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185A -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185A
KR20090126185A KR1020090046262A KR20090046262A KR20090126185A KR 20090126185 A KR20090126185 A KR 20090126185A KR 1020090046262 A KR1020090046262 A KR 1020090046262A KR 20090046262 A KR20090046262 A KR 20090046262A KR 20090126185 A KR20090126185 A KR 2009012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xposure
unit
dynamic range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스케 나카지마
히로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T5/9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 H04N25/58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 H04N25/58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acquired sequentially, e.g. using the combination of odd and even image fields
    • H04N25/589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acquired sequentially, e.g. using the combination of odd and even image fields with different integration times, e.g. short and long exp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by the use of histogram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by the use of more than one image, e.g. averaging,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41Special mode during image acquisition
    • G06T2207/10144Varying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208High dynamic range [HDR] ima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촬상장치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을,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의 비를 기초로 합성해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부에서 생성되는 합성 화상에 대해서, 합성에 사용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합성에 사용되는 단시간 화상과, 상기 단시간 화상의 노광 시간으로부터,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하는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와,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압축 커브를 산출하고, 산출한 압축 커브에 따라, 상기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을 압축한 압축 화상을 생성하는 압축부를 구비한다.
촬상, 노광 시간, 합성, 다이내믹 레인지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본 발명은 2종류의 노광 시간의 화상을 합성하는 것으로 광 다이내믹 레인지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기능을 갖는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고체촬상 소자를 채용한 촬상장치에서는, 촬상 소자에 입력되는 광량(노광량)을, 조리개나 전자 셔터 스피드에 의해 조절하고 있다. 즉, 밝은 씬을 촬상할 때에는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가 포화해서 노광 과다(overexposure)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광량을 적게 하고, 반대로 어두운 씬에서는 노광 부족(underexposure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광량을 많게 하여, 노광량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명암의 차이가 큰 씬(5)을 촬상(역광촬상, 옥내외 동시 촬상)할 경우, 사용하는 고체촬상 소자의 다이내믹 레인지 부족에 의해, 노광량의 조절만으로는, 밝은 부분이 포화해서 노광 과다가 발생해버리거나, 어두운 부분에서 노광 부족이 발생해버려, 두 부분을 적정하게 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촬상부에서 얻어진 단시간 노광 화상과 장시간 노광 화상을 기초로, 단시간 노광 화상에 게인이나 오프셋의 처리를 실시한 후, 장시간 노광 화상과 합성하고, 그 합성 화상에 레벨 압축을 행하는 것으로, 광 다이내믹 레인지의 합성 화상을 얻도록 한 촬상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단시간 노광 화상과 장시간 노광 화상을 합성하고, 그 합성 화상을 압축해서 광 다이내믹 레인지 화상을 생성할 경우에, 단시간 노광 화상을 수필드분 다중가산하고, 이 다중가산 화상을 중시간 노광 화상으로서 장시간 노광 화상과 합성하고, 광 다이내믹 레인지 화상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중간입력 레벨에서의 S/N비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한 촬상장치나,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과에 할당된 각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계조, 노광 등에 최적의 조건으로 화상을 재현할 수 있게 한 촬상장치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4-56573호 공보, 일본 특개 2004-120205호 공보 참조).
또, 동화상 프레임마다 휘도변동에 대응한 계조 변환을 실현하기 위해서, 화상의 휘도분포의 폭을 나타내는 휘도영역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휘도영역정보를 시계열로 평활화한 평활화 휘도영역정보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휘도영역에 맞춰서 화상의 휘도를 정규화하도록 한 화상처리 장치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5-204195호 공보 참조).
상기 제안된 히스토그램을 이용해서 고휘도 다이내믹 레인지와 저중휘도 다이내믹 레인지의 비율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촬상장치에서는, 단시간 노광 화상과 장시간 노광 화상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지의 임계값을 기준으로 고휘도부와 저휘도부의 2영역으로 분류한다. 압축률은 꺾은선 그래프와 같은 압축률로 압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경계선이 자연스럽지 못하다. 또한,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비가 상당히 크고 연속적으로 계조가 변화될 경우에, 상기와 같은 2영역의 분류의 방법으로는 중간적인 영역의 계조를 충분히 재현하는 것이 어렵다.
휘도분포를 사용하여, 분포가 많은 휘도영역에 출력 레인지를 많이 할당하는 스무드한 압축 커브에서 다이내믹 레인지 압축을 행하는 방법은, 뛰어난 방법이지만 장치의 규모나 연산량이 많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저렴한 기종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제어로 피사체가 갖는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계조 압축 처리를 실시한 화상을 생성할 수 있는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밝혀진다.
본 발명에서는, 2종류의 노광 시간의 화상을 합성하는 것으로 광 다이내믹 레인지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 2종류의 화상의 노광 시간으로부터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추정하고, 그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계조 압축을 행한다. 압축 커브의 생성은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자동노광 제어(AE)와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작은 곳에서 큰 곳까지 베이스 압축 커브를 보간 해서 작성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AE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검출하여, 그 다이내믹 레인지에 맞춰서 압축을 행하는 등의 상당히 간단한 제어로 피사체가 갖는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계조 압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장시간 노광 화상과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단시간 노광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을,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의 비를 기초로 합성해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부에서 생성되는 합성 화상에 대해서, 합성에 사용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합성에 사용되는 단시간 화상과, 상기 단시간 화상의 노광 시간으로부터,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하는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와, 몇 종류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대응한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보유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압축 커브를 산출하고, 산출한 압축 커브에 따라, 상기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을 압축한 압축 화상을 생성하 는 압축부를 적어도 갖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으로부터, 피사체가 갖는 다이내믹 레인지에 따라 계조 압축한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는, 예를 들면, 미리 장시간 노광 화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댓값을 결정해 두고,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의 비율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는, 예를 들면,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중의 최대 휘도값으로부터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포화 레벨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와 승산함으로써,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는, 예를 들면, 취득한 장시간 화상으로부터 작성한 히스토그램과 그것에 대응하는 휘도 적산값을 이용하여, 휘도값이 큰 순서부터 계산해서 지정한 개수 번째의 화소가 포함되는 상기 히스토그램 중의 화소수와 휘도 적산값을 검출하고, 그 영역에서의 휘도 적산값을 화소수로 제산함으로써 산출한 평균 휘도값을 상기 최대 휘도값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예를 들면, 상 기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가장 가까운 2종류의 상기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선택해서 판독하고, 그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간을 상기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를 기초로 보간 해서 알맞은 압축 커브를 생성하는 압축 커브 생성 수단을 갖고, 상기 압축 커브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압축 커브에 따라, 상기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을 압축한 압축 화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의 고주파성분을 검출하는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과, 상기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에 상기 합성 화상의 휘도 레벨, 혹은, 상기 압축부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의 휘도 레벨에 따른 게인을 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의 이득제어를 행하는 이득제어 수단과, 상기 이득제어 수단에 의해 이득제어된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을 상기 압축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에 부가하는 고주파성분 부가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윤곽 보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합성부에 있어서 합성에 이용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의 고주파성분을 검출하는 장시간 노광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과, 상기 합성부에 있어서 합성에 이용되는 단시간 노광 화상의 고주파성분을 검출하는 단시간 노광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과, 상기 장시간 노광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장시간 노광 고주파성분, 혹은, 상기 장시간 노광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시간 노광 성분을, 상기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장시간 노광 화상, 혹은, 단시간 노광 화상으로부터 채용된 화소에 대응하도록, 압축 화상에 대하여 부가하는 고주파성분 부가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윤곽 보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곽 보정부는, 예를 들면, 상기 고주파성분 부가 수단에 의해 상기 압축 화상에 부가되는 고주파성분에, 상기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의 휘도 레벨, 혹은, 상기 압축부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의 휘도 레벨에 따른 게인을 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주파성분의 이득제어를 행하는 이득제어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수단에 의해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장시간 노광 화상과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단시간 노광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을,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의 비를 기초로 합성해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합성 화상 생성 스텝과, 상기 합성 화상의 합성에 사용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합성에 사용되는 단시간 화상과, 상기 단시간 화상의 노광 시간으로부터,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하는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 스텝과, 산출된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압축 커브를 기억 수단에 보유되어 있는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사용해서 산출하고, 산출한 압축 커브에 따라,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스텝에서 생성된 합성 화상을 압축한 압축 화상을 생성하는 압축 스텝을 적어도 갖고, 상기 촬상 스텝에 의해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으로부터, 피사체가 갖는 다이내믹 레인지에 따라 계조 압축한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압축 커브의 생성은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자동노광 제어(AE)로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작은 곳에서 큰 곳 사이에서 베이스 압축 커브를 보간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AE 동작으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검출하고, 그 다이내믹 레인지에 맞춰서 압축을 행하는 상당히 간단한 제어로 피사체가 갖는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계조 압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이내믹 레인지의 상한은 기억부에 기억시켜 둔 커브 상한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어떤 다이내믹 레인지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기억부에 기억시켜 두는 커브를, AE의 특성을 고려해서 JEITA의 규정에 따르도록 작성해 두면, 스펙의 정보를 측정할 때에 항상 최선의 계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을 노광 시간에 따라서 될 수 있는 한 곧장 합성한 화상에 대하여, 합성 화상 전체로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어떻게 압축할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베이스 압축 커브를 스무드한 모양으로 작성하면 완성되는 화상은 항상 스무드한 압축을 행한 화상이 되어서 출력된다.
합성하지 않는 1매의 화상인 경우에도, 같은 제어 방법으로 다이내믹 레인지 압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최대 휘도값 검출을 히스토그램을 사용한 방법으로 행 하는 것으로 노이즈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고, 더욱이 점광원과 같은 계조를 표현할 필요한 없는 것을 제외한 계조 압축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의 촬상장치(100)에 적용된다.
촬상장치(100)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10)와, 상기 촬상부(10)에 의해 얻어진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0)와, 이들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
촬상부(10)는, 촬상 렌즈나 불필요한 파장을 제거하는 광학 필터, 조리개 등의 광학부품을 구비하는 촬상 광학계(11), 피사체로부터 입사된 빛이 상기 촬상 광학계(11)를 통해서 촬상면에 조사되는 촬상 소자(12), 상기 촬상 소자(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신호 생성부(13) 등으로 이루어진다.
촬상 소자(12)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촬상 소자이며, 구동 신호 생성부(13)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촬상장치(10)에 있어서의 촬상 소자(12)는,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이, 1수직동기 기간에, 장시간 노광과 단시간 노광을 행하고, 장시간 노광 화상신호 SL과 단시간 노광 화상신호 SS로서의 전기신호를 시분할 출력한다. 촬상 소자(12)는, 예를 들면, 통상의 2배의 단수의 수직전송단수가 구비된 인터라인 스렌스퍼형 CCD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1수직동기 기간마다 수직 블랭킹 기간 내에, 광전변환부는 수직전송단에 촬상 전하의 판독을 2회 행하고, 그 2회의 판독시에 수직전송단에 판독 촬상 전하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수직유효기간의 시작 직전에 수직전송단에는 장시간 노광의 신호 전하와 단시간 노광의 신호 전하가 정렬된다. 수평전송단을 2배의 속도로 구동해서 촬상 전하를 판독함으로써, 1수평동기 기간에 1열분의 장시간 노광 신호와 단시간 노광 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1열째의 장시간 노광 신호와 단시간 노광 신호, 2열째의 장시간 노광 신호와 단시간 노광 신호, 3열째의 장시간 노광 신호와 단시간 노광 신호, ···로 순차 출력하는 것이다.
도 2는, 촬상 소자부(12)에서의, 1수직동기 기간 내의 노광 시간과 축적되는 노광량 (전하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는, 1/60초의 1수직동기 기간에 있어서, 1/64초의 장시간 노광과, 1/2000초의 단시간 노광을 행할 경우를 나타낸다. 장시간 노광 시간과 단시간 노광 시간은 가변제어 가능하다.
장시간 노광과 단시간 노광을 행함으로써, 1수직동기 기간에, 장시간 노광 화상신호 SL과 단시간 노광 화상신호 SS를 얻는다. 그리고 두 화상신호를 합성함으로써 1필드의 촬상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장시간 노광과 단시간 노광은, 반드시 1수직동기 기간에 행하지 않아도 된다. 어느 수직동기 기간에 장시간 노광을 행하고, 다음 수직동기 기간에 단시간 노광을 행하여, 각 노광 화상신호를 합성하는 처리도 가능하다.
촬상 소자부(12)는, 고체촬상 소자를 채용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촬상관과 같은 비고체촬상 소자를 채용하는 구성도 좋다. 비고체촬상 소자로도, 매커니컬 셔터, 액정 셔터 등을 이용하여, 장시간 노광, 단시간 노광을 행하거나, 보통 노광, 장시간 노광, 단시간 노광의 노광 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신호 처리부(20)는, 전처리부(21), 검파부(22), 합성부(23), 윤곽 보정부(24), 압축부(25), 기억부(26), 후처리부(27)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촬상부(10)에 의해 얻어진 화상신호가 상기 전처리부(21)에 공급된다.
상기 전처리부(21)는, 소위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이다. 이는 상기 촬상부(10)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화상으로서의 전기신호에 대하여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상관 이중 샘플링)처리, 프로그래머블 게인 증폭기에 의한 게인 처리, A/D변환 처리, 클램프 처리, 흑 레벨의 보정이나 결함보정 등 어느 각종 처리를 행한다. 전처리부(21)는 상기 촬상부(10)에 의해 얻어진 화상신호에 전처리를 실시해서 얻어지는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과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를 출력한다.
상기 전처리부(21)에 의해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과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는, 검파부(22), 합성부(23) 및 윤곽 보정부(24)에 공급된다.
상기 검파부(22)는, 상기 전처리부(21)로부터 공급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와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각각의 자동노출 보정(AE)용 휘도 레 벨 산출과 히스토그램의 생성 등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검파부(22)는 산출한 휘도 레벨과 히스토그램의 데이터를 제어부(30)에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30)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다. 상기 검파부(22)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촬상부(10)의 구동 신호 생성부(13)에 설정하는 전자 셔터값이나 촬상 광학계(11)의 조리개 제어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그 산출 결과에 근거해서 상기 촬상부(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장시간 노광용과 단시간 노광용의 전자셔터값을 기초로 합성부(23)로 장시간 화상과 단시간 화상을 합성하기 위한 합성 게인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그 산출 결과에 근거해서 상기 합성부(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상기 제어부(30)에는, 장시간 노광과 단시간 노광의 전자셔터비, 히스토그램을 기초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을 산출하는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0)에 탑재된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는, 상기 합성부(23)에서 생성되는 합성 화상에 대해서, 합성에 이용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과,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 TL과, 합성에 이용되는 단시간 화상 데이터 SS와, 상기 단시간 화상의 노광 시간 TS로부터,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산출하는 것으로, 산출한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압축부(25)에 공급한다.
상기 전처리부(21)로부터 공급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과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가 공급되는 상기 합성부(23)는,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 데 이터 SL과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에 의해 나타나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 다시 말해, 상기 촬상부(10)에 의해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을,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 TL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 TS의 비를 기초로 합성해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주어지는 합성 게인에 따라 단시간 노광 화상을 신장하여, 장시간 노광 화상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합성한 선형화상을 작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기 합성부(23)에 의해 얻어지는 합성 화상 데이터 SMX는, 윤곽 보정부(24)과 압축부(25)에 공급된다.
상기 압축부(25)는, 이산적인 다이내믹 레인지에 대응하는 압축 커브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26)로부터 다이내믹 레인지 값에 가장 가까운 2종류의 커브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30)에 탑재된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에 의해 주어지는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기초로 보간 해서 압축 커브를 작성하고, 작성한 압축 커브에 따라, 상기 합성부(23)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을 압축한 압축 화상을 생성한다.
후처리부(27)는, 상기 압축부(25)에서 얻어지는 압축 화상 데이터 SCMX에 YC처리 등의 후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압축 화상 데이터에 의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촬상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20)에 구비된 윤곽 보정부(24)는, 상기 압축부(25)에 의한 압축 처리가 실시되기 전의 화상의 고주파성분, 예를 들면, 상기 합성부(23)로부터 공급되는 합성 화상 데이터 SMX의 고주파성분을 검출하거나, 혹은, 상기 합성부(23)로부터 공급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 및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H의 고주파성분을 검출하고, 검출한 고주파성분을 윤곽 보정용의 고주파성분 Shm으로서 후처리부(27)에 공급하고, 상기 후처리부(27)에서, 상기 압축부(25)에 의해 생성된 압축화상 데이터 SCMX에 대하여 부가하는 것에 의해 윤곽 보정 처리를 행한다.
즉, 단시간 노광 화상과 장시간 노광 화상을 합성하고, 그 합성 화상을 압축해서 광 다이내믹 레인지 화상을 생성할 때에, 압축부(25)에 의한 압축 처리가 시행되기 전의 화상의 고주파성분을 검출하고, 상기 압축부(25)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 데이터 SCMX에 대하여 부가하는 것에 의해, 압축 후에는 검출하는 것이 곤란한 윤곽 강조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윤곽 보정부(24)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촬상장치(100)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상기 제어부(30)에 탑재되어 있는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는, 예를 들면, 도 3의 플로우 챠트에 나타내는 순서에 따라,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으로부터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30)는, 미리 장시간 노광 화상만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이내믹 레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CCTV기기 스펙 규정 방법(JEITA TTR-4602B)에 규정되어 있는 다이내믹 레인지 확대비의 다이내믹 레인지 6 배를 장시간 노광 화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스텝 S1).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장시간 노광의 AE목표값과 제어 방법을 결정하고, 장시간 노광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AE는, 다이내믹 레인지 1배의 피사체를 촬영한 데이터가 AD 변환 후에 최대 레인지의 1/6 정도의 입력이 되도록, 소위 역광보정과 동등한 처리를 행하여, 촬상부(10)의 전자셔터를 제어한다(스텝 S2).
상기 제어부(30)는, 단시간 노광의 AE목표값과 제어 방법을 결정하고, 단시간 노광 화상은,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 포화하는 부분이 없도록, 소위 과순광보정과 동등한 처리를 행하여, 촬상부(10)의 전자셔터를 제어한다(스텝 S3).
다음에, 제어부(10)는, 프레임마다 검파부(25)로부터 AE용의 검파값을 취득한다(스텝 S4). 그리고 상기 스텝 S2, 스텝 S3에서 결정한 제어 방식에 따라, 다음 전자셔터 설정값을 장시간 및 단시간에 대해 각각 산출하여, 촬상부(10)의 구동 신호 생성부(13)에 설정한다(스텝 S5, 스텝 S6).
그리고 제어부(10)의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는,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 TL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 TS의 비, 다시 말해, 노광비=TL/TS로 노광비를 산출한다(스텝 S7).
그리고 산출한 노광비가 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
다음에,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는, 상기 스텝 S8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YES, 즉, 노광비가 1보다 클 때는, 그 노광비에 대하여 상기 스텝 S1에서 결정한 다이내믹 레인지 6배를 이용해서 노광비×6=다이내믹 레인지로 해서, 단시간 노광 화상과 장시간 노광 화상을 합성할 때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결정 하고(스텝 S9), 결정한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압축부(25)에 통지한다(스텝 S10). 그리고 상기 스텝 S4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반대로, 상기 스텝 S8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NO, 다시 말해, 상기 스텝 S7로 산출한 노광비가 1보다 작을 때는, 장시간 노광 화상만으로 표현할 수 있는 피사체라고 결정하고, 도 4의 플로우 챠트에 나타내는 순서에 따라,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의 산출 처리를 행하고(스텝 S20), 결정한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압축부(25)에 통지한다(스텝 S10). 그리고 상기 스텝 S4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즉, 제어부(10)는, 상기 스텝 S4로부터 스텝 S10의 처리를 반복해서 행하고, 상기 스텝 S4에서 프레임마다 검파부(25)로부터 AE용의 검파값을 취득하고, 상기 스텝 S10에서 결정한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압축부(25)에 통지한다.
그리고 압축부(25)는,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로부터 통지되는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에 따라 계조 압축을 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텝 S20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의 산출 처리는, 제어부(10)가, 기본적으로는 도 3과 동등한 동작을 행하고, 상기 스텝 S8에 있어서의 판정 처리에 의해, 노광비가 1 이하여서 장시간 노광 화상만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상기 제어부(10)의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는 장시간 노광 화상의 최대 휘도값 YLMAX를 산출(스텝 S21)하고, 산출한 장시간 노광 화상의 최대 휘도값 YLMAX를 기초로,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만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결정한 다이내믹 레인지로부터 다이내믹 레인지 1배 시의 최대 휘도값 YMAX1을 산출하고 YLMAX/YMAX1=DDML로 해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결정한다(스텝 S22).
여기에서,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최대 휘도값의 검출은, 단순히 장시간 노광 화상의 가장 휘도가 큰 점을 검출해서 그것을 이용해도 좋다. 그러나 단지 1점을 검출해서 이용하면 노이즈의 영향이나 화소 결함 등의 특이점을 검출해버려, 불안정한 동작이 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것 같이, 히스토그램을 이용해서 장시간 노광 화상의 최대 휘도값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즉, 검파부(22)에서는, 같은 검출 영역에서 같은 분할 임계값으로 검출되는 화소에 대해서 화소수 적산과 휘도 적산을 행하고, 도 5c에 나타내는 것 같이 각 분할 임계값에 대응하는 화소수 적산값과 휘도 적산값을 검출하여, 도 5a에 나타내는 휘도 적산값의 히스토그램 HG1, 도 5b에 나타내는 화소수 적산값의 히스토그램 HG2를 작성한다.
다이내믹 레인지가 비교적 좁은 피사체 내에 전구 등의 점광원이 있는 경우 등에는, 그 점광원의 계조는 재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화소수가 몇 이하인 고휘도 피사체, 예를 들면, 유효화소에 대하여 0.4% 이하의 영역인 고휘도 피사체는 계조를 재현할 필요가 없도록 검출 임계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의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는, 상기 히스토그램 HG2를 이용하고, 고휘도측으로부터 카운트해서 그 검출 임계값에 상당하는 화소가 포함되는 화소 적산부 PS와 휘도 적산부 YI를 검출한다.
상기 휘도 적산부 YI의 값으로서 검출되는 휘도 적산값과 상기 화소 적산부 PS의 값으로서 검출되는 화소수를 사용하고, 휘도 적산값/화소수=평균 휘도로 산출되는 평균 휘도를 최대 휘도값으로서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 방법을 채용하는 것으로, 특이점을 최대 휘도로서 검출하는 것이 없어지고, 점광원과 같이 작은 고휘도부를 무시한 계조 재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히스토그램의 개수를 늘리면 늘릴수록, 검출되는 휘도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압축부(25)에서는, 도 6의 플로우 챠트에 나타내는 순서에 따라,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기초로 기억부(26)로부터 베이스 압축 커브를 판독해서 최적의 압축 커브를 작성한다.
즉, 압축부(25)는, 제어부(30)에 탑재된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에서 산출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취득하고(스텝 S31), 취득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기초로, 기억부(26)로부터,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보다 크고, 가장 가까운 다이내믹 레인지의 제1의 베이스 압축 커브(베이스A)와,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보다 작고, 가장 가까운 다이내믹 레인지의 제2의 베이스 압축 커브(베이스B)를 취득한다(스텝 S32, 스텝 S33).
여기에서, 기억부(26)에는, 예를 들면 다이내믹 레인지 1배, 4배, 16배, 64배와 같이 이산적인 배율에 대응하는 압축 커브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압축 커브의 형상에 대해서는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이상적으로 AE를 행할 수 있었을 때에 CCTV기기 스펙 규정 방법(JEITA TTR-4602B)에 규정되어 있는 다이 내믹 레인지 확대비대로 계조를 재현할 수 있는 압축 커브를 작성해도 좋다. 베이스 압축 커브의 선택 방법으로서는,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에 대하여 큰 다이내믹 레인지, 작은 다이내믹 레인지로부터 각각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것 같이, 상기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에 대응하는 베이스 압축 커브가 존재하고,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이 9배이었을 때, 4배와 16배의 베이스 압축 커브 F1과 4배와 베이스 압축 커브 F2를 선택한다.
그리고 압축부(25)는, 선택한 베이스 압축 커브 F1, F2를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에 대응하는 9배용으로 보간 한 압축 커브 Fx를 작성하고(스텝 S34), 그 압축 커브에 따라 합성 화상의 압축을 행한다(스텝 S35).
보간 해서 압축 커브를 작성할 때는, 예를 들면 기억부(26)에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가 스플라인 커브의 KNOT점이면 KNOT점끼리를 보간 하면 된다. 보간 방법은 구하는 커브의 정밀도에 따라 선형 보간이나 보다 고도인 스플라인 보간 등을 이용해도 좋다. 다이내믹 레인지에 따라 동적으로 압축 커브는 변화되지만,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압축 커브간을 보간 하기 때문에 동적으로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되게 된다. 그 때문에, 베이스 압축 커브를 꾸불꾸불하지 않도록 작성하면, 도 7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베이스 압축 커브 FY와 같이, 스플라인 보간에서 KNOT점을 이상하게 움직이면 꾸불꾸불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억부(26)에 기억시키는 베이스 압축 커브는, 상기 보간 방법과 구하는 정밀도로 개수나 다이내믹 레인지의 간격이 결정되어 있다. 개수를 많게 해 다 이내믹 레인지의 간격을 작게 하는 만큼 보간 해서 작성되는 압축 커브의 정밀도는 향상된다.
여기에서, 촬상장치(100)의 신호 처리부(20)에 있어서의 합성 화상의 작성으로부터 압축 화상의 작성까지의 신호 레벨의 변화를 도 8a, 8b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즉, 촬상장치(100)의 신호 처리부(20)에서는, 합성부(23)에 있어서, 도 8a에 나타내는 것 같이, 기본적으로는 노광비에 따라서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를 신장하고,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과 선형으로 연결되도록 합성한다. 그리고, 압축부(26)에 있어서, 그 합성 화상 데이터 SMX를 도 8a에 나타내는 것 같이, 스무드한 압축 커브 FZ에서 압축 화상의 출력 레벨이 100%이 되도록 압축한다.
즉, 촬상장치(100)는, 단위기간에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장시간 노광 화상과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단시간 노광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10)와, 상기 촬상부(10)에 의해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을,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 TL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 TS의 비를 기초로 합성해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합성부(23)와, 상기 합성부(23)에 있어서 생성되는 합성 화상에 대해서, 합성에 이용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 TL과, 합성에 이용되는 단시간 화상과, 상기 단시간 화상 노광 시간 TS로부터,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하는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와, 몇 종류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대응한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보유하는 기억부(26)와, 상기 기억부(26)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 압축 커브 데 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에 의해 산출된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압축 커브를 산출하고, 산출한 압축 커브에 따라, 상기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을 압축한 압축 화상을 생성하는 압축부(25)를 구비한다.
촬상장치(100)에서는, 도 9의 플로우 챠트에 나타내는 것 같이, 상기 촬상부(10)에 의해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장시간 노광 화상과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단시간 노광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처리(스텝 S41)와, 상기 합성부(23)에 의해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을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 TL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 TS의 비를 기초로 합성해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합성 처리(스텝 S42)와,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31)에 의해 상기 합성 화상의 합성에 사용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합성에 이용되는 단시간 화상과, 상기 단시간 화상의 노광시 사이에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을 산출하는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 처리(스텝 S43)와, 상기 압축부(25)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 값 DDML에 적합한 압축 커브를 기억부(26)에 보유되어 있는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사용해서 산출하고, 산출한 압축 커브에 따라, 상기 합성 화상을 압축한 압축 화상을 생성하는 압축 처리(스텝 S44)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제어로 피사체가 갖는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계조 압축 처리를 실시한 화상을 생성한다.
촬상장치(100)의 신호 처리부(20)에 구비된 윤곽 보정부(24)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윤곽 보정부(24A)와 같이 구성된다.
윤곽 보정부(24A)는, 상기 합성부(23)에 의해 얻어진 합성 화상 데이터 SM X가 공급되는 고주파성분 검출부(241), 휘도변조 데이터를 보유한 휘도변조 테이블(242), 이 휘도변조 테이블(242)로부터 보유되어 있는 휘도변조 데이터와 상기 고주파성분 검출부(241)에 의한 검출 출력과 상기 압축부(25)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 데이터 SCMX가 공급되는 고주파성분 휘도변조부(243) 등으로 이루어진다.
윤곽 보정부(24A)에서는, 상기 합성부(23)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 데이터 SMX로 고주파성분 검출부(241)에서 윤곽강조 성분 등 고주파성분 SMXh를 검출하고, 검출된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 SMXh에 상기 합성 화상의 휘도 레벨, 혹은, 상기 압축부(24)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의 휘도 레벨에 따른 게인을 고주파성분 휘도변조부(243)로 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 SMXh의 이득제어를 행하고, 이득제어된 상기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 SMXh를 윤곽 보정용의 고주파성분 Shm으로서 후처리부(27)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후처리부(27)에 있어서, 상기 윤곽 보정용의 고주파성분 Shm을 상기 압축부(24)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 데이터 SCMX에 부가하는 것으로, 압축 후에는 검출하는 것이 곤란한 윤곽강조를 행할 수 있다.
고주파성분의 휘도변조도 데이터는, 예를 들면 압축 커브로부터 작성해도 좋고, 휘도변경 테이블(242)로부터 상기 고주파성분 휘도변조부(243)에 주어도 좋다.
촬상장치(100)의 신호 처리부(20)에 구비된 윤곽 보정부(24)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윤곽 보정부(24B)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윤곽 보정부(24B)는, 전처리부(21)로부터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이 공급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A), 상기 전처리부(21)로부터 단 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가 공급되는 단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B),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A)와 단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B)의 출력을 선택하는 고주파성분 선택부(244), 이 고주파성분 선택부(244)에 의해 선택된 고주파성분 Sh가 공급되는 게인 변조부(245) 등으로 이루어진다.
윤곽 보정부(24B)에서는, 상기 전처리부(21)로부터 공급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과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로부터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A)와 단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B)에 의해 고주파성분을 검출한다.
고주파성분 선택부(244)는, 상기 합성부(23)에서 각 화소에서 장시간과 단시간 중 어느 화상을 선택했는지를 나타내는 선택 신호 SSL이 공급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주파성분 선택부(244)는, 상기 선택 신호 SSL에 따라,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A)에 의해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로부터 검출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SLh와,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B)에 의해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로부터 검출되는 단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SSh의 선택을 행하고, 선택한 고주파성분 Sh를 게인 변조부(245)에 공급한다.
게인 변조부(245)는, 상기 고주파성분 선택부(244)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성분 Sh에 변조 게인을 곱해서 윤곽 보정용의 고주파성분 Sh로서 후처리부(27)에 공급한다.
후처리부(27)에서는, 상기 윤곽 보정용의 고주파성분 Shm을 상기 압축부(24)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 데이터 SCMX에 부가하는 것으로, 압축 후에는 검출하는 것이 곤란한 윤곽강조를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윤곽 보정부(24B)에 의한 윤곽 보정의 이미지를 도 12에 나타낸다.
즉, 상기 윤곽 보정부(24B)에서는,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로부터 고주파성분 SLh를 검출하는 동시에,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로부터 고주파성분 SSh를 검출하고, 합성 화상 데이터 SMX를 작성할 때에 장시간 노광과 단시간 노광 중 어느 쪽을 선택했는지에 따라 선택된 고주파성분을 합성한 고주파성분 Sh를 생성하고, 그것을 합 윤곽 보정용 고주파성분 Shm으로서 합성 화상 데이터 SMX에 부가하는 것으로 윤곽강조를 행한다.
또한 촬상장치(100)의 신호 처리부(20)에 구비된 윤곽 보정부(24)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윤곽 보정부(24C)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윤곽 보정부(24C)는, 전처리부(21)로부터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이 공급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A), 상기 전처리부(21)로부터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가 공급되는 단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B),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A)와 단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B)의 출력을 선택하는 고주파성분 선택부(244), 휘도변조 데이터를 보유한 휘도변조 테이블(242), 이 휘도변조 테이블(242)로부터 보유되어 있는 휘도변조 데이터와 상기 고주파성분 선택부(244)에 의해 선택된 고주파성분 Sh가 공급되는 고주파성분 휘도변조부(243) 등으로 이루어진다.
윤곽 보정부(24C)에서는, 상기 전처리부(21)로부터 공급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과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로부터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A)와 단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B)에 의해 고주파성분을 검출한다.
고주파성분 선택부(244)는, 상기 합성부(23)에 있어서 각 화소에서 장시간과 단시간 중 어느 쪽의 화상을 선택했는지를 나타내는 선택 신호 SSL이 공급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주파성분 선택부(244)는, 상기 선택 신호 SSL에 따라,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A)에 의해 장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L로부터 검출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SLh와,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부(241B)에 의해 단시간 노광 화상 데이터 SS로부터 검출되는 단시간 노광 화상 고주파성분 SSh의 선택을 행하고, 선택한 고주파성분 Sh를 고주파성분 휘도변조부(243)에 공급한다.
고주파성분 휘도변조부(243)는, 상기 고주파성분 선택부(244)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성분 Sh에 상기 압축부(24)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의 휘도 레벨에 따른 게인을 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주파성분 Sh의 이득제어를 행하고, 이득제어된 상기 고주파성분 Sh를 윤곽 보정용의 고주파성분 Shm으로서 후처리부(27)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후처리부(27)에 있어서, 상기 윤곽 보정용의 고주파성분 Shm을 상기 압축부(24)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 데이터 SCMX에 부가하는 것으 로, 압축 후에는 검출하는 것이 곤란한 윤곽강조를 행할 수 있다.
고주파성분의 휘도변조도 데이터는, 예를 들면 압축 커브로부터 작성해도 좋고, 휘도변경 테이블(242)로부터 상기 고주파성분 휘도변조부(243)에 주어도 좋다.
본 출원은 2008년 6월 3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JP 2008-146232에 관한 주제를 포함하며, 그 모든 내용은 여기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첨부된 청구항이나 그와 동등 범위 내에 있는 한, 설계 요구나 다른 요소에 따라 다양한 변형, 조합, 하위 조합,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당연하게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상기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장시간 노광과 단시간 노광의 그래프다.
도 3은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의 기능을 탑재한 상기 촬상장치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으로부터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다.
도 4는 상기 촬상장치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만으로 표현할 수 있는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다.
도 5는 상기 촬상장치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장시간 노광 화상의 최대 휘도값의 검출 처리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다.
도 6은 상기 촬상장치의 압축부에서 실행되는 압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다.
도 7은 상기 촬상장치의 압축부에서 사용되는 압축 커브의 작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 8은 상기 촬상장치의 신호 처리부에 있어서의 합성 화상의 작성으로부터 압축 화상의 작성까지의 신호 레벨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다.
도 9는 상기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촬상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다.
도 10은 상기 촬상장치의 신호 처리부에 구비된 윤곽 보정부의 구성예를 게 시하는 블록도다.
도 11은 상기 촬상장치의 신호 처리부에 구비된 윤곽 보정부의 다른 구성예를 게시하는 블록도다.
도 12는 상기 윤곽 보정부에 의한 윤곽 보정의 이미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다.
도 13은 상기 촬상장치의 신호 처리부에 구비된 윤곽 보정부의 또 다른 구성예를 게시하는 블록도다.

Claims (9)

  1. 단위 기간에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위 기간에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단시간 노광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을,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의 비를 기초로 합성해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부에서 생성되는 합성 화상에 대해서, 합성에 사용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합성에 사용되는 단시간 화상과, 상기 단시간 화상의 노광 시간으로부터,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하는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와,
    몇 종류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대응한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보유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압축 커브를 산출하고, 산출한 압축 커브에 따라, 상기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을 압축한 압축 화상을 생성하는 압축부를 적어도 갖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으로부터, 피사체가 갖는 다이내믹 레인지에 따라 계조 압축한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는, 미리 장시간 노광 화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의 최대값을 결정해 두고,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의 비율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는,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 중의 최대 휘도값으로부터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포화 레벨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고, 그 비율을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와 승산함으로써,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내믹 레인지 산출부는, 취득한 장시간 화상으로부터 작성한 히스토그램과 그것에 대응하는 휘도 적산값을 이용하여, 휘도값이 큰 순서로 카운트해서 지정된 개수 번째의 화소가 포함되는 상기 히스토그램 중의 화소수와 휘도 적산값을 검출하고, 그 영역에서의 휘도 적산값을 화소수로 제산함으로써,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최대 휘도값으로서 설정되는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피사체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가장 가까운 2종류의 상기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선택해서 판독하고, 그 2종류의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 간을 상기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를 기초로 보간 해서, 알맞은 압축 커브를 생성하는 압축 커브 생성 수단을 갖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압축 커브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압축 커브에 따라, 상기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을 압축하여 형성한 압축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의 고주파성분을 검출하는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과, 상기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에 상기 합성 화상의 휘도 레벨, 혹은, 상기 압축부에 의해 생 성된 압축 화상의 휘도 레벨에 따른 게인을 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의 이득제어를 행하는 이득제어 수단과, 상기 이득제어 수단에 의해 이득제어된 합성 화상 고주파성분을 상기 압축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에 부가하는 고주파성분 부가 수단으로 이루어진 윤곽 보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에 있어서 합성에 이용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의 고주파성분을 검출하는 장시간 노광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과, 상기 합성부에 있어서 합성에 이용되는 단시간 노광 화상의 고주파성분을 검출하는 단시간 노광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과, 상기 장시간 노광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장시간 노광 고주파성분, 혹은, 상기 장시간 노광 고주파성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시간 노광 성분을, 상기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장시간 노광 화상, 혹은, 단시간 노광 화상으로부터 채용된 화소에 대응하도록, 압축 화상에 대하여 부가하는 고주파성분 부가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윤곽 보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보정부는, 상기 고주파성분 부가 수단에 의해 상기 압축 화상에 부가되는 고주파성분에, 상기 합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의 휘도 레벨, 혹은, 상기 압축부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의 휘도 레벨에 따른 게인을 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주파성분의 이득제어를 행하는 이득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촬상부에 의해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장시간 노광 화상과 노광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단시간 노광 화상을 촬상하는 스텝과,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을,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과 상기 단시간 노광 화상의 노광 시간의 비를 기초로 합성해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합성 화상의 합성에 이용되는 장시간 노광 화상과, 상기 장시간 노광 화상 노광 시간과, 합성에 이용되는 단시간 화상과, 상기 단시간 화상의 노광 시간으로부터,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를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된 피사체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한 압축 커브를 기억부에 보유되어 있는 베이스 압축 커브 데이터를 이용해서 산출하고, 산출한 압축 커브에 따라,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스텝에서 생성된 합성 화상을 압축한 압축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을 적어도 갖고,
    상기 촬상 스텝에 의해 얻어진 장시간 노광 화상과 단시간 노광 화상으로부터, 피사체가 갖는 다이내믹 레인지에 따라 계조 압축한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KR1020090046262A 2008-06-03 2009-05-27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KR200901261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6232 2008-06-03
JP2008146232A JP5083046B2 (ja) 2008-06-03 2008-06-03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185A true KR20090126185A (ko) 2009-12-08

Family

ID=4137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262A KR20090126185A (ko) 2008-06-03 2009-05-27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40411B2 (ko)
JP (1) JP5083046B2 (ko)
KR (1) KR20090126185A (ko)
CN (1) CN101600056B (ko)
TW (1) TWI4089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060B1 (ko) * 2013-02-28 2015-07-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고체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6318B1 (es) * 2007-07-25 2013-12-16 Tay HIOK NAM Control de exposicion para un sistema de formacion de imagenes
JP4424402B2 (ja) * 2007-09-28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撮像制御プログラム
CN101917551B (zh) * 2010-08-10 2012-01-04 浙江大学 一种多次曝光的高动态范围图像获取方法
US9289191B2 (en) 2011-10-12 2016-03-22 Seno Medical Instruments, Inc.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optoacoustic data and producing parametric maps thereof
JP2012257193A (ja) * 2011-05-13 2012-12-27 Sony Corp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797072B2 (ja) * 2011-09-22 2015-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1287309B2 (en) 2011-11-02 2022-03-29 Seno Medical Instruments, Inc. Optoacoustic component utilization tracking
US11191435B2 (en) 2013-01-22 2021-12-07 Seno Medical Instruments, Inc. Probe with optoacoustic isolator
US9814394B2 (en) 2011-11-02 2017-11-14 Seno Medical Instruments, Inc. Noise suppression in an optoacoustic system
US9743839B2 (en) 2011-11-02 2017-08-29 Seno Medical Instruments, Inc. Playback mode in an optoacoustic imaging system
US9730587B2 (en) 2011-11-02 2017-08-15 Seno Medical Instruments, Inc. Diagnostic simulator
US9733119B2 (en) 2011-11-02 2017-08-15 Seno Medical Instruments, Inc. Optoacoustic component utilization tracking
CA2866840C (en) 2012-03-09 2022-03-29 Seno Medical Instruments, Inc. Statistical mapping in an optoacoustic imaging system
US9798698B2 (en) 2012-08-13 2017-10-24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color dilu preconditioner
US9167169B1 (en) 2014-11-05 2015-10-20 Duelight Llc 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capturing multiple images
US9160936B1 (en) * 2014-11-07 2015-10-13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high-dynamic range (HDR) pixel stream
US9154708B1 (en) 2014-11-06 2015-10-06 Duelight Llc 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capturing flash and ambient illuminated images
US9137455B1 (en) 2014-11-05 2015-09-15 Duelight Llc 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multiple exposures with zero interframe time
US9918017B2 (en) 2012-09-04 2018-03-13 Duelight Llc 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multiple exposures with zero interframe time
US8976264B2 (en) 2012-09-04 2015-03-10 Duelight Llc Color balance in digital photography
US9179062B1 (en) 2014-11-06 2015-11-03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operations on pixel data
US9167174B1 (en) 2014-11-05 2015-10-20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dynamic range images
US9179085B1 (en) 2014-11-06 2015-11-03 Duelight Llc 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low-noise, high-speed captures of a photographic scene
US9531961B2 (en) 2015-05-01 2016-12-27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using separate color and intensity data
US9508318B2 (en) 2012-09-13 2016-11-29 Nvidia Corporation Dynamic color profile manage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767094B1 (ko) 2012-12-03 2017-08-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9819849B1 (en) 2016-07-01 2017-11-14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digital images
US9807322B2 (en) 2013-03-15 2017-10-31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digital image sensor
US10558848B2 (en) 2017-10-05 2020-02-11 Duelight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pturing an image with correct skin tone exposure
US9019401B2 (en) * 2013-02-26 2015-04-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 image with a wide dynamic range
TWI502174B (zh) * 2013-05-14 2015-10-01 Pixart Imaging Inc 光學偵測裝置及其同步調整方法
CN104182721A (zh) * 2013-05-22 2014-12-03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提升人脸识别率的图像处理系统及图像处理方法
JP2015031831A (ja) * 2013-08-02 2015-0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細胞追跡装置及び方法、細胞追跡プログラム
US20150130967A1 (en) * 2013-11-13 2015-05-14 Nvidia Corporation Adaptive dynamic range imaging
JP6543786B2 (ja) * 2014-05-07 2019-07-17 ハンファテクウィ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6366356B2 (ja) 2014-05-14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音響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66355B2 (ja) * 2014-05-14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音響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07162B2 (en) * 2014-05-21 2016-04-05 Himax Imaging Limited Local enhancement apparatus and method to generate high dynamic range images by blending brightness-preserved and brightness-adjusted blocks
CN105323493B (zh) * 2014-06-25 2018-11-06 恒景科技股份有限公司 局部增强装置、多重曝光影像系统以及局部增强方法
US9832388B2 (en) 2014-08-04 2017-11-28 Nvidia Corporation Deinterleaving interleaved high dynamic range image by using YUV interpolation
JP2016044995A (ja) 2014-08-20 2016-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測色方法、測色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924688B2 (en) 2014-11-06 2021-02-16 Duelight Llc 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low-noise, high-speed captures of a photographic scene
US11463630B2 (en) 2014-11-07 2022-10-04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high-dynamic range (HDR) pixel stream
JP6521776B2 (ja) * 2015-07-13 2019-05-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EP3507765A4 (en) 2016-09-01 2020-01-01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OCUS ADJUSTMENT BASED ON TARGET DEVELOPMENT INFORMATION
EP3291173A1 (en) * 2016-09-02 2018-03-07 Casio Computer Co., Ltd. Diagnosis assist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in diagnosis assisting device, and program
KR102495754B1 (ko) * 2016-10-25 2023-02-0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광역 영상의 동적 범위를 압축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226325B (zh) * 2017-02-01 2022-04-15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摄像系统和摄像装置
KR20190114332A (ko) * 2018-03-29 2019-10-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217211B2 (ja) * 2019-08-23 2023-02-02 日立Astemo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CN114785966B (zh) * 2022-06-21 2022-09-06 深圳比特微电子科技有限公司 曝光控制方法、拍摄处理方法、装置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2113B2 (ja) * 1998-07-24 2009-06-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並びに、撮像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363826B1 (ko) * 1999-06-07 2002-12-06 히다치덴시 가부시키가이샤 넓은 다이내믹레인지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텔레비젼신호처리장치와 그 신호처리장치를 가지는텔레비젼카메라 및 텔레비젼신호처리방법
US6738510B2 (en) * 2000-02-22 2004-05-18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948229B2 (ja) * 2001-08-01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像装置及び方法
JP2003198879A (ja) * 2001-12-25 2003-07-1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撮像装置
JP2004056573A (ja) * 2002-07-22 2004-02-19 Sony Corp 映像信号処理方法、処理回路、及び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3801126B2 (ja) 2002-09-25 2006-07-2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画像出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43425B2 (ja) * 2003-01-16 2008-09-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4282282A (ja) * 2003-03-14 2004-10-07 Yokogawa Electric Corp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制御方法
US6879731B2 (en) * 2003-04-29 2005-04-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generating high dynamic range video
JP4568484B2 (ja) * 2003-06-02 2010-10-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4595330B2 (ja) 2004-01-19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260517A (ja) * 2004-03-11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画像信号処理装置
TWI246031B (en) * 2004-09-17 2005-12-21 Ulead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multi-exposed image
JP4452161B2 (ja) * 2004-11-12 2010-04-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US8120570B2 (en) * 2004-12-02 2012-02-2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one curve generation, selection and application
WO2006098356A1 (ja) * 2005-03-15 2006-09-21 Omron Corporation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733419B2 (ja) * 2005-04-26 2011-07-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合成画像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7791656B2 (en) * 2005-08-16 2010-09-0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mage sen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843493B2 (en) * 2006-01-31 2010-11-3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mage sen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639893B2 (en) * 2006-05-17 2009-12-29 Xerox Corporation Histogram adjustment for high dynamic range image mapping
JP5034436B2 (ja) * 2006-10-19 2012-09-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カメラシステム
US8144214B2 (en) * 2007-04-18 2012-03-27 Panasonic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storage medium
US8144985B2 (en) * 2007-12-21 2012-03-27 Sony Corporation Method of high dynamic range compression with detail preservation and noise constraints
US8358351B2 (en) * 2009-06-05 2013-01-22 Apple Inc. Automatic tone mapping for camera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060B1 (ko) * 2013-02-28 2015-07-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고체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
US9083898B2 (en) 2013-02-28 2015-07-14 Kabushiki Kaisha Toshiba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96178A (ja) 2009-12-17
CN101600056A (zh) 2009-12-09
CN101600056B (zh) 2012-02-01
TW201004321A (en) 2010-01-16
JP5083046B2 (ja) 2012-11-28
US20090295941A1 (en) 2009-12-03
TWI408953B (zh) 2013-09-11
US8040411B2 (en) 201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6185A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US8711255B2 (en) Visual processing apparatus and visual processing method
US8421879B2 (en) White balance adjustment device, image capture device, white balance adjustment method, storage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EP2186345B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534770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512313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7884866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6137792B2 (ja) 撮像装置、該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223686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8131530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134862A (ja) 撮像装置、撮像方法、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242129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803233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10068331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531033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929617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4155002A (ja) 撮像装置
KR101408359B1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JP5145876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5091734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24060345A (ja) 撮像装置
JP2018207429A (ja) 撮像装置
JP200531184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