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336A -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 Google Patents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30336A KR20090130336A KR1020097024932A KR20097024932A KR20090130336A KR 20090130336 A KR20090130336 A KR 20090130336A KR 1020097024932 A KR1020097024932 A KR 1020097024932A KR 20097024932 A KR20097024932 A KR 20097024932A KR 20090130336 A KR20090130336 A KR 200901303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even structure
- structure region
- convex
- display body
- dist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61—Reflection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step profile, contours of substrate or grooves, pitch variations,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09—Diffraction gratings with pitch less than or comparable to the wavelength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28—Diffraction gratings having means for producing variable diffra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보다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실현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표시체(10)는, 광 투과층의 한쪽의 주면에, 2차원적으로 배열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을 포함하는 요철 구조 영역을 화상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고, 상기 한쪽의 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요철 구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반사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가 200㎚ 내지 5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요철 구조 영역을 복수 구비하고 있고, 적어도 하나의 요철 구조 영역에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형상, 깊이 또는 높이, 중심간 거리 및 배치 패턴이, 다른 요철 구조 영역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조 방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금 카드(cash card), 신용 카드(credit card) 및 여권(passport) 등의 인증 물품 및 상품권 및 주권(株券) 등의 유가 증권에는, 위조가 곤란할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그와 같은 물품에는, 그 위조를 억지하도록, 위조 또는 모조가 곤란함과 아울러, 위조품이나 모조품과의 구별이 용이한 라벨이 부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증 물품 및 유가 증권 이외의 물품에 대해서도, 위조품의 유통이 문제시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물품에, 인증 물품 및 유가 증권에 대하여 상술한 위조 방지 기술을 적용하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복수의 화소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표시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 표시체에 있어서, 각 화소는, 복수의 홈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릴리프(relief)형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 표시체는, 회절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인쇄 기술이나 전 자 사진 기술을 이용한 위조 등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표시체를 진위 판정용의 라벨로서 물품에 부착하면, 이 라벨이 표시하는 화상을 보고 그 물품이 진정품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라벨을 부착한 물품은, 이 라벨을 부착하고 있지 않은 물품과 비교하여 위조되기 어렵다.
그러나, 이전의 릴리프형 회절 격자는, 레이저 등의 장치가 있으면,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전의 표시체는, 조명광의 입사각, 관찰 각도, 또는 표시체의 방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표시 화상의 변화가 생기지만, 그 변화는 다양성에서 풍부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 표시체의 위조 방지 효과는 저하되고 있다. 한편, 여기서는, 위조 또는 모조가 곤란한 것, 위조품이나 모조품과의 구별이 용이한 것을 위조 방지 효과라고 부른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2-72320 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광 투과층의 한쪽의 주면(主面)에,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을 포함하는 요철 구조 영역을 화상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되, 상기 한쪽의 주면에 지지되고, 상기 요철 구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반사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가 200㎚ 내지 5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제 1 측면에 따른 표시체와 이것을 지지한 물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부착 물품이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요철 구조 영역에 채용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요철 구조 영역이 회절광을 사출하는 모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복수의 요철 구조 영역에서 표시면을 구성한 표시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복수의 요철 구조 영역에서 표시면을 구성한 표시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채용가능한 요철 구조 영역의 일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하는 요철 구조 영역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요철 구조 영역에 채용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요철 구조 영역에 채용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요철 구조 영역에 채용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요철 구조 영역에 채용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채용가능한 요철 구조 영역의 일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채용가능한 요철 구조 영역의 일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채용가능한 요철 구조 영역의 일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위조 방지용 또는 식별용 라벨을 물품에 지지시켜 이루어지는 라벨 부착 물품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부호의 설명)
10 : 표시체 11 : 광 투과층
12a : 요철 구조 영역 12b : 비요철 구조 영역
13 : 반사층 14a : 오목부
14b : 볼록부 14c : 중간부
16a : 오목부 열 16b : 볼록부 열
31 : 조명광 32 : 정 반사광 또는 0차 회절광
33 : 1차 회절광 51 : 기재
52 : 인쇄층 53 : 자기 기록층
100 : 인쇄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표시체(10)는, 광 투과층(11) 및 반사층(13)으로 이루어지고,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광 투과층(11)의 한쪽의 주면에는, 요철 구조 영역(12a)과 비요철 구조 영역(12b)을 포함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철 구조 영역(12a) 은,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요철 구조 영역(12a)을 구비하는 광 투과층(11)의 한쪽의 주면에, 요철 구조 영역(12a)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반사층(13)을 형성하고 있다.
광 투과층(11)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면, 원판을 이용한 전사(轉寫)에 의해, 한쪽의 주면에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이 설치된 광 투과층(1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체(10)가, 광 투과층(11) 및 반사층(13)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들 중 하나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요철 구조 영역(12a)의 표면에 손상이 생기기 어려워, 표시체에 보다 시인성이 우수한 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사층(13)으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 은, 및 그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반사층(13)으로서, 광 투과성과는 굴절률이 다른 유전체층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반사층(13)으로서, 이웃하는 것끼리의 굴절률이 다른 유전체층의 적층체, 즉, 유전체 다층막을 사용하여도 좋다. 단, 유전체 다층막이 포함하는 유전체층 중 광 투과층과 접촉하고 있는 것의 굴절률은, 광 투과층의 굴절률과는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표시체의 요철 구조 영역(12a)에 채용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요철 구조 영역(12a)에는, 복수의 볼록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볼록부(14b)에 의해서만 요철 구조 영역(12a)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복수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이용하여 요철 구조 영역(12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비요철 구조 영역(12b)은 평탄면이다.
다음에, 요철 구조 영역(12a)에 기인한 표시체(10)의 특수한 시각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요철 구조 영역(12a)이 회절광을 사출하는 모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31은 조명광을 나타내고, 32는 정 반사광 또는 0차 회절광을 나타내고, 33은 1차 회절광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요철 구조 영역에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가 일정한 주기를 갖고 있을 때, 요철 구조 영역을 조명하면, 요철 구조 영역은, 입사광인 조명광의 진행 방향에 의존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회절광을 사출한다.
가장 대표적인 회절광은 1차 회절광이다. 1차 회절광의 사출각 β는 하기 등식 (1)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d = λ/(sinα - sinβ) (1)
이 등식(1)에 있어서, d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를 나타내고, λ는 입사광 및 회절광의 파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α은, 0차 회절광, 즉, 투과광 또는 정 반사광의 사출각을 나타내고 있다. 환언하면, α의 절대값은, 조명광의 입사각과 같고, 입사각과는 Z축에 대하여 대칭인 관계이다(반사형 회절 격자의 경우). 한편, a, β는 Z축으로부터 시계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으로 한다.
등식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차 회절광의 사출각 β는 파장 λ에 따라 변화된다. 즉, 요철 구조 영역은, 분광기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조명광이 백색광인 경우, 요철 구조 영역의 관찰 각도를 변화시키면, 관찰자가 지각하는 색이 변화된다.
또한, 어떤 관찰 조건을 기초로 관찰자가 지각하는 색은, 중심간 거리 d에 따라 변화된다. 일례로서, 요철 구조 영역은, 그 법선 방향으로 1차 회절광을 사출하는 것으로 한다. 즉, 1차 회절광의 사출각 β은 0°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관찰자는, 이 1차 회절광을 지각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의 0차 회절광의 사출각을 αN이라고 하면, 등식 (1)은, 하기 등식 (2)로 간략화할 수 있다.
d = λ/sinαN (2)
등식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찰자에게 특정한 색을 지각시키기 위해서는, 그 색에 대응한 파장 λ와 조명광의 입사각 │αN│과 중심간 거리 d를, 그들이 등식 (2)에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요철 구조 영역(12a)에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는 200㎚ 내지 500㎚의 범위 내에 있다. 그 때문에, 조명광(31)에 대한 정 반사광(32)의 반사율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구조의 주기성에 의해 조명광(31)의 입사 각도에 따라서는 가시광의 1차 회절광(33)을 특정 방향으로 사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체(10)를 그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 우, 요철 구조 영역(12a)은 흑색으로 보인다. 한편, 여기서, 「흑색」은, 예컨대, 표시체(10)에 법선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고, 정 반사광의 강도를 측정했을 때에, 파장이 400㎚ 내지 700㎚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광 성분에 대하여 반사율이 25%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요철 구조 영역(12a)은, 마치 흑색 인쇄층과 같이 보인다.
또한,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의 1차 회절광(33)의 사출각이 -90°~ 90°의 범위 내이면, 표시체(10)의 법선 방향과 관찰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관찰자는,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의 1차 회절광(33)을 지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요철 구조 영역(12a)이 흑색 인쇄층과는 다른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요철 구조 영역(12a)은, 입사광에 대한 정 반사광의 반사율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구조의 주기성에 의해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서는 가시광의 반사 회절광을 특정 방향으로 사출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관찰 조건하에서는, 요철 구조 영역(12a)은 검게 보이고, 비요철 구조 영역(12b)은 정 반사광(32)이 관찰되기 때문에, 높은 콘트라스트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의 1차 회절광(33)이 관찰되는 조건하에서는, 회절광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은 흑색으로 표시된 화상이 관찰 각도를 변경함에 따라 돌연히 빛나 보이도록 한 특유의 시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표시체(10)를 위조 방지용의 라벨로서 사용하면,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레이저광에 의한 간섭 줄무늬의 포토레지스트에의 기록이나 등피치에서의 미세 가공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원판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원판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나 광경화성 수지에 엠보싱 가공을 행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표시체를 정밀하게 양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체의 외관으로부터, 그 미세 구조나 배치 패턴을 해석하여, 완전 동일한 표시체를 제작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여, 위조 방지 효과가 높다.
도 5 및 도 6은, 복수의 요철 구조 영역에서 표시면을 구성한 표시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표시체(10)에서는, 2개의 요철 구조 영역(PX1 및 PX2)과 2개의 비요철 구조 영역(PX3 및 PX4)으로 표시면을 구성하고 있다. 요철 구조 영역(PX1)과 요철 구조 영역(PX2)은, 요철 형상이 다르다. 한편, 여기서, 요철 형상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형상, 깊이 또는 높이, 중심간 거리 및 배치 패턴의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나타내는 표시체에서는, 요철 형상이 다른 2개의 요철 구조 영역(PX1 및 PX2)을 면내에 배치함으로써, 요철 형상이 다른 2개의 요철 구조 영역 간의 광학적인 차이(즉, 반사율이나 회절 효율, 회절광의 사출 방향이나 파장(색) 등의 차이)에 의해, 화상의 농담이나 색, 보이는 방향 등을 설정할 수 있어, 시각 효과가 높은 표시가 행해진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표시체(10)에서는, 2개의 요철 구조 영역(PX5 및 PX6)과 1개의 비요철 구조 영역(PX7)으로 표시면을 구성하고 있다. 요철 구조 영 역(PX5)과 요철 구조 영역(PX6)은, 요철 형상이 다르다.
도 6에 나타내는 표시체(10)에서는, 요철 형상이 다른 복수의 요철 구조 영역(PX5 및 PX6)이 인접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한쪽의 요철 구조 영역(예컨대, PX5)에 의해서 사출한 회절광이, 요철 구조 영역을 갖추고 있지 않은 광 투과층(11)의 표면에서 반사하고, 인접하는 또 다른 한쪽의 요철 구조 영역(예컨대, PX6)에 의해서 더 회절하고, 한쪽의 요철 구조 영역(PX5 또는 PX6)만으로 사출할 수 없는 방향으로 이들의 인접한 경계부로부터만 회절광을 사출하고, 인접한 경계부가 테두리처럼 빛나보일 수 있다. 특히, 한쪽의 요철 구조 영역(PX5 또는 PX6)에서만, 회절각이 지나치게 크고 법선 부근에서는 회절광이 관찰되지 않는 조명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회절광이 관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시각 효과는 전술의 시각 효과와 상반되지 않기 때문에, 흑색, 회절광의 2 종류에 더하여, 각 요철 구조 영역(PX5 및 PX6)이 흑색으로 보이는 상태에서, 요철 형상이 상이한 인접하는 요철 구조 영역(PX5 및 PX6)이 테두리처럼 회절광을 사출하고 있는 상태의 총 3 종류의 스위칭의 시각 효과가 얻어진다.
도 7은, 요철 구조 영역에 채용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요철 구조 영역(12a)에서는, 복수의 오목부(14a)와 볼록부(14b)와 중간부(14c)를 구비하고, 복수의 오목부(14a)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열(16a)과, 복수의 볼록부(14b)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 열(16b)을 갖고, 오목부 열(16a) 및 볼록부 열(16b)의 신장 방향(도 7에서는 Y 방향)은 거의 동 일하며, 오목부 열(16a) 및 볼록부 열(16b)은 신장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도 7에서는 X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하고 있다. 여기서, 신장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X)은 직교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중간부(14c)는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엠보싱 가공에 의해 양산하는 경우에는, 오목부(14a)와 볼록부(14b)를 포함하는 전체의 요철 구조 영역(12a)이 주면의 표면보다도 낮게 되는 상태가 성형의 용이함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목부 열(16a)은, 복수의 오목부(14a)가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 열(16a)은 직선이더라도, 곡선이더라도, 사행(蛇行)하고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볼록부 열(16b)도 마찬가지다.
또한, 오목부 열(16a) 및 볼록부 열(16b)의 신장 방향은, 거의 동일하면 좋고, 이것은, 인접하는 오목부 열(16a) 및 볼록부 열(16b)이 교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요철 구조 영역(12a)에서는, 복수의 오목부(14a)와 볼록부(14b)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오목부(14a)만, 또는, 볼록부(14b)만을 구비하고 있는 요철 구조 영역과 비교하여, 오목부(14a)의 깊이를 얕게, 볼록부(14b)의 높이를 낮게 해도, 반사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오목부(14a)의 깊이를 더 깊게, 볼록부(14b)의 높이를 더 높게 하지 않고, 더 짙은 흑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4a)만, 또는, 볼록부(14b)만을 구비하고 있는 요철 구조 영역 과 비교하여, 요철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요철 형상의 해석이 한층 더 어렵게 되어, 위조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8은, 오목부(14a)와 볼록부(14b)를 구비하는 요철 구조 영역(12a)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에서는, 파선 영역(L1 내지 L5)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1회째의 선 형상(線狀) 오목부 형성을 행하고 있다. 다음에, 파선 영역(L6 내지 L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2회째의 선 형상 오목부 형성을 행하고 있다. 파선 영역(L1 내지 L5)과 파선 영역(L6 내지 L10)이 교차하는 개소는, 오목부 형성을 2회 행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깊은 오목부(14a)(도 8에서는 흑색의 원으로 나타냄)가 형성된다. 파선 영역(L1 내지 L10) 내이며, 파선 영역이 교차하지 않고 있는 개소는, 오목부 형성을 1회만 행하고 있기 때문에, 오목부(14a)의 대략 절반의 깊이를 갖는 중간부(14c)가 형성된다. 파선 영역(L1 내지 L10)의 밖이며, 파선 영역(L1 내지 L10)으로 주위를 둘러싸인 개소는, 오목부 형성을 1회도 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깊이를 갖지 않는 볼록부(14b)(도 8에서는 백색의 원으로 나타냄)가 형성된다. 구체적인 오목부 형성 방법으로서는, 레지스트 재료에 대하여 레이저의 간섭 패턴을 기록하거나, 전자선 묘화(描畵)를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요철 구조 영역(12a)의 원판에서는, 레지스트 재료 표면과 볼록부(14b)의 선단이 동일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중간부(14c)의 높이를 평면으로서 파악하여, 기준면으로 했을 때에, 기준면이 레지스트 재료 표면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철 구조 영역(12a)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목부(14a)와 볼록부(14b)를 구비하는 요철 구조 영역(12a)에서, 기준면이, 레지스트 재료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상부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부(14c)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오목부(14a)와 볼록부(14b)를 구비하는 요철 구조 영역(12a)에서는, 오목부(14a)의 깊이 및 볼록부(14b)의 높이는 기준면으로부터의 깊이 및 높이를 의미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요철 구조 영역(12a)에 채용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치 패턴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열은, 정사각형 격자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조는, 전자선 묘화 장치나 스테퍼(stepper) 등의 미세 가공 장치를 이용한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고,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 등의 고정밀도 제어도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도 9의 구조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를 200㎚ 이상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 회절광을 사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요철 구조 영역(12a)이 흑색 인쇄층과는 다른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를 200㎚ 미만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찰되는 색에 대해서는, 요철 구조 영역(12a)이 흑색 인쇄층과는 다른 것이 알기 어렵게 된다.
도 9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를 X 방향과 Y 방향에서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는 X 방향과 Y 방향에서 다르게 하더라도 좋다. 즉,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열은, 직사각형 격자를 형성하고 있더라도 좋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를 X 방향 및 Y 방향의 양쪽에서 비교적 길게 설정하면,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표시체(10)를 조명한 경우와 X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표시체(10)를 조명한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 회절광을 사출시킬 수 있고, 또한, 전자와 후자에서 회절광의 파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를 X 방향 및 Y 방향의 양쪽에서 비교적 짧게 설정하면, 조명 방향에도 불구하고,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를, X 방향 및 Y 방향의 한쪽에서 비교적 길게 설정하고, 다른 쪽에서 비교적 짧게 설정하면, Y 방향 및 X 방향 중 한쪽에 수직인 방향으로 표시체(10)를 조명한 경우에는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 회절광을 사출시키고, Y 방향과 X 방향 중 다른 한쪽에 수직인 방향으로 표시체(10)를 조명한 경우에는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열이, 삼각형 격자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9의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를 비교적 길게 설정하면, 요철 구 조 영역(12a)으로부터 회절광을 사출시킬 수 있고,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를 비교적 짧게 설정하면,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구조를 채용한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를 적절히 설정하면, 예컨대, A 방향으로 표시체(10)를 조명했을 때에는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을 방지하고, B 방향 및 C 방향으로 표시체(10)를 조명했을 때에는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 회절광을 사출시킬 수 있다. 즉, 더 복잡한 시각 효과가 얻어진다.
도 11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은,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을 불규칙하게 배치한 경우,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이 생기기 더 어렵게 된다. 한편, 이 구조는, 예컨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스페클(speckle)의 강도 분포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은,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크기가 불균일하다.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11의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요철 구조 영역(12a)으로부터의 회절광의 사출이 생기기 더 어렵게 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치 패턴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배치 패턴은, 그것에 고유의 시각 효과 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치 패턴이 다른 복수의 화소로 요철 구조 영역(12a)을 구성하면, 보다 복잡한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채용가능한 요철 구조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복수의 볼록부(14b)에 의해서만 요철 구조 영역(12a)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복수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이용하여 요철 구조 영역(12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구조는, 도 3에 나타내는 구조의 변형예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볼록부는 모두 순방향 테이퍼 형상(forward tapered shape)을 갖고 있다. 순방향 테이퍼 형상에서는, 어떤 각도로부터 관찰하더라도, 요철 구조 영역(12a)의 정 반사광(33)의 반사율은 작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볼록부(14b)는, 원뿔 형상을 갖고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을 원뿔 형상으로 하는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은 선단이 뾰족하여도 좋고, 끝이 잘린 원뿔 형상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단,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을 선단이 뾰족한 원뿔 형상으로 한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은 요철 구조 영역에 평행한 면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끝이 잘린 원뿔 형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요철 구조 영역의 정 반사광의 반사율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볼록부(14b)는, 사각뿔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은, 삼각뿔 형상 등의 사각뿔 형상 이외 의 각뿔 형상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 특정 조건에서 사출하는 회절광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어, 관찰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을 각뿔 형상으로 하는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은 선단이 뾰족하더라도 좋고, 끝이 잘린 각뿔 형상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단,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을 선단이 뾰족한 각뿔 형상으로 한 경우,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은 요철 구조 영역에 평행한 면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끝이 잘린 각뿔 형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요철 구조 영역의 정 반사광의 반사율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볼록부(14b)는, 반방추 형상(semi-spindle shape)을 갖고 있다. 즉,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은, 선단이 둥근 원뿔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3 또는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원판에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형성이나 원판으로부터 광 투과층(11)으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전사가 보다 용이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반방추 형상을 갖고 있는 오목부(14a) 및 볼록부(14b)를 이용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는, 볼록부(14b)는, 바닥 면적이 다른 복수의 사각 기둥을 그 바닥 면적이 큰 것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중첩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사각 기둥의 대신에, 원 기둥이나 삼각 기둥 등의 사각 기둥 이외의 기둥 형상체를 중첩하더라도 좋다.
도 15에 나타내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3, 도 13 또는 도 14에 나타내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만큼, 요철 구조 영역의 정 반사광의 반사율을 작게 할 수 없다. 단, 도 15에 나타내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 도 14에 나타내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3 또는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원판에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형성이나 원판으로부터 광 투과층(11)으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전사가 보다 용이하다.
이와 같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형상은, 요철 구조 영역의 반사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형상이 다른 복수의 화소로 요철 구조 영역을 구성하면, 요철 구조 영역에서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가 400㎚ 이하이면, 가시 파장 범위 400 ~ 700㎚에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으로부터의 회절광 성분이 법선 방향으로 사출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등식 (2)에 있어서, 89°의 조명광이더라도 400㎚의 광이 겨우 법선 방향으로 향하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가시 파장의 모두에 대하여 모든 조명 조건하에서 충분한 강도의 회절광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사출하는 것이 없어진다. 따라서,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때에, 요철 구조 영역을 보다 확실하게 검게 볼 수 있어, 진위 판정이 용이해져, 위조 방지 효과를 높인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가 200㎚ 이상 350㎚ 이하이면, 가시 파장 범위 400 ~ 700㎚에서, 적어도 적색 성분의 회절광이 요철 구조 영 역에서 관찰되는 것이 없어진다. 등식 (1)에 있어서, 350㎚의 중심간 거리에서는 89°의 조명광의 경우에 700㎚의 광이 89°방향으로 회절하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적색광에 대해서는 모든 조명 조건하에서 충분한 강도의 회절광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사출하는 것이 없어진다. 한편, 200㎚의 중심간 거리에서는 89°의 조명광의 경우에 400㎚의 광이 89°방향으로 회절하게 되기 때문에, 청색광이 회절되는 하한인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배치 간격이 200㎚ 이상 35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깊은 각도의 조명광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깊은 각도로부터 적색 이외의 회절광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그 이외의 조건에서는, 회절광이 사출하지 않고, 일반적인 관찰 조건하에서는 회절광이 인식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때에, 요철 구조 영역을 보다 확실하게 검게 볼 수 있음과 아울러, 특정 조건하에서는 청색 또는 녹색의 회절광을 관찰할 수 있어, 매우 진위 판정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해져, 위조 방지 효과를 높인다.
요철 구조 영역은,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를 크게 하면, 보다 어둡게 보이게 된다. 예컨대,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를, 그들의 중심간 거리의 1/2 이상으로 하면, 요철 구조 영역은, 매우 어둡게 보이게 된다. 그러므로,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가 다른 복수의 화소로 요철 구조 영역을 구성하면, 요철 구조 영역에서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요철 구조 영역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요철 구조 영역에 평행한 일 방향에 대한 치수와 그 방향에 대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중심간 거리를 1:1에 가깝게 하면, 보다 어둡게 보이게 된다. 그리고,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요철 구조 영역에 평행한 일 방향에 대한 치수와 그 방향에 대한 중심간 거리를 같게 한 경우, 요철 구조 영역은 가장 어둡게 보인다. 그러므로, 앞서의 비율이 다른 복수의 화소로 요철 구조 영역을 구성하면, 요철 구조 영역에서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체에서는, 요철 구조 영역을 갖추는 광 투과층의 한쪽의 주면에, 요철 구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반사층을 형성하고, 또한, 적어도 요철 구조 영역을 피복하도록 수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수지층으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우레탄, 에폭시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단, 요철 구조 영역의 일부가 반사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굴절률은, 광 투과층의 굴절률과 동일하면, 요철 구조가 무효화되어, 반사층의 유무가 강조되어, 적합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요철 구조 영역의 표면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본 발명의 기능을 크게 손상시키도록 하는 경우가 없게 되어, 본 발명의 표시체를 이용하여 확실하고 안정한 진위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반사층의 반사율은 100% 미만이기 때문에, 광 투과층의 반사층 측을 수지층으로 피복함으로써, 피복전에 비해, 굴절률이 공기의 굴절률 (1.0)으로부터 수지의 굴절률 (1.4 내지 1.6 전후)로 올라, 반사층-수지층 계면에서의 반사율을 저하시킬 수 있어, 보다 검게 볼 수 있어, 시각 효과를 명확히 할 수 있다.
도 16은, 위조 방지용 또는 식별용 라벨을 물품에 지지시켜 이루어지는 라벨 부착 물품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에는, 라벨 부착 물품 의 일례로서, 인쇄물(100)을 그리고 있다. 이때, 상술의 수지층이 접착제나 점착제이면, 간편하게 실현되는 경우가 있다.
이 인쇄물(100)은, 자기 카드이고, 기재(51)를 포함하고 있다. 기재(51)는,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기재(51) 상에는, 인쇄층(52)과 띠 형상의 자기 기록층(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재(51)에는, 표시체(10)가 위조 방지용 또는 식별용 라벨로서 부착되어 있다. 한편, 이 표시체(10)는, 표시하고 있는 이미지가 다른 것 이외는, 도 1 및 도 2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인쇄물(100)은, 표시체(10)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인쇄물(100)의 위조 또는 모조는 곤란하다. 또한, 이 인쇄물(100)은, 표시체(10)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품인지가 불명확한 물품을 진정품과 비진정품 간에 판별하는 것도 용이하다. 더구나, 이 인쇄물(100)은, 표시체(10)에 더하여, 인쇄층(52)을 더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층(52)의 보임과 표시체의 보임을 대비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인쇄물(100)이 인쇄층(52)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진정품인지가 불명확한 물품을 진정품과 비진정품 간에 판별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한편, 도 16에는,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로서 자기 카드를 예시하고 있지만,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은, 무선 카드, IC(Integrated Circuit) 카드, ID(Identification) 카드 등의 다른 카드이더라도 좋다. 또는, 표시체(10)를 포함 한 인쇄물은, 상품권 및 주권 등의 유가 증권이더라도 좋다. 또는,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은, 진정품이라는 것이 확인되어야 하는 물품에 부착되어야 하는 태크(tag)이더라도 좋다. 또는, 표시체(10)를 포함한 인쇄물은, 진정품인 것이 확인되어야 하는 물품을 수용하는 포장체 또는 그 일부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인쇄물(100)에서는, 표시체(10)를 기재(51)에 부착하고 있지만, 표시체(10)는, 다른 방법으로 기재에 지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기재로서 종이를 사용한 경우, 표시체(10)를 종이에 매립하여, 표시체(10)에 대응한 위치에서 종이를 개구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라벨 부착 물품은, 인쇄물이 아니더라도 좋다. 즉, 인쇄층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물품에 표시체(10)를 지지시키더라도 좋다.
Claims (12)
- 광 투과층의 한쪽의 주면(主面)에, 2차원적으로 배열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을 포함하는 요철 구조 영역을 화상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고, 상기 한쪽의 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요철 구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반사층을 구비하고 있으며,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중심간 거리가 200㎚ 내지 500㎚의 범위 내에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요철 구조 영역을 복수 구비하고 있고,적어도 하나의 상기 요철 구조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형상, 깊이 또는 높이, 중심간 거리 및 배치 패턴이, 다른 요철 구조 영역과 상이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요철 구조 영역을 복수 구비하고 있고,적어도 하나의 상기 요철 구조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형상, 깊이 또는 높이, 중심간 거리 및 배치 패턴이, 다른 요철 구조 영역과 상이하고,서로 다른 요철 구조 영역이 인접 배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요철 구조 영역이 복수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하고,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열과,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 열을 갖고,상기 오목부 열 및 상기 볼록부 열의 신장 방향이 거의 동일하며,상기 오목부 열 및 상기 볼록부 열은 상기 신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요철 구조 영역이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을 구비하 고,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특정한 방향에서의 중심간 거리가 일정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상기 특정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중심간 거리도 일정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요철 구조 영역이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을 구비하고,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특정한 방향에서의 중심간 거리가 일정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의 상기 특정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중심간 거리가 서로 다른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그 양쪽이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중심간 거리가 4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중심간 거리가 200㎚ 내지 35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가 상기 중심간 거리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광 투과층의 한쪽의 주면에 상기 요철 구조 영역을 구비하고,상기 요철 구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반사층과, 적어도 상기 요철 구조 영역을 피복하는 수지층을 순차적으로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체와, 이것을 지지한 물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부착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254689 | 2007-09-28 | ||
JP2007254689 | 2007-09-28 | ||
PCT/JP2007/072133 WO2009040960A1 (ja) | 2007-09-28 | 2007-11-14 |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30336A true KR20090130336A (ko) | 2009-12-22 |
KR101188477B1 KR101188477B1 (ko) | 2012-10-05 |
Family
ID=4051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24932A KR101188477B1 (ko) | 2007-09-28 | 2007-11-14 |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8147945B2 (ko) |
EP (1) | EP2192427B1 (ko) |
JP (1) | JPWO2009040960A1 (ko) |
KR (1) | KR101188477B1 (ko) |
CN (1) | CN101688933B (ko) |
BR (1) | BRPI0721635A2 (ko) |
CA (1) | CA2692949C (ko) |
WO (1) | WO20090409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07511B2 (ja) * | 2009-04-14 | 2014-02-05 | 凸版印刷株式会社 | 表示体及び情報印刷物 |
JP2010281876A (ja) * | 2009-06-02 | 2010-12-16 | Canon Inc | 光学素子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系 |
EP2444826B1 (en) * | 2009-06-18 | 2019-05-22 | Toppan Printing Co., Ltd. |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5504732B2 (ja) * | 2009-07-30 | 2014-05-28 | 凸版印刷株式会社 |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
CN102770787B (zh) * | 2009-12-01 | 2015-09-16 | 凸版印刷株式会社 | 显示体及带标签的物品 |
DE102011121588A1 (de) * | 2011-12-20 | 2013-06-20 | Giesecke & Devrient Gmbh | Sicherheitselement für Sicherheitspapiere, Wertdokumente oder dergleichen |
FR2989474B1 (fr) | 2012-04-13 | 2014-11-28 | Hologram Ind | Composant optique de securite, fabrication d'un tel composant et produit securise equipe d'un tel composant |
DE102012105444A1 (de) | 2012-06-22 | 2013-12-24 | Ovd Kinegram Ag | Sicherheitselement mit diffraktiver Struktur |
JP2014191337A (ja) * | 2013-03-28 | 2014-10-06 | Toppan Printing Co Ltd | 画像表示体および物品 |
EP2994318B1 (en) * | 2013-05-09 | 2019-07-03 | Idit Technologies Corp. | Nanostructure array diffractive optics for motion and animation display |
ES2773494T3 (es) | 2013-05-10 | 2020-07-13 | Nanotech Security Corp | Optica difractiva de matrices de nanoestructuras para pantallas en color RGB |
DE102013014894A1 (de) * | 2013-09-06 | 2015-03-12 | Giesecke & Devrient Gmbh | Manipulationssicheres Sicherheitsdokument |
JP6314580B2 (ja) * | 2014-03-24 | 2018-04-25 | 凸版印刷株式会社 | 情報表示媒体及び情報表示媒体の認証方法 |
US20160121640A1 (en) * | 2014-11-04 | 2016-05-05 | Lumenco, Llc | Flat concave micro lens for security as an integrated focusing element |
AU2015346868B2 (en) * | 2014-11-10 | 2019-07-11 | Toppan Printing Co., Ltd. | Optical element for forgery proof |
JP6520359B2 (ja) * | 2015-04-30 | 2019-05-29 | 凸版印刷株式会社 | 表示体、物品、原版、および、原版の製造方法 |
EP3401712B1 (en) * | 2016-01-07 | 2020-02-26 | Toppan Printing Co., Ltd. | Optical element and article equipped with optical element |
FR3053281B1 (fr) * | 2016-06-30 | 2020-03-27 | Banque De France | Procede de fabrication d'un document de securite presentant un signe de securite a contraste de brillance |
AU2017303176B2 (en) * | 2016-07-25 | 2022-11-17 | Toppan Printing Co., Ltd. | Display body |
CN108152873A (zh) * | 2017-12-07 | 2018-06-12 | 深圳力合防伪技术有限公司 | 一种变栅距凹面光栅及其制作工艺 |
AT523690B1 (de) | 2020-03-16 | 2022-03-15 | Hueck Folien Gmbh | Flächiges Sicherheitselement mit optischen Sicherheitsmerkmalen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285B2 (ja) | 1988-09-07 | 1996-02-07 | 凸版印刷株式会社 | 回折格子パターン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とその作製方法 |
JPH0688905A (ja) * | 1991-12-11 | 1994-03-29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回折格子パターン偽造防止方法及び偽造防止回折格子パターン記録体 |
JPH0667608A (ja) * | 1992-08-19 | 1994-03-1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回折格子を用いた表示体 |
CN1106344A (zh) * | 1994-02-05 | 1995-08-09 | 苏斌 | 防伪造的平面标记和防复印、翻摄伪造的平面标记 |
EP0712012A1 (en) * | 1994-11-09 | 1996-05-1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uthentication label and authenticating pattern incorporating diffracting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m |
WO1998010324A1 (de) * | 1996-09-04 | 1998-03-12 | Electrowatt Technology Innovation Ag | Flächenmuster mit wenigstens zwei verschiedenen lichtbeugenden reliefstrukturen für optische sicherheitselemente |
GB9810399D0 (en) * | 1998-05-14 | 1998-07-15 | Rue De Int Ltd | Holographic security device |
DE10150293B4 (de) * | 2001-10-12 | 2005-05-12 | Ovd Kinegram Ag | Sicherheitselement |
JP4324374B2 (ja) * | 2002-03-29 | 2009-09-02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微細凹凸パターン形成材料、微細凹凸パターン形成方法、転写箔、光学物品及びスタンパー |
JP4275469B2 (ja) * | 2003-06-16 | 2009-06-10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凹凸パターン形成材料、凹凸パターン受容体、凹凸パターン形成方法、転写箔、及び光学物品 |
JP4275468B2 (ja) * | 2003-06-16 | 2009-06-10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凹凸パターン形成材料、凹凸パターン受容体、凹凸パターン形成方法、転写箔、及び光学物品 |
JP2005011021A (ja) * | 2003-06-18 | 2005-01-13 | Alps Electric Co Ltd | タブレ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
JP2005156989A (ja) * | 2003-11-26 | 2005-06-16 | Olympus Corp | 鏡枠 |
US20080037124A1 (en) * | 2004-03-31 | 2008-02-14 | Tadahiro Ohmi | Optical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DE102004016596B4 (de) * | 2004-04-03 | 2006-07-27 | Ovd Kinegram Ag | Sicherheitselement in Form eines mehrschichtigen Folienkörper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elements |
JP2006195289A (ja) * | 2005-01-14 | 2006-07-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無反射構造を有する光学素子の製造方法 |
JP2007079005A (ja) * | 2005-09-13 | 2007-03-29 | Canon Inc | 複製防止光学素子 |
JP2007223045A (ja) * | 2006-02-21 | 2007-09-06 | Dainippon Printing Co Ltd | 熱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物 |
JP4961944B2 (ja) * | 2006-10-24 | 2012-06-27 | 凸版印刷株式会社 | 表示体及び印刷物 |
KR101126938B1 (ko) * | 2007-05-25 | 2012-03-20 |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표시체 및 정보 인쇄물 |
JP4998405B2 (ja) * | 2008-08-11 | 2012-08-15 | 凸版印刷株式会社 |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
-
2007
- 2007-11-14 CN CN200780053162XA patent/CN101688933B/zh active Active
- 2007-11-14 KR KR1020097024932A patent/KR10118847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11-14 CA CA2692949A patent/CA2692949C/en active Active
- 2007-11-14 EP EP07831863.1A patent/EP2192427B1/en not_active Revoked
- 2007-11-14 WO PCT/JP2007/072133 patent/WO200904096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11-14 JP JP2009534145A patent/JPWO2009040960A1/ja active Pending
- 2007-11-14 BR BRPI0721635-1A patent/BRPI0721635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
- 2009-11-25 US US12/592,527 patent/US8147945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192427B1 (en) | 2014-05-07 |
US20100071237A1 (en) | 2010-03-25 |
BRPI0721635A2 (pt) | 2014-02-25 |
US8147945B2 (en) | 2012-04-03 |
KR101188477B1 (ko) | 2012-10-05 |
CA2692949A1 (en) | 2009-04-02 |
EP2192427A4 (en) | 2010-10-27 |
JPWO2009040960A1 (ja) | 2011-01-13 |
EP2192427A1 (en) | 2010-06-02 |
CN101688933A (zh) | 2010-03-31 |
CN101688933B (zh) | 2012-01-11 |
WO2009040960A1 (ja) | 2009-04-02 |
CA2692949C (en) | 2013-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8477B1 (ko) |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 |
KR101363779B1 (ko) |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 |
JP5303879B2 (ja) |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 |
JP4998405B2 (ja) |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 |
JP5272434B2 (ja) | 表示体 | |
KR101126938B1 (ko) | 표시체 및 정보 인쇄물 | |
KR101105912B1 (ko) | 표시체 및 라벨 부착 물품 | |
JP5157121B2 (ja) | 表示体および印刷物 | |
JP5434144B2 (ja) |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 |
KR20170102512A (ko) | 표시체 및 물품 | |
JP5338177B2 (ja) |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 |
JP2012123102A (ja) |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 |
JP5740811B2 (ja) | 表示体及び表示体付き物品 | |
JP2011175374A (ja) | 表示体、粘着ステッカ、転写箔及びラベル付き物品 | |
JP2017032900A (ja) | 表示体及び表示体付き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