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189A -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189A
KR20090112189A KR1020080037928A KR20080037928A KR20090112189A KR 20090112189 A KR20090112189 A KR 20090112189A KR 1020080037928 A KR1020080037928 A KR 1020080037928A KR 20080037928 A KR20080037928 A KR 20080037928A KR 20090112189 A KR20090112189 A KR 20090112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mensional barcode
mobile phone
product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091B1 (ko
Inventor
최훈규
Original Assignee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37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09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0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은, 제품의 정보를 세부 분류에 따른 개별 수치로서 표현하되, 상기 개별 수치를 소정 면적을 가진 2차원 공간에 일정 규칙을 가지고 조합하여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는 2차원 바코드 생성모듈;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휴대폰 내지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 휴대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에 부여된 2차원 바코드를 스캔 처리하는 스캔모듈; 휴대폰에 구비되어, 스캔 처리된 2차원 바코드를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처리를 통해 2차원 바코드를 식별하는 식별모듈; 휴대폰에 구비되어, 상기 식별모듈을 통해 식별된 2차원 바코드에 대한 제품의 기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품 품질을 확인하는 기본정보 제공모듈;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 구비되어,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이외의 추가 정보를 수요자가 요구할 때 제품에 대한 확장정보를 수요자의 휴대폰에 제공하는 확장정보 제공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ES 코드, NS 코드, 제품 정보, 품질 확인, 생산코드

Description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SYSTEM FOR RECOGNIZING AND PROVIDING GOODS THROUGH TWO-DIMENSIONAL BAR CODE USING CAMERA OF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제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2차원 바코드로서 생성 처리하되 2차원 바코드를 촬영, 스캔할 수 있는 카메라를 보유한 휴대폰을 통해 2차원 바코드를 수요자가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어 제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문자 내지 수치로 전환하여 특정 방식에 의해 생성된 바코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코드는 적은 공간 이내 코드 처리되어 제품의 다양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는 편의성에 의하여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바코드는 주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공간에서 복수 개의 정보 라인을 통해 이루어져 있어 바를 통한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제품 정보를 수록하기 힘든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특정 방식에 의하여 코드 처리된 바코드는 자체적으로 즉각적인 해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수요자가 이를 보면서 시각적으로 직접 해당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알기 어려워 제품에 대한 구매 여부를 즉각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하여, 현재 ES(Environment Protection & Safety) 코드(또는 NS 코드: New Environment Protection & Safety)라는 신개념의 바코드를 통해 제품 정보를 수록하는 방법이 게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ES 코드의 개략적인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ES 코드(NS 코드)는 종래의 1차원 바코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나 유전자 변형 확인 코드, 안전성 검사 확인 코드와 같은 신 종류의 코드를 삽입함과 아울러 코드 넘버가 1에 가까울수록 품질이 우수하고 안전한 것으로 설정이 되어 수요자가 눈으로 식별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ES 코드는 수록하고자 하는 정보의 양이 많을수록 코드 자체의 부피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제품 근처에 있는 수요자의 경우 직접 제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지 몰라도 만일 원격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수요자에게 해당 ES 코드를 전송하기 위해 휴대폰 카메라로 찍어 MMS로서 발송을 하는 경우 휴대폰 카메라가 1차원적(복수개의 선분)으로 이루어진 ES 코드 내지 1차원 바코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전송 이후 해독 내지 식별이 불가능할 경우 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 200-0110532호 "바코드에 의한 제품의 생산배경 식별방법"을 참조하면, 이러한 ES 코드를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하여 원격지에도 전송하거나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ES 코드가 1차원적인 선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요자가 신속하게 모바일로 전송할 경우 일반적인 수준에 근거한 카메라 해상도를 가진 휴대폰 소지자, 즉 ES 코드 수신자가 이를 제대로 식별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으로 확인하는 경우 제품 구입 당시에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소로 굳이 이동을 해야 되기 때문에 즉각적인 제품 구매 결정을 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수요자의 식별성을 강조함과 아울러 적은 용량에서 많은 정보를 수록하고 원격에 존재하는 수요자에게도 편리하고 판독 가능하게 전송할 수 있는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품의 자양한 정보를 수록한 바코드를 특정 형태를 가진 그림 정보 내지 코드 정보로서 2차원적으로 마련함과 아울러 이를 수요자 휴대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보 축적 용량의 극대화는 물론 원격지에 전송하여도 코드의 인식이 수월하고 인식의 실시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욕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요자가 휴대폰 카메라로 확보한 2차원 바코드의 해상도가 낮아 식별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 식별력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차원 바코드를 해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휴대폰 자체에 내장하도록 하여 별도의 통신료 없이 즉각적으로 휴대폰 수준에서 코드 판독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추가 정보를 요청할 경우 추가 정보를 서버 차원에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분산 보관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동일 이익을 추구하는 수요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하여 해당 그룹 내 수요자들에게 제품 정보 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2차원 바코드를 확보한 수요자가 다른 수요자에게 해당 2차원 바코드를 전송할 때 보다 해상도가 우수한 2차원 바코드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은, 제품의 정보를 세부 분류에 따른 개별 수치로서 표현하되, 상기 개별 수치를 소정 면적을 가진 2차원 공간에 일정 규칙을 가지고 조합하여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는 2차원 바코드 생성모듈;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휴대폰 내지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 휴대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에 부여된 2차원 바코드를 스캔 처리하는 스캔모듈; 휴대폰에 구비되어, 스캔 처리된 2차원 바코드를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처리를 통해 2차원 바코드를 식별하는 식별모듈; 휴대폰에 구비되어, 상기 식별모듈을 통해 식별된 2차원 바코드에 대한 제품의 기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품 품질을 확인하는 기본정보 제공모듈;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 구비되어,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이외의 추가 정보를 수요자가 요구할 때 제품에 대한 확장정보를 수요자의 휴대폰에 제공하는 확장정보 제공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특정 이익과 이해관계를 가진 복수 명의 휴대폰 번호를 그룹핑(grouping)하여 상기 2차원 바코드 서버에 저장하는 그룹 지정부; 상기 그룹 지정부를 통해 지정된 그룹 내 수요자 중 어느 하나의 수요자가 상기 2차원 바코드 서버를 통해 특정 제품에 대한 확장 정보를 요청할 때, 상기 확장정보 제공모듈과 연동하여 그룹 내 모든 수요자의 휴대폰에 확장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공유부; 상기 정보 공유부를 통해 전송된 확장 정보를 자동으로 휴대폰에 저장 처리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져 있는, 그룹 관리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1) 제품의 다양한 정보를 2차원 바코드로 마련하고 이를 휴대폰 카메라에 의하여 원격지에 전송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보 수록의 용이성 및 코드 인식의 오류 방지와 함께 원격지에 보다 안전하고 식별력 강하게 제품 관련 코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2) 원격으로 전송 처리하거나 수요자 스스로 확보한 2차원 바코드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을 다각도로 마련하여 휴대폰 카메라 기종에 상관없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제품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호환성과 편의성을 가지며,
3) 2차원 바코드 자체 또는 이를 해석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복수 개의 서버에 분산 처리하여 필요 시 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휴율적인 관리를 보장함과 아울러 단일 서버에서의 과부하, 트래픽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특정 이익관계를 가지는 수요자를 그룹으로 관리하여 정보 제공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가 있고,
5) 2차원 바코드를 다른 수요자에게 전송할 때 자동으로 보다 해상도가 높은 표준 2차원 바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 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을 이루는 기본적인 구성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WIPI를 기반으로 하는 휴대폰(10)을 매개로 제품에 표시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를 통해 해당 제품의 각종 유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휴대폰(10), 2차원 바코드 관리 서버(20), 생산 정보 서버(30)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폰(10)은 일반적으로 소위 통합적으로 지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물론 PDA과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제품에 인쇄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휴대폰(10)은 기본 정보(410)에 해당하는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400)를 수록하고 있음과 동시에 스캔 모듈(110), 식별모듈(115), 식별 요청 모듈(120), 기본정보 제공모듈(130), 업그레이드 모듈(140)과 같은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중앙 관제 센터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특정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이외의 확장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물론 수요자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을 통해 확장정보(420) 이상의 제품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관리 및 제어하고 상황에 따라 생산정보 서버(30)와의 연동을 통해 제품의 추가 정보(430)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수요자를 그룹 핑(grouping)하여 그룹 관리를 병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생산정보 서버(30)는 특정 제품에 대한 기본정보(410), 확장정보(420) 이외에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추가정보(430)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수요자가 제품 정보를 요청할 경우 수요자의 선택에 의하여 2차원 바코드 관리 서버(20)를 매개로 하여 추가정보(430)를 제공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기본적 구성 관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2차원 바코드 생성모듈(210),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400), 스캔 모듈(110), 식별 모듈(115), 식별 요청 모듈(120), 식별 확인 모듈(230), 기본정보 제공모듈(130), 확장정보 제공모듈(220), 추가정보 제공모듈(310), 조회목록 출력모듈(240)을 비롯하여 추가적으로 그룹 관리모듈(250), 2차원 바코드 전송모듈(260)을 구비하고 있다.
2차원 바코드 생성모듈(210)은 제품의 다양한 정보를 개별 수치화하여 이를 일정 규칙에 의하여 2차원적으로 코드 처리한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바코드 생성모듈(210)은 구체적으로 2차원 바코드 관리 서버(20)에 구비되어, 정보 수집 변환부(211), 그림 정보 표현부(212)를 포함하 고 있다.
2차원 바코드는 2차원 NS(New environment Protection & Safety) 코드와 그림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NS 코드의 일 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림 정보의 일 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2차원 NS(New environment Protection & Safety) 코드(본 발명에서 통상적으로 지칭하는 2차원 바코드)란, 환경 보전과 식품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특히 식료품, 농축산물 등과 같이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품의 상태를 표시하는 종합적인 정보를 수록한 코드를 x 축과 y 축에 의하여 구획되는 2차원 공간에 표시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대용량 데이터(구격 공간 내에서 최대 7,089 문자를 기록)를 손쉽게 저장할 수 있다는 편의성,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간편성, 어느 방향에서도 판독이 가능하다는 뛰어난 가독 및 해독성, 오류 정정 코드를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어 최대 30%가 파손되어도 인식이 가능하다는 뛰어난 식별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 1차원 바코드를 대신할 수 있는 미래형 정보 축척 코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2 차원 NS 코드는 주로 정보 수집 변환부(211)에서 생성처리가 된다.
또한,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그림 정보는 수요자가 눈으로 보아서는 판독과 그 구체적 내용을 해석하기 힘든 2차원 NS 코드와 달리, 눈으로 보아 제품의 주요 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도록 제품 정보를 2차원 그림으로서 표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후술할 5대 주요지표를 5각형으로 표시할 경우 5각형의 5등분한 면적을 최우수- 초록색, 우수 -연두색, 보통- 파란색, 불량- 주황색, 매우 불량 - 곤색 등과 같이 수요자가 색채만을 보고 직접 제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아니면 막대그래프, 선 그래프와 같은 형태에서 5대 주요지표의 각 정보 상태(품질, 성능 등)를 그래프의 크기 내지 높이, 색채 등에 따라 시각적으로 즉각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림 정보는 주로 상기 그림 정보 표현부(212)에서 생성처리가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정보 수집 변환부(211)는 제품 정보 중 가장 중요한 정보, 즉 기본적으로 5가지로 설정된 주요지표(유전자 변형여부, 안전성 여부, 환경오염 여부, 생산방법, 생산요소)를 비롯하여 다양한 제품의 정보를 근거한 수치 정보로서 표현하여 이 수치화된 정보를 2차원 특정 면적 내에 수록하여 최종적으로 2차원 NS 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1차원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유전자 변형 확인코드, 안전성 검사 확인 코드, 환경오염 예방 관리코드, 생산방법 평가코드, 생산요소 평가코드, 유통기한, 생산일자, 생산자 고유번호, 체크 디지트, 생산지 국가코드, 생산지 지역코드, HS CODE, GHS 코드, 상품 출하코드와 같은 다양한 1차원적인 정보를 2차원 바코드(2차원 NS 코드)로서 표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림 정보 표현부(212)는 2차원 NS 코드 중 가장 중요한 정보라고 할 수 있는 상기 5대 주요 지표를 시각적으로 즉각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품의 주요 지표를 그림 정보로 생성하는 역할을 가진다.
이러한 그림 정보 표현부(212)는 통상 2차원 NS 코드가 눈으로 보았을 때 암호와 같이 표시되어 직접적으로 제품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는 불편함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특정 제품의 정보는 상기 2차원 NS 코드와 그림 정보(본 발명에서는 이 두 정보를 통합하여 '2차원 바코드'라 칭하도록 함)로 각각 구분되어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2차원 바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400)는 상기 2차원 NS 코드와 그림 정보 및, 해상도 높은 완성 형태의 2차원 바코드(이를, 표준 2차원 바코드라 함) 자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것을 말하며, 이러한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400)는 기본적으로 2차원 바코드 관리 서버(20)에 저장되어 있거나 아니면 후술할 업그레이드 모듈(140) 내지 휴대폰 출시 시점에 미리 일정 용량을 가진 기본정보를 저장 처리하는 방식에 의하여 수요자의 휴대폰(10)에 저장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의 효율적인 분산 및 서버 트래픽 방지, 실시간 정보 확인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2차원 바코드 정보 데이터베이스(400)는 데이터의 수준 내지 저장되는 장소에 따라 기본적으로 기본정보(410), 확장정보(420), 추가정보(430)로 구분이 되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업그레이드 모듈(140)은 수요자의 휴대폰(10)에 구비되어 수요자의 휴대폰(10) 메모리에 상기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400)(주로, 기본정보(410))를 저장 하고 일정 주기 별로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와 연동하여 상기 기본 정보(410)를 추가적으로 업그레이드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 때 수요자는 관심 제품을 선별하여 관심 제품의 기본 정보(410)만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선택 설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캔모듈(110)은 수요자의 휴대폰(10)에 구비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를 매개로 하여 제품에 있는 2차원 바코드를 이미지 파일 등으로 스캔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캔모듈(110)은 제품에 인쇄/구비된 2차원 NS 코드 내지 그림 정보를 촬영 및 스캔하여 휴대폰(10)에 저장하거나 아니면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전송할 준비를 갖추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1차원 바코드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직선으로 길게 연장이 되어 있는 일반 상태를 가지는 바, 이러한 전체 바(bar)를 촬영하면 해상도가 떨어져 정확하게 인식을 하기 어려운 상태를 남기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바코드는 오류 정정 코드를 자체 내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현재 상용화된 일반 휴대폰(10)의 카메라 기능으로도 충분히 적정한 해상도를 담보하며 2차원 바코드 해석을 전제로 한 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부가하게 된다.
식별모듈(115)은 상기 업그레이드 모듈(140)의 기능 또는 자체로 휴대폰에 기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400)(즉, 기본 정보)와의 비교 서치 방식에 의하여 상기 스캔 모듈(115)에서 촬영한 특정 제품의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휴대폰 카메라의 일반 기능만으로도 충분히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수준 을 갖추었기 때문에 식별모듈(115)은 휴대폰에 기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와의 비교 서치 방법 만에 의하여 현재 스캔처리한 제품의 주요 정보를 거의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도록 한다.
기본정보 제공모듈(130)은 휴대폰(100)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본정보 출력부(131)와 품질 확인부(132)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정보 출력부(131)는 상기 식별모듈(115)을 통해 식별 완료가 된 제품의 2차원 NS 코드를 해석하여 수요자(휴대폰 소지자)에게 해당 제품의 5대 주요 지표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생산자 정보, 생산지 정보와 같은 일반적인 수준에서 요구되는 정보 수준인 제품의 기본 정보(410)를 컨텐츠 형식 내지 그림과 같은 표현 방식으로 휴대폰 디스플레이부(액정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더불어, 품질 확인부(132)는 상기 기본정보(410)를 판독하여 제품의 우수한 정도 내지 품질 확인에 따른 구입 추천, 안전성 추천과 같이 해당 제품을 안심하고 구매할 정도의 가치를 가지는지 여부를 수치, 내지 추천/비추천, 안심/보통/불안과 같은 지표와 같은 방식으로 수요자에 상기 기본정보(410)를 보다 알기 쉽게 풀어 표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수요자가 소지한 휴대폰(10)에 스캔모듈(110), 식별모듈(115), 기본정보 제공모듈(130)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수요자는 특정 제품에 대한 기본정보(410)만을 확인하고자 할 때 굳이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별도로 접속하여 제품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 등의 별도 통신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품 정보를 보다 신속히 확인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통신료를 부담하지 않 아도 된다는 고객 편의성을 제공하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식별요청 모듈(120)은 업그레이드의 부재로 인해 휴대폰(10)에 해당 제품의 기본정보(410)가 수록되지 않고, 수요자가 제품 포장지 등에 표시된 2차원 바코드를 제대로 촬영하지 못하거나 아니면 지극히 해상도가 불분명하여 상기 식별모듈(115)을 통해서도 2차원 바코드를 식별하지 못하였을 때, 2차원 바코드 관리 서버(20)를 통해 해당 2차원 바코드를 전송하여 기본 정보(410)를 다운로드 받거나 추가 식별에 의하여 해상도 좋고 완성도 있는 표준 2차원 바코드 내지 추가 정보(420)를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2차원 바코드는 1차원 바코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자체 식별성을 가지기 때문에, 2 차원 바코드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로서는 오류 정정 코드 부위 자체의 파손, 30% 이상으로 2차원 바코드 부위 파손, 해상도의 저하 등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분적인 식별 파악 불가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통해 일부 알려진 정보를 수요자 스스로 알려줌으로써 부족한 부분적 비식별 문제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요청 모듈(120)은 휴대폰(10)에 구비된 식별모듈(115)에서 식별 불가 판정(정보가 없거나 식별 자체가 안될 때)이 나온 경우 자동적으로 입력창을 생성하여 예를 들어 제품의 명칭, 제품 판매 위치, 제품 일련번호를 수요자가 휴대폰(10)의 키패드를 통하여 직접 입력하여 작성된 부가정보를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로써, 부분적으로 식별 불가 상태이거나 제품 주변에 있는 정보만으로도 전체 정보를 알 수 있는 경우 제 품 명칭이나 제품 일련번호와 같은 부가 정보를 통해 해당 제품의 전체 정보를 서치 및 확인함으로써 나머지 부분(식별되지 않은 부분)을 식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
식별 확인모듈(230)은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식별요청 모듈(120)로부터 전송된 부가 정보를 해석하고 더불어 해상도가 낮은 2차원 바코드를 해석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부가정보 해석부(231)와 해상도 해석부(232), 바코드 교체부(233)를 구비하고 있다.
부가정보 해석부(231)는 1차적으로 일단 해석 부족 부위가 포함된 해당 제품의 2차원 바코드를 최대한 해석하여 확인 가능한 2차원 바코드 부위를 통해 이에 관련된 제품 정보를 복수 개로 찾고, 2차적으로는 복수 개로 찾은 제품들 중에서 상기 식별 요청모듈(120)에서 전송된 부가정보를 보충적인 서치 기준으로 삼아 이에 근접하거나 관련된 제품을 최종적으로 찾아 표준 2차원 바코드 자체 내지 이에 관련된 기본 정보(410)를 휴대폰(10)에 전송하는 역할을 가진다.
해상도 해석부(232)는 해상도의 저하로서 식별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일단 1차적으로 해석의 시작 기준이 되는 3개의 스타트 심볼(도 4에서 2차원 NS 코드의 각 모서리 부위에 표시된 네모 형상을 의미)(QR 코드의 경우)의 경우 복잡한 코드를 함유하지 않고 심플한 상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먼저 해석이 가능한 스타트 심볼 및 그 주변을 탐색한 뒤에 최소한 판독이 가능한 부위에서 얻은 기준을 토대로 이에 연관된 제품들을 복수 개로서 검색을 한 뒤에 2차적으로 상기 부가 정보를 통해 복수 개로 검색된 제품 중에서 보다 관련된 제품을 선별하여 이를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바코드 교체부(233)는 해상도가 희미하여 정확한 2차원 바코드의 형태를 갖추고 있지는 않아 정보 연산 처리 능력이 떨어지는 휴대폰(10)의 수준에서는 식별이 불가능하되, 휴대폰(10)보다 연산 능력이 월등한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서는 식별이 가능할 경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의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400)에서 해당 2차원 바코드의 명확한 형태(표준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라고도 명명)를 추출하여 이를 휴대폰(1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서 이미 해당 제품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상태를 가져 이 정보를 휴대폰(1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좋으나 이 경우 통신료 부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 보유하고 있던 완성 형태의 2차원 바코드(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상도 보장 상태를 가진 2차원 바코드)를 휴대폰(10)에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전송하여 휴대폰(10) 자체 수준에서 식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식별 확인모듈(230)은 행여 수요자가 스캔한 2차원 바코드가 휴대폰(10) 수준에서 식별 불가 상태를 가질 때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 차원에서 식별력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능 및 특성을 제공한다.
확장정보 제공모듈(220)은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구비된 것으로, 이미 휴대폰(10)을 통해 제품의 기본정보(410)를 확인한 수요자가 추가적인 상세 정보를 요청할 때 수요자의 휴대폰(10)에 해당 제품의 확정정보(420)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데, 여기서 '확장정보'(420)는 상기 휴대폰(10)에 구비된 기본정보 제공모듈(130)에 수록되어 있는 5대 주요지표 등의 기본정보(410) 이외에 체 크 디지트, 생산일자와 같은 확장적인 상세 내용을 담고 있는 정보를 말하는 것이다.
부연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해석하여 얻을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정보, 즉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400)는 정보의 분류 체계, 정보의 구체성 정도에 따라 기본정보(410), 확장정보(420), 추가정보(430)로 구분이 되어 있다.
기본정보(410)는 휴대폰(10) 및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수록 가능한 것으로, 상기 언급한 5대 주요지표, 생산자, 생산지 정도의 수요자가 이 정도 정보 수준으로 대략적으로 제품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질과 수준을 가지고 있는 정보를 말한다.
확장정보(420)는 기본적으로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기본정보(410)보다는 체크 디지트, 생산일자와 같이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알려주는 것으로, 수요자는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접속하여 일정 통신료 내지 서비스 이용료를 부담하고 사용할 수가 있다.
추가정보(430)는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서 보유한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 즉 확장정보(420)에서도 상세 정보가 없는 경우 생산정보 서버(30)에서 제공되는 디테일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생산지 지역코드, 생산자 고유번호, HS 코드, GHS 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생산정보 서버(30)에 구비된 추가정보 제공모듈(310)에서 제공하게 된다.
추가정보 제공모듈(310)은 생산정보 서버(30)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연동되어 제품의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 즉 추가정보(430)를 제공 및 수록하고 있는 기능을 가진 바,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서 추가정보(430)의 요청이 있는 경우(물론 이러한 요청은 수요자에 의하여 발생) 저장하고 있던 해당 제품에 대한 추가 정보(430)를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 또는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를 매개로 하여 수요자의 휴대폰(10)으로 직접 전송 처리하는 역할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 즉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400)를 이렇게 기본정보(410), 확장정보(420), 추가정보(430)라는 3 분류로 구분하고 이를 각각 휴대폰(10),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 생산정보 서버(30)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저장되는 정보 용량을 효율적으로 분산 관리할 수가 있어 서버 측에 트래픽 현상이 발생하거나 저장 공간의 부족함을 호소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조회목록 출력모듈(240)은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 구비된 것으로, 특정 수요자 별로 특정 시간대, 특정 제품군과 같은 특정 분류기준에 따라 2차원 바코드 관리 서버(20)를 통해 조회, 요청하였던 관련 제품에 대한 2차원 바코드 자체 및 이에 해당하는 정보(기본정보, 확장정보, 추가정보 모두 포함 가능)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2차원 바코드에 대해 조회가 많은 수요자가 특정 시간대 내지 특정 제품에 대해 조회했던 결과물을 출력함으로 많은 정보를 통합적 내 지 필요에 의하여 관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출력은 특정 프린터에서 관리하도록 하여 출력 상태(출력 시간, 출력 매수 등)까지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모듈(250)은 2차원 바코드 서버(20)에 구비되어 같은 이익 관계를 가진 복수 명의 수요자를 특정 그룹(group)으로 처리하여 복수 명의 수요자를 통합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그룹 내 수요자들에게 정보 공유의 이익 제공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그룹 지정부(251), 정보 공유부(252), 저장부(253)로 이루어져 있다.
그룹 지정부(251)는 복수 명의 수요자를 그룹핑(grouping)하여 그룹핑된 수요자의 휴대폰 번호를 하나로 묶어 2차원 바코드 서버(20)에 지정 저장하는 역할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별도로 마련된 웹 사이트 내지 모바일 공간에서 a 라는 그룹 내에 속하게 될 수요자를 모집하거나, 동일 이익 관계를 가진 복수 인원의 수요자가 a 라는 그룹을 창설함과 동시에 그룹 인원을 추가, 탈퇴 처리하면서 이러한 과정에 따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그룹을 지정할 필요가 있는 복수 인원의 수요자는 특정 제품에 대한 중간 상인 내지 소비자단체, 특정 제품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는 단체와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그룹으로의 신규 인원 추가 내지 탈퇴와 같은 그룹 인원 변동과 같은 중대 사항은 그룹에서 설정된 마스터(master) 내지 그룹 내 인원의 과반수 결의에 의하여 결정하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 공유부(252)는 그룹 내 특정 인원이 2차원 바코드 서버(20)를 통해 특정 제품에 대한 확장정보(420)(물론, 기본정보(410)도 포함 가능)를 요구할 경우, 상기 확장정보 제공모듈(220)과 연동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확장정보(420)를 요청한 인원의 휴대폰(10) 뿐 아니라 그룹 내 다른 인원 전부의 휴대폰(1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가진다. 이로써, 그룹 내 인원은 자신의 행위(정보 요청 행위) 뿐 아니라 그룹 내 다른 인원의 행위에 의하여 특정 제품의 확장정보(420)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저장부(253)는 상기 정보 공유부(252)로부터 전송된 특정 제품의 확장정보(420)를 그룹 내 전체 수요자의 각 휴대폰(10)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저장부(253)에 의하여 특정 제품의 정보가 휴대폰에 자동적으로 축척되면서 휴대폰(10)의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400)는 기본정보(410)는 물론 확장정보(420)까지 자연스럽게 실시간 업데이트가 될 수 있다.
즉, 저장부(253)의 기능에 의하여 그룹 내 여러 인원이 요청한 정보가 그룹 내 다른 인원의 휴대폰(10)에까지 저장이 됨으로 굳이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제품에 대한 확장정보(420)를 얻기 위해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지속적으로 접속할 필요 없이 휴대폰(10)에서 확장 정보(420)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그룹 내 인원(수요자)은 통신료를 절감할 수 있는 혜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2차원 바코드 전송모듈(260)은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 구비되어 제 1 수요자가 스캔 처리한 2차원 바코드를 제 2 수요자에게 안전하고 식별 가능하게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물론 휴대폰의 MMS 송신 기능에 의하여 이미지 파일로 처리 가능한 2차원 바코드를 당업자 수준에 의하여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으나 2차원 바코드 상태가 불분명하거나 상태가 좋지 않은 바코드를 상대에게 전송하여 상대가 식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경우를 대비하여 단순히 MMS 송수신 기능을 하는 것을 넘어선 별도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전송부(261), 상태 확인부(262), 표준정보 송신부(263)를 구비하고 있다.
전송부(261)는 제 1 수요자가 제 2 수요자에게 제 1 수요자 자신이 확보한 특정 제품의 2차원 바코드를 전송할 때, 제 2 수요자의 휴대폰(10)에 직접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우선적으로 제 1 수요자에 의한 2차원 바코드를 전송하는 역할을 가진다.
상태 확인부(262)는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전송된 2차원 바코드를 자체 판독하여, 식별 가능 여부, 해상도가 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2차원 바코드가 식별 자체가 안 될 정도의 해상도 내지 상태를 가진 경우에는 제 2 수요자에게 해당 2차원 바코드를 전송하지 않고 제 1 수요자의 휴대폰에 '식별 불능'과 같은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 1 수요자가 다시금 해당 2차원 바코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표준정보 송신부(263)는 상기 상태 확인부(262)에서 식별은 가능하나 해상도가 떨어진다고 판정된 2차원 바코드를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20)에 저장되어 있던 표준 해상도를 가진 표준 2차원 바코드로 교체하여 교체된 표준 2차원 바코드를 제 2 수요자의 휴대폰(10)에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2차원 바코드 전송모듈(260)의 기능에 의하여, 수요자 간에 보다 정확한 해상도를 가진 2차원 바코드를 전송 및 공유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ES 코드의 개략적인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을 이루는 기본적인 구성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NS 코드의 일 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림 정보의 일 례를 도시한 개념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휴대폰 230: 식별확인모듈
20: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 231: 부가정보 해석부
30: 생산정보 서버 240: 조회목록 출력모듈
110: 식별모듈 250: 그룹 관리모듈
120: 식별 요청모듈 260: 2차원 바코드 전송모듈
130: 기본정보 제공모듈 262: 상태 확인부
140: 업그레이드 모듈 310: 추가정보 제공모듈
210: 2차원 바코드 생성모듈 400: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
220: 확장정보 제공모듈 410: 기본 정보

Claims (7)

  1.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품의 정보를 세부 분류에 따른 개별 수치로서 표현하되, 상기 개별 수치를 소정 면적을 가진 2차원 공간에 일정 규칙을 가지고 조합하여 2차원 바코드를 생성하는 2차원 바코드 생성모듈;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휴대폰 내지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
    휴대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에 부여된 2차원 바코드를 스캔 처리하는 스캔모듈;
    휴대폰에 구비되어, 스캔 처리된 2차원 바코드를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처리를 통해 2차원 바코드를 식별하는 식별모듈;
    휴대폰에 구비되어, 상기 식별모듈을 통해 식별된 2차원 바코드에 대한 제품의 기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품 품질을 확인하는 기본정보 제공모듈;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 구비되어,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이외의 추가 정보를 수요자가 요구할 때 제품에 대한 확장정보를 수요자의 휴대폰에 제공하는 확장정보 제공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바코드는,
    사각형의 일정 면적 이내에 제품의 개별 정보를 수치 처리하여 특정 규칙에 의해 코드화 처리하여 생성된 2차원 NS 코드 내지, 유전자 변형여부, 안전성 여부, 환경오염 여부, 생산방법, 생산요소에 해당하는 제품의 5대 주요지표를 수요자의 시각 판독에 의해 직접 해석 가능하도록 각 주요지표마다 고유한 색채 내지 특정 형상을 2차원 공간에서 가지도록 형성된 그림 정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상기 식별모듈에서 2차원 바코드를 식별하지 못할 때 키패드를 통해 제품의 부가 정보를 수요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상기 부가 정보 및 해당 2차원 바코드를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식별 요청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는,
    1차적으로 상기 부가정보 및 상기 휴대폰에서 전송된 2차원 바코드를 통해 상기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처리를 통해 관련된 제품에 대한 복수 개의 2차원 바코드를 복수 개 찾고, 2차적으로 이 중 가장 근접한 2차원 바코드를 찾아 휴대폰에 전송하는 식별 확인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확인모듈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된 2차원 바코드가 휴대폰 수준에서는 식별이 불가능하되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서는 식별 가능할 경우,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 저장된 2차원 바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2차원 바코드의 명확한 표준 형태를 추출하여 이를 휴대폰에 전송하는 바코드 교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 연동되어 있는 생산정보 서버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확장정보 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확장정보가 부족하다고 수요자가 판단할 경우, 수요자의 요청에 의하여 2차원 바코드 서버의 호출을 통해 확장 정보보다 많은 제품 정보를 수록하고 있는 추가 정보를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를 매개로 수요자의 휴대폰에 전송 처리하는 추가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 템.
  6. 제 1항에 있어서,
    특정 이익과 이해관계를 가진 복수 명의 수요자에 대한 휴대폰 번호를 그룹핑(grouping)하여 상기 2차원 바코드 서버에 저장하는 그룹 지정부;
    상기 그룹 지정부를 통해 지정된 그룹 내 수요자 중 어느 하나의 수요자가 상기 2차원 바코드 서버를 통해 특정 제품에 대한 확장 정보를 요청할 때, 상기 확장정보 제공모듈과 연동하여 그룹 내 모든 수요자의 휴대폰에 확장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공유부;
    상기 정보 공유부를 통해 전송된 확장 정보를 자동으로 수요자의 휴대폰에 저장 처리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져 있는, 그룹 관리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요자가 제 2 수요자에게 서로의 상기 휴대폰을 통하여 제 1 수요자 자신이 확보한 특정 제품의 2차원 바코드를 전송할 때,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 우선적으로 해당 2차원 바코드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여, 해당 2차원 바코드의 식별 가능 여부와 해상도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확인부;
    상기 상태 확인부에서 상기 2차원 바코드가 식별은 가능하나 해상도가 떨어진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2차원 바코드 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표준 해상도를 가진 표준 2차원 바코드로 교체하여 교체된 표준 2차원 바코드를 제 2 수요자의 휴대폰에 전송하는 표준정보 수신부;로 구성된 2차원 바코드 전송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 인식 및 제공 시스템.
KR20080037928A 2008-04-23 2008-04-23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KR100995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7928A KR100995091B1 (ko) 2008-04-23 2008-04-23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7928A KR100995091B1 (ko) 2008-04-23 2008-04-23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189A true KR20090112189A (ko) 2009-10-28
KR100995091B1 KR100995091B1 (ko) 2010-11-18

Family

ID=4155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37928A KR100995091B1 (ko) 2008-04-23 2008-04-23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0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6394A2 (ko) * 2010-09-13 2012-03-22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웤스 휴대기기를 이용한 제품의 사후관리방법
CN109034302A (zh) * 2018-07-12 2018-12-18 大冶特殊钢股份有限公司 一种坯料识别装置及防错方法
KR102148954B1 (ko) * 2019-04-29 2020-08-31 (주)케이엠넷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546B1 (ko) 2012-09-07 2014-07-16 박상현 식별코드가 인쇄된 태그 시리즈 번들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재생방법
KR20200097886A (ko) 2019-02-10 2020-08-20 권형석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3602A (ko) 2019-03-26 2020-10-07 권형석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6394A2 (ko) * 2010-09-13 2012-03-22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웤스 휴대기기를 이용한 제품의 사후관리방법
WO2012036394A3 (ko) * 2010-09-13 2012-05-10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웤스 휴대기기를 이용한 제품의 사후관리방법
KR101245667B1 (ko) * 2010-09-13 2013-03-20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코퍼레이션즈 휴대기기를 이용한 제품의 사후관리방법
CN109034302A (zh) * 2018-07-12 2018-12-18 大冶特殊钢股份有限公司 一种坯料识别装置及防错方法
KR102148954B1 (ko) * 2019-04-29 2020-08-31 (주)케이엠넷 스마트 디바이스의 바코드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091B1 (ko)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091B1 (ko)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JP4950572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05324648B (zh) 计重秤系统
KR2013014028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0426281C (zh) 信息输出方法
KR102576748B1 (ko) 비대면 일회용 컵 무인 회수 시스템 및 방법
US11397976B2 (en) Durable memento method
US7747636B1 (e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local real estate purchaser
JP4304161B2 (ja) 振込依頼対応処理方法及び振込依頼対応処理プログラム
CN101540023A (zh) 居住单元管理支持系统、方法、服务器和多功能处理机
JP2023153242A (ja) 返品情報生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407523A (zh) 購物資訊處理方法與其系統
JP2019003429A (ja) 物品回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206433B2 (ja) ラ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旅行業における販売・在庫管理システム
JP6979181B2 (ja) セルフサービス給油所向け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030234A (ja) 個人興味自動認識システム
CN103971283A (zh) 交易信息管理服务器、交易信息管理系统以及方法
JP2006133841A (ja) 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方法、サーバ装置、情報端末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0764089B1 (ko) Rfid/usn 기반의 쌍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한 태그리사이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7767A (ko) 3d 프린팅 업체 매칭서비스 시스템
KR20090116231A (ko) 바코드의 스캐너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정보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쓰레기봉투 관리시스템
CN112561272B (zh) 电子签到的数据处理方法及相关产品
US9978039B1 (en) Document gateway system to cloud-based document repository
US9384508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thermal printing for order fulfillment
JP2011238089A (ja) 領収書情報処理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