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400B1 -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 Google Patents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400B1
KR101977400B1 KR1020180079128A KR20180079128A KR101977400B1 KR 101977400 B1 KR101977400 B1 KR 101977400B1 KR 1020180079128 A KR1020180079128 A KR 1020180079128A KR 20180079128 A KR20180079128 A KR 20180079128A KR 101977400 B1 KR101977400 B1 KR 10197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decorative sheet
adhesive film
lay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현
채종윤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스지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스지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에스에스지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07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가 아닌 접착필름층을 구비한 인테리어 장식 시트 또는 패널에 직접 접착필름층을 적층한 구조로 제조하여 이렇게 적층된 접착필름층을 이용하여 열융착에 의해 피착재 패널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장식용 패널을 매우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고품질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Interior decorative sheet with adhesive film and decorative panel using it}
본 발명은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가 아닌 접착필름층을 구비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 또는 패널에 직접 접착필름층을 적층한 구조로 제조하여, 이렇게 적층된 접착필름층을 이용하여 열융착에 의해 피착재 패널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장식용 패널을 매우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고품질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장소재로서 목재로 만들어지는 패널은 촉감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자연적인 색상과 무늬를 나타내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실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목재로 이루어진 내장재는 가공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학습용이나 사무용의 테이블, 식탁용 테이블, 책장이나 옷장과 같은 가구, 문 등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각종 건축물의 실내장식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목재 패널은 원목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목 패널은 무게가 무겁고 비용이 비싸서 이를 널리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수분에 취약하여 수분이나 습기에 노출되면 원목의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기 때문에 원목이 비틀어지거나 깨지는 등 다양한 원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에는 이러한 목재 패널로서 얇은 베니어 제품이나 압축목재 등이 사용되고 얇은 베니어를 여러 겹 겹쳐서 만든 합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합판의 경우도 사용성이나 데코레이션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각종 가구나 내부 장식용으로 널리 활용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외부의 습기 등으로 인해 합판의 적층상태가 박리되거나 이완되어 원래의 형태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그 합판표면에 별도로 보호필름을 코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종래 인테리어 장식용 패널은 합판의 표면에 합성수지재 보호필름을 단순하게 접착하여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고 장식성을 다양하게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 보호필름의 접착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우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패널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어 품질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서,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101817호에서는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합판의 표면을 사포(砂布: Sand paper)로 문질러 합판의 까칠까칠한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표면처리단계와; 매끄럽게 표면처리된 합판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도포하는 하도코팅층 형성단계와; 상기 하도코팅층의 표면에 핫멜트(Hot melt)형 접착제를 도포하는 열융착층 형성단계와; 상기 열융착층의 표면에 대하여 각종 문양이 인쇄된 종이나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배치한 상태에서 200∼250℃의 온도로 유지되는 다수개의 가열·압착롤러 사이를 5m/min의 이송속도로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열융착층의 표면이 접착되도록 하는 표면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재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은 합판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도포하는 과정과 하도코팅층 표면에 핫멜트용 접착제를 코팅하는 과정에서 수지 및 접착제에서 발생하는 심한 냄새와 휘발성 유해가스로 인해 유해한 공정 조건에서 제품을 제조해야 하고, 합성수지 코팅과 접착제 코팅을 균일하게 해야 하는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어서 장식용 패널로 제작하는데 많은 어려움과 비경제적인 공정으로 인한 가격상승의 심각한 문제들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가구, 씽크대 문짝, 문틀 등 실내인테리어 소재에는 고가의 원목 대신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PB(Particle Board) 등의 저가의 패널 소재 표면에 원목무늬나 기타 다양한 무늬가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소재 표면에 부착되는 장식용 시트지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식용 시트지는 종이재질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서, 종이와 나무소재의 패널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통상 접착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접착제 사용시 환경오염 및 경화시간 소요, 얇은 종이로 접착제의 배어 나옴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서 개선의 요구가 절실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인쇄의 선명성 및 사실감을 높이고, 내구성, 내열성, 내오염성, 내용제성, 내약품성을 높이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장식용 시트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폴리프로필렌 소재와 나무 소재의 패널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통상 접착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건조, 경화시간의 소요, 접착제 베어 나옴 및 접착강도 약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개선의 요구가 절실하였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10181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테리어 장식용 패널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인테리어 장식용 필름의 구성을 통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며 고품질의 장식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패널에 접착하여 장식용 패널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접착제층에 의한 품질불량 문제가 없고 얇은 장식시트층을 사용하여도 목재 표면 등 피착물의 요철이 표현되지 않는 고품질의 장식용 패널로 제작할 수 있도록 접착필름을 구비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인체 유해성 문제가 없는 친환경 방법으로 장식용 패널에 접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신개념의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에 잡착필름층이 구비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접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착제가 별도로 필요 없고 별도의 접착제 배합 및 도포, 청소의 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간소화되며, 별도의 숙성시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한 제조공정으로 경제적이고도 고품질의 장식용 패널 제작이 가능하게 하는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접착필름층이 구비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접착필름층을 이용하는 열압착에 의해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접착함으로써 인테리어 내장재로 사용시에도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생성되지 않고 내구성과 접착 유지력이 우수한 장식용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필름층을 형성하여 장식용 패널을 제작하는 장식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종이, 합성수지 또는 섬유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시트층과 여기에 접착되는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된 접착필름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착필름층은 피착재의 표면에 열압착에 의해 접착이 가능한 소재로 장식시트층 이면에 합지되어 있는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 합성수지 또는 섬유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시트층을 준비하는 단계;
열가소성 고분자를 혼합하고, 압출필름성형이나 T-die 압출코팅에 의해 필름으로 형성하는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된 접착필름층 제조단계;
상기 장식시트층의 이면에 상기 단일 또는 3층의 접착필름층을 열압착에 의해 합지하여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피착재 패널의 표면에 적층되어 있되 상기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접착필름층이 피착재 패널의 표면에 맞닿아 열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일면에 적층된 접착필름층을 피착재 패널의 표면을 향해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적층된 후 가열 압착하여 접착필름층을 이용하여 피착재 패널의 표면에 열융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식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종이, 합성수지 또는 섬유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시트층을 준비하는 단계;
열가소성 고분자를 혼합하고, 압출필름성형이나 T-die 압출코팅에 의해 필름으로 형성하는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된 접착필름층 제조단계;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된 접착필름층을 피착재 패널의 일면에 열압착에 의해 합지하는 단계;
상기 장식시트층을 상기 피착재에 합지된 접착필름층의 표면에 위치시킨 후 열융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식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은 시트 접착 과정에서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고 접착필름층을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 조건에서 장식용 패널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접착제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의 제조공장 라인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생산라인을 구축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장식용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는 제조과정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접착제가 배어 나옴으로 인한 외관 불량의 문제나 장식용 패널의 제품 불량 문제가 전혀 없다.
또한, 접착필름층을 사용하여 장식용 패널의 제작이 가능함으로 인해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량 증대의 효과가 있다.
즉, 기존의 장식용 패널 제작과정에서 접착제의 사용시에는 접착제 준비 및 도포, 접착제의 건조 및 경화를 위한 별도의 숙성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라인의 길이가 길어지고, 숙성을 위해서는 최소 48시간이 소요되는 시간적 로스(LOSS) 및 별도의 적재공간의 요구로 인한 공간적 LOSS가 발생한다. 그러나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된 접착필름의 열융착에 의한 접착공정은 별도의 경화시간이 불필요하므로 공정이 간단하고 자동화 공정도 가능하여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 시간적 공간적 로스(LOSS)를 줄이고 연속 공정 구현, 공정을 간소화에 따른 생산속도 향상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공정이 단순화되어 전체 제조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매우 경제적이고도 신속하며 간편하면서 친환경적으로로 고품질의 인테리어에 널리 이용되는 장식용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일 구현예로서 필름층이 단일층인 구조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다른 구현예로서 필름층이 3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 예시 구조의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합판에 열융착되어 이루어진 장식용 패널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 예시 구조의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합판에 열융착되어 이루어진 장식용 패널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구현예로 기재된 실시예들은 그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기재되는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의 의미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부재, 성분, 또는 소재 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부재, 성분, 소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라 함은 실내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무늬가 있거나 또는 무늬가 없는 종이, 합성수지, 섬유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소재의 표면을 이루는 필름 자체 또는 여기에 접착필름층이 적층되어 있는 형태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좁은 의미로서는 실질적으로는 접착필름층이 라미네이트, 합지, 코팅 등으로 부착된 형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접착필름층이라 함은 접착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며, 실질적으로는 다른 필름이나 시트, 패널 등에 적층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층과는 다른 것이고 통상적인 필름형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장식용 패널이라 함은 통상적인 판재의 형태를 말하지만, 여기서는 실내 또는 실외에 사용되는 도어, 창문, 벽체, 가구, 마감재 등에 이용되는 판재, 프레임, 타일, 기둥, 창틀, 문틀, 구조물 형성재료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실질적인 구조물을 이루거나 또는 기존의 구조물이나 벽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식용 패널은 상기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코팅, 합지, 열융착, 열접착 등에 의해 부착된 것으로서, 그 재질은 전형적으로는 목재가 가능하고, 그 외에도 합성수지, 금속, 세라믹 등과 같이 건축물의 내장재, 외장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고 구조물로 형성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는 접착필름층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한 시트나 패널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 장식용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 접착제를 코팅하거나 합성수지를 코팅하는 등의 불편함이나 공정상의 번거로움, 그리고 접착제 성분으로 인한 유해성이 없도록 접착제를 코팅하지 않고 친환경적이면서 공정을 간소화하여 용이하게 제조하는데 유용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장식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로 제조될 수 있고,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되는 접착필름층을 이용하여 장식용 패널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는 종이, 합성수지 또는 섬유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재질의 것으로 다양한 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통상의 표면재로 이루어진 장식시트층을 가진다. 이러한 장식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종이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되는 접착필름층은 단일 또는 3층의 공압출 필름으로 열가소성 고분자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출필름성형 또는 T-die 압출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접착필름층은 장식시트층과 피착재 패널의 표면에 열융착 방법으로 합지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피착재는 상기 정의한 패널을 의미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목재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목재 패널’이라 함은 목재를 얇게 자른 판재 및 얇은 판재를 적층 접착하여 제조된 플라이 합판은 물론이고 MDF(Medium Density Fiberboard),HDF(High Density Fiberboard), 합판 또는 PB(Particle Board)를 통칭하여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접착필름층은 본질적으로는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 또는 3층 구조의 접착필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단일의 접착필름층은 예컨대 EVA(ethylene vinyl acetate),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 변성 PE(poly ethylene), PE(poly ethylene), VA(vinyl acetate)가 10~40 중량% 함유된 EVA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로서 예컨대 VA 함량이 10~40 중량%인 EVA :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 = 2-5 ; 8-5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VA 함량이 10중량% 미만이 함유되는 EVA를 사용하면 접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고 4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게 되면 접착필름층 형성시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VA 함량은 10중량%에서 40중량%를 함유하는 EV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조성 범위에 비해 VA 함량이 10~40 중량%인 EVA가 과량 사용되면 열융착시 피착재 패널이 목재인 경우 목재 패널 쪽으로 흡착되어 장식시트층과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너무 소량 사용되면 열융착시 접착필름층이 끈적이게 되어 압착 롤러에 눌어붙어 접착력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단일 필름층의 MI(Melt Index)는 2-40g/10min(190℃, 2.16kg)인 것이 바람직한데 MI가 2g/10min(190℃, 2.16kg)미만인 경우 피착재와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40g/10min(190℃, 2.16kg)을 초과하는 경우는 흡착으로 인한 피착재와의 접착력 저하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3층의 접착필름층은 예컨대 장식시트층에 접하는 제1필름층 부분은 VA가 10~40 중량% 함유된 EVA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 변성 PE(poly ethylene), PE(poly ethylene), 결정도가 낮은 폴리 알파 올레핀 코폴리머, PP(poly prop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피착재에 접하는 제2필름층 부분은 EVA,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 변성 PE(poly ethylene), PE(poly eth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3필름층은 PE(poly ethylene), PP, VA 함량이 10~40 중량% 함유된 EVA,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3필름층은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의 접착층이 서로 섞이지 않고 각각의 피착재에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배리어층 역할 및 굴곡성형성을 우수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필름층을 가지는 이러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는 기존에 제조된 바 없는 새로운 형태의 신개념의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로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접착필름층을 이용하여 피착재 패널에 열융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해 종래와는 달리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으로 장식용 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근간이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일 구현예로서 필름층이 단일의 접착필름층의 합지 구조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장식시트층, 20은 단일층의 접착필름층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다른 구현예로서 접착필름층이 3층으로 이루어진 합지 구조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장식시트층, 21, 22는 3층의 접착필름층으로서 21은 제1필름층, 22는 제2필름층, 23은 제3필름층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이용하여 인테리어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장식용 패널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장식용 패널은 기본적으로는 장식시트층과 여기에 접착되는 접착필름층, 그리고 피착재에 해당하는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에 합지된 상기 접착필름층이 피착재인 패널 표면에 열융착되어 있는 형태로 장식용 패널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에 단일 또는 3층의 접착필름층을 합지하고, 이렇게 합지된 상기 접착필름층의 표면에 장식시트층을 적층한 후 열융착하는 형태로 인테리어 장식용 패널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에 접착필름층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기존의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인 장식시트층을 이용하되, 장식용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 표면에 상기 접착필름층을 적층한 다음에, 이러한 접착필름층에 기존의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인 장식시트층을 열융착하는 방법으로도 장식용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단일층의 접착필름층을 가지는 경우는 피착재 패널의 표면 또는 장식시트층 이면(후면)에 접착필름층이 위치된 상태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열융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단일층의 접착필름층이 적용된 장식용 패널의 단면 구조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30은 피착재 패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3층의 접착필름층을 가지는 경우는 피착재 패널 표면에는 제2필름층이, 장식시트층의 이면에는 제1필름층이 위치된 상태로 열융착되는 구조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때 제3필름층은 당연히 상기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의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3층 접착필름층의 적층 구조는 제1필름층을 이루는 예컨대 VA가 10~40 중량% 함유된 EVA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 PE(poly ethylene), 변성 PE(poly ethylene), 결정도가 낮은 폴리알파 올레핀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혼합물은 종이 및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재질의 장식시트층에 대한 접착성이 더 좋고, 제2필름층을 이루는 예컨대 VA가 10~40 중량% 함유된 EVA,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 PE(poly ethylene), 변성 PE(poly eth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혼합물은 접착필름층의 최외각층을 이루는 것으로서 목재패널과 같은 피착재에 대한 접착성이 더 좋기 때문이다. 또한 제 3필름층을 이루는 예컨대 PE(poly ethylene), PP(poly propylene), VA가 10~40중량% 함유된 EVA,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혼합물은 제 1필름층과 제2필름층의 접착층이 섞이지 않고 각각의 피착재인 장식시트층과 패널층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배리어층 역할 및 굴곡성형성을 우수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만일, 이들 성분이 서로 뒤바뀌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는 이러한 3층의 접착필름층을 가지는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인 도 2 구조의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적용된 장식용 패널로서,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3층의 접착필름층에 의해 패널에 열압착되어 이루어진 장식용 패널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 예시 단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여기서 장식용 패널로 사용되는 합판은 예컨대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또는 PB(Particle Board) 합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장식용 패널의 제조를 위해서는 상기 접착필름층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이용하여 장식용 패널을 제조하거나, 또는 접착필름층이 적층된 패널을 제조하고 그 접착필름층 표면에 접착필름층을 가지지 않은 장식시트층만을 열융착시켜서 장식용 패널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간단한 공정이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바,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라 접착필름층을 구비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 제조를 위하여 종이, 합성수지 또는 섬유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시트층을 준비한다.
그 다음으로는, 상기 장식시트층에 열가소성 고분자 혼합물로 이루어진 접착필름층을 합지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열가소성 고분자를 상향식 압출 성형이나 T-die 압출코팅 방식으로 단일 접착필름층 또는 3층의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접착필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상향식 압출 방식이나 T-die 압출코팅 방식으로 접착필름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접착필름층을 형성하면서 상기 장식시트층의 이면(후면)에 단일 또는 3층의 접착필름층을 열압착에 의해 합지하여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접착필름층이 피착재인 패널, 예컨대 합판의 표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나서 열융착을 시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피착재 패널인 예컨대 합판을 열압착하게 되면 패널 표면에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열융착되어 있는 구조의 최종 장식용 패널이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접착필름층을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에 적용하지 아니하고 이를 패널에 부착한 후에 장식용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먼저 기존에 사용되었던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같이 별도의 접착필름층이 구비되지 않은 종이, 합성수지 또는 섬유 중에서 하나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시트층을 준비한다.
그 다음으로는, 피착재로 준비된 합판과 같은 패널에 열가소성 고분자 혼합물로 이루어진 접착필름층을 적층하는데, 이 경우에도 이러한 접착필름층은 예컨대 열가소성 고분자를 상향식 압출 성형이나 T-die 압출코팅 방식으로 단일 또는 3층의 접착필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된 접착필름층을 피착재 패널의 일면에 열압착에 의해 합지, 적층시킨다.
그 후. 상기 피착재 패널에 합지된 접착필름층의 표면에 상기 장식시트층을 위치시키되 상기 장식시트층의 이면(후면)을 위치시킨 후 열융착하는 단계를 거치면 장식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피착재 패널에 접착필름층을 열압착시킨 다음에 장식시트층을 열융착함에 있어서는 예컨대, 접착필름층이 열압착된 이후의 패널을 가온한 후에 여기에 장식시트층을 압착하는 방법으로 합지되도록 하여 장식용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착재 패널에 먼저 합지된 접착필름층을 이용하여 피착재 패널에 상기 장식시트층을 열압착하게 되면 역시 패널 표면에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열융착되어 있는 구조의 장식용 패널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장식 패널을 제조하는 일 구현예로서는 실내 장식을 위해 적용되는 패널 등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소재로서 종이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장식시트층과 접착필름층이 적층되어 있고, 이렇게 적층된 접착필름층을 이용하여 열융착에 의해 패널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MDF 또는 PB 보드층과 같은 패널에 적층하게 되면 장식용 패널을 매우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고품질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접착필름층을 가지는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또는 접착필름층을 패널에 접착을 위한 수단을 적용하는 경우 장식용 패널 제조시에 접착제가 배제되어 공정상 접착제 도포가 필요 없으므로 제조공정상 접착제로 인한 유해환경이 없어서 친환경 조건에서 용이하게 장식용 패널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이 제조방법은 기존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작했던 공정라인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별도의 생산라인을 새로이 구축할 필요 없이 기존의 공정 라인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인테리어 장식용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 공정 라인을 이용하되 공정라인의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접착필름층을 적용하는 신개념의 접착 기술로 인해, 별도로 접착제를 코팅하여 제조하는 공정이 없어서 접착제가 합지 과정에서 배어 나옴으로 인한 외관 불량이 전혀 발생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로 많이 사용되는 종이로 이루어진 장식시트층은 통상적으로 ㎡당 30g-60g짜리 종이를 사용하는데, 이는 매우 얇아서 피착재 패널이 예컨대, 목재 패널인 경우 그 목재 패널과의 양호한 접착력을 얻기 위해 접착제 도포량을 증량하게 되면 접착제가 배어 나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이러한 불량 문제가 전혀 없다. 심지어 기존의 방법에서는 장식용 판넬 제조 후 완전 경화 이전에는 약한 충격에도 종이장식 시트의 구겨짐 또는 찢김 등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여 취급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이러한 문제도 전혀 염려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인쇄의 선명성을 높이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장식시트층으로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장식시트층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기존 접착제를 이용할 경우 접착제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시트와의 친화성이 낮아서 접착력이 약화되고, 장시간 사용시 피착재 패널이 목재인 경우 목재 표면과의 박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폴리프로필렌 재질과 접착필름층에 의해 목재라고 하더라도 그 접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전혀 없다. 그리고 특히 3층의 접착필름층을 적용하는 경우 목재의 표면 거칠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3층 구조에 의하여 평활도가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에 인쇄된 문양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방법은 장식용 패널의 경우는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 후에 접착제 경화를 위한 경화시간이 길어서 생산 시간이 매우 길었다. 즉, 기존과 같은 접착제의 코팅 적용 방법은 최소 48시간의 경화시간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접착필름층을 구비한 시트를 적용하는 경우는 중래의 경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시간에 제조가 가능한 장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는 장식용 패널 제작 후에 열융착에 따른 경화시간이 필요 없거나 거의 없어서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공정 특성상 전체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어서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60g종이 대신 30g 종이에 접착필름층을 구비하여 열융착시키는 방법으로도 접착제가 배어 나오는 등의 문제가 전혀 없이 장식용 패널의 제조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60g와 종이 사용의 경우와 동등수준의 은폐력이 확보되어 그만큼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매우 간편하고 경제적이면서도 자동화가 가능한 대량생산 방법으로도 고품질의 인테리어 장식용 패널을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단일 접착필름층의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 제조
장식시트층으로서 종이를 준비하였다. 여기에 단일의 접착필름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EVA와 변성 EVA의 혼합물로 EVA : 변성EVA = 3 : 7 (중량비)의 혼합물을 30㎛이 되도록 준비하고 이를 T-die 압출코팅 방식으로 종이 장식시트층 표면에 접착필름층을 형성하여 종이 장식시트층에 단일의 접착필름층이 합지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때, 접착필름층의 형성을 위한 압출코팅 온도는 160℃로 하며, 접착필름 형성 공정의 라인스피드는 30m/min으로 한다. 이때의 박리강도를 측정한다.
실시예 2 : 3층의 접착필름층을 가진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 제조
장식시트층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시트를 준비하였다. 여기에 EVA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 결정화도가 낮은 알파올레핀 코폴리머의 1종 이상을 포함하며 5~30㎛의 두께를 갖는 제1필름층을 형성하고, 제2필름층 부분은 EVA,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5~30㎛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며,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3필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EVA,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5~30㎛의 두께를 갖는 필름층으로 3층 필름을 공압출 방식으로 형성하되, 이러한 3층 공압출 필름을 상향식 압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3층 공압출 필름은 160℃의 온도에서 접착되며 접착시 라인스피드는 30m/min으로 한다.
실시예 3 : 장식용 패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접착필름층이 MDF 합판의 표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합판을 250℃온도 조건에서 접착 공정의 라인스피드 30m/min의 조건으로 열압착롤을 통과하면서 열압착하여 합판 표면에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열융착시켜서 장식용 패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 장식용 패널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3층의 접착필름층 중 제2 필름층이 PB 합판의 표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도록 하고, 제 1필름층이 장식시트층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합판을 250℃온도 조건에서 접착 공정의 라인스피드 30m/min의 조건으로 열압착롤을 통과하면서 합판 표면에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열융착시켜서 인테리어 장식용 패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 장식용 패널의 제조
대조군으로는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101817호의 구성으로 실시예 3과 동일 조건에서 목재 패널을 이용하여 장식용 패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접착두께에 따른 박리강도 비교실험
상기 제조된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장식용 패널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박리강도 및 평활도와 같은 물성평가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상기 비교예의 장식용 목재 패널과 물성을 비교하였다.
구 분 실시예 3 비교예
두께(㎛) 박리강도(kgf/㎠) 두께(㎛) 박리강도(kgf/㎠)
접착필름층
(접착층)
5 150 1 30
7 190 3 70
9 240 4 90
11 360 33 140
14 430 36 100
17 570 38 70
20 650 41 60
23 690 45 40
27 710 48 20
30 750 50 10
실험예 2 : 접착두께에 따른 박리강도 비교실험
상기 제조된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장식용 패널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층별로 박리강도 물성평가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상기 비교예의 장식용 목재 패널과 물성을 비교하였다.
구 분 실시예 4 비교예
두께(㎛) 박리강도(kgf/㎠) 두께(㎛) 박리강도(kgf/㎠)
제1필름층
(접착층)
5 150 1 30
7 190 3 70
9 240 4 90
11 360 33 140
14 430 36 100
17 570 38 70
20 650 41 60
23 690 45 40
27 710 48 20
30 750 50 10
구 분 실시예 4 비교예
두께(㎛) 박리강도(kgf/㎠) 두께(㎛) 박리강도(kgf/㎠)
제2필름층
(접착층)
5 190 1 5
7 200 3 10
9 230 4 20
11 380 33 170
14 420 36 160
17 460 38 130
20 530 41 90
23 590 45 80
27 660 48 60
30 700 50 30
실험예 3 : 함침 비율에 따른 박리강도 비교실험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함침비율을 달리하면서 물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온도는 250℃로하며, 접착 공정의 라인스피드는 30m/min으로 한다.
하기 실험결과로부터, 3층 구조의 접착필름층을 적용한 경우 합판 함침 비율에 따른 합판과의 접착강도 측정 결과를 보면, 비교예(접착제 사용) 경우 함침 비율이 높아질수록 박리강도가 낮아지며, 50% 이상부터는 급격히 박리강도가 낮아진다. 이에 비해 실시예 4(접착필름층 사용)는 함침 비율이 높아질수록 박리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함침 비율(%)
10 20 30 40 50 60 70 80 90
실시예 4
(접착필름층)
박리
강도
(kgf/㎠)
350 380 450 600 700 700 700 700 700
비교예
(접착제)
300 300 300 300 250 200 100 60 30
실험예 4 : 평활도 비교 측정시험
상기 제조된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장식용 패널의 평활도 물성평가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방법은 3층의 접착필름층 두께에 따른 인테리어 sheet 합판(두께 9T~20T) 접착 후 표면 두께편차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평활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상기 비교예의 장식용 목재 패널과 물성을 비교하였다.
하기 표에서 보면, 비교예와 같이 접착제 사용의 경우 합판에 함침되어 인테리어 sheet 합지 후 표면 두께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하지만 실시예 4와 같이 접착필름층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sheet와 합판을 합지하게 되면, 제2필름층만 MDF에 함침되고 제3필름층인 코어층이 barrier 역할을 하여, 인테리어 합판의 평활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구 분 실시예 4 비교예
접착필름층
두께(㎛)
합판 두께 편차(㎛) 접착제 도포 두께(㎛) 합판 두께 편차(㎛)
접착필름층
또는 접착층
15 7 3 70
30 4 4 70
45 4 5 64
60 3 6 60
75 3 7 58
90 2 8 58
실험예 5 : 숙성시간 비교실험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장식용 패널과 비교예의 장식용 패널에 대하여 같은 작업온도(220℃)에서 작업 라인스피드의 향상 및 작업 후 숙성시간 변화에 따른 합판의 박리강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은 기존 인테리어 접착용 접착제 사용의 비교예는 EVA 계열로 인테리어 sheet와 MDF 및 PB 합판 접착 후 5분 이상의 별도의 숙성시간을 거쳐야 양호한 박리강도를 나타내지만, 상기 실시예 3의 장식용 패널 제품은 작업공정 후 별도의 숙성시간을 거치지 않아도 강한 박리강도를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3 비교예
온도(℃) 220 220 220 220 220
라인스피드(m/min) 25 30 35 25 25
숙성시간(min) 숙성시간
없음
숙성시간
없음
숙성시간
없음
숙성시간
없음
5
박리강도(kgf/㎠) 630 580 540 10 480
10 : 장식시트층
20 : 접착필름층
21 : 제1필름층
22 : 제2필름층
23 : 제3필름층
30 : 피착재 패널

Claims (15)

  1. 종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시트층과 여기에 접착되는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된 접착필름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착필름층은 피착재의 표면에 열압착에 의해 접착이 가능한 소재로 VA(vinyl acetate) 함량이 10~40 중량%인 EVA(ethylene vinyl acetate) :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가 2 내지 5 : 8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고, MI(Melt Index)가 2~40g/10min(190℃, 2.16kg)이며, 압출필름성형 혹은 T-die 압출코팅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접착필름층이 장식시트층 이면에 합지되어 있는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장식시트층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인 경우 접착필름층은 폴리알파올레핀 코폴리머와 폴리프로필렌(P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
  7. 종이로 이루어지는 장식시트층을 준비하는 단계;
    열가소성 고분자로 VA(vinyl acetate) 함량이 10~40 중량%인 EVA(ethylene vinyl acetate) :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를 2 내지 5 : 8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압출필름성형 혹은 T-die 압출코팅에 의해 필름으로 형성하여, MI(Melt Index)가 2~40g/10min(190℃, 2.16kg)인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된 접착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장식시트층의 이면에 상기 접착필름층을 열압착에 의해 합지하여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의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가 피착재 패널의 표면에 적층되어 있되 상기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접착필름층이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또는 PB(Particle Board) 합판으로 이루어진 피착재 패널의 표면에 맞닿아 열융착되어 있는 장식용 패널.
  9. 삭제
  10. 삭제
  11.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시트층을 준비하는 단계;
    열가소성 고분자로 VA(vinyl acetate) 함량이 10~40 중량%인 EVA(ethylene vinyl acetate) :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변성 EVA를 2 내지 5 : 8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 알파 올레핀 코폴리머를 첨가한 후, 압출필름성형 혹은 T-die 압출코팅에 의해 필름으로 형성하여, MI(Melt Index)가 2~40g/10min(190℃, 2.16kg)인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된 접착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장식시트층의 이면에 상기 접착필름층을 열압착에 의해 합지하여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79128A 2018-07-09 2018-07-09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KR10197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28A KR101977400B1 (ko) 2018-07-09 2018-07-09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28A KR101977400B1 (ko) 2018-07-09 2018-07-09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400B1 true KR101977400B1 (ko) 2019-05-13

Family

ID=6658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128A KR101977400B1 (ko) 2018-07-09 2018-07-09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4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938Y1 (ko) * 2004-03-15 2004-06-01 김상설 열용융 필름층을 포함하는 가구인테리어 소재
KR20110101817A (ko) 2010-03-10 2011-09-16 송민근 목재 패널의 제조방법
KR101562257B1 (ko) * 2015-02-09 2015-10-22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다층접착필름
KR101853704B1 (ko) * 2017-07-07 2018-05-04 유기현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938Y1 (ko) * 2004-03-15 2004-06-01 김상설 열용융 필름층을 포함하는 가구인테리어 소재
KR20110101817A (ko) 2010-03-10 2011-09-16 송민근 목재 패널의 제조방법
KR101562257B1 (ko) * 2015-02-09 2015-10-22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다층접착필름
KR101853704B1 (ko) * 2017-07-07 2018-05-04 유기현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5912A (en) Precious-wood-faced sheet for decoration, board having the same laminated thereupon,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20120015176A1 (en) Biolaminate composite assembly and related method
AU727319B2 (en) Adhesive tape and products made therefrom
KR101956338B1 (ko) 양각된 그리고 고온-용융 적층된 멀티-레이어드 합성물 필름
US948200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sandwich
CN103758339B (zh) 一种木塑复合材料贴面胶合板及其制备方法
US10350783B2 (en) Self-adhesive material for wood board and wood board
WO2006033706A1 (en) Flooring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187660B1 (ko) 친환경 고기능 무늬목 보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친환경, 고기능 무늬목 보드
CN104661809A (zh) 发泡叠层片材
EP2593300A1 (en) Biolaminate composite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JP2000119541A (ja) 押出成形される不均等な固体表面複合体及びその製造法及び使用法。
JP2013537492A (ja) セルロースバイオラミネート複合材アセンブリ及び関連する方法
CN103753656A (zh) 一种柔性复合薄木及其加工方法
JP2009061680A (ja) 強化床材とその製造方法
CN117836119A (zh) 封边条和封边条的生产方法
JP6136433B2 (ja) スチレンスルホン酸系抗アレルゲン剤を含む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使用した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KR101853704B1 (ko)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EP0462586B1 (en) Woody board
JP3222862B2 (ja) 薄膜接着剤、そ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る製品
WO2008078003A1 (en) Wood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148271B1 (ko) 데코시트용 폴리올레핀계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접착성 데코시트
KR101977400B1 (ko)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KR900009268A (ko) 건축용 다층구조의 바닥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31431A (ko) 내수성 도어 표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