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422B1 -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422B1
KR100721422B1 KR1020070020880A KR20070020880A KR100721422B1 KR 100721422 B1 KR100721422 B1 KR 100721422B1 KR 1020070020880 A KR1020070020880 A KR 1020070020880A KR 20070020880 A KR20070020880 A KR 20070020880A KR 100721422 B1 KR100721422 B1 KR 100721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ipe
tube
side tube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면행
강대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주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주철
Priority to KR102007002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2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Abstract

본 발명은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인트 장치와 관의 결속력을 견고히 유지함으로써 관이음부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외향 돌출된 플랜지를 갖는 일측 관에 볼트에 의해 장착되며 타측 관의 외주면을 감싸되 외향 절곡된 제1 걸림턱을 갖는 제1 조인트와, 상기 제1 걸림턱에 대응하도록 내향 절곡되어 제1 걸림턱에 의해 구속되는 제2 걸림턱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타측 관에 장착되는 제2 조인트와, 상기 두 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을 구비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측 관이 관통하는 상기 제2 조인트의 중공부는 제1 조인트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관의 외주면을 감싼채로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관내의 압력 증가 또는 지반거동에 의해 상기 타측 관이 제2 조인트로부터 이탈하려 할 때, 상기 타측 관과 함께 원추형 중공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측 관을 조임으로써 타측 관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요철블록을 구비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제1 조인트, 제2 조인트, 중공부, 원추형, 요철블록

Description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Pipe coupler}
도 1 은 종래의 조인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에 의한 관이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조인트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조인트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조인트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요철블록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요철블록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도 8에 도시된 요철블록이 제2 조인트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확장링에 의해 요철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확장링에 의해 요철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자석에 의해 요철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자석에 의해 요철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볼트에 의해 요철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 조인트 (111) : 제1 걸림턱
(112) : 체결공 (113) : 안내관
(120) : 제2 조인트 (121) : 제2 걸림턱
(122) : 중공부 (130) : 패킹
(140) : 요철블록 (141) : 요철
(151) : 확장링 (152) : 자석
본 발명은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연결되는 두 관의 이음부가 신축과 굴곡이 가능하도록 연결함과 더불어 연결된 두 관을 견고히 고정하여 시공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 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유체나 기체를 목적지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관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관은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따라 여러개의 관들이 상호 연속되도록 결합되어 목적지까지로 유체나 기체를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이웃하는 두 관을 상호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두 관을 끝단이 마주하도록 두 관을 배치한 상태에서 두 관의 이음부에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두 관을 결합하는 방법에 사용되고 있으나, 지반침하나 지반거동 또는 관내의 압력 증가시 이음부가 쉽게 파손되어 이송되는 유체 또는 기체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웃하는 두 관을 결합하되, 두 관의 이음부가 지반침하나 지반거동 또는 내부 압력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조인트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조인트 장치의 일례가 공개특허공보 2000-0049794호에 게시되어 있으며, 도 1에는 상기 조인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인트 장치는 이웃하는 두 관(10,20)중 일측 관(10)의 플랜지(11)에 설치되는 압륜(30)과, 나머지 타측 관(20)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압륜(30)과 걸림턱(31,41)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관(40)과, 상기 두 관(10,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관(40)의 경우 내주면에 요철부(42)가 구비되어 타측 관(20)을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조인트 장치는 걸림턱(31,41)에 의해 결합된 압륜(30)과 지지관(40)의 간격이 조절되어 지 반거동이나 지반침하 및 내부 압력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된 두 관(10,20)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굴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이음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조인트 장치의 경우, 지지관(40)이 내주면에 구비된 요철부(42)에 의해 타측 관(20)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시공 후 시간이 흐르게 됨에 따라 요철부(42)에 손상이 발생될 경우, 지지관(40)과 타측 관(20)의 결속력이 저하되어 지지관으로부터 관이 이탈됨으로써 관이 이음상태가 와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관이 대형화 될수록 관의 단면은 정원이 아닌 타원이나 굴곡된 부위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지지관과 관의 결속력은 더욱 저하되어 관이음상태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인트 장치와 관의 결속력을 견고히 유지함으로써 관이음부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조인트 장치의 일부분을 교체가능하게 함으로써 손상된 부품만을 교환하여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외향 돌출된 플랜지를 갖는 일측 관에 고정용 볼트)에 의해 장착되며 타측 관의 외주면을 감싸되 외향 절곡된 제1 걸림턱을 갖는 제1 조인트와, 상기 제1 걸림턱에 대응하도록 내향 절곡되어 제1 걸림턱에 의해 구속되는 제2 걸림턱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타측 관에 장착되는 제2 조인트와, 상기 두 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을 구비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측 관이 관통하는 상기 제2 조인트의 중공부는 제1 조인트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단위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타측 관의 외주면을 감싼채로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관내의 압력 증가 또는 지반거동에 의해 상기 타측 관이 제2 조인트로부터 이탈하려 할 때, 상기 타측 관과 함께 원추형 중공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측 관을 조임으로써 타측 관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요철블록과, 상기 각각의 단위블록을 타측 관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중공부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각각의 단위블록에 설치되어 각각의 단위블록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2 조인트의 중공부에 자력으로 부착되게 하는 자석을 구비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향 돌출된 플랜지를 갖는 일측 관에 고정용 볼트에 의해 장착되며 타측 관의 외주면을 감싸되 외향 절곡된 제1 걸림턱을 갖는 제1 조인트와, 상기 제1 걸림턱에 대응하도록 내향 절곡되어 제1 걸림턱에 의해 구속되는 제2 걸림턱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타측 관에 장착되는 제2 조인트와, 상기 두 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을 구비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측 관이 관통하는 상기 제2 조인트의 중공부는 제1 조인트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단위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타측 관의 외주면을 감싼채로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관내의 압력 증가 또는 지반거동에 의해 상기 타측 관이 제2 조인트로부터 이탈하려 할 때, 상기 타측 관과 함께 원추형 중공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측 관을 조임으로써 타측 관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요철블록과, 상기 각각의 단위블록을 타측 관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중공부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각각의 단위블록을 제2 조인트의 중공부에 체결하여 고정하되, 지반 거동이나 관의 내압 증가시 제2 조인트와 각 단위블록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의해 파단되어 각각의 단위블록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연질의 볼트를 구비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에 의한 관이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는 제1 조인트(110)와, 제2 조인트(120)와, 패킹(130) 및 요철블록(1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인트 장치는 제2 조인트(120)에 원추형의 중공부(122)가 구비되고, 상기 요철블록(140)이 원추형의 중공부(122) 내부에서 관과 함께 원추형 중공부(122)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을 조임으로써 관과 조인트 장치의 결속력을 더욱 견고히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요철블록(14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하여 확장링(151) 또는 자석(152) 또는 볼트(153)가 더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조인트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조인트(110)는 이웃하는 두 관(10,20) 중 외향 돌출된 플랜지(11)를 갖는 일측 관(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용 볼트(101;도 3에 도시됨)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공(112)이 구비되고, 상기 일측 관(10)에 이웃하는 타측 관(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안내관(113) 상에 외향 절곡된 제1 걸림턱(111)이 구비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조인트(110)는 플랜지(11)가 구비된 일측 관(10)의 끝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12)을 관통하여 너트(102)와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101)에 의해 일측 관(10)에 설치되며, 이때 고정용 볼트(101)에는 플랜지(11)에 걸려지는 걸림부(101a)가 구비되어 고정용 볼트(101)와 너트(102)의 체결에 의해 제1 조인트(11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조인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조인트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조인트(120)는 타측 관(20)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1 조인트(110)와 연결되어 관이음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타측 관(20)이 삽입되는 중공부(122)가 구비되어 타측 관(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걸림턱(111)에 대응하도록 내향 절곡된 제2 걸림턱(121)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조인트(120)는 설치의 용이함을 위하여 상호 대칭구조를 갖는 두 부분(120a,120b)으로 구성되며, 분할 구성된 두 부분(120a,120b)은 볼트(103) 및 너트(104)의 체결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다시 말해 분할된 두 부분(120a,120b)이 타측 관(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두 부분을 관통하도록 볼트(103)를 삽입하고, 볼트(103)에 너트(104)를 체결함으로써 제2 조인트(120)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조인트(120)는 타측 관(20)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중공부(122)가 제1 조인트(110)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요철블록(14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패킹(130)은 일측 관(10)과 타측 관(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2 조인트에 의해 결합된 두 관(10,20)의 사이로 유체 또는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요철블록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본 발명의 요철블록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요철블록이 제2 조인트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요철블록(140)은 제2 조인트(120)와 타측 관(20)의 결속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조인트(120)와 타측 관(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중공부(122)에 삽입된다. 이러한 요철블록(140)은 타측 관(20)에 밀착되는 내면부에 요철(141)이 구비되어 타측 관(20)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 7과 같이 타측 관(20)을 감싸는 원형링 형상의 단일체(140a) 또는 도 8과 같이 타측 관(20)을 감싸되 일정한 각도 간격을 갖도록 원형 배열되는 다수개의 단위블록(140b)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와 같이 요철블록(140)이 원형링 형상의 단일체(140a)로 구성된 경우, 요철블록(140)은 타측 관(2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조인트(120)의 설치에 의해 제2 조인트(120)와 타측 관(2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별도의 부품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나, 후자와 같이 다수개의 단위블록(140b)들로 구성될 경우, 확장링(151) 또는 자석(152) 또는 볼트(153)를 이용하여 제2 조인트(120)에 단위블록(140b)을 고정해줄 수 있게 되며, 제2 조인트(120)와 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다수개의 단위블록(140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은 본 발명의 확장링에 의해 요철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본 발명의 확장링에 의해 요철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확장링(151)은 링형상으로 감겨진 탄성띠로써, 단위블록(140b)과 타측 관(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각 단위블록(140b)의 요철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확장됨으로써 각 단위블록(140b)을 중공부(12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지지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자석에 의해 요철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본 발명의 자석에 의해 요철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자석(152)은 중공부(122)에 금속재질의 부품이 구비되거나 또는 제2 조인트(120)가 금속재질로 구성될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블록(140b)에 자석(152)을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단위블록(140b)을 자력에 의해 중공부(122)의 내주면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볼트에 의해 요철블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각각의 단위블록(140b)은 볼트(153)를 이용하여 중공부(122)에 임시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153)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지반거동이나 관의 내압 증가로 인해 제2 조인트(120)로부터 타측 관(20)이 이탈하려 할 때 제2 조인트(120)와 각 단위블록(140b)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의해 절단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볼트(153)의 절단에 의해 요철블록(140)은 이탈하는 타측 관(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요철블록(140)이 다수개의 단위블록(140b)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각의 단위블록(140b)의 중공부(122)의 내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방지하되, 타측 관(20)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안내하는 다수개의 안내홈(123)이 중공부(122)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를 이용한 관이음 공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플랜지(11)를 구비한 일측 관(10)에 제1 조인트(110)를 설치한다. 이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조인트(110)를 일측 관(10)의 끝단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1 조인트(110)에 구비된 체결공(112)에 고정용 볼트(101)를 삽입하고, 고정용 볼트(101)를 너트(102)로서 체결함으로써 제1 조인트(110)를 일측 관(10)에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타측 관(20)을 제1 조인트(110)가 설치된 일측 관(10)과 마주하도록 배치하되, 패킹(130)이 두 관(10,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한편 요철블록(140)이 원형링 형상의 단일체(140a)로 구성된 경우, 타측 관(20)의 배치시 타측 관(20)이 요철블록(140)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요철블록(140)을 타측 관(20) 상에 설치할 수 있으나, 요철블록(140)이 다수개의 단위블록(140b)들로 구성된 경우, 제2 조인트(120)의 설치시 요철블록(14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관이음 공정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요철블록(140)이 다수개의 단위블록(140b)으로 이루어진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두 관(10,20)이 이웃하도록 배치되면, 제2 조인트(120) 및 요철블록(140)을 설치하게 되며, 이때 제2 조인트(120)의 중공부(122)에 단위블록(140b)들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확장링(151) 또는 자석(152) 또는 볼트(153)를 이용하게 된다. 확장링(151)의 경우, 두 부분(120a,120b)으로 분할된 제2 조인트(120)를 타측 관(20) 상에 느슨하게 가조립한 상태에서 확장링(151)을 이용하여 제2 조인트(120)의 중공부(122) 내측에 단위블록(140b)을 위치시키게 되고, 이후 제2 조인트(120)의 제2 걸림턱(121)이 제1 조인트(110)의 제1 걸림턱(111)에 걸려지도록 제2 조인트(120)를 배치한 상태에서 제2 조인트(120)의 두 부분을 결속하는 볼트(103)와 너트(104)를 완전하게 체결함으로써 제2 조인트(120) 및 요철블록(14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제2 조인트(120)가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각각의 단위블록(140b)에 자 석(152)이 설치된 경우, 각각의 단위블록(140b)을 제2 조인트(120)의 중공부(122) 내측에 자력에 의해 임시로 부착시킨 상태에서 제2 조인트(120)를 타측 관(20)에 설치함으로써 제2 조인트(120) 및 요철블록(14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 조인트(110,120)에 의해 관이음이 완료되면, 지반의 부분 침하나 지반거동시 두 관(10,20)의 이음부가 신축 또는 굴곡됨으로써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반거동이나 관의 내부압력 증가로 인해 타측 관(20)이 제2 조인트(120)로부터 이탈하려 할 경우, 요철(141)에 의해 타측 관(20)에 견고히 맞물려 있는 요철블록(140)이 타측 관(20)과 함께 원추형의 중공부(122)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요철블록(140)의 원추형의 중공부(122)에 의해 타측 관(20)을 더욱 가압하여 타측 관(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관이 신축과 굴곡이 가능하도록 연결함과 더불어 두 관의 신축이나 굴곡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관이음의 와해를 방지하여 보다 안정되고 수명이 연장된 관이음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조인트 장치 와 관을 연결하는 요철블록만을 교체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외향 돌출된 플랜지(11)를 갖는 일측 관(10)에 고정용 볼트(101)에 의해 장착되며 타측 관(20)의 외주면을 감싸되 외향 절곡된 제1 걸림턱(111)을 갖는 제1 조인트(110)와, 상기 제1 걸림턱(111)에 대응하도록 내향 절곡되어 제1 걸림턱(111)에 의해 구속되는 제2 걸림턱(121)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타측 관(20)에 장착되는 제2 조인트(120)와, 상기 두 관(10,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130)을 구비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측 관(20)이 관통하는 상기 제2 조인트(120)의 중공부(122)는 제1 조인트(110)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단위블록(140b)으로 구성되어 상기 타측 관(20)의 외주면을 감싼채로 상기 중공부(122)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관내의 압력 증가 또는 지반거동에 의해 상기 타측 관(20)이 제2 조인트(120)로부터 이탈하려 할 때, 상기 타측 관(20)과 함께 원추형 중공부(122)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측 관(20)을 조임으로써 타측 관(2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요철블록(140)과,
    상기 각각의 단위블록(140b)을 타측 관(2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중공부(122)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123)과,
    상기 각각의 단위블록(140b)에 설치되어 각각의 단위블록(140b)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2 조인트(120)의 중공부(122)에 자력으로 부착되게 하는 자석(1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2. 외향 돌출된 플랜지(11)를 갖는 일측 관(10)에 고정용 볼트(101)에 의해 장착되며 타측 관(20)의 외주면을 감싸되 외향 절곡된 제1 걸림턱(111)을 갖는 제1 조인트(110)와, 상기 제1 걸림턱(111)에 대응하도록 내향 절곡되어 제1 걸림턱(111)에 의해 구속되는 제2 걸림턱(121)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타측 관(20)에 장착되는 제2 조인트(120)와, 상기 두 관(10,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130)을 구비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측 관(20)이 관통하는 상기 제2 조인트(120)의 중공부(122)는 제1 조인트(110)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단위블록(140b)으로 구성되어 상기 타측 관(20)의 외주면을 감싼채로 상기 중공부(122)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관내의 압력 증가 또는 지반거동에 의해 상기 타측 관(20)이 제2 조인트(120)로부터 이탈하려 할 때, 상기 타측 관(20)과 함께 원추형 중공부(122)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측 관(20)을 조임으로써 타측 관(2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요철블록(140)과,
    상기 각각의 단위블록(140b)을 타측 관(2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중공부(122)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123)과,
    상기 각각의 단위블록(140b)을 제2 조인트의 중공부(122)에 체결하여 고정하되, 지반 거동이나 관의 내압 증가시 제2 조인트(120)와 각 단위블록(140b)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의해 파단되어 각각의 단위블록(140b)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연질의 볼트(1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020880A 2007-03-02 2007-03-02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KR100721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880A KR100721422B1 (ko) 2007-03-02 2007-03-02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880A KR100721422B1 (ko) 2007-03-02 2007-03-02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422B1 true KR100721422B1 (ko) 2007-05-23

Family

ID=3827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880A KR100721422B1 (ko) 2007-03-02 2007-03-02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4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414B1 (ko) * 2012-02-24 2012-09-19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상하수도관용 신축이음장치
KR102274511B1 (ko) * 2021-04-07 2021-07-06 심성섭 고성능 기밀 장착구조를 갖는 난방 급수관용 연결관
KR20220028660A (ko) * 2020-08-31 2022-03-08 허병욱 상하수도관의 이탈방지 압륜 구조체
KR20220102053A (ko) 2021-01-12 2022-07-1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도관용 스파이크링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2052A (ko) 2021-01-12 2022-07-1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도관용 스파이크링 제조장치
KR102657525B1 (ko) * 2023-09-26 2024-04-12 이길택 원터치 방식의 관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379A (ja) 1998-04-24 1999-11-09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補強金具
JP2004092903A (ja) * 2002-07-10 2004-03-25 Masabumi Minami 管接続装置
JP2005282621A (ja) * 2004-03-26 2005-10-13 Masabumi Minami 管接続装置および管接続具
KR200410284Y1 (ko) 2005-10-26 2006-03-07 민승관 상수도용 가스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379A (ja) 1998-04-24 1999-11-09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補強金具
JP2004092903A (ja) * 2002-07-10 2004-03-25 Masabumi Minami 管接続装置
JP2005282621A (ja) * 2004-03-26 2005-10-13 Masabumi Minami 管接続装置および管接続具
KR200410284Y1 (ko) 2005-10-26 2006-03-07 민승관 상수도용 가스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414B1 (ko) * 2012-02-24 2012-09-19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상하수도관용 신축이음장치
KR20220028660A (ko) * 2020-08-31 2022-03-08 허병욱 상하수도관의 이탈방지 압륜 구조체
KR102524410B1 (ko) * 2020-08-31 2023-04-20 허병욱 상하수도관의 이탈방지 압륜 구조체
KR20220102053A (ko) 2021-01-12 2022-07-1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도관용 스파이크링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2052A (ko) 2021-01-12 2022-07-1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도관용 스파이크링 제조장치
KR102274511B1 (ko) * 2021-04-07 2021-07-06 심성섭 고성능 기밀 장착구조를 갖는 난방 급수관용 연결관
KR102657525B1 (ko) * 2023-09-26 2024-04-12 이길택 원터치 방식의 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422B1 (ko)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KR100904419B1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ES2636984T3 (es) Racor para tuberías
US9568130B2 (en) Profiled clamp with sealing element
KR102047934B1 (ko) 배관 연결구조
RU2483238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элеме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с трубой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элемент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для него
GB2349677A (en) Earthquake resistant pipe coupling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1231645B1 (ko) 반도체 및 lcd 제조설비의 진공배관용 연결장치
KR101160510B1 (ko) 반도체 배기덕트의 길이 조정용 어댑터
KR100956766B1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CN113154155A (zh) 一种用于管道连接的防滑连接器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JP4871112B2 (ja) 伸縮管漏水防止装置
US20120169046A1 (en) Pipe coupling assembly
JP2021076128A (ja) 漏洩補修装置
KR100453386B1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KR101703720B1 (ko) 이탈방지용 삽입형 링조인트 배관
KR200277305Y1 (ko) 파이프와 플렌지의 연결 구조
JP3211058U (ja) 管継手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KR101972964B1 (ko) 파이프 연결용 어셈블리
KR200362324Y1 (ko) 분기관 연결구 조립체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