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270A - 박스 - Google Patents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270A
KR20090123270A KR1020080049255A KR20080049255A KR20090123270A KR 20090123270 A KR20090123270 A KR 20090123270A KR 1020080049255 A KR1020080049255 A KR 1020080049255A KR 20080049255 A KR20080049255 A KR 20080049255A KR 20090123270 A KR20090123270 A KR 20090123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cover
box
guide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273B1 (ko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27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스몸체(10)와, 이에 결합되는 커버(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몸체(10)에는 박스몸체(1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가이드돌기(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0)는 상기 박스몸체(10)와 커버(30)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가이드면(21)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30)의 선단을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 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30)가 어느 정도 어긋난 방향으로 박스몸체(10)에 결합되더라도 커버(30)의 선단이 가이드돌기(20)의 가이드면(21)을 타고 박스몸체(10)의 외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버(30)와 박스몸체(10) 사이가 정확하게 결합되므로, 박스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박스, 커버, 결합구조, 가이드돌기

Description

박스{Box}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몸체와 이에 결합되어 박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용물을 차폐하는 커버 사이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 등에서 전장부품에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정션박스나 퓨즈박스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정션박스나 퓨즈박스는 차량의 엔진룸이나 차실 내부 등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도 1에는 차량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박스몸체(2)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되고,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전장품이 실장된다.
상기 박스몸체(2)의 외면에는 걸이턱(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7)의 걸이후크(8)와 대응되는 것으로, 걸이후크(8)가 걸어져 박스몸체(2)와 커버(7)가 결합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턱(3)은 상기 박스몸체(2)의 외면을 둘러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박스몸체(2)의 외면에는 지지리브(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4)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7)의 스커트부(9)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박스몸체(2)와 커버(7)의 조립과정에서 커버(7)의 선단이 어긋나지 않고, 박스몸체(2)의 외면에 정확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박스몸체(2)의 외면에는 장착브라켓(5)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브라켓(5)은 상기 박스가 차량의 내부 등과 같은 설치장소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몸체(2)의 외면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박스몸체(2)에는 커버(7)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7)는 상기 박스몸체(2)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몸체(2)에 실장된 전장품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7)에는 걸이후크(8)가 구비되어, 상기 박스몸체(2)의 걸이턱(3)에 걸어진다.
상기 커버(7)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스커트부(9)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커트부(9)는 상기 박스몸체(2)의 지지리브(4)에 안착되어, 커버(7)와 박스몸체(2)가 어긋나지 않고 서로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박스몸체(2)와 커버(7)는 상기 걸이턱(3)과 걸이후크(8)의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즉, 작업자는 상기 커버(7)를 상기 박스몸체(2)의 상부로부터 박스몸체(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박스몸체(2)와 커버(7)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박스몸체(2)와 커버(7)가 서로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커버(7)의 스커트부(9)가 지지리브(4) 상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못하고 어긋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커버(7)의 스커트부(9)가 상기 지지리브(4)를 벗어나 박스몸체(2)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커버(7)의 일부가 박스몸체(2)에 너무 깊히 결합되어 커버(7)의 다른 부분이 박스몸체(2)에 제대로 결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박스몸체(2)에 가이드돌기(6)를 구비하여 박스의 스커트부(9)가 상기 지지리브(4) 상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박스몸체(2)의 외면 및 가이드돌기(6)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 커버(7)의 스커트부(9)가 안내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위치된 지지리브(4) 상에 커버(7)의 스커트부(9)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커버(7)를 박스몸체(2)에 제대로 조립하지 못하여, 상기 커버(7)의 스커트부(9)가 상기 가이드돌기(6)를 덮어버리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돌기(6)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고, 커버(7)와 박스몸체(2)가 오조립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와 박스몸체가 서로 어느 정도 어긋난 방향에서 결합되더라도 정확한 결합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에 결합되어 박스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박스몸체와 커버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선단을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면은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선단으로 갈수록 가이드돌기의 폭이 작이지도록 하는 가이드면과, 상기 가이드면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면과, 상기 연결면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의 가이드면과 연결면은 서로 연속된 곡면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커버의 선단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에는 장착브라켓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된다.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외면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커트부의 선단이 안착되는 지지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지지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박스몸체로부터 상기 스커트부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스커트부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가이드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박스몸체로부터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돌기의 폭은 상기 커버의 선단에 형성된 스커트부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와 상기 박스몸체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턱과 체결후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체결후크 또는 체결턱은 상기 박스몸체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박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몸체에 가이드면이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박스몸체에 결합되는 커버의 선단을 안내하므로, 커버가 어느 정도 어긋난 방향으로 박스몸체에 결합되더라도 커버의 선단이 가이드돌기의 가이드면을 타고 박스몸체의 외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와 박스몸체 사이가 정확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박스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버가 박스몸체에 결합되면, 커버의 선단이 박스몸체의 가이드돌기에 지지되어 박스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박스의 결합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돌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션박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박스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박스몸체(1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각종 전장품이 실장되는 부품장착부(12)가 구비된다.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에는 지지리브(1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13) 는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을 둘러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의 스커트부(32) 선단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지지리브(13)는 커버(30)가 박스몸체(10)의 외면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에는 장착브라켓(14)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브라켓(14)은 상기 박스를 차량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몸체(10)에 다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장착브라켓(14)은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4a)와, 상기 돌출부(14a)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는 장착부(14b)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14a)는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외면이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과 평행을 이루게 되고, 상기 장착부(14b)는 상기 돌출부(14a)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실질적으로 삽입된다. 즉, 체결구는 상기 장착부(14b)에 형성된 체결공(14b')을 통해 삽입되어 차량의 내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박스가 차량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14)에는 지지편(14c)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14c)은 상기 돌출부(14a)와 상기 장착부(14b)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장착부(14b)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착브라켓(14)에는 보강리브(15)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15)는 상기 지지편(14c)과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부(14a)와 상기 장착부(14b)를 연결하여 상기 장착부(14b)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몸체(10)에는 체결턱(17)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턱(17)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의 체결후크(37)에 대응되는 것으로, 체결후크(37)가 탄성변형을 통해 걸어져 커버(30)가 박스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턱(17)은 후술할 가이드돌기(20)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박스몸체(10)에는 가이드돌기(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0)는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박스몸체(10)와 커버(30)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커버(30)가 박스몸체(10)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돌기(20)는 커버(30)를 박스몸체(10)의 외면 방향으로 안내하여 커버(30)의 선단이 상기 지지리브(13) 상에 정확한 안착되도록 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0)의 외면은 가이드면(21)과 연결면(23), 그리고 지지면(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면(21)은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커버(30)의 스커트부(32) 선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면(21)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20)는 상기 박스몸체(10)에 연결된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선단에 이르기까지 그 두께(L)가 점점 줄어들게 된다.
상기 가이드면(21)의 일단에는 연결면(23)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면(23)은 상기 가이드면(21)의 일단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면(21)과 함께 커버(30)의 스커트부(32) 선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면(21)과 연결면(23)은 서로 연속된 곡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면(21)과 연결면(23)은 서로 연결되어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커버(30)의 스커트부(32) 선단이 자연스럽게 박스몸체(10)의 외면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면(23)의 선단에는 지지면(2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25)은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면(21) 및 연결면(23)에 의해 안내된 커버(30)의 스커트부(32)가 접하여 지지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면(25)은 평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돌기(20)의 두께(L)는 커버(30)의 스커트부(32)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박스몸체(10)로부터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돌기(20)의 두께(L)가 상기 커버(30)의 선단에 형성된 스커트부(32)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가이드돌기(20)의 두께(L)가 충분하게 커져야만, 커버(30)가 박스몸체(10)에 오조립되어 커버(30)의 스커트부(32)가 박스몸체(10)로부터 어느 정도 멀어지는 경우에도 커버(30)를 박스몸체(10)의 외면과 가이드돌기(20) 사이의 정확한 위치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가이드돌기(20)가 상기 박스몸체(10)로부터 돌출된 높이(H)는 적어도 상기 커버(30)의 스커트부(32)가 박스몸체(10)의 외면과 가이드돌기(2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가이드돌기(20)를 타고 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커버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스커트부(32)가 상기 가이드돌기(20)의 지지면(25)에 접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가이드돌 기(20)의 높이(H)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돌기(20)가 상기 박스몸체(10)로부터 돌출된 높이(H)는 스커트부(32)가 외력에 의해 가이드돌기(20)를 타고 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가장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이드돌기(20)의 돌출된 높이(H)를 최소한으로 하여, 박스조립과정에서 상기 스커트부(32)가 상기 가이드돌기(20)를 덮더라도 스커트부(32)가 상기 가이드돌기(20)의 가이드면(21)을 비교적 쉽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버(30)의 스커트부(32)가 안내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커버(30)의 스커트부(32)의 일단을 박스몸체(10)의 외면에 고정하고, 타단을 회전시키면서 커버(30)를 박스몸체(1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커버(30)의 스커트부(32) 일단이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과 가이드돌기(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리브(13) 상에 정확하게 지지되지 못하고, 커버(30)의 스커트부(32)의 선단이 상기 가이드면(21)에 안착된 상태로 커버(30)가 눌리게 되면(화살표 ①방향), 커버(30)의 스커트부(32)의 선단은 가이드면(2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화살표 ②방향).
이와 같이 되면 커버(30)는 상기 박스몸체(10)의 장착브라켓(14),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보강리브(15)에 접하게 되어 더 이상 눌리지 않게 되고, 작업자가 커버(30)의 타단을 회전시키게 되면 커버(30)의 스커트부(32)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면(21)을 타고 다시 상승함과 동시에 박스몸체(10)의 외면 방향으로 이동된다(화살표 ③방향). 이는, 상기 커버(3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커트부(32)가 상기 가이드면(21)을 타고 박스몸체(10)의 외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버(30)가 계속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면(21)을 따라 상승된 커버(30)의 스커트부(32)의 일단은 상기 연결면(23)을 따라 계속 이동하여, 결국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과 가이드돌기(20)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안내되어, 지지면(25)에 접하여 고정된다.
한편, 커버(30)의 스커트부(32)의 선단이 상기 연결면(23)과 상기 지지면(25)의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눌리게 되는 경우에는(화살표 ①'방향), 커버(30)의 스커트부(32)의 선단은 곡면으로 형성된 연결면(23)을 따라 이동하면서(화살표 ②'방향).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과 가이드돌기(20)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안내되어, 지지면(25)에 접하여 고정된다.
상기 박스몸체(10)에는 커버(30)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박스몸체(10)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여 박스몸체(10)와의 사이에 장착공간(S)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간(S)에 설치되는 전장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30)의 가장자리에는 스커트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스커트부(32)는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에 실질적으로 접하여 지지되는 부분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박스몸체(10)의 지지리브(13)에 안착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스커트부(32)의 내면에는 경사면(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30)가 상기 박스몸체(10)와 결합되었을 때, 장착공간(S)을 향하는 상기 스커트부(32)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0)의 가이드면(21)에 대응되는 경 사면(3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2')은 상기 스커트부(32)의 선단으로 갈수록 스커트부(32)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32)가 상기 가이드면(21)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30)의 외면에는 체결후크(3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후크(37)는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에 구비된 상기 체결턱(17)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턱(17)과 서로 걸어짐으로써, 상기 박스몸체(10)와 상기 커버(3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체결후크(37)가 상기 박스몸체(10)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턱(17)이 상기 커버(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가 박스몸체에 결합되는 과정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박스몸체(10)에 오조립된 커버(30)가 정확한 위치로 안내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작업자는 우선 박스몸체(10)의 부품장착부(12)에 부품을 장착하거나 교체한 후에, 상기 박스몸체(10)에 커버(30)를 결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커버(30)의 어느 일측을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을 회전시키면서 결합시키게 된다.(도 5a)
이때, 상기 커버(30)의 선단에 형성된 스커트부(32)의 일단은 박스몸체(10)의 외면에 형성된 지지리브(13)에 접해야 하는데, 작업자의 부주의로 상기 스커트부(32)의 선단이 지지리브(13)에 장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 기 스커트부(32)의 일단이 박스몸체(10)의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0) 상에 안착되거나, 또는 가이드돌기(20)를 완전히 덮어버리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도 5a에는 이와 같이 상기 스커트부(32)가 상기 가이드돌기(20)를 덮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30)의 타측을 회전시켜 상기 커버(30)와 박스몸체(10)가 평행하게 되도록 하면, 상기 스커트부(32)의 선단은 상기 가이드돌기(20)의 가이드면(21)을 타고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가이드면(21)이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이러한 스커트부(32)의 안내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도 5b에서 보듯이, 상기 커버(30)의 스커트부(32)의 선단은 가이드면(21)을 타고 이동하여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상기 커버(30)를 상기 박스몸체(10) 방향으로 더욱 눌러주면, 커버(30)의 체결후크(37)는 탄성변형을 통해 박스몸체(10)의 체결턱(17)에 걸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에 접한 스커트부(32)는 그 선단이 상기 박스몸체(1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돌기(20)와 박스몸체(10)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P)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커트부(32)는 상기 지지리브(13)에 안착되어 그 일측면이 상기 가이드돌기(20)의 지지면(25)에 밀착되어 고정된다.(도 5c)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커버(30)의 스커트부(32)가 가이드돌기(20)를 덮는 경우에도, 커버(30)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스커트부(32)가 가이드돌기(20)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어 정확한 위치로 이동되므로, 조립을 해제하고 다시 조립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0)의 스커트부(32)가 상기 가이드돌기(20)와 박스몸체(10) 사이에 일단 안착되면, 스커트부(32)의 외면이 가이드돌기(20)의 지지면(25)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돌기(20)가 상기 박스몸체(10)로부터 돌출된 높이(H)는 적어도 스커트부(32)가 외력에 의해 가이드돌기(20)를 타고 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정도로 높이 형성되므로, 상기 스커트부(32)는 상기 박스몸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설치되는 정션박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커버가 결합되는 박스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20)의 가이드면(21)을 제외한 연결면(23)과 지지면(25)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가이드면(21)과 연결면(23)이 반드시 곡면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20)는 반드시 장착브라켓(14)에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박스몸체(10)의 외면에 돌출된 지지리브(13) 상에 박스몸체(10)로부터 이격되 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에서 커버가 박스몸체에 오조립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돌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가 박스몸체에 결합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박스몸체 12: 부품장착부
13: 지지리브 14: 장착브라켓
15: 보강리브 17: 체결턱
20: 가이드돌기 21: 가이드면
23: 연결면 25: 지지면
30: 커버 32: 스커트부
32': 경사면 37: 체결후크

Claims (11)

  1.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에 결합되어 박스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박스몸체와 커버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선단을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면은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선단으로 갈수록 가이드돌기의 폭이 작이지도록 하는 가이드면과,
    상기 가이드면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면과,
    상기 연결면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가이드면과 연결면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된 곡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박스몸체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커버의 선단이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과 상기 가이드돌기 사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의 선단이 상기 가이드돌기를 타고 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가장 낮은 높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커버의 선단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에는 장착브라켓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장착브라켓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외면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 고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커트부의 선단이 안착되는 지지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지지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박스몸체로부터 상기 스커트부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스커트부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가이드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두께는 상기 커버의 선단에 형성된 스커트부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박스몸체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턱과 체결후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체결후크 또는 체결턱은 상기 박스몸체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KR1020080049255A 2008-05-27 2008-05-27 박스 KR100995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55A KR100995273B1 (ko) 2008-05-27 2008-05-27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55A KR100995273B1 (ko) 2008-05-27 2008-05-27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270A true KR20090123270A (ko) 2009-12-02
KR100995273B1 KR100995273B1 (ko) 2010-11-19

Family

ID=4168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255A KR100995273B1 (ko) 2008-05-27 2008-05-27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2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273B1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875Y1 (ko) 박스
KR101428276B1 (ko)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JP4869814B2 (ja) ドアライニング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US20070216199A1 (en) Fender panel structure
KR20090008655U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KR20110117937A (ko) 차량용 박스
EP3444485B1 (en) Fastener and fastening arrangement
KR100995273B1 (ko) 박스
JP4283136B2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KR101628520B1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고정장치
KR200441440Y1 (ko) 정션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102273864B1 (ko)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KR102540927B1 (ko) 차량용 클립
KR102090128B1 (ko)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KR20120001399U (ko) 부품장착장치
KR100948133B1 (ko) 박스의 장착부
JPS645604Y2 (ko)
KR200437690Y1 (ko) 정션박스
JP6543666B2 (ja) 壁パネルの継合構造
KR100922155B1 (ko) 박스의 브라켓
KR20100001490U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JP5671728B2 (ja) 部品取付用樹脂クリップ及び部品取付構造
KR101151902B1 (ko) 프로텍터 고정장치
KR200439566Y1 (ko) 정션박스의 커버
KR20100084890A (ko)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