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650A -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 Google Patents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650A
KR20090123650A KR1020080049821A KR20080049821A KR20090123650A KR 20090123650 A KR20090123650 A KR 20090123650A KR 1020080049821 A KR1020080049821 A KR 1020080049821A KR 20080049821 A KR20080049821 A KR 20080049821A KR 20090123650 A KR20090123650 A KR 20090123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breakwater
exchange block
wave action
seawater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주)씨테크알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테크알엔디 filed Critical (주)씨테크알엔디
Priority to KR102008004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3650A/ko
Publication of KR20090123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파제의 일부 구간에 해수교환블럭을 설치하여 항내로 해수의 유입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항외로 해수의 역류를 최소화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작업공정을 간소화하여 공사기간의 단축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방파제, 해수교환, 해수교환블럭, 파랑작용

Description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Breakwater of exchanging seawater block}
본 발명은 방파제의 일부 구간에 해수교환블럭을 설치하여, 파랑작용에 의해 항내측으로 해수의 유입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항외측으로 해수가 역류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항내측의 해수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방파제의 일부 구간에 설치 및 작업공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전체적인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는 외해로부터 파랑전파를 차단하여 항내의 수면이 잔잔한 해역을 조성하기 위하여 해저에 고정되어 구축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방파제의 종류로는 수심이 얕은 해역에 설치되는 경사제(Rubble mound breakwater)와 케이슨(Caisson)을 이용하여 수심이 깊은 해역을 설치되는 혼성제(Mixed type breakwater) 등이 있다.
그런데 방파제의 설치로 인하여 조성된 항내 수역은 잔잔하며 폐쇄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항내·외의 해수유동 기능이 크게 저하되어 심각한 환경 부작용이 초래되고 있다.
한편, 항내 수괴의 공기중의 산소 흡수율은 방파제 건설 전보다 휠씬 감소하므로 강한 조류에 의해 항내·외의 해수유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한 항내 수괴에는 만성적인 산소 부족 현상이 초래되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결국 항내수질에 악역향을 미침으로써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어 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함과 동시에 관광항으로써의 높은 부가 자원을 훼손시키는 결과를 일으킨다.
따라서, 항내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새로운 항만 건설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로 인해 근자의 방파제는 외해의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항내측의 해수는 항의 입구를 통하여 다시 항외측으로 유출되게 하여, 항내에 매우 완만한 해수의 흐름을 유지하여 항내의 오염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방파제의 사석제체를 모두 철거하고 해수교환이 가능한 시설물이 제공되고 있지만, 이는 이를 구축하기 위한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공사기간이 길어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방파제의 일부 구간에 해수교환블럭을 설치하여 항내로 해수의 유입을 자연스럽게 유도함과 아울러 평상시의 작은 파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공사기간의 단축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에 구비된 방파제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는 방파제의 일부 구간에 설치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해수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쐐기형상을 갖는 양측 해수유도부가 구비되고, 이 해수유도부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부가 포함된 해수교환블럭으로 구성되며, 이 해수교환블럭이 전후, 좌우로 연속적으로 설치되거나 적층되게 구비되어 항외측의 파랑작용에 의해 항내측으로 해수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는 방파제의 일부 구간에 사각형상의 몸체가 설치되고, 이 몸체의 내측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해수유입공이 포함된 해수교환블럭으로 구성되며, 이 해수교환블럭이 전후, 좌우로 연속적으로 설치되거나 적층되게 구비되어 항외측의 파랑작용에 의해 항내측으로 해수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파제의 일부 구간에 해수교환블럭을 설치하여, 파랑작용에 의해 항내측으로 해수의 유입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항내로 유입된 해수가 방파제를 통해 역류를 최소화하여 항내의 해수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기존의 방파제에 설치 및 작업공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전체적인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아래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의 해수교환블럭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교환블럭의 설치된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교환블럭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교환블럭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교환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교환블럭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파제(10)의 일부 구간에 해수교환블럭(20)이 설치되며, 상기 해수교환블럭(2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 지게 해수유도부(21)가 설치되고, 상기 해수유도부(21)의 상하부에 막혀지게 고정부(25)로 구성된다.
상기 해수유도부(21)는 양측에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해수유입공(22)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요홈(23)과 요철돌기(24)가 형성되어 서로 요철결합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해수유도부(21)는 전후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2개가 한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5)는 판형상을 가지며 해수유도부(21)의 상하부에 막혀지게 구비되며, 상기 요홈(23)에 대응되게 결합홈(26)이 형성되어 이 결합홈(26)에 상기 요철돌기(24)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해수유도부(21)와 고정부(25)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거나 각각 분리된 상태로 설치가능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파제(10)의 일부 구간을 철거한 설치공간부(11)가 구비되고, 이 설치공간부(11)에는 2개가 한조로된 해수유도부(21)가 구비되고, 이 해수유도부(21)는 좌우로 요홈(23)과 요철돌기(24)가 서로 요철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됨과 아울러 전후로 쐐기형상이 갖는 복수의 해수교환블럭(20)이 반복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해수유도부(21)의 해수유입공(22)은 도면상에 L1, L2 및 L3의 비가 설치될 해역에서의 파장(Wave Length), 파고(Wave Height) 및 주기(Wave Period)에 의한 무차원 변수(Dimensionless parameter) 관계로써 결정하는 것이 바 람직하고, 해수교환블럭의 규모는 평상시의 작은 파에 의해서도 해수가 효율적으로 유입되도록 방파제가 설치될 해역에 따라 조절하여 적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파제(10)의 설치공간부(11)에 일정한 높이로 해수교환블럭(20)을 좌우, 전후, 적층되게 설치한 후, 이 해수교환블럭(20)의 상부와 양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해수교환블럭(20)은 구성요소가 각각 분리된 구조로 서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제품의 운반성 및 작업성이 뛰어나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공사시 발생되는 토사등에 의한 해양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수유입공(22)의 구조상 해수의 파랑작용에 의해 해수의 유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해수의 역류는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해수유입공(22)의 폭이 전방보다 후방쪽이 적게 형성된 구조로서, 항외측에서 해수의 파랑작용에 의해 해수가 해수유입공(22)의 폭이 넓은 부분에서 좁은 부분으로 이동되면서 순간 해수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어 해수의 유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에 반면에 항내측의 해수는 해수유입공(22)의 폭이 좁은 부분을 통과하여 넓은 부분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해수의 흐름이 약해지게 되고, 이때 항외측에서 해수의 파랑작용에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다시 항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파제(10)의 일부 구간에 해수교환블럭(20)이 설치되며, 이 해수교환블럭(20)은 외주면이 사각형상을 갖는 몸체(30)와, 이 몸체(30)의 내주면에 관통되는 해수유도공(31)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30)는 상하,좌우 면에 요홈(32)과 요철돌기(33)가 형성되어 서로 요철결합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수유도공(31)은 원형상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수유도공(31)은 사각형상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수유도공(31)의 양측에는 쐐기형상이 대응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방파제(10)의 일부 구간에 해수교환블럭(20)이 설치되는데, 이 해수교환블럭(20)은 적층되면서 상하, 좌우로 서로 요철결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해수유도공(31)은 전방과 후방의 폭은 평상시 작은 파랑에 의해서도 해수가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될 해역에 따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의 해수교환블럭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교환블럭의 설치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교환블럭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교환블럭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교환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교환블럭의 다른실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파제 20: 해수교환블럭
21: 해수유도부 22: 해수유입공
25: 고정부 26: 결합홈
30: 몸체 31: 해수유도공

Claims (6)

  1. 방파제(10)의 일부 또는 전 구간에 설치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해수유입공(22)이 형성되도록 쐐기형상을 갖는 양측 해수유도부(21)가 구비되고, 이 해수유도부(21)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부(25)가 포함된 해수교환블럭(20)으로 구성되며, 이 해수교환블럭(20)이 전후, 좌우로 연속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적층되게 구비되어 항외측의 파랑작용에 의해 항내측으로 해수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도부(21)는 좌우로 서로 요철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3. 방파제(10)의 일부 구간에 사각형상의 몸체(30)가 설치되고, 이 몸체(30)의 내측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해수유도공(31)이 포함된 해수교환블럭(20)으로 구성되며, 이 해수교환블럭(20)이 전후, 좌우로 연속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적층되게 구비되어 항외측의 파랑작용에 의해 항내측으로 해수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도공(31)은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도공(31)은 사각형상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도공(31)의 양측에는 쐐기형상이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KR1020080049821A 2008-05-28 2008-05-28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KR20090123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21A KR20090123650A (ko) 2008-05-28 2008-05-28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21A KR20090123650A (ko) 2008-05-28 2008-05-28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650A true KR20090123650A (ko) 2009-12-02

Family

ID=4168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821A KR20090123650A (ko) 2008-05-28 2008-05-28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36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921B1 (ko) * 2013-11-12 2014-02-26 (주)씨테크알엔디 해수 유입 유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921B1 (ko) * 2013-11-12 2014-02-26 (주)씨테크알엔디 해수 유입 유도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369B1 (ko) 케이슨 유수실내의 회전 와류를 이용한 파력발전 방파제
KR101366921B1 (ko) 해수 유입 유도블록
KR20090123650A (ko) 파랑작용을 이용한 해수교환블럭이 구비된 방파제
CN109537524A (zh) 一种反弧型透空式防波堤
KR100641742B1 (ko)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해수교환 방파제
CN204728266U (zh) 具有双层消浪板的养殖型防波堤
JP2822372B2 (ja) 水質浄化堤
JPH11286916A (ja) 消波ケーソン
JP2008038428A (ja) 水流制御構造物
KR200327402Y1 (ko) 항만용 해수순환형 방파블록
JP3887791B2 (ja) 港湾内の海水交換方法と装置
KR1005137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의 월류방지용 옹벽 시설물
CN110616694A (zh) 一种组合式引水水渠
JP3504148B2 (ja) 防波堤
JP2004270433A (ja) 海水交換促進型消波堤
CN221072460U (zh) 一种航道护坡用的抛石护脚结构
JP3457755B2 (ja) 透過型消波構造物
CN218373729U (zh) 一种用于拦截蓝藻的围隔装置
JP3079406U (ja) 二重堰又は二段堰
JPS62117905A (ja) 海水交流防波堤
JPS62273311A (ja) 海水交流防波堤
KR100529116B1 (ko)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RU92031U1 (ru) Рассеивающий волны кессон
Sammarco et al. ARPEC: A Novel Staggered Perforated Caisson For Wave Absorption And Tidal Flushing
JP2004218257A (ja) 海水交換型消波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29

Effective date: 2011062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720

Effective date: 201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