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925A - 타워형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타워형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925A
KR20090130925A KR1020080056643A KR20080056643A KR20090130925A KR 20090130925 A KR20090130925 A KR 20090130925A KR 1020080056643 A KR1020080056643 A KR 1020080056643A KR 20080056643 A KR20080056643 A KR 20080056643A KR 20090130925 A KR20090130925 A KR 2009013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drying
roller
air
floa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844B1 (ko
Inventor
이개식
Original Assignee
삼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공업(주) filed Critical 삼광공업(주)
Priority to KR102008005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844B1/ko
Publication of KR2009013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06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in a sinuous or zig-zag path
    • F26B13/08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in a sinuous or zig-zag path us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8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heated or cooled, e.g. from inside, the material being dried on the outside surface by con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0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장치를 거쳐 인쇄된 피인쇄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장치를 거쳐 인쇄된 비건조 상태의 피인쇄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치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적용 설치할 수 있는 타워형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인쇄장치를 거쳐 인쇄된 피인쇄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장치 몸체와;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방향을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롤러를 타고 이송되는 피인쇄물의 인쇄된 면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건조수단과;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며, 외주면에 공기가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된 면이 상기 분사홀 형성된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떠 있는 상태로 안내되는 원통형의 플로팅 롤러와; 그리고 상기 플로팅 롤러 내부로 일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타워형 건조장치{Apparatus of tower type drying}
본 발명은 인쇄장치를 거쳐 인쇄된 피인쇄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장치를 거쳐 인쇄된 비건조 상태의 피인쇄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치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적용 설치할 수 있는 타워형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함이나 팜플렛, 광고지 등 종이로 된 인쇄물, 또는 시트지에 합성수지상의 필름지를 융착시켜 라미네이팅 처리한 각종 인쇄물 등은 인쇄작업을 거친 후 인쇄된 잉크를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도록 별도로 마련된 건조장치에 투입하여 건조시키는 일련의 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피인쇄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장치의 일 예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9424호에 제시되어 있는바, 종래의 건조장치는 하부에 지지되어 상판 중앙에 다수의 통공을 배열 형성한 다공판을 구비하며, 내,외측벽 사이에 단열재를 내장하여 내부를 빈 공간부로 하고, 일측으로 개구부 및 돌출 형성된 결합구를 형성한 하부 프레임과, 상기 다공판 상을 회전 이동가능케 구성된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중간결합틀, 상부덮개, 송풍기가 장착된 에어순환통로가 서로 조립되어 일체를 이루되, 원적외선 히터를 구비한 열풍 건조부와 냉각기를 구비한 냉풍 건조부를 구성함으로써, 피인쇄물의 인쇄 후 잉크 건조시 피인쇄물을 벨트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원적외선 히터에 의한 열풍 건조 및 냉각기를 이용한 냉풍 건조를 순차로 행하면서 피인쇄물을 즉각적으로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인쇄물 건조장치는 피인쇄물의 완전한 건조를 위해서는 수평방향으로 피인쇄물의 적정 이송거리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건조장치 몸체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은 베드(bed) 형태로 구성될 수밖에 없었고, 이 때문에 건조장치 설치를 위한 적정 설치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장소에서는 위와 같은 건조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장치를 거쳐 인쇄된 피인쇄물이 건조장치 내에서 다수의 가이드 롤러를 타고 몸체의 상,하부로 번갈아 이송되면서 가열건조수단을 통해 고온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건조 상태의 피인쇄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치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적용 설치할 수 있는 타워형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워형 건조장치는 인쇄장치를 거쳐 인쇄된 피인쇄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장치 몸체와;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방향을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롤러를 타고 이송되는 피인쇄물의 인쇄된 면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건조수단과;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며, 외주면에 공기가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된 면이 상기 분사홀 형성된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떠 있는 상태로 안내되는 원통형의 플로팅 롤러와; 상기 플로팅 롤러 내부로 일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피인쇄물이 상기 플로팅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일 정거리 이격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팅 롤러의 분사홀은 내면으로부터 외면 측으로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고 노즐 타입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로어로부터 상기 플로팅 롤러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열풍을 제공하는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건조수단은 이송되는 피인쇄물의 인쇄된 면에 상기 노즐로 고온의 열풍을 분사하여 피인쇄물을 가열 건조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외주면에 다수의 천공된 노즐이 형성된 핫에어롤러와; 상기 핫에어롤러 내부로 일정압력의 분사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핫에어롤러로 공급되는 분사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또 하나의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타워형 건조장치에 의하면, 인쇄장치를 거쳐 인쇄된 피인쇄물이 건조장치 내에서 다수의 가이드 롤러를 타고 몸체의 상,하부로 번갈아 이송되면서 다수의 핫에어롤러 및 플로팅 롤러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분사공기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건조 상태의 피인쇄물을 한층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시간도 짧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장치의 내부구성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건조장치의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건조장치의 가로 폭이 세로 폭보다 현저하게 크게 구성되던 종래의 베드(bed) 타입 건조장치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세로 폭이 가로 폭보다 현저하게 큰 타워형(수직형) 건조장치로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설치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큰 제약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여러 개의 건조장치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게 되는 경우, 본 발명의 타워형 건조장치를 적용하여 설치하게 되면 설치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피인쇄물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플로팅 롤러의 외주면에 다수의 분사홀을 형성하여 상기 분사홀에서 분사되는 분사공기압에 의해 피인쇄물의 인쇄면이 플로팅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떠 있는 상태로 가이드되도록 함으로써, 피인쇄물의 인쇄면이 플로팅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막아 인쇄면을 훼손하지 않고서 피인쇄물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아울러, 분사홀로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분사공기에 의해 피인쇄물의 인쇄면이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건조장치 내에 블로어로부터 플로팅 롤러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를 설치함으로써 분사홀을 통해 피인쇄물의 인쇄면에 고온의 열풍을 분사하여 건조되기 때문에 피인쇄물의 건조효과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건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건조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롤러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건조장치(100)는 세로방향 폭이 가로방향 폭보다 큰 타워(tower) 형태 외형을 갖는 몸체(10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체(102)의 내부 상단 및 하단에는 외부의 인쇄장치(90)를 거쳐 인쇄된 후 상기 몸체(102) 내부로 공급되는 피인쇄물(110)의 이송방향이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120a)(120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2) 내부에는 피인쇄물(110)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피인쇄물(110)이 외력에 의해 과도하게 당겨지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피인쇄물(110)에 항상 일정수준의 적정 탠션(tension)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탠션롤러(16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2) 내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120a)(120b)를 타고 상,하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피인쇄물(110)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가열건조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2) 내에는 상기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피인쇄물(11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플로팅 롤러(140), 및 상기 플로팅 롤러(140) 내부로 일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해 주는 블로어(15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120a)(120b)는 몸체(102)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피인쇄물(110)의 이송방향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상부 가이드 롤러(120a)와, 상기 몸체(102)의 하단에 설치되며 피인쇄물(110)의 이송방향을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전환시키는 하부 가이드 롤러(120b)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가이드 롤러(120a)는 피인쇄물(110)의 인쇄되지 않은 면(110b)과 접촉하며 상기 피인쇄물(110)의 이송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120b)는 상기 피인쇄물(110)의 인쇄된 면과 접촉되나 상기 가열건조수단 중에서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120b) 이전에 구비된 가열건조수단에 의해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면에 대한 건조가 1차적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인쇄면이 훼손되지는 않게 된다.
상기 가열건조수단은 이송되는 피인쇄물(110)에 고온의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핫에어롤러(130a)(130b)(130c)와, 상기 핫에어롤러(130a)(130b)(130c) 내부로 일정압력의 분사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송풍기에서 핫에어롤러(130a)(130b)(130c)로 공급되는 분사공기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핫에어롤러(130a)(130b)(130c)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내부의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즐(13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노즐(132)은 상기 핫에어롤러(130a, 130b, 130c)의 내부가 빈 원통형상에서 외주면에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면을 가지고 형성되는 노즐타입의 분사홀(미도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핫에어롤러(130a)(130b)(130c)는 피인쇄물(110)이 초기 공급되는 부분인 몸체(10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핫에어롤러(130a)와, 몸체(102)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핫에어롤러(130b)와, 몸체(102)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중앙부 핫에어롤러(130c)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핫에어롤러(130a)는 플로팅 롤러(14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핫에어롤러(130a)(130b)(130c)는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을 핫에어롤러(130a)(130b)(130c)의 노즐(132)을 통해 분사되는 고온의 열풍에 의해 가열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플로팅 롤러(140)는 하부 핫에어롤러(130a)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피인쇄물(110)의 이송방향을 하부에서 상부로 전환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플로팅 롤러(140)는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 방향측에 위치하여 피인쇄물(110)의 이송을 가이드하게 되지만, 상기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과는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플로팅 롤러(140)는 상기 상부 가이드 롤러(120a)와는 달리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과 직접적인 접촉 없이 피인쇄물(110)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플로팅 롤러(140)는 내부가 빈 원통형 외형을 가지고, 그 외주면 에는 블로어(15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홀(142)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촘촘히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로팅 롤러(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홀(142)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압에 의해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이 플로팅 롤러(14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D) 이격된 비접촉 상태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이 플로팅 롤러(140)의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분사홀(142)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공기에 의해 인쇄면(110a)을 건조시키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분사공기에 의한 피인쇄물(110)의 건조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블로어(150)측에 플로팅 롤러(140)로 공급되는 공기를 일정온도까지 가열시킬 수 있는 히터(미도시)를 더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열풍을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에 분사함으로써 건조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장치(90)를 거쳐 인쇄된 피인쇄물(110)이 건조장치 내에서 다수의 가이드 롤러(120a)(120b)를 타고 몸체(102)의 상,하부로 번갈아 이송되면서 다수의 핫에어롤러(130a)(130b)(130c) 및 플로팅 롤러(140)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분사공기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비건조 상태의 피인쇄물(110)을 한층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시간도 짧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건조장치의 내부구성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 에 건조장치의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건조장치의 가로 폭이 세로 폭보다 현저하게 크게 구성되던 종래의 베드(bed) 타입 건조장치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세로 폭이 가로 폭보다 현저하게 큰 타워(tower)형(또는 수직형) 건조장치로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설치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큰 제약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여러 개의 건조장치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게 되는 경우, 본 발명의 타워형 건조장치를 적용하여 설치하게 되면 설치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워형 건조장치(100)는 피인쇄물(11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플로팅 롤러(140)의 외주면에 다수의 분사홀(142)을 형성하여 상기 분사홀(142)에서 분사되는 분사공기압에 의해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이 플로팅 롤러(14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떠 있는 상태로 안내되도록 한다.
따라서,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이 플로팅 롤러(14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막아 인쇄면(110a)을 훼손하지 않고서 피인쇄물(110)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분사홀(142)로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분사공기에 의해 피인쇄물(110)의 인쇄면(110a)이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건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건조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롤러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건조장치 102: 몸체
110: 피인쇄물 110a: 인쇄면
120a,120b: 가이드 롤러 130a,130b,130c: 핫에어롤러
132: 노즐 140: 플로팅 롤러
142: 분사홀 150: 블로어

Claims (4)

  1. 인쇄장치를 거쳐 인쇄된 피인쇄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장치 몸체와;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방향을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롤러를 타고 이송되는 피인쇄물의 인쇄된 면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건조수단과;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며, 외주면에 공기가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된 면이 상기 분사홀 형성된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떠 있는 상태로 안내되는 원통형의 플로팅 롤러와; 그리고
    상기 플로팅 롤러 내부로 일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타워형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물이 상기 플로팅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팅 롤러의 분사홀은 내면으로부터 외면 측으로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고 노즐 타입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로부터 상기 플로팅 롤러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열풍을 제공하는 히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건조수단은
    이송되는 피인쇄물의 인쇄된 면에 상기 노즐로 고온의 열풍을 분사하여 피인쇄물을 가열 건조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외주면에 다수의 천공된 노즐이 형성된 핫에어롤러와;
    상기 핫에어롤러 내부로 일정압력의 분사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핫에어롤러로 공급되는 분사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또 하나의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조장치.
KR1020080056643A 2008-06-17 2008-06-17 타워형 건조장치 KR101007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43A KR101007844B1 (ko) 2008-06-17 2008-06-17 타워형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43A KR101007844B1 (ko) 2008-06-17 2008-06-17 타워형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925A true KR20090130925A (ko) 2009-12-28
KR101007844B1 KR101007844B1 (ko) 2011-01-13

Family

ID=4169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643A KR101007844B1 (ko) 2008-06-17 2008-06-17 타워형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84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51B1 (ko) * 2012-03-20 2012-06-15 (주)아이펜 인쇄전자소자용 건조장치
CN102589262A (zh) * 2011-12-28 2012-07-18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纸币烘干装置、纸币消毒机和纸币处理方法
CN105021002A (zh) * 2015-08-25 2015-11-04 苏州星原纺织有限公司 一种消毒杀菌除尘的纺织烘干机
CN105021003A (zh) * 2015-08-25 2015-11-04 苏州星原纺织有限公司 一种可以调节烘干出布速度的烘干机
CN105021004A (zh) * 2015-08-25 2015-11-04 苏州星原纺织有限公司 一种热风纺织烘干机
CN107024097A (zh) * 2017-06-19 2017-08-08 长兴宝诺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纺纱烘干箱
CN107166928A (zh) * 2017-06-30 2017-09-15 湖州南浔洲乾毛纺有限公司 一种毛纺面料烘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049A (ja) * 1993-09-22 1995-04-04 Toppan Moore Co Ltd 乾燥装置
JP2002072437A (ja) 2000-09-04 2002-03-12 Nidec Copal Corp 感光材料の乾燥装置
JP4289581B2 (ja) 2000-10-23 2009-07-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ェブ乾燥方法及び装置
JP2002147952A (ja) 2000-11-13 2002-05-22 Canon Inc 乾燥装置及び記録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9262A (zh) * 2011-12-28 2012-07-18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纸币烘干装置、纸币消毒机和纸币处理方法
CN102589262B (zh) * 2011-12-28 2014-04-02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纸币烘干装置、纸币消毒机和纸币处理方法
KR101156651B1 (ko) * 2012-03-20 2012-06-15 (주)아이펜 인쇄전자소자용 건조장치
CN105021002A (zh) * 2015-08-25 2015-11-04 苏州星原纺织有限公司 一种消毒杀菌除尘的纺织烘干机
CN105021003A (zh) * 2015-08-25 2015-11-04 苏州星原纺织有限公司 一种可以调节烘干出布速度的烘干机
CN105021004A (zh) * 2015-08-25 2015-11-04 苏州星原纺织有限公司 一种热风纺织烘干机
CN107024097A (zh) * 2017-06-19 2017-08-08 长兴宝诺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纺纱烘干箱
CN107166928A (zh) * 2017-06-30 2017-09-15 湖州南浔洲乾毛纺有限公司 一种毛纺面料烘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844B1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844B1 (ko) 타워형 건조장치
JP2724682B2 (ja) 印刷機の乾燥装置
JP4786208B2 (ja) 枚葉紙印刷機
US6892639B2 (en) Flexographic printing press with integrated dryer
KR20140148095A (ko) 텍스타일 프린팅 전처리 장치
KR101067383B1 (ko) 에어플로팅 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18732A (ko) 인쇄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
KR20100035978A (ko) 타워형 건조장치
KR20210118731A (ko) 건조 장치, 인쇄 시스템 및 건조 방법
KR100456813B1 (ko) 열전사기 내장형 디지털 프린터
KR20060116548A (ko) 잉크젯 프린터
KR20170046414A (ko) 종횡 이송식 원단 플로팅 건조 시스템
CN210257645U (zh) 一种印刷用干燥设备
CN205395429U (zh) 一种印刷机干燥装置
JP7446680B2 (ja) 乾燥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乾燥方法
KR200277626Y1 (ko) 텐타기의 원단 건조장치
US11117395B2 (en) Drying device and printer
KR200224650Y1 (ko) 섬유열처리기의 열풍분사구
KR101022830B1 (ko) 날염용 건조장치
KR200288236Y1 (ko) 텐타기의 원단 건조장치
KR101145162B1 (ko) 텍스타일 프린터의 원단 공급장치
CN219096324U (zh) 一种多色水墨印刷机
KR100981138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100887926B1 (ko) 염색된 타올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02549505B1 (ko) 강판 인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