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369A -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369A
KR20090123369A KR1020080049400A KR20080049400A KR20090123369A KR 20090123369 A KR20090123369 A KR 20090123369A KR 1020080049400 A KR1020080049400 A KR 1020080049400A KR 20080049400 A KR20080049400 A KR 20080049400A KR 20090123369 A KR20090123369 A KR 20090123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seaweed
hangover
drink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312B1 (ko
Inventor
현규환
Original Assignee
완도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완도군 filed Critical 완도군
Priority to KR102008004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31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42Lac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톳, 미역, 다시마,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및 둥굴레를 1:1:1:0.5:2:1:0.1~0.2의 중량비 배합하고 이를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230~330℃의 온도에서 3~4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가열 후 일정량의 물이 증발하고 남은 혼합물을 회수하여 포장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톳, 미역, 다시마,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둥굴레 등의 혼합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을 개발함으로써 숙취해소의 건강기능성뿐만 아니라 관능적 품질향상에도 기여하여 소비자의 기호성을 많이 증가할 수 있어 해조류 생산, 가공 및 시판업자의 소득증진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천연 향미물질인 젖산, 사이다향, 딸기향을 일정량 첨가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조함으로써 해조류 혼합물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여 상큼한 냄새를 생성하므로 외관 및 풍미에 있어서 기호성이 향상된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해조류, 숙취음료, 건강기능성, 식품

Description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everage for curing a hangover using a macrophyte}
본 발명은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톳, 미역, 다시마, 전복, 오가피 등의 혼합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을 개발함으로써 숙취 해소는 물론 아니라 맛과 같은 관능적인 부분의 질적 향상과 소비자의 기호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 해조류 생산, 가공 및 시판업자의 소득증진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민의 경제력 향상과 함께 웰빙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점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능성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기호성 증가로 천연물질로서 그 효능과 활용이 크게 기대되고 있는 갈조류(미역, 다시마, 톳), 녹조류(파래, 청각) 및 홍조류(김, 우뭇가사리)와 같은 해조류는 영양성분, 생리기능물질 및 풍미를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특수 성분과 효능에 의하여 기능성과 영양학적 측면 에서 경제적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식품이다.
상기 해조류에는 알긴산, 후코이단, 라미나린, 포크스테롤, 엽록소, EPA, DHA, 리놀레산, 비타민 A와 B1, B2 및 만니톨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 등의 미네랄은 골격, 치아형성, 산후 자궁수축, 지혈작용을 증진하고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의 구성 성분으로서 심장, 혈관 및 신진대사 촉진을 가능하게 하며 알칼리성 식품으로 그 기능성과 영양학적 중요성이 밝혀진 상태이다.
특히 해조류는 히스타민에 의한 혈압강하작용, 유해 LDL(low density level) 콜레스테롤의 체외 배출효과, 정장작용, 항암작용, 점질물질과 다당류에 의한 해독작용(농약 등 유해성분인 식품중금속오염물질 체외배출) 등의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알긴산에 포괄하여 고체촉매 화하여 신소재를 개발함으로써 고상(solid type)의 가공 및 발효식품의 기능성 물질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천연물질인 톳, 미역, 다시마 및 오가피 등과 같은 인체에 매우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톳, 미역, 다시마,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및 둥굴레를 1:1:1:0.5:2:1:0.1~0.2의 중량비(㎏)로 배합하고 이를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와, 상기 혼합물을 230~330℃의 온도에서 3~4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 후 일정량의 물이 증발하고 남은 혼합물을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톳, 미역, 다시마,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둥굴레 등의 혼합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을 개발함으로써 숙취해소의 건강기능성뿐만 아니라 관능적 품질향상에도 기여하여 소비자의 기호성을 많이 증가할 수 있어 해조류 생산, 가공 및 시판업자의 소득증진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천연 향미물질인 젖산, 사이다향, 딸기향을 일정량 첨가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조함으로써 해조류 혼합물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여 상큼한 냄새를 생성하므로 외관 및 풍미에 있어서 기호성이 향상된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톳, 미역, 다시마,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및 둥굴레를 1:1:1:0.5:2:1:0.1~0.2의 중량비(㎏)로 배합하고 이를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230~330℃의 온도에서 3~4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가열 후 일정량의 물이 증발하고 남은 혼합물을 회수하여 포장하는 단계에 의해 숙취해소 음료가 제조되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를 위하여 톳, 미역, 다시마,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및 둥굴레를 각 1.0㎏, 1.0㎏, 1.0㎏, 0.5㎏, 2㎏, 1.0㎏ 및 0.1㎏을 각 25ℓ의 음용수에 첨가한 다음 330℃에서 3시간 가열하였다. 가열 후 물이 증발하고 남은 혼합물 18ℓ를 회수하여 레토르트파우치 또는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에 의해 숙취해소 음료가 제조되어 진다.
[ 실시예 2]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를 위하여 톳, 미역, 다시마,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및 둥굴레를 각 1.0㎏, 1.0㎏, 1.0㎏, 0.5㎏, 2㎏, 1.0㎏ 및 0.1㎏을 각 25ℓ의 음용수에 첨가한 다음 230℃에서 4시간 가열하였다. 가열 후 물이 증발하고 남은 혼합물 18ℓ를 회수하여 레토르트파우치 또는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에 의해 숙취해 소 음료가 제조되어 진다.
[ 실시예 3]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를 위하여 톳, 미역, 다시마,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및 둥굴레를 각 1.0㎏, 1.0㎏, 1.0㎏, 0.5㎏, 2㎏, 1.0㎏ 및 0.1㎏을 각 25ℓ의 음용수에 첨가한 다음 280℃에서 3시간 10분 가열하였다. 다음 0.5㎏의 울금 분말을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다음 감압 여과한 용액 20㎖를 첨가하고 20분 동안 280℃로 가열하였다. 가열 후 물이 증발하고 남은 혼합물 18ℓ를 회수하여 레토르트파우치 또는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에 의해 숙취해소 음료가 제조되어 진다.
[ 실시예 4]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를 위하여 톳, 미역, 다시마,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및 둥굴레를 각 1.0㎏, 1.0㎏, 1.0㎏, 0.5㎏, 2㎏, 1.0㎏ 및 0.1㎏에 0.66㎏의 황설탕을 더 첨가한 다음 330℃에서 3시간 가열하였다. 가열 후 물이 증발하고 남은 혼합물 18ℓ를 회수하여 레토르트파우치 또는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에 의해 숙취해소 음료가 제조되어 진다.
[ 실시예 5]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 5에서 가열 후 물이 증발하고 남은 혼합물 18ℓ에 젖산 0.25중량%, 사이다향 0.20중량%, 딸기향 0.20중량%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 하여 첨가하여 숙취해소용 음료가 제조되어 진다.
각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 음료를 평균 연령 21~28세의 건강한 대학생을 실험 대상자로 하여 관능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실험에 사용한 숙취해소 물질은 음주 30분 전 100㎖씩 복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일반적인 음용수로 하여 각 100㎖씩 복용하였다.
그 후 각 1인당 알코올 21° 소주를 50㎖씩 5분 간격으로 15분 동안 150㎖를 음주하였다. 그리고 음주 후 각 주식회사 동원에서 제조한 비엔나소시지 1개(무게 약 7g)씩, 3회 섭취(각 소주 섭취, 중간, 그리고 완료 후)하였다. 그 후 음용수로 3회 입안을 세척하고 30분경과 후 호흡 중 알코올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1] 음주 후 대조군 및 다른 처리군과 비교한 호흡 중 알코올 농도
Figure 112008037984137-PAT00001
그 결과 해조류, 오가피 및 허깨 열매 처리군은 음주 후 0∼90분 동안 대조군에 비해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또 해조류에 첨가한 오가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또한 톳 1㎏과 오가피 함량을 2㎏까지 증가한 혼합물에 허깨열매 1㎏을 첨가한 농도에서 호흡 중 알코올 농도 감소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결과 해조류인 톳과 오가피 혼합물 음료를 음주 30분 전에 각 100㎖씩 복용할 경우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숙취해소용 음료로서의 기능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표 2] 냄새에 대한 관능평가
Figure 112008037984137-PAT00002
이처럼 해조류 음료의 저장 동안 냄새(odor)에 대한 관능평가를 9점 등급제에 의해 실시한 결과 해조류와 오가피 및 해조류와 허깨열매 혼합물 음료 처리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등급 되었다(P<0.05). 관능평가 요원들은 톳, 오가피, 허깨열매를 첨가한 해조류 혼합물 음료의 냄새는 톳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여 구수한 냄새가 좋았다고 기록하였다.
냄새 점수가 높은 것은 톳 특유의 냄새가 둥굴레, 대추, 오가피 및 허깨열매 와 잘 조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기록하였다. 그러나 울금 추출물을 첨가한 혼합물 음료의 냄새는 울금 특유의 자극적인 향으로 냄새의 점수를 낮게 평가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표 3] 외관에 대한 관능평가
Figure 112008037984137-PAT00003
해조류 음료의 저장 동안 외관(appearance)에 대한 관능평가 실시결과는 해조류와 오가피, 해조류와 허깨열매 혼합물 처리군과 울금, 오가피, 허깨열매 혼합 물 처리군과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해조류와 오가피, 허깨열매 및 울금 혼합물 처리군은 황갈색 외관의 형성에 의하여 대조군 보다 더 높게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표 4] 풍미에 대한 관능평가
Figure 112008037984137-PAT00004
이 경우 관능평가 요원들은 톳, 오가피, 허깨열매, 톳과 허깨열매 처리군의 풍미(flavor)는 대조군 보다 좋은 것으로 등급 하였다. 톳, 대추, 둥굴레, 허깨열매 및 오가피 그리고 톳, 대추, 둥굴레 및 허깨열매는 맛의 조화가 뛰어나고 구수 하고 부드러우며 감미로운 풍미를 생성하여 풍미와 뒷맛(after taste)이 높아 좋은 것으로 기록하였다. 따라서 톳과 천연물질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음료는 소비자의 식감(palatability)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톳, 울금, 오가피, 허깨열매 혼합물 액제는 울금 특유의 풍미 형성으로 톳, 오가피, 허깨열매 등이 첨가된 처리군 보다 풍미가 낮게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톳을 함유한 해조류의 풍미 물질이 대추, 둥굴레, 오가피 및 허깨 혼합물과 조화되어 감미롭고 부드러운 풍미를 생성하여 기능성 음료로서의 소비자의 기호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1)

  1. 톳, 미역, 다시마,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및 둥굴레를 1:1:1:0.5:2:1:0.1~0.2의 중량비로 배합하고 이를 물이 담긴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230~330℃의 온도에서 3~4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가열 후 일정량의 물이 증발하고 남은 혼합물을 회수하여 포장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080049400A 2008-05-28 2008-05-28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10099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400A KR100999312B1 (ko) 2008-05-28 2008-05-28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400A KR100999312B1 (ko) 2008-05-28 2008-05-28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369A true KR20090123369A (ko) 2009-12-02
KR100999312B1 KR100999312B1 (ko) 2010-12-08

Family

ID=4168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400A KR100999312B1 (ko) 2008-05-28 2008-05-28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3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4648A1 (fr) * 2010-05-07 2011-11-09 Deenox SAS Nouvelle composition comprenant des oméga-3 et son utilisation dans la gueule de bois
KR20170011313A (ko) * 2015-07-22 2017-02-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94653B1 (ko) * 2020-08-18 2020-12-24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함초 및 톳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879A (ko) 2019-12-02 2019-12-20 이수호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음용수
KR102482449B1 (ko) 2021-05-25 2022-12-29 (주)산하바이오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30149161A (ko) 2022-04-19 2023-10-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4648A1 (fr) * 2010-05-07 2011-11-09 Deenox SAS Nouvelle composition comprenant des oméga-3 et son utilisation dans la gueule de bois
FR2959644A1 (fr) * 2010-05-07 2011-11-11 Deenox Sas Nouvelle composition comprenant des omega-3 et son utilisation dans la gueule de bois
KR20170011313A (ko) * 2015-07-22 2017-02-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94653B1 (ko) * 2020-08-18 2020-12-24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함초 및 톳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312B1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8648B (zh) 一种果汁饮料
KR100999312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TW200529767A (en) Packaged beverages
CN102349587B (zh) 一种薰衣草果味茶
JP2013247872A (ja) オリーブゼリー食品
CN101836752B (zh) 一种食凉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80073880A (ko) 박과 식초 조성물
CN107549537A (zh) 一种微气泡复合果汁及其制备工艺
CN107446790A (zh) 一种果醋养生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814586B1 (ko) 바나나 및 사과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CN101984837B (zh) 一种柑桔乌龙茶及其加工方法
CN103960414A (zh) 一种蜂蜜沙田柚茶及其制备工艺
CN101214030B (zh) 原汁枇杷膏及其制作方法
CN109280589A (zh) 一种零添加养生粮食酒制酒工艺
RU224688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здоровитель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го напитка
CN108041355A (zh) 一种保健饮料配方及其制备方法
CN107629928A (zh) 甜叶菊草莓酒的勾兑工艺
RU2536054C1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шиповниковый напиток
RU2277833C1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KR100584888B1 (ko) 장어와 한방생약을 주재료로 하는 강정음료 및 이의제조방법
US20100247670A1 (en) Red Grape Dry Composition and Health Tea
US9458039B2 (en) Production process for a zinc enriched drinking water, composition and packaged water
CN101861976A (zh) 一种桂花保健饮料
CN104783218A (zh) 一种风味牛腩的制作方法
KR20050040343A (ko) 녹용을 포함하는 건강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