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431A - 내수성 도어 표면재 - Google Patents

내수성 도어 표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431A
KR20090131431A KR1020080057298A KR20080057298A KR20090131431A KR 20090131431 A KR20090131431 A KR 20090131431A KR 1020080057298 A KR1020080057298 A KR 1020080057298A KR 20080057298 A KR20080057298 A KR 20080057298A KR 20090131431 A KR20090131431 A KR 20090131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veneer
door surface
surface material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394B1 (ko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57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394B1/ko
Publication of KR2009013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0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8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woo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수성이 강화된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소재(1), 부직포(2), 바인더(3) 및 무늬목(4)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직포(2)는 상기 플라스틱 소재(1) 양면에 열압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어, 합성수지도어, 플라스틱도어, 목분, 무늬목, 목무늬

Description

내수성 도어 표면재{WATER-RESISTANT DOOR SUFACE MATERIAL}
본 발명은 욕실용 출입문 등 고온·다습한 환경하에 사용하기 위한 내수성이 강화된 플라스틱 무늬목 도어 표면재에 관한 것이다.
원목이나 베니어합판 등 목재는 가정이나 업소등의 욕실용 출입문의 재료로 이용되어 진다. 목재를 이용한 원목 도어는 고급스러운 반면, 오랜시간 사용하게 되면 비틀림현상에 의해 도어가 비틀어지거나 갈라지는 등의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고, 베니어 합판을 이용할 경우에는 습기 등에 의해 갈라지는 현상과 내충격성이 약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이 수입산 원목을 사용함에 따라 제품의 가격이 비싸지는 점, 수급 재료의 원활한 공급이 어려운 점 및 자연환경을 훼손하는 점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실내용 도어 제작시 통상적으로는 원목 대신 합성수지나 MDF(Midium density Fiberboard : 원목을 제재하고 남은 폐재를 분쇄하여 화공약품과 함께 압축, 성형하여 만든 밀도 높은 목재를 말한다. 즉 나무섬유를 단단히 이겨붙인 합성판으로서, 통상적으로 3 mm 에서부터 30 mm 두께까지의 것이 있다.)에 무늬목을 붙착하여 도어 표면재를 제작하고 있다.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도어는 내습성 및 내충격성이 좋고, 가격도 원목 도어에 비해 저렴하여 통상적으로 원목 도어의 경우보다 널리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종래의 무늬목 도어는 통상적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다.
PVC(Polyvinylchloride)나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등의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도어를 지지하는 사각 형틀을 만들고, PVC(Polyvinylchloride)나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를 이용하여 금형에 의해 판재형상으로 만든 플라스틱 판재에 무늬목을 접착제로 붙여 전면판 및 후면판을 조성한 후, 전면판과 후면판의 가운데 즉, 도어의 내측에 중간충진재로 합성수지를 발포충진하거나, 벌집모양의 종이보강재(honey comb)등을 충진하여 도어용 보드를 생산한다. 상기 도어용 보드를 요구되는 도어의 크기별로 테두리를 재단하여 도어를 최종 제작하게 된다.
상기 플라스틱 판재와 무늬목 붙착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수용성 접착제이며, 플라스틱 판재와 무늬목 사이에 부직포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부직포는 물리적 성질이 다른 플라스틱 판재와 무늬목 사이에서 도어의 변형을 완충하는 역활을 한다. 플라스틱 판재와 무늬목 사이에 부직포가 더 추가된 경우 플라스틱 판재 위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직포를 붙인 후에 무늬목을 그 위에 붙 착하게 된다.
MDF(Midium density Fiberboard)를 이용하여 실내용 도어를 제작하는 종래의 방법은 플라스틱 판재 대신에 전면판 및 후면판으로 엠디에프보드(MDF:Midium density Fiberboard)를 부착하고 그 표면에 PVC(Polyvinylchloride)필름이나 무늬목 등의 마감재를 부착하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욕실용 출입문으로 사용하는 무늬목 도어는 일정두께의 MDF(Midium density Fiberboard)에 약 0.2mm 정도로 얇게 켜서 만든 원목을 무늬목 표면재로서 부착하여 제조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무늬목 도어에 대한 선행문헌으로는 하기 문헌 1 내지 문헌 2에서 개시된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문헌 1은 난연첨가제가 배합된 난연PVC(Polyvinylchloride)시트 및 난연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시트를 포함하는 방염성능을 지닌 합성수지 도어의 합성수지 표면재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문헌 2는 서로 다른 문양이 인쇄된 여러개의 인쇄층 조각을 모자이크 형태로 배열함과 아울러, 진공 성형에 의한 음각부를 구비하여 도어의 표면을 다양하게 연출하는 모자이크 형태의 표면재를 갖는 도어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헌 1 내지 문헌 2에 개시된 무늬목 도어는 본원발명과 기술적 구성에 있어 일부 유사한 점이 있을 수 있으나, 내수성 강화에 관한 구성이 없 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큰 차이점이 있다.
[ 문 헌 1 ] KR 10-2003-0024409 A. 2003.04.17.
[ 문 헌 2 ] KR 20-2002-0015962 A. 2002.05.24.
상술한 바와 같이, 무늬목 도어는 원목 도어에 비해 값이 싸면서도 원목의 느낌을 그대로 살릴 수 있으며, 수분 저항성도 크므로 욕실 등의 습기가 많은 환경에 사용되는 출입문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늬목 도어가 천연목도어에 비해 뛰어난 수분 저항성이 있기는 하지만, 전면판 및 후면판을 MDF(Midium density Fiberboard)로 조성한 도어에 있어서는 이들 부분의 수분 흡수율이 높아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욕실과 같은 고온·다습 환경하에서 MDF(Midium density Fiberboard)가 습기를 흡수하고 부피가 팽창하여 도어가 부분적으로 썩거나 들뜨는 현상 등 하자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MDF를 사용하지 않고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그 위에 무늬목을 접착한 경우라도 합성수지에 무늬목을 붙착하기 위하여 내수성이 약한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용성 접착제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무늬목와 합성수지의 접착력이 약해지는 결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현상은 샤워보다는 입욕을 즐기는 우리나라 고유의 욕실문화에서 비록된 것으로서, 욕실용 도어에 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발생된다. 이러한 문 제점 때문에 가까운 일본에서는 욕실의 환경에 인접한 도어에는 목재 대신 알루미늄 또는 유리를 접목한 도어를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유럽에서도 유리를 사용한 도어을 욕실문에 적용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합성수지 도어에 있어서 원목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내수성이 강한 합성수지 무늬 목도어의 개발 요구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소재(1), 부직포(2), 바인더(3) 및 무늬목(4)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2)는 상기 플라스틱 소재(1) 양면에 열압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3)는 변성 우레탄계 수지 15 ~ 20 중량%, 변성 멜라민계 수지 70 ~ 80 중량% 및 경화제 5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3)의 점도는 20,000 ~ 25,000 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1)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에이비에스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조합인 합성수지 및 목분, 옥수수분말, 왕겨 및 감자전분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조합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1)는 폴리프로필렌 50 ∼ 70 중량% 및 목분 3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늬목(4) 위에 투명 코팅층(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를 제공한다.
또한, 합성수지 및 셀룰로오스을 혼합하고 이를 압출 성형하여 플라스틱 소재(1)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 소재(1) 양면에 부직포(2)를 열압착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2)가 열압착된 플라스틱 소재(1)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바인더(3)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3)면에 무늬목(4)을 위치시키고 열프레스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1) 양면에 부직포(2)를 열압착하는 단계는 압착롤러에 의하고, 롤러온도는 80 ~ 100 ℃, 라인 스피드는 2 ~ 4 m/min, 롤압은 20 ~ 100 kg/cm2 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무늬목 도어의 제작시 사용되는 MDF(Midium density Fiberboard)를 사용하지 않는 바, 내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무늬목 도어 제조방법과 달리 부직포를 플라스틱 소재에 붙착시에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내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합성수지 도어 제작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내수성이 강화된 특정 조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내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어용 표면재는 플라스틱 소재(1), 부직포(2), 바인더(3) 및 무늬목(4)로 구성된다.
상기 플라스틱 소재(1)는 합성수지 및 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이를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에이비에스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은 높은 기계적 강도, 내약품성, 내열성 및 강한 내수성을 가지므로 습기가 많은 장소의 도어 표면재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은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방출하지 않아 주로 실내용으로 사용되는 도어 표면재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오스는 목분, 옥수수분말, 왕겨 및 감자전분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적으로 셀룰로오스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목분은 나무 고유의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소재(1)가 원목 느낌을 갖게 하는데에 유리한 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플라스틱 소재(1)는 내수성 강화 측면에서 합성수지 및 셀룰로오스의 비율은 특정·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분 등 셀룰로오스가 많이 사용되게 되면, 내수성 플라스틱 함량 비율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도어 표면재의 내수성,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 등이 좋지 않게되므로 셀룰로오스는 50 중량%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플라스틱 소재(1)는 폴리프로필렌과 목분 복합물로서, 폴리프로필렌 50 ∼ 70 중량%, 잘 건조한 목분 30 ∼ 50 중량%를 혼합한 것을 상기 수지가 용해되는 온도로 가열시키고, 혼합한 것을 두께 2 ∼ 4 ㎜ 판상 으로 압출성형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 표면재는 부직포(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부직포(2)는 부직포(2)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원료 섬유를 말한다.
부직포(2)는 상기 플라스틱 소재(1)의 양면에 열압착하는 방법으로 붙착된다. 플라스틱 소재(1)가 판상으로 압출 성형되어 나오면 압출온도가 약 210 ~ 240 ℃ 정도인데, 여기에 부직포(2)를 위치시키고 상기 플라스틱 소재(1)가 냉각되기 전에 80 ~ 100 ℃의 롤러로 압착하면 부직포(2)는 접착제 없이도 플라스틱 소재(1)에 붙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이와 같이 부직포(2)가 열압착 하는 방법으로 플라스틱 소재(1)에 붙착되는 구성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부직포(2)와 플라스틱 소재(1)의 붙착시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도어 전체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사용량을 줄임으로 인해 내수성이 강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부직포(2)가 플라스틱 소재(1)에 압출과 동시에 붙착되므로 공정이 간단해져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 부직포(2)는 상기 복합재료를 혼합한 플라스틱 소재(1)의 변형을 막고 후공정에서의 무늬목(4)와 플라스틱 소재(1)의 접착시에 높은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한 접착 매게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직포(2)는 솜, 비스코스레이온 및 통상적으로 부직 포(2) 제작시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직포(2)는 폴리에스터인 것을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표면재의 제조에 있어서는, 부직포(2)는 60g ~ 80g/m2 의 두께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인더(3)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층을 말한다.
접착제는 변성 우레탄 수지, 변성 멜라민 수지 및 경화제가 적량 첨가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는 본 발명의 도어 표면재의 내수성을 강화하기 위한 또 하나의 구성으로 매우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제의 조성 및 조성비 역시 접착제의 특징을 한정하는 구성으로 중요한 것이다.
우레탄 수지는 표면이 매우 부드러우며, 마찰저항성이 양호하고, 신축성, 유연성, 굴곡성, 내약품성, 내한·내열성 등 아주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내수성이 강하여 방수제, 방수용 도료, 방수용 접착제 등에 사용되고 있으나, 열에 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멜라민 수지는 열에 강한 특성이 있어 이들을 조합하면 내수성이 우수하고 열에도 강한 접착제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변성 우레탄 수지 및 변성 멜라민 수지의 최적의 조합을 찾아내었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변성 우레탄계 수지 15 ~ 20 중량%, 변성 멜라민계 수지 70 ~ 80 중량% 및 경화제 1 ~ 5 중량% 인 것이 내수성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종류는 통상의 경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화제로 무수푸탈산과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의 점도는 중요하다. 접착제의 무늬목(4)과의 접착능력은 접착제의 점도가 높을수록 좋아진다. 그러나 점도가 너무 높을 경우 접착제 도포 작업시 도포 작업 중에 접착제가 굳어버려 공정상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도 무늬목 접착시 무늬목 위로 접착제가 배어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여 열프레스 공정에서 프레스판에 무늬목이 붙어버리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접착제의 점도는 20,000 ~ 25,000 cps (25℃ 측정시)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늬목은 통상적으로 무늬목 도어에 사용될 수 있는 무늬목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늬목의 수종은 너도밤나무, 벗나무, 단풍나무, 참나무, 호도나무가 있다.
본 발명의 무늬목(4) 도어 표면재는 무늬목(4)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무늬목(4) 표면 위에 추가로 투명 코팅층(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투명 코팅층(5)은 통상의 무늬목(4) 제작시 표면 보호를 위해 부착되는 박판 의 투명층이 아닌 별도의 후막 투명층으로 구비되며, 표면 경도가 우수한 합성수지, 일례로 PVC(polyvinyl chloride), PMMA(polymethymethacrylate), PS(polystyrene) 또는 PC(polycarbonate)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투명 코팅층(14)은 스크래치에 의한 무늬목(4)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코팅층에 적량의 염료를 첨가하는 경우 무늬목(4)지와 시각적으로 중첩되어 독특한 표면 디자인을 연출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설명한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제조방법은
합성수지 및 셀룰로오스을 혼합하고 이를 압출 성형하여 플라스틱 소재(1)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 소재(1) 양면에 부직포(2)를 열압착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2)가 열압착된 플라스틱 소재(1)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바인더(3)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3)면에 무늬목(4)을 위치시키고 열프레스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수지 및 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이를 압출 성형하여 플라스틱 소재(1)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상술한 합성수지 및 셀룰로오스를 혼합재료를 압출 성형한다. 플라스틱 소재(1)를 판상으로 압출·성형하는 방법은 도어용 표면재 제조에 관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종래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2)를 열압착하는 단계에서는, 부직포(2)가 상기 플라스틱 소재(1) 양면에 열압착된다. 상술하였듯이 부직포(2)는 소재 간의 접착력을 좋게하므로 본 발명의 도어용 표면재를 사용하여 문을 제조하는 경우에 유용한 구성이다.
부직포(2)가 열압착되는 공정에서의 롤러의 온도, 롤압, 라인의 속도는 부직포(2)와 플라스틱 소재(1)간의 접착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하다. 롤러의 온도, 롤압이 낮고, 라인 속도가 높을 경우 플라스틱 소재(1)와 부직포(2)의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생산성 향상의 측면에서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소재(1) 양면에 부직포(2)를 열압착하는 단계는 압착롤러에 의하고, 롤러온도는 80 ~ 100 ℃, 라인 스피드는 2 ~ 4 m/min, 롤압은 20 ~ 100 kg/cm2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3)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접착제는 상술한 상기 조성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이를 아무런 제한없이 통상의 접착제 도포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의 예시로 스프레이 분사법, 롤스프레다 도포법 등이 있다.
상기 열프레스 단계에서, 열프레스방법은 아무런 제한없이 종래의 기술을 사 용할 수 있다. 열프레스 단계는 통상적으로 1 ~ 5분 정도 진행된다.
본 발명의 도어용 플라스틱 표면재를 사용하여 최종품인 도어를 만드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표면재는 전면판 및 후면판을 구성한다. 즉 도어 제작을 위해서 적어도 본 발명의 표면재는 2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을 허니콤 충진재를 중심으로 무늬목이 위치한 면의 반대측면을 접착제로 접착시켜 최종품인 도어를 구성하게 된다. 허니콤 충진재는 도어 제작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서, 도어의 내충격성을 강화하고 전면판 및 후면판의 공간을 메우기 위해 사용되는 육각형 벌집 모양의 충진재(honey comb)이다. 본 발명의 표면재를 사용하여 도어 제작시 상기 허니콤 충진재는 어떠한 제한없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무늬목(4)이 붙착되지 않은 일면의 부직포(2)상에 도포되고, 허니콤 충진재와 프레스 접착된다. 이때 프레스 접착은 통상적으로 상온에서 약 12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프레스 접착이 끝나면 테노나를 이용하여 도어를 재단하며, 이후 도어의 디자인에 따라 추가적인 후속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 소재(1)로는 폴리프로피렌(polypropylene) 70 중량%, 및 목분 30 중량% 물질을 혼합하고 이를 압출 성형하여 플라스틱 소재(1)를 준비한다. 플라스틱 소재(1)는 약 3 mm 두께의 판상이다.
2) 상기 플라스틱 소재(1) 상하 양표면에는 폴리에스터 재질이고 80g/m2 두께의 부직포(2)를 위치시킨다. 상기 부직포(2)를 압착롤러를 사용하여 열압착하여 부직포(2)가 포함된 플라스틱 소재(1)를 얻는다. 이 때 롤러의 온도는 약 100 ℃이고, 롤압은 약 80 kg/cm2 이고, 공정 라인의 속도는 약 3 m/min 이었다.
3) 상기 플라스틱 소재(1)에 롤스프레더(roll spreader)를 사용하여 특별히 처방된 접착제를 40g/900mm*900mm 정도를 도포하여 바인더(3)를 형성한다. 이때 특별히 처방된 접착제는 변성 우레탄계 수지 17 중량%, 변성 멜라민계 수지 80 중량 %, 경화제 3 중량%인 것이다.
4) 상기 바인더(3) 위에 폭 150 ~ 300 mm의 습식 무늬목(4)을 하나씩 폭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킨다.
5) 상기 플라스틱 소재(1)와 습식 무늬목(4)을 1분 30초 정도 열프레스 한다. 열프레스 온도는 약 100 ℃이다.
6) 상기 5)의 과정을 한번 더 반복한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의 1), 2) 및 3) 공정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같게 하였다. 즉 플라스틱 소재(1) 대신 MDF(Midium density Fiberboard)에 통상적으로 접착에 사용되는 요소수지 접착제를 도포한 후, 4), 5) 및 6) 공정을 진행하여 도어용 표면재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 내열수성 테스트 1]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도어용 표면재와 비교예에 의해 제작된 도어용 표면재를 하기와 같은 조건에서 내열수성 테스트하였다.
(1) 조건
60℃, 습도 80%에서 4시간 방치 후 즉시 측정, 30분 상온 방치 후 다시 오븐시험(3 cycle) 및 80℃, 습도 95%에서 4시간 방치 후 즉시 측정, 30분 상온 방치 후 다시 오븐시험(4 cycle)의 2가지 조건의 총 7 cycle 실험.
(2) 결과
비교예는 1 cycle부터 변형 시작하여 7 cycle까지 최고 3.3 배(4.5 mm → 15 mm)까지 팽윤되고, MDF와 무늬목 박리도 4 cycle부터 시작됨.
실시예는 7 cycle까지 육안 팽윤 없으며, 무늬목(4) 박리도 없었음.
[ 내열수성 테스트 2]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도어용 표면재와 비교예에 의해 제작된 도어용 표면재를 하기와 같은 조건에서 내열수성 테스트하였다.
(1) 조건
100 ℃ 끓는물에 4시간 방치 후 자연박리 여부 관찰(1 cycle).
(2) 결과
실시예는 자연박리 없음.
비교예는 모서리 부분의 MDF와 무늬목의 박리가 육안으로 관찰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표면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라스틱 소재 2 : 부직포
3 : 바인더 4 : 무늬목
5 : 투명코팅층

Claims (8)

  1. 플라스틱 소재(1), 부직포(2), 바인더(3) 및 무늬목(4)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2)는 상기 플라스틱 소재(1) 양면에 열압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3)는 변성 우레탄계 수지 15 ~ 20 중량%, 변성 멜라민계 수지 70 ~ 80 중량% 및 경화제 5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3)의 점도는 20,000 ~ 25,000 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1)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에이비에스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조합인 합성수지 및 목분, 옥수수분말, 왕겨 및 감자전분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조합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1)는 폴리프로필렌 50 ∼ 70 중량% 및 목분 3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의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목(4) 위에 투명 코팅층(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7. 합성수지 및 셀룰로오스을 혼합하고 이를 압출 성형하여 플라스틱 소재(1)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 소재(1) 양면에 부직포(2)를 열압착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2)가 열압착된 플라스틱 소재(1)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바인더(3)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3)면에 무늬목(4)을 위치시키고 열프레스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1) 양면에 부직포(2)를 열압착하는 단계는 압착롤러에 의하고, 롤러온도는 80 ~ 100 ℃, 라인 스피드는 2 ~ 4 m/min, 롤압은 20 ~ 100 kg/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도어 표면재 제조방법.
KR1020080057298A 2008-06-18 2008-06-18 내수성 도어 표면재 KR101476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298A KR101476394B1 (ko) 2008-06-18 2008-06-18 내수성 도어 표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298A KR101476394B1 (ko) 2008-06-18 2008-06-18 내수성 도어 표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431A true KR20090131431A (ko) 2009-12-29
KR101476394B1 KR101476394B1 (ko) 2014-12-24

Family

ID=4169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298A KR101476394B1 (ko) 2008-06-18 2008-06-18 내수성 도어 표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3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197B1 (ko) * 2015-09-11 2016-06-07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수용성 접착제를 이용한 목재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US9956746B2 (en) 2013-12-17 2018-05-01 Hyundai Motor Company Wood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94136A (ko) * 2019-07-26 2019-08-12 (주)엘지하우시스 방향 창호용 프로파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022B1 (ko) 2015-07-13 2017-12-28 김미숙 목재패널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도어
KR102653927B1 (ko) 2023-12-15 2024-04-02 모던라인 주식회사 준불연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548A (ko) * 1996-10-16 1997-01-21 이규식 무늬목의 제조방법과 장치 및 그 무늬목
KR200263325Y1 (ko) * 2000-12-29 2002-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KR200354017Y1 (ko) * 2004-02-24 2004-06-23 아이도어 주식회사 기능성 플라스틱 도어
KR100729595B1 (ko) * 2006-09-29 2007-06-18 주식회사 영화산업 목분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이용한 티-다이 압출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6746B2 (en) 2013-12-17 2018-05-01 Hyundai Motor Company Wood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906275B2 (en) 2013-12-17 2021-02-02 Hyundai Motor Company Wood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25197B1 (ko) * 2015-09-11 2016-06-07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수용성 접착제를 이용한 목재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4136A (ko) * 2019-07-26 2019-08-12 (주)엘지하우시스 방향 창호용 프로파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394B1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2827B (zh) 用于制造夹层板的方法
CN101934538B (zh) 一种无甲醛竹材集成材及其制造方法
US20090113830A1 (en) Composite garage doors and processes for making such doors
JPH0239383B2 (ko)
JP2733641B2 (ja) 建築用板
US1021398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composite, the timber composite obtained and decorative panels comprising such timber composite
KR101979065B1 (ko)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EP312922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composite
JP5358402B2 (ja) 積層材の製造方法
KR20090131431A (ko) 내수성 도어 표면재
JP2018003358A (ja) 木質複合基材および床材
AU2008325167B2 (en) Thin-layer lignocellulose composites having increased resistance to moistur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3692502B (zh) 用作装饰型材基材的无纺布增强型单板层积材的制造方法
JP5052435B2 (ja) 積層材の製造方法
CN205553442U (zh) 无甲醛单板基材装饰板
JPH11210325A (ja) 窓台及びその製法
JP2007009483A (ja) 耐傷性・高硬度木質複合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799004A (zh) 一种无甲醛重组集成材及其制造方法
JPH08224705A (ja) 複合板の製造方法
KR101977400B1 (ko)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JP2733643B2 (ja) 建築用板
JPH04144705A (ja) 複合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856277U (zh) 一种新型细木工板
CN201989207U (zh) 竹木复合载货汽车车厢栏板
JP3023659B2 (ja) 建築用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