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263A -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그리고 큐어링 및 저온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그리고 큐어링 및 저온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263A
KR20090121263A KR1020090097100A KR20090097100A KR20090121263A KR 20090121263 A KR20090121263 A KR 20090121263A KR 1020090097100 A KR1020090097100 A KR 1020090097100A KR 20090097100 A KR20090097100 A KR 20090097100A KR 20090121263 A KR20090121263 A KR 20090121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servoir
air
exhaust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654B1 (ko
Inventor
심기섭
Original Assignee
심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기섭 filed Critical 심기섭
Priority to KR102009009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65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Abstract

농산물을 장기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고 내의 농산물을 큐어링 및 예건, 그리고 저온 저장하는 과정에서 농산물 등 저장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가스와 열기 등을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유닛, 이를 갖는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이 개시된다.
농산물의 종류 및 건조 조건에 따라, 콘트롤러 및 타이머에 의한 일정 시간 동안 큐어링 및 예건을 하며, 배기 설정값에 도달되면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고 내부의 공기나 습기를 배출하고, 저장고 외부와의 압력 차이를 자동으로 조정하며, 큐어링 및 예건이 끝나면 자동으로 뜨겁고 습한 공기를 배기시킨 후 저온 저장으로 전환되고, 저온 저장 과정에서는 저장물로부터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 및 기타 저장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등과 함께 제상 열기를 자동으로 배기시켜 주는 토탈 솔루션 자동 배기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그리고 큐어링 및 저온 저장 방법 {Curing and low-temperature storage system, and curing and low-temperature storage method}
본 발명은 배기 유닛, 이를 갖는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큐어링 및 저온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과 같은 저장물을 장기적으로 저온 저장하기 위한 저온 저장고에서의 전자동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서 배기 유닛을 이용하여 저장고 내의 공기 및 가스를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수확한 농산물과 같은 저장물을 큐어링(curing)을 하기 위해 별도의 건조실을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저온 저장고로 옮겨 저온 저장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상기 저온 저장고 내에서 건조와 저온 저장을 함께 하는 경우에도 건조와 저온 저장이 각각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큐어링 이후에, 관리자가 상기 저장고 출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저장고 내부의 열기와 큐어링 과정에서 발생한 농산물로부터 발생한 각종 가스 등을 일정 시간 배기시키게 된다. 관리자는 다시 상기 저장고 출입구를 닫은 후, 냉동기를 가동하여 상기 저장고의 온도를 낮춰 저온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온 저장고에서 농산물로부터 발생한 에틸렌 가스 등과 같은 기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상기 저장고의 상부 벽체를 천공하여 형성한 배기구에 배기 팬을 설치하여 배기 시마다 관리자가 상기 배기구를 열어 팬을 작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제상과는 관계없이 단지 에틸렌 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배기구를 열었다가 일정 시간 후에 닫는 것으로 매우 번거롭고 위험하였다.
다른 방법의 예로서 공압을 이용하여 배기 창을 열어 배기하는 방법이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01-004421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공기 압축기, 에어 실린더, 공기압 도관, 창문, 경첩, 캐치 등의 설치를 위한 값비싼 시설비와 공기 압축기 작동시의 소음 발생, 전력 소비 및 지속적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 역시 제상 시 발생하는 제상 열기나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함이 아니라, 단순히 농산물에서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기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고 내부의 환경을 자동화하여 저장물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큐어링 및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큐어링 및 저온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냉각 유닛의 측부에 건조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건조 유닛과 상기 냉각 유닛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용의 컨트롤러를 제공하여 건조와 저온 저장, 및 이하에서 설명하는 자동 배기 유닛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고 내부의 가스와 열기를 자동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배기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 통로 내에 형성된 차단편을 전기장치로 자동 개폐할 수 있는 배기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기 어셈블리의 내부 또는 외부(상기 저장고 내측 또는 외측)에 배기 팬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배기 유닛이 제공된다. 타이머와 가스 센서(온도, 습도, 가스 농도)에 의해 기 설정된 작동 조건에 도달하게 되면, 구동 장치와 상기 배기 팬에 전기가 인가되어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배기 팬의 풍압에 의해 상기 배기 어셈블리의 차단 편이 열리면서, 열기와 습기, 가스 등이 배기된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배기 팬에 전기가 인가되지 않는 상대 배기 어셈블리는 상기 저장고 내부와 외부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정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유닛은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벽체의 내부와 외부를 향해 각각 개방된 제1 및 제2 영역들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들 사이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제1 및 제2 통기구들을 정의하는 교차부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1 삽입홀에 삽입되고 지지되는 축봉, 상기 제1 영역에서 제1 측부가 삽입된 상기 축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통기구들을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측부와 반대하는 제2 측부가 삽입된 상기 축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통기구들을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통기구들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개폐부를 구동시키는 배기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축봉의 제1 측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과 상기 제1 통기구들을 차단하기 위한 제1 차단편들을 갖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축봉의 제1 측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으로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축봉의 제2 측부가 삽입되는 제3 삽입홀과 상기 제2 통기구들을 차단하기 위한 제2 차단편들을 갖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축봉의 제2 측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으로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프레임의 교차부의 제1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개폐부의 제1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축 방향을 따라 나사 모양으로 굴곡진 돌기부를 갖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3 삽입홀은 상기 슬리브의 돌기부가 삽입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3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슬리브가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개폐부의 제1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축봉의 제1 측부가 삽입되는 플런저, 및 상기 축봉의 제1 측부 및 상기 플런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 통기구들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자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시스템은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고,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켜 저장물을 저온 저장시키기 위한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 유닛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켜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 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유닛, 상기 냉각 유닛 및 상기 배기 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 유입된 제1 공기 및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 직접 유입된 제2 공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배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집기 유닛, 및 상기 냉각 유닛, 상기 제상 히터, 상기 건조 유닛, 상기 배기 유닛 및 상기 집기 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고 내부의 가스와 온도 또는 상기 냉각 유닛 및 건조 유닛의 온도에 따라 상기 집기 유닛 및 상기 배기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기 유닛은 상기 냉각 유닛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기를 수집하는 집기부, 상기 집기부와 상기 배기 유닛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2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연결 덕트, 및 상기 연결 덕트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연결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제1 및 제2 공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를 상기 배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연결 덕트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 시트 및 상기 제2 공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연결 덕트를 차단하거나 상기 제1 공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개구부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단 시트를 회전시키는 댐퍼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차단 시트의 일면에 설치되는 가열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상 히터의 작동에 의해 상승된 상기 냉각 유닛의 온도가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기 유닛 및 상기 배기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집기 유닛이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의 상기 제1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배기 유닛으로 공급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1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의 차동(differential) 온도에 도달할 때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건조 히터 및 상기 건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히터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의 상기 건조 히터 및 상기 히터 팬이 작동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 유닛의 쿨러 팬을 함께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유닛이 작동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유닛의 상기 히터 팬을 함께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의 저장물의 저장 상태에 영향을 주는 가스의 농도가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기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집기 유닛이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의 상기 제2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배기 유닛으로 공급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2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장 방법에 있어서, 저장고 내부의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모드 및 저온 저장시키기 위한 저온 저장 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건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건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킨다. 상기 저온 저장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냉각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고 내부를 냉각시킨다. 상기 저온 저장 모드 중에 상기 냉각 유닛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유닛에 설치된 제상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 유닛을 제상시킨다. 상기 저장고 내부의 가스와 온도 또는 상기 냉각 유닛의 온도에 따라 기 설정된 제상 시간동안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 유입된 제1 공기 및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 직접 유입된 제2 공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고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를 상기 저장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상 히터에 의해 상승된 상기 냉각 유닛의 온도가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1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의 차동(differential) 온도로 하강 하였을 때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제1 공기를 상기 냉각 유닛의 상부에서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제1 공기를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배기 유닛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방법은,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도중에 상기 저장고 내부의 저장물의 저장 상태에 영향을 주는 가스의 농 도가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는, 상기 건조 유닛이 작동될 때 상기 냉각 유닛의 쿨러 팬을 함께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를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냉각 유닛이 작동될 때 상기 건조 유닛의 히터 팬을 함께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방법은, 상기 저장고 내부에서 가스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스의 농도가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측정된 가스의 배출을 시작하고, 기 설정된 농도 이하이면 상기 배출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 저장고에서 농산물의 큐어링 및 예건이 가능하게 된다. 큐어링 및 예건 시에 디지털 콘트롤러와 각종 센서에 의해 기 설정된 작동 조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저장고 내부의 열기와 습기, 가스 등이 자동으로 배기되며, 배기 후에는 자동으로 저온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신설뿐만 아니라 기존의 저온 저장고, 냉동고, 건조실 등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어, 막대한 시설비를 들이지 않고도 큐어링 및 예건, 자동 배기를 할 수 있으며, 저온 저장에서 제상 시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저장고 의 저장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저장물의 저장 기간과 신선도를 증가시키고, 에틸렌 가스 등의 신속한 제거로 농산물 저장 기간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냉동기 가동 시간의 감소로 인한 냉동기 내구 수명의 연장과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큐어링 및 건조에 있어서는 무인 자동화로, 에너지와 인력, 비용의 절감 그리고 간단한 설비로, 관리 유지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어셈블리는 저장고 내부와 외부의 압력 평형을 자동적으로 유지하고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에 따르면, 저온 저장, 냉각 유닛의 제상 또는 큐어링과 같은 건조 중에 발생하는 가스들을 상기 저장고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출하여 저장물의 저장성 및 품질 유지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기 유닛, 이를 갖는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큐어링 및 저온 저장 방법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 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장 시스템(10)은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102)을 제공하는 저장고(100),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 유닛(200), 저장고(100)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기 유닛(300), 냉각 유닛(200)과 배기 유닛(300) 사이에 설치되는 집기 유닛(400), 냉각 유닛(200) 측부에 설치되는 건조 유닛(500) 그리고 상기 유닛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닛들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저장고(100)는 농산물과 같은 저온 저장이 필요한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102)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고(100)에는 마늘, 양파, 고구마, 생강 등과 같은 근채류, 원예 작물이나 사과, 배 등과 같은 과채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냉각 유닛(200)은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냉각 유닛(200)은 증발기(210) 및 쿨러 팬(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냉각 유닛(200)은 냉매 배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저장고(100) 외부에 설치된 압축기(도시되지 않음) 및 응축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쿨러 팬(220)은 작동하여 증발기(210)로부터의 저온의 공기를 저장고(100) 내에서 순환시키게 된다.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은 제어부(7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쿨러 팬(220)을 제어하여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배기 유닛(300)은 저장고(100)의 벽체를 관통하여 복수로 설치되어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저장고(100) 내부 및 외부의 압력 차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기 유닛(300)은 배기 어셈블리(310) 및 배기 팬 유닛(36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유닛(300)의 배기 어셈블리(310) 및 배기 팬 유닛(360)은 제어부(7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배기 어셈블리(310) 및 배기 팬 유닛(360)을 제어하여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배기 유닛(300)의 어셈블리(310)는 저장고(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자동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배기 어셈블리(310)는 저장고(100)의 벽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기 팬 유닛(360)은 배기 어셈블리(3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팬 유닛(360)은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배기 어셈블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팬(362, 도 2 참조) 및 저장고(100) 내측 또는 외측에 착탈 가능한 공기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700)에 연결된 배기 유닛(300)은 저장물의 저장, 예를 들면, 큐어링 과정 중에 발생되는 에틸렌 가스, 황화 가스,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가스를 센서부(600)에 의해 감지하거나 기 설정된 일정 시간마다 저장고(100)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 유닛(300)은, 제상 히터(250)에 의해 상승된 냉각 유닛(200)의 온도를 제어부(700)에 연결된 냉각 유닛 온도 센서(230)에 의해 감지하거나 제어부(700)에 기 설정된 배기 시간마다 냉각 유닛(200)의 제상 과정 중에 발생되는 뜨거운 공기를 저장고(100)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차동 온도에 도달하면 배기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집기 유닛(400)은 냉각 유닛(200) 및 배기 유닛(3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집기 유닛(400)은 냉각 유닛(200)으로부터 배기 유닛(300)으로의 공기의 흐름 또는 저장고(100) 내부로부터 배기 유닛(300)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집기 유닛(400)은 냉각 유닛(20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냉각 유닛(200)의 내부로부터의 제1 공기를 수집하여 배기 유닛(3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집기 유닛(400)은 저장고(100) 내부와 선택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저장고(100) 내부로부터의 제2 공기를 수집하여 배기 유닛(3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집기 유닛(400)은 댐퍼(41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410)는 제어부(7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댐퍼(410)를 제어하여 집기 유닛(400)의 댐퍼(410)가 상기 제1 공기 또는 상기 제2 공기를 선택적으로 수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저장 시스템(10)은 냉각 유닛(200)에 설치되는 제상 히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상 히터(250)는 냉각 유닛(200) 내부의 증발기(210)에 설치되어 증발기(210) 상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제상 히터(250)는 제어부(7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상 히터(250)를 제어하여 냉각 유닛(200)에 적상되는 성에를 전열을 통해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저장 시스템(10)은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유닛(500)은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건조 히터(510) 및 건조 히터(51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저장고(100) 내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히터 팬(520)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히터(510) 및 히터 팬(520)은 제어부(700)와 연결되고, 제어부(700)는 건조 히터(510) 및 히터 팬(5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500)은 근채류의 수확 중에 발생하는 상처의 치유와 표면 수분을 건조시켜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큐어링(curing)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큐어링을 위해 건조 유닛(510)이 작동되면,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와 습도는 상승하게 된다. 저장고(100) 내부의 환경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700)는 배기 유닛(300)을 작동시켜 저장고(100) 내부의 뜨겁고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저장 시스템(10)은 저장고(100) 내부의 기체를 검출하고 저장고(100)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600)에 의해 검출된 기체는 저장고(100) 내부의 상기 저장물의 저장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검출된 가스는 에틸렌 가스, 수증기, 황화 가스, 이산화탄소 및 상기 저장물이나 인체에 유해한 다른 가스일 수 있다.
센서부(600)는 제어부(700)와 연결되고, 제어부(700)는 센서부(600)에 의해 검출된 가스의 농도 및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저장 시스템(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장 시스템의 배기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유닛(300)은 배기 어셈블리(310) 및 배기 팬 유닛(3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기 팬 유닛(360)은 배기 어셈블리(3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기 팬 유닛(360)은 배기 어셈블리(310)의 내부 측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배기 팬 유닛(360)은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배기 어셈블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팬(3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배기 유닛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축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어셈블리(310)는 케이스(312), 프레임(314), 축봉(320), 제1 개폐부(330), 제2 개폐부(340) 및 배기 구동부(350)를 포함한다.
배기 어셈블리(310)의 케이스(312)는 저장고(100)의 벽체(104)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케이스(312)는 벽체(104)의 내부(저장고(100)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제1 영역(106) 및 벽체(104)의 외부(저장고(100)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제2 영역(108)을 갖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312)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케이스(312)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14)은 케이스(312)의 제1 및 제2 영역들(106, 108) 사이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14)은 다수개의 제1 통기구들(316) 및 다수개의 제2 통기구들(318)을 정의하는 교차부(315)를 갖는 교차형 프레임이다. 프레임(314)은 제1 영역(106)과 접하는 제1 면(F1) 및 제2 영역(108)과 접하고 제1 면(F1)에 반대하는 제2 면(F2)을 갖는다.
따라서,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는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을 통해 제1 영역(106)에서 제2 영역(108)으로 흐를 수 있고, 저장고(100) 외부의 공기는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을 통해 제2 영역(108)에서 제1 영역(106)으로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은 프레임(314)의 교차부(315)를 중심으로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314)은 4개의 통기구들을 정의할 수 있다. 두개의 제1 통기구들(316)과 두 개의 제2 통기구들(318)은 서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통기구(316)는 제2 통기구들(318)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통기구(318)는 제1 통기구들(3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기구(316)는 제2 통기구(318)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은 삼각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축봉(320)은 프레임(314)의 교차부(315)에 형성된 제1 삽입홀(317)에 삽입된다. 따라서, 축봉(320)은 프레임(314)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320)은 제1 측부(322), 제2 측부(324) 및 중앙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봉(320)의 제1 측부(322)는 케이스(312)의 제1 영역(106)에 위치하고, 축봉(320)의 제2 측부(324)는 케이스(312)의 제2 영역(108)에 위치한다. 축봉(320)의 중앙부(326)는 제1 측부(322)와 제2 측부(324)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봉(320)의 중앙부(326)에는 제1 나사부(327)가 형성되고, 프레임(314)의 교차부(315)의 제1 삽입홀(317)의 내주면 상에는 제1 나사부(327)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축봉(320)의 제1 나사부(327)는 프레임(324)의 제1 삽입홀(317)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봉(320)은 프레임(320)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제1 개폐부(330)는 제1 측부(322)가 삽입된 축봉(3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프레임(314)의 제1 면(F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제1 통기구들(316)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개폐부(340)는 제2 측부(324)가 삽입된 축봉(3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프레임(314)의 제2 면(F2)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제2 통기구들(318)을 개폐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는 제1 영역(106)에 배치되며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제1 개폐부(3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개폐부(330)는 제1 플레이트(332) 및 제1 탄성 부재(334)를 포함하고, 제2 개폐부(340)는 제2 플레이트(342) 및 제2 탄성 부재(3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구동부(350)는 플런저(352) 및 솔레노이드(3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320)의 제1 측부(322)는 제1 개폐부(330)의 제1 플레이트(332)의 제2 삽입홀(333)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32)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1 플레이트(332)는 프레임(314)의 제1 통기구들(316)을 차단하기 위한 제1 차단편들(336)을 구비한다. 제1 차단편(336)은 제1 통기구(31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차단편(336)은 제1 통기구(316)의 부채꼴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332)는 두개의 제1 차단편들(336)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334)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 상에 구비되어 제1 플레이트(332)를 프레임(314)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어셈블리(310)는 제1 고정 프레임(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370)은 케이스(312)의 일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370)은 저장고(100)의 내부 및 케이스(312)의 제1 영역(10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370)은 저장고(100)의 내부 및 케이스(312)의 제1 영역(106)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위한 다수개의 제3 통기구들(372)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어셈블리(310)는 제2 고정 프레임(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케이스(312)의 타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저장고(100)의 외부 및 케이스(312)의 제2 영역(10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저장고(100)의 외부 및 케이스(312)의 제2 영역(108)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위한 다수개의 제4 통기구들(382)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조립의 편의 및 구조의 단순화를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봉(320)의 제1 측부(322)의 일단에는 제2 나사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부(322)의 제2 나사부(323)는 제1 고정 프레임(370)의 제1 고정홀(37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는 솔레노이드(354)를 지지하는 지지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의 지지부(356)는 고정 나사 및 고정 볼트들에 의해 제1 고 정 프레임(370)의 고정 나사홀(375)에 고정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의 지지부(356)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357)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축봉(320)의 제1 측부(322)는 배기 구동부(350)의 지지부(356)를 관통하고, 제1 측부(322)의 제2 나사부(323)는 제1 고정 프레임(370) 중앙의 제1 고정홀(37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32)는 제1 플레이트(332)의 고정홀(335) 및 플런저(352)의 고정홀(351)에 삽입된 플런저 고정 나사(351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6)의 플런저(352)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353)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352)는 가이드 홀(353)에 삽입된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32)와 결합된 플런저(352)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하여 플런저(352)의 일부는 솔레노이드(354)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334)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 및 플런저(352)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탄성 부재(334)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34)의 일단부는 배기 구동부(350)의 지지부(356)와 접촉하고, 제1 탄성 부재(334)의 타단부는 플런저(352) 또는 제1 플레이트(332)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 부재(334)는 제1 플레이트(332)를 프레임(314)의 제1 면(F1)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320)의 제2 측부(324)는 제2 개폐부(340)의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42)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2 플레이트(342)는 프레임(314)의 제2 통기구들(318)을 차단하기 위한 제2 차단편들(346)을 구비한다. 제2 차단편(346)은 제2 통기구(318)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차단편(346)은 제2 통기구(318)의 부채꼴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342)는 두개의 제2 차단편들(346)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344)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 상에 구비되어 제2 플레이트(342)를 프레임(314)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탄성 부재(344)는 원추형의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축봉(320)의 제2 측부(324)의 일단에는 제3 나사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축봉(320)의 제2 측부(324)의 일단에는 와셔(365)가 구비될 수 있다. 와셔(365)는 고정 너트(366)에 의해 제2 측부(324)의 일단의 제3 나사부(325)에 고정되어 제2 탄성 부재(344)를 제2 측부(324) 상에 지지시킬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344)의 일단부는 제2 플레이트(342)와 접촉하고, 제2 탄성 부재(344)의 타단부는 와셔(365)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42)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342)는 제2 탄성 부재(344)에 의해 프레임(314)의 제2 면(F2)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의 둘 레를 따라 수용홈(34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2)와 접촉하는 제2 탄성 부재(344)의 일단부는 제2 플레이트(342)의 수용홈(345)에 수용될 수 있다. 와셔(365)는 제2 탄성 부재(344)의 타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와셔(365)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2 탄성 부재(344)의 타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탄성 부재(344)의 일단부는 제2 플레이트(342)의 수용홈(345)에 수용되고 제2 탄성 부재(344)의 타단부는 와셔(365)의 상기 절곡부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제2 탄성 부재(344)가 축봉(320) 및 제2 플레이트(342)의 중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봉(320)의 제1 측부(322)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2 측부(324)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축봉(320)의 제2 측부(324)는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32)의 제2 삽입홀(333)은 축봉(320)의 제1 측부(32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은 축봉(320)의 제2 측부(324)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은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42)는 축봉(320)의 축 방향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으면서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차단편(336)은 함 몰된 형상의 제1 수압부(33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2)의 제2 차단편(346)은 함몰된 형상의 제2 수압부(34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압부(336a)는 프레임(314)의 제1 면(F1)에 밀착하는 제1 플레이트(332)의 일면으로부터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압부(346a)는 프레임(314)의 제2 면(F2)에 밀착하는 제2 플레이트(342)의 일면으로부터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압부(336a)는 제1 통기구(316)로부터의 공기압을 용이하게 수용하고 제2 수압부(346a)는 제2 통기구(318)로부터의 공기압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기 어셈블리(310)는 케이스(312)의 외주면 상에 프레임(314)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히터(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고(100)의 내부는 냉각 유닛(200)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므로, 프레임(314)과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332, 342)이 결빙되어 배기 어셈블리(310)가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배기 어셈블리(310)의 히터(370)는 프레임(314)의 온도를 증가시켜 프레임(314)과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332, 342)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기 유닛(300)은 배기 팬 유닛(360)의 내부 측면을 커버하는 제1 커버(364) 및 배기 어셈블리(310)의 외부 측면을 커버하는 제2 커버(36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유닛(300)은 제1 커버(364) 및 배기 팬(362) 사이에 배치되는 착탈 가능한 필터(368)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배기 어셈블리(310)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332, 342)은 케이스(312)의 제1 및 제2 영역들(106, 108) 사이의 압력 차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영역들(106, 108) 사이의 압력 평형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332)는 케이스(312)의 제1 및 제2 영역들(106, 108)의 압력 차이에 의해 이동하여 프레임(314)의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06)의 제1 압력이 제2 영역(108)의 제2 압력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영역(108)에서의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은 제1 통기구들(316)을 차단하고 있는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차단편들(336), 구체적으로 제1 차단편(336)의 함몰된 제1 수압부들(336a)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32)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영역(106)의 제1 압력이 제2 영역(108)의 제2 압력과 같아지게 되면,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차단편들(336)의 함몰된 제1 수압부들(336a)에 가해지는 압력은 사라지고, 제1 플레이트(332)는 제1 탄성 부재(334)에 의해 다시 프레임(314)의 제1 면(F1)에 밀착하여 제1 통기구들(316)을 차단하게 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342)는 케이스(312)의 제1 및 제2 영역들(106, 108)의 압력 차이에 의해 이동하여 프레임(314)의 제2 통기구들(318)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06)의 제1 압력이 제2 영역(108)의 제2 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영역(106)에서의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은 제2 통기구들(318)을 차단하고 있는 제2 플레이트(342)의 제2 차단편들(346), 구체적으로 제2 차단편(346)의 함몰된 제2 수압부들(346a) 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42)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제2 통기구들(318)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2 영역(108)의 제2 압력이 제1 영역(106)의 제1 압력과 같아지게 되면, 제2 플레이트(342)의 제2 차단편들(346)에 가해지는 압력은 사라지고, 제2 플레이트(342)는 제2 탄성 부재(344)에 의해 다시 프레임(314)의 제2 면(F2)에 밀착하여 제2 통기구들(318)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 어셈블리(310)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332, 342)은 저장고(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들을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저장고(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구동부(350)는 제1 플레이트(332)가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제1 개폐부(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의 솔레노이드(354)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354)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플런저(352)를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런저(352)와 결합된 제1 플레이트(332)도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배기 구동부(350)에 의해 제1 플레이트(332)가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하여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고 있을 때, 배기 어셈블리(310)의 일측면에 배치된 배기 팬 유닛(360)은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배기 팬 유닛(360)에 의해 배출된 공기는 제2 플레이트(342)를 제2 측부(324)를 따라 이동시켜, 제2 통기구들(318)이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 모두가 개방되고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후에, 배기 구동부(350)의 솔레노이드(354)에 인가된 전원이 끊어지고 배기 팬 유닛(360)의 동작이 정지되면, 제1 플레이트(332)는 제1 탄성 부재(334)에 의해 다시 프레임(314)의 제1 면(F1)으로 이동하여 제1 통기구들(316)을 차단하고 제2 플레이트(342)는 제2 탄성 부재(344)에 의해 다시 프레임(314)의 제2 면(F2)으로 이동하여 제2 통기구들(318)을 차단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배기 유닛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어셈블리는 케이스의 형상 및 상기 배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영역들을 제외하고는 도 3의 실시예의 배기 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 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배기 어셈블리(310)의 케이스(312)는 저장고(100)의 벽체(104)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312)는 벽체(104)의 관통홀의 내벽 일부만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312)는 저장고(100)의 내부에 인접한 상기 관통홀의 내벽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다.
프레임(314)은 케이스(31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제1 영역(106) 및 제2 영역(108)을 정의한다. 제1 영역(106)은 벽체(104)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고 제2 영역(108)은 벽체(104)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구동부(350)는 제2 영역(108)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축봉(320)의 제1 측부(322)는 제2 영역(108)에 위치하고, 축봉(320)의 제2 측부(324)는 제1 영역(106)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370)은 고정 볼트들(376)에 의해 케이스(312)에 설치된다. 고정 볼트(376)의 일단부는 케이스(312)에 고정되고, 고정 볼트(376)의 타단부는 고정 너트(377)에 의해 제1 고정 프레임(370)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제1 고정 프레임(370)은 고정 볼트들(376)의 길이만큼 프레임(314)으로부터 이격되어 케이스(312)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 프레임(370)은 저장고(100)의 외부 및 케이스(312)의 제2 영역(10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폐부(330)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프레임(314)의 제2 면(F2)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제1 통기구들(316)을 개 폐할 수 있다.
제2 개폐부(340)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프레임(314)의 제1 면(F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제2 통기구들(318)을 개폐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의 지지부(356)는 고정 나사들에 의해 제1 고정 프레임(370)의 고정 나사홀(375)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폐부(330) 및 배기 구동부(350)는 저장고(100)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제2 영역(108)에 배치되게 된다. 한편, 제2 개폐부(340)는 저장고(100)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제1 영역(106)에 배치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배기 구동부(350)는 제1 플레이트(332)가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제1 개폐부(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구동부(350)는 제1 개폐부(330)를 저장고(100)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의 솔레노이드(354)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354)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플런저(352)를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런저(352)에 고정된 제1 플레이트(332)도 저장고(100)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게 된다.
배기 구동부(350)에 의해 제1 플레이트(332)가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하 여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고 있을 때, 배기 어셈블리(310)의 일측면에 배치된 배기 팬 유닛(360)은 작동될 수 있다.
배기 팬 유닛(360)의 작동에 의해 저장고(100) 외(내)부의 공기는 제1 영역(106)에 유입되고, 이어서, 유입된 공기는 개방된 제1 통기구들(316)을 통해 저장고(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에, 배기 구동부(350)의 솔레노이드(354)에 인가된 전원이 끊어지고 배기 팬 유닛(360)의 동작이 정지되면,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차단편들(336)은 제1 탄성 부재(334)에 의해 제1 통기구들(316)을 차단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배기 유닛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어셈블리는 배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을 제외하고는 도 3의 실시예의 배기 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개폐부(340)는 제1 개폐부(330)의 제1 플레이트(332)에 고정되는 슬리브(3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폐부(340)의 제2 플레이트(342)는 슬리브(348)의 돌기부(348a)에 의한 선형 이동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축봉(320)은 프레임(314)의 교차부(315)에 형성된 제1 삽입홀(317)에 삽입될 수 있다. 축봉(320)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축봉(320)의 제1 측부(322)의 일단부에는 제1 나사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부(322)의 일단부는 케이스(312)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1 고정 프레임(370)의 제1 고정홀(37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어셈블리(310)는 제2 고정 프레임(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케이스(312)의 타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저장고(100)의 외부 및 케이스(312)의 제2 영역(10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 프레임(380)은 저장고(100)의 외부 및 케이스(312)의 제2 영역(108)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위한 다수개의 통기구들(382)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축봉(320)의 제2 측부(324)의 일단에는 제2 나사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부(324)의 일단부는 케이스(312)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제2 고정 프레임(380)의 제2 고정홀(383)을 관통하여 고정 너트(266)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축봉(320)의 제1 나사부(323)는 제1 고정 프레임(370)의 제1 고정홀(373)에 나사 결합되고 축봉(320)의 제2 나사부(325)는 제2 고정 프레임(380)의 제2 고정홀(383)을 관통하여 고정 너트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봉(320)은 제1 고정 프레임(370) 및 제2 고정 프레임(380)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축봉(320)의 제1 측부(322)는 제1 개폐부(330)의 제1 플레이트(332)의 제2 삽입홀(333)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32)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334)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 상에 구비되어 제1 플레이트(332)를 프레임(314)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축봉(320)의 제2 측부(324)는 제2 개폐부(340)의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42)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344)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 상에 구비되어 제2 플레이트(342)를 프레임(314)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면상에는 배기 구동부(350)의 플런저(352)가 고정되고,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면과 반대하는 제2 면상에 슬리브(348)가 고정될 수 있다.
축봉(320)의 중앙부(326)는 슬리브(348)의 제2 가이드 홀(349)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348)는 축봉(320)의 제2 측부(3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슬리브(348)는 프레임(314)의 교차부(315)에 형성된 제1 삽입홀(317) 및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에 삽입될 수 있다.
슬리브(348)는 축 방향을 따라 나사 모양으로 굴곡진 돌기부(348a)를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은 슬리브(348)의 돌기부(348a)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347)을 가질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332)가 축봉(320)의 제1 측부(322) 를 따라 솔레노이드(354) 향하여 이동할 때, 제1 플레이트(332)의 제2 면에 고정된 슬리브(348)도 축봉(320)을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슬리브(348)가 일정 거리만큼 상기 솔레노이드를 향해 이동하게 되면, 슬리브(348)의 돌기부(348a)는 제2 플레이트(342)의 제3 삽입홀(343)의 슬릿(347)을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342)는 슬리브(348)의 축 방향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348)가 축봉(320)을 따라 이동하면, 제2 플레이트(342)는 슬리브(348)의 축 방향에 대하여 90˚ 회전할 수 있다.
배기 구동부(350)의 솔레노이드(354)에 전원이 인가되면, 플런저(352)와 제1 플레이트(332)는 축봉(320)의 제1 측부(322)를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를 향해 이동하여 제1 통기구들(316)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332)에 고정된 슬리브(348)도 축봉(320)을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를 향해 이동하게 되면, 제2 플레이트(342)는 슬리브(348)의 축 방향에 대하여 90˚회전하게 된다.
배기 구동부(35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차단편들(336)은 프레임(314)의 제1 통기구들(316)을 차단하고 있고, 제2 플레이트(342)의 제2 차단편들(346)은 프레임(314)의 제1 통기구들(316)과 교호적으로 배치된 제2 통기구들(318)을 차단한다.
배기 구동부(350)가 작동하게 되면, 제1 플레이트(332)에 고정된 슬리 브(348)도 축봉(320)을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슬리브(348)의 돌기부(348a)에 대응하는 제2 플레이트(342) 중앙의 슬릿(347)에 의해, 제2 플레이트(342)는 축봉(320)에 대하여 90˚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342)의 제2 차단편들(346)은 제1 플레이트(332)의 제1 차단편들(336)과 겹쳐지게 배열된다. 이 때, 배기 유닛(360)에 전원이 인가되면 배기팬의 풍압에 의해 제2 차단편(346)의 수압부(346a)에는 풍압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풍압은 제2 탄성부재(344)의 탄성력을 누르고 프레임(314)의 교차부(315)에 접해있는 제2 플레이트(342)를 제2 영역(108)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314)의 교차부(315)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314)의 제2 통기구들(318)은 제2 플레이트(342)의 제2 차단편들(346)에 커버되지 않고 제1 통기구(316)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완전히 개방되어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배기 구동부(350)와 배기 유닛(360)에 전원이 소거되면, 제1 플레이트(332)는 제1 탄성 부재(334)의 탄성력에 의해 그리고 제2 플레이트(342)는 제2 탄성 부재(344)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프레임(314)의 교차부(315)로 되돌아와 교호적으로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을 차단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시스템의 냉각 유닛 및 집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냉각 유닛 및 집기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냉각 유닛의 내부 구조를 생략하고 외형 형상만을 나타낸다.
도 1,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냉각 유닛(200) 및 집기 유닛(400)은 저 장고(100)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냉각 유닛(200)은 제1 개방부(202) 및 제1 개방부(202)와 마주하는 제2 개방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은 제2 개방부(204)를 통해 저장고(100)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제1 개방부(202)를 통해 증발기(210)로부터의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여 저장고(100) 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집기 유닛(400)은 냉각 유닛(200) 및 배기 유닛(3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집기 유닛(400)은 냉각 유닛(200)의 내부로부터의 제1 공기 및 냉각 유닛(200)을 거치지 않은 저장고(100) 내부로부터의 제2 공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수집하여 배기 유닛(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집기 유닛(400)은 댐퍼(410), 집기부(420) 및 연결 덕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집기부(420)는 냉각 유닛(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집기부(420)는 냉각 유닛(200)의 상부에 연결되는 챔버(4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유닛(200)의 내부로터의 상기 제1 공기는 챔버(422) 내로 수집될 수 있다.
챔버(422)는 사다리꼴 형상의 연결부(424)에 의해 연결 덕트(430)에 연결되고, 연결 덕트(430)는 가변형 덕트(432)에 의해 배기 유닛(3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덕트(430)는 집기부(420)와 배기 유닛(300)을 연결하여 냉각 유 닛(200)의 내부로부터 배기 유닛(300)으로의 상기 제1 공기의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덕트(430)에는 댐퍼(41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덕트(430)의 일측면에는 개구부(402)가 형성된다. 저장고(100) 내부로부터의 상기 제2 공기는 개구부(402)를 통해 연결 덕트(430)로 유입될 수 있다.
댐퍼(410)는 개구부(40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제1 및 제2 공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를 배기 유닛(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댐퍼(410)는 연결 덕트(43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댐퍼(410)는 연결 덕트(43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부(402) 또는 연결 덕트(430)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시트(412) 및 차단 시트(412)를 구동하기 위한 댐퍼 구동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 구동부(414)는 솔레노이드 또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410)의 차단 시트(412)는 상기 제2 공기의 흐름을 위해 연결 덕트(430)를 차단하거나 상기 제1 공기의 흐름을 위해 개구부(402)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 구동부(414)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차단 시트(412)는 자체 중력에 의해 연결 덕트(430)를 차단하고 개구부(402)를 개방시킨다. 댐퍼 구동부(414)에 전원이 인가되면, 차단 시트(412)는 회전하여 개구부(402)를 차단하고 연결 덕트(430)를 개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댐퍼(410)는 차단 시트(412)의 일면에 설치되는 가열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고(100)의 내부는 냉각 유닛(200)에 의 해 저온으로 유지되므로, 댐퍼(410)의 차단 시트(412)와 연결 덕트(430)는 결빙되어 댐퍼(410)가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시트는 차단 시트(412)의 온도를 증가시켜 차단 시트(412)와 연결 덕트(430)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각 유닛 및 상기 집기 유닛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댐퍼 구동부(414)에 전원이 인가되면, 차단 시트(412)는 회전하여 개구부(402)를 차단하고 연결 덕트(430)를 개방시킨다. 이 때,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 및 증발기(21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는 저장고(100) 내부로부터 냉각 유닛(200)의 제1 및 제2 개방부들(202, 204)을 통해 유입되고 집기부(420)의 챔버(422)에 수집된다. 배기 유닛(300)의 배기 팬 유닛(360) 및 배기 어셈블리(3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공기는 연결 덕트(430) 및 배기 유닛(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이 작동할 때 쿨러 팬(220)의 흡인력에 의해 냉각 유닛(200)에 연결된 집기부(420)의 압력이 하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강된 집기구(420)의 압력은 저장고(100) 내부 및 외부의 압력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댐퍼(410)의 차단 시트(412)는 연결 덕트(430)를 차폐하여 저장고(100) 내부로부터의 상기 제2 공기 및 저장고(100) 외부로부터의 외부 공기가 냉각 유닛(2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는 냉각 유닛(200)의 제2 개방부(204)를 통해 유입되고 냉각 유닛(200) 내부의 냉각 코일을 거쳐 제1 개방부(202)를 통해 배출되어 저장고(100)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기 유닛(450)의 집기부(460)는 냉각 유닛(20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집기부(460)는 하부가 개방된 후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기 유닛(450)에서는 구성의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연결 덕트 및 상기 댐퍼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개방된 부분은 냉각 유닛(200)의 제2 개방부(204)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집기부(460)는 냉각 유닛(200)의 내부로부터의 제1 공기 및 저장고(100) 내부로부터의 제2 공기를 모두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기 유닛(450)은 상기 제1 및 제2 공기들을 수집하여 배기 유닛(3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후드를 갖는 집기 유닛(450)은 소형 저온 저장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건조 유닛(500)은 저장고(10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켜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 유닛(500)은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건조 히 터(510) 및 건조 히터(51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히터 팬(5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건조 유닛(500)은 냉각 유닛(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각 유닛(200)이 작동할 때, 건조 유닛(500)의 히터 팬(520)은 함께 작동하여 냉각 유닛(200)에 의해 냉각된 공기의 순환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건조 유닛(500)의 건조 히터(510) 및 히터 팬(520)이 작동할 때,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이 함께 작동하여 건조 유닛(50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순환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저온 저장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표들에 설정된 수치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 저장물의 종류, 저장 용량, 저장 상태, 저장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장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회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저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표 1은 도 1의 저장 시스템의 제어부에 설정되는 일반 모드 및 저장고 설정 온도를 나타내는 표이고, 표 2는 도 1의 저장 시스템의 제어부에 설정되는 특수 모드 및 모드별 설정 온도들을 나타내는 표이다.
표 3은 히터별 설정 제한 온도를 나타내는 표이고, 표 4는 자동 배기 팬 작 동 설정 온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09062560226-PAT00001
Figure 112009062560226-PAT00002
Figure 112009062560226-PAT00003
Figure 112009062560226-PAT00004
도 1, 도 20, 도 21 및 표 1 내지 표 4를 참조하면, 저장 시스템(10)의 제어부(700)에 설정 데이터를 입력한다.(S100)
제어부(700)는 프로그램 제어 모드(typ)에서 건조 모드(H)가 설정된 경우 건조 모드(H)를 진행하고, 건조 모드(H)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저온 저장 모드(C)를 진행하게 된다.(S102)
저장고(100) 내의 저장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고(100) 내부를 냉각시키는 저온 저장 모드(C)를 수행하기 이전에, 건조 모드(H)가 수행되어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S110)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릴레이(K1)는 접점 H에 연결되고, 제2 릴레이(K2)는 접점 F에 연결되며, 제3 릴레이(K3)는 접점 OFF에 연결되어 건조 모드(H)가 수행된다. 여기서, CMb는 압축기 마그넷 접점이고 oh1은 건조 히터 과열 방지기 접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건조 온도 설정값(H.st)에서 건조 모드에서의 편차 온도(H.dF)를 뺀 값보다 작은 경우, 건조 모드(H)가 수행될 수 있다.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건조 온도 설정값(H.st)보다 높으면, K1 릴레이는 접점 OFF로 연결되어 건조 모드(H)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건조 모드(H)에서는, 제3 릴레이(K3)는 차단(OFF)되어 압축기(CM)가 작동되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건조 모드(H)에 있어서, 건조 유닛(500)의 건조 히터(U/H, 510) 및 히터 팬(H/F, 520)이 작동하고,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E/F, 220)이 작동할 수 있다.
건조 히터(U/H, 510)가 작동하게 되면, 건조 히터(51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건조 히터(510)의 온도는 히터 유닛 온도 센서(oh1, 53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건조 히터(510)의 온도가 건조 히터 과열 방지 설정 온도(OH 1-a), 예를 들면, 60℃가 되면, 건조 히터 과열 방지기 접점 oh1이 동작하여 건조 히터(U/H, 5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히터 팬(H/F, 520)과 쿨러 팬(E/F, 220)은 계속 작동된다.
건조 히터(510)의 온도가 건조 히터 과열 방지 설정 편차 온도(OH 1-b), 예를 들면, 10℃만큼 감소하여 50℃ 이하가 되면, 다시 건조 히터(U/H, 510)에 전원이 인가된다.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건조 모드시 저장고 설정 온도(H.st), 예를 들면, 35℃에 도달하면, 제1 릴레이(K1)가 OFF로 연결되어 건조 히터(U/H, 510)의 작동이 정지하고, 히터 팬(H/F, 520)과 쿨러 팬(E/F, 220)은 계속 작동된다.
따라서, 건조 유닛(500)의 히터 팬(520) 및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220)은 저장고(100)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모드(H)는 근채류의 수확 중에 발생하는 상처의 치유와 표면 수분을 건조시켜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큐어링(curing)일 수 있다. 따라서, 건조 히터(U/H, 500)는 건조 모드시 건조 설정 시간(H.ot) 동안 작동되어 큐어링 및 예건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건조 모드(H)는 건조 설정 시간(H.ot), 예를 들면, 7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설정 시간(H.ot), 상기 건조 모드시 저장고 설정 온도(H.st) 등은 저장물의 종류와 큐어링 조건들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모드(H) 수행 중에, 저장고(100) 내부의 가스의 농도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S130) 이어서, 센서부(V/SS, 600)에 의해 측정된 가스의 농도 또는 습도가 기 설정값에 도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2) 측정된 가스의 농도 또는 습도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건조 모드(H) 중에 배기 모드(V)가 수행될 수 있다.(S134)
건조 모드(H) 뿐만 아니라 저온 저장 모드(C) 중에도 저장고(100) 내부의 가스의 농도 또는 습도를 측정한 후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배기 모드(V)가 수행될 수 있다.
건조 모드(H) 이후에, 저장고(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모드(V)가 수행될 수 있다.(S112)
구체적으로, 건조 설정 시간(H.ot)이 경과하면, 제1 릴레이(K1)는 OFF에 연결되며, 제2 릴레이(K2)는 D에 연결되고, 제3 릴레이(K3)는 OFF에 연결되어 배기 모드(V)가 수행된다.
배기 모드(V)에서는, 배기 팬 유닛(360)의 배기 팬(VF, 362), 배기 어셈블리(310)의 배기 구동부(S/C2, 350) 및 집기 유닛(400)의 댐퍼 구동부(S/C1, 414)가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제상 히터(DF/H, 250)는 제3 릴레이(K3)가 OFF에 위치하여 X3 릴레이가 여자됨으로 인해 접점 X3b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배기 모드(V)는 배기 팬 작동 시간(H.Et), 예를 들면,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댐퍼 구동부(S/C1, 414)에 전원이 인가되면, 댐퍼(410)의 차단 시트(412)는 회전하여 개구부(402)를 차단하고 연결 덕트(430)를 개방시킨다. 배기 구동부(S/C2, 350) 및 배기 팬(VF, 362)에 전원이 인가되면 배기 어셈블리(310)의 제1 및 제2 통기구들(316, 318)이 개방되고, 냉각 유닛(200) 내부의 제1 공기가 배기 유닛(30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배기 모드(V)가 완료되면, 제어부(700)는 건조 모드(H) 후 저온 저장 모드(C)로의 자동 전환(Aut) 여부를 확인한다.(S114) 저온 저장 모드(C)로의 자동 전환(Aut)이 on으로 설정된 경우, 저온 저장 모드(C)로 자동으로 전환 및 수행된다.(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팬 작동 시간(H.Et)이 경과하면, 제1 릴레이(K1)는 OFF에 연결되고, 압축기 동작 지연 시간(C.dt), 예를 들면, 60초가 경과한 후에 제2 릴레이(K2)는 F에 연결되며 제3 릴레이(K3)는 ON에 연결되어 저온 저장 모드(C)가 수행될 수 있다.
저온 저장 모드(C)에서는, 압축기(CM) 및 응축기 팬(CD/F)이 작동하고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E/F, 220)이 작동한다. 또한, 건조 유닛(500)의 히터 팬(H/F, 520)이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저온 저장 모드(C) 중에, 냉각 유닛(200)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상 히터(DF/H, 250)를 이용하여 냉각 유닛(200)의 성에를 제상시킨다.(S122)
구체적으로, 저온 저장 모드(C)의 수행 중에 제상 주기(dec), 예를 들면, 300분이 경과하면, 제2 릴레이(K2)는 D에 연결되어 쿨러 팬(E/F, 220) 및 히터 팬(H/F, 520)이 정지하고 제상 히터(DF/H, 250)가 작동한다. 한편, 압축기(CM) 및 응축기 팬(CD/F)은 제2 릴레이(K2)가 여자되어 접점 X2가 열리게 되어,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이 정지된다.
냉각 유닛(200)에 설치된 제상 히터(DF/H, 2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상 히터(250)는 제상 시간(det), 예를 들면, 20분 동안 작동하여 냉각 유닛(20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상 히터(DF/H, 250)는 냉각 유닛(200)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냉각 유닛(200)의 온도가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냉각 유닛 내부의 제상 열기와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모드(V)가 수행될 수 있다.(S1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200)의 온도는 냉각 유닛(200) 또는 냉각 유닛(200)의 상부에 연결된 집기 유닛(400)에 설치된 온도 센서(23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제상 히터(DF/H, 250)에 의해 상승된 냉각 유닛(200)의 내부 온도가 자동 배기 팬 작동 온도(VF T-1), 예를 들면, 15℃에 도달하게 되면, 배기 온도 조절기(VF t/c)가 닫혀져 배기 모드(V)가 수행된다.
배기 모드(V)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 팬 유닛(360)의 배기 팬(VF, 362), 배기 어셈블리(310)의 배기 구동부(S/C2, 350) 및 집기 유닛(400)의 댐퍼 구동부(S/C1, 414)가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상 과정 중에 제상 히터(DF/H, 250)에 의해 냉각 유닛(200) 뿐만 아니라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상 히터(DF/H, 250)가 설치된 냉각 유닛(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모드(V)를 곧바로 수행하여 저장고(100) 내부를 저온으로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배기 모드(V)가 수행된 후,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가 자동 배기 팬 작동 편차 온도(VF T-2), 예를 들면, 10℃만큼 감소하여 5℃ 이하가 되면, 배기 온도 조절기(VF t/c)가 차단되어 배기 모드(V)가 중지되고, 제상 히터(DF/H, 250)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이후, 제상 히터(250)에 의해 냉각 유닛(200)의 온도가 상승하여 다시 자동 배기 팬 작동 온도(VF T-1), 예를 들면, 15℃에 도달하게 되면, 배기 온도 조절기(VF t/c)가 닫혀져 다시 배기 모드(V)가 수행된다.
한편, 제상 히터(DF/H, 250)의 온도가 제상 히터 과열 방지 설정 온도(OH 2-a), 예를 들면, 25℃가 되면, 제상 히터 과열 방지기 접점 oh2가 동작하여 제상 히터(25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후, 제상 히터(250)의 온도가 제상 히터 과열 방지 설정 편차 온도(OH 2-b), 예를 들면, 5℃만큼 감소하여 20℃가 되면, 다시 제상 히터(DF/H, 2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상 히터(250)가 작동하게 된다.
제상 히터(250)는 제상 시간(det)이 경과하면, 압축기 동작 지연 시간(C.dt), 예를 들면, 60초가 경과한 후에 제2 릴레이(K2)는 F에 연결되며 제3 릴레이(K3)는 ON에 연결되어 저온 저장 모드(C)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저온 저장 모드(C)에서는, 압축기(CM) 및 응축기 팬(CD/F)이 작동하고 냉각 유닛(200)의 쿨러 팬(E/F, 220)이 작동한다. 또한, 건조 유닛(500)의 히터 팬(H/F, 520)이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저온 저장 모드(C)의 수행 중에,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저온 저장 모드에서의 저장고 설정 온도(C.st), 예를 들면, 0℃ 이하가 되면, 제3 릴레이(K3)는 OFF에 연결되어 압축기(CM) 및 응축기 팬(CD/F)은 작동이 정지된다.
한편,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가 저온 저장 모드에서의 편차 온도(C.dF), 예를 들면, 2℃로 상승하면, 압축기 동작 지연 시간(C.dt) 경과한 후에 제3 릴레이(K3)는 ON에 연결되어 저온 저장 모드(C)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어셈블리는 저장고 내부와 외부의 압력 평형을 자동적으로 유지하고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온 저장 시스템 및 저온 저장 방법에 따르면, 저온 저장, 냉각 유닛의 제상 또는 큐어링과 같은 건조 중에 발생하는 가스들을 상 기 저장고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출하여 저장물의 저장성 및 품질 유지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장 시스템의 배기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기 유닛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축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3의 제1 개폐부의 제1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3의 제2 개폐부의 제2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배기 유닛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배기 유닛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배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배기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2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시스템의 냉각 유닛 및 집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냉각 유닛 및 집기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장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회로도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저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저장 시스템 100 : 저장고
200 : 냉각 유닛 210 : 증발기
220 : 쿨러 팬 230 : 냉각 유닛 온도 센서
250 : 제상 히터 300 : 배기 유닛
310 : 배기 어셈블리 312 : 케이스
314 : 프레임 320 : 축봉
330 : 제1 개폐부 332 : 제1 플레이트
334 : 제1 탄성 부재 336 : 제1 차단편
340 : 제2 개폐부 342 : 제2 플레이트
344 : 제2 탄성 부재 346 : 제2 차단편
348 : 슬리브 348a : 돌기부
350 : 배기 구동부 352 : 플런저
354 : 솔레노이드 360 : 배기 팬 유닛
362 : 배기 팬 365 : 와셔
370 : 제1 고정 프레임 380 : 제2 고정 프레임
400 : 집기 유닛 410 : 댐퍼
412 : 차단 시트 414 : 댐퍼 구동부
420 : 집기부 422 : 챔버
430 : 연결 덕트 500 : 건조 유닛
510 : 건조 히터 520 : 히터 팬
530 : 히터 유닛 온도 센서 600 : 센서
700 : 제어부

Claims (16)

  1.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고;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켜 저장물을 저온 저장시키기 위한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 유닛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켜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유닛;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유닛;
    상기 냉각 유닛 및 상기 배기 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 유입된 제1 공기 및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 직접 유입된 제2 공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배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집기 유닛; 및
    상기 냉각 유닛, 상기 제상 히터, 상기 건조 유닛, 상기 배기 유닛 및 상기 집기 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고 내부의 가스와 온도 또는 상기 냉각 유닛의 온도에 따라 상기 집기 유닛 및 상기 배기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기 유닛은
    상기 냉각 유닛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기를 수집하는 집기부;
    상기 집기부와 상기 배기 유닛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2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연결 덕트; 및
    상기 연결 덕트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연결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제1 및 제2 공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를 상기 배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연결 덕트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 시트; 및
    상기 제2 공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연결 덕트를 차단하거나 상기 제1 공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개구부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단 시트를 회전시키는 댐퍼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차단 시트의 일면에 설치되는 가열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의 쿨러 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집기 유닛 의 집기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하강될 때, 상기 댐퍼의 차단 시트는 상기 연결 덕트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의 상기 제2 공기 및 상기 저장고 외부로부터의 외부 공기가 상기 냉각 유닛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저장고 내부의 공기가 상기 냉각 유닛의 후면 개방부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냉각 유닛 내부의 냉각 코일을 거쳐 상기 냉각 유닛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저장고 내에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상기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건조 히터; 및
    상기 건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히터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의 상기 건조 히터 및 상기 히터 팬이 작동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 유닛의 쿨러 팬을 함께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이 작동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유닛의 상기 히터 팬을 함께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의 저장물의 저장 상태에 영향을 주는 가스의 농도가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기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집기 유닛이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의 상기 제2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배기 유닛으로 공급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2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기 설정된 차동(differential) 농도 이하일 때 배출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11. 저장고 내부의 저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모드 및 저온 저장시키기 위한 저온 저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건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건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저온 저장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냉각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고 내부를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저온 저장 모드 중에 상기 냉각 유닛 내부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유닛에 설치된 제상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 유닛을 제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저장고 내부의 가스와 온도 또는 상기 냉각 유닛의 온도에 따라 기 설정된 배기 시간동안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 유입된 제1 공기 및 상기 저장고 내부로부터 직접 유입된 제2 공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고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를 상기 저장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상 히터에 의해 상승된 상기 냉각 유닛의 온도가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1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차동(differential) 온도 이하일 때 배출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제1 공기를 상기 냉각 유닛의 상부에서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제1 공기를 상기 저장고의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배기 유닛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도중에, 상기 저장고 내부의 저장물의 저장 상태에 영향을 주는 가스의 농도 또는 습도가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기 설정된 차동(differential) 설정값 이하일 때 배출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는, 상기 건조 유닛이 작동될 때 상기 냉각 유닛의 쿨러 팬을 함께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를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냉각 유닛이 작동될 때 상기 건조 유닛의 히터 팬을 함께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방법.
KR1020090097100A 2009-10-13 2009-10-13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KR100944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00A KR100944654B1 (ko) 2009-10-13 2009-10-13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00A KR100944654B1 (ko) 2009-10-13 2009-10-13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415A Division KR100933006B1 (ko) 2008-02-18 2009-02-12 배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263A true KR20090121263A (ko) 2009-11-25
KR100944654B1 KR100944654B1 (ko) 2010-03-04

Family

ID=4160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100A KR100944654B1 (ko) 2009-10-13 2009-10-13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6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27B1 (ko) * 2010-02-12 2012-05-21 심기섭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CN106196480A (zh) * 2016-07-28 2016-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霜控制方法和装置
CN106839603A (zh) * 2017-02-13 2017-06-1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用于制冷器件的气压平衡结构和制冷器件
CN108489175A (zh) * 2018-05-31 2018-09-04 金乡蒜通天下仓储有限公司 一种用于大蒜储藏的自动控温冷库
CN111164364A (zh) * 2018-09-04 2020-05-15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冰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656B1 (ko) * 1995-12-07 1999-01-15 진금수 건조기겸 냉장창고
KR100381145B1 (ko) 2000-07-13 2003-04-21 대한민국 인터넷을 이용한 저온저장고의 환경감시 시스템
KR200236514Y1 (ko) 2001-01-11 2001-09-25 권오영 농산물 저온저장고용 일체형냉동기
KR100815854B1 (ko) 2007-08-07 2008-03-24 신한수 농수산물 건조기 겸 저장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27B1 (ko) * 2010-02-12 2012-05-21 심기섭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CN106196480A (zh) * 2016-07-28 2016-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霜控制方法和装置
CN106196480B (zh) * 2016-07-28 2020-11-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霜控制方法和装置
CN106839603A (zh) * 2017-02-13 2017-06-1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用于制冷器件的气压平衡结构和制冷器件
CN108489175A (zh) * 2018-05-31 2018-09-04 金乡蒜通天下仓储有限公司 一种用于大蒜储藏的自动控温冷库
CN111164364A (zh) * 2018-09-04 2020-05-15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冰箱
CN111164364B (zh) * 2018-09-04 2022-04-19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冰箱
US11828519B2 (en) 2018-09-04 2023-11-28 Guangdong Midea White Home Applianc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654B1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57334T3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in a refrigerator of a refrigerator
KR100944654B1 (ko)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EP2072109A1 (en) Squeezable moisture removal device
CN106322658A (zh) 空调器的换热器清洗控制方法及装置
KR101140727B1 (ko)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US977213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JP4746997B2 (ja) 乾燥装置
US20130219925A1 (en) Blast chiller apparatus and a method to sanitize a blast chiller apparatus
CN106091535A (zh) 冷藏室加湿控制方法和风冷冰箱
JP6185191B2 (ja) 食品乾燥機
CN102788466A (zh) 一种带高湿度果蔬室风冷冷藏箱及其运行控制方法
KR100933006B1 (ko) 배기 유닛
CN113587397B (zh) 空调系统控制方法
JP2017146052A (ja) 冷風乾燥装置
US98571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frosting a condensor without external heating
KR101226451B1 (ko) 대형창고의 양방향 제습건조시스템
CN209744605U (zh) 厨房空调一体机
JP5992076B1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その冷凍サイクル装置を備えた冷蔵庫、冷凍サイクル装置の除霜方法
CN107904898A (zh) 半导体除湿烘干衣柜的控制方法
KR102234780B1 (ko) 제습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9744606U (zh) 厨房空调一体机
KR101563416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5955522B2 (ja) 冷蔵庫
JP5158283B1 (ja) 食品乾燥庫
CN111237981A (zh) 一种除湿机接水盘的化冰方法及其化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