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555A - 인버터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인버터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555A
KR20090131555A KR1020080057488A KR20080057488A KR20090131555A KR 20090131555 A KR20090131555 A KR 20090131555A KR 1020080057488 A KR1020080057488 A KR 1020080057488A KR 20080057488 A KR20080057488 A KR 20080057488A KR 20090131555 A KR20090131555 A KR 2009013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gate
transistor
drain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667B1 (ko
Inventor
후아샹잉
박영수
박재철
김선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667B1/ko
Priority to US12/318,727 priority patent/US7888972B2/en
Priority to EP09163005A priority patent/EP2136471A3/en
Priority to JP2009144734A priority patent/JP5436062B2/ja
Publication of KR2009013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555A/ko
Priority to US12/926,475 priority patent/US80589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9/01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03K19/0170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 H03K19/0171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by bootstrapping, i.e. by positive feed-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hift Register Type Mem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충분한 출력 전압을 제공하면서도 신호 전송 시간이 짧은 인버터 소자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인버터 소자에서, 제 1 트랜지스터는 제 1 게이트, 제 1 소오스 및 제 1 드레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 1 드레인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소오스에서 출력 전압이 출력된다. 제 2 트랜지스터는 제 2 게이트, 제 2 소오스 및 제 2 드레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 2 게이트에 입력 전압인 인가되고 상기 제 2 드레인은 상기 출력 전압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 1 소오스에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는 제 3 게이트, 제 3 소오스 및 제 3 드레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드레인에 상기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소오스가 상기 제 1 게이트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는 분리된 커패시터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내부적으로 용량 결합된다.
인버터, 출력 전압, 신호 전송 시간, 기생 용량

Description

인버터 소자 및 그 동작 방법{Inverte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버터 소자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 소자는 로직 회로에서 입력 전압의 위상을 반전시켜 출력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인버터 소자는 인핸스먼트 모드(enhancement mode) 트랜지스터들로만 구성되거나 또는 인핸스먼트-모드 트랜지스터와 디플리션 모드(depletion mode) 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E/E 모드의 인버터 소자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는 전원 전압(Vdd) 및 접지부(GND) 사이에서 인버터 구조로 연결된다. 입력 전압(Vi)은 제 2 트랜지스터(T2)에 인가되고, 입력 전원(Vdd)은 제 1 트랜지스터(T1)에 인가된다. 출력 전압(Vo)은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 사이에서 출력된다.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T1, T2)은 모두 인핸스먼트-모드 트랜지스터들이다.
이러한 E/E 모드의 인버터 소자에서 제 1 트랜지스터(T1)는 통상적으로 온(on) 상태에 있기 때문에 부하 저항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출력 전압(Vo)은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T1, T2)의 저항비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이 레벨(high level) 출력은 전원 전압(Vdd)과 동일하지 않고 전원 전압(Vdd)으로부터 제 1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Vth1)을 뺀 값(Vdd-Vth1)으로 줄어든다. 이러한 출력 감소는, 도 11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버터 소자의 체인 구조에서 출력 펄스의 진폭을 점차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통상적인 E/D 모드의 인버터 소자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트랜지스터(T3) 및 제 4 트랜지스터(T4)는 전원 전압(Vdd) 및 접지부(GND) 사이에서 인버터 구조로 연결된다. 입력 전압(Vi)은 제 4 트랜지스터(T4)에 인가되고, 출력 전압(Vo)은 제 3 트랜지스터(T3) 및 제 4 트랜지스터(T4)의 사이에서 출력된다. 제 3 트랜지스터(T3)는 디플리션-모드 트랜지스터이고, 제 4 트랜지스터(T4)는 인핸스먼트-모드 트랜지스터이다.
이러한 E/D 모드의 인버터 소자에서 하이 레벨 출력은 거의 전원 전압(Vdd)과 같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버터 소자는 도 9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호 전파 시간(signal propagation time)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분한 출력 전압을 제공하면서도 신호 전송 시간이 짧은 인버터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인버터 소자의 효율적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인버터 소자가 제공된다. 제 1 트랜지스터는 제 1 게이트, 제 1 소오스 및 제 1 드레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 1 드레인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소오스에서 출력 전압이 출력된다. 제 2 트랜지스터는 제 2 게이트, 제 2 소오스 및 제 2 드레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 2 게이트에 입력 전압인 인가되고 상기 제 2 드레인은 상기 출력 전압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 1 소오스에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는 제 3 게이트, 제 3 소오스 및 제 3 드레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드레인에 상기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소오스가 상기 제 1 게이트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는 분리된 커패시터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내부적으로 용량(capacitively) 결합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는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overlapping)에 의한 제 1 기생 용량(first parasitic capacitance)에 의해서 용량 결합되고,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소오스는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소오스의 중첩에 의한 제 2 기생 용량에 의해서 용량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및/또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예컨대 역전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3 트랜지스터는 인핸스먼트-모드(enhancement-mode)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인버터 소자가 제공된다. 부하 트랜지스터(load transistor)는 제 1 게이트, 제 1 소오스 및 제 1 드레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 1 드레인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소오스에서 출력 전압이 출력된다. 입력 트랜지스터(input transistor)는 제 2 게이트, 제 2 소오스 및 제 2 드레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 2 게이트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드레인은 상기 출력 전압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 1 소오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소오스가 접지부에 연결된다. 예비충전 트랜지스터(precharge transistor)는 제 3 게이트, 제 3 소오스 및 제 3 드레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드레인에 상기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소오스가 상기 제 1 게이트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는 분리된 커패시터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에 의한 제 1 기생 용량에 의해서 용량 결합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에 의한 제 1 기생 용량에 의해서 상기 출력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1 게이트에 유도되는 승압 전압(boosting voltage)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상기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압 전압의 크기는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소오스의 중첩에 의한 제 2 기생 용량에 의해서 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생 용량 및/또는 상기 제 3 커패시터의 용량은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 면적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 면적은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 길이 및/또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소자에 따르면, 별도의 분리된 커패시터 없이 부하 트랜지스터에 내재된 제 1 기생 용량에 의해서 출력 전압을 높일 수 있고 신호 전파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소자는 높은 동작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소자에 따르면, 부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유도되는 승압 전압을 부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오스의 중첩 면적을 조절하고, 나아가 예비충전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소오스의 중첩 면적을 조절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과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소자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인버터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버터 소자는 제 1 트랜지스터(T10), 제 2 트랜지스터(T20) 및 제 3 트랜지스터(T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T10) 및 제 3 트랜지스터(T30)는 전원 절점(N31) 및 출력 절점(N12) 사이에 결합되고, 제 2 트랜지스터(T20)는 출력 절점(N12) 및 접지부(GND)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전원 전압(Vdd)은 전원 절점(N31)을 통해서 인가되고, 출력 전압(Vo)은 출력 절점(N12)을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T10)는 부하 트랜지스터로 불리고, 제 2 트랜지스터(T20)는 입력 트랜지스터로 불리고, 제 3 트랜지스터(T30)는 예비충전 트랜지스터로 불릴 수도 있다.
제 1 트랜지스터(T10)는 제 1 게이트(G1), 제 1 드레인(D1) 및 제 1 소오스(S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T20)는 제 2 게이트(G2), 제 2 드레인(D2) 및 제 2 소오스(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트랜지스터(T30)는 제 3 게이트(G3), 제 3 드레인(D3) 및 제 3 소오스(S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들(T10, T20, T30)은 모두 인핸스먼트-모드(enhancement-mode)의 N형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인핸스먼트-모드는 디플리션-모드(depletion-mode)와 대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핸스먼트-모드의 트랜지스터는 통상적으로(normally) 오프(off) 상태에 있고, 디플리션-모드의 트랜지스터는 통상적으로 온(on) 상태에 있다.
전원 전압(Vdd)은 전원 절점(N12)을 통해서 제 1 드레인(D1), 제 3 드레인(D3) 및 제 3 게이트(G3)에 인가될 수 있다. 입력 전압(Vi)은 제 2 게이트(G2)에 인가될 수 있다. 제 3 소오스(S3)는 승압 절점(N13)을 통해서 제 1 게이트(G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소오스(S1) 및 제 2 드레인(D2)은 출력 절점(N12)을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출력 전압(Vo)은 제 1 소오스(S1) 또는 제 2 드레인(D2)으로부터 출력 절점(N12)을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제 2 소오스(S2)는 접지부(GND)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인버터 소자에서, 승압 절점(N13) 및 출력 절점(N12) 사이에 분 리된 커패시터가 없다. 대신, 제 1 게이트(G1) 및 제 1 소오스(S1)는 제 1 트랜지스터(T10) 내부적으로 용량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게이트(G1) 및 제 1 소오스(S1)는 그 중첩에 의한 제 1 기생 용량(C10)에 의해서 용량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 1 기생 용량(C10)은 별도의 구성 요소 없이 제 1 트랜지스터(T10)에 내재적이라는 점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었고, 별도로 분리되어 제공되는 커패시터에 의한 용량과는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기생 용량(C10)에 의해서 승압 절점(N13) 및 출력 절점(N12)은 용량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3 게이트(G3) 및 제 1 소오스(S3)는 제 3 트랜지스터(T30) 내부적으로 용량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게이트(G3) 및 제 3 소오스(S3)는 그 중첩에 의한 제 2 기생 용량(C30)에 의해서 용량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 2 기생 용량(C30)은 제 1 기생 용량(C10)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구성 요소 없이 제 3 트랜지스터(T30)에 내재적이라는 점에서 별도로 분리되어 제공되는 커패시터의 용량과는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기생 용량(C30)에 의해서 전원 절점(N31) 및 승압 절점(N12)은 용량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3의 인버터 소자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Vi)이 하이 레벨(high level)인 경우, 제 2 트랜지스터(T20)가 턴-온(turn-on) 된다. 이에 따라, 출력 절점(N12)과 접지부(GND) 가 연결되면서 출력 전압(Vo)은 입력 전압(Vi)의 반대인 로우 레벨(low level)이 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전압(Vi)이 로우 레벨인 경우, 제 2 트랜지스터(T20)는 턴-오프(turn-off) 된다. 이에 따라, 출력 절점(N12)과 접지부(GND)는 단절될 수 있다. 전원 전압(Vdd)은 하이 레벨이므로, 제 3 트랜지스터(T30)가 턴-온 되고 승압 절점(N13)이 충전될 수 있다. 승압 절점(N13)이 전원 전압(Vdd)에서 제 3 트랜지스터(T30)의 문턱 전압(Vth30)을 뺀 값(Vdd-Vth30)만큼 충전된 후, 제 3 트랜지스터(T30)는 턴-오프 된다. 이에 따라, 승압 절점(N13)은 플로팅된다.
승압 절점(N13)이 충전됨에 따라서 제 1 트랜지스터(T10)가 턴-온 되고, 출력 절점(N12)의 전압이 상승된다. 출력 절점(N12)의 전압이 올라감에 따라서, 제 1 기생 용량(C10)에 의해서 승압 절점(N13)의 전압이 승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게이트(G1)에 인가된 전압이 커지고, 출력 전압(Vo)이 커질 수 있다. 즉, 출력 전압(Vo)은 전원 전압(Vdd)에서 제 1 트랜지스터(T10)의 문턱 전압(Vth10)을 뺀 값(Vdd - Vth10)보다 커질 수 있고, 이상적으로는 전원 전압(Vdd)에 근접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분리된 커패시터 없이도 제 1 기생 용량(C10)에 의해서 출력 전압(Vo)을 높일 수 있다.
제 1 기생 용량(C10)과 제 2 기생 용량(C20)이 같이 있는 경우, 승압 절 점(N13)에서의 승압 전압(ΔV)은 제 1 기생 용량(C10) 및 제 2 기생 용량(C20)의 결합에 의해서,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V = Vdd * (C10 / (C10 + C20))
한편, 제 1 기생 용량(C10)은 제 1 게이트(G1)와 제 1 소오스(S1)의 중첩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되고, 제 2 기생 용량(C20)은 제 3 게이트(G3)와 제 3 소오스(S3)의 중첩 면적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1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전개될 수 있다.
ΔV = Vdd * (W10 * L10 / (W10 * L10 + W30 * L30))
L10은 제 1 게이트(G1)와 제 1 소오스(S1)의 중첩 길이를 나타내고, L30은 제 3 게이트(G3)와 제 3 소오스(S3)의 중첩 길이를 나타낸다. W10은 제 1 트랜지스터(T10)의 채널 폭을 나타내고, W30은 제 3 트랜지스터(T30)의 채널 폭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제 1 게이트(G1)와 제 1 소오스(S1) 사이의 유전 상수와 제 3 게이트(G3)와 제 3 소오스(S3) 사이의 유전 상수는 같은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이 실시예가 이러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 수학식 1 및 2로부터, 제 1 기생 용량(C10)을 크게 하고 제 2 기생 용량(C20)을 작게 할수록 승압 전압(ΔV)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제 1 게이트(G1)와 제 1 소오스(S1)의 중첩 길이(L10) 및/또는 제 1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W10)을 크게 할수록, 제 3 게이트(G3)와 제 1 소오스(S3)의 중첩 길이(L30) 및/또는 제 3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W30)을 작게 할수록 승압 전압(ΔV)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기생 용량(C10) 및 제 2 기생 용량(C20)은 벌크 기판을 이용한 경우보다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에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인버터 소자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기판(105) 상에 절연층(110)을 개재하여 바닥 게이트 전극(115)이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20)은 바닥 게이트 전극(115)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채널층(125)은 게이트 절연층(12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소오스 전극(130) 및 드레인 전극(140)은 채널층(125) 상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바닥 게이트 전극(115) 상에 채널층(125), 소오스 전극(130) 및 드레인 전극(140)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역전 구조(inverted structure)로 불릴 수 있다.
바닥 게이트 전극(115)은 도 3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게이트(G1, G2, G3)에 대응될 수 있다. 소오스 전극(130)은 도 3의 제 1, 제 2 또는 제 3 소오스(S1, S2, S3)에 대응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40)은 도 3의 제 1, 제 2 또는 제 3 드레인(D1, D2, D3)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층(125)은 반도체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 산화물은 아연 산화물(예컨대, ZnO), 주석 산화물(예컨대, SnO2), 인듐-주석 산화물(예컨대, ITO), 인듐-아연 산화물(예컨대, IZO), 구리 산화물(예컨대, Cu2O), 니켈 산화물(예컨대, NiO), 티타늄 산화물(예컨대, TiO2), (알루미늄, 갈륨, 인듐)-도핑된 아연 산화물(ZnO), (질소, 인, 비소)-도핑된 아연 산화물(ZnO) 또는 비정질-GIZO(예컨대, Ga2O3-In2O3-ZnO)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채널층(125)은 비정질-실리콘, 폴리-실리콘, 게르마늄(Ge)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게이트 전극(115)과 소오스 전극(130) 사이 또는 바닥 게이트 전극(115)과 드레인 전극(140) 사이의 중첩 길이(Lo)는 소오스 전극(130) 또는 드레인 전극(14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205) 상에 채널층(240)이 제공되고, 채널층(240) 양측에 소오스 전극(230) 및 드레인 전극(240)이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220)은 채널층(225) 상에 제공되고, 상부 게이트 전극(215)은 게이트 절연층(22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부 게이트 전극(215)이 채널층(225), 소오스 전극(230) 및 드레인 전극(240) 상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5의 구조와 대비될 수 있다.
상부 게이트 전극(215)은 도 3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게이트(G1, G2, G3)에 대응될 수 있다. 소오스 전극(230)은 도 3의 제 1, 제 2 또는 제 3 소오스(S1, S2, S3)에 대응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240)은 도 3의 제 1, 제 2 또는 제 3 드레인(D1, D2, D3)에 대응될 수 있다.
상부 게이트 전극(215)과 소오스 전극(230) 사이, 또는 상부 게이트 전극(215)과 드레인 전극(240) 사이의 중첩 길이(Lo)는 상부 게이트 전극(210)의 게이트 길이를 조절하거나 소오스 전극(230) 또는 드레인 전극(2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부 게이트 전극(210)의 치수는 엄격히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소오스 전극(230) 또는 드레인 전극(240)의 위치 조절이 더 선호될 수 있다.
다만, 소오스 전극(230) 또는 드레인 전극(240)의 위치 조절 후 상부 게이트 전극(210)의 정렬을 다시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도 5의 역전 구조가 도 6의 보통 구조에 비해서 중첩 길이(Lo) 조절 면에서는 더 용이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인버터 소자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얻어진 게이트 전압-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7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중첩 길이-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결과이고, 중첩 길이(Lo)는 도 3에서 제 1 게이트(G1)와 제 1 소오스(S1)의 중첩 길이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중첩 길이(Lo)가 커질수록 포화 상태의 전류 값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전류는 도 3의 출력 절점(N12)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를 나타낸다. 이러한 출력 전류의 상승은 도 3에서 출력 전압(Vo)의 상승을 의미하고, 결과적으로 동작 속도의 상승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첩 길이(Lo)를 크게 함으로써, 출력 전압(Vo)을 높일 수 있고, 동작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 길이(Lo)가 약 0.1 ㎛ 보다 큰 경우 출력 전류가 거의 포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출력 전압(Vo) 상승을 위해서는 중첩 길이(Lo)를 약 0.1 ㎛ 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인버터 소자들의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2 및 도 3의 인버터 소자들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얻어진 시간-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Vi)에 대해서 도 3의 인버터 소자에 대한 출력 전압(VO3)과 도 2의 인버터 소자에 대한 출력 전압(VO2)이 비교될 수 있다. 출력 전압(VO3)은 하이 레벨에서 약 5V이고, 로우 레벨에서 약 0.7V이다. 출력 전압(VO2)은 하이 레벨에서 약 5V이고, 로우 레벨에서 약 0.17V이다. 한편, 신호 전파 시간은 출력 전압(VO3)의 경우 약 0.75 ns이고, 출력 전압(VO2)의 경우 약 4.5 ns이다. 따라서, 도 3의 인버터 소자는 도 2의 인버터 소자와 비교해서, 하이 레벨의 출력은 유사하나 신호 전파 시간 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도 1 및 도 3의 인버터 소자들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얻어진 시간-전압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입력 전압(Vi)에 대해서 도 3의 인버터 소자에 대한 출력 전압(VO3)과 도 1의 인버터 소자에 대한 출력 전압(VO1)이 비교될 수 있다. 출력 전 압(VO3)은 하이 레벨에서 약 4.7V이고, 로우 레벨에서 약 0.43V이다. 출력 전압(VO1)은 하이 레벨에서 약 4.3V이고, 로우 레벨에서 약 0.7V이다. 한편, 신호 전파 시간은 출력 전압(VO3)의 경우 약 1.6 ns이고, 출력 전압(VO1)의 경우 약 1.7 ns이다. 따라서, 도 3의 인버터 소자는 도 1의 인버터 소자와 비교해서, 신호 전파 시간 면에서는 유사하지만 하이 레벨 출력 면에서는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3의 인버터 소자들의 7-레벨 체인 구조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얻어진 시간-전압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입력 전압(Vi)에 대해서 도 3의 인버터 소자들의 체인에 대한 출력 전압(VO3), 도 1의 인버터 소자들의 체인에 대한 출력 전압(VO1) 및 도 2의 인버터 소자들의 체인에 대한 출력 전압(VO2)이 비교될 수 있다. 출력 전압(VO1)은 하이 레벨에서 약 1.9V이고, 로우 레벨에서 약 1.58V이며, 약 6 ns의 신호 전파 시간을 갖는다. 출력 전압(VO2)은 하이 레벨에서 약 3.4V이고, 로우 레벨에서 약 0.21V이며, 약 38 ns의 신호 전파 시간을 갖는다. 출력 전압(VO3)은 하이 레벨에서 약 2.5V이고, 로우 레벨에서 약 1.2V이며, 약 6 ns의 신호 전파 시간을 갖는다.
따라서, 도 3의 인버터 소자들의 체인 구조를 이용하여 충분한 하이 레벨 출력을 얻고 동시에 신호 전파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은 통상적인 E/E 모드의 인버터 소자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2는 통상적인 E/D 모드의 인버터 소자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소자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인버터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인버터 소자에서 트랜지스터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들이고;
도 7은 도 3의 인버터 소자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얻어진 게이트 전압-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7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중첩 길이-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2 및 도 3의 인버터 소자들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얻어진 시간-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도 1 및 도 3의 인버터 소자들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얻어진 시간-전압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그리고
도 11은 도 1 내지 도 3의 인버터 소자들의 7-레벨 체인 구조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얻어진 시간-전압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19)

  1. 제 1 게이트, 제 1 소오스 및 제 1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레인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소오스에서 출력 전압이 출력되는, 제 1 트랜지스터;
    제 2 게이트, 제 2 소오스 및 제 2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게이트에 입력 전압인 인가되고, 상기 제 2 드레인은 상기 출력 전압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 1 소오스에 연결된, 제 2 트랜지스터; 및
    제 3 게이트, 제 3 소오스 및 제 3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드레인에 상기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소오스가 상기 제 1 게이트에 연결된, 제 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는 분리된 커패시터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내부적으로 용량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는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에 의한 제 1 기생 용량에 의해서 용량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게이트 위에 상기 제 1 소오스 및 상기 제 1 드레인이 존재하는 역전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 길이는 0.1 ㎛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소오스는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소오스의 중첩에 의한 제 2 기생 용량에 의해서 용량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는 박막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게이트 위에 상기 제 1 소오스 및 상기 제 1 드레인이 존재하는 역전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오스는 접지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3 트랜지스터는 인핸스먼트-모드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11. 제 1 게이트, 제 1 소오스 및 제 1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레인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소오스에서 출력 전압을 출력되는, 부하 트랜지스터;
    제 2 게이트, 제 2 소오스 및 제 2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게이트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드레인은 상기 출력 전압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 1 소오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소오스가 접지부에 연결된, 입력 트랜지스터; 및
    제 3 게이트, 제 3 소오스 및 제 3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드레인에 상기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소오스가 상기 제 1 게이트에 연결된, 예비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는 분리된 커패시터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에 의한 제 1 기생 용량에 의해서 용량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
  12. 제 1 항의 인버터 소자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에 의한 제 1 기생 용량에 의해서 상기 출력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1 게이트에 유도되는 승압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생 용량의 용량은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 면적에 의해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 면적은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 길이에 의해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제 1 소오스의 중첩 면적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에 의해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전압의 크기는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소오스의 중첩에 의한 제 2 기생 용량에 의해서 더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생 용량의 용량은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소오스의 중첩 면적에 의해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소오스의 중첩 면적은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소오스의 중첩 길이에 의해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게이트 및 상기 제 3 소오스의 중첩 면적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에 의해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소자의 동작 방법.
KR1020080057488A 2008-06-18 2008-06-18 인버터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KR101539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488A KR101539667B1 (ko) 2008-06-18 2008-06-18 인버터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US12/318,727 US7888972B2 (en) 2008-06-18 2009-01-07 Logic circuits, inverter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EP09163005A EP2136471A3 (en) 2008-06-18 2009-06-17 Logic circuits, inverter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JP2009144734A JP5436062B2 (ja) 2008-06-18 2009-06-17 インバータ素子及びその動作方法
US12/926,475 US8058907B2 (en) 2008-06-18 2010-11-19 Logic circuits, inverter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488A KR101539667B1 (ko) 2008-06-18 2008-06-18 인버터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555A true KR20090131555A (ko) 2009-12-29
KR101539667B1 KR101539667B1 (ko) 2015-07-28

Family

ID=4089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488A KR101539667B1 (ko) 2008-06-18 2008-06-18 인버터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888972B2 (ko)
EP (1) EP2136471A3 (ko)
JP (1) JP5436062B2 (ko)
KR (1) KR101539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169A1 (ko) * 2022-03-30 2023-10-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출력특성이 개선된 인버터 및 부트스트랩 인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8103B2 (en) * 2010-09-15 2015-03-24 David K. Y. Liu Capacitively coupled logic gate
KR101713994B1 (ko) * 2010-12-29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지스터와 그 제조방법 및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KR101830170B1 (ko) * 2011-05-17 2018-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산화물 반도체 소자, 산화물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산화물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산화물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10608B1 (ko) * 2011-06-22 201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싱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광센싱 장치를 포함하는 광터치 스크린 장치
JP2013042117A (ja) * 2011-07-15 2013-02-2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2948A (en) * 1971-08-30 1975-10-14 Nat Semiconductor Corp Mos bootstrap inverter circuit
US3775693A (en) * 1971-11-29 1973-11-27 Moskek Co Mosfet logic inverter for integrated circuits
US3845324A (en) * 1972-12-22 1974-10-29 Teletype Corp Dual voltage fet inverter circuit with two level biasing
US4135102A (en) * 1977-07-18 1979-01-16 Mostek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inverter circuits
US4284905A (en) * 1979-05-31 1981-08-1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IGFET Bootstrap circuit
JPS609370B2 (ja) * 1980-12-24 1985-03-09 富士通株式会社 バッファ回路
US4725746A (en) 1981-10-20 1988-02-16 Kabushiki Kaisha Toshiba MOSFET buffer circuit with an improved bootstrapping circuit
US4649300A (en) * 1985-08-12 1987-03-10 Intel Corporation Bootstrap buffer
JPH0677806A (ja) * 1992-08-26 1994-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の出力回路
GB9520888D0 (en) * 1995-10-12 1995-12-13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thin-film circuitry
KR100248205B1 (ko) * 1997-06-25 2000-03-15 김영환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형성방법
JP3422921B2 (ja) * 1997-12-25 2003-07-07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6953947B2 (en) * 1999-12-31 2005-10-11 Lg Chem, Ltd.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US6788108B2 (en) 2001-07-30 2004-09-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2004153577A (ja) 2002-10-30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バータ回路
JP4339103B2 (ja) * 2002-12-25 2009-10-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表示装置
JP4321266B2 (ja) * 2003-10-16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バータ回路および表示装置
JP4207773B2 (ja) * 2003-12-22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バータ回路
JP3962953B2 (ja) * 2003-12-26 2007-08-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レベルシフト回路及び該レベルシフト回路を備えた信号出力回路
JP5164383B2 (ja) * 2006-01-07 2013-03-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TWI309922B (en) * 2006-02-14 2009-05-11 Au Optronics Corp Bootstrap inverter circuit
JP5525685B2 (ja) * 2006-10-17 2014-06-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529916B1 (ko) 2008-09-02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169A1 (ko) * 2022-03-30 2023-10-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출력특성이 개선된 인버터 및 부트스트랩 인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88972B2 (en) 2011-02-15
US8058907B2 (en) 2011-11-15
EP2136471A3 (en) 2012-11-28
JP2010004532A (ja) 2010-01-07
JP5436062B2 (ja) 2014-03-05
EP2136471A2 (en) 2009-12-23
US20110089998A1 (en) 2011-04-21
KR101539667B1 (ko) 2015-07-28
US20090315590A1 (en)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79277A1 (en) Shift register
US10396796B2 (en)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thin-film transistor logic gates
CN101154941B (zh) 一种用于减少功率消耗的电平偏移电路
US20070194834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7834677B2 (en) Transmission gate with body effect compensation circuit
KR101539667B1 (ko) 인버터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US9584101B2 (en) Rapid transition schmitt trigger circuit
US20080315246A1 (en) Transistor switch circuit and sample-and-hold circuit
JP2011139403A (ja) 電力供給制御回路
EP3070848B1 (en) Nand gate circuit, display back panel,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20090261867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voltage output circuit
US8896363B2 (en) Analog switching circuit, associated control circuit and method
US20110057714A1 (en) High Voltage Switch Utilizing Low Voltage MOS Transistors with High Voltage Breakdown Isolation Junctions
JPH0382151A (ja) Mos型半導体集積回路
JP2011103607A (ja) 入力回路
US20100301921A1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JPH0263319A (ja) 入力バッファ
CN116406495A (zh) 供功率转换应用的高速电平转换器
US20120241859A1 (en) Switch circuit using ldmos element
US20140264578A1 (en) Switch circuit using ldmos device
KR100943708B1 (ko) 레벨 시프트 회로
US9160334B2 (en) Semiconductor device
US8723581B1 (en) Input buffers
US20060049860A1 (en) Voltage supply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US8436659B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reducing electrical stress on a transis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