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200A -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재생 방법,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재생 방법,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200A
KR20090126200A KR1020090048525A KR20090048525A KR20090126200A KR 20090126200 A KR20090126200 A KR 20090126200A KR 1020090048525 A KR1020090048525 A KR 1020090048525A KR 20090048525 A KR20090048525 A KR 20090048525A KR 20090126200 A KR20090126200 A KR 2009012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imary
contents
sample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나가사까
쇼 무라꼬시
도시마사 미요시
다다아끼 기미지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97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wherein the record carrier stores a trial version of a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에, 원편집 소재 콘텐츠가 로컬 상에 존재하고 있지 않더라도, 보다 완전에 가까운 콘텐츠 내용이 재생되도록 한다. 로컬에 없는 원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를, 샘플 콘텐츠 서버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재생 시에서는, 부차 콘텐츠의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서, 로컬에 존재하는 원편집 소재 콘텐츠와, 취득한 샘플 콘텐츠를 그에 적합한 타이밍에서 재생 출력해 간다.
Figure P1020090048525
샘플 콘텐츠, 원편집 소재 콘텐츠, 부차 콘텐츠, 부족 1차 콘텐츠, 1차 콘텐츠 서버, 부차 콘텐츠 서버

Description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재생 방법,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 시스템{CONTENT PLAYING DEVICE, CONTENT PLAYING METHOD, PROGRAM, AND CONTENT PLAYING SYSTE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콘텐츠를 2차 이용하는 편집에 의해 작성된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와 그 방법, 및 이 재생 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또한, 콘텐츠 재생 장치와 서버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콘텐츠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이용의 하나의 양태로서, 소위 오디오·비디오 등의 콘텐츠의 배신, 공유 등이 널리 행해지도록 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배신 시스템의 경우이면, 배신할 다수의 콘텐츠로서의 데이터 파일을 서버에서 보존 관리해 두게 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를 소유하는 유저는, 콘텐츠 배신에 대응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클라이언트 소프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 서버로부터, 원하는 콘텐츠로서의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다운로드된 콘텐츠로서의 데이터 파일은, 통상적으로, 클라이언트 소프트에 의해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내의 기억 장치에 기억 보존 되어 관리된다. 그리고 이 후, 유저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에 기억된 콘텐츠로서의 데이터 파일을 재생시키는 조작을 클라이언트 소프트에 의해 행함으로써, 소리·영상 등을 시청하여 즐길 수 있다.
또한, 콘텐츠의 공유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유저가, 오디오·비디오 등의 콘텐츠로서의 데이터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유 시스템의 서버에서는, 업로드된 콘텐츠를 공개하는 사이트(Web 페이지)를 갖게 된다. 일반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유저는, 이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예를 들면 검색 등을 행하여 흥미가 있는 콘텐츠를 찾는다. 그리고, 이 검색에 의해 찾아낸 콘텐츠에의 액세스, 혹은 다운로드 등을 행하여 재생하고, 시청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콘텐츠의 공유가 행하여진다.
또한, 한편에서,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등을 소재로서 취득하여 가공, 편집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편집 소프트)도 알려져 있고, 특히 최근에는, 조작이 간이한 것부터 복잡한 것까지, 일반의 유저에게도 널리 보급되어 있는 상황에 있다.
이와 같은 편집 소프트는, 상기도 하고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로서의 실데이터(오디오·비디오 데이터 등)를 대상으로 하여 편집을 위한 변경을 부여하도록 하여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오디오 콘텐츠의 경우이면, 샘플링, 매쉬 업 등이라고 불리는 바와 같이, 기존의 악곡의 일부분을 소재로서 취득한 가공·편집 등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제로, 예를 들면 프로페셔널한 음악가 등의 사이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작성한 악곡도 많이 발표되고 있 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0-11306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3-85950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배경으로 하면, 일반 유저 중에도, 콘텐츠 배신이나 콘텐츠 공유 등에 의해 입수할 수 있는 콘텐츠의 데이터를 간단히 재생하여 즐길 뿐만 아니라, 편집 소프트에 의해 2차 편집을 행하여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고, 이것을 공개적으로 발표(공개)하여, 다른 유저에게 시청하게 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게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 유저의 요망에 부응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구축되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으로서, 유저 단말기측에서 보유하는 콘텐츠의 데이터를 이차적으로 이용한 편집을 행하여 부차적인 콘텐츠(부차 콘텐츠)를 작성하고, 이것을 서버 등에 의해 일반 공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구축하는 것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은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에서는, 부차 콘텐츠의 특질에 따라서는,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에, 그 편집의 기초로 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필요로 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 경우,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여 시청·감상하고자 하는 유저는, 예를 들면 자신이 보유하는 단말기(콘텐츠 공유 시스템 대응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로컬 상에, 이 부차 콘텐츠 재생에 필요한 기초의 콘텐츠의 데이터를 둘 필요가 있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임의의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더라도, 예를 들면 로컬 상에, 그 부차 콘텐츠 재생에 필요한 모든 콘텐츠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완전한 상태에서의 재생을 행할 수 없다.
그러나,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여 시청하게 하고자 할 때에, 유저가 미리, 필요한 콘텐츠의 데이터를 모두 취득하여 로컬에 보존해 두지 않으면 안되는 것으로 되면, 유저에게는 비교적 무거운 부담을 강요하게 되어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고려하여, 콘텐츠 재생 장치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는 편집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것으로,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편집 소재로 되는 1차 콘텐츠인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내용에 의해 형성되는 재생 제어 정보를 갖는 부차 콘텐츠에 대하여,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1차 콘텐츠인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부족 1차 콘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부족 1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샘플 콘텐츠 취득 수단과, 부차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는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해서는, 보유 1차 콘텐츠인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상기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서 실행하고, 상기 부족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우선, 이 콘텐츠 재생 시스템은, 콘텐츠 재생 장치와 서버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 장치는,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는 편집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것으로,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편집 소재로 되는 1차 콘텐츠인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내용에 의해 형성되는 재생 제어 정보를 갖는 부차 콘텐츠에 대하여,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1차 콘텐츠인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부족 1차 콘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부족 1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를, 통신망 경유로의 통신에 의해, 서버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샘플 콘텐츠 취득 수단과, 부차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는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해서는, 보유 1차 콘텐츠인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서 실행하고, 부족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서버 장치는, 샘플 콘텐츠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샘플 콘텐츠 중으로부터, 샘플 콘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할 샘플 콘텐츠를, 통신망 경유로의 통신에 의해,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에서는, 부차 콘텐츠를 재생 대상으로 하고 있다.
부차 콘텐츠는, 1 이상의 콘텐츠를 2차 이용함으로써 작성되는 것으로, 원편집 소재 콘텐츠가 갖는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재생 제어 정보를 갖는 구조의 파일이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부차 콘텐츠의 재생은, 재생 제어 정보에 기술되는 지시에 따라서,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해 가게 된다.
단, 원편집 소재의 1차 콘텐츠에 대하여 유저가 보유하고 있다고 간주되는 상태에 없는 것(부족 1차 콘텐츠)이 있고, 이 때문에 완전한 콘텐츠 내용을 재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부족 1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내용을 갖는 것으로 되는 샘플 콘텐츠를, 서버 장치 등으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부차 콘텐츠의 재생 처리 시에는,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해서는, 보유 1차 콘텐츠로서 현재 관리되고 있는, 그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부족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부차 콘텐츠의 재생 내용으로서는, 부족 1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부분이 샘플 콘텐츠의 화상이라든가 음성으로 치환된 것으로 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샘플 콘텐츠를 포함하는 부차 콘텐츠의 재생이 행해짐으로써, 부차 콘텐츠 재생에 필요한 모든 1차 콘텐츠(원편집 소재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완전한 것에 보다 가까운 콘텐츠 내용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반드시, 부차 콘텐츠 재생에 필요한 모든 1차 콘텐츠를 미리 입수하지 않아도 되게 되어, 유저의 부담이 경감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응하는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은,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콘텐츠의 파일로서, 1차 콘텐츠 파일, 부차 콘텐츠 파일, 및 샘플 콘텐츠 파일을 취급한다. 이후에서,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파일과 부차 콘텐츠 파일, 및 샘플 콘텐츠 파일로 특별히 구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을 때는, 콘텐츠 파일이라고도 한다. 또한, 예를 들면, 콘텐츠로서의 추상 개념에 따라서 설명하는 경우에, 1차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는, 1차 콘텐츠라고도 하고, 부차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는 부차 콘텐츠라고도 하고, 샘플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는 샘플 콘텐츠라고도 하기로 한다. 또한, 1차 콘텐츠와 부차 콘텐츠, 샘플 콘텐츠 등에 대하여 특별히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간단히 콘텐츠라고도 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으로서는, 우선, 1차 콘텐츠 서버(1), 부차 콘텐츠 서버(2), 커뮤니케이션 서버(3)와, 다수의 유저 단말 장치(4)를 네트워크(통신망)(5)를 경유하여 접속함으로써 형성한 것으로서 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은, 이와 같은 장치 구성에 의해,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을 실현한다. 즉, 네트워크 상에서의, 소위 콘텐츠 배신(1차 콘텐츠의 배신)과, 유저가 작성한 콘텐츠(부차 콘텐츠)에 대한 유저간에서의 공유가 실현된다.
또한, 여기서의 콘텐츠란, 종별로서, 주로 음악, 악곡 등에 대응하는 음성(오디오) 콘텐츠, 또한, 동화상으로서의 영상(비디오) 콘텐츠 등을 말한다. 또한 영상 콘텐츠로서의 콘텐츠 종별에서는, 사진 등에 상당하는 정지 화상 등도 포함시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문서의 데이터라든가, 정보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도 콘텐츠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1차 콘텐츠 서버(1)는, 1차 콘텐츠를 보유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파일로서의 소정 형식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도록 하여 다수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1차 콘텐츠 서버(1)는, 보유하고 있는 1차 콘텐츠 파일을 배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네트워크 경유로의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에 따라서, 지정된 1차 콘텐츠로서의 데이터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하여 송신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의 1차 콘텐츠는, 예를 들면 제휴하는 라벨 회사 등으로부터 제 공되는, 아티스트 등이 제작한 영상, 악곡 등으로서의 내용을 갖는 것으로 된다.
부차 콘텐츠 서버(2)는, 부차 콘텐츠를 보유하는 것으로,이를 위해서는, 부차 콘텐츠로서의 데이터인, 부차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도록 하여 다수 기억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 파일은,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하여 네트워크 경유로 업로드되어 온다. 부차 콘텐츠 서버(2)는, 이와 같이 하여 업로드된 부차 콘텐츠 파일을, 부차 콘텐츠로서 취급하여 기억하게 된다. 또한, 부차 콘텐츠 서버(2)는, 부차 콘텐츠를 배신 가능하게 되어 있는, 즉, 네트워크 경유로의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에 따라서, 지정된 부차 콘텐츠 파일을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하여 송신 출력하게 된다.
커뮤니케이션 서버(3)는, 예를 들면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라든가 블로그 등의, CGM(Consumer Generated Media) 등으로 불리는, 개인 유저에 의한 정보 발신 서비스라든가, 유저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게 된 서버이다.
샘플 콘텐츠 서버(8)는, 1차 콘텐츠 서버(1)가 보유하는 1차 콘텐츠마다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를 보유한다. 이를 위해서, 예를 들면 샘플 콘텐츠 파일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존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샘플 콘텐츠를 배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지정된 샘플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를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하여 송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의 샘플 콘텐츠란, 대응하는 1차 콘텐츠에 대한 견본으로서의 내용(샘플 내용)을 갖는 콘텐츠를 말한다. 이 샘플 내용으로서는, 대응하는 1차 콘텐츠를 완전한 콘텐츠 내용으로서 파악한 경우에 있어서, 완전한 내용을 갖고는 있지 않지만, 대응의 1차 콘텐츠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내용이라든가 개략을 파악 가능한 콘텐츠 내용을 말한다. 예를 들면, 대응의 1차 콘텐츠의 총재생 시간분에 상당하는 콘텐츠 내용에서의, 일부의 재생 시간분의 콘텐츠 내용을 가진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등이면, 대응의 1차 콘텐츠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마다 정지 화상을 추출하여 코마 전송과 같이 하여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콘텐츠 내용을 가진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차 콘텐츠의 배신에 관해서는 원칙적으로 유료로 되지만, 샘플 콘텐츠의 배신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무료인 것으로 한다. 즉, 유저 단말 장치(4)가 샘플 콘텐츠 서버(8)로부터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때에, 유저는, 그를 위한 대가를 지불할 필요는 없다.
유저 단말 장치(4)는, 일반의 유저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기이며, 그 실제로서는, 예를 들면 LAN 등의 네트워크 통신 기능이 주어진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된다.
이들 유저 단말 장치(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유저는, 이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을 조작함으로써, 1차 콘텐츠 서버(1)로부터 의 1차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 또한, 다운로드한 1차 콘텐츠 파일(및 부차 콘텐츠 파일)을 이용한 편집 작업에 의한 새로운 부차 콘텐츠의 작성, 또한, 작성한 부차 콘텐츠 파일의 부차 콘텐츠 서버(2)에의 업로드,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의 부차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 커뮤니케이션 서버(3)를 이용한 SNS 서비스의 이용, 블로그의 기입/열람 이용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1에 도시한 구성을 채용하는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에 대한 콘텐츠의 유통에 관한 기본적인 동작예를, 유저 단말 장치(4)의 유저에 의한 기본적인 이용 양태예에 따라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의 설명 시에는, 도면 중에서 [ ] 내에 영숫자에 의해 나타낸 수순, 동작의 번호에 따라서 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유저 단말 장치(4)로서, 2사람의 유저A, B의 각각이 사용하는 것으로 되는 유저 단말 장치(4A, 4B)가 도시된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1차 콘텐츠 서버(1), 부차 콘텐츠 서버(2), 커뮤니케이션 서버(3), 샘플 콘텐츠 서버(8), 및 유저 단말 장치(4) 사이에 개재하는 것으로 되는 네트워크(5)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수순 1
우선, 유저A는, 유저 단말 장치(4A)(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해, 1차 콘텐츠 서버(1)의 콘텐츠 다운로드 사이트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유저A는, 예를 들면 이 콘텐츠 다운로드 사이트 상에서, 자신이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 검색한 1차 콘텐츠를 다운로드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한다. 이 조작에 따라서, 유저 단말 장치(4A)는, 1차 콘텐츠 서버(1)에 대하여 다운 로드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에서는, 1차 콘텐츠의 다운로드는, 기본적으로는 유료로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 서버(1)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시킬 때에는, 유저A는 그에 합당한 구입 수속을 행해야 하는 것으로 된다. 이 구입 수속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 단위, 앨범 단위 등으로 개별로 설정된 요금에 대한 지불 수속이어도 되고, 최근에 있어서 종종 운용되게 된, 서브스크립션이라고 하는 예약 구독적인 수속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무료로 1차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유저A는, 구입 수속을 행하여 둘 필요는 없다.
그리고, 1차 콘텐츠 서버(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면, 예를 들면 우선 요구원의 유저에 대한 인증 등을 행하여, 정당한 다운로드 요구인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정당한 다운로드 요구라고 판정한 것이면,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1차 콘텐츠 중으로부터, 다운로드 요구와 함께 지정된 1차 콘텐츠(1차 콘텐츠 파일)를 검색하고, 이 검색한 1차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를,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1차 콘텐츠 서버(1)가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행하면서 기억하고 있는 1차 콘텐츠 파일은, 여기서는, 실질 콘텐츠 데이터로서의 본체 정보에 헤더 정보가 부가된 구조인 것으로 한다.
실질 콘텐츠 데이터란, 이 경우에는, 콘텐츠 내용으로서의 소정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나 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1차 콘텐츠로서의 실질적 콘텐츠 내 용을 재현하기 위한 데이터임)를 말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의 1차 콘텐츠 데이터는, 재생을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나 비디오 신호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그 콘텐츠 내용이 재현된다.
또한, 헤더 정보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로서의 파일마다 고유로 되는, 콘텐츠 ID(콘텐츠 식별자) 외에, 각종 메타데이터(타이틀, 아티스트, 속하는 앨범의 타이틀, 장르, 데이터 형식, 데이터 사이즈 등)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 서버(1)로부터 송신된 1차 콘텐츠 데이터는, 유저 단말 장치(4A)에서 수신된다. 유저 단말 장치(4A)(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는, 이 수신한 1차 콘텐츠 데이터를, 내부의 HDD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 보존시킨다.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이와 같이 하여 기억 보존된 1차 콘텐츠 데이터를, 예를 들면 헤더 정보의 내용 등에 기초하여 소정의 양태에 의해 관리함과 함께, 유저 조작에 따른 재생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 서버(1)에 기억되어 있는 1차 콘텐츠 데이터는, 원칙은 유저가 구입을 한다고 하는 형태로,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하여 다운로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수순 1로서는, 소위 콘텐츠 배신에 대응한다.
또한, 유저 단말 장치(4A)에서 기억 보존된 1차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해 재생하여, 예를 들면 유저 단말 장치(4A)에 접속한 AV(Audio·Visual) 기기 등에 의해 화상·음성 등으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수순 2
그런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경유에 의한 콘텐츠 배신에서는, 다운로드 후의 콘텐츠의 이용은, 임의의 일정한 데이터 카피 제한이 주어진 후에서의 재생 등의 이용에 한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다운로드에 의해 콘텐츠를 취득한 유저는, 일정 범위에서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을 뿐이며, 예를 들면 취득한 콘텐츠를 기초로 하여 편집을 행하여 2차적 창작물로서의 신규의 콘텐츠를 작성하는 권원은 주여져 있지 않은 것이 통상이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 콘텐츠는, 원칙으로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2차적 창작을 위한 소재로서 이용하는 것(2차 이용, 2차 편집)이 허락된 콘텐츠인 것으로 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본 실시 형태에서의 1차 콘텐츠의 2차 이용은, 그 1차 콘텐츠의 저작자가 승낙한 권한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로컬에 기억 보존되어 있는) 1차 콘텐츠를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여, 유저 조작에 따라서 편집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새로운 콘텐츠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콘텐츠의 편집 시에는, 이펙트 데이터베이스(6)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특수 효과에 따른 플러그인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것을 이용한 편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소재 데이터베이스(7)에서 제공하고 있는 음성, 화상 등의 소재를 취득하고, 이것을 가하도록 하여 편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펙트 데이터베이스(6)나 소재 데이터베이스(7)는, 네트워크 상에서 설치되는 것이어도 되고, 유저 단말 장치(4A)의 로컬 상에 존재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부차적으로 작성되는 콘텐츠를, 부차 콘텐츠라고 하여, 1차 콘텐츠와 구별하고 있다. 수순 2로서는, 유저 단말 장치(4A)에서 기동되고 있는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한 조작을 행하여,1개의 부차 콘텐츠를 작성하게 된다.
또한,이 수순 2에 의해 작성되는 부차 콘텐츠로서의 데이터 본체의 실체는, 1차 콘텐츠와 같이 하여 그 콘텐츠 내용을 갖는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등이 아니라, 재생 제어 정보로 된다. 즉, 2차 이용한 1차 콘텐츠(편집 소재 콘텐츠)로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어느 부분을 어느 타이밍에서 재생 출력할 것인지 등의 지시를 비롯하여, 이펙트(특수 효과)의 지정 등이 기술된 재생 제어 정보로 된다.
여기서,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한 부차 콘텐츠에 대한 작성 개념을 도 5에 도시해 둔다.
이 도면에서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는, 2차 이용의 대상으로 되는 1차 콘텐츠인 편집 소재 콘텐츠A, B, C를 이용하여,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하여, 자신의 편집 의도를 반영시킨 편집 조작을 행한다.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이 편집 조작에 따른 편집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로서, 부차 콘텐츠 파일을 작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되는 부차 콘텐츠 파일의 구조에서는, 데이터 본체로서, 상기한 재생 제어 정보를 갖는 것으로 된다.
이 재생 제어 정보로서의 부차 콘텐츠 데이터(즉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정보)는,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과 비교하면, 본체의 데이터 사이즈를 대폭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부차 콘텐츠의 데이터를 기억할 HDD 등의 기억 매체의 기억 용량을 절약하여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차 콘텐츠의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송수신할 때에도, 전송 데이터량은 적어도 되므로, 예를 들면 트래픽도 압박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2차 편집과 같이 하여, 기존의 콘텐츠를 소재로 하여 편집을 행하여 신규의 콘텐츠로서의 2차 작품을 만들어 내는 것은, 예를 들면 음악의 분야이면, 샘플링, 매쉬 업 등으로 불리며, 프로페셔널한 음악가 등도 종종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을 배경으로, 일반의 사람들 중에도, 동일하게 하여 2차 작품으로서의 콘텐츠를 만들어 내고 싶다라고 하는 욕구, 요망이 있는 것은 당연히 생각된다. 그러나, 일반의 사람들이, 저작권의 문제를 적정하게 클리어한 후에, 2차작품으로서의 콘텐츠를 창작, 작성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고 하는 것이 현상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으로서는, 우선, 일반의 유저가, 배신되는 콘텐츠를 이용한 2차 편집을 합법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유저에게 있어서의 오락성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1차 콘텐츠는, 저작권자가 승낙한 권한의 범위에서, 다운로드(구입)를 행한 유저가 2차 이용하는 것이 허가된 콘텐츠인 것으로서 위치짓는 것으로 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1차 콘텐츠 서버(1)에 의한 콘텐 츠 배신 서비스는, 2차 이용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허락된 콘텐츠를 배신하는 것이다. 단,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1차 콘텐츠의 2차 이용으로서의 편집 작업은, 적어도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에 대응하여 개발한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 상에서의 유저 조작에 한정되어야 할 것으로 되고,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과는 무관한 다른 편집 소프트 등에 의해서는 행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수순 3
상기 수순 2와 같이 하여 유저A가 작성한 부차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는, 유저A의 유저 단말 장치(4A)만에서 보존해 두고, 도 4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재생 기능에 의한 재생 처리를 행하고, 그 부차 콘텐츠로서의 콘텐츠 내용의 화상·음성을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가 작성한 부차 콘텐츠를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유저가 공유할 수 있도록도 한다.
여기서, 유저A는, 앞의 수순 2에 의해 작성한 부차 콘텐츠가 공유되도록 하고자 한다고 생각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유저A는,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하여, 수순 2에 의해 작성한 부차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를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하여 업로드한다. 이것이 수순 3으로 된다.
수순 4
부차 콘텐츠 서버(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업로드로서 송신되어 온 부차 콘텐츠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신규로 등록하도록 하여 보존한다. 이 때에는, 부차 콘텐츠 서버(2)는, 그 보존 장소(예를 들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의 어드레스에 의해 표현됨)를 설정한 후에, 부차 콘텐츠 파일의 보존 처리와, 데이터베이스에의 등록을 행하게 된다.
또한, 부차 콘텐츠 서버(2)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에 대한 공개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된다. 즉, 수순 4에 의해 등록된 부차 콘텐츠는, 이후,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공개되며, 유저 단말 장치(4)(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에 따라서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수순 5
부차 콘텐츠 서버(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 파일을 보존 관리하면, 업로드 요구원인 유저 단말 장치(4A)에 대하여, 업로드되어 온 부차 콘텐츠(부차 콘텐츠 파일)의 보존 장소를 통지하기 위해서, 그 보존 장소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보존 장소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유저 단말 장치(4A)의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상기의 보존 장소 어드레스를 수신하고, 이것을 소정의 기억 매체에 기억 보존하여 관리하게 된다. 유저A는,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의해, 언제나, 자신이 수순 2에 의해 업로드한 부차 콘텐츠의 보존 장소 어드레스를 출력시킬 수 있다.
수순 6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차 콘텐츠 서버(2)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의 공개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금회, 유저A가 작성하여 업로드한 부차 콘텐츠는, 원칙적으로, 부차 콘텐츠 서버(2)가 제공하는 콘텐츠 공개 사이트에 액세스해 오는 불특정 다수의 유저 단말 장치(4)(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유저가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칙적으로, 모든 유저의 유저 단말 장치(4)에 의해, 임의의 부차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수순 5에 의해 보존 장소 어드레스를 취득한 유저A는, 몇개의 수단에 의해, 다른 유저를 대상으로 하여, 자신의 부차 콘텐츠가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 공개된 것의 고지를 행할 수 있다.
수순 6은, 이 공개 고지의 수단의 하나에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커뮤니케이션 서버(3)에 액세스하여, 예를 들면 SNS에서의 자신의 페이지나, 자신의 블로그 등에, 자신이 작성한 부차 콘텐츠가 공개된 취지를 기입하게 된다. 이 때에, 수순 5에 의해 취득한 보존 장소 어드레스로서의 URL을,함께 기입하도록 하여 첨부해 두게 된다.
수순 7
상기 수순 6과 같이 하여 유저A가 기입을 행한 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저B가, 유저 단말 장치(4B)에 인스톨되어 있는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을 조작하여, SNS에서의 유저A의 페이지나, 유저A의 블로그에 액세스하여 열람하 면, 유저A의 부차 콘텐츠가 새롭게 공개된 것을 알게 된다. 즉, 이 경우의 유저B는, 유저A가 작성한 부차 콘텐츠의 신규 공개에 대한 고지를, SNS나 블로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받게 된다. 수순 7은, 이와 같은 간접적인 부차 콘텐츠 공개의 고지가 행해지는 것을 가리킨다.
수순 8
또한, 공개 고지의 또 하나의 수단으로서 수순 8을 들어 둔다. 이 수순 8로서는, 예를 들면 SNS에 구비되는 메일 기능 등을 이용하여 메일을 작성, 송신함으로써, 유저B측에 대하여, 자신이 작성한 부차 콘텐츠가 공개된 것을 고지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수순 6, 수순 7의 흐름에 의한 고지에 대하여, 보다 직접적인 양태의 고지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전자 메일 등에 의해 고지를 행할 때에도, 예를 들면 본문 중에, 그 부차 콘텐츠의 보존 장소 어드레스를 기재하도록 하여 첨부해 두게 된다.
수순 9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유저B는, 유저A가 작성한 부차 콘텐츠가 신규 공개된 것의 고지를 간접적, 혹은 직접적으로 받고, 이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저B가, 이 신규 공개된 유저A의 부차 콘텐츠를 감상하고자 한다고 생각하였을 때에는, 우선,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해,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행하게 된다. 이것이 수순 9로 된다.
이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 시에는, 예를 들면 SNS의 일기의 페이지, 혹은 블로그의 본문 내에 링크로서 나타내어져 있는 보존 장소 어드레스에 대한 클릭 조작 등을 행하게 된다.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SNS의 일기의 페이지나 블로그에 대하여 기입을 행할 때에, URL 등의 어드레스의 정보를 기입한 경우에는, 이 문자열 부분이 링크로서 공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보존 장소 어드레스에 대한 클릭 조작을 행한 것에 따라서,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이 보존 장소 어드레스에 대하여 액세스한다. 즉, 부차 콘텐츠 서버(2) 상의 어드레스 중에서, 유저A가 작성하여 공개 중인 부차 콘텐츠의 파일(부차 콘텐츠 파일)을 보존하고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이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 파일을, 유저 단말 장치(4B)에 송출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송출되어 오는 부차 콘텐츠 파일을 유저 단말 장치(4B)측에서 수신하여,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제어에 의해 보존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행하여진다.
수순 10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유저A의 부차 콘텐츠가 보존 관리되면, 유저 단말 장치(4B)의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한, 이 부차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수순 10은, 유저B에 의한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한 재생 지시 조작에 따라서, 이 부차 콘텐츠의 콘텐츠 내용이 영상이나 소리 등으로서 재생 출력되도록, 부차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수순으로 된다.
도 4는 편집·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한 부차 콘텐츠의 재생 개념을 도 시하고 있다.
부차 콘텐츠 파일의 재생 시에는, 우선,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이, 그 실체 데이터인 부차 콘텐츠 파일의 재생 제어 정보에 대한 해석 처리를 실행한다. 이 해석 처리의 결과,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예를 들면 우선, 재생에 필요한 실질 콘텐츠 데이터를 갖는 1차 콘텐츠 파일(원편집 소재 콘텐츠)이 무엇이며, 또한, 재생의 시퀀스에서, 각 원편집 소재 콘텐츠에서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의 어느 부분이, 어느 재생 시간에서, 어떻게 하여 이용되는 것인지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도면에서는, 원편집 소재 콘텐츠A, B, C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인식된 것으로 하는 결과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인식 결과에 따라서,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원편집 소재 콘텐츠A, B, C로서의 1차 콘텐츠 파일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퀀서로서의 재생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이 결과, 부차 콘텐츠로서의 콘텐츠 내용이 화상이나 소리로서 재생된다.
또한, 상기 도 4의 설명에 의하면, 부차 콘텐츠 파일의 재생 시에는, 그 부차 콘텐츠의 작성을 위해서 이용된 소재 패키지 파일(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가 필요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이 경우에서는, 부차 콘텐츠 파일의 재생을 위해서는, 일시적으로라도,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과 동일한 로컬 상에,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하였을 때에, 그 원편집 소재 콘텐츠로서의 1차 콘텐츠 파일이 로컬 상에서 보존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에는, 이들을 취 득하여 로컬 상에 존재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수순 11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로컬 상에 없는 편집 소재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취득하기 위한 수순을 행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도 2에서의 수순 11은, 수순 10에 의한 콘텐츠 재생의 과정에서, 이를 위해서 행해야 할 수순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원편집 소재 콘텐츠로서는 실질 콘텐츠 데이터이므로, 원칙적으로, 원편집 소재 콘텐츠는 1차 콘텐츠인 것으로 된다. 따라서, 수순 11로서는, 유저 단말 장치(4B)(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로부터 1차 콘텐츠 서버(1)에 액세스하여, 금회의 수순 10에 의한 부차 콘텐츠 재생에 필요하며, 로컬 상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1차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행하게 된다. 이 다운로드에 의해, 부차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원편집 소재 콘텐츠가 로컬 상에 모두 존재하게 되어, 도 4에 의한 설명과 같이 하여 재생 출력을 정상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순 11의 다운로드에 의해 로컬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되는 1차 콘텐츠의 데이터의 상태로서는, 몇가지 생각할 수 있다.
우선, 하나로는 수순 1에 의한 통상의 다운로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HDD 등의 보조 기억 장치에 대하여 기억 보존된 상태에서 로컬 상에 존재하는 양태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로서는, RAM 등의 주기억 장치에서 일시적으로 유지되고, 예를 들면 이 부차 콘텐츠의 재생 조작이 가능한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상태가 아니게 된 것에 따라서, 소거되도록 하는 양태도 생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콘텐츠는 원칙적으로 유료이다라고 설명하였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무료로 하거나, 혹은 통상의 다운로드보다도 저렴한 요금 설정으로 하는 등의 운용이 생각된다.
또한, 상기 도 2의 설명에 의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부차 콘텐츠의 작성은, 편집 소재의 콘텐츠(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1차 콘텐츠를 직접적으로 2차 이용 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이 경우의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는, 재생 시에서 그 실질 콘텐츠 데이터가 필요로 되는 1차 콘텐츠(「원편집 소재 콘텐츠」 라고도 하기로 함)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 2차 이용의 대상으로 되는 편집 소재 콘텐츠에는, 1차 콘텐츠뿐만 아니라, 부차 콘텐츠도 포함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이 점에 대하여 보충해 둔다. 도 5의 (a), (b), (c)에는, 각각, 2개의 편집 소재 콘텐츠를 2차 이용하여 편집함으로써 1개의 부차 콘텐츠를 작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5의 (a)는, 도 2에 의해 설명한 부차 콘텐츠의 작성예와 마찬가지로, 편집 소재 콘텐츠A, B가 각각 1차 콘텐츠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1차 콘텐츠A를 편집 소재 콘텐츠A로 하고, 이것과는 상이한 1차 콘텐츠인 1차 콘텐츠B를 편집 소재 콘텐츠B로 하여 편집 처리를 실행하여 부차 콘텐츠를 작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의 부차 콘텐츠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내용적으로는 1차 콘텐츠A와 1차 콘텐츠B의 적어도 일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즉 근본의 편집 소재로 되는 콘텐츠(즉, 원편집 소재 콘텐츠임)로서, 1차 콘텐츠A, B를 사용 하고 있는 것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와 같은 1차 콘텐츠로 되는 편집 소재 콘텐츠A와, 1차 콘텐츠C, D를 2차 이용하여 작성된 부차 콘텐츠인 편집 소재 콘텐츠C를 2차 이용하여 편집함으로써, 부차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부차 콘텐츠는, 편집 소재 콘텐츠A에 포함되는 1차 콘텐츠A의 적어도 일부와, 편집 소재 콘텐츠C에 포함되는 1차 콘텐츠C, D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갖고 콘텐츠 내용을 형성하는 것으로 된다. 즉, 원편집 소재 콘텐츠로서는, 1차 콘텐츠A, C, D로 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 도 5의 (b)에 도시된 신규의 부차 콘텐츠를 재생 하는 경우에는, 이들 1차 콘텐츠A, C, D를 로컬 상에 둘 필요가 있다고 하는 것으로 된다.
도 5의 (c)는 부차 콘텐츠인 2개의 편집 소재 콘텐츠C, D를 2차 이용하여 편집함으로써 부차 콘텐츠를 신규로 작성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신규 작성되는 부차 콘텐츠는, 편집 소재 콘텐츠C에 포함되는 1차 콘텐츠C, D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와, 편집 소재 콘텐츠D에 포함되는 1차 콘텐츠E, F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갖고 콘텐츠 내용을 형성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도 5의 (c)에 도시된 신규의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원편집 소재인 1차 콘텐츠C, D, E, F를 로컬 상에 둘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 5의 (b), (c)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부차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유저는, 1차 콘텐츠를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 취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편집 소재 콘텐츠로서의 부차 콘텐츠를 로컬 상에 두기 위해서, 예를 들면 다운로드를 행하여 유저 단말 장치(4)에 기억 보존시키도록 한다.
또한, 도 2의 수순 9에 의해,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 요구에 따라서 부차 콘텐츠 서버(2)가 부차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행할 때에는, 부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를 실시해 두게 된다. 이 암호화는, 정규 유저의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이면 해독할 수 있지만,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이 암호화 처리를 거쳐 해독한 부차 콘텐츠 데이터만을 재생하고, 예를 들면 원래부터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부차 콘텐츠 데이터, 혹은 다른 방식,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재생을 행하지 않도록 동작하게 된다. 즉,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부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취득 한 것만을 재생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P2P(Peer to Peer)에 의한 네트워크 통신이라든가, 전자 메일의 파일 첨부라든가 FTP(File Transport Protocol) 등에 의한 유저 단말 장치간에서의 직접적인 통신, 혹은 리무버블 미디어를 이용한 유저간에서의 주고 받음 등으로, 유저끼리가 직접적으로 부차 콘텐츠 파일을 주고 받았다고 하여도, 이와 같이 하여 유저가 입수한 파일은, 부차 콘텐츠 서버(2)에 의해 암호화가 실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적정하게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인의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이 아니면 적정하게 재생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에서는, 저작권에 위반된 비합법적인 부차 콘텐츠가 네트워크 상에서 유통, 증식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부차 콘텐츠의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가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이상, 도 2∼도 5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으로서는, 우선, 1차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통상의 콘텐츠 배신에 의해 유저가 좋아하는 콘텐츠를 다운로드(구입)하고, 이것을 감상하여 즐길 수 있다. 게다가, 이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 소재로 하기 위한 2차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용 권한이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유저는 1차 콘텐츠를 소재로 하는 편집을 행하여 자신의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작성한 작품인 부차 콘텐츠를 SNS나 블로그 등의 CGM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일반에 공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지금까지에 있어서는 저작권 등의 문제로 합법적으로는 곤란하였던 것으로 되는, 일반 유저가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소재로 하여 편집을 행하여 신규로 콘텐츠(부차 콘텐츠)를 작성하고, 또한,이 부차 콘텐츠를 일반에 공개한다고 하는 것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차 콘텐츠의 실체는, 그 부차 콘텐츠가 이용하는 원편집 소재인 1차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기술을 적어도 포함하여 형성되는 재생 제어 정보인 것으로 하고 있다.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부차 콘텐츠의 재생 기능을 갖는 것이지만, 부차 콘텐츠 작성을 위한 편집 기능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부차 콘 텐츠의 재생의 양태로서, 간단히 음성 재생을 위한 처리를 실행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상기의 편집 기능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재생되는 부차 콘텐츠의 편집 내용을 반영시킬 수 있다. 즉, 부차 콘텐츠의 실체가 재생 제어 정보로 되어 있는 것의 은혜로서, 유저는,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다운로드한 부차 콘텐츠가 어떻게 하여 편집되어 있는 것인지를 상세하게 알 수 있다.
계속해서, 지금까지 설명해 온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으로서의 동작이 실현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우선, 도 6은 1차 콘텐츠 서버(1)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 서버(1)는, 제어부(11), 기억부(12), 인증 처리부(13), 검색 처리부(14),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 결제 처리부(16), 암호화 처리부(1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1차 콘텐츠 서버(1)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통괄하여 실행하는 부위로 되며,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주기억 장치) 등으로 형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중추부에 상당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다.
기억부(12)는, 예를 들면 HD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a)를 기억하고 있다.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a)는, 배신할 1차 콘텐츠로서의 파일을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 단위로 된다.
인증 처리부(13)는, 예를 들면 다운로드 요구가 행해진 경우에 있어서, 그 요구에 포함되는 유저 ID나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여, 정규의 유저인지의 여부 등에 대한 주어진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이 인증 처리 결과가 OK이었던 경우에만, 요구에 응답한 1차 콘텐츠의 송신이 행하여진다.
검색 처리부(14)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와 협동하여,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a)에 액세스하여, 목적의 1차 콘텐츠를 검색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로 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는,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a)에 대한 관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신규의 1차 콘텐츠가 공급된 경우에는, 이에 따라서,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a)에 대하여 이 신규의 1차 콘텐츠를 등록하도록 하여 갱신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1차 콘텐츠를 삭제할 경우에는, 1차 콘텐츠 데이터의 삭제와 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행하게 된다.
결제 처리부(16)는, 유료의 1차 콘텐츠에 대한 유저측의 대금 지불에 대한 결제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암호화 처리부(17)는, 이 1차 콘텐츠 서버(1)로부터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하여 송신할 1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암호화를 실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로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는, 네트워크(5) 경유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부위이며, 예를 들면 다운로드 요구의 수신과, 이에 따른 1차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은,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가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서 통신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7은 부차 콘텐츠 서버(2)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의 부 차 콘텐츠 서버(2)는, 제어부(21), 기억부(22), 인증 처리부(23), 검색 처리부(24),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6), 보존 장소 설정 처리부(27), 암호화 처리부(2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를 구비한다.
제어부(21)는, 부차 콘텐츠 서버(2)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통괄하여 실행하는 부위로 된다. 이것도, 하드웨어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CPU, RAM(주기억 장치) 등으로 형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중추부에 상당하는 부위를 갖고 이루어진다.
기억부(22)는, 예를 들면 HD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를 기억하고 있다.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는, 부차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구축한 정보 단위로 된다.
인증 처리부(23)는,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의 다운로드 요구가 행해진 경우에 있어서, 그 요구에 포함되는 유저 ID나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여, 정규의 유저인지의 여부 등에 대한 주어진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검색 처리부(24)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6)와 협동하여,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 액세스하여, 원하는 부차 콘텐츠를 검색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6)는, 기억부(22)에서의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 대한 관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부차 콘텐츠 파일)가 신규로 업로드된 경우에 따라서는,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a)에 대하여, 업로드 되어 온 부차 콘텐츠를 등록하도록 하여 갱신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부차 콘텐츠(부차 콘텐츠 파일)를 삭제하게 된 경우에는, 이를 위한 삭제 처리와, 삭제 결과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행하게 된다.
암호화 처리부(27)는, 이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 유저 단말 장치(4)에 대하여 송신할 부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암호화를 실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로 된다. 또한,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서는, 부차 콘텐츠의 업로드일 때에,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 부차 콘텐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송신해 오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되지만, 이 경우에는, 암호화 처리부(27)는, 그 암호화를 해독하는 처리도 실행하게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는, 네트워크(5) 경유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부위로 된다. 예를 들면 업로드되어 오는 부차 콘텐츠나 다운로드 요구의 수신과, 다운로드 요구에 따른 부차 콘텐츠 데이터(부차 콘텐츠 파일)의 송신은,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가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서 통신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8은 커뮤니케이션 서버(3)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서버(3)는, 제어부(31), 기억부(32), 인증 처리부(33), 블로그 가동 처리부(34), SNS 가동 처리부(35),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를 구비한다. 또한,이 경우의 커뮤니케이션 서버(3)는, 블로그와 SNS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된다.
제어부(31)는, 커뮤니케이션 서버(3)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통괄하여 실행 하는 부위로 되고, 예를 들면 CPU, RAM(주기억 장치) 등으로 형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중추부에 상당하는 하드웨어 부위를 갖고 이루어진다.
기억부(32)는, 예를 들면 HD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블로그 데이터베이스(32a)와 SNS 데이터베이스(32b)를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면 블로그 데이터베이스(32a)는, 유저가 개설한 블로그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 단위로 된다. 또한,SNS 데이터베이스(32b)는, SNS의 유저마다의 페이지 내용 등이 데이터베스화된 정보 단위로 된다.
이 경우의 인증 처리부(33)는, 블로그의 갱신을 위한 로그인이나, SNS에의 로그인의 요구 등에 따라서, 그 요구에 포함되는 유저 ID나 패스워드 등을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이 인증 처리 결과가 OK이면, 상기의 로그인이 성공하게 된다.
블로그 가동 처리부(34)는, 블로그를 적정하게 가동시키기 위한 각종 주어진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의 블로그에의 액세스 요구나, 정규의 블로그의 기입 화면의 요구 등에 따라서, 블로그 화면의 데이터의 송신이라든가, 블로그 기입 화면의 송신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블로그에 대한 기입이 반영되도록 하여 블로그 데이터베이스(32a)를 갱신하는 등, 블로그 데이터베이스(32a)를 관리하기 위한 처리도 실행한다.
SNS 가동 처리부(35)도 마찬가지로 하여, SNS의 페이지에의 액세스 요구에 따라서 그 페이지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라든가, 일기 등의 기입을 반영시키기 위한 SNS 데이터베이스(32b)의 갱신 등을 비롯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SNS를 적 정하게 가동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는, 네트워크(5) 경유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부위로 된다. 이에 의해,블로그나 SNS에의 액세스 요구에 따른 페이지 데이터의 송신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커뮤니케이션 서버(3)는, SNS와 블로그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SNS와 블로그에서, 각각 서로 다른 서버가 구축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SNS, 블로그 이전부터 잘 알려져 있는, 홈페이지 등으로 불리는 개인의 사이트 운영 등, SNS, 블로그 이외에서, 개인 유저가 정보발신할 수 있는 CGM 관련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도 9는 샘플 콘텐츠 서버(8)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샘플 콘텐츠 서버(8)는, 제어부(51), 기억부(52), 검색 처리부(53),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51)는, 샘플 콘텐츠 서버(8)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통괄하여 실행하는 부위로 되고, 예를 들면 CPU, RAM(주기억 장치) 등으로 형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중추부에 상당하는 하드웨어 부위를 갖고 이루어진다.
기억부(52)는, 예를 들면 HD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기억 정보로서, 샘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2a)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샘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2a)로서의 형식에 의해 샘플 콘텐츠가 등록된 상태에서 기억 관리되고 있다.
검색 처리부(53)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4)와 협동하여, 샘플 콘텐츠 데이 터베이스(52a)에 액세스하여, 목적의 샘플 콘텐츠를 검색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4)는, 샘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2a)에 대한 관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서버(1)에 대한 1차 콘텐츠의 신규 등록에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가 업로드되어 왔을 때에는, 샘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2a)에 대하여, 업로드되어 온 샘플 콘텐츠를 등록하도록 하여 갱신한다. 또한,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서버(1)에서 1차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한 경우에는, 이것과의 정합을 도모하기 위해서,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삭제 처리와, 삭제 결과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는, 네트워크(5) 경유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부위이다. 예를 들면 업로드되어 오는 샘플 콘텐츠나, 배신(송신) 요구 등의 수신, 및 배신 요구에 응답한 샘플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의 송신 등으로서 통신은,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가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서 통신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스트리밍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스트리밍 서버가 필요로 된다. 도 9에서는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의 구성 하에서, 샘플 콘텐츠 서버(8)에서의 스트리밍 서버는 구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0은 유저 단말 장치(4)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이 경우에는, 유저 단말 장치(4)로서의 하드웨어는, 퍼스널 컴퓨터인 것으로 한다.
우선 유저 단말 장치(4)는, 네트워크(5) 경유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네 트워크 인터페이스(4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4)가 구비됨으로써, 네트워크(5)를 통하여,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서버(1), 부차 콘텐츠 서버(2), 커뮤니케이션 서버(3), 및 다른 유저 단말 장치(4) 등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41)는, 예를 들면 HDD(hard disk drive)(48)에 인스톨된 OS(Operating System),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한,ROM(42)에 유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게 된다.
RAM(43)은 CPU(41)를 위한 작업 영역이며, CPU(4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이 적절히 유지된다.
이 경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되는 입력 디바이스(46)가 접속되어 있고, 이 입력 디바이스(46)로부터 출력되어 오는 조작 신호를, CPU(41)에 적합시킨 신호로 변환하여 CPU(41)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미디어 드라이브(47)가 접속되어 있다. 이 미디어 드라이브(47)는, 소정 포맷의 리무버블 미디어에 대응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장치로 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기억 매체로서 하드디스크를 구비한 HDD(48)가 접속되어 있다. CPU(4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5)를 통하여, 하드디스 크 드라이브(48)의 하드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기록 또는 읽어내기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화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니터(49)도 접속되어 있다.
도 11에는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의 이용에 관련하여 HDD(48)에 기억되는 데이터 내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에 관련해서는, 우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데이터로서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을 기억시키게 된다. 또한,HDD(48)에 대한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기억은, 인스톨의 처리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어플리케이션 파일로서, 1 이상의 1차 콘텐츠 파일(1차 콘텐츠 파일군(103))과, 1 이상의 부차 콘텐츠 파일(부차 콘텐츠 파일군(104))이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제어에 의해 기억된다.
이 경우의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은, 그 기능면에서, 대별하여 콘텐츠 관리·작성 툴(101)로서의 프로그램 부분과, 커뮤니케이션 툴(102)로서의 프로그램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콘텐츠 관리·작성 툴(101)은, 1차 콘텐츠 파일이나 부차 콘텐츠 파일의 다운로드, 1차 콘텐츠 파일군(103)을 이루는 1차 콘텐츠 파일과, 부차 콘텐츠 파일군(104)을 이루는 부차 콘텐츠 파일을 대상으로 하는 파일 조작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편집 조작에 따른 편집 처리나, 편집 결과에 따른 부차 콘텐츠 파일의 작성 처리 등도 실행하게 된 다. 커뮤니케이션 툴(102)은, 커뮤니케이션 서버(3)에 액세스하여 블로그나 SNS를 조작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도 12는 콘텐츠 관리·작성 툴(101)에 대한 프로그램 구성을, 기능 블록 단위에 의해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통신 제어부(111),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2), 1차 콘텐츠 관리 처리부(113), 부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4), 부차 콘텐츠 관리 처리부(115), 콘텐츠 전송 처리부(116),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 부차 콘텐츠 파일 생성·해석 처리부(118), 암호·해독 처리부(119), 플레이어부(1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통신 제어부(111)는, 콘텐츠 관리·편집에 관련하여 주로 1차 콘텐츠 서버(1)나 부차 콘텐츠 서버(3)와 네트워크 경유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2)는, 1차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이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2)에 의해, 1차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다운로드 요구로서의 커맨드를 발행하여 통신 제어부(111)에 의해 송신시키는 제어나, 통신 제어부(111)에서 수신한 1차 콘텐츠의 데이터의 패킷을 건네 받아, 1차 콘텐츠로서의 데이터 형식으로 복원하는 처리 등도, 이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2)에 의해 실행된다.
1차 콘텐츠 관리 처리부(113)는, 상기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2)에 의해 취득된 1차 콘텐츠 파일을 HDD(48)에 보존하는 처리와, 보존된 1차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이다. 예를 들면, 이 1차 콘텐츠 관리 처리부(113)에 의해, 아티스트명, 앨범 단위, 장르 등에 따른 소트 등의 콘텐츠 관리도 실현된다.
부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4)는, 부차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부차 콘텐츠 관리 처리부(115)는, 상기 부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114)에 의해 취득된 부차 콘텐츠 파일을 HDD(48)에 보존하는 처리와, 보존된 부차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이다.
콘텐츠 전송 처리부(116)는,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 파일을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하여 업로드할 때 등,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 전송이 통신 제어부(111)를 경유하여 적정하게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는, 도 3에 의해 설명한 편집 소재 콘텐츠를 이용한 편집, 즉, 유저가 행하는 편집 조작 등에 따라서, 부차 콘텐츠로서의 콘텐츠 내용의 작성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편집 조작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등도, 이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에 의해 실현된다.
콘텐츠 파일 생성·해석 처리부(118)는, 우선, 상기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에 의해 작성한 것으로 하는 콘텐츠 내용이 반영된 부차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부차 콘텐츠 파일에서의 재생 제어 정보에 대한 해석 처리를 실행하여 재생 처리의 시퀀스를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 콘텐츠 파일은 암호화가 실시되어 1차 콘텐츠 서버(1)로부터 전송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부차 콘텐츠 파일도, 다운로드에 대응하여 부차 콘텐츠 서버(2)로부터 유저 단말 장치(4)에 송신할 때에도, 암호화를 실시하도록 되며, 또한, 유저 단말 장치(4)로부터 부차 콘텐츠 서버(2)에 대하여 부차 콘텐츠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에도, 암호화를 실시하여 송출하는 경우가 있다.
암호화·해독 처리부(119)는, 암호화가 실시된 1차 콘텐츠 파일, 부차 콘텐츠 파일을 재생, 편집 등을 위해서 조작할 필요가 있을 때에, 이 암호화를 해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부차 콘텐츠 파일에 대하여 암호화를 실시하여 전송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암호화를 실시하는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플레이어부(120)는, 1차 콘텐츠 파일 및 부차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여 화상·음성 등으로서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 처리 과정 중에서, 디지털 단계에서 실시해 두어야 할 주어진 신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부위로 된다.
우선, 1차 콘텐츠 파일은, 데이터 본체로서,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는 소정 형식의 비디오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등으로서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를 갖는다. 따라서, 플레이어부(120)가 1차 콘텐츠 파일을 재생할 때에는, 이 실질 콘텐츠 데이터로서의 비디오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등을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압축 부호화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면, 이 압축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 처리를 실시한 후에 디지털 비디오 신호,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부차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차 콘텐츠 파일 생성·해석 처리부(118)에 의해 결정된 재생 처리의 시퀀스에 따라서, 원편집 소재 콘텐츠인 1차 콘텐츠 파일의 필요 데이터 부분을 순차적으로 재생해 간다고 하는, 시퀀서로서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그런데, 부차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부차 콘텐츠 파일 생성·해석 처리부(118)에 의해 재생 제어 정보를 해석한 결과는, 콘텐츠 작성 처리부(117)가 제공하는 것으로 되는 GUI인 편집 작업 화면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재생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재생 지시의 내용이, 편집 작업 화면 상에서 유저가 인식 가능한 양태로 표시된다. 유저는, 이것을 봄으로써, 그 부차 콘텐츠가 어떻게 해서 작성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그 부차 콘텐츠가 작성자에 의해 어떻게 해서 작성된 것인가라고 하는 것을, 정확한 정보로서 얻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의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가 어떻게 해서 작성된 것인지를 일반의 유저가 알기 위해서는, 실제로 재생해서 볼 수 있는 영상적인 내용, 혹은 청취할 수 있는 음향적인 내용 등으로부터 추측하는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부차 콘텐츠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또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서 작성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차 콘텐츠가 유저간에서 공유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유저의 콘텐츠의 창작에 관한 지식, 기술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은, 콘텐츠 작성에 관심이 있는 유저에게 있어서는, 매우 높은 오락성과 이용 가치를 갖고 있 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콘텐츠 파일(1차 콘텐츠 패키지 파일, 부차 콘텐츠 파일)의 구조예에 대하여, 도 13∼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3의 (a)에는, 부차 콘텐츠 파일의 구조예가 도시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 파일은, 헤더와 보디(본체부)로 이루어진다.
헤더에는, 부차 콘텐츠 파일에 관련한 소정의 정보 항목(메타데이터, 부가 정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헤더 정보를 저장한다.
보디는, 그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내용에 대응하는 실체 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부차 콘텐츠 파일의 경우에는, 재생 제어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도 13의 (b)에는, 1차 콘텐츠 파일의 구조예가 도시된다.
1차 콘텐츠 파일도 헤더와 보디로 이루어지고, 헤더에는, 1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 항목(메타데이터)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헤더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보디에는, 콘텐츠 내용에 대응하는 실체 데이터로서, 소정 형식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 콘텐츠 파일마다 대응하여 샘플 콘텐츠 파일이 있는 것으로 된다. 이 샘플 콘텐츠 파일도, 도 13의 (b)에 도시되는 1차 콘텐츠 파일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다. 즉, 샘플 콘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메타데이터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헤더 정보와, 샘플로서의 콘텐츠 내용(샘플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실질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부차 콘텐츠 파일의 헤더가 저장하는 헤더 정보의 내용예를 도 14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는, 헤더 정보를 형성하는 정보 항목(메타데이터 항목)으로서, 본 콘텐츠 관련 기본 정보,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 본 콘텐츠 이용 허락 정보, 본 콘텐츠 세대 정보를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본 콘텐츠 관련 기본 정보는, 현 콘텐츠 파일에 관련된 기본적인 정보 항목(메타데이터)으로 이루어진다.
도 15는 본 콘텐츠 관련 기본 정보를 형성하는 정보 항목(메타데이터 항목)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콘텐츠 ID, 타이틀, 크리에이터, 콘텐츠 종별, 재생 시간, 작성 일시, 재킷 데이터, 장르 … 등이 나타내어져 있다.
여기서의 콘텐츠 ID는, 현 부차 콘텐츠 파일에 고유하게 주어지는 식별자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콘텐츠 ID는,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 서버(2)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6)에 의해 콘텐츠 파일마다 부여되는 것으로 한다.
타이틀은, 현 부차 콘텐츠 파일에 주어진 타이틀명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크리에이터는, 현 부차 콘텐츠 파일의 크리에이터(작성자, 제작자, 아티스트등으로도 불려짐)를 나타내는 정보로 된다. 여기서는, 크리에이터에 대응하는 명칭과, 크리에이터로 되는 유저의 유저 ID를 저장하는 것으로 한다.
콘텐츠 종별은, 예를 들면 동화상, 악곡, 사진(정지 화상) 등을 비롯하여, 현 부차 콘텐츠 파일이 갖는 콘텐츠 내용의 종류, 범위 등이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 는 정보로 된다.
재생 시간은, 현 부차 콘텐츠 파일로서의 콘텐츠의 총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작성 일시는, 현 부차 콘텐츠 파일이 작성된 날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콘텐츠에는, 앨범 재킷에 상당하는 화상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재킷 데이터는, 이와 같은 화상 데이터로 된다.
장르는, 현 부차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내용에 주어지는 장르가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된다.
또한, 본 콘텐츠 관련 기본 정보에 포함시키는 정보 항목으로서는, 여기서 예를 들고 있는 것 이외에도 생각할 수 있다.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는, 현 부차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내용을 재생하는 데에 필요로 되는 원편집 소재 콘텐츠(이것이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임)가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바꾸어 말하면, 현 부차 콘텐츠의 작성을 위해서 결과적으로 그 실질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해야 할 것으로 된 1차 콘텐츠 파일, 혹은 부차 콘텐츠 파일이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5와의 대응이면, 편집 처리에 의해 신규로 작성되는 부차 콘텐츠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나타내어져 있는 1차 콘텐츠 파일이, 상기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는, 도 5의 (a)의 경우에 대응해서는 1차 콘텐츠A, B를 나타내고, 도 5의 (b)의 경우에 대응해 서는 1차 콘텐츠A, B, C를 나타내고, 도 5의 (c)의 경우에 대응해서는 1차 콘텐츠C, D, E, F를 나타내는 내용으로 된다.
또한, 가능성으로서, 편집 소재 콘텐츠를 편집하여 작성한 부차 콘텐츠의 콘텐츠 내용의 결과로서, 원래 편집 소재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던 임의의 1차 콘텐츠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던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도 5의 (b)의 경우를 예로 들면, 편집 소재 콘텐츠A, C를 이용하여 편집을 행하여 얻은 신규의 부차 콘텐츠로서, 예를 들면 1차 콘텐츠A, C는 적어도 그 일부를 이용하고 있지만, 1차 콘텐츠D에 대해서는 전혀 이용하고 있지 않다고 하는 콘텐츠 내용으로 될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차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1차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1차 콘텐츠A, C만이며, 1차 콘텐츠D는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응한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내용을 어떠한 것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서이지만, 하나로는, 부차 콘텐츠 재생을 위해서 실제로 필요로 되는 1차 콘텐츠만을 반영시켜야 한다라는 사고 방식에 기초하여, 1차 콘텐츠A, C만을 나타내고, 1차 콘텐츠D는 나타내지 않는 내용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다른 하나로는, 1차 콘텐츠A, C, D의 모든 1차 콘텐츠를 나타내는 내용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즉, 이 경우에는, 실제로는 1차 콘텐츠D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 부차 콘텐츠를 작성할 때까지의 과정에서는, 1차 콘텐츠D로서의 콘텐츠 내용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고 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는 사용하고 있는 것과 등가이다라고 하는 사고 방식이 서는 것이다. 이 경우, 결과적으로는, 금회의 부차 콘텐츠가 작성되는 세대까지에 있어서, 한번이라도 이용된 적이 있는 1차 콘텐츠가 모두,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어지게 된다.
또한, 도 16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는, 여기에 나타내어지는 1차 콘텐츠마다 관련된 소정 내용의 메타데이터도 갖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는, 현 부차 콘텐츠 파일을 작성하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이용한 편집 소재 콘텐츠(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직접 이용 콘텐츠)가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된다.
도 5와의 대응이면, 도 5의 (a)에 도시된 신규의 부차 콘텐츠의 경우에는,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 편집 소재 콘텐츠A, B로서의 실제의 1차 콘텐츠 파일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신규의 부차 콘텐츠의 경우이면,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는, 편집 소재 콘텐츠A로 되는 1차 콘텐츠 파일과, 편집 소재 콘텐츠C로 되는 부차 콘텐츠 파일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신규의 부차 콘텐츠의 경우이면,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는, 편집 소재 콘텐츠C, D로 되는 각 부차 콘텐츠 파일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도 16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로서도, 여기에 나타내어지는 편집 소재 콘텐츠마다 관련된 소정 내용의 부수 정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된다.
본 콘텐츠 이용 허락 범위 정보는, 현 콘텐츠 파일에 설정한 이용 허락 범위의 정보로 된다. 이 구조는, 도 16에 의해 후술하는 이용 콘텐츠 정보의 구조예에 서의 이용 허락 범위 정보에 준하면 된다.
본 콘텐츠 세대 정보는, 현 부차 콘텐츠가,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의 환경에서 작성된 콘텐츠로서 제몇 세대로 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16은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와,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각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와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는, 공통의 기본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도 16의 내용은,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와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각각 공통으로 나타낸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는, 크게는 단위 파일 정보의 연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단위 파일 정보의 각각이, 1개의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응한다.
또한, 기재를 간략한 것으로 하는 형편상, 이 도 16의 설명 시에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와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로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 콘텐츠」라고도 하기로 한다.
단위 파일 정보에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 ID, 크리에이터, 타이틀, 그리고, 이용 허락 범위 정보의 각 정보 항목이 설정된다.
여기서의 콘텐츠 ID에는,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의 콘텐츠 파일에 주어진 콘텐츠 ID를 저장한다.
크리에이터는,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의 작성자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그 명칭, 및, 이 크리에이터로 되는 유저의 유저 ID를 저장한다.
타이틀은,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의 타이틀을 예를 들면 그 명칭 등에 의해 나타낸다.
세대의 정보 항목에는, 세대 정보가 저장된다. 세대 정보는, 그 콘텐츠가 제몇 세대의 콘텐츠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에서, 1차 콘텐츠는, 일의적으로 제1 세대인 것으로서 정의되고, 부차 콘텐츠는, 편집 소재 콘텐츠의 세대에 따라서, 소정 규칙에 의해 제N 세대로 되도록 하여 정의된다. 따라서, 이 도 16에 나타내는 이용 콘텐츠 정보가,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인 경우에는, 이 세대 정보의 항목에는, 제1 세대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또한,이 도 16에 나타내는 이용 콘텐츠 정보가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인 경우에는, 단위 파일 정보가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1차 콘텐츠, 또는 부차 콘텐츠)마다에 따라서 실제로 설정되어 있는 세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용 허락 범위의 정보(이용 허락 범위 정보)는, 1 이상의 이용 항목1∼n의 집합에 의해 형성된다.
이용 항목1∼n에는, 각각,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의 편집(2차 이용)에 관련한 소정의 이용 내용이 대응하도록 하여 할당되어 있다. 이용 항목에 할당하는 이용 내용의 예로서는 다양하게 생각되지만, 예를 들면,
·본 콘텐츠의 2차 이용의 가부에 관한 내용
·편집 소재로 하는 다른 콘텐츠에 대하여, 본 콘텐츠와는 다른 크리에이터의 것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내용
·편집 소재로 하는 다른 콘텐츠에 대하여, 본 콘텐츠가 속하는 것으로 되는 앨범과는 다른 앨범에 속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내용
·특정한 이펙트나 특수 효과의 사용에 관한 내용
·특정한 플러그인 모듈의 사용에 관한 내용
·콘텐츠 전체로부터 일부분을 추출하여 편집 소재로 하는 것
·콘텐츠 전체로부터 일부분을 추출하여 편집 소재로 하는 경우에서, 추출하는 실질 콘텐츠 데이터 부분에 관한 허가 내용
·이용 가능한 세대수(예를 들면 1차 콘텐츠로서, 손자의 세대(제3 세대)까지의 이용을 허락한다고 한 경우에는, 이 1차 콘텐츠를 이용한 아들의 부차 콘텐츠와, 이 부차 콘텐츠를 이용한 손자의 부차 콘텐츠는 작성할 수 있지만, 이 손자의 부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대응의 1차 콘텐츠를 이용한 부분에 대하여 편집을 행할 수는 없다)
·본 콘텐츠와 조합하여 2차 이용이 가능한 콘텐츠의 수, 종류 등에 관한 내용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이용 항목의 각각에 대하여, 예를 들면 허가/불허가를 비롯하여, 그 이용 항목마다 설정한 이용 허락에 관한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되는 것이다. 이용 허락 범위의 정보로서는, 이들 이용 항목의 각각에 기술되는 허락 설정 내용을 종합함으로써, 대응하는 이용 콘텐츠에 대한 이용 허락 범위를 나타내 게 되는 것이다.
또한, 1차 콘텐츠 파일에 대한 헤더 정보의 내용에 관해서는, 특별히 도시에 의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1차 콘텐츠 파일에 관련하여 필요한 것으로서 정의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파일의 헤더 정보에 대해서도, 부차 콘텐츠 파일과 공통의 구조를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한 사양의 하나로서 생각된다.
이와 같은 1차 콘텐츠 파일의 헤더 정보의 구조로 하면, 1차 콘텐츠와 부차 콘텐츠에서 헤더 구조가 공통화되므로,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파일 관리의 효율화가 기대된다. 일례로서는, 1차 콘텐츠 파일이 본 콘텐츠 이용 허락 범위 정보를 갖게 되므로, 제1 세대로 되는 1차 콘텐츠에 대하여, 그 작성자의 판단이나 사고 방식을 보다 충실하게 반영한 이용 허락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1차 콘텐츠 패키지 파일은, 다른 콘텐츠를 2차 이용하여 작성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면 1차 콘텐츠 파일의 헤더에서, 상기 도 16에 도시한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와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에 대해서는 특별히 유의한 내용을 저장할 필요는 없다.
계속해서, 부차 콘텐츠 파일에서의 재생 제어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생 제어 정보는, 실질 콘텐츠 데이터와는 달리, 소정의 언어에 의해, 현 부차 콘텐츠로서의 콘텐츠 내용을 재생하기 위한 처리 시퀀스를 기술하여 이루어지 는 단위 정보이다. 이 재생 제어 정보를 형성하는 기술 내용의 요소로서는, 예를 들면 우선, 재생에 사용하는 실질 콘텐츠 데이터로서의 1차 콘텐츠를 나타내는 기술,이 1차 콘텐츠로서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실제로 부차 콘텐츠 재생을 위해서 이용하는 데이터 부분을 나타내는 기술, 또한,이 데이터 부분을 재생할 시간을 나타내는 기술 등으로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페이드인, 페이드아웃, 오버랩, 이퀄라이징(음질 조정), 재생 속도 배율, 리버브, 딜레이 등을 비롯한, 소위 이펙트, 특수 효과가 반영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도 행해진다.
도 17은 재생 제어 정보의 내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 ]에 의해 묶여지는 기술 부분이, 1개의 이용 콘텐츠(원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한 임의의 1개의 재생 제어 내용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 도 17에 도시된 이용 콘텐츠 단위의 재생 제어 내용의 예에 대하여 설명해 둔다.
우선, 도면에서 선두에 나타내어지는 이용 콘텐츠 단위의 재생 제어 내용으로서는,
[
file_id=AAAAAA;
time=00:00-00:10;
position=vv-zz
]
로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이용 콘텐츠가 콘텐츠 ID=AAAAAA(여기서는 file_id의 기술자가 콘텐츠 ID를 나타내는 것으로 됨)에 의해 지정되는 것이며, 이 이용 콘텐츠를 이용하는 현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00:00(개시 시점)∼00:10(재생 시간 10초)이며, 이 재생 시간에서 이용하는 이용 콘텐츠의 데이터 구간(실질 콘텐츠 데이터의 구간)은, 어드레스 vv부터 어드레스 zz까지 대응하는 범위인 것을 지정하고 있다.
이에 계속되는 이용 콘텐츠 단위의 재생 제어 내용은,
[
file_id=AAAAAA;
time=00:10-00:15;
position=ss-tt
]
로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이용 콘텐츠가 콘텐츠 ID=AAAAAA에 의해 지정되는 것이며, 이 이용 콘텐츠를 이용하는 현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00:10∼00:15이며, 이 재생 시간에서 이용하는 이용 콘텐츠의 데이터 구간은, 어드레스 ss부터 어드레스 tt까지 대응하는 범위인 것을 지정하고 있다.
계속되는 이용 콘텐츠 단위의 재생 제어 내용은,
[
file_id=BBBBBB;
time=00:15-00:20;
position=pp-uu
]
로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이용 콘텐츠가 콘텐츠 ID=BBBBBB에 의해 지정되는 것이며, 이 이용 콘텐츠를 이용하는 현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00:15∼00:20이며, 이 재생 시간에서 이용하는 이용 콘텐츠의 데이터 구간은, 어드레스 pp부터 어드레스 uu까지 대응하는 범위인 것을 지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플레이어부(120)는, 부차 콘텐츠 파일의 재생 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 ]에 의해 묶여지는 이용 콘텐츠 단위의 재생 제어 내용을 축차적으로 해석해 가고, 그 해석 결과에 따라서 실제로 재생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부차 콘텐츠를,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등으로서 재생 출력한다.
지금까지의 설명을 근거로 하여, 이후, 본 실시 형태에서의 샘플 콘텐츠를 이용한 부차 콘텐츠 재생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샘플 콘텐츠를 이용한 부차 콘텐츠 재생(이후,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이라고도 함)의 일 양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의 재생 양태예를, 그 필요성과 함께 설명해 가는 것으로 한다.
도 18의 (a)에는, 1개의 부차 콘텐츠A에 대한 재생 시간에 따른, 본래의 완전한 재생 내용(정규 콘텐츠 내용)을,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내역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부차 콘텐츠A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재생 시간에 따라서, 선 두로부터, 1차 콘텐츠A, 1차 콘텐츠B, 1차 콘텐츠C, 1차 콘텐츠D, 1차 콘텐츠E마다의 적어도 일부의 재생 시간 부분의 콘텐츠 내용이 순차적으로 재생되어 가도록 하여 편집이 행해진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차 콘텐츠 작성 시의 편집의 방법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콘텐츠 내용을 동일한 재생 시간에서 중복(믹싱)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에 대한 설명을 알기 쉽게 하는 것의 편의상, 부차 콘텐츠A는 상기한 편집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임의의 유저 단말 장치(4)의 유저가, 부차 콘텐츠A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의 유저에 의한 콘텐츠의 「보유」란, 예를 들면, 하나로는 그 유저의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유저 단말 장치(4))에 있어서 로컬로서 볼 수 있는 환경에서 콘텐츠 파일을 기억 관리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예를 들면 로컬에서 존재하고 있지 않고, 서버 등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도, 예를 들면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해 액세스하여 스트리밍 등에 의해 재생할 수 있는 것이 있으면, 이와 같은 콘텐츠 파일도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1차 콘텐츠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서브스크립션 등으로 불리는 예약 구독적인 콘텐츠 시청 계약에 의해 서버로부터 임의로 스트리밍에 의한 재생 혹은 다운로드에 의한 로컬 보존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그 재생 개시 시에 재차 요금 부담을 강요받지 않고, 유저가 재생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는 콘텐츠이다라고도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A를 정규 콘텐츠 내용대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유저가, 부차 콘텐츠A에서의 모든 원편집 소재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즉, 부차 콘텐츠A에 대응하는 원편집 소재 콘텐츠 모두가,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1차 콘텐츠(보유 1차 콘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서 유저는, 부차 콘텐츠A의 원편집 소재 콘텐츠인, 1차 콘텐츠A, 1차 콘텐츠B, 1차 콘텐츠C, 1차 콘텐츠D, 1차 콘텐츠E 중, 1차 콘텐츠A, B, D, E는 보유하고 있지만, 1차 콘텐츠C만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만약, 유저가, 1차 콘텐츠A∼E 모두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플레이어부(120))에 의해 부차 콘텐츠A를 재생한 경우에는,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재생 시간축에 따라서, 1차 콘텐츠A→1차 콘텐츠B→1차 콘텐츠C→1차 콘텐츠D→1차 콘텐츠E의 순으로 연속하여 재생 출력된다. 이 경우, 유저는 정규 콘텐츠 내용을 시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유저가 1차 콘텐츠C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부차 콘텐츠A를 재생한 경우, 즉, 부차 콘텐츠A를 재생할 때에 필요한 1차 콘텐츠(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부족한 1차 콘텐츠(부족 1차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그 재생 출력 결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된다.
즉, 도 18의 (a)에서 1차 콘텐츠A, B의 순으로 재생되어, 다음의 1차 콘텐츠C의 구간에 이르렀을 때에는, 1차 콘텐츠C로서의 콘텐츠 내용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예로서 1차 콘텐츠C가 오디오 콘텐츠인 것으로 하면, 도 18의 (a)에서의 1차 콘텐츠C에 대응하는 구간은 무음 상태가 계속되게 된다. 혹은 동화상 등의 비디오 콘텐츠인 것으로 하면, 1차 콘텐츠C에 대응하는 구간에서는, 영상이 출력되지 않거나, 혹은, 1차 콘텐츠B의 최후의 화상이 정지 화상으로서 계속해서 표시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콘텐츠 내용이 출력되지 않는 구간을 종료하면, 또 다시 1차 콘텐츠D, E의 순으로 재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차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그 부차 콘텐츠가 이용하는 원편집 소재 콘텐츠로서의 1차 콘텐츠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즉 부족 1차 콘텐츠가 있는 경우에는, 이 부족 1차 콘텐츠의 부분이 재생되지 않고 누락된다. 즉, 유저는, 그 부차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었다고 하여도, 부족 1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부분이 누락된 내용을 시청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재생 내용은, 콘텐츠 내용이 갑자기 중단되는 것이기 때문에, 유저에 대하여 위화감,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재생 출력의 양태에서는, 정규의 콘텐츠 내용으로부터 상당히 동떨어진 내용을 시청하게 되므로, 유저로서는, 부차 콘텐츠A의 완전한 콘텐츠 내용을 이미지하기 어렵게 된다라고도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이 부차 콘텐츠의 완전한 콘텐츠 내용을 이미지하기 어려우면, 유저가 완전한 콘텐츠 내용을 들어 보고 싶다라고 하는 생각을 갖기 어렵게 되어, 부족 1차 콘텐츠를 구입하는 기회도 상실되기 쉽다고도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물론, 유저는, 새롭게 1차 콘텐츠C를 다운로드하거나 하여 보유하면 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유저에 따라서는, 1차 콘텐츠C를 다운로드하고, 그 후 재차 부차 콘텐츠A를 정규 콘텐츠 내용으로 시청해 본 바, 그다지 마음에 든 느낌이 아니라, 1차 콘텐츠C를 일부러 다운로드하지 않아도 되겠다라고 하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있는 것도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로서는, 부차 콘텐츠를 재생 출력할 때에, 원편집 소재로서 이용할 1차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그 보유하고 있지 않은 1차 콘텐츠(부족 1차 콘텐츠) 대신에, 그 샘플 내용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8의 (b)에 도시한 1차 콘텐츠의 보유 상황 하에서 부차 콘텐츠A를 재생할 때에는, 도 1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우선, 1차 콘텐츠A, B를 순차적으로 재생하고, 다음으로, 1차 콘텐츠C에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를 재생한다. 그리고, 이 샘플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것으로 되면, 1차 콘텐츠D, E를 순서대로 재생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이 행해짐으로써, 우선, 콘텐츠의 재생 출력이 중단되는 상태를 피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위화감, 불쾌감은 대폭 해소된다. 또한, 유저는, 완전하지는 않지만, 보다 본래의 것에 가까운 형태로의 콘텐츠 내용을 이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래의 콘텐츠 내용에 보다 가까운 이미지를 갖게 함으로써, 유저로서는, 콘텐츠 내용의 이미지가 마음에 들기만 하면, 부족 1차 콘텐츠를 다시 구입하여 보유하여 완전한 콘텐츠 내용을 시청하고 싶다고 생각할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즉, 1차 콘텐츠의 판매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도 된다.
계속해서, 상기 도 18에 예시한 본 실시 형태로서의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우선, 도 19에 의해, 샘플 콘텐츠 서버(8)에서의 샘플 콘텐츠의 관리 양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는, 샘플 콘텐츠 서버(8)의 기억부(52)에서의 샘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2a)에서의 샘플 콘텐츠 관리로서, 1차 콘텐츠와의 대응짓기에 관한 관리의 양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샘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2a)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ID·URL 대응 테이블을 갖고 있는 것으로 된다. ID·URL 대응 테이블은, 1차 콘텐츠 서버(1)가 보유하는 1차 콘텐츠의 콘텐츠 ID마다, 기억부(52)에서 기억되어 있는 샘플 콘텐츠의 URL(어드레스, 소재)을 대응지은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도면의 ID·URL 대응 테이블에서는, 1차 콘텐츠A의 콘텐츠ID=AAAAAA와 URL1이 대응지어져 있다. 그리고, 이 URL1의 실제로서는, 기억부(52)에서의 특정한 어드레스(디렉토리)에 대응하는 URL이 기술되어 있는 것이며, 여기서는, 샘플 콘텐츠A의 데이터가 놓여져 있는 URL이 기술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1차 콘텐츠A의 콘텐츠 ID를 키로 하여 ID·URL 대응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샘플 콘텐츠A의 어드레스(보존 장소)를 알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A와 대응지어지는 샘플 콘텐츠A는, 1차 콘텐츠A에 대응하는 샘플 내용을 갖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1차 콘텐츠B의 콘텐츠 ID=BBBBBB에 대응지어져 있는 URL2에는, 1차 콘텐츠B에 대응하는 샘플 내용을 갖는 샘플 콘텐츠B의 URL이 기술된다. 그리고 이후, 마찬가지로 하여, ID·URL 대응 테이블에서는, 최후로 되는 1차 콘텐츠X까지, 각 1차 콘텐츠마다,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URL이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ID·URL 대응 테이블에 의해, 1차 콘텐츠 서버(1)에서 보유하는 1차 콘텐츠와, 샘플 콘텐츠 서버(8)에서 보유하는 샘플 콘텐츠 중에서, 대응하는 샘플 내용을 갖는 샘플 콘텐츠와의 대응이 도모된다.
도 20의 플로우차트는,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을 위해서 유저 단말 장치(4)(콘텐츠 재생 장치)와 샘플 콘텐츠 서버(8)(서버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예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이 도면에서의 유저 단말 장치(4)의 처리는, 주로 콘텐츠 관리·작성 툴(101)에서의 플레이어부(120)로서의 기능부가, 필요에 따라서 다른 기능부(도 12에 나타냄)와 협동하여 실행하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즉, 유저 단말 장치(4)가 콘텐츠 관리 작성 툴(101)로서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이 도면에서의 샘플 콘텐츠 서버(8)의 처리도, 제어부(51)로서의 컴퓨터 시스템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우선, 예를 들면 유저 단말 장치(4) 상에서 기동하고 있는 콘텐츠 관리·작성 툴(101)에 대한 유저 조작으로서, 이미 보유되어 있는 부차 콘텐츠 중으로부터 1개의 부차 콘텐츠를 선택하고, 그 재생을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한다.
이 조작에 따라서는, 스텝 S101에 의해, 예를 들면 플레이어부(120)가 부차 콘텐츠 파일 생성·해석 처리부(118)에 지시를 행하여, 재생이 지시된 부차 콘텐츠(재생 대상 부차 콘텐츠)를 읽어내어 그 재제어 정보의 내용을 해석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 해석 처리의 결과로서, 여기서는, 스텝 S102에 의해, 재생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한 원편집 소재로서의 1차 콘텐츠(원편집 소재 콘텐츠)가 어떠한 것인지를 인식한다. 이 인식 시에는, 예를 들면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인식 하게 된다.
또한,앞의 도 16에 의한 설명에 의하면, 부차 콘텐츠의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콘텐츠 ID는, 헤더 정보에서의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인식 가능하다. 따라서, 스텝 S102에 따른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인식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재생 제어 정보의 해석 대신에,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를 참조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단,이 경우에서는, 후술하는 스텝 S106에 의해 재생 대상 부차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되므로, 이를 위한 준비 처리로서의 목적과도 아울러, 스텝 S101에서 재생 제어 정보의 해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1차 콘텐츠 파일군(103)에 포함되어 있는 1차 콘텐츠 파일이 유저의 보유 콘텐츠에 상당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플레이어부(120)는, 예를 들면 부차 콘텐츠 관리 처리부(115)와 협동하여, 스텝 S103에 의해, HDD(48)에 기억되어 있는 1차 콘텐츠 파일군(103)을 형성하는 1차 콘텐츠 파일 중에, 상기 스텝 S102에서 인식한 원편집 소 재로서의 1차 콘텐츠와 동일한 것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대조 처리를 실행한다.
이 대조 처리의 결과, 스텝 S102에서 인식한 원편집 소재로서의 1차 콘텐츠마다,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되는 것(부족 1차 콘텐츠) 사이에서의 구분이 얻어지게 된다. 즉, 스텝 S103에 의해서는, 스텝 S102에서 최종적으로 인식한 원편집 소재로서의 1차 콘텐츠 중에서, 부족 1차 콘텐츠인 것을 인식하게 된다.
다음의 스텝 S104에서는, 예를 들면 플레이어부(120)는 통신 제어부(111)와 협동하여, 상기 스텝 S103에서 인식된 부족 1차 콘텐츠를 샘플 콘텐츠 서버(8)에 대하여 통지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 통지 시에는, 예를 들면 부족 1차 콘텐츠마다의 콘텐츠 ID를 샘플 콘텐츠 서버(8)에 대하여 송신한다.
샘플 콘텐츠 서버(8)는, 스텝 S201에 의해, 상기 스텝 S104에 따라서 송신되어 오는 부족 1차 콘텐츠의 통지(콘텐츠 ID)를 수신하면, 스텝 S202 이후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2에서 샘플 콘텐츠 서버(8)는, 기억부(52)의 샘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2a)에서의 콘텐츠 ID·URL 테이블을 참조한다. 그리고, 콘텐츠 ID·URL 테이블로부터, 스텝 S201에 의해 수신한 부족 1차 콘텐츠의 콘텐츠 ID마다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URL을 검색하여 취득한다.
다음으로,샘플 콘텐츠 서버(8)는, 스텝 S203에 의해, 상기 스텝 S202에 의해 취득한 URL을 통지한다. 이 때에는, 예를 들면, URL에 대하여, 부족 1차 콘텐츠의 콘텐츠 ID와의 대응짓기가 나타내어지는 형식에 의해 유저 단말 장치(4)에 송 신한다.
유저 단말 장치(4)에서는, 상기 스텝 S203에 의한 통지로서 송신되어 오는 URL의 정보를, 스텝 S105에서 수신한다. 이 때,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의 층에서는, 콘텐츠 관리·작성 툴(101)에서의 통신 제어부(111)가 수신하고, 예를 들면 플레이어부(120)에 전달하는 것으로 된다.
플레이어부(120)는, 스텝 S106으로서, 스텝 S101에 의한 재생 대상 부차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제어 정보의 해석 결과와, 스텝 S105에 대응하여 취득한 부족 콘텐츠의 URL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하여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스텝 S101의 해석 처리에 의해 원편집 소재로서 특정한 1차 콘텐츠 중, 부족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재생 시퀀스 중에서의 재생 개시 타이밍보다도 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샘플 콘텐츠 서버(8)에 대하여 스트리밍 요구를 행한다. 이 스트리밍 요구는,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에 대한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송신을 요구하는 것으로, 요구 시에는, 스트리밍 송신해 받아야 할 샘플 콘텐츠를, 그 URL에 의해 지정한다.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이 URL은, 상기 스텝 S105에 대응하여 취득한 것이다.
스트리밍 요구를 수신한 샘플 콘텐츠 서버(8)는, 스텝 S204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요구와 함께 수신한 URL이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놓여져 있는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를 읽어내고,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요구원인 유저 단말 장치(4)(플레이어부(120))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이 스텝 S204의 처리는, 스트리밍 요구를 받을 때마다, 샘플 콘텐츠 서버(8)가 실행하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저 단말 장치(4)와 샘플 콘텐츠 서버(8)의 주고받음에 의해, 유저 단말 장치(4)(플레이어부(120))에서는, 스텝 S106에서의 처리의 하나로서, 스트리밍 데이터 형식으로의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여기서의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란, 샘플 콘텐츠로서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이며, 즉, 샘플 콘텐츠로서의 콘텐츠 내용을 재현할 수 있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으로 된다.
그리고, 플레이어부(120)에서는, 스텝 S101에 의해 해석한 결과에 따라서, 원편집 소재로서의 1차 콘텐츠를 시퀀스 재생해 갈 때에,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1차 콘텐츠를 재생 개시할 타이밍에 이르렀을 때에는, 예를 들면 로컬에서의 보존 장소로부터 읽어낸 그 1차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 신호 처리를 개시한다. 여기서는, 이와 같이 하여 로컬의 보존 장소에 놓여져 있는 1차 콘텐츠 파일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로컬 재생」이라고 하기로 한다.
한편, 부족 1차 콘텐츠를 재생 개시할 타이밍에 이르렀을 때에는, 앞서 설명한 스트리밍 요구에 의해, 스트리밍 데이터의 형식으로 로컬에 존재하고 있는 실질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신호 처리를 개시한다. 여기서는, 이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생을 「스트리밍 재생」이라고 하기로 한다.
도 21은, 상기 스텝 S106에 의해 실현되는 부차 콘텐츠의 재생 처리에 대하여, 도 19에 도시한 부차 콘텐츠A를 예로 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부차 콘텐츠A의 원편집 소재 콘텐츠인 1차 콘텐츠A∼E 중, 1차 콘텐츠A, B, D, E에 대해서는 유저가 보유하고 있고, 1차 콘텐츠C만이 부족 콘텐츠 이다. 또한, 여기서는, 유저가 보유하는 콘텐츠는 1차 콘텐츠 파일군(103)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콘텐츠 관리·작성 툴(101)의 플레이어부(120)는, 우선, 재생 제어 정보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는(재생 제어 정보에 따른) 부차 콘텐츠A의 재생 처리로서, 우선, 부차 콘텐츠A에서 최초로 재생할 1차 콘텐츠A에 대해서는, 그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를 1차 콘텐츠 파일군(103)으로부터 읽어내어 로컬 재생에 의한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으로,이 1차 콘텐츠A의 재생 처리가 종료되면, 계속해서는 1차 콘텐츠B의 로컬 재생을 실행한다.
그리고, 1차 콘텐츠B의 로컬 재생이 종료되면, 계속해서는, 스트리밍 요구에 의해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되는 1차 콘텐츠C의 샘플 데이터에 대한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
즉,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에, 부족 1차 콘텐츠의 재생 구간(파트)에서는, 스트리밍 데이터로서 수신하고 있는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이 때의 부차 콘텐츠A를 재생하고 있는 흐름 중에서의 샘플 콘텐츠에 대한 재생 타이밍이라든가, 그 밖에, 재생 제어에 관해서는, 재생 제어 정보에서의, 대응의 1차 콘텐츠(원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한 기술 내용에 기초하면 된다.
또한, 실제에 있어서는, 부족 1차 콘텐츠의 재생 구간의 개시 타이밍과 아울러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그 부족 1차 콘텐츠의 재생 개시 시간보다도 빠른 소정 타이밍에 서 스트리밍 요구를 행함으로써, 부족 1차 콘텐츠의 재생 개시 시간보다도 빠른 타이밍에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해 둔다. 그리고,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해서는 RAM 등에 버퍼링하여 일시 축적해 두게 된다. 그리고, 이 부족 1차 콘텐츠의 재생 개시 시간에 따른 타이밍에서 재생 출력이 행해지도록, 버퍼링 해 둔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생 신호 처리를 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1차 콘텐츠C에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에 관한 스트리밍 재생이 종료된 것으로 되면,계속해서는, 재생 제어 정보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1차 콘텐츠D, E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로컬 재생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처리가 실제의 스텝 S106로서 실행됨으로써, 부차 콘텐츠A에 대한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이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도 19, 도 20에 의해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도 19에서는, ID·URL 대응 테이블에 의해, 1차 콘텐츠의 콘텐츠 ID에 샘플 콘텐츠의 URL을 대응지음으로써, 1차 콘텐츠와 샘플 콘텐츠의 대응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샘플 콘텐츠의 URL 대신에, 샘플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대응짓는 것으로 하여도, 본 실시 형태의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은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 장치(4)(콘텐츠 관리·작성 툴(101))측에서 부족 1차 콘텐츠의 URL을 인식하기 위한 구조로서는, 부차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예를 들면 헤더 정보에 저장할 수 있음)로서, 원편집 소재 콘텐츠로서의 1차 콘텐츠마다,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URL이라든가 콘텐츠 ID를 미리 저장해 두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 우에는, 유저 단말 장치(4)(콘텐츠 관리·작성 툴(101))가, 재생 대상 부차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참조하면 부족 1차 콘텐츠의 URL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한 ID·URL 대응 테이블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 20에서의 스텝 S104, S105, S201∼S203에 의한, 유저 단말 장치(4)와 샘플 콘텐츠 서버(8) 사이에서의 부족 콘텐츠의 통지 및 URL의 통지를 위한 처리는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앞에서도 약간 설명하였지만, 부차 콘텐츠에서, 동일한 재생 시간에서 복수의 원편집 소재 콘텐츠가 믹싱, 합성되어 재생 출력되도록 편집된 개소에 대해서도, 본 실시 형태의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은 적용된다. 스텝 S106으로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부차 콘텐츠이어도, 부족 1차 콘텐츠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족 1차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 대신에,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여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고 하는 점에서 변함은 없다.
또한, 도 20, 도 21에 의한 설명에서는, 샘플 콘텐츠에 대해서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송신을 행하는 것인 것으로 하였다. 이것은, 예를 들면 현실적인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의 운용에서,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가 로컬에서 보존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로컬에 보존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샘플 콘텐츠 서버(8)로부터 샘플 콘텐츠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방식에 의해 송신하여, 유저 단말 장치(4)에 의해 로컬에서 보존시켜도 된다. 그리고, 그 후의 부차 콘텐츠의 재생 시에는, 샘플 콘텐츠에 대해서도 로컬 재생에 의해 재생 출력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샘플 콘텐츠 서버(8)에서 스트리밍 서버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1차 콘텐츠 서버(1), 부차 콘텐츠 서버(2), 커뮤니케이션 서버(3), 샘플 콘텐츠 서버(8), 및 유저 단말 장치(4)의 구성은 일례이며, 실제로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의 서버 중 적어도 1개가, 복수의 서버로 분산되는 형태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반대로, 이들 서버 중 적어도 2개가 통합되도록 하여 구성되어도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 발명의 구성 요건은, 본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서는, 부차 콘텐츠 서버(2)에 포함시킬 수 있지만, 이들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구성부를, 그에 적합한 서버에 분산시킨 후에, 이들 서버가 협동함으로써, 본원 발명으로서의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구성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으로서의 GUI 화면 등의 구체예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GUI 구성은 다양하게 생각되는 것이다.
또한,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100)의 기능 구성으로서도, 도 11, 도 12 등에 의해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생각된다.
또한, 도 13, 도 14∼도 17 등에 도시한 부차 콘텐츠 파일의 구조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또한, 개념적인 것이므로, 이것을 기초로 하여 적절히 변경, 확장되어도 된다.
또한, 1차 콘텐츠 서버(1), 콘텐츠 서버(2), 커뮤니케이션 서버(3), 샘플 콘텐츠 서버(8), 유저 단말 장치(4) 등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내부의 HDD, 기억부 등의 기억 영역에 대하여 기입하여 기억시키는 것 외에, 리무버블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켜 둔 후에, 이 기억 매체로부터 인스톨(업데이트도 포함함)시키도록 하여 상기의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소정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경유에 의해, 다른 호스트로 되는 기기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프로그램의 인스톨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기억 장치에 기억시켜 둔 후에, 각 서버 및 유저 단말 장치(4)가 갖는 네트워크 기능에 의해,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생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대응하는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의 콘텐츠 작성·공유 시스템의 기본적인 이용 양태와, 이에 대응한 시스템 동작의 수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 형태에서의 부차 콘텐츠의 작성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 형태에서의 부차 콘텐츠의 재생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부차 콘텐츠를 작성할 때의, 편집 소재 콘텐츠의 이용 양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1차 콘텐츠 서버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부차 콘텐츠 서버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커뮤니케이션 서버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샘플 콘텐츠 서버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유저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유저 단말 장치의 HDD 내에 기억될 데이터 내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관리·작성 툴로서의 프로그램 구성예를 기능 블록에 의해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부차 콘텐츠 파일 및 1차 콘텐츠 파일의 구조예를 모식적으로 도시 하는 도면.
도 14는 콘텐츠 파일의 헤더 정보를 형성하는 정보 항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헤더 정보를 형성하는 정보 항목의 하나인 본 콘텐츠 관련 기본 정보를 형성하는 정보 항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부차 콘텐츠 재생 제어 파일에서의, 이용 원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 이용 편집 소재 콘텐츠 정보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부차 콘텐츠 파일에서의, 재생 제어 정보의 내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실시 형태의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의 일 양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샘플 콘텐츠 서버에서의 샘플 콘텐츠의 관리 양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을 위해서 유저 단말 장치와 샘플 콘텐츠 서버가 실행하는 처리 수순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샘플 이용 부차 콘텐츠 재생을 위해서 유저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도 19의 경우에 대응시켜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차 콘텐츠 서버
2 : 부차 콘텐츠 서버
3 : 커뮤니케이션 서버
4(4A, 4B) : 유저 단말 장치
5 : 네트워크
6 : 이펙트 데이터베이스
7 : 소재 데이터베이스
8 : 샘플 콘텐츠 서버
11·21·31·51 : 제어부
12·22·32·52 : 기억부
13·23·33 : 인증 처리부
14·24·53 : 검색 처리부
15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6 : 결제 처리부
17·28 : 암호화 처리부
18·29·36·44·5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6 :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27 : 보존 장소 설정 처리부
34 : 블로그 가동 처리부
35 : SNS 가동 처리부
12a : 1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22a : 부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32a : 블로그 데이터베이스
32b : SNS 데이터베이스
41 : CPU
42 : ROM
43 : RAM
45 : 입출력 인터페이스
46 : 입력 디바이스
47 : 미디어 드라이브
48 : HDD
49 : 디스플레이 모니터
54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00 : 콘텐츠 작성·공유 어플리케이션
101 : 콘텐츠 관리·작성 툴
102 : 커뮤니케이션 툴
103 : 1차 콘텐츠 파일군
104 : 부차 콘텐츠 파일군
111 : 통신 제어부
112 : 1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
113 : 1차 콘텐츠 관리 처리부
114 : 부차 콘텐츠 취득 처리부
115 : 부차 콘텐츠 관리 처리부
116 : 콘텐츠 전송 처리부
117 : 콘텐츠 작성 처리부
118 : 부차 콘텐츠 파일 생성, 해석 처리부
119 : 암호화·해독 처리부
120 : 플레이어부

Claims (4)

  1.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는 편집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것으로,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편집 소재로 되는 1차 콘텐츠인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내용에 의해 형성되는 재생 제어 정보를 갖는 부차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1차 콘텐츠인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부족 1차 콘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부족 1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샘플 콘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부차 콘텐츠를 상기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서 재생할 때에, 상기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는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보유 1차 콘텐츠로서 현재 존재하는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부족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처리 수단
    을 구비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2. 콘텐츠 재생 장치와 서버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 하는 편집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것으로,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편집 소재로 되는 1차 콘텐츠인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내용에 의해 형성되는 재생 제어 정보를 갖는 부차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1차 콘텐츠인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부족 1차 콘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부족 1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를, 통신망 경유로의 통신에 의해,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샘플 콘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부차 콘텐츠를 상기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서 재생할 때에, 상기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는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보유 1차 콘텐츠인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부족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샘플 콘텐츠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샘플 콘텐츠 중으로부터, 상기 샘플 콘텐츠 취득 수단이 취득할 상기 샘플 콘텐츠를, 통신망 경유로의 통신에 의해,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콘텐츠 재생 시스템.
  3.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는 편집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것으로,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편집 소재로 되는 1차 콘텐츠인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내용에 의해 형성되는 재생 제어 정보를 갖는 부차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1차 콘텐츠인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부족 1차 콘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수순과,
    상기 부족 1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샘플 콘텐츠 취득 수순과,
    상기 부차 콘텐츠를 상기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서 재생할 때에, 상기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는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보유 1차 콘텐츠인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부족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처리 수순
    을 실행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4. 콘텐츠 중 적어도 1개를 편집 소재로서 2차 이용하는 편집 처리에 의해 작성되는 것으로, 콘텐츠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정보로서, 원편집 소재로 되는 1차 콘텐츠인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내용에 의해 형성되는 재생 제어 정보를 갖는 부차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1차 콘텐츠인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부족 1차 콘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수순과,
    상기 부족 1차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샘플 콘텐츠 취득 수순과,
    상기 부차 콘텐츠를 상기 재생 제어 정보에 따라서 재생할 때에, 상기 원편집 소재 콘텐츠 중에서 상기 보유 1차 콘텐츠에 포함되는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보유 1차 콘텐츠인 보유 원편집 소재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부족 1차 콘텐츠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샘플 콘텐츠의 실질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처리 수순
    을 콘텐츠 재생 장치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090048525A 2008-06-03 2009-06-02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재생 방법,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 시스템 KR200901262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6011A JP2009294777A (ja) 2008-06-03 2008-06-03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JP-P-2008-146011 2008-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200A true KR20090126200A (ko) 2009-12-08

Family

ID=4082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525A KR20090126200A (ko) 2008-06-03 2009-06-02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재생 방법,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49427B2 (ko)
EP (1) EP2131364B1 (ko)
JP (1) JP2009294777A (ko)
KR (1) KR20090126200A (ko)
CN (1) CN1016350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4881B2 (ja) * 2002-09-24 2007-01-1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音楽システムおよび電子音楽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JP2007280485A (ja) 2006-04-05 2007-10-25 Sony Corp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367662B2 (ja) * 2007-03-23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933932B2 (ja) 2007-03-23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349441B2 (ja) * 2007-06-12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04130B2 (ja) 2007-10-22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424410B2 (ja) 2007-11-07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4596043B2 (ja) * 2008-06-03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600521B2 (ja) * 2008-06-03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596044B2 (ja) * 2008-06-03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CN101867779A (zh) * 2010-04-19 2010-10-20 明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音像选取播放方法与系统
JP5668512B2 (ja) * 2011-02-15 2015-0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20233236A1 (en) * 2011-03-07 2012-09-13 Min-Shu Chen Cloud-based system for serving service request of embedded device by cloud computing and related cloud-based processing method thereof
EP2845391A1 (en) * 2012-05-01 2015-03-11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ownload
CN109194644A (zh) * 2018-08-29 2019-01-1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网络作品的分享方法、装置、服务器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045A (en) * 1879-10-28 Improvement in fire-escapes
US204602A (en) * 1878-06-04 Improvement in horse-powers
US259745A (en) * 1882-06-20 Eichaed p
JPH11250145A (ja) * 1997-12-31 1999-09-17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テンツ情報流通システム
JP2000113066A (ja) 1998-10-09 2000-04-21 Fujitsu Ltd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の流通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517480B2 (ja) * 2000-01-31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端末装置、情報サーバ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1338159A (ja) * 2000-05-30 2001-12-07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テンツ情報流通システム
JP2003085950A (ja) 2001-09-12 2003-03-20 Kenwood Corp 曲の再生方法及び再生システム
JP4120194B2 (ja) * 2001-09-28 2008-07-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編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3111057A (ja) * 2001-09-28 2003-04-11 Taketoshi Akiyama 情報配信方法
KR20040101524A (ko) * 2002-04-18 2004-12-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의 컨텐트 시험
US20030204602A1 (en) * 2002-04-26 2003-10-30 Hudson Michael D. Mediated multi-source peer content delivery network architecture
US6928476B2 (en) * 2002-08-23 2005-08-09 Mirra, Inc. Peer to peer remote data storage and collaboration
JP3917141B2 (ja) * 2003-09-02 2007-05-23 株式会社クルーズ・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映像情報供給装置、映像情報受信装置及び映像情報編集装置
JP2005318099A (ja) * 2004-04-27 2005-11-10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情報編集システム及び映像情報編集装置
EP1775726A4 (en) * 2004-07-22 2009-05-27 Panasonic Corp PLAYING DEVICE, PLAY PROCESS,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6107693A (ja) 2004-09-10 2006-04-20 Sony Corp 記録媒体、記録装置、記録方法、データ出力装置、データ出力方法およびデータ配布・流通システム
US7716660B2 (en) * 2004-12-14 2010-05-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updates
US7633887B2 (en) * 2005-01-21 2009-12-15 Panwar Shivendra S On demand peer-to-peer video streaming with multiple description coding
JP4742682B2 (ja) * 2005-06-01 2011-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コンテンツ保護装置及びコンテンツ保護解除装置
JP4356700B2 (ja) 2006-02-21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US20070297755A1 (en) * 2006-05-31 2007-12-27 Russell Holt Personalized cutlist creation and sharing system
US7716572B2 (en) * 2006-07-14 2010-05-11 Muvee Technologies Pte Ltd. Creating a new music video by intercutting user-supplied visual data with a pre-existing music video
US20080133767A1 (en) * 2006-11-22 2008-06-05 Metis Enterprise Technologies Llc Real-time multicast peer-to-peer video streaming platform
JP4367662B2 (ja) * 2007-03-23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933932B2 (ja) * 2007-03-23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349441B2 (ja) * 2007-06-12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078729B2 (en) * 2007-08-21 2011-12-13 Ntt Docomo, Inc. Media streaming with online caching and peer-to-peer forwarding
JP4404130B2 (ja) * 2007-10-22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424410B2 (ja) * 2007-11-07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4600521B2 (ja) * 2008-06-03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596044B2 (ja) * 2008-06-03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4596043B2 (ja) * 2008-06-03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49427B2 (en) 2012-08-21
CN101635000B (zh) 2012-06-27
JP2009294777A (ja) 2009-12-17
CN101635000A (zh) 2010-01-27
EP2131364A1 (en) 2009-12-09
US20090297128A1 (en) 2009-12-03
EP2131364B1 (en)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6200A (ko)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재생 방법,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 시스템
US89964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438197B2 (en) System,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9319487B2 (en) Server device, cli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93393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83869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9244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903000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92947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11533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20092451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9163765A (ja) 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