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858A -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858A
KR20090118858A KR1020090041216A KR20090041216A KR20090118858A KR 20090118858 A KR20090118858 A KR 20090118858A KR 1020090041216 A KR1020090041216 A KR 1020090041216A KR 20090041216 A KR20090041216 A KR 20090041216A KR 20090118858 A KR20090118858 A KR 20090118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shing
cleaning
washing water
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154B1 (ko
Inventor
미츠마사 마츠무라
에이지 마츠이
료우이치 고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26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15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96132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4625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1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노즐 본체에 설치한 분출구와, 노즐 본체의 후부로부터 분출구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와, 유로의 도중으로부터 분기한 연통로를 통해 접속한 버퍼 탱크를 구비한 노즐 장치.

Description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NOZZLE DEVICE AND SANITARY WASH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장치와 그를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위생 세정 장치에 사용하는 노즐 장치는, 일반적으로 엉덩이를 세정하는 엉덩이 세정 노즐과,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는 비데 세정 노즐의 2종의 세정 노즐을 개별적으로 구비한다. 이러한 세정 노즐은, 각각 다른 세정력과 세정감을 구비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에는 강한 맥동을 수반하는 강한 세정감이 선호되고, 비데 세정에는 맥동감이 적은 부드러운 세정감이 선호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들 2종의 세정 노즐에는 동일한 맥동 펌프를 사용하여 세정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특히 비데 세정 노즐에 대해서는 맥동을 억제하고 균일한 수류로 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 때문에, 비데 세정 노즐의 유로의 도중에서 단면적을 변화시켜, 특히 소구경의 유로로부터 대구경의 유로로 유입시킴으로써 와류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세정수가 세세하게 섞여 맥동을 억제하고, 부드러운 세정감을 얻는 다.
도 37은, 일본국 공개 특허 2006-348545호 공보에 기재된 비데 세정에 사용하는 노즐 장치이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1)는, 수지제의 내부 분류 구성부(2)를 스테인리스제의 노즐관(3)에 삽입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분류 구성부(2)의 내부에는, 노즐 본체(1)의 후단부로부터 선단의 분출구(4)에 연통하는 유로(5)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5)는, 후단 부분에 단면적이 작은 소경부(6a), 다음에 단면적이 큰 대경부(7a), 다음에 다시 소경부(6b), 다음에 다시 대경부(7b)로 순차적으로 단면적을 변화시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5)의 선단의 대경부(7b)로부터 분출구(4)를 통해, 세정수가 분출된다.
그렇지만, 종래의 노즐 본체(1)의 구성에서는, 유로(5)의 단면적을 부분적으로 크게 하기 위해, 노즐 본체(1) 전체를 굵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1개의 노즐 본체(1)에 엉덩이 세정 노즐부와 비데 세정 노즐부를 일체로 설치한 복합 세정 노즐에서는, 노즐 본체(1)가 굵어지고, 노즐 장치 전체가 대형화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노즐 장치는, 노즐 본체에 설치한 분출구와, 노즐 본체의 후부로부터 분출구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와, 유로의 도중으로부터 분기된 연통로를 통해 접속한 버퍼 탱크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러한 노즐 장치는, 버퍼 탱크를 설치함으로써, 유로의 단면적 변화를 크게 할 필 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단면적이 큰 유로가 불필요하게 되고, 노즐 장치 전체를 굵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맥동을 수반하는 세정수가, 유로를 흐르는 도중에서 세정수의 일부가 연통로를 통과해 버퍼 탱크로 유입한다. 이로 인해, 버퍼 탱크 내에 체류하는 공기가 압축되고, 세정수의 압력을 흡수하여 세정수의 맥동을 저감할 수 있고 부드러운 세정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를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위생 세정 장치(60)는, 변기의 상면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본체(10)의 전면에는 변좌(11)와 변기 뚜껑(1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체(10)의 전(前)부에는, 노즐 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세정수 공급 장치 및 제어 장치 등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세정수 공급 장치는, 노즐 장치(13)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피스톤 펌프 등의 송수 장치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노즐 장치(3)와 세정수 공급 장치를 제어한다. 또 화장실 내 사용자의 입실을 검지하는 인체 검지 리모컨(14), 위생 세정 장치(60)를 조작하는 조작 리모컨(15)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의 노즐 커버가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의 노즐 장치 전체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커버가 수납 위치에서 상부 케이스를 제외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장치(13)의 케이싱(16)은, 상부 케이스(17)와 아래 케이스(18)를 조합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케이싱(16)은,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된다. 상부 케이스(17)와 아래 케이스(18)는, 상하로 분리 가능하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6)의 중앙부에는, 대략 원통형의 노즐 가이드(19)가 형성되어 있다. 또 노즐 가이드(19)의 일단에는, 선단 개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위치에서의 사시도, 도 5는 동 노즐 장치의 엉덩이 세정 위치에서의 사시도, 도 6A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상면도,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이다. 노즐 가이드(19) 내에는, 원통형의 노즐 유닛(2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노즐 유닛(2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가이드(19) 내에 수용한 수납 위치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개구(20)로부터 돌출한 세정 위치 사이를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유닛(21)은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와, 연결 장치(2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노즐 본체(22)는, 대략 원통 형상이다. 노즐 커버(23)는, 노즐 본체(22)를 수용하는 대략 원통 형상이다. 연결 장치(24)는, 노즐 커버(23)에 의해 노즐 본체(22)를 견인한다.
또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커버(23)는, 노즐 커버 본체(25)와, 노즐 락 블록(26)이 일체가 되어 구성되어 있다. 노즐 커버 본체(25)는, 스테인리스의 박판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고, 선단면은 폐색면을 이루고, 후단면은 개방면이 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커버 본체(25)는, 후단면으로부터 노즐 본체(22)가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노즐 커버 본체(25)의 상면에는,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를 케이싱(16)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분출 개구(29)를 1개 설치한다. 분출 개구(29)는, 노즐 본체(22)의 비데 세정 분출구(27)에 대향하는 위치이다. 노즐 커버 본체(25)의 하면 후방에는, 노즐 락 블록(26)과 끼워맞춘 슬릿 형상의 락개구(30)를 설치한다. 노즐 커버 본체(25)의 하면 전방에는, 노즐 커버 본체(25) 내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구(31)를 설치한다. 또 노즐 락 블록(26)의 하면에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거쳐 이(齒)형 형상의 락(2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노즐 본체(22)는, 노즐 커버(23)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이다. 이는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가, 서로 부드럽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A는 도 6A의 B-B선 단면도, 도 7B는 도 6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의 내부에는,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 비데 세정 유로(34)의 3개의 유로와, 버퍼 탱크(36)가 형성되어 있다. 버퍼 탱크(36)와 비데 세정 유로(34)는, 연통로(36A)를 통해 연통한다. 세정수는 상기의 3개의 유로를 통해, 상류측의 노즐 본체(22)의 후단부로부터 하류측의 선단부를 향해 공급된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는, 내경이 Φ3.0㎜~3.5㎜의 유로가, 노즐 본체(22) 후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 배치되어 있다. 그리 고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는 노즐 본체(22)의 선단부에서, 대략 같은 내경 대로 노즐 본체(22) 상면 방향으로 유로를 굴곡시켜, 엉덩이 세정 분출구(28)에 연통한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도, 노즐 본체(22) 후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 배치되어 있다. 또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는 노즐 본체(22)의 선단부에서,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의 축심에 대해 편심시켜, 노즐 본체(22)의 외주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세정수에 축심 둘레의 선회 성분을 부여하도록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와 연통되어 있다. 여기에서,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는, 노즐 본체(22) 상면 방향으로 굴곡한다. 비데 세정 분출구(27), 엉덩이 세정 분출구(28)가, 노즐 본체(22)에 설치한 분출구이다.
비데 세정 유로(34)는, 노즐 본체(22) 후단부로부터 Φ3.0㎜~3.5㎜인 유로 직경이지만, 도중에서 유로 직경을 Φ1.0㎜~1.5㎜ 정도까지 줄인 오리피스(35)를 경유하고 선단부까지 배치되어 있다. 비데 세정 유로(34)는, 수실(水室)에 비데로의 토출 방향의 축심에 대해 편심시켜 연통하고, 세정수에 축심 둘레의 선회 성분을 부여한다. 여기에서, 수실은, 비데 세정 분출구(27)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도 7A의 G-G선 단면도, 도 9는 도 6B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A,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 탱크(36)가, 비데 세정 유로(34)와 대략 병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버퍼 탱크(36)는, 노즐 본체(22)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거쳐 양단이 폐색한 약3.0~3.2㎜의 대략 원통 형상이다. 버퍼 탱크(36)의 중간부와 비데 세정 유로(34)는, 연통로(36a)를 통해 연통한다. 연통로(36a)는, 오리피스(35)의 상류측에서분기한다. 그 결과, 비데 세정 유로(34)를 흐르는 세정수의 일부가 연통로(36a) 를 통과해, 세정수는 버퍼 탱크(36) 내에 입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6A,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 비데 세정 유로(34)의 후단의 부분에는, 모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구(32a, 33a, 34a)가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 비데 세정 유로(34)와 각각의 세정수 공급구(32a, 33a, 34a)와는, 세정수 공급 장치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유로 전환 밸브(37)를 경유해,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연통된다. 또,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에는 유로 전환 밸브(37)와, 세정수 공급구(32a) 사이에 T자관(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세정수에 공기가 혼입하기 위한 공기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사이에 병설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의 노즐 장치 상면도, 도 11은 도 10의 E-E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F-F선 단면도다. 노즐 유닛(21)은,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와 연결 장치(24)로 구성되고, 노즐 가이드(19)의 후부는, 노즐 커버 본체(25)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이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즐 커버 본체(25)와, 노즐 가이드(19)가 부드럽게 슬라이드 가능한 치수 관계가 되어 있다. 여기서, 노즐 가이드(19)는, 노즐 유닛(21)을 수용하는 케이싱(16)의 일부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가이드(19)의 선단 개구(20)의 근방에는, 노즐 커버 본체(25)보다 내경이 큰 세정 확대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 확대부(38)는, 노즐 유닛(21)의 수납 위치에서 노즐 커버 본체(25) 상면의 분출 개 구(29), 및 그 주변을 충분히 덮는 깊이가 되어 있다. 세정 확대부(38)의 상부 옆쪽 접선 방향으로, 노즐 세정 분출구(39)가 개구한다. 케이싱(16)의 외측에는, 노즐 세정 분출구(39)와 연통하는 세정수 공급구(39a)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수 공급 장치와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세정 확대부(38)는, 세정수 공급구(39a)와 연통되어 있다. 세정 확대부(38)의 내경은, 노즐 커버 본체(25)의 외면과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악간의 틈새를 형성하는 치수가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틈새에 노즐 커버 본체(25) 세정용의 세정수가 유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즐 세정 분출구(39)는, 노즐 가이드(19)의 옆쪽 접선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출하는 구성이므로, 세정수는 노즐 커버 본체(25)의 중위를 선회하도록 흐른다. 그 때문에, 노즐 커버 본체(25) 이면측까지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 세정 확대부(38)의 하부에는,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구(3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동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동 노즐 장치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동 노즐 장치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동 노즐 장치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동 노즐 장치의 후퇴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노즐 셔터(40)는, 노즐 가이드(19)의 선단 개구(20)의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즐 유닛(21)을, 노즐 가이드(19)에 수납한 상태에서 선단 개구(20)를 폐색할 수 있다. 노즐 셔 터(40)는, 노즐 유닛(21)이 세정 위치로 진출할 때, 노즐 유닛(21)의 선단에서 압진(壓進)함으로써 위쪽으로 개성(開成)한다. 또 노즐 유닛(21)을 수납 위치에 수납할 때는, 노즐 셔터(40)의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폐색한다.
또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20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비데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21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22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후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23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24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후퇴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26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비데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27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28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후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29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30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후퇴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케이싱(16)의 하부에는, 노즐 구동 장치(41)를 설치한다. 노즐 구동 장치(41)는 구동 모터(42)와, 웜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변속 기어(43)와, 피니언 기어(44)를 구비한다. 피니언 기어(44)는, 락(26a)과,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 설치 되어 있다. 여기에서, 락(26a)은, 노즐 커버(23)를 구성하는 노즐 락 블록(26)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42)의 회전은, 웜 기어와 변속 기어(43)를 통해 회전수를 떨어뜨려, 피니언 기어(44)에 전달된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44)가 회전함으로써, 락(26a)을 가지는 노즐 커버(2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 모터(42)는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어, 제어 장치에 의해 운전이 제어된다. 또 구동 모터(42)의 후부에는, 구동 모터(42)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회전 검지 센서(45)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구동 장치(41)는, 노즐 커버(23)와 노즐 본체(22)의 어느 한 쪽을 슬라이드시킨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시의 연결 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2는 동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시의 연결 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노즐 커버(23)에는, 노즐 커버(23)의 이동에 의해 노즐 본체(22)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장치(24)는 연결 수부(46)와, 연결편(4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결 수부(46)는, 노즐 본체(22)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편(47)은, 노즐 커버(23)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 수부(46)는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고, 노즐 본체(22) 후단의 한쪽의 측면에 노즐 본체(22)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결 수부(46)는 전후에 간격을 두고 2개소에 전방 오목 함몰부(46a)와 후방 오목 함몰부(46b)를, 노즐 본체(22)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 단면 형상이 되도록 설치한다. 전방 오목 함몰부(46a)와 후방 오목 함몰부(46b)의 간격은, 도 6B의 노즐 본체(22)의 비데 세정 분출구(27)와 엉 덩이 세정 분출구(28)의 간격과 대략 같은 치수가 되어 있다.
연결편(47)은, 노즐 커버(23)의 후단부의 측면에 연결 수부(46)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편(47)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편(47)은, 연결편 유지부(48)에 유지되어 양단을 고정된 양단 지지 보에 의해, 대략 중앙부에 연결 돌기(47a)를 형성한 구성이 되어 있다. 연결 돌기(47a)는, 연결 수부(46)의 전방 오목 함몰부(46a)와 후방 오목 함몰부(46b)에 끼워 넣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 돌기(47a)가, 전방 오목 함몰부(46a) 또는 후방 오목 함몰부(46b)에 끼워 넣음으로써 연결편(47)과 연결 수부(46)가 연결되고,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가 연동 가능하게 된다.
전방 오목 함몰부(46a), 후방 오목 함몰부(46b)의 단면 형상은, V자 형상이다. 연결 돌기(47a)는 전방 오목 함몰부(46a), 후방 오목 함몰부(46b)의 단면 형상보다 각도가 작은 V자형 형상이다. 연결편(47)과 연결 수부(46)의 연결시에서도 노즐 본체(22) 방향으로 하중이 더해지도록 스프링 상수를 조정함으로써, 항상 전방 오목 함몰부(46a), 후방 오목 함몰부(46b)의 V자 단면의 정점과 연결 돌기(47a)의 V자형 형상의 정점이 대략 일치한다. 그 때문에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의 연결 장치(34)에 기인하는 엇갈림이 최소하게 된다.
또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에는 위치 결정 돌기(49)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49)는, 전방 스토퍼(50)에 맞닿게 됨으로써 노즐 가이드(19)의 전진 방향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제하는 장치가 되어 있다. 또 위치 결정 돌기(49)는, 후방 스토퍼(51)에 노즐 본체(22) 후단을 맞닿게 함으로써, 노즐 본체(22)의 후퇴 방향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제하는 장치가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방 스토퍼(50)는, 노즐 가이드(19)의 전부(前部)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노즐 장치에 대해,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13, 도 19, 도 25에서 나타내는 노즐 장치(13)를 사용하지 않는 수납 상태에서, 노즐 커버(23)는 노즐 가이드(19)의 가장 후부에 위치하고, 노즐 본체(22)도 슬라이드 범위의 가장 후부에 위치한다. 노즐 본체(22) 후단은, 노즐 가이드(19) 후부에 설치한 후방 스토퍼(51)에 맞닿는 상태이다. 노즐 본체(22), 노즐 커버(23) 양쪽 모두 가장 후퇴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 위치를 수납 위치라고 칭하고, 이 상태를 수납 상태라고 칭한다. 이 때, 연결편(47)의 연결 돌기(47a)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수부(46)의 후방 오목 함몰부(46b)에 끼워 넣은 상태가 되어 있다.
수납 상태에서 세정을 개시할 때에는, 우선 사용자가 조작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제어 장치가 제어를 개시한다. 구동 모터(42)의 회전이 피니언 기어(44)에 전해짐으로써, 피니언 기어(44)와 서로 맞물린 락(26a)을 가지는 노즐 커버(23)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노즐 커버(23)는, 그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전후 방향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 이 이후의 노즐 커버(23)의 위치는 구동 모터(42)의 회전수를 회전수 검지 센서(45)에 의해 검지하고, 노즐 커버(23)의 이동량을 추정하면서 위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구동 모터(42)를 역회전시켜 노즐 커버(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노즐 본체(22)는, 연결편(47)의 연결 돌기(47a)가 연결 수부(46)의 후방 오목 함몰부(46b)에 끼워 넣은 상태가 유지되어 있으므로, 노즐 커버(23)에 견인되고 일체화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사용자의 조작이 비데 세정의 조작이었을 경우, 도 14, 도 20,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한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는, 미리 설정한 제어 시퀀스에 따라, 원점 상태로부터의 구동 모터(42)의 회전수가 설정값에 이르면 정지한다. 이 때 노즐 본체(22)에 설치한 위치 결정 돌기(49)는, 노즐 가이드(19)의 전부에 설치한 전방 스토퍼(50)에 접촉하는 앞부분에서 정지된 상태이고, 이 위치가 비데 세정의 표준 위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내는 제어장치는 세정수 공급 장치를 제어하고, 비데 세정 유로(34)에 통수함으로써 비데 세정이 개시된다. 비데 세정 분출구(27)로부터 분출한 세정수는, 분출 개구(29)를 통과해 분사된다. 유량의 조절은 세정수 공급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통수하는 유로의 전환은 유로 전환 밸브(37)에 의해 행해진다.
세정수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맥동을 수반하는 세정수는, 세정수 공급구(34a)를 통해 비데 세정 유로(34)에 유입한다. 비데 세정 유로(34)의 오리피스(35)보다 상류측에는, 특히 맥동의 수압이 높은 세정수는 오리피스(35)의 저항에 의해 하류로의 유동이 억제된다. 그리고 세정수의 일부가 연통로(36a)를 통과하고, 버퍼 탱크(36)에 유입한다. 버퍼 탱크(36)는, 양단부가 폐색하기 때문에 공기가 체류한다. 그 때문에 유입한 세정수에 의해 공기가 압축되고 세정수의 압력을 흡수하 여, 세정수의 맥동이 저감된다.
다음에 세정수는, 유로 직경의 작은 오리피스(35)를 통과해 다시 유로 직경이 큰 비데 세정 유로(34)의 하류부에 유입한다. 그러나 오리피스(35)의 하류에서는 유로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세정수에 와류가 발생하여 교반된다. 그 결과, 세정수 공급 장치의 맥동감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고, 보다 부드러운 세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엉덩이 세정 분출구(28)는 노즐 커버 본체(25)에 의해 덮여 있는 상태이고, 비데 세정에 의해 생긴 오수가 직접 튀지 않기 때문에 청결하게 유지된다.
또 유로 전환 밸브(37)의 시일성이 불충분한 경우,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와,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와, 비데 세정 유로(34)의 유량 전환이 완전히 행해지지 않고 비데 세정 중에도 엉덩이 세정 분출구(28)로부터 미소량의 물이 분출하게 된다. 그러나 엉덩이 세정 분출구(28)의 상부가 노즐 커버 본체(25)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그 물이 사용자를 향해 분출될 우려가 없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데 세정을 실시할 경우, 구동 모터(42)를 정회전, 역회전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구동시키면,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표준 위치에 대해 전후로 요동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세정수는, 인체의 국소의 더 넓은 범위를 세정할 수 있다. 비데 세정의 정지를 조작하면 구동 모터(42)는 역회전하고,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원 상태의 수납 위치로 돌아온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엉덩이 세정을 선택한 경우, 비데 세정과 마찬가 지로 노즐 커버(23)의 원점 위치를 확인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 모터(42)가 회전한다.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비데 세정의 경우와 같지만, 엉덩이 세정일 경우는 비데 세정 위치를 초과하고 노즐 커버(23)를 더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도 15, 도 21,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22)에 설치한 위치 결정 돌기(49)는, 노즐 가이드(19)의 전부에 설치한 전방 스토퍼(50)에 맞닿게 되고, 노즐 본체(22)는 더 이상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노즐 커버(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연결편(47)의 연결 돌기(47a)가 후방 오목 함몰부(46b)로부터 벗어난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기 위해서는, 연결 돌기(47a)를 제외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값보다 노즐 본체(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4)의 구동 토크가 큰 것이 조건이 된다.
연결 돌기(47a)가 후방 오목 함몰부(46b)로부터 벗어나게 됨으로써,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분리된 상태가 된다. 전방 스토퍼(50)에 의해 이동이 규제된 노즐 본체(22)에 대해, 노즐 커버(23)만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연결 돌기(47a)는 전방 오목 함몰부(46a)에 빠지게 된다. 연결 돌기(47a)가 전방 오목 함몰부(46a)에 완전히 끼워 넣게 되면, 도 16, 도 22,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출 개구(29)가 엉덩이 세정 분출구(28)와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 시점에서 노즐 커버(23)의 전방 이동이 종료하도록, 상부 케이스(17)에는 노즐 본체(22)와는 접촉하지 않고 노즐 커버(23)와 맞닿는 노즐 커버 전방 스토퍼(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즐 커버 전방 스토퍼(52)를 설치하지 않고, 미리 제어 시퀀스에 의해 구동 모터(42)의 회전수에 의한 위치 제어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연결 돌기(47a)가 전방 오목 함몰부(46a)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42)를 약간 역회전시킴으로써 노즐 커버(23)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엉덩이 세정의 표준 위치까지 이동시킨 시점에서 구동 모터(42)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가, 도 18에 나타내는 엉덩이 세정의 표준 위치가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엉덩이 세정의 표준 위치에 노즐 커버(23)가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장치는 세정수 공급 장치를 제어하고,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 혹은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에 통수(通水)를 개시함으로써 엉덩이 세정이 개시된다. 엉덩이 세정 분출구(28)로부터 분출한 세정수는, 분출 개구(29)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통과하여 분사된다. 유량의 조절은 세정수 공급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통수 유로의 전환은 유로 전환 밸브(37)에 의해 행해진다.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와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에 흐르는 유량비는 유로 전환 밸브(37)의 개도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제어 장치에 의한 유로 전환 밸브(37)의 변환에 의해,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에만 세정수를 공급하면, 엉덩이 세정 분출구(28)의 구경과 대략 동등하게 집중한 세정 수류가 되어 분출하고, 정확하고 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할 수 있다. 한편,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에만 세정수를 공급하면, 세정수에 축심 둘레의 선회 성분이 부여되기 때문에, 엉덩이 세정 분출구(28)로부터 확산된 세정 수류가 되어 분출해, 광범위를 부드러운 세정수로 세정할 수 있다. 또,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와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에 소정의 유량비에 의해 세정수를 공급 하면, 엉덩이 세정 수류 형상을 상기 집중 상태로부터 확산 상태까지 유량비에 따른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에 통수할 때, 공기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세정수에 압축된 공기를 혼입할 수 있다. 공기가 혼입된 세정수는, 엉덩이 세정 분출구(28)로부터 분출할 때, 공기가 팽창함으로써 세정수는 운동 에너지가 부가된다. 그리고 세정수는, 모여서 덩어리가 되고 항문에 착수하기 때문에, 보다 강한 세정력이 생긴다. 또, 세정수 공급 장치에 의한 세정수의 압력 변동의 주파수와, 공기 펌프의 다이어프램의 주파수를 바꿈으로써, 공기의 혼입 타이밍이 불규칙한 것이 된다. 그 때문에 항문에 착수하는 세정수가 불규칙하고 간헐적이 되고, 단속적인 세정과 비교해 수량을 느끼는 세정이 된다.
이 때, 비데 세정 분출구(27)의 상부는 노즐 커버 본체(25)에 의해 덮여 있다. 그 때문에, 엉덩이 세정에 의해 생긴 오수가 비데 세정 분출구(27)에 직접 튀지 않고, 비데 세정 분출구(27)는 청결하게 유지된다.
또 유량 전환 밸브(37)의 시일성이 불충분한 경우,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와,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와, 비데 세정 유로(34)의 유량 전환이 완전히 행해지지 않고, 엉덩이 세정 중에도 비데 세정 분출구(27)로부터 미소량의 물이 분출하게 된다. 그러나, 비데 세정 분출구(27)의 상부가 노즐 커버 본체(25)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미소양의 물이 노즐의 외부에 분출될 우려가 없다.
엉덩이 세정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동 모터(42)를 정회전, 역회전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구동시키면,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표준 위치에 대 해 전후로 요동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세정수는, 인체의 국소의 보다 넓은 범위를 세정할 수 있다.
엉덩이 세정의 정지를 조작하면, 구동 모터(42)는 역회전하고,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는 후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수납을 위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 과정에서, 노즐 본체(22)는 더 이상 노즐 가이드(19)의 후부에 설치한 후스토파(51)에 맞닿게 되고 노즐 본체(22)는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노즐 커버(23)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연결편(47)의 연결 돌기(47a)가 전방 오목 함몰부(46a)로부터 벗어난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결 돌기(47a) 해제에 필요한 하중값보다 노즐 커버(2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42)의 구동 토크가 큰 것이 조건이 된다.
연결 돌기(47a)가 전방 오목 함몰부(46a)로부터 벗어나게 됨으로써,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분리된 상태가 된다. 후방 스토퍼(51)에 의해 이동을 규제된 노즐 본체(22)에 대해, 노즐 커버(23)만이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연결 돌기(47a)는 후방 오목 함몰부(46b)에 빠지게 된다. 연결 돌기(47a)가 후방 오목 함몰부(46b)에 완전히 끼워 넣으면, 분출 개구(29)가 비데 세정 분출구(27)와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 시점에서 노즐 커버(23)는 노즐 가이드(19)의 노즐 커버 후방 스토퍼(53)에 맞닿게 되고,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노즐 커버(23)가 노즐 커버 후방 스토퍼(53)에 맞닿게 됨으로써, 노즐 후퇴 종료로 간주하고 구동 모터(42)의 회전을 정지시켜도 된다. 또, 미리 설정된 제어 시퀀스에 의거해, 구동 모터(42)의 회전수에 의한 위치 제어에 의해 구동 모터(42)의 회전을 정지시 켜도 된다.
제어 장치는, 아래의 어느 시점에서 노즐 세정의 제어를 개시한다. 즉, 엉덩이 세정이 종료해 노즐 커버(23)가 후퇴하여 노즐 본체(22) 후단이 후방 스토퍼(51)에 맞닿게 되고 정지한 시점, 또는 비데 세정이 종료하여 노즐 커버(23)가 후퇴하여 노즐 본체(22) 후단이 후방 스토퍼(51)에 맞닿게 되고 정지한 시점이다. 제어 장치는 세정수 공급 장치를 제어하고, 세정수 공급구(39a)에 통수를 개시함으로써 노즐 세정이 개시된다. 유량의 조절은 세정수 공급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통수 유로의 전환은 유로 전환 밸브(37)에 의해 행해진다.
세정 확대부(38) 내경 상부 옆쪽 접선 방향으로 노즐 세정 분출구(39)가 개구하기 때문에, 노즐 세정 분출구(39)로부터 분출한 세정수는, 노즐 가이드(19)의 내벽에 따라 노즐 커버 본체(25)의 틈새를 원주 방향으로 선회 순환하는 선회류가 된다. 그 때문에 노즐 커버(23)의 외주벽, 및 비데 세정 분출구(27)의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세정수 분출구(37)는, 분출 개구(29)와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교적 오물이 모이기 쉬운 분출 개구(29) 근방을 집중적으로 세정할 수 있어 더 청결한 국부 세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노즐 세정수 분출구(39)의 구경을 작게 함으로써, 보다 고수압의 수류가 분출하게 되고, 세정력이 향상한다. 또, 구멍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광범위를 세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노즐 장치(13)는, 선단 개구(20)와, 유 로와, 버퍼 탱크(36)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선단 개구(20)는, 노즐 유닛(21)을 수용하는 노즐 가이드(19)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유닛(21)은, 노즐 본체(22)와, 노즐 본체(22)를 수용하는 노즐 커버(23)와, 노즐 커버(23)에 의해 노즐 본체(22)를 견인하는 연결 장치(24)로 구성된다. 또 유로는, 노즐 본체(22)의 후단부로부터 노즐 본체(22)의 선단부까지 세정수가 공급된다. 또 버퍼 탱크(36)는, 유로의 도중으로부터 분기한 연통로(36a)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버퍼 탱크(36)를 설치함으로써, 유로의 단면적 변화를 크게 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단면적이 큰 유로가 불필요하게 되고, 노즐 장치(13) 전체를 굵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맥동을 수반하는 세정수가, 유로를 흐르는 도중에서 세정수의 일부가 연통로(36a)를 통과해 버퍼 탱크(36)에 유입한다. 이에 의해, 버퍼 탱크(36) 내에 체류하는 공기가 압축되고, 세정수의 압력을 흡수하여 세정수의 맥동을 저감할 수 있고, 부드러운 세정류를 얻을 수 있다.
또 버퍼 탱크(36)는 유로에 병행하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버퍼 탱크(36)의 중간부에 연통로(36a)를 접속한다.
그 때문에 노즐 장치(13)를 대형화하지 않고, 잉여 스페이스를 활용해 버퍼 탱크(36)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버퍼 탱크(36)의 중간부와 유로를 연통함으로써, 버퍼 탱크(36)의 전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 노즐 장치(13)는, 노즐 본체(22)의 선단부에 설치한 세정수를 분출시키는 복수의 분출구와, 복수의 분출구에 개별적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복수의 유로를 구비하고, 적어도 1개의 유로에 연통하는 버퍼 탱크(36)를 구비한다. 그 결과, 하 나의 노즐 장치(13)가 복수의 세척 기능을 구비하고, 그들의 세척 기능에 최적인 세정류를 가지는 쾌적한 노즐 장치(13)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노즐 장치(13)의 분출구는, 엉덩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분출시키는 엉덩이 세정 분출구(28)와,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분출시키는 비데 세정 분출구(27)이다. 그리고 노즐 장치(13)의 유로는, 엉덩이 세정 분출구(28)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 및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와, 비데 세정 분출구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비데 세정 유로(34)이다. 그리고 버퍼 탱크(36)는, 비데 세정 유로(34)에 연통한다.
그 결과, 엉덩이 세정 분출구(28)로부터는 맥동을 수반한 강한 세정감의 분류를 분출할 수 있고, 비데 세정 분출구(27)로부터는 부드러운 세정감의 기류를 분출할 수 있다.
또 노즐 장치(13)는, 노즐 커버(23)를 슬라이드시키는 노즐 구동 장치(41)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노즐 커버(23)의 전체를 노즐 가이드(19) 내로 수납한 수납 위치와, 노즐 커버(23)의 일부가 노즐 가이드(19)보다 진출한 복수의 세정 위치 사이를 노즐 구동 장치(41)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노즐 본체(22)는, 수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세정 위치 사이를, 연결 장치(24)를 통해 노즐 커버(23)와 연동하고,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노즐 커버(23)에는 1개의 분출 개구(29)를 가지고, 복수의 분출구에 분출 개구(29)를 대향시키도록 노즐 본체(22), 혹은 노즐 커버(23)를 슬라이드시킨다.
그 결과, 복수의 분출구를 가지는 노즐 본체(22)에서도 분출 개구(29)는 1개 로 되고, 오물이 부착하기 쉬운 개소가 최소화되므로, 청결성이 향상한다. 또, 사용하지 않는 분출구에 대응하는 분출 개구(29)가 없기 때문에 외관도 깔끔해지고 위생적이고 청결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노즐 커버만(23)을 노즐 구동 장치(41)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를 연동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범위의 일부에서는, 노즐 커버(23)만을 단독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의 구동 장치에 의해, 2개의 구동 대상을 각각 최적 위치까지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 장치(13)의 소형화와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노즐 가이드(19)는, 노즐 커버(23)의 수납 위치에서, 분출구 및 분출 개구(29)를 덮는 세정 확대부(38)와, 세정 확대부(38)의 상부에 노즐 커버(23)를 세정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39)를 구비한다.
그 결과, 노즐 장치(13)의 사용 전후에 노즐 세정 분출구(39)로부터 노즐 커버(23)에 세정수를 분출함으로써, 노즐 커버(23)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노즐 커버(23)는 내식성을 구비한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그 ㄸ때문에 노즐 커버(23)에 오염물이 부착하기 어려워짐과 더불어, 부착된 오염물의 제거가 쉬워지고, 노즐 커버(23)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위생 세정 장치(60)는, 상기의 노즐 장치(13)와, 노즐 장치(13)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장치와, 노즐 장치(13)와 세정수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변기의 상면에 얹어놓는 변좌(11)를 구비한다.
이러한 위생 세정 장치(60)는, 노즐 장치(13)의 여유 공간에 설치된 버퍼 탱크(36)와 유로를 연통로(36a)를 통해 연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위 생 세정 장치(60)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맥동을 수반하는 세정수가 유로를 흐르는 도중에서, 세정수의 일부가 버퍼 탱크(36)에 유입 및 유출함으로써 맥동을 억제하고, 부드러운 세정감을 구비한 쾌적한 위생 세정 장치(6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퍼 탱크(36)에 의한 세정수의 맥동 저감의 작용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기재한 비데 세정 유로(34), 버퍼 탱크(36), 및 연통로(36a)의 구성에 의해 초래되는 것이다. 그리고 버퍼 탱크(36)에 의한 세정수의 맥동 저감의 작용 효과는,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의 슬라이드 구조, 노즐 커버(23)와 노즐 본체(22)의 연결 구동 구조 등의 다른 구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비데 세정 기능만을 구비한 독립된 노즐 장치에, 본 발명 실시 형태 1에 기재된 비데 세정에 관한 비데 세정 유로(34), 연통로(36a), 버퍼 탱크(36) 등의 구성을 실시한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는 노즐 구동 장치(41)로서 구동 모터(42)와 웜 기어와 변속 기어(43)와, 피니언 기어(44)를 구비한 기어를 통해 전달 기구를 채용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벨트나 체인 등의 전달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또, 노즐 커버 본체(25)를 스테인리스로 형성했지만, 재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내식성을 구비한 금속 재료나 세라믹 등의 무기 재료 혹은 수지 재료도 좋다. 특히 이러한 재료에 항균, 혹은 살균 성능이나 발수 성능 등을 부가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더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연결 장치(24)의 연결편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로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탄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도 된다. 수지 재료를 사용했을 경우, 연결 장치(24)의 연결 부재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저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세정 유로로서 엉덩이 직분사 세정 유로(32),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33), 및 비데 세정 유로(34)의 3 유로를 형성했다. 그러나 그 외에도 케이싱(16)의 노즐 가이드(19)에 설치한 노즐 세정 분출구(39) 대신에 노즐 세정 유로를 설치하거나, 세정에 의해 젖은 인체를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풍을 취출(吹出)하는 건조풍 유로를 설치해도 된다.
또 노즐 락 블록(26)에는, 피니언 기어(44)와 끼워 맞추는 락(26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커버(23)가 구동하고, 연결된 노즐 본체(22)가 견인 이동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반대로, 노즐 본체(22)에 락(26a)을 설치하여 노즐 본체(22)가 구동하고, 연결된 노즐 커버(23)를 견인 이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노즐 커버(23)에 열린 분출 개구(29)는,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노즐 유닛(21) 수용시에 비데 세정 분출구(27)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엉덩이 세정 분출구(28)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또 연결 장치(24)에서의 연결 수부를 3개소로 늘려, 어느 세정 분출구와도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즐 유닛(21) 수납시, 모든 세정 분출구가 노즐 커버(23)에 의해 덮여 화장지 쓰레기로 대표되는 분진이 세정구에 들어 오지 않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노즐 세정 분출구(39)는, 세정 확대부(38)의 상부 옆쪽 접선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지만 노즐 커버(23)에 수납시, 분출 개구(29)와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노즐 세정 분출구(39)를 개구시켜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국부의 세정수가 분출하는 분출 개구(29)를 집중하여 세정할 수 있다.
또 매번, 노즐 커버(23)가 후방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위치를 노즐 유닛(21)의 원점 위치로 하고, 그 원점 위치를 확인한 후, 세정을 개시하는 시퀀스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체(10)의 전원 투입시에만 원점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 정보를 제어 장치에 기억시켜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정 개시의 신호를 받고 실제로 노즐 장치(13)가 구동하여, 세정할 때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그 외로, 정해진 타이밍을 제어 장치에 설정해 두고, 그 타이밍에 따라 정기적으로 원점 위치를 확인하는 형태도 좋다. 이에 의해, 세정 개시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면서 노즐 유닛(21)의 원점 위치가 어긋나게 되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수정된다.
<실시 형태 2>
도 3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노즐 장치의 전체의 외관 사시도, 도 34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의 분출 개구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가 실시 형태 1과 다른 것은, 노즐 본체(122)에 연결 배치된 회전 구동 장치(154)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실시 형태 1의 동일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 수부(146)는, 노즐 본체(122)와 노즐 커버(123)를 연결한다. 또 연결 수부(146)는, 노즐 본체(122)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 단면 형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즐 본체(122)가 회전해도, 연결 수부(146)와 연결 돌기(147a)의 끼워 맞춤 관계는 변함없고, 동일한 위치 관계를 가지고 계속 연결된다. 또, 노즐 커버 본체(125)에 열려 있는 분출 개구(129)는, 원주 방향으로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 긴 구멍의 개구 각도를 α로 한다.
엉덩이 세정이나 비데 세정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 장치(154)를 동작시킨다. 엉덩이 세정 분출구(28) 혹은 비데 세정 분출구(127)가 연직상 방향 위치에 있는 상태를 기준 위치로 하고, 노즐 본체(122)를 좌우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 각도를 기준 위치에서 좌우에 개구 각도α의 1/2보다 작게 함으로써, 노즐 커버 본체(125)에 간섭하지 않고 세정수가 분출된다. 분출한 세정수는 진동하여 넓은 범위를 세정할 수 있음과 더불어, 분류가 흩어지게 되므로 수량을 느끼는 세정이 된다. 이 때, 회전 속도나 회전 범위를 제어함으로써, 세정 범위, 수량감을 조절할 수 있다.
또, 회전 구동 장치(154)와 더불어 노즐 구동 장치(141)도 구동 모터(142)를 정회전, 역회전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의 세정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3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의 분출 개구에서의 단면도, 도 36은 동 노즐 장치의 회전시킨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이 실시 형태 2와 다른 것은, 노즐 본체(122)에 구성된 건조풍 유로(155), 건조풍 분출구(156), 건조풍 공급구(도시하지 않음)이다. 건조풍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2의 동일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건조풍 공급 장치는, 건조 팬과 건조 히터와 건조 풍동에 의해 구성된다. 건조 풍동은, 건조풍 공급구와 연통되어 있다. 건조 팬과 건조 히터는,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온도의 온풍이 취출하게 되어 있다. 건조풍 분출구(156)는, 노즐 본체(122)의 구동 방향에 대해 비데 세정 분출구(127)와 같은 위치이다. 또 건조풍 분출구(156)는 노즐 본체(122)를 각도 β만큼 회전시켰을 때, 연직상 방향으로 구멍이 향하도록 한 방향으로 열려 있다. β를 긴 구멍의 개구 각도α의 1/2보다 큰 각도로 함으로써, 건조풍 분출구(156)는 비데 세정시에는 노즐 커버(123)로 덮여 있다. 그 때문에 비데 세정에 의해 생긴 오수가 건조풍 분출구(156)에 직접 튀지 않기 때문에, 청결하게 유지된다.
또 건조풍 분출구(156)는, 비데 세정 분출구(127)와 같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연결 장치(124)에서의 연결 수부의 수를 늘릴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간단한 구성이 되고, 또한 건조풍 분출구(156)를 노즐 본체(122) 보다 전방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만큼 노즐 커버(123)의 돌출 거리가 적어도 되고, 공간 생략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건조를 선택한 경우, 비데 세정과 마찬가지로 노즐 커버(123)의 원점 위치를 확인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 모터(142)가 회전한다. 그리고 노즐 본체(122)와, 노즐 커버(1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비데 세정의 경우와 같다. 그러나 건조일 경우, 건조 표준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구동 모터(142)를 정지시킨 후,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구동 장치(154)에 의해 노즐 본체(122)를 각도β 회전시켜, 그 위치를 건조의 표준 위치로 한다.
상기 건조의 표준 위치에 노즐 커버(123)가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장치는 건조풍 공급 장치를 제어하고, 온풍 송풍이 개시된다. 통상, 엉덩이 및 비데 세정 후, 세정수는 국부만이 아니라, 그 주변까지 튀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 구동 장치(154)와 더불어 노즐 구동 장치(141)도 구동 모터(142)를 정회전, 역회전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더 넓은 범위에 건조풍을 내뿜을 수 있다. 또, 노즐 본체(122)의 회전과 건조풍의 송풍 제어를 연동시켜, 건조풍 분출구(156)가 외측으로부터 중앙부에 회전할 때만 송풍하도록 한다. 그 결과, 엉덩이에 붙은 물방울을 중앙부에 모을 수 있고, 최후에 정리하여 중앙부에 건조풍을 내뿜음으로써, 효율적으로 건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를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커버가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의 노즐 장치 전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커버가 수납 위치에서 상부 케이스를 제외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위치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노즐 장치의 엉덩이 세정 위치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다.
도 7A는 도 6A의 B-B선 단면도다.
도 7B는 도 6A의 C-C선 단면도다.
도 8은 도 7A의 G-G선 단면도다.
도 9는 도 6B의 D-D선 단면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의 노즐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E-E선 단면도다.
도 12는 도 10의 F-F선 단면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 수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동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동 노즐 장치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 노즐 장치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동 노즐 장치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동 노즐 장치의 후퇴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0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비데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1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2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3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4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후퇴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5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26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비데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27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28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신장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29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30은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후퇴 방향으로의 연결 위치 전환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31은 동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시의 연결 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2는 동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시의 연결 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노즐 장치의 전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4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의 분출 개구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의 분출 개구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동 노즐 장치의 회전시킨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종래의 비데 세정에 사용하는 노즐 장치이다.

Claims (9)

  1. 노즐 본체에 설치한 분출구와, 상기 노즐 본체의 후부(後部)로부터 상기 분출구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도중으로부터 분기한 연통로를 통해 접속한 버퍼 탱크를 구비한 노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퍼 탱크는 상기 유로에 병행하게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버퍼 탱크의 중간부에 상기 연통로를 접속한 노즐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부에 설치한 상기 세정수를 분출시키는 복수의 상기 분출구와, 복수의 상기 분출구에 개별적으로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복수의 상기 유로를 구비하고, 적어도 1개의 상기 유로에 연통하는 상기 버퍼 탱크를 구비한 노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엉덩이를 세정하기 위한 상기 세정수를 분출시키는 엉덩이 세정 분출구와,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기 위한 상기 세정수를 분출시키는 비데 세정 분출구이고, 상기 유로는 상기 엉덩이 세정 분출구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엉덩 이 직분사 세정 유로 및 엉덩이 선회 세정 유로와, 상기 비데 세정 분출구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비데 세정 유로이고, 상기 버퍼 탱크는 상기 비데 세정 유로에 연통하는 노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통 형상의 노즐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커버에는 분출 개구를 가지고, 상기 분출구에 상기 분출 개구를 대향시켜, 상기 분출 개구를 통해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 커버와 상기 노즐 본체의 어느 한 쪽을 슬라이드시키는 노즐 구동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즐 커버의 전체를 상기 노즐 가이드 내에 수납한 수납 위치와, 상기 노즐 커버의 일부가 상기 노즐 가이드보다 진출한 복수의 세정 위치 사이를 상기 노즐 구동 장치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수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정 위치 사이를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노즐 커버와 연동하여 상기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커버는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상기 노즐 커버에는 1개의 상기 분출 개구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분출구에 상기 분출 개구를 대향시키도록 상기 노즐 본체 혹은 상기 노즐 커버를 슬라이드시키는 노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노즐 가이드는 상기 노즐 커버의 상기 수납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 및 상기 분출 개구를 덮는 세정 확대부와, 상기 세정 확대부의 상부에 상기 노즐 커버를 세정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를 구비한 노즐 장치.
  8.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커버는 내식성을 구비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노즐 장치.
  9. 청구항 1에 기재된 노즐 장치와, 상기 노즐 장치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장치와, 상기 노즐 장치와 상기 세정수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변기의 상면에 얹어놓는 변좌(便座)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
KR1020090041216A 2008-05-14 2009-05-12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KR101196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6776A JP4591540B2 (ja) 2008-05-14 2008-05-14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JP-P-2008-126776 2008-05-14
JPJP-P-2008-196132 2008-07-30
JP2008196132A JP5104625B2 (ja) 2008-07-30 2008-07-30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858A true KR20090118858A (ko) 2009-11-18
KR101196154B1 KR101196154B1 (ko) 2012-10-30

Family

ID=4160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216A KR101196154B1 (ko) 2008-05-14 2009-05-12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6154B1 (ko)
CN (1) CN1025181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4903A (zh) * 2017-07-27 2017-10-17 赵章程 一种齿条喷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38941A (en) 2006-02-10 2007-10-16 Toto Ltd Sanitary washing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vice
CN102767222B (zh) * 2012-06-29 2014-07-23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温水便座装置喷嘴组件及其清洁方法及温水便座装置
CN107816101B (zh) * 2017-09-30 2023-09-15 厦门科牧智能技术有限公司 多功能喷杆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5180A (zh) 1997-08-15 2000-11-29 东陶机器株式会社 洗涤水喷射装置
JPH1171800A (ja) * 1997-08-28 1999-03-16 Toto Ltd 衛生洗浄装置のノズル機構
EP2295148A3 (en) 2001-01-05 2014-03-12 Toto Ltd. Water jetting device
US8495770B2 (en) 2003-04-28 2013-07-30 Panasonic Corporation Nozzle device and hygienic washing device
JP4940748B2 (ja) * 2006-04-28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CN200982022Y (zh) * 2006-06-13 2007-11-28 潘定国 用于便后清洗及座圈消毒的抽水马桶
CN101089304B (zh) * 2006-06-13 2010-07-14 潘定国 用于便后清洗及座圈消毒的抽水马桶
CN200970194Y (zh) * 2006-11-27 2007-11-07 林土 具有伸缩结构的烘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4903A (zh) * 2017-07-27 2017-10-17 赵章程 一种齿条喷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154B1 (ko) 2012-10-30
CN102518196B (zh) 2013-08-14
CN102518196A (zh)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6424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用いた、衛生洗浄装置
TWI336365B (ko)
JP4939983B2 (ja) ノズ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5919466B2 (ja) 衛生洗浄装置
KR19980078461A (ko) 여성세척기와 구강샤워기가 일체로 구비된 온냉수겸용 항문세척기
KR101196154B1 (ko)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JP5104625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59154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940862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217965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100642938B1 (ko) 전방에서 분사되는 세정노즐이 장착된 비데
JP2008240403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940748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591542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09303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626304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2008291491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3718090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4984629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33802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425394B2 (ja) 温水洗浄装置のノズル掃除装置
JP2008038535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S602293Y2 (ja) 衛生洗浄装置
CN220967192U (zh) 一种座便器及其座圈
JPH05401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