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977A -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식품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식품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977A
KR20090114977A KR1020080040882A KR20080040882A KR20090114977A KR 20090114977 A KR20090114977 A KR 20090114977A KR 1020080040882 A KR1020080040882 A KR 1020080040882A KR 20080040882 A KR20080040882 A KR 20080040882A KR 20090114977 A KR20090114977 A KR 20090114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concentration
pattern
food
map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부
곽봉순
채기탁
김보군
정성원
김순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08004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4977A/ko
Priority to JP2008137492A priority patent/JP2009268449A/ja
Publication of KR2009011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2Apparatus for preparing or treating fermented milk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재료를 가열하여 발효시키는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식품재료의 발효시 사용자에 기호에 따라 선택된 발효패턴이나 평균적인 발효패턴 등을 저장하고, 저장된 발효패턴에 의해 식품재료의 발효가 제어되도록 하여, 신속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센서부의 고장시에도 식품의 발효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는 가공할 식품재료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의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수납되어 가공할 식품재료를 보관하는 용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할 식품재료가 발효되도록 가열하는 발열부와,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하는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상태가 미리 발효맵 데이터로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발효, 식품, 가공, 발열, 제어, 가스, 농도, 용기, 채반, 발효맵, 데이터

Description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가공 방법 {FERMENTATION FOOD MAKING APPARATUS HAVING STORAGE FUNCTION OF FERMENTATION PATTERN AND FOOD PROCESSING METHOD OF USE IT}
본 발명은 식품 재료를 가열하여 발효시키는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하는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상태를 미리 데이터화하고, 이 데이터에 따라 식품의 발효조건을 제어하는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발효 제조기(10)의 단면도인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발효 제조기(10)는 본체(12)의 내부에 수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4)에는 발효될 식품 재료가 저장될 채반(30)으로 이루어진 용기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12)에는 식품 재료가 발효되도록 적절한 온도 및 시간 조건으로 가열하는 발열부(16)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2)에는 상기 수용부(14)를 덮는 덮개(2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효 제조기(10)는 적절한 발효 온도와 시간 조건을 유지 시켜주면, 상기 용기에 저장된 식품 재료가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다. 발효는 영양소를 흡수되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 주기도 하며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 음식물을 발효시키는 조리법이 널리 실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발효음식으로는 김치, 요구르트, 된장, 청국장이 대표적이다. 상기한 발효음식은 특유의 풍미로 인해 맛이 우수하고, 매우 풍부한 영양소를 갖고 있어 건강에도 이로운 음식물이다.
이러한 종래의 발효 제조기는 요구르트 또는 청국장과 같은 발효식품을 제조함에 있어, 단순히 시간과 온도만으로 제조가 되어 내, 외적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그 품질의 차이가 크다. 즉, 외부환경과 발효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발효온도(40~42℃)와 시간만으로 발효를 유도하기 때문에 미생물의 발효에 필요한 최상의 조건을 이끌어 낼 수 없으며, 사용자 마다 발효품질이 일정하게 반복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발효품질을 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불어, 미생물은 유도기, 대수기, 정체기, 사멸기를 거쳐 성장을 하는데, 미생물의 수는 정체기에 접어들면서 최고조에 이르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즉, 대수기는 거의 발효 초기 단계로 볼 수 있으며, 정체기는 발효 완료 단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미생물이 각각의 단계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외부환경 및 발효환경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 즉, 발효환경의 내, 외부적 요인이 최상의 발효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미생물이 최적의 조건에서 발효가 진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효가 완료 단계에 도달하기 까지 시간이 단축되고 있다. 한편, 발효환경의 내, 외부적 요인이 나쁘다면, 발효 초기 단계 또는 발효 완료 단계까지 걸리는 시 간이 길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효 제조기는 주변환경에 따라 시간적인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해진 시간으로 발효를 유도하기 때문에 발효된 식품의 발효품질이 떨어지고, 사용자마다 그 품질의 차이가 크며, 동일한 사용자라도 사용시마다 식품의 발효품질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발효환경이 최상의 조건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발효시간을 두고 발효를 시켰을 경우, 정해진 발효시간 이전에 이미 발효 초기단계가 되어 버릴 수도 있다. 이때는 아직 정해진 발효시간이 남아 있으므로 해서, 발효시간이 끝날 때까지 계속 발효가 진행되어 사용자가 원했던 발효가 아니라, 이미 발효숙성이 한참 진행된 상태가 되어져 있을 수 있다.
반대로, 발효환경이 나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발효시간을 두고 발효를 시켰을 경우, 정해진 발효시간 안에 발효 초기 단계가 오지 않을 수 있다. 즉, 발효가 덜된 상태로 발효기의 발효가 멈추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발효가 아니라, 미숙한 발효로 끝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발효 제조기는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발효상태를 판단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의 처리 속도를 증가시켜 작업을 신속하게 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 품재료의 발효시 사용자에 기호에 따라 선택된 발효패턴이나 평균적인 발효패턴 등을 저장하고, 저장된 발효패턴에 의해 식품재료의 발효가 제어되도록 하여, 신속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센서부의 고장시에도 식품의 발효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는 가공할 식품재료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의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수납되어 가공할 식품재료를 보관하는 용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할 식품재료가 발효되도록 가열하는 발열부와,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하는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상태가 미리 발효맵 데이터로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발효 제조기는 상기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상기 센서부에 측정된 가스의 농도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얻어지는 발효패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효패턴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 제조기는 상기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상기 센서부에 측정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얻어지는 발효패턴을 저장하는 과정을 소정의 횟수로 반복하여 평균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가공 방법은 발효될 식품 재료를 마련하여 발효용 용기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에 저장된 식품재료를 발효 제조기에 넣고 가열하여 초기 발효를 진행시키는 단계와,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하는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패턴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와, 상기 불러온 발효맵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단계별로 발효상태가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사용자가 선택한 발효패턴을 저장한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상기 발효 제조기의 작동시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패턴을 데이터화하는 과정을 소정의 횟수로 반복하여 평균하여 저장한 데이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사용지역의 발효 환경에 대한 발효패턴을 저장한 데이터인 것도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가공 방법은 식품재료의 발생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저장된 발효패턴 중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발효패턴을 선택하여 식품의 발효를 제어하므로 매번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발효상태를 파악하지 않아도 되므로 처리속도가 빨라지고, 항상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식품재료를 발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시 발생된 가스 농도의 평균값을 저장하여 발효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센서부의 가스 농도 측정값의 오차에 따른 발효편차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가스센서부의 오작동 또는 고장시에도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발효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발효 단계 이후의 발효 숙성 단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연한 청국장 맛과 전통의 진한 청국장 맛을 얻을 수 있고, 초기 발효 단계에서 청국장 발효의 품질이 결정되면 이 후 발효 숙성은 그것을 바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풍부하고 깊은 맛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1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 및 각종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본체(112)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112)의 전면 상부에는 이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12)의 내부에는 소정 공간의 수용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14)에는 식품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가 수납된다.
상기 본체(112)의 전면부에는 상기 용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커 버(12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120)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12)의 전면에 밀착되는 패킹부재(122)가 마련된다. 상기 패킹부재(122)는 단열성을 향상시키며, 식품의 발효시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본체(112)에는 상기 수용부(114)의 상부에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부(116)가 마련된다. 상기 발열부(116)는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열 및 냉장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열전소자의 하나인 펠티어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 제조기(110)의 식품이 발효되도록 가열한 후, 발효 제조기(110)의 내부를 냉장하여 발효된 식품을 숙성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112)에는 상기 펠티어 소자의 냉장 또는 가열시 방열 또는 흡열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열교환부 및 이를 위한 통풍구(119)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발열부(116)의 하부에는 송풍팬(118)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118)은 상기 수용부(114)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내부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부(116) 및 상기 송풍팬(118)은 상기 수용부(114)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수용부(114)의 측면 등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용부(114)에 수용되는 용기는 가공될 식품재료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용기는 채반(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채반(130)은 상기 수용부(114)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12)의 상단에 거치된다. 상기 채반(130)은 보관된 식품재료의 원활한 통기를 위해 다수의 통기홀(1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채반(130)에는 상측에 모이는 수분이 식품 재료로 유입되는 것 을 차단하기 위한 돌출턱(138)과, 상측에 모이는 수분을 상기 수용부(114)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13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2)의 내부에는 상기 발열부(1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본체(112)의 전면에 설치된 조작부(140)로부터 입력된 식품가공모드에 따라 적합한 발효가 진행되도록 상기 발열부(116)의 작동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140)는 발효 제조기(110)의 작동상태의 표시하는 표시부(142)와, 상기 본체(112)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및 취소 스위치(143)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된 식품에 따라 발효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선택스위치(144) 및 발효단계 선택스위치(1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2)에는 상기 조작부(140)의 작동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도시되지 않은) 음향출력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116)는 상기 조작부(140)의 메뉴 선택스위치(144)를 누른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작동이 진행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작동이 제어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작부(140)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다른 기능을 갖는 스위치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효 제조기(110)는 소정의 횟수동안 반복하여 실시한 패턴 중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발효패턴을 저장하고, 이후 식품재료의 발효시 저장된 발효패턴에 따라 식품재료를 발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0)는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하는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패턴을 미리 발효맵 데이터로 저장된 저장부(152)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된 상기 발효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부(116)의 발효 패턴을 제어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 제조기(110)에는 상기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15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5)는 상기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측정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55)에서 측정된 가스의 농도값에 따라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발열부(116)의 작동온도 및 시간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부(155)는 상기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되는 발효 가스의 일례인 암모니아(NH3) 가스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암모니아(NH3) 가스의 농도를 통해 발효가 진행중인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5)에서 측정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발효상태를 제어하며, 이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55)에 측정된 가스의 농도값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식품재료를 발효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식품재료의 발효과정이 반복되는 동안 사용자는 기호에 맞는 발효상태의 발효패턴을 선택하고, 이에 따른 제어조건이 데이터화된 발효맵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이후 식품재료의 발효 가공시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를 불러들여 이를 토대로 발열부의 작동온도 또는 시간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발효맵 데이터에 따라 초기발효조건을 달성하게 되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발효과정을 단계별로 더 진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발효패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며, 제품의 생산시 최적의 조건에서 실험된 발효패턴에 따른 제어조건일 저장부(152)에 저장하여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발효맵 데이터가 저장부(152)에 저장된 상태로 제조, 판매될 경우, 별도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 제조기(110)는 사용사가 사용하는 지역에 따라 최적의 발효맵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인터넷 또는 별도의 저장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펌웨어 등을 통해 발효맵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상기 센서부(155)에 측정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얻어지는 발효패턴을 저장하는 과정을 소정의 횟수로 반복하여 평균화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하여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저장부(152)에는 제품의 생산시 최적의 조건에서 실험된 발효패턴에 따른 제어조건을 발효맵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를 통해 초기 발효과정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 기 제어부(150)는 이러한 과정을 소정의 횟수로 반복하여 실시하며,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된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상태를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하고, 이를 평균화하여 발효맵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축된 발효맵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하고, 이후 발효 과정시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를 불러들여 발효패턴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이러한 과정을 소정의 횟수로 반복하여 실시하며,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된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패턴을 저장하여 발효맵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발효 제조기(110)가 상기 발효맵 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은 소정의 횟수동안 반복하여 실시한 발효패턴 중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발효패턴을 발효맵 데이터로 저장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발효 제조기(110)가 상기 발효맵 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은 제품의 구입후 소정의 횟수가 반복되는 동안 축적된 데이터를 평균화하여 구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의 시점에서 소정의 횟수로 반복되는 동안의 축척된 데이터를 평균화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제조기에 의해 제조되는 식품재료의 발효발태를 표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발효상태에 따른 발효가스의 농도를 표시한 그래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발효상태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발효 제조기(110)에 의해 식품재료를 발효하게 되면, 식품재료의 미생물 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효소의 활성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효소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가 증가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는 식품재료의 미생물 성장곡선을 나타내며, 식품재료가 발효조건으로 유지되면, 미생물들이 증가하게 한다. 이와 같이 미생물의 수 및 활성도가 증가하는 시기를 '대수기'라고 합니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미생물의 증가속도 및 활성도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미생물의 증가속도 및 활성도가 저하되는 시기를 '정체기'라고 한다. 또한, 상기 정체기 이후로 시간이 더 경과되면, 미생물의 증가속도 및 활성도가 떨어지는 시기를 '사멸기'라고 한다. 사멸기는 미생물의 발효가 완료된 시기로서, '사멸기'에 도달된 식품재료를 숙성시켜 발효식품으로 완성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식품재료의 발효상태는 도 6과 같으나, 가정에서는 미생물의 성장상태를 측정하여 발효상태를 제어할 수 없다. 한편, 도 7에는 상기 발효 제조기(110)의 발효상태에 따른 발효가스의 농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상기 발효 제조기(110)의 발효상태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미생물의 성장하는 상태는 발효가스가 발생하는 그래프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발효가스, 일례로 암모니아 가스의 발생 농도를 측정하여 식품재료의 발효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효가스는 암모니아 및 다른 여러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155)에 측정되는 가스의 농도곡선을 측정하면, 기술 기가 변하는 변곡시기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변곡점에 도달하는 시기는 초기 발효시기를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55)에 의해 측정되는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패턴을 데이터화하여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하는 과정을 소정의 횟수로 반복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소정의 횟수로 반복된 발효패턴 중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발효패턴을 발효맵 데이터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다음번의 식품가공시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효상태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제조기(110)를 이용한 가공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발효하고자 하는 식품 재료를 채반(130)에 담고, 상기 채반(130)을 본체(112)의 수용부(114)에 안치한다. 다음으로 조작부(140)의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원을 인가한 후, 가공모드 선택스위치에서 해당 목록에 맞는 발효 모드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부(140)에서 설정된 발효 온도 및 시간은 제어부(15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150)는 설정된 발효 온도 및 시간에 따라 발열부(116)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발열부(116)의 작동이 시작되면 중앙부의 공기가 더워지며 상승기류가 형성되고, 외곽부에는 하강기류가 형성되며 자연적인 대류가 일어나게 된다.
상기 발효 제조기(110)는 초기 작동후, 소정의 횟수 동안은 센서부(155)를 통해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된 가스, 일례로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55)에서 측정된 가스의 농도를 통해 상기 발열부(116)의 온도 및 시간 조건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식품재료의 발효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부(152)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발효 제조기(110)는 상기 센서부(155)에 의해 측정되는 가스의 농도에 따라 식품재료의 발효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발효 제조기(110)는 소정의 횟수가 반복되면, 이중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발효패턴을 발효맵 데이터로 설정하여, 이를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식품재료의 다음번 발효시 상기 저장부(152)에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를 통해 식품의 발효과정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제조기(110)는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발효맵 데이터를 통해 식품의 발효과정을 제어하므로, 식품재료의 발효를 빠르고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제조기(110)는 상기 센서부(155)의 오작동 및 고장 등으로 인한 정상적인 발효과정을 제어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에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를 통해 발효과정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효의 의미는 요구르트, 청국장 등의 발효뿐만 아니라, 현미와 같은 곡류의 발아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채반(130)과 같이 용기에 물에 불린 현미를 보관한 후 발아에 적당한 온도와 시간으로 가열하여 발아 작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를 위해 각각의 식료품에 따라 적당한 형태의 용기를 선택하는 것 이 가능하다. 일예로 요구르트의 제조시 복수개로 이루어진 밀폐형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곡류를 발아시키거나 또는 다른 식품재료의 건조를 위해 채반(130)과 같은 용기를 복수층으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제조기에 의해 제조되는 식품재료의 발효발태를 표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발효상태에 따른 발효가스의 농도를 표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제조기의 발효상태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표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발효 제조기 112 : 본체
114 : 수용부 116 : 발열부
120 : 커버 130 : 채반
140 : 조작부 150 : 제어부
152 : 저장부 155 : 센서부

Claims (7)

  1. 가공할 식품재료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의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수납되어 가공할 식품재료를 보관하는 용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할 식품재료가 발효되도록 가열하는 발열부와,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하는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패턴이 미리 발효맵 데이터로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효 제조기는 상기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상기 센서부에 측정된 가스의 농도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얻어지는 발효패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효패턴의 데이터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효 제조기는 상기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상기 센서부에 측정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얻어지는 발효패턴을 저장하는 과정을 소정의 횟수로 반복하여 평균화한 데이터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4. 발효될 식품 재료를 마련하여, 발효용 용기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에 저장된 식품재료를 발효 제조기에 넣고 가열하여 초기 발효를 진행시키는 단계와,
    식품재료의 발효시 발생하는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패턴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발효맵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와,
    상기 불러온 발효맵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단계별로 발효상태가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상기 발효 제조기의 작동시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패턴을 저장한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상기 발효 제조기의 작동시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가스의 농도에 따른 발효패턴을 데이터화하는 과정을 소정의 횟수로 반복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평균하여 저장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효맵 데이터는 사용지역의 발효 환경에 대한 발효패턴을 저장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 방법.
KR1020080040882A 2008-04-30 2008-04-30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식품 가공 방법 KR20090114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882A KR20090114977A (ko) 2008-04-30 2008-04-30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식품 가공 방법
JP2008137492A JP2009268449A (ja) 2008-04-30 2008-05-27 人工知能型発酵製造機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加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882A KR20090114977A (ko) 2008-04-30 2008-04-30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식품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977A true KR20090114977A (ko) 2009-11-04

Family

ID=4155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882A KR20090114977A (ko) 2008-04-30 2008-04-30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식품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49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841B1 (ko) 압력 밥솥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압력 밥솥
CN105076395B (zh) 酸奶发酵装置、冰箱及酸奶发酵方法
KR101022711B1 (ko) 인공지능형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가공 방법
KR20200006565A (ko) 조리 기구
KR20160092887A (ko) 가스 검출 장치,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67899A (ja) 炊飯器
JP2006034962A (ja) 電気圧力炊飯器の炊飯調節装置
JP2006333815A (ja) 調理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調理機器
KR100997758B1 (ko) 전기압력밥솥
KR20090000946A (ko) 발효주 제조장치
KR20090114977A (ko) 발효패턴의 저장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식품 가공 방법
JP2009268449A (ja) 人工知能型発酵製造機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加工方法
JP2019000611A (ja) 温度および水の制御を備える自動ポッド調理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5460813B1 (ja) 炊飯器
KR100707812B1 (ko)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JP3964430B2 (ja) 厨房用電熱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穀物の発芽方法
KR20110081581A (ko) 김치저장고의 숙성 제어방법
JP5910346B2 (ja) 炊飯器
KR102554585B1 (ko) 냉장고
JP2018068326A (ja) 炊飯器
KR200420933Y1 (ko) 발효장치
CN107549294A (zh) 用于延长蔬菜或水果的保存时间的器具和方法
KR100594370B1 (ko) 식품 발효기
CN111121380A (zh) 干物制备方法、干物制备装置以及冰箱
KR20090114979A (ko) 내부공기 순환제어 기능을 구비한 발효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