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842A -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 Google Patents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842A
KR20090122842A KR1020080048849A KR20080048849A KR20090122842A KR 20090122842 A KR20090122842 A KR 20090122842A KR 1020080048849 A KR1020080048849 A KR 1020080048849A KR 20080048849 A KR20080048849 A KR 20080048849A KR 20090122842 A KR20090122842 A KR 20090122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veyor
showcase
goods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오메가 비젼 주식회사
김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메가 비젼 주식회사, 김창현 filed Critical 오메가 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2842A/ko
Publication of KR2009012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F10/02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self-service type systems, e.g. supermar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A47F3/125Doors for show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7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erishable go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9/00Shop, bar, bank or like counters
    • A47F9/02Paying counters
    • A47F9/04Check-out counters, e.g. for self-service stores
    • A47F9/046Arrangement of recording means in or on check-out counters
    • A47F9/047Arrangement of recording means in or on check-out counters for recording self-service articles without cashier or assista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6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ectilinearly mov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빵, 케이크, 떡, 회, 꽃 등은 상하기 쉽고 비교적 부피가 큰 제품을 영업 시간 외에 판매할 수 있는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진열장은,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된 트랙(track) 형태의 선반과, 이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일부분이 투명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상품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개구부 내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 상기 두 개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두 개의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로킷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 상기 체인에 연결되어 선반을 따라 이동하고 전면이 개방된 다수개의 상품 안치부가 형성된 컨베이어; 상기 케이스의 일 측을 폐쇄하는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상품 안치부에 안치되어 있는 상품을 꺼낼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도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상품 안치부가 상기 도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의 전자식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열장, 자동판매, 무인판매, 케이크, 떡, 선반

Description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Goods showcase with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상품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빵, 케이크, 떡, 회, 꽃 등은 상하기 쉽고 비교적 부피가 큰 제품을 영업 시간 외에 판매할 수 있는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매장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매장은 그 판매물품에 따라 식료품점, 제과점, 의류점 등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이들 매장들은 대부분 물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장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진열장에서 필요한 물품을 직접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들 매장들은 그 판매 물품에 따라 다양한 판매 형태를 나타낸다. 즉, 의류나 공산품 등과 같이 신선도가 요구되지 않는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경우에는 당일에 판매되지 않은 물품을 다음날에도 그대로 진열장에 진열하여 판매하게 된다.
그러나, 빵, 케이크, 떡, 회, 꽃 등과 같이 유통 기간이 있고 신선도가 요구되는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경우 해당 물품을 당일에 모두 판매하여야 한다. 따라서 당일에 판매하지 못하고 남은 제품은 다음날 수거하여 폐기하므로 손해가 발생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영업 시간 외에도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영업 시간 외에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야근 수당이 별도로 제공되어야 하므로 판매량과 대비하여 볼 때 수익이 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매장에서는 당일에 모든 상품을 팔기 위해서 매장이 문을 닫는 시간이 가까워지면 해당 물품의 가격을 대폭 할인하여 가급적 모든 물품이 판매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대부분 모든 상품이 판매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부득이 남은 물품은 폐기 처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빵, 케이크, 떡, 회, 꽃 등 유통 기간이 있는 상품을 영업 외 시간에 무인으로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를 제안한다.
이제까지, 각종 캔음료나 커피 등을 무인으로 판매하는 자동판매기가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부피가 작고 포장이 잘 되어 있는 상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위에서 아래로 낙하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빵, 케이크, 떡, 회, 꽃 등은 위에서 아래로 떨어뜨릴 경우 상품이 크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빵, 케이크, 떡, 회, 꽃 등을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는 종래의 캔음료나 커피 자동판매기에 비해서 부피가 크기 때문에 매장 외의 다른 장소, 예 를 들어 복도나 가로변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빵, 케이크, 떡, 회, 꽃 등은 상하기 쉽고 비교적 부피가 큰 상품을 영업 시간 외에 판매할 수 있는 무인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장의 일부에 설치되는 진열장을 무인 자동판매기로 활용함으로써 자동판매기의 설치공간 문제를 해결하고, 상품을 위에서 아래로 낙하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평으로 이송함으로써 무인 판매과정에서 상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열장을 이용한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진열장에 전시된 상품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하는 진열장을 이용한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다수 개의 선반과 이들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일부분이 투명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상품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개구부 내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 상기 두 개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두 개의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로킷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 상기 체인에 연결되어 선반을 따라 이동하며 전면이 개방된 다수 개의 상품 안치부가 형성된 컨베이어; 상기 케 이스의 일 측을 폐쇄하는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상품 안치부에 안치되어 있는 상품을 꺼낼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도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상품이 도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도어의 전자식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된 트랙(track)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선택된 상품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품선택을 위한 입력부, 결제를 위한 카드리더 및 지폐 또는 동전 인식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다수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수평 컨베이어와 일정 간격으로 수직벽을 형성하는 수직 컨베이어에 의해서 다수개의 상품 안치부를 형성하는 자바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하 및 좌우 그리고 후면 벽으로 이루어져 소정 크기의 상품 안치부를 형성하는 부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비용결제가 완료되면, 선택된 상품이 안치되어 있는 상품 안치부가 도어의 후방에서 멈추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반의 개구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선반 지지대에는 두 개의 회전축 사이에 설치된 체인을 받쳐주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품 안치부의 하면에는 구름 바퀴가 설치되어 상기 선반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 내의 고객은 물론이고 매장 외부의 고객도 무인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을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열장은 매장을 닫은 심야시간에도 외부 고객에 대하여 물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통기간이 지나서 폐기하는 상품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영업 외 시간에 투입되는 인건비와 대폭적인 할인 판매로 인한 손해를 막을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권리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에 사용하는 컨베이어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컨베이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1)(이하, '무인판매 진열장'이라 약칭한다)는 각종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쇼윈도나 매장의 내,외를 구분하는 경계면에 설치된다. 상기 무인판매 진열장(1)은 크게 상품 진열부(2)와 상품 이송부(3) 및 무인 판매부(4)로 구성된다.
상품 진열부(2)는 상품을 전시하는 부분으로, 다단의 선반(20)과, 이들 선반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30) 그리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구매자가 전시된 상품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케이스(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반(2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운데에 개구부(21)가 형성된 트랙(track)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직 지지대(30)는 선반의 개구부(21) 내부에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수직 지지대(30)에는 선반(20)을 지탱하기 위한 브래킷(31)이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품 진열부(2)는 여러 단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선반(20)과, 이들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수직 지지대(30)와, 선반(20)과 수직 지지대(30)를 모두 감싸는 케이스(4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40)는 전면과 후면 그리고 일 측면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매장의 내부나 외부에서 전시되어 있는 상품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스(40)의 후면에는 다수 개의 미닫이 문(44)이 설치되어 매장 안쪽에서는 상품을 쉽게 꺼낼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케이스(40)의 전면에는 문이 설치되 지 않아 매장 바깥쪽에서는 상품을 꺼낼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40)의 일 측에는 무인 판매부(4)가 설치된다. 무인 판매부(4)는 구입할 상품을 선택하고 금액을 결재하기 위한 제어반(5)과 케이스(40)의 전면의 일부를 폐쇄함과 아울러 상품을 투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투출구(Gate)가 관통되어 있는 패널부(6)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반(5)에는 상품 진열부(2)에 전시되어 있는 상품의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표시부(61)과,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62), 선택된 상품에 대한 금액을 결재하기 위한 결재부(70)가 구비되고, 상기 패널부(6)에는 결재가 완료된 상품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도어(8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80)는 케이스(40)의 내측에 전시되어 있는 상품 중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서 수평으로 이송된 상품을 꺼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어(80)는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80)의 전면 하측에는 손잡이가 설치된다. 또, 도어(80)의 하측에는 도어가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잠금장치(82)가 설치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잠금장치(82)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케이스(40)의 전면 하단에도 개폐 가능한 다수 개의 덮개(41)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덮개(41)는 바람직하게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80)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41)의 하단에도 덮개가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잠금장치(4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40)의 하부에는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 동장치와 히터 그리고 조명장치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품 진열부(2)의 내부에는 상품을 이송하기 위한 상품 이송부(3)가 구비된다. 상기 상품 이송부(3)는 선반(20)의 개구부(21) 내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110)과, 상기 두 개의 회전축(110)에 설치된 스프로킷(120)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130)과, 상기 체인(130)에 연결되어 선반(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품을 수평이송시키는 컨베이어(140)와, 상기 두 개의 회전축(11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50)로 구성된다.
상기 두 개의 회전축(110)은 좌우로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수평 지지대(113)가 설치되어 수직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상단에 설치된 수평 지지대(113)에는 턴 버클이 설치되어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회전축(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수직을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회전축(1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11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로킷(120)은 회전축(110) 상에는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프로킷(120) 간의 거리는 선반(20) 사이의 거리와 일치한다. 그리고 두 개의 회전축(110)에 설치된 스프로킷(111) 간에 체인(120)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인(120)은 선반(20)의 상면과 근접하게 설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체인(120)의 하부에는 체인(120)을 안내하기 위한 채널이 설치된다. 상기 채널은 수직 지지대(30)의 브래킷(3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회전축(110)의 하단부에는 각각 풀리(117)가 설치되고, 이 풀리(117)와 구동모터(150)의 구동축에 설치된 두 개의 풀리(118) 사이에는 벨트(119)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50)가 회전하면, 벨트(119)는 두 개의 회전축(110)의 풀리(117)를 통해 두 개의 회전축(110)을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110)이 회전하면, 회전축(110)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 개의 스프로킷(120)과 이 스프로킷(120)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13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체인(130)에 연결되어 있는 컨베이어(140)는 상기 체인(130)에 의해서 선반(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140)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품을 안치하기 위한 상품 안치부(141)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베이어(140)는 전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자(143)는 상하 및 좌우 벽으로 이루어져 소정 크기의 상품 안치부(141)를 형성한다. 상기 상자(143)의 바닥판(410)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선단에는 걸림턱(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품 안치부(130)의 바닥판(410)의 하면에는 선반(20)의 상면과 접하는 구름 바퀴(144)와 체인(130)과 연결되는 연결핀(145)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핀(145)은 체인(130)과 일체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구름 바퀴(144)는 바닥판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리브(413)에 바퀴의 축이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핀(145)은 바닥판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보스(415)에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반(5)의 표시부(61)는 LCD나 LED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62)는 키패드와 터치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지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금액을 결재하기 위한 결재부(70)는 고객이 카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카드리더(63), 지폐나 주화를 입금하기 위한 지폐 또는 주화 투입구(64)와, 상품을 구입하고 남은 잔금 등을 배출하기 위한 잔금 배출구(65)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반(5)의 내부에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카드리더(63), 지폐 또는 코인 인식기(64) 및 지폐 방출기를 구동하는 엠박스(M-BOX)(66)를 제어한다. 또, 상기 제어부(60)는 LCD와 터치스크린, LED패널 등 각종 표시장치의 드라이브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입력 키패드(62), 마이크 및 카메라(67)와 연결되어 각종 입력 정보를 수용함과 아울러 프린터(68)와 연결되어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구동모터(150)와 도어(80) 및 덮개(41)의 잠금장치(82)를 작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60)는 도시되지 않은 쿨러와 히터 및 조명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상품 진열부(3)에 전시되어 있는 상품을 신선하게 유지한다.
상기 지폐 또는 코인 인식기(64)는 지폐 투입구를 통해 입금되는 지폐와 주화 투입구를 통해 입금되는 주화를 인식한다. 이들 지폐 또는 주화인식기(64)에 의해 인식된 결과 정보는 제어부(60)로 제공된다. 지폐 또는 주화 방출기(65)는 제어 부(60)의 제어에 따라 고객의 물품 구매에 따른 잔금이나 반환금을 잔금 배출구로 배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60)에는 영상 보드가 설치되어 HDTV를 출력할 수 LCD패널로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60)는 USB등을 이용하여 매장 내부의 POS와 연결되거나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입출금에 관한 정보나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61)에 제공된 상품 정보 및 상품 진열부(2)에서 취득한 물품 정보를 근거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과 가격을 확인한 후, 입력부(62)의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여 구매 물품을 선택한다. 그러면 입력부(62)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 데이터 및 선택 데이터는 제어부(60)로 인가된다. 제어부(60)는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를 제시한다. 입력부(62)를 통해서 고객이 입력한 정보는 다시 표시부(61)에 표시된다.
상기 카드리더(63), 지폐 투입구(64)와, 주화 투입구에 카드, 지폐나 주화를 투입하여 금액을 결재하면, 상기 제어부(60)는 구동모터(150)를 구동시켜 컨베이어(140)를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택된 상품을 도어(80)의 후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어(80)의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는 잠금장치(82)를 해제시켜서 컨베이어(140)의 상품 안치부(141)에 있는 상품을 꺼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종업원이 근무하지 않는 영업 시간 외에도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인판매 진 열장(1)은 컨베이어(140)의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의 컨베이어(140)는, 상품을 안치하기 위한 상품 안치부(141)를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서 두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도 8a은 자바라(Zebra Type)의 일 예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8b는 부스타입(Booth Type)의 일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스타입 및 자바라 타입의 컨베이어는 회전축(110)의 회전에 의해서 선반(20)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점과, 상품을 안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꺼내기 쉽도록 전방이 개방된 상품 안치부(141)를 구비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다만,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바라형 컨베이어(180)는 다수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수평 컨베이어(181)와 일정 간격으로 수직벽을 형성하는 수직 컨베이어(182)에 의해서 상품 안치부(141)를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수평 컨베이어(181)와 수직 컨베이어(182)는 모두 체인(13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 컨베이어(181)와 수직 컨베이어(182)는 회전축(110)의 회전에 의해서 선반(20)을 따라 수평이동하게 된다. 수평 컨베이어(181)와 수직 컨베이어(182)는 체인(120)에 의해서 동시에 회전하므로 수평 컨베이어(181)에 놓여 진 상품도 상품 안치부(141)를 벗어나지 않고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컨베이어(182)는 특수섬유로 이루어져 비교적 쉽게 구부러질 수 있으나, 수직벽은 이중 벽 구조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견고하다.
이어,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스형 컨베이어(170)는 다수 개의 상자로 이루어진다. 상자는 상하 및 좌우 그리고 후면 벽으로 이루어져 소정 크기의 상품 안치부(141)를 형성한다. 이웃하는 상자는 서로 분리되거나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부스형 컨베이어(170)의 바닥에는 선반(20)의 상면과 접하는 구름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은 영업 시간에는 상품 안치부에 수납된 상품이 연속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고객의 시선을 끌을 수 있다. 그리고 영업 시간 외에는 매장 외부의 고객이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이용하여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유통기간이 지나서 폐기하는 상품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영업 외 시간에 투입되는 인건비와 대폭적인 할인 판매로 인한 손해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에 사용하는 컨베이어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컨베이어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컨베이어의 두 가지 형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무인판매 진열장 2. 상품 진열부
3. 상품 이송부 4. 무인 판매부
5. 제어반 6. 패널부
7. 수납부 20. 선반
21. 개구부 30. 수직 지지대
40. 케이스 41. 덮개
60. 제어부 61. 표시부
62. 입력부 80. 도어
110. 회전축 113. 수평 지지대
115. 베어링 117, 118. 풀리
119. 벨트 120. 스프로킷
130. 체인 140. 컨베이어
141. 상품 안치부 150. 구동모터
170. 부스형 컨베이어 180. 자바라형 컨베이어 181.수평 컨베이어 182. 수직 컨베이어

Claims (6)

  1. 다수 개의 선반과 이들 선반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 및 일부분이 투명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상품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가운데에 형성된 개구부 내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
    상기 두 개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두 개의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로킷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
    상기 체인에 연결되어 선반을 따라 이동하고 전면이 개방된 다수 개의 상품 안치부가 형성된 컨베이어;
    상기 케이스의 일 측을 폐쇄하는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상품 안치부에 안치되어 있는 상품을 꺼낼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도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상품이 해당하는 도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된 트랙(track)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선택된 상품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품선택을 위한 입력부, 결제를 위한 카드리더 및 지폐 또는 동전 인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다수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수평 컨베이어와 일정 간격으로 수직벽을 형성하는 수직 컨베이어에 의해서 다수개의 상품 안치부를 형성하는 자바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하 및 좌우 그리고 후면 벽으로 이루어져 소정 크기의 상품 안치부를 형성하는 부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 타입 컨베이어의 바닥에는 선반의 상면과 접하는 구름 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KR1020080048849A 2008-05-26 2008-05-26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KR20090122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849A KR20090122842A (ko) 2008-05-26 2008-05-26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849A KR20090122842A (ko) 2008-05-26 2008-05-26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842A true KR20090122842A (ko) 2009-12-01

Family

ID=4168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849A KR20090122842A (ko) 2008-05-26 2008-05-26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284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164B1 (ko) * 2010-09-14 2011-02-17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용 카세트 구동장치 및 이를 갖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
CN103325181A (zh) * 2012-08-29 2013-09-25 沈金钟 一种斗链式袋装水自动贩卖机
CN104123789A (zh) * 2013-04-28 2014-10-29 王芳 一种自动售货机
WO2016145097A1 (en) * 2015-03-09 2016-09-15 Kranium Sports, Llc Helmet dispensing system
CN109147183A (zh) * 2018-10-31 2019-01-04 苏州小玉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超市自助结款购物柜
CN109622415A (zh) * 2019-01-16 2019-04-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筛选转移系统及自动贩卖机
CN109801440A (zh) * 2019-02-19 2019-05-24 宁波力得箱包有限公司 一种旅行用品自助售卖设备
CN110246270A (zh) * 2019-05-29 2019-09-17 陈明治 一种生鲜自动零售装置
CN112581692A (zh) * 2020-12-30 2021-03-30 天津森茂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不同性别的防艾滋用品贩卖机
CN116959168A (zh) * 2023-07-24 2023-10-27 滁州市精美家电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led展示柜的无人售货机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164B1 (ko) * 2010-09-14 2011-02-17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용 카세트 구동장치 및 이를 갖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
CN103325181A (zh) * 2012-08-29 2013-09-25 沈金钟 一种斗链式袋装水自动贩卖机
CN104123789A (zh) * 2013-04-28 2014-10-29 王芳 一种自动售货机
WO2016145097A1 (en) * 2015-03-09 2016-09-15 Kranium Sports, Llc Helmet dispensing system
CN109147183A (zh) * 2018-10-31 2019-01-04 苏州小玉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超市自助结款购物柜
CN109622415A (zh) * 2019-01-16 2019-04-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筛选转移系统及自动贩卖机
CN109801440A (zh) * 2019-02-19 2019-05-24 宁波力得箱包有限公司 一种旅行用品自助售卖设备
CN110246270A (zh) * 2019-05-29 2019-09-17 陈明治 一种生鲜自动零售装置
CN110246270B (zh) * 2019-05-29 2021-07-02 苏州律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生鲜自动零售装置
CN112581692A (zh) * 2020-12-30 2021-03-30 天津森茂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不同性别的防艾滋用品贩卖机
CN116959168A (zh) * 2023-07-24 2023-10-27 滁州市精美家电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led展示柜的无人售货机
CN116959168B (zh) * 2023-07-24 2024-03-05 滁州市精美家电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led展示柜的无人售货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2842A (ko) 무인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상품 진열장
AU2005280432B2 (en) RF point of purchas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867260B1 (ko) 유,무인 판매방식의 전환이 가능한 점포운영 시스템
US200601789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int of purchase products
AU2005280363B2 (en) Point of purchase dispensing device with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H09223269A (ja) 自動販売装置
CN111971716B (zh) 可食用产品和/或耐用品的自动分配器
KR102541531B1 (ko)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JP2002092725A (ja) 自動販売機
CN110992582B (zh) 陈列柜兼用自动售货机
KR20090110027A (ko) 자동판매기능을 갖춘 매장용 진열대
JP2020106901A (ja) 自動販売機
JP4830864B2 (ja) 自動販売機
CN216561962U (zh) 一种熟食自动化贩卖机
KR200257879Y1 (ko) 게임자판기
KR102565602B1 (ko)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냉장 자동 판매장치
JP3975949B2 (ja) 自動販売機
JPH10208134A (ja) 自動販売機
JPH10248688A (ja) 商品販売設備
TWM595858U (zh) 貼身衣物自動販賣機
JP4136728B2 (ja) 商品販売陳列ケース
JP2005031722A (ja) 自動販売機
JP200424089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装置
JP200110149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装置
KR200190110Y1 (ko) 게임기능을 구비한 상품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