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165A -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165A
KR20090131165A KR1020080057007A KR20080057007A KR20090131165A KR 20090131165 A KR20090131165 A KR 20090131165A KR 1020080057007 A KR1020080057007 A KR 1020080057007A KR 20080057007 A KR20080057007 A KR 20080057007A KR 20090131165 A KR20090131165 A KR 20090131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membrane
liquid
pressure
engine
activ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7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165A/ko
Publication of KR20090131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83Adjustable supports, e.g. the mounting 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유체가 통과되는 오리피스유로 및 액체유동홀이 연성멤브레인의 변형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고 오리피스유로 및 액체유동홀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연성멤브레인의 변형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진동 상태에 따라 각각 저주파 및 고주파 영역의 엔진 진동이 능동적으로 감쇠될 수 있으며 또한 자체 체적 변화가 가능한 연성멤브레인을 통한 단순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를 제공한다.
엔진 마운트, 하이드롤릭, 능동 엔진 마운트, 연성멤브레인

Description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Hydraulic Active Engine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유체가 통과되는 오리피스유로 및 액체유동홀이 연성멤브레인의 변형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고 오리피스유로 및 액체유동홀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연성멤브레인의 변형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진동 상태에 따라 각각 저주파 및 고주파 영역의 엔진 진동이 능동적으로 감쇠될 수 있으며 또한 자체 체적 변화가 가능한 연성멤브레인을 통한 단순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엔진은 일종의 진동 발생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을 차체에 장착할 때는 엔진 마운트 장치라 불리는 매개물을 사용하여 장착함으로써 엔진에서 발생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형 가솔린 엔진 차량의 경우에는 고무로 제작된 부시 타입의 마운트 장치를 주로 사용하였고, 대형 가솔린 엔진 차량과 디젤엔진의 경우에는 내부에 유체를 봉입한 하이드롤릭 타입의 엔진 마운트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적인 엔진 마운트 장치는 그 구조상 가변적인 운전 영역 모든 범위에서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아이들 및 저속 운전상태와 고속 운전상태에서 상이하게 발생하므로, 아이들 및 저속 운전상태와 고속 운전상태에서 각각 서로 다른 엔진 마운트 장치의 동강성(dynamic stiffness)이 요구된다. 즉, 아이들 및 저속 운전 상태에서는 낮은 동강성이 요구되고 고속 주행시에는 높은 동강성이 요구된다. 이를 엔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각각 저주파수 대변위 진동이 발생하는 세이크 영역, 중주파수 중변위 진동이 발생하는 아이들 영역 및 고주파수 소변위 진동이 발생하는 부밍(booming)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좀 더 우수한 진동 감쇠 효과를 위해서는 이러한 각 영역에 따라 엔진 마운트 장치가 각각 다른 동강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부시 타입의 엔진 마운트 장치 또는 유체 봉입식 하이드롤릭 타입의 엔진 마운트 장치는 이와 같은 가변적인 모든 영역에서 그 구조상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질 수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가변적인 엔진의 진동에 대하여 모든 영역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는 탄성체 등을 전자 제어하는 방식으로 엔진 진동의 파형과 반대 위상을 갖는 파형을 발생시켜 진동을 상쇄시키는 방식과 같 이 주로 엔진 마운트 장치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장착하여 직접 전자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는 부품수 및 중량이 증가하고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엔진 마운트 장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작동유체가 통과되는 오리피스유로 및 액체유동홀이 연성멤브레인의 변형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고 오리피스유로 및 액체유동홀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연성멤브레인의 변형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진동 상태에 따라 각각 저주파 및 고주파 영역의 엔진 진동이 능동적으로 감쇠될 수 있으며 또한 자체 체적 변화가 가능한 연성멤브레인을 통한 단순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메인파이프(30)의 상하부측에 메인러버(20)와 다이아프램(40)이 결합되어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가 봉입되도록 댐핑챔버(U,L)가 형성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U,L)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댐핑챔버(U,L)를 상부챔버(U)와 하부챔버(L)로 분리 구획하는 분리격판(50); 상기 상부챔버(U)에 장착되어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자체 체적이 변형 가능한 연성멤브레인(60);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이 변형되도록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내부에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전달수단(70); 및 엔진 상태에 따라 상기 압력전달수단(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파이프(30)에는 작동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챔버(U)와 하부챔버(L)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유로(31)가 형성되고,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유로(31)가 개방 및 폐쇄되며 상기 오리피스유로(31)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유체가 통과되는 오리피스유로 및 액체유동홀이 연성멤브레인의 변형에 따라 개폐되도록 하고 오리피스유로 및 액체유동홀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연성멤브레인의 변형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진동 상태에 따라 각각 저주파 및 고주파 영역의 엔진 진동이 능동적으로 감쇠될 수 있으며 또한 자체 체적 변화가 가능한 연성멤브레인을 통한 단순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인파이프(30)의 상하부측에 메인러버(20)와 다이아프램(40)이 결합되어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가 봉입되도록 댐핑챔버(U,L)가 형성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U,L)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댐핑챔버(U,L)를 상부챔버(U)와 하부챔버(L)로 분리 구획하는 분리격판(50); 상기 상 부챔버(U)에 장착되어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자체 체적이 변형 가능한 연성멤브레인(60);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이 변형되도록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내부에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전달수단(70); 및 엔진 상태에 따라 상기 압력전달수단(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파이프(30)에는 작동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챔버(U)와 하부챔버(L)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유로(31)가 형성되고,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유로(31)가 개방 및 폐쇄되며 상기 오리피스유로(31)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는 메인파이프(30)의 상부측에는 메인러버(20)가 결합되고 하부측에 는 다이아프램(40)이 결합되어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가 봉입되는 댐핑챔버(U,L)가 형성되며 메인러버(20)의 중앙 상부에는 차량의 엔진과 결합하는 센터볼트(10)가 결합되어, 센터볼트(10)를 통한 엔진의 진동이 댐핑챔버(U,L)에 의해 감쇠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는 댐핑챔버(U,L)의 내부에 댐핑챔버(U,L)를 상부챔버(U)와 하부챔버(L)로 분리 구획하는 분리격판(50)이 장착되고, 이와 같이 분리 구획된 상부챔버(U)에는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자체 체적이 변형되는 연성멤브레인(60)이 장착된다. 또한, 이러한 연성멤브레인(60)의 체적이 변형되도록 연성멤브레인(60)의 내부에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전달수단(70)이 구비되고, 엔진 상태에 따라 압력전달수단(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이 구비되며, 메인파이프(30)에는 작동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챔버(U)와 하부챔버(L)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유로(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는 연성멤브레인(60)의 변형에 따라 오리피스유로(31)가 개방 및 폐쇄되며 오리피스유로(31)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성멤브레인(60)의 체적이 기준상태이면 오리피스유로(31)가 개방되고 연성멤브레인(60)의 체적이 팽창 변형되면 오리피스유로(31)가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격판(50)에는 작동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챔버(U)와 하부챔버(L)를 연통시키는 액체유동홀(51)이 형성되고, 연성멤브레인(60)이 축소 변형되면 상기 액체유동홀(51)을 통과하도록 작동유 체의 유동이 유도되어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는 상부챔버(U) 내부에 자체 체적이 변형 가능한 연성멤브레인(60)이 장착되어 연성멤브레인(60)의 팽창 또는 수축 변형에 따라 오리피스유로(31) 또는 액체유동홀(51)이 개방 및 폐쇄되며, 작동유체가 이를 통과하며 진동을 감쇠하는 엔진 주파수 대역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오리피스유로(31)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고, 액체유동홀(51)에 의한 작동유체의 유동이 유도되거나 유도되지 않고 차단되는지 여부에 따라 또한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며,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도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전달수단(7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40) 및 분리격판(50)을 관통하며 연성멤브레인(60)의 내부로 연결된 내압호스(71)와, 이러한 내압호스(71)를 통해 연성멤브레인(60) 내부로 공기압을 전달하는 에어팬(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에 대한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멤브레인(60)은 주름지게 형성되어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상부챔버(U)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 변형되며, 연성멤브레인(60)의 상단 둘레부가 메인파이프(30)의 내주면과 밀봉 접촉된 상태로 상하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성멤브레인(60)의 상하 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61)이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멤브레인(60)이 기준상태에 있을 때에는 연성멤브레인(60)의 상단 둘레부가 오리피스유로(31)의 입구보다 낮게 위치하여 오리피스유로(31)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멤브레인(60)이 팽창 변형 상태에 있을 때에는 연성멤브레인(60)의 상단 둘레부가 오리피스유로(31)의 입구보다 높게 위치하여 오리피스유로(31)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멤브레인(60)이 축소 변형 상태에 있을 때는 오리피스유로(31)의 입구보다 낮고 연성멤브레인(60)의 상단 둘레부가 메인파이프(30)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상부챔버(U) 내의 작동유체가 분리격판(50)의 액체유동홀(51)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성멤브레인(60)이 변형되며 오리피스유로(31) 및 액체유동홀(51)이 개폐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성멤브레인(60)은 상단 둘레부만 메인파이프(30)의 내주면에 밀봉 접촉될 수 있도록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주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메인파이프(30)의 내주면에는 내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단턱진 단턱부(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단턱부(32)의 형성에 의해 연성멤브레인(60)이 하향 변형됨에 따라 연성멤브레인(60)의 상단 둘레부가 단턱부(32)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그 사이 간격으로 작동유체가 액체유동홀(51)을 통과하도록 유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의 동작 상 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2a는 연성멤브레인(60)의 기준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동유체가 오리피스유로(31)를 통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관성 저항에 따라 저주파 영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된다. 즉, 엔진 진동에 의해 메인러버(20)가 수축되어 상부챔버(U)의 압력이 증가하면 작동유체는 연성멤브레인(60)에 의해 하부측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오리피스유로(31)를 통과하며 하부챔버(L)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관성저항에 의해 저주파 영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b는 연성멤브레인(60)이 하향 축소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압력전달수단(70)에 의해 연성멤브레인(60)의 내부로부터 공기압을 배출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성멤브레인(60)이 하향 축소 변형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멤브레인(60)의 상단 둘레부가 메인파이프(30)의 단턱부(32)가 형성된 위치로 하향 이동되며 단턱부(32)의 내주면과 연성멤브레인(60)의 상단 둘레부가 이격되며 상부챔버(U) 내에서 작동유체가 분리격판(50)의 액체유동홀(51)로 원활하게 유도된다. 즉, 엔진 진동에 의해 메인러버(20)가 수축되어 상부챔버(U)의 압력이 증가하면 작동유체는 액체유동홀(51)을 통과하며 이때 발생되는 관성저항에 의해 또 다른 저주파 영역, 예를 들어 아이들 영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연성멤브레인(60)이 하향 변형하여 상부챔버(U)의 실질적인 유효체적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부챔버(U) 내부의 작동유체 압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부챔버(U)의 동강성이 낮아져서 저주파 영역의 엔진 진동 감쇠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도 2c는 연성멤브레인(60)이 상향 팽창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압력전달수단(70)에 의해 연성멤브레인(60) 내부로 공기압을 유입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성멤브레인(60)이 상향 팽창 변형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멤브레인(60)의 상단 둘레부가 오리피스유로(31)의 입구보다 높게 위치하여 오리피스유로(31)가 폐쇄된다. 따라서, 상부챔버(U) 내부의 작동유체는 연성멤브레인(60)에 의해 밀봉되어 하부챔버(L)로 이동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엔진 진동에 의해 메인러버(20)가 진동하면 자체 밀봉된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엔진 진동이 감쇠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부챔버(U) 내부의 작동유체 압력이 증가하여 상부챔버(U)의 동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고주파 영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는 연성멤브레인(60)의 변형에 따라 오리피스유로(31) 및 액체유동홀(51)이 개폐되며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는 제어수단(80)을 통해 압력전달수단(7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진동 상태에 따라 각각 저주파 및 고주파 영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될 수 있도록 능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메인러버 30: 메인파이프
31: 오리피스유로 32: 단턱부
40: 다이아프램 50: 분리격판
51: 액체유동홀 60: 연성멤브레인
70: 압력전달수단 80: 제어수단

Claims (9)

  1. 메인파이프(30)의 상하부측에 메인러버(20)와 다이아프램(40)이 결합되어 내부 공간에 작동유체가 봉입되도록 댐핑챔버(U,L)가 형성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U,L)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댐핑챔버(U,L)를 상부챔버(U)와 하부챔버(L)로 분리 구획하는 분리격판(50);
    상기 상부챔버(U)에 장착되어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자체 체적이 변형 가능한 연성멤브레인(60);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이 변형되도록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내부에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전달수단(70); 및
    엔진 상태에 따라 상기 압력전달수단(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파이프(30)에는 작동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챔버(U)와 하부챔버(L)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유로(31)가 형성되고,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유로(31)가 개방 및 폐쇄되며 상기 오리피스유로(31)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체적이 기준상태이면 상기 오리피스유로(31)는 개방되고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체적이 팽창 변형되면 상기 오리피스유로(31)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격판(50)에는 작동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챔버(U)와 하부챔버(L)를 연통시키는 액체유동홀(51)이 형성되고,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이 축소 변형되면 상기 액체유동홀(51)을 통과하도록 작동유체의 유동이 유도되어 다른 주파수 대역의 엔진 진동이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수단(70)은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내부로 연결된 내압호스(71); 및
    상기 내압호스(71)를 통해 상기 연성멤브레인(60) 내부로 공기압을 전달하는 에어팬(7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은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상부챔버(U)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 변형하도록 주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상하 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61)이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은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주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은 상단 둘레부가 상기 메인파이프(30)의 내주면과 밀 봉 접촉되며 상하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이프(30)의 내주면에는 내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단턱진 단턱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이 하향 변형됨에 따라 상기 연성멤브레인(60)의 상단 둘레부가 상기 단턱부(32)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액체유동홀(51)을 통과하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KR1020080057007A 2008-06-17 2008-06-17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KR20090131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007A KR20090131165A (ko) 2008-06-17 2008-06-17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007A KR20090131165A (ko) 2008-06-17 2008-06-17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165A true KR20090131165A (ko) 2009-12-28

Family

ID=4169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007A KR20090131165A (ko) 2008-06-17 2008-06-17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1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6264B2 (en) 2014-10-21 2017-06-13 Hyundai Motor Company Bypass flow path open/close type active engine mount device using air chamber
CN113879096A (zh) * 2021-11-19 2022-01-04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一种刚度可调式汽车发动机悬置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6264B2 (en) 2014-10-21 2017-06-13 Hyundai Motor Company Bypass flow path open/close type active engine mount device using air chamber
DE102015217967B4 (de) 2014-10-21 2021-09-30 Hyundai Motor Company Eine Luftkammer verwendende aktive Motorhalterung mit öffnungsfähigem/schließfähigem Umgehungsströmungspfad
CN113879096A (zh) * 2021-11-19 2022-01-04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一种刚度可调式汽车发动机悬置结构
CN113879096B (zh) * 2021-11-19 2024-03-15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一种刚度可调式汽车发动机悬置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532B1 (ko)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JP4330437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101676257B1 (ko) 엔진마운트
JP2843088B2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JP4381333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5535958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US9394964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WO2015041056A1 (ja) 防振装置
KR100952776B1 (ko) 엔진 마운트 장치
KR20090131165A (ko) 액체 봉입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KR20210122422A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JP4202866B2 (ja) 防振装置
JP2010249288A (ja) 防振装置
JP5291537B2 (ja) 防振装置
JP2021046876A (ja) 防振装置
JP2011027157A (ja) 防振装置
KR100931132B1 (ko) 엔진 마운트 장치
JP4210851B2 (ja) 車両用流体封入式エンジンマウント
JP3994397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H04277341A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EP1371874A2 (en) Hydraulic engine mounting
KR101938628B1 (ko) 액실 삽입형 중량체를 구비한 엔진 마운트
JP2006234111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4233791B2 (ja) 防振装置
JP2005023974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