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284A -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284A
KR20100000284A KR1020080059723A KR20080059723A KR20100000284A KR 20100000284 A KR20100000284 A KR 20100000284A KR 1020080059723 A KR1020080059723 A KR 1020080059723A KR 20080059723 A KR20080059723 A KR 20080059723A KR 20100000284 A KR20100000284 A KR 20100000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icycle
propulsion device
front frame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구
Original Assignee
김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구 filed Critical 김일구
Priority to KR102008005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284A/ko
Publication of KR2010000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6Supplying batteries to, or removing batteries from,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3/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 B62M23/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or more dissimilar sources of power, e.g. transmissions for hybrid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자전거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자전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춘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륜과, 구동륜의 구동을 위해 프레임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PROPELLING DEVICE FOR BICYCLES AND BICYCL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전거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력을 부여하기 위해 자전거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자전거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전거는 추진장치(모터, 엔진 등)가 없기 때문에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킴으로써 주행할 수 있다. 건강한 사람이 자전거를 타고 평지를 주행하거나 근 거리를 여행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자전거를 타고 오르막길을 주행하거나 장거리 여행을 할 경우에는 체력소모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지치게 된다.
전동자전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전동자전거는 사용자가 페달을 밟아서 주행하거나 보조적인 추진력을 부여하는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오르막길이나 장거리도 쉽게 주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동자전거는 대체로 프레임 및 구성부품들을 전용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전동장치가 없는 일반자전거와 부품들을 공유할 수 없어 제조원가가 높은 편이다. 따라서 이를 구매하는데 비용부담이 큰 문제가 있었다.
물론 전동장치가 없는 일반자전거에 전동장치(모터, 배터리, 제어유닛 등)를 추가 장착할 수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도 전동장치의 장착을 위해 프레임을 변형시켜야 하거나 일부의 부품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전동장치의 장착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전동장치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분리하기도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자전거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진력을 부여할 뿐 아니라 짐을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진장치를 이용하지 않을 때 자전거로부터 추진장치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접어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자전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의 구동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자전거의 뒷쪽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자전거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를 갖춘 전방프레임과, 굴절연결부에 의해 상기 전방프레임에 좌우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동력발생장치 및 상기 구동륜이 장착된 후방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자전거의 후륜축 또는 차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자전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구동륜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선과 상기 연결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내린 선의 내각이 예각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절연결부는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중 하나에 연결된 좌우회전축과, 상기 좌우회전축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회전축은 그 중심선이 전방하측으로부터 후방상측을 향하는 경사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구동륜을 회전시키는 전기모터와, 상기 전기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전기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를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구동륜을 회전시키는 내연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전방프레임을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자전거의 차체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전방프레임이 상기 자전거의 차체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을 후방으로 굴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굴절축을 포함한다.
상기 굴절연결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에 연결된 좌우회전축과, 상기 좌우회전축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좌우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후방프레임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되 그 축선이 상기 좌우회전축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굴절축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굴절축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재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후방프레임에는 이들을 완충 가능하게 연결하는 쇽업저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짐을 수납할 수 있는 바구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자전거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는 조향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프레임과, 상기 조향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향륜과, 상기 조향륜의 방향을 제어를 위해 상기 조향프레임에 설치된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추진장치는 사용자의 탑승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안장을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는 차체와, 상기 차체에 장착된 복수의 바퀴와, 필요에 따라 상기 차체에 장착하거나 상기 차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추진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차체의 뒷쪽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의 구동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프레임의 연결부를 자전거 차체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것만으로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동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자전거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하지 않을 때 자전거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짐을 수납할 수 있는 바구니를 구비하기 때문에 추진력을 부여하는 기능 뿐 아니라 짐을 실어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프레임의 연결부가 자전거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임을 굴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추진장치를 이용하지 않을 때 자전거로부터 추진장치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접어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자전거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전거에 연결되는 연결부로부터 구동륜 중심으로 연장되는 선과 연결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내린 선의 내각이 예각을 유지하기 때문에 구동륜의 접지 마찰력을 높일 수 있어 원활한 주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추진장치는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우회전축이 전방하측으로부터 후방상측을 향하는 경사를 구비하기 때문에 자전거가 선회주행(코너링)을 하는 과정에서 자전거 차체가 기울고 추진장치가 좌우회전축을 중심으로 굴절되는 경우에도 구동륜의 기울어짐을 최소화하고 구동륜의 하부가 지면과 접하려는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선회주행이나 원활한 요철면 주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추진장치(10)는 자전거(1)의 차체(2) 뒷 쪽에 연결된다. 추진장치(10)는 자전거(1)의 차체(2)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추진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전거의 패달(3)을 밟지 않더라도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추진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1)에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23)를 갖춘 프레임(11)과, 프레임(11)에 장착된 구동륜(12), 그리고 구동륜(12)을 회전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프레임(11)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60)를 포함한다.
프레임(11)은 그 선단부에 마련되는 연결부(23)가 자전거 차체(2)의 뒷쪽에 연결된 상태에서 자전거(1)의 후방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이러한 프레임(11)은 연 결부(23)를 갖춘 전방프레임(20), 전방프레임(2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후방프레임(30), 전방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굴절연결부(40)를 포함한다. 구동륜(12) 및 동력발생장치(60)는 후방프레임(30)에 설치된다.
전방프레임(20)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1)의 후륜축(5)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두 연결부(23)와, 각 연결부(2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양측의 지지부(21)를 구비한다. 양측 지지부(21)는 자전거의 후륜(4)과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후 상호 연결된다. 또 지지부(21)의 상측에는 전방프레임(20)의 보강을 위한 상측지지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전방프레임(20)의 연결부(23)는 자전거 후륜축(5) 양측의 너트(미도시)를 푼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자전거에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 연결부(23)는 전방프레임(20)이 자전거(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자전거 후륜축(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는 추진장치(10)가 상하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요철이 심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구동륜(12)이 지면으로부터 들리는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진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추진장치(10)를 상부로 들어 올려 자전거 차체(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방프레임(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23)가 후륜축(5)이 아닌 자전거 차체(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는 자전거 차체(2)에 상대하는 연결수단(25)을 장착한 상태에서 전방프레임(2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
후방프레임(30)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륜(1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지지부들(31)과, 구동륜(12)의 상측을 통하여 양측 지지부(31)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보강부(32)를 포함한다. 또 양측의 지지부들(31)은 구동륜(12)의 앞 쪽에서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륜(12)은 지지축(13)을 통하여 양측 지지부(31)의 후단부에 장착된다.
전방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을 연결하는 굴절연결부(40)는 전방프레임(20)의 후단부에 연결된 좌우회전축(41)과, 좌우회전축(41)과 후방프레임(3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2)를 포함한다. 또 연결부재(42)는 좌우회전축(41)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43)와, 후방프레임(30)의 선단부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44), 그리고 제1연결부재(43)의 하부와 제2연결부재(44)의 하부를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굴절축(45)을 포함한다. 굴절축(45)은 그 축선이 좌우회전축(41)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는 후방프레임(30)이 굴절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20)을 상부로 들어 올려 자전거 차체(2)에 고정한 상태에서 후방프레임(30)을 후방으로 굴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좌우회전축(41)이 전방프레임(20) 쪽에 마련되고 연결부재(42)가 후방프레임(30) 쪽에 마련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들은 상호 위치가 바뀌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좌우회전축(41)이 후방프레임(30) 쪽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재(43)와 제2연결부재(44)에는 평소 이들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가 마련된다. 결속장치는 제1연결부재(43)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된 고리형 결속부재(46)와, 결속부재(46)가 걸릴 수 있도록 제2연결부재(44)의 상부에 마련된 결속돌기(47)를 포함한다. 이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소 제1연결부재(43)와 제2연결부재(44)의 상부가 결속부재(45)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후방프레임(30)이 굴절축(45)을 중심으로 굴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제1연결부재(43)와 제2연결부재(44)가 결속부재(45)에 의해 결속되면, 후방프레임(30)은 전방프레임(20)에 대하여 좌우회전축(41)을 중심으로 좌우로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는 자전거(1)가 선회주행(코너링)을 할 경우 프레임(11)이 좌우회전축(41)을 중심으로 굴절됨으로써 원활한 선회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진장치(10)를 자전거 후륜(4) 상부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는 결속부재(46)의 결속을 해제함으로써 후방프레임(30)이 후방으로 굴절될 수 있다. 그리고 결속부재(46)는 전방프레임(20)을 자전거 차체(2)에 구속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결속부재(46)가 차체(2)의 안장(6) 하부에 마련된 걸이부(7)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전방프레임(20)을 차체(2)에 구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전방프레임(20)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결속부재(46)가 전방프레임(20)을 구속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프레임(20)은 자전거 차체(2)와 전방프레임(20) 사이에 마련되는 별도의 결속수단(미도시)에 의해서도 차체(2)에 구속될 수 있을 것이다.
후방프레임(30)의 선단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굴절축(45)에 의하여 제2연결부재(44)의 하부에 상하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44)와 후방프레임(30)에는 이들을 완충 가능하게 연결하는 쇽업저버(35)가 설 치된다. 쇽업저버(35)는 일단이 제2연결부재(44)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후방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쇽업저버(35)는 주행 중 구동륜(12)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킨다.
구동륜(12)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장치(60)는 구동륜(12)의 허브 쪽에 설치된 전기모터(61)와, 전기모터(61)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62), 축전지(62)로부터 전기모터(61)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63)을 포함한다. 축전지(62)와 제어유닛(63)은 후방프레임(30)의 보강부(32) 상측에 마련된 축전지 탑재부(33)에 장착된다. 축전지(62)와 전기모터(61)를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은 후방프레임(30)에 내장되거나 후방프레임(30)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6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 핸들(8)에 마련되는 조작부(64)와 전선(65)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자전거 운전자가 조작부(64)를 조작하여 전기모터(6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는 동력발생장치(60)가 전기모터(61)와 축전지(62)를 포함하는 전동식 구동장치인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구동륜(12)을 구동하는 동력발생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내연기관(미도시)이 채용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예는 전기모터(61)가 구동륜(12)의 허브 쪽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전기모터(61)와 구동륜(12)이 이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구동륜(12)과 전기모터(61)가 체인(미도시)과 스프라켓(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축전지(62)와 제어유닛(63)의 설치위치도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추진장치(10)를 자전거(1)에 장착하면, 도 1 및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주행을 하면, 추진장치(10)가 자전거(1)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오르막길이나 장거리의 경우도 쉽게 주행할 수 있다. 운전자는 전기모터(61)의 구동력과 패달(3)을 밟는 힘을 통하여 주행하거나 패달(3)을 밟지 않고 전기모터(61)의 힘만으로 주행할 수 있다. 물론 전기모터(61)의 동작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패달(3)을 밟는 힘만으로도 주행할 수 있다.
주행과정에서 추진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진장치(10)를 상부로 들어 올려 구속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다. 또 후방프레임(30)을 후방으로 굴절시켜 간편하게 접은 상태로 주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추진장치(10)를 자전거(1)로부터 분리해 둘 수 있다. 분리할 때는 전방프레임(20)의 연결부(23)만을 자전거(1)로부터 분리하면 되므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른 추진장치(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1)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륜(12)의 중심이 자전거 후륜축(5)보다 낮은 높이가 되도록 구성된다. 즉 자전거 후륜축(5)에 연결된 연결부(23)로부터 구동륜(12)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선(A)과 연결부(23)로부터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내린 선(B)의 내각(α)이 예각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구동륜(12)에 접지력이 작용하여 구동륜(12)과 지면의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륜(12)이 지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 없이 원활히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륜(12)의 구동에 의해 생기는 추진력은 프레임(11)을 통하여 자전거(1)의 후륜축(5)으로 전달된다. 이때 구동륜(12)의 중심부 에는 프레임(11)으로부터 반력(P)이 작용하는데, 이 반력(P)은 주행방향 반력(Ph)과 지면과 수직인 방향의 반력(Pv)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구동륜(12)은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Pv)에 의해 지면과 접촉하려 하므로(접지력이 작용하므로) 구동륜(12)과 지면의 마찰력이 커진다. 이러한 현상은 연결부(23)로부터 구동륜(12)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선(A)과 연결부(23)로부터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내린 선(B)의 내각(α)이 예각을 유지할 때(구동륜의 중심이 자전거 후륜축보다 낮은 높이일 때) 가능해진다.
좌우회전축(4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선(C)이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하측으로부터 후방 상측을 향하는 경사를 구비한다. 즉 좌우회전축(41)의 중심선(C)은 수직에 대하여 β의 각을 유지한다. 이는 자전거(1)가 선회주행(코너링)을 하는 과정에서 자전거 차체(2)가 선회방향으로 기울고 추진장치(10)가 좌우회전축(41)을 중심으로 굴절되는 경우에도 구동륜(12)의 기울어짐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구동륜(12)의 하부가 지면과 접하려는 성질을 유지하도록 하여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만약 좌우회전축(41)의 경사가 이와 반대일 경우에는 선회주행 시 구동륜(12)이 선회방향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현상이 생겨 구동륜(12)의 접지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도 7은 추진장치의 다른 사용 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10)는 자전거에 연결하지 않고서도 자체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후방프레임(30) 쪽에 연결할 수 있는 조향유닛(70)과, 역시 후방프레임(70) 쪽에 연결할 수 있는 안장(80)을 구비한다. 도 7은 전방프레임(20)을 분리 한 상태에서 후방프레임(30)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44)에 조향유닛(70)과 안장(80)을 연결한 상태이다. 조향유닛(70)은 제2연결부재(4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프레임(71)과, 조향프레임(71)의 앞 쪽에 설치된 조향륜(72), 그리고 조향륜(72)의 방향 제어를 위해 조향프레임(71)에 설치된 핸들(7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추진장치(10)를 자체적인 주행이 가능한 전동스쿠터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의 상태에서 안장(80)만을 분리하면 전동퀵보드의 형태로도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후방프레임(30) 양측에 각각 짐을 수납할 수 있는 바구니(91)를 장착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전방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 사이에 짐을 수납할 수 있는 바구니(92)를 장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추진장치는 자전거(1)에 추진력을 부여할 뿐 아니라 짐도 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바구니(91,92)는 장착형태가 이러한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추진장치(10)의 상부나 후방 또는 전방프레임(20)의 양측이나 상부에도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보다 많은 짐을 싣기 위해서는 프레임이나 바구니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구동륜(12)을 복수개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가 장착된 자전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가 자전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부로 들어 올려 자전거 차체에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프레임이 자전거 차체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후방프레임에 조향유닛과 안장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양측에 바구니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 사이에 바구니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자전거, 5: 후륜축,
10: 추진장치, 11: 프레임,
12: 구동륜, 20: 전방프레임,
23: 연결부, 30: 후방프레임,
35: 쇽업저버, 40: 굴절연결부,
41: 좌우회전축, 42: 연결부재,
43: 제1연결부재, 44: 제2연결부재,
45: 굴절축, 46: 결속부재,
47: 결속돌기, 60: 동력발생장치,
61: 전기모터, 62: 축전지,
63: 제어유닛, 64: 조작부,
70: 조향유닛, 71: 조향프레임,
72: 조향륜, 73: 핸들,
80: 안장, 91,92: 바구니.

Claims (24)

  1. 자전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의 구동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자전거의 뒷쪽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자전거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를 갖춘 전방프레임과, 굴절연결부에 의해 상기 전방프레임에 좌우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동력발생장치 및 상기 구동륜이 장착된 후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자전거의 후륜축 또는 차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자전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구동륜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선과 상기 연결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내린 선의 내각이 예각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연결부는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중 하나에 연결된 좌우회전축과, 상기 좌우회전축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회전축은 그 중심선이 전방하측으로부터 후방상측을 향하는 경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전방프레임을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자전거의 차체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이 상기 자전거의 차체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을 후방으로 굴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굴절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프레임은 완충을 위한 쇽업저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구동륜을 회전시키는 전기모터와, 상기 전기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전기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를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구동륜을 회전시키는 내연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장치에는 짐을 수납할 수 있는 바구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자전거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는 조향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프레임과, 상기 조향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향륜과, 상기 조향륜의 방향을 제어를 위해 상기 조향프레임에 설치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장치는 사용자의 탑승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안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추진장치.
  15. 차체와, 상기 차체에 장착된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차체에 장착하거나 상기 차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추진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차체의 뒷쪽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의 구동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춘 전방프레임과, 굴절연결부에 의해 상기 전방프레임에 좌우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동력발생장치 및 상기 구동륜이 장착된 후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자전거의 후륜축 또는 차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구동륜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선과 상기 연결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내린 선의 내각이 예각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연결부는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중 하나에 연결된 좌우회전축과, 상기 좌우회전축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회전축은 그 중심선이 전방하측으로부터 후방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전방프레임을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자전거 의 차체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이 상기 자전거의 차체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을 후방으로 굴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굴절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구동륜을 회전시키는 전기모터와, 상기 전기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전기모터로 공급되는 전류의 제어를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23.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구동륜을 회전시키는 내연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24.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장치에는 짐을 수납할 수 있는 바구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KR1020080059723A 2008-06-24 2008-06-24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 KR20100000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723A KR20100000284A (ko) 2008-06-24 2008-06-24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723A KR20100000284A (ko) 2008-06-24 2008-06-24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284A true KR20100000284A (ko) 2010-01-06

Family

ID=4181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723A KR20100000284A (ko) 2008-06-24 2008-06-24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2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97B1 (ko) * 2018-02-01 2019-03-29 송희준 장거리 여행을 위한 자전거용 하이브리드 자주식 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97B1 (ko) * 2018-02-01 2019-03-29 송희준 장거리 여행을 위한 자전거용 하이브리드 자주식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3089B2 (ja) 電動車両
JP5999953B2 (ja) 電動車両
US11731734B2 (en) Electric snowmobile
JP2010018270A (ja) ライダーサドルを備えた電動車両
EP2364901B1 (en) Small-Sized Vehicles
CN1754766A (zh) 摇臂部结构
JP2000238675A (ja) 電動自転車
CN103661712A (zh) 车辆
EP1304284B1 (en) Straddling type vehicle
TWI751486B (zh) 跨坐型電動車輛
JP4214759B2 (ja) 電動式不整地走行四輪車
KR20040015686A (ko) 이륜차 및 이륜차의 리어암
KR20180088066A (ko)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WO2023112351A1 (ja) 電動車両
US20230192232A1 (en) Vehicle
KR20100000284A (ko) 자전거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자전거
JP2011025766A (ja) 折りたたみ式電動補助自転車
JP2019131146A (ja) 鞍乗型電動車両
JPH05105144A (ja) 電動二輪車
JP2013184628A (ja) 電動二輪車
JPH04365690A (ja) 電動モータ付き自転車
WO2024202074A1 (ja) 電動ストラドルドビークル
CN1511752A (zh) 电动两轮车
JP3476566B2 (ja) パワーアシスト三輪自転車
KR101212300B1 (ko) 좌우틸팅이 가능한 삼륜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