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090A - 쐐기형 강선 클램프 - Google Patents

쐐기형 강선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090A
KR20090114090A KR1020080039871A KR20080039871A KR20090114090A KR 20090114090 A KR20090114090 A KR 20090114090A KR 1020080039871 A KR1020080039871 A KR 1020080039871A KR 20080039871 A KR20080039871 A KR 20080039871A KR 20090114090 A KR20090114090 A KR 20090114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tensile steel
wedge
clamping
clamping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6799B1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8003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79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클램핑척과 인장 강선의 접촉부분을 증가시켜 이들 사이의 마찰력을 더욱 크게 함으로써 인장 강선을 잡아당길 때의 인장력에 의해 클램핑척과 인장 강선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인장 강선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토목 건축 구조물을 지지 및 고정한 상태에서 강한 외력이 작용하여도 강한 고정력에 의해 고정상태가 풀리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쐐기형 강선 클램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테이퍼구멍이 형성된 클램핑몸체와, 상기 클램핑몸체의 테이퍼구멍에 끼워지도록 대응하는 테이퍼둘레면을 가지고 인장 강선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구멍을 가지는 쐐기형태의 클램핑척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램핑척은 일정 각도로 분할 형성된 복수개의 분할척으로 구성된 쐐기형 강선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척의 고정구멍 안둘레면에 인장 강선의 돌출부분에 대응하는 나선형 오목부와, 인장 강선의 오목부분에 대응하는 나선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선형 오목부에 인장 강선의 접촉부분을 분할하는 나선형홈을 형성하며, 상기 클램핑척의 나선형 오목부에 인장 강선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요철부를 형성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쐐기형 강선 클램프{Wedge clamp for fixing steel wire}
본 발명은 쐐기형 강선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 건축 구조물을 지지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장 강선의 끝단을 고정하여 인장 강선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쐐기형 강선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 및 건축구조물의 구축공사시에는 구축하는 토목 건축 구조물이 지진이나 풍력, 수압, 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붕괴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장 강선을 이용하여 지지 및 고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장 강선의 지지 및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장 강선의 끝단을 쐐기형 강선 클램프로 결속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토목 건축 구조물의 일예로서 지하에 가설되는 각종 수도배관, 가스배관, 전선 케이블 등을 보호하기 위해 땅속에 매립 설치되는 콘크리트관이 인장 강선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콘크리트관(1)은 내부 중간에 공간부(2)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2)로부터 양쪽 끝단으로 관통구멍(3)을 형성하고 있으며, 여러 개의 콘크리트관(1)을 맞대어 연결함으로써 기다란 매설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인장 강선(S)은 상기 관통구멍(3)을 통하여 인접한 콘크리트관(1)에 걸쳐 설치되고, 양 끝단은 양쪽 콘크리트관(1)의 공간부(2)에 위치하는 것과, 양쪽 콘크리트관(1)의 양끝단에 위치하는 것 등, 콘크리트관(1)의 제작사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여기서는 클램프가 양쪽 콘크리트관(1)의 공간부(2)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면, 먼저 인장 강선(S)의 한쪽 끝단에 클램프(4)를 고정하고, 다른 한쪽의 인장 강선(S) 끝단은 도시하지 않은 강선인장기를 이용하여 잡아당긴 후, 역시 클램프(4)로 고정함으로써 양쪽 콘크리트관(1)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한 구조이며, 상기와 같이 인장 강선(S)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클램프(4)로서 쐐기형 강선 클램프(4)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쐐기형 강선 클램프(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구멍(5a)이 형성된 클램핑몸체(5)와, 상기 클램핑몸체(5)의 테이퍼구멍(5a)에 끼워지도록 대응하는 테이퍼둘레면(6a)을 가지고 인장 강선(S)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구멍(6b)을 가지는 쐐기형태의 클램핑척(6)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램핑척(6)은 일정 각도로 분할 형성된 3개의 분할척(7,8,9)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분할척(7,8,9)의 고정구멍(6b) 안둘레면에는 인장 강선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부(7a,8a,9a)가 형성되어 있으며, 분할척(7,8,9)은 고무링(10)으로 결합시킨 구성이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인장 강선(S)의 끝단을 클램핑몸체(5)의 테이퍼구멍(5a)과 클램핑척(6)의 고정구멍(6a)으로 차례로 통과시키고, 클램핑척(6)을 클램핑몸체(5)의 테이퍼구멍(5a)에 끼워넣은 후, 도 3에서와 같이 인장 강선(S)을 화살 표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클램핑척(6)이 클램핑몸체(5)의 내부로 더욱 삽입되고, 이로 인해 테이퍼구멍(5a)과 테이퍼둘레면(6a)에 의해 각각의 분할척(7,8,9)은 더욱 조여지게 되므로 인장 강선(S)의 둘레를 더욱 강하게 밀착시켜 인장 강선(S)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인장 강선(S)의 다른 끝단에도 쐐기형 강선 클램프(4)를 고정하게 되면, 도 1에서와 같이 인접한 콘크리트관(1)을 서로 연결하여 인장 강선(S)으로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강선(S)은 통상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여러 가닥의 강선을 나선형으로 꼬아 제작된 것으로, 지름방향으로 돌출된 각 강선의 가장 바깥측인 돌출부분이 고정구멍(6b)의 안둘레면과 접촉되고, 이 접촉부분(a)은 클램핑척(6)의 길이방향으로 선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척(6)과 인장 강선(S)의 접촉부분(a)이 적어 이들 사이의 마찰력이 크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고,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정구멍(6b)의 안둘레면에 요철부(7a,8a,9a)를 형성하고 있으나, 요철부(7a,8a,9a)도 인장 강선(S)의 둘레방향으로 선접촉하는 것이므로 마찰력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인장 강선(S)을 너무 강하게 잡아당기게 되면, 클램핑척(6)과 인장 강선(S)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인장 강선(S)의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인장 강선(S)이 클램핑척(6)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며, 특히 토목 건축 구조물을 지지 및 고정한 상태에서 강한 외력이 작용하여 쐐기형 강선 클램프(4)의 고정상태가 풀리게 되면, 인장 강선(S)이 느슨해져 자칫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 기 때문에 이에 따른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클램핑척과 인장 강선의 접촉부분을 증가시켜 이들 사이의 마찰력을 더욱 크게 함으로써 인장 강선을 잡아당길 때의 인장력에 의해 클램핑척과 인장 강선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인장 강선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토목 건축 구조물을 지지 및 고정한 상태에서 강한 외력이 작용하여도 강한 고정력에 의해 고정상태가 풀리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쐐기형 강선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퍼구멍이 형성된 클램핑몸체와, 상기 클램핑몸체의 테이퍼구멍에 끼워지도록 대응하는 테이퍼둘레면을 가지고 인장 강선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구멍을 가지는 쐐기형태의 클램핑척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램핑척은 일정 각도로 분할 형성된 복수개의 분할척으로 구성된 쐐기형 강선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척의 고정구멍 안둘레면에 인장 강선의 돌출부분에 대응하는 나선형 오목부와, 인장 강선의 오목부분에 대응하는 나선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선형 오목부에 인장 강선의 접촉부분을 분할하는 나선형홈을 형성한 쐐기형 강선 클램프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램핑척의 나선형 오목부에 인장 강선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요철부를 형성한 쐐기형 강선 클램프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쐐기형 강선 클램프에 의하면, 클램핑척의 고정구멍에 인장 강선을 끼우게 되면, 인장 강선의 돌출부분과 오목부분은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클램핑척의 나선형 오목부와 나선형 돌출부에 일치하여 항상 클램핑척의 나선형 오목부와 인장 강선의 돌출부분이 접촉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클램핑척이 조여져 인장 강선과 밀착되면, 나선형 오목부에 형성된 나선형홈에 의해 인장 강선의 돌출부분과 접촉하는 나선형 오목부의 접촉부분은 나선형홈을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되므로 클램핑척과 인장 강선의 접촉부분이 2배로 증가되어 이들 사이의 마찰력이 전체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인장 강선을 강하게 잡아당김으로써 클램핑척과 인장 강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이 최대한 방지되어 인장 강선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토목 건축 구조물을 지지 및 고정한 상태에서 강한 외력이 작용할 때에도 고정상태를 최대한 유지하여 인장 강선이 느슨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핑척의 고정구멍에 형성된 나선형 오목부와 나선형 돌출부가 여러 개의 강선을 나선형으로 꼬아 형성된 인장 강선의 돌출부분과 오목부분에 일치되어 안내되므로, 인장 강선을 축방향으로 잡아당겨도 인장력은 나선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써 인장력이 축선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에 비하여 클램핑 척과 인장 강선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미끄러짐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강선 클램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쐐기형 강선 클램프는, 클램핑몸체(20)와 이 클램핑몸체(20)에 쐐기형태로 삽입되는 클램핑척(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핑몸체(20)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테이퍼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척(30)은 상기 클램핑몸체(20)의 테이퍼구멍(21)에 끼워지도록 대응하는 테이퍼둘레면(31)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인장 강선(S)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구멍(3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클램핑척(30)은 일정 각도로 분할 형성된 3개의 분할척(33,34,35)으로 구성되어 고정링(40)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램핑척(30)에 형성된 고정구멍(32)의 안둘레면에는 나선형 오목부(32a)와 나선형 돌출부(32b)가 형성되고, 이 나선형 오목부(32a)와 나선형 돌출부(32b)는 여러 개의 강선을 나선형으로 꼬아 형성된 인장 강선(S)의 돌출부분과 오목부분에 각각 대응하도록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나선형 오목부(32a)에는 인장 강선(S)의 돌출부분과 접촉하는 부분을 분할하는 나선형홈(32c)이 나선형 오목부(32a)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램핑척(30)의 나선형 오목부(32a)에 요철부(32d)를 형성하여 인장 강선(S)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인장 강선(S)의 끝단을 클램핑몸체(20)의 테이퍼구멍(21)으로 통과시켜 클램핑척(30)의 고정구멍(32)으로 통과시키게 되면, 클램핑척(30)의 나선형 오목부(32a) 및 나선형 돌출부(32b)가 인장 강선(S)의 돌출부분 및 오목부분에 일치되어 인장 강선(S)를 감싸게 되고, 이 상태에서 클램핑척(30)의 테이퍼둘레면(31)을 클램핑몸체(20)의 테이퍼구멍(21)에 끼워넣은 후, 도 6에서와 같이 인장 강선(S)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클램핑척(30)이 클램핑몸체(20)의 내부로 더욱 삽입되면서 테이퍼구멍(21)과 테이퍼둘레면(31)에 의해 각각의 분할척(33,34,35)이 더욱 조여지게 되므로 인장 강선(S)의 둘레를 더욱 강하게 밀착시켜 인장 강선(S)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강선(S)의 각 돌출부분은 클램핑척(30)의 각 나선형 오목부(32a)에 접촉되고, 나선형 오목부(32a)에는 나선형홈(32c)이 형성된 것이므로, 나선형 오목부(32a)와 인장 강선(S)의 접촉부분(a)이 나선형홈(32c)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클램핑척(30)과 인장 강선(S)의 접촉부분(a)이 종래에 비해 2배로 증가되므로 이들 사이의 마찰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도 6에서와 같이 인장 강선(S)을 화살표 방향으로 강하게 당기는 경우에도 클램핑척(30)과 인장 강선(S) 사이에서의 미끄러짐 현상을 최소화하여 인장 강선(S)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하여 토목 건축 구조물을 인장 강선(S)으로 고정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미끄러짐을 최소화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램핑척(30)의 고정구멍(32)에 형성된 나선형 오목부(32a)와 나선형 돌출부(32b)가 여러 개의 강선을 나선형으로 꼬아 형성된 인장 강선(S)의 돌출부분과 오목부분에 일치되는 것이므로, 항상 클램핑척(30)의 나선형 오목부(32a)와 인장 강선(S)의 돌출부분이 접촉될 수 있고, 나선형 오목부(32a)와 나선형 돌출부(32b)가 인장 강선(S)의 돌출부분과 오목부분에 안내되므로, 인장 강선(S)을 축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인장력은 나선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인장력이 축선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에 비하여 마찰력이 커져 미끄러짐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척(30)의 나선형 오목부(32a)에는 요철부(32d)가 형성되어 인장 강선(S)과의 마찰력을 더욱 증대시키게 되므로, 인장 강선(S)을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토목 건축 구조물의 일예로서 콘크리트관을 인장 강선으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쐐기형 강선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쐐기형 강선 클램프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쐐기형 강선 클램프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강선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강선 클램프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강선 클램프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클램핑몸체 21 : 테이퍼구멍
30 : 클램핑척 31 : 테이퍼둘레면
32 : 고정구멍 32a : 나선형 오목부
32b : 나선형 돌출부 32c : 나선형홈
32d : 요철부 33,34,35 : 분할척
S : 인장 강선 a : 접촉부분

Claims (2)

  1. 테이퍼구멍이 형성된 클램핑몸체와, 상기 클램핑몸체의 테이퍼구멍에 끼워지도록 대응하는 테이퍼둘레면을 가지고 인장 강선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구멍을 가지는 쐐기형태의 클램핑척으로 구성되며, 상기 클램핑척은 일정 각도로 분할 형성된 복수개의 분할척으로 구성된 쐐기형 강선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척의 고정구멍 안둘레면에 인장 강선의 돌출부분에 대응하는 나선형 오목부와, 인장 강선의 오목부분에 대응하는 나선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선형 오목부에 인장 강선의 접촉부분을 분할하는 나선형홈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강선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척의 나선형 오목부에 인장 강선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요철부를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강선 클램프.
KR1020080039871A 2008-04-29 2008-04-29 쐐기형 강선 클램프 KR10095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871A KR100956799B1 (ko) 2008-04-29 2008-04-29 쐐기형 강선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871A KR100956799B1 (ko) 2008-04-29 2008-04-29 쐐기형 강선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090A true KR20090114090A (ko) 2009-11-03
KR100956799B1 KR100956799B1 (ko) 2010-05-07

Family

ID=4155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871A KR100956799B1 (ko) 2008-04-29 2008-04-29 쐐기형 강선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7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5082A (zh) * 2012-10-09 2012-12-19 河北科技大学 锥形胀套式钢筋冷拔机夹具
CN103940665A (zh) * 2014-04-22 2014-07-23 江苏法尔胜材料分析测试有限公司 桥梁用镀锌钢丝做高频疲劳试验的夹持装置
KR101423905B1 (ko) * 2014-05-23 2014-08-13 박경룡 케이블의 쌍방향 정착장치
CN110455618A (zh) * 2019-08-15 2019-11-15 浙江森旺金属制品有限公司 钢丝拉力试验机夹具
CN113346410A (zh) * 2021-06-07 2021-09-0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汶上县供电公司 一种电力施工紧线装置及方法
CN114319105A (zh) * 2021-03-18 2022-04-12 株式会社韩国桥梁 摩擦型夹片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429B1 (ko) 2011-06-15 2011-11-10 (주) 한길산업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314A (ja) 2002-03-20 2003-10-02 Daisen:Kk ストランド定着具
JP3990708B2 (ja) 2005-11-30 2007-10-17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Pc鋼材の固定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5082A (zh) * 2012-10-09 2012-12-19 河北科技大学 锥形胀套式钢筋冷拔机夹具
CN103940665A (zh) * 2014-04-22 2014-07-23 江苏法尔胜材料分析测试有限公司 桥梁用镀锌钢丝做高频疲劳试验的夹持装置
KR101423905B1 (ko) * 2014-05-23 2014-08-13 박경룡 케이블의 쌍방향 정착장치
CN110455618A (zh) * 2019-08-15 2019-11-15 浙江森旺金属制品有限公司 钢丝拉力试验机夹具
CN114319105A (zh) * 2021-03-18 2022-04-12 株式会社韩国桥梁 摩擦型夹片及其施工方法
CN114319105B (zh) * 2021-03-18 2024-02-23 株式会社韩国桥梁 摩擦型夹片及其施工方法
CN113346410A (zh) * 2021-06-07 2021-09-0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汶上县供电公司 一种电力施工紧线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799B1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799B1 (ko) 쐐기형 강선 클램프
JP6235041B2 (ja) 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および端末定着具付きロープ、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に用いる端末金具
KR100949196B1 (ko) 강연선 재인장 장치
KR101713525B1 (ko) 마찰 지압형 영구앵커
KR101956018B1 (ko) 배관 내부 보수장치
KR20110008514A (ko) 강연선 이음장치
JP5978328B2 (ja) ケーブルの固定構造
JP2003009331A (ja) 外装ケーブルにおける外装線の端末部引留め装置
KR100721422B1 (ko)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KR100892657B1 (ko) 인장재의 정착구
KR100903751B1 (ko) 인장용 케이블 결합장치
RU2696720C1 (ru) Пояс крепления кабеля
KR101873114B1 (ko)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KR101042945B1 (ko) 2단 일체형 양방향 강선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연결구조
KR20080006448U (ko) 강연선 클램핑용 웨지
JP3970262B2 (ja) Pc鋼材の定着具
KR20110016338A (ko) 강연선 접속장치
JP4579093B2 (ja) 管路構造
KR101339136B1 (ko) 영구형 앵커의 제조방법
KR101726497B1 (ko) 쏘일 네일링 제거식 와이어 고정장치
JP2023007701A (ja) Pc鋼材のコネクタ及び接続方法
KR102116101B1 (ko) 파형관 이음부재
JP2019210770A (ja) 定着具
KR20110052837A (ko) 전선 보호관
KR20040078819A (ko) 철근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