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437A -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및 금형냉각장치 - Google Patents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및 금형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437A
KR20090126437A KR1020080052518A KR20080052518A KR20090126437A KR 20090126437 A KR20090126437 A KR 20090126437A KR 1020080052518 A KR1020080052518 A KR 1020080052518A KR 20080052518 A KR20080052518 A KR 20080052518A KR 20090126437 A KR20090126437 A KR 20090126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oling
water tank
coolant
pump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석
Original Assignee
임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석 filed Critical 임채석
Priority to KR102008005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6437A/ko
Publication of KR2009012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2Control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4Influencing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e.g. by heating or cooling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4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 제작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금형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금형냉각장치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냉각수가 수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냉각수를 금형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핑부와; 상기 물탱크 내부 또는 외부에 원수가 공급되는 중간에 설치되어 냉각수 온도를 조정하는 칠러(chiller)와; 금형으로 냉각수 또는 고압에어를 분출하게 되는 노즐과;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 온도, 물탱크로 공급되는 원수온도, 물탱크 내부 냉각수온도 및 주변온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온도센서와; 상기 다수의 온도센서로부터 데이타를 받아 상기 칠러(chiller)의 가동으로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되도록 제어하는 자동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효율적으로 금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팅금형, 냉각, 냉각수, 칠러, 펌프, 온도센서, 고압에어

Description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및 금형냉각장치{Cooling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mold cooling and mold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물 제작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금형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금형냉각장치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주물제작에 있어서 금형의 냉각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이며, 따라서 적당한 냉각장치가 필요하다. 주형 내부로 용탕을 부어서 주물을 제작하는 경우 금형 전체에 걸쳐서 고른 냉각이 이루어져야만 용탕의 응고시 균일하게 결정을 이루어 양호한 품질의 주물이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주물에 있어 홀이나 돌출핀 형태의 부분에 대하여는 보다 금형의 냉각에 신경을 써야 한다. 정밀한 주조법인 다이캐스팅 주조의 경우 이러한 요구조건은 더욱 절실하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486038호의 금형용 냉각장치가 있다. 첨부되는 도1은 상기 냉각장치에 있어서의 펌프부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2는 에어 공급배출회로 및 냉각액 공급배출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기 기술의 경우 금형에 형성된 유체유로(65a)에 대하여 냉각액을 송급하는 펌프부(1)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부(1)의 에어에 의한 구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유로(65a)에 대한 에어의 송급을 행하게 하는 에어 공급배출회로(22)를 구비하여 상기 펌프부(1)로부터 상기 유체유로(65a)측에 대하여 냉각액을 연속송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상기 기술의 경우 피스톤로드의 1회 왕복 동작시에 2번에 걸쳐서 냉각액의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펌프부가 액원(냉각액이 수용되는 탱크)과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배관으로 연결되고 배관 중간에 체크밸브가 설치되므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배관처리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성이 없으므로 상황에 따른 설치 자유도가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물과 같은 냉각액의 경우 기온변화나 밀폐된 실내에서의 장시간 가동으로 자연스럽게 냉각액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냉각액 자체의 온도조절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아무리 냉각액의 공급이 잘 이루어지더라도 냉각액 자체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된다면 금형 냉각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관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콤팩트한 구조를 갖고 이동성도 좋은 구조를 갖는 냉각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온변화 등에 대처하기 위해 냉각수 자체의 온도를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금형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냉각수가 수용되는 물탱크와; 중심부에 피스톤로드가 관통되는 센터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 상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제1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유로의 끝단부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이 설치될 수 있도록 확관부로 이루어져 제1체크밸브가 형성되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이 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내경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상부실린더와; 상기 연결바디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2피스톤이 내경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양단이 개구되는 원통형의 펌핑케이스와; 상기 펌핑케이스 하단부에 결합되되 하부면에 제2체크밸브가 결합되어 냉각수를 상기 펌핑케이스 내부로 흡입하게 되고, 상기 펌핑케이스 내부와 연결되어 흡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유로가 구비되는 펌핑케이스 커버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연결하는 중간파이프;를 포함하여 구 성되어 금형냉각을 위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형 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는 상기 물탱크 내부 또는 상기 물탱크로 원수가 공급되는 중간에 칠러(chiller)가 설치되어 냉각수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금형냉각을 위한 금형냉각장치에 있어서, 냉각수가 수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냉각수를 금형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핑부와; 상기 물탱크 내부 또는 외부에 원수가 공급되는 중간에 설치되어 냉각수 온도를 조정하는 칠러(chiller)와; 금형으로 냉각수 또는 고압에어를 분출하게 되는 노즐과;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 온도, 물탱크로 공급되는 원수온도, 물탱크 내부 냉각수온도 및 주변온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온도센서와; 상기 다수의 온도센서로부터 데이타를 받아 상기 칠러(chiller)의 가동으로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되도록 제어하는 자동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효율적으로 금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냉각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펌핑부는, 중심부에 피스톤로드가 관통되는 센터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 상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제1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유로의 끝단부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이 설치될 수 있도록 확관부로 이루어져 제1체크밸브가 형성되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이 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내경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상부실린더와; 상기 연결바디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2피스톤이 내경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양단이 개구되는 원통형의 펌핑케이스와; 상기 펌핑케이스 하단부에 결합되되 하부면에 제2체크밸브가 결합되어 냉각수를 상기 펌핑케이스 내부로 흡입하게 되고, 상기 펌핑케이스 내부와 연결되어 흡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유로가 구비되는 펌핑케이스 커버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연결하는 중간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냉각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공급장치 및 금형냉각장치는 물탱크와 일체로 설치될 수 있어 콤팩트한 구조의 달성이 가능하며 이동성이 좋고 복잡한 배관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수 자체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온변화나 주변여건에 따라 자동제어를 통해서 냉각수를 최적의 온도상태로 유지하여 금형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전개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 기로 한다.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도면 자체에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이스캐스팅 금형과 같은 금형에 있어서 냉각수를 이용하여 금형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되는 기술로서, 부분적으로는 금형 냉각을 위한 냉각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전체적으로는 금형냉각을 위한 통합 시스템과 관련되는 것이다.
먼저,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되는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의 냉각수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단면도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각수 공급장치는 물탱크(100)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와 일체로 펌핑부(200)가 결합되어 금형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동성이 좋도록 하기 위해 물탱크(100)가 설치되는 프레임(f)을 두고서 상기 프레임(f) 하부에는 다수의 이동바퀴(w)를 두어서 설치가 자유롭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 물탱크(100)에는 냉각수가 수용되며 주로 공업용수를 인수하여 냉각수로 활용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100)에는 원수가 공급될 수 있는 원수유입구(110)가 형성되며 또한 저장된 냉각수를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파이프(12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탱크(100) 상부로부터 물탱크 내부까지 다다르 는 펌핑부(200)가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데, 상기 펌핑부(200)는 크게 연결바디(210), 상부실린더(220), 펌핑케이스(230), 펌핑케이스 커버(240), 중간파이프(250)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바디(210)의 상측으로는 상부실린더(220)가 결합되고 하측에는 펌핑케이스(23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바디(210)에는 돌출된 플랜지(211)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211)를 이용하여 물탱크(100)에 고정연결시키도록 한다. 상기 연결바디(210)의 중심부에는 관통되는 센터홀(212)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홀(212)에 피스톤로드(r)가 끼워져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디(210)의 플랜지(211)에는 물탱크(100) 내부의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유로(2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유로(213)는 플랜지(211)의 하부면에서 시작되어 측면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구멍이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1유로(213)를 통해서 펌핑된 냉각수가 물탱크 외부로 배출되어 금형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유로(213)에 있어서 플랜지(211)의 측면으로 개구되는 끝단부는 확관부(214)를 이루게 되며 상기 확관부(214)에 제1체크밸브(v1)가 설치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v1)는 볼(b)과 스프링(s) 및 마개(c)로 이루어져 상기 확관부(214)가 형성되는 플랜지(211)에 결합된다. 제1체크밸브(v1)는 일방향으로만 열리게 되어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마개(c)에 외부배관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바디(210) 상부에 상부실린더(2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실린더(220) 내경면에는 피스톤로드(r)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피스톤(p1)이 끼 워진 상태를 이루며 상기 제1피스톤(p1)은 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상기 상부실린더(220)에는 외부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2개소의 공기 유입구가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 동작하게 된다.
상기 연결바디(210) 하부측으로 펌핑케이스(230)가 결합되는데 상기 펌핑케이스(230)는 원통형으로 상하가 개구되어 있는 것이며 물탱크(100) 내부에 놓이게 된다. 상기 펌핑케이스(230) 내경면에는 제2피스톤(p2)이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제2피스톤(p2)은 상기 피스톤로드(r)의 하단부에 고정연결되어 펌핑케이스(230) 내부에서 피스톤로드(r)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상기 제1피스톤(p1)과 제2피스톤(p2)은 피스톤로드(r)와 고정되어져 있음으로써 동시에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펌핑케이스(230) 하단부에는 펌핑케이스 커버(240)가 결합되며 상기 펌핑케이스 커버(240)에는 제2체크밸브(v2)가 결합되고 또한 제2유로(243)가 구비된다. 상기 제2체크밸브(v2)는 펌핑케이스 커버(240)의 하부면으로부터 형성되어 펌핑케이스(230) 내부로 연결되게 형성되며 이 역시 볼, 스프링 및 마개를 갖추게 된다. 제2체크밸브(v2)의 경우 물탱크(100) 내부의 냉각수를 펌핑케이스(230) 내부로 흡입하는 동작시에만 열리게 된다. 한편, 상기 펌핑케이스 커버(240)에는 제2유로(243)가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로(243)는 펌핑케이스(230)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유로(213)와 마주보게 상측으로 뚫려져 있다. 상기 제2체크밸브(v2)를 통해서 펌핑케이스(230) 내부에 흡입된 냉각수는 피 스톤로드(r) 및 제2피스톤(p2)의 하강시에 제2체크밸브(v2)는 닫힌 상태로 되고 제2유로(243)를 통해서 냉각수가 배출된다.
상기 제1유로(213)와 제2유로(243)는 중간파이프(250)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며 냉각수는 제2유로(243)를 나와서 중간파이프(250)를 거치게 되고 제1유로(213)로 유동되어 최종적으로 물탱크(100) 외부로 배출되어 금형측으로 냉각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펌핑케이스(230) 내부로 냉각수가 흡입된 후 제2유로(243), 중간파이프(250), 제1유로(213)를 거쳐서 배출되는 과정은 피스톤로드(r)의 왕복운동에 따라 발생되는 힘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실린더(220) 내부에 위치하는 제1피스톤(p1)이 고압의 에어를 구동원으로 하여 상하 이동함에 따라 펌핑케이스(230)에 위치하는 제2피스톤(p2)도 상하로 움직임에 의해서 냉각수의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수 공급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각수 자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칠러(chiller)(300)를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탱크(100)에 구비되는 원수유입구(110)를 통해서 원수(공업용수)가 공급되는데 이러한 원수는 계절변화 등에 따라 수온에 상당한 편차를 보여준다. 따라서 냉각수의 온도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도록 유지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칠러(chiller)는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칠러(300)는 물탱크(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원수가 공급되는 중간에 설치되어 물탱크로 유입될 원수를 적정온도로 미리 냉각시킨 후 물탱크 로 공급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칠러(chiller)는 산업전반에 걸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형냉각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냉각수 공급장치를 포함하게 되며 자동제어로 금형측으로 적정 수온의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첨부되는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냉각장치의 전체적인 계통도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5는 냉각수의 온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0)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100)에는 펌핑부(200)가 결합되며 그 외 칠러(300), 노즐(400), 온도센서(500), 자동콘트롤러(6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100)에는 냉각수가 수용되며 원수유입구(110)를 통해서 원수가 물탱크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00) 상부측에는 펌핑부(200)가 설치되는데 상기 펌핑부의 일부는 물탱크 내부에 위치되어 냉각수에 담긴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물탱크 내부에 펌핑부의 일부가 위치되어 물탱크로부터 직접 냉각수를 흡입하여 금형측으로 배출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상기 펌핑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냉각수 공급장치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물탱크(100) 상부면에 고정결합되는 연결바디(210)를 갖추고 상기 연결바디(210) 상측으로는 상부실린더(220)가 결합되고 하측에는 펌핑케이스(230)가 결합된다. 상기 펌핑케이스(230) 하단부에는 펌핑케이스 커버(240)가 결합되며 상 기 펌핑케이스 커버에 구비되는 제2체크밸브(v2)를 통해서 냉각수가 펌핑케이스(230)로 흡입된 후 펌핑케이스 커버(240)에 마련되는 제2유로(243)를 통해 배출되고 중간파이프(250)를 따라 상기 연결바디(210)에 구비되는 제1유로(213)로 냉각수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유로(213)가 구비되는 연결바디(210)에는 제1체크밸브(v1)가 설치된다. 상기 펌핑부의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상술한 냉각수 공급장치를 참조하도록 한다.
효율적으로 고온 상태의 금형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냉각수 자체가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관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냉각수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칠러(300)를 두도록 한다. 상기 칠러(300)는 물탱크 내부 또는 원수가 유입되는 배관 중간에 설치될 수 있다.
펌핑부의 구동원은 고압의 에어를 사용하게 되며 계통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에어는 배관을 따라서 펌핑부(200)의 상부실린더(220)로 공급되어 냉각수를 흡입할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부실린더의 2개소에 에어가 공급될 수 있는 배관이 연결되며 배관 중간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된다. 한편, 펌핑부의 구동을 위해 제공되는 에어 중 일부는 금형측으로도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냉각수에 의한 금형 냉각 후 잔존하게 되는 냉각수 잔류물을 에어로 불어 제거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펌핑부(200)에 의해서 금형측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피스톤로드의 일회 왕복시마다 한번 공급이 이루어진다.
금형으로 냉각수 및 고압에어를 분사시키기 위해 금형에 연결되는 노즐(400)이 구비되며 하나의 노즐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냉각수 또는 고압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냉각수 자체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온도센서(500)를 두도록 하는데, 이러한 온도센서(500)의 설치위치는 금형 냉각 후 배출되는 냉각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곳, 물탱크로 공급되는 원수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곳, 물탱크 내부 냉각수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곳 또는 주변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곳 등이 적당하다.
다수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타를 취합하여 칠러(chiller)의 가동여부와 목표설정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자동콘트롤러를 두도록 한다. 상기 자동콘트롤러는 각각의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측정된 결과치를 입력받게 되며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연산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 온도를 관리토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간으로 각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은 자동콘트롤러(600)로 입력되며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칠러(300)가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칠러는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 온도가 관리범위에 도달될 때까지 가동되는 것으로 함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자동콘트롤러(600)는 펌핑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연계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각수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금형냉각장치는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배관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등 종래기술보다 우수한 점들이 많으므로 각종 주물제작용 금형의 냉각을 위한 설비로서 적극적인 활용이 기대되는 기술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각장치에 있어서의 펌프부에 대한 종단면도.
도2는 도1과 관련한 에어 공급배출회로 및 냉각액 공급배출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의 냉각수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냉각장치의 전체적인 계통도.
도5는 냉각수의 온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물탱크 200 : 펌핑부
210 : 연결바디 220 : 상부실린더
230 : 펌핑케이스 240 : 펌핑케이스 커버
250 : 중간파이프 300 : 칠러
400 : 노즐 500 : 온도센서
600 : 자동콘트롤러

Claims (5)

  1. 냉각수가 수용되는 물탱크와;
    중심부에 피스톤로드가 관통되는 센터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 상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제1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유로의 끝단부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이 설치될 수 있도록 확관부로 이루어져 제1체크밸브가 형성되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이 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내경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상부실린더와;
    상기 연결바디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2피스톤이 내경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양단이 개구되는 원통형의 펌핑케이스와;
    상기 펌핑케이스 하단부에 결합되되 하부면에 제2체크밸브가 결합되어 냉각수를 상기 펌핑케이스 내부로 흡입하게 되고, 상기 펌핑케이스 내부와 연결되어 흡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유로가 구비되는 펌핑케이스 커버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연결하는 중간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금형냉각을 위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는,
    상기 물탱크 내부 또는 상기 물탱크로 원수가 공급되는 중간에 칠러(chiller)가 설치되어 냉각수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4. 금형냉각을 위한 금형냉각장치에 있어서,
    냉각수가 수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냉각수를 금형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핑부와;
    상기 물탱크 내부 또는 외부에 원수가 공급되는 중간에 설치되어 냉각수 온도를 조정하는 칠러(chiller)와;
    금형으로 냉각수 또는 고압에어를 분출하게 되는 노즐과;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 온도, 물탱크로 공급되는 원수온도, 물탱크 내부 냉각수온도 및 주변온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온도센서와;
    상기 다수의 온도센서로부터 데이타를 받아 상기 칠러(chiller)의 가동으로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되도록 제어하는 자동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효율적으로 금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냉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중심부에 피스톤로드가 관통되는 센터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 상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제1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1유로의 끝단부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이 설치될 수 있도록 확관부로 이루어져 제1체크밸브가 형성되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이 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내경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상부실린더와;
    상기 연결바디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2피스톤이 내경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양단이 개구되는 원통형의 펌핑케이스와;
    상기 펌핑케이스 하단부에 결합되되 하부면에 제2체크밸브가 결합되어 냉각수를 상기 펌핑케이스 내부로 흡입하게 되고, 상기 펌핑케이스 내부와 연결되어 흡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유로가 구비되는 펌핑케이스 커버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연결하는 중간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냉각장치.
KR1020080052518A 2008-06-04 2008-06-04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및 금형냉각장치 KR20090126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18A KR20090126437A (ko) 2008-06-04 2008-06-04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및 금형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18A KR20090126437A (ko) 2008-06-04 2008-06-04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및 금형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437A true KR20090126437A (ko) 2009-12-09

Family

ID=4168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518A KR20090126437A (ko) 2008-06-04 2008-06-04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및 금형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643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9689A (zh) * 2011-12-06 2012-06-13 宁波灿东模具技术有限公司 用于铸造机的水雾冷却柜
KR101710405B1 (ko) 2016-08-12 2017-02-27 장재훈 유속저하수단이 구비된 사출성형기용 금형 냉각 시스템
KR101713680B1 (ko) 2016-08-12 2017-03-08 장석동 이중관 구비된 사출성형기용 금형 냉각 시스템
KR20170003072U (ko) 2015-03-19 2017-09-01 신한정밀공업 (주) 금형 냉각 장치
CN112170816A (zh) * 2019-07-01 2021-01-05 南京辉腾机械铸造有限公司 铸造箱铁水加速冷却结构及加速冷却方法
KR102469290B1 (ko) 2022-08-17 2022-11-22 주식회사 에스제이프로텍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구조
KR102517844B1 (ko) 2022-12-26 2023-04-05 주식회사 와이하이텍 사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9689A (zh) * 2011-12-06 2012-06-13 宁波灿东模具技术有限公司 用于铸造机的水雾冷却柜
KR20170003072U (ko) 2015-03-19 2017-09-01 신한정밀공업 (주) 금형 냉각 장치
KR101710405B1 (ko) 2016-08-12 2017-02-27 장재훈 유속저하수단이 구비된 사출성형기용 금형 냉각 시스템
KR101713680B1 (ko) 2016-08-12 2017-03-08 장석동 이중관 구비된 사출성형기용 금형 냉각 시스템
CN112170816A (zh) * 2019-07-01 2021-01-05 南京辉腾机械铸造有限公司 铸造箱铁水加速冷却结构及加速冷却方法
KR102469290B1 (ko) 2022-08-17 2022-11-22 주식회사 에스제이프로텍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구조
KR102517844B1 (ko) 2022-12-26 2023-04-05 주식회사 와이하이텍 사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6437A (ko) 금형냉각용 냉각수 공급장치 및 금형냉각장치
JP5038378B2 (ja) 薬液供給装置および薬液供給方法
US8641179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6554579B2 (en) Liquid dispensing system with enhanced filter
JP2010066666A (ja) 液晶滴下装置
US11518672B2 (en) Fluid pressure feeding device
JP4869781B2 (ja) チューブフラムポンプ
JP2006136946A (ja) 半田付け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を使用した半田付け方法
US9316235B2 (en) Pressurized liquid lifting device and liquid lifting method
JP3789464B2 (ja) 半田付け装置
JP2016120613A (ja)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液体供給システムの駆動方法
CN201780435U (zh) 液晶滴落装置
JP3581341B2 (ja) 金属溶湯の定量供給法及び金属溶湯供給ポンプ
JP3691783B2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の吸引給湯方法及び同方法を用いた吸引給湯装置
KR20080001577U (ko) 가압기체용해장치
JP6065673B2 (ja) 金型用ガス抜き装置
JP2004273830A (ja) 薬液供給装置
KR101825938B1 (ko) 접착성 액체용 열선 펌프
KR101147167B1 (ko) 개선된 약액 펌핑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약액 공급 장치
KR102510235B1 (ko) 다이캐스팅을 위한 무공성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072307B1 (ko) 연료펌프용 에어 레귤레이터
JP2001277256A (ja) 金型スプレー装置
WO1998033612A1 (fr) Dispositif d&#39;alimentation de metal en fusion a une vitesse determinee
KR200311897Y1 (ko) 펄프 몰딩머신
JP2009190737A (ja) 二重構造ノズルによる充填時の液面揃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