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116A - 스티어링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116A
KR20090125116A KR20097019696A KR20097019696A KR20090125116A KR 20090125116 A KR20090125116 A KR 20090125116A KR 20097019696 A KR20097019696 A KR 20097019696A KR 20097019696 A KR20097019696 A KR 20097019696A KR 20090125116 A KR20090125116 A KR 2009012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anger
steering
rod
w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1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247B1 (ko
Inventor
다카히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ublication of KR2009012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프레임 본체(3)에 로드 가이드부(4)를 돌출 설치하고, 로드 가이드부(4) 내에 행거부(12)와 이것에 연결된 로크 본체(13)로 이루어지는 로크 로드(11)를 스티어링 로크 위치와 스티어링 언로크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로드 가이드부(4)와 로크 로드(11)의 행거부(12)에 취약부(17, 18)를 각각 설치한다. 양쪽의 취약부(17, 18)의 위치에서 로드 가이드부(4)와 로크 로드(11)가 분단되면, 로크 로드(11)의 취약부(18)로부터 선단측을 분단 시점의 위치에 로크하는 데드 로크 수단(30)을 구비한다. 행거부(12)의 선단에 행거용 연결부인 걸어맞춤 돌기부(15)와 함께 취약부(18)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로크 장치{STEERING LOCK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탑재되어, 이른바 데드 로크 수단을 구비한 스티어링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종래의 스티어링 로크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1)과 이 프레임(101)의 상면을 덮는 커버(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01)은, 프레임 본체(102)와 이 프레임 본체(102)로부터 돌출 설치된 로드 가이드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 가이드부(103)에는 부착부(도시 생략)가 설치되고, 이 부착부를 통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가 스티어링 포스트(도시 생략)에 고정된다.
커버로 덮여진 프레임 본체(102)의 상면에는,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에 의한 누름 버튼식의 시동·정지 스위치의 가압 조작에 의해 전자 키와 제어부(도시 생략)가 교신하고, 전자 키가 인증되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와, 이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캠 부재(도시 생략) 등이 수용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부(103) 내에는, 도면 중의 상단측이 프레임 본체(102) 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로크 로드(105)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로크 로 드(105)는, 상기한 캠 부재(도시 생략)의 회전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110)를 로크하는 로크 위치(도 1의 위치)와 스티어링 샤프트(110)의 회전을 허용하는 언로크 위치(도 2의 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 로크 로드(105)는, 캠 부재(도시 생략)에 추종하는 행거부(105a)와 이것에 연결된 로크 본체(105b)로 2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행거부(105a)와 로크 본체(105b) 사이는, 행거부(105a)의 선단 개소의 연결용 핀(108a)이 로크 본체(105b)의 긴 구멍(108b)에 삽입되고, 또한, 양쪽의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109)이 개재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부(103)의 기단(基端) 개소와 로크 로드(105)의 행거부(105a)의 중간 개소에는, 다른 개소보다 두께가 얇은 취약부(106, 107)가 설치되어 있다.
데드 로크 수단(120)은, 로드 가이드부(103)의 취약부(106)보다 아래쪽 위치에 수용된 로크 핀(121)과, 이 로크 핀(121)을 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스프링(122)과, 로크 핀(121)의 돌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트리거 부재(123)와, 트리거 부재(123)를 위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 스프링(124)과, 트리거 부재(123)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프레임 본체(102)측의 스토퍼(125)와, 행거부(105a)에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 홈(126, 12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을 주행할 수 있도록 시동·정지 스위치를 가압 조작하면, 구동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해 로크 로드(105)가 이동하여,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가 도 1의 스티어링 로크 위치로부터 도 2의 스티어링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스티어링 로크를 해제한 것이 차체측으로 송신되어 엔진이 시동된다. 차량 주행 중에 급격 감속하여, 그 때에 드라이버의 무릎이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에 닿거나 하여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103) 및 로크 로드(105)가 취약부(106, 107)의 개소에서 분단되어, 이에 의해 드라이버가 받는 충격이 경감된다.
그리고, 로드 가이드부(103) 및 로크 로드(105)가 취약부(106, 107)에서 분단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 부재(123)가 제2 스프링(124)의 스프링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여, 로크 핀(121)이 로크 로드(105)의 제2 걸림 홈(127)에 걸려진다. 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는 분단된 후도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를 유지하고, 차량 주행 중에 자유롭게 핸들을 꺾을 수 있어, 운전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 주차할 수 있도록 시동·정지 스위치를 가압 조작하면, 엔진이 정지됨과 더불어, 구동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해 로크 로드(105)가 이동하여,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가 도 2의 스티어링 언로크 위치로부터 도 1의 스티어링 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이 스티어링 로크 상태에 있어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를 부정하게 해제하려고 하는 사람이 외부로부터 어택하여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에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103) 및 로크 로드(105)가 취약부(106, 107)의 개소에서 분단된다. 그러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 부재(123)가 제2 스프링(124)의 스프링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여, 로크 핀(121)이 로크 로드(105)의 제1 걸림 홈(126)에 걸려진다. 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는 분단된 후도 스티어링 로크 상태를 유지하여, 방도성(防盜性)이 우수하 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행거부(105a)의 취약부(107)가 로크 본체(105b)와의 연결 개소(연결용 핀(108a)의 위치)보다 훨씬 위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에서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가 분단된 경우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가이드부(103)의 파단 개소보다 행거부(105a)의 파단 개소가 크게 돌출되어,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4-231122호 공보
이것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도 5에 나타낸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30)를 생각할 수 있다. 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30)는, 로크 로드(105)의 로크 본체(105b)에 제1 걸림 홈(126) 및 제2 걸림 홈(127)을 설치하고, 행거부(105a)의 연결 개소의 바로 위쪽에 취약부(107)를 설치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종래예에 비해 취약부(107)의 높이 위치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상기 종래예와 동일 구성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도 5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에 있어서도,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에서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가 분단된 경우에, 로드 가이드부(103)의 파단 개소보다 행거부(105a)의 파단 개소가 돌출된다.
또, 도 5에 있어서는, 상기 종래예에 비해 행거부(105a)의 길이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30)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행거부(105a)의 한층 더의 단(短)치수화가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에서 스티어링 로크 장치가 분단한 후도 최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애스펙트는, 스티어링 로크 장치로서, 프레임 본체에 돌출 설치된 로드 가이드부로서 취약부를 갖는 것과, 상기 로드 가이드부 내에 스티어링 로크 위치와 스티어링 언로크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행거부와 이 행거부에 연결된 로크 본체로 이루어지는 로크 로드로서, 취약부를 갖는 것과, 과대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양쪽의 취약부의 위치에서 상기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로크 로드가 분단되어, 상기 로크 로드의 상기 취약부로부터 선단측을 분단 시점의 위치에 로크하는 데드 로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행거부의 선단 개소에 행거측 연결부와 함께 상기 취약부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행거부의 선단 개소에 행거측 연결부와 함께 취약부를 설치하였으므로, 행거부의 길이 치수를 그 만큼 짧게 할 수 있어, 그 결과,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행거부의 선단 개소에 행거측 연결부와 함께 취약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스티어링 포스트측에 잔존하는 로크 로드의 잔존 개소가 짧아, 로드 가이드부의 파단 개소보다 행거부의 파단 개소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에서 스티어링 로크 장치가 분단된 후도 최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의 상기 행거측 연결부는 걸어맞춤 오목부이고, 상기 로크 본체의 본체측 연결부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걸어맞춤 돌기부이며, 상기 행거부의 상기 취약부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잘록부에 의해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의 상기 행거측 연결부는 잘록부이고, 상기 로크 본체의 본체측 연결부는 상기 잘록부에 걸어맞춰지는 한 쌍의 걸어맞춤 훅부이며, 상기 행거부의 상기 취약부는, 상기 잘록부에 의해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도 1은, 종래예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스티어링 로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예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예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에서 데드 로크 수단이 작동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예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스티어링 로크 상태에서 데드 로크 수단이 작동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일례의 스티어링 로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 고,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6의 7-7선을 따른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6의 7-7선을 따른 스티어링 로크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행거부와 로크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행거부의 측면도, (b)는 행거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에서 데드 로크 수단이 작동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스티어링 로크 상태에서 데드 로크 수단이 작동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행거부와 로크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행거부와 로크 본체의 연결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로크 장치인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는 프레임(2)을 갖고, 이 프레임(2)은 프레임 본체(3)와 이 프레임 본체(3)의 아래쪽으로 돌출 설치된 로드 가이드부(4)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 가이드부(4)에는, 적소에 볼트 부착구멍(5)이 설치되고, 이 볼트 부착구멍(5)을 이용하여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가 스티어링 포스트(도시 생략)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10)로 덮여진 프레임 본체(3)의 상면에는,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회전 조작할 수 있는 이그니션 키 실린더(도시 생략)와, 이 이그니션 키 실린더의 회전 조작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모터 유닛(6)과, 이 모터 유닛(6)의 출력축에 고정된 캠 부재(7)와, 이 캠 부재(7)에 추종 이동하는 로크 로드(11)의 도면 중의 상단측이 수용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부(4) 내에는 로드 가이드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로드 가이드구멍(8)에 로크 로드(11)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로크 로드(11)는,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와 걸어맞춰지는 개소를 적어도 강성이 높은 부재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강성이 낮고, 또한, 가공 용이한 재질의 행거부(12)와, 이것에 연결되고, 강성이 높은 금속제의 로크 본체(13)의 2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행거부(12)와 로크 본체(13)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행거부(12)의 상단측은 프레임 본체(3) 위쪽으로 돌출되고, 그 상단의 돌출벽(12a)이 캠 부재(7)와 연계되어 있다. 행거부(12)의 상단면에는 로크 로드(11)를 로크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9)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9)의 스프링력으로 행거부(12)의 돌출벽(12a)이 캠 부재(7)에 압접되어 있다. 로크 로드(11)는, 캠 부재(7)의 캠면에 추종 이동하여,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를 로 크하는 도 8의 스티어링 로크 위치와 스트어링 샤프트(도시 생략)의 회전을 허용하는 도 7의 스티어링 언로크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또, 로드 가이드부(4)의 기단 개소와 로크 로드(11)의 행거부(12)에는, 다른 개소보다 강도적으로 약한 취약부(17, 1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부(4) 및 로크 로드(11)에 소정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4) 및 로크 로드(11)가 함께 취약부(17, 18)의 개소에서 분단되도록 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부(4)의 취약부(17)는, 다른 개소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행거부(12)의 취약부(18)의 위치 및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데드 로크 수단(20)은, 로드 가이드부(4)의 취약부(17)로부터 선단측에 배치되고, 로크 로드(11)를 로크하지 않는 대기 위치와 로크 로드(11)를 로크하는 로크 위치의 사이에서 변이 가능한 로크 핀(21)과, 이 로크 핀(21)을 로크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22)과, 로크 핀(21)이 로크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대기 위치에 유지하는 트리거 부재(23)와, 로크 로드(11)의 로크 본체(13)에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 홈(24, 25)을 구비하고 있다.
트리거 부재(23)는, 커버(10)와 프레임 본체(3) 사이의 장착력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부(4)가 취약부(17)에서 분단되거나, 커버(10)가 프레임 본체(3)로부터 떨어지면, 트리거 부재(23)는 로크 핀(21)의 이동 규제를 해제한다.
제1 걸림 홈(24)은, 로크 로드(11)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로크 핀(21)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제2 걸림 홈(25)은, 로크 로드(11)가 언로크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로크 핀(21)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로크 로드(11)의 행거부(12)와 로크 본체(13)의 연결 구조, 및, 행거부(12)의 취약부(18)의 위치 및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a), (b)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부(12)의 선단에는, 행거측 연결부인 걸어맞춤 오목부 (14)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14)는, 관통부(14a)와 이 관통부(14a)의 아래쪽에 형성된 홈부(14b)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 본체(13)의 상단에는, 걸어맞춤 오목부(14)의 형상에 일치하는 본체측 연결부인 걸어맞춤 돌기부(15)가 설치되어 있다. 행거부(12)의 걸어맞춤 오목부(14)에 로크 본체(13)의 걸어맞춤 돌기부(15)가 걸어맞춰짐으로써 행거부(12)와 로크 본체(13)가 연결되어 있다. 행거부(12)의 취약부(18)는, 걸어맞춤 오목부(14)의 양측벽으로, 또한, 관통부(14a)의 위치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잘록부(1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취약부(18)의 길이 방향의 위치와, 행거측 연결부인 걸어맞춤 오목부(14)의 길이 방향에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을 주행할 수 있도록 이그니션 키 실린더(도시 생략)를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로 회전하면, 모터 유닛(6)의 구동에 의해 로크 로드(11)가 이동하여 도 8의 스티어링 로크 위치로부터 도 7의 스티어링 언로크 위치로 변이한다. 그 후, 이그니션 키 실린더를 엔진 시동 위치까지 이동하면, 엔진이 시동된다.
차량 주행 중에 급격 감속하여, 그 때에 드라이버의 무릎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에 닿아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로드 가이드부(4) 및 로크 로드(11)에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4) 및 로크 로드(11)가 취약부(17, 18)의 개소에서 분단되어, 이에 의해 드라이버가 받는 충격이 경감된다.
그리고, 로드 가이드부(4) 및 로크 로드(11)가 취약부(17, 18)에서 분단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 부재(23)가 로크 핀(21)을 규제하지 않게 되어, 로크 핀(21)이 로크 로드(11)의 제2 걸림 홈(25)에 걸려진다. 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는 분단된 후도,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를 유지한다.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차량 주행 중에 자유롭게 핸들을 꺾을 수 있어, 운전 안전성이 확보된다.
한편,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 주차할 수 있도록 이그니션 키 실린더를 엔진 시동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 되돌리면, 엔진이 정지된다. 그리고, 모터 유닛(6)의 구동에 의해 로크 로드(11)가 이동하여, 도 7의 스티어링 언로크 위치로부터 도 8의 스티어링 로크 위치로 변이한다.
이 스티어링 로크 상태에 있어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를 부정하게 해제하려고 하는 사람이 외부로부터 어택하여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로드 가이드부(4) 및 로크 로드(11)에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4) 및 로크 로드(11)가 취약부(17, 18)의 개소에서 분단된다. 그러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 부재(23)가 로크 핀(21)을 규제하지 않게 되어, 로크 핀(21)이 로크 로드(11)의 제1 걸림 홈(24)에 걸려진다. 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는 분단된 후도 스티어링 로크 상태를 유지하여, 부정하게 해제하려고 한 사람이 스티어링 휠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어, 방도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행거부(12)의 선단 개소에, 행거측 연결부인 걸어맞춤 오목부(14)와 함께 취약부(18)를 설치하였으므로, 행거부(12)의 길이 치수를 그 만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행거부(12)의 선단 개소에 행거측 연결부인 걸어맞춤 오목부(14)와 함께 취약부(18)를 설치하였다. 이 때문에, 스티어링 포스트(도시 생략)측에 잔존하는 로크 로드(11)의 잔존 개소가 짧아져, 로드 가이드부(4)의 파단 개소보다 행거부(12)의 파단 개소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에서 스티어링 로크 장치(1)가 분단된 후도 최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13은 행거부(12A)와 로크 본체(13A)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행거부(12A)와 로크 본체(13A)의 연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부(12A)의 선단에는, 다른 개소보다 두께가 얇은 행거용 연결부인 잘록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본체(13A)의 상단에는, 본체측 연결부인 한 쌍의 걸어맞춤 훅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행거부(12A)의 잘록부(14A)에 로크 본체(13A)의 한 쌍의 걸어맞춤 훅부(15A)가 걸어맞춰짐으로써 행거부(12A)와 로크 본체(13A)가 연결되어 있다. 행거부(12A)의 취약부(18)는, 상기의 잘록부(14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잘록부(14A)가 행거측 연결부와 취약부(18)를 겸용하고 있다. 따라서, 행거측 연결부인 잘록부(14A)의 길이 방향의 위치와 취약부(18)의 길이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회피한다.
이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 이외에도, 행거측 연결부와 본체측 연결부의 구조로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메카니컬 키로부터의 조작력을 동력으로 하여 로크 로드(11)를 이동하는 메카니컬한 스티어링 로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3)

  1. 스티어링 로크 장치로서,
    프레임 본체에 돌출 설치된 로드 가이드부로서 취약부를 갖는 것과,
    상기 로드 가이드부 내에 스티어링 로크 위치와 스티어링 언로크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행거부와 이 행거부에 연결된 로크 본체로 이루어지는 로크 로드로서, 취약부를 갖는 것과,
    과대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양쪽의 취약부의 위치에서 상기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로크 로드가 분단되어, 상기 로크 로드의 상기 취약부로부터 선단측을 분단 시점의 위치에 로크하는 데드 로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행거부의 선단 개소에 행거측 연결부와 함께 상기 취약부를 설치한 스티어링 로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의 상기 행거측 연결부는 걸어맞춤 오목부이고, 상기 로크 본체의 본체측 연결부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걸어맞춤 돌기부이며, 상기 행거부의 상기 취약부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잘록부에 의해 구성된 스티어링 로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의 상기 행거측 연결부는 잘록부이고, 상기 로크 본체의 본체측 연결부는 상기 잘록부에 걸어맞춰지는 한 쌍의 걸어맞춤 훅부이며, 상기 행거부의 상기 취약부는, 상기 잘록부에 의해 구성된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1020097019696A 2007-03-29 2008-03-18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101438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89112 2007-03-29
JP2007089112A JP5186127B2 (ja) 2007-03-29 2007-03-29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PCT/JP2008/054986 WO2008123073A1 (ja) 2007-03-29 2008-03-18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116A true KR20090125116A (ko) 2009-12-03
KR101438247B1 KR101438247B1 (ko) 2014-09-05

Family

ID=3983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696A KR101438247B1 (ko) 2007-03-29 2008-03-18 스티어링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30726B1 (ko)
JP (1) JP5186127B2 (ko)
KR (1) KR101438247B1 (ko)
CN (1) CN101646585B (ko)
WO (1) WO20081230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50B1 (ko) * 2011-04-04 2015-03-19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조향 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7071A1 (de) * 2010-08-19 2012-02-2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Verlagerung eines bewegbaren Sperrelementes
DE102012012929A1 (de) * 2012-06-29 2014-04-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echanische Lenkverriegelung
CN103465867B (zh) * 2013-09-12 2016-08-31 天合汽车零部件(苏州)有限公司 一种电子转向柱锁保险机构
WO2015049952A1 (ja) * 2013-10-03 2015-04-09 株式会社 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EP2886400B1 (en) * 2013-12-17 2016-04-27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Antitheft steering column lock
JP6258125B2 (ja) * 2014-05-27 2018-01-10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6831736B2 (ja) * 2017-03-30 2021-02-17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18003614A1 (de) * 2017-05-11 2018-11-15 Marquardt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6486448B2 (ja) * 2017-12-04 2019-03-20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2883B2 (ja) * 1997-03-24 2004-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038132B2 (ja) * 2003-01-31 2008-01-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418298B2 (ja) * 2004-05-24 2010-02-17 株式会社アルファ 錠装置
JP3831391B2 (ja) * 2004-07-08 2006-10-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50B1 (ko) * 2011-04-04 2015-03-19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조향 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247B1 (ko) 2014-09-05
CN101646585B (zh) 2013-01-02
WO2008123073A1 (ja) 2008-10-16
JP2008247127A (ja) 2008-10-16
CN101646585A (zh) 2010-02-10
EP2130726A4 (en) 2012-11-14
EP2130726B1 (en) 2013-07-17
JP5186127B2 (ja) 2013-04-17
EP2130726A1 (en)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5116A (ko)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101390031B1 (ko)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20090079905A (ko)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JP5669225B2 (ja) 中間体の揺動バーによってデッドロックが確実に行われるようにした、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の盗難防止装置
EP2065266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EP3494268A1 (de) Türgriff mit einem bewegbaren notöffnungselement
KR20090056837A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KR20060048065A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JP4863839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8869575B2 (en) Steering lock device with insertable lock cylinder which is intended, for example, for motor vehicles
JP483818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8863610B2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JP3831391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RU2583423C2 (ru) Противоуг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левой колонк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рулевая колонка
JP4881777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9032769B2 (en) Antitheft device for the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having super-lockout provided by a rocker arm
KR100901626B1 (ko) 스티어링 컬럼 록킹장치
EP2651701B1 (de) Mechanisch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motorrad
KR100692271B1 (ko) 조향축 잠금장치의 부정 해제 방지장치
CN105026223A (zh) 用于机动车的转向锁定装置
JP2000225923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559304B1 (ko) 차량용 이그니션록스위치의 결합구조
KR20090080409A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