1 (ko) * 2016-04-20 2017-04-06 콘크리트월드 주식회사 보강토 옹벽
KR102182692B1 (ko) * 2017-09-20 2020-11-2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스틱 토류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토류판 어셈블리
KR200495163Y1 (ko) * 2020-02-14 2022-03-17 최인수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2340292B1 (ko) * 2021-07-06 2021-12-16 김명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2465648B1 (ko) * 2022-05-27 2022-11-09 강태근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416B2 (ja) * 1994-09-26 1998-07-30 西日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擁壁用ブロック
KR100649119B1 (ko) * 2003-11-29 2006-11-27 홍건영 보강토 옹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640A (ko) 2015-07-23 2017-02-02 김용갑 중공형상의 도어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408Y1 (ko) 200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0979U (ko) 확장 형 프레임 힌지
JP3190835U (ja) 改良構造を有する仮設トイレ組立キット
US2837153A (en) Metallic building wall
US7322552B1 (en) Curtain rod support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100706168B1 (ko) 다양한 물품의 장착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JP2011202401A (ja) 網戸付サッシ
JP2008308898A (ja) 引戸装置
JP6130687B2 (ja) 開口部装置
JP6360247B2 (ja) 建物外部構築物
JP5403620B2 (ja) サッシ窓
KR101005189B1 (ko) 양방향 개폐 도어 카트리지 및 도어
KR101819537B1 (ko) 조립식 방범 창호
KR102114006B1 (ko) 공동주택 난간의 고정부위 확대 보강시설
KR102247630B1 (ko) 방화문용 피봇힌지장치
CN216276632U (zh) 一种装配式石材墙面的消防栓暗门无干扰安装结构
CN215106986U (zh) 用于仿古建筑的清水砖墙消防装置
KR200433112Y1 (ko) 상자형 완강기 걸이장치
JP2016108907A (ja) 引戸
JP4005862B2 (ja) 玄関構造
CN204040707U (zh) 一种铰链
JP2015132119A (ja) 建物外部構築物
JP5112653B2 (ja) 上吊式引き戸サッシにおける網戸支持構造
JP2017179804A (ja) 建具
JP2019085821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