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602A -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602A
KR20200113602A KR1020190034055A KR20190034055A KR20200113602A KR 20200113602 A KR20200113602 A KR 20200113602A KR 1020190034055 A KR1020190034055 A KR 1020190034055A KR 20190034055 A KR20190034055 A KR 20190034055A KR 20200113602 A KR20200113602 A KR 20200113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genuine
transaction
public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9003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3602A/ko
Publication of KR2020011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품확인 방법은 인터넷 상품판매 시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를 구매할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디스플레이 되어 제공하여 소비자의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 관련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정보가 생성되어 정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복제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예방하고 짝퉁상품 유통을 근절시킬 수 있어 안심하고 상품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How to Validate with a Smart Contract-Based Block Chain And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할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 되어 제공하여 정품인증 공개키를 조회 요청 시 거래 내역이 포함된 노드의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 관련 정보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정품인증서 발급에 계약되는 정보데이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형태의 관련 정보 등에 포함된 관련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각 이용자 스마트폰에서 반응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통하여 정품인증 정보에 포함된 정보조회 횟수 제한 및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되어 복제 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하여 더이상 불법 유통·판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정품인증과 시스템을 연동한 인증 관련 추적이 가능한 서비스로서 소비자는 스마트폰으로 인증정보를 확인할 뿐 아니라 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상품을 추적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소비자의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관련된 상품 정보가 생성되어 상품조회횟수, 상품분류정보, 정품여부정보,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유통경로정보, 판매지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위에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이 블록 체인화된 정보를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기존 비트코인 기반 정품인증은 시리얼 번호 확인수준이지만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객관적인 자료정보들을 판별하여 실제 정품인지를 확인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미 관리 서버에서 공개키 생성 및 기본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트랜잭션을 일으키지 않아도 정품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정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품 구매 후 정품 여부가 확인 가능한 것을 구매전에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를 인터넷에서 클릭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관련된 상품 정보가 확인되면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정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짝퉁상품 제조·유통·판매를 근절시킬 수 있는 블록 체인화된 정보를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정품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 되어 제공하여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 시 확인하고자 하는 거래 내역이 포함된 노드의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관련 정보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정품인증서 발급에 계약되는 정보데이터를 포함하여 정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짝퉁상품 제조·유통·판매를 근절시킬 수 있는 블록 체인화된 정보를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시장에서 유통되거나 판매되는 상품의 진위여부 판별을 위해 품질 보증서를 상품과 함께 동봉하는 방법 또는 상품에 바코드, 보증마크 또는 홀로그램 스티커를 부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품질 보증서나 인증마크, 홀로그램 스티커, QR코드 뿐만 아니라 RFID, 형광 잉크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위조/변조 방지 기술은 아무리 정교하고 특수한 로고, 표시라 하더라도 하루가 멀다하게 발전하는 위조 복제 기술로 인해 모방 또는 도용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 정품이라고 신뢰하기가 어렵다.
한편, 본원발명과 같이 등록특허 10-1680542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회용 상품의 정품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참조하면 일회용 상품에 숫자,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인쇄용 정품학인요청 코드를 활용하여 별도의 무선 태그가 없어도 정품확인절차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용 상품을 제조생산 내지 유통하는 업체에서 일회용 상품의 재사용을 위해 자체적으로 위조할 경우에도 이를 인지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여준다고 한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사용자가 별도의 전자지갑을 설치하여 사용확인 안내용 비트코인 어드레스에 충전된 일회용 상품 사용 확인 안내비용을 수금자의 비트코인 어드레스로 송금하여 이관시켜야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비트코인 기반 정품인증은 시리얼 번호만 확인하는 수준으로서 보증서를 언제 어떻케 누가 만들었는지 확인할 수 없으므로 위조 인증서에 대한 대처가 불편하고 어렵기 때문에 시장에 정착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정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품 구매 후 정품 여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짝퉁(가품)상품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그리고 정품 구매 후 중고로 재판매할 시 짝퉁(가품)상품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인터넷상에서 짝퉁 명품 등 위조품 거래 웹사이트를 개설해 가짜 제품을 정품인양 속여 지갑, 벨트 등을 유통·판매해 소비자들을 울리고 있는 불법 웹사이트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세계의 짝퉁 물품 판매 사이트들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실시, 수만 곳의 불법 사이트를 폐쇄했으며 이같은 단속을 통해 올 한해 100만 건 이상의 불법 사이트가 적발되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온라인 웹사이트들이 40∼50%가 넘는 큰 폭의 할인을 한다는 점을 악용해 홈페이지에 진짜 상품의 사진을 게재한 뒤 소비자들이 결제 후 배송을 하지 않거나 가짜 상품을 판매한 뒤 사이트를 폐쇄하고 도주하는 수법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온라인 웹사이트에서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소비자가 정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상품을 믿고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10-1389723호 등록특허 제10-0995091호 등록특허 제10-16805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매할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되어 제공하여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 시 거래 내역이 포함된 노드의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관련 정보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정품인증서 발급에 계약되는 정보데이터를 포함하여 확인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형태의 관련 정보 등에 포함된 관련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각 이용자 스마트폰에서 반응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통하여 정품인증 상품 정보에 포함된 정보조회 횟수 제한 및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되어 복제 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하여 더이상 불법 제조·유통·판매가 근절될 수 있도록 블록체인을 이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정품인증과 시스템을 연동한 인증 관련 추적이 가능한 서비스로서 소비자는 스마트폰으로 인증정보를 확인할 뿐 아니라 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상품을 추적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인터넷에서 식별 코드를 클릭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관련된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정보가 생성되어 상품조회횟수, 상품분류정보, 정품여부정보,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유통경로정보, 판매지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위에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 체인화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비트코인 기반 정품인증은 시리얼 번호 확인수준이지만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객관적인 자료정보들을 판별하여 실제 정품인지를 확인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 관리 서버에서 공개키 생성 및 기본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트랜잭션을 일으키지 않아도 정품확인이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라인에서 정품과 가품(짝퉁) 여부를 모니터링만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 거래에 대한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용 APP으로 실행 시 블록 체인화된 트랜잭션(Transaction) 특정값이 생성되면 특정 동작(SMS, 통화 등 미리 지정해둔 컴퓨팅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을 재판매할 시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 거래 이력 제공으로 투명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유통 관련 상품의 유효성 정보를 확인하고 트랜잭션(Transaction)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밀수·위조 상품 등 불법적인 관련 상품으로 판단하고 신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인 상품 개별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가 생성되어 판매 상품에 부착 제공된 공개키를 통해서만 모바일 정품확인 상품 정보에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개키별로 접촉 횟수와 방법을 제한하여 복제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이 근절되고 방지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정보인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면 상품에 대한 소유권 등록 및 불법 제품에 대한 신고(SMS, 통화 등 미리 지정해둔 컴퓨팅 작업)를 실행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정품인증 공개키가 부여된 상품으로부터 이용자가 인터넷에서 식별 코드를 클릭 또는 스마트폰으로 정품인증 공개키가 리드되면 자동으로 정품확인 앱을 실행하여 이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고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한다.
여기서 서버는 거래 상품에 대하여 정품인증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판매자로부터 정품인증 발급요청이 접수되면, 요청된 상품 수에 따른 시리얼 번호를 가진 정품인증 공개키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를 각 상품에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상품 정보를 SCORE 기반으로 정품인증 공개키를 서버에 1:1 매칭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스마트 컨트랙트로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 체인화되어 서버에 저장한다.
그리고 각 상품에 부여된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이 접수되면, 조회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 정품인증 상품 정보를 상기 PC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정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품 구매 후 정품 여부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인터넷에서 클릭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정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온라인에서 정품과 가품(짝퉁) 여부를 모니터링만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품 거래에 대한 안전장치 제공으로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가품(짝퉁)상품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로 다른 형태의 관련 정보 등에 포함된 관련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각 이용자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반응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통하여 상품 정보에 포함된 정보조회 횟수 제한 및 판매된 상품에 대한 관련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되어 복제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하여 더이상 불법 제조·유통·판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객관적인 자료정보들을 판별하여 실제 정품인지를 확인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특정 상품 정보인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면 상품에 대한 소유권 등록 및 불법 제품에 대한 신고(SMS, 통화 등 미리 지정해둔 컴퓨팅 작업)를 실행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이미 관리 서버에서 공개키 생성 및 기본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트랜잭션을 일으키지 않아도 정품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로부터 정품인증 요청이 접수되면 요청된 상품 수에 따른 시리얼 번호를 가진 정품인증 공개키들을 생성하여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를 각 상품에 부여한다.
여기서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상품 정보를 SCORE 기반으로 정품인증 공개키를 서버에 1:1 매칭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스마트 컨트랙트로 생성된 트랜잭션 (Transaction)을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하고 각 상품에 부여된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이 접수되면 조회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품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생성된 상품 정보인 트랜잭션 (Transaction)을 블록 체인화되어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구매할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 되어 제공하여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 시 거래 내역이 포함된 노드의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관련 정보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정품인증서 발급에 계약되는 정보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한다.
그리고 인터넷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은 이용자가 인터넷에서 식별 코드를 클릭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관련된 상품 정보가 확인되면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된다.
여기서 정품인증 정보는 상품조회횟수, 상품분류정보, 정품여부정보,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유통경로정보, 판매지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위에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체인화 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이 있을때에는 정품인증 정보를 소비자가 클릭 확인한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 블록 체인화된 조회횟수정보와 소비자에게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 (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체인화된 관련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정보를 제공하여 불법 유통된 상품의 구매가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복제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으로써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는 상품에 부착 제공된 식별정보 공개키와 동일한 정보이다.
그리고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인 상품 개별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가 생성되어 판매 상품에 부착 제공된 공개키를 통해서만 모바일 정품확인 상품 정보에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개키별로 접촉 횟수를 제한하여 복제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을 재판매할 시 상품을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 거래 이력 제공으로 투명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제공하면, 인터넷에서 구매할 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이용자가 인터넷에서 식별 코드를 클릭 또는 스마트폰으로 리드 실행하는 것만으로 관련 정보가 투명하고 정확하게 확인되어 불법상품 제조·유통·판매를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인터넷상에서 짝퉁 명품 등 위조품 거래 웹사이트를 개설해 가짜 상품을 정품인양 속여 지갑, 벨트 등을 유통·판매해 소비자들을 울리고 있는 불법 웹사이트들이 상품을 유통·판매할 수 없도록 하여 온라인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을 안심하고, 믿고 구매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품을 확인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에서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해상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자장치는 무선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블루투스 디바이스 또는 와이파이 모뎀이 탑재되어 센서에서 감지한 데이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수신자 단말기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용 단말장치(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관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표면 얼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 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품을 확인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은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200)로 연결된 서비스 공급자 관리 서버(100), 이용자 스마트폰(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공급자 서버(10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유무선 통신망(200)에 접속되어 복수의 스마트폰들(400)과 통신한다. 관리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 SMS 처리부(130), 웹서버(140), 서버(1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150)는 제어부(151)와 처리부(153)를 둔다. 처리부(153)는 스마트 컨트랙트(153 a)로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을 블록화한다.
여기서, 서버(100)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제조된 WINDOWS 2000, WINDOWS 2008, WINDOWS NT 3.51, WINDOWS NT 4.0, 캘리포니아 쿠퍼티노(Cupertino)의 애플 컴퓨터에 의해 제조된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 시스템의 제어 아래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1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는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100)의 SMS처리부(130)는 메시지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여기서 서비스 프로그램은 상품데이터 정보 등으로서 생성 모듈, 등록 모듈, 제어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며 서비스 프로그램에서는 상품 조회요청정보를 기초로 URL / 특수 문자나 숫자 / 특수 기능이 포함된 인터베이스를 포함한 유니크한 코드체계인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요청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상품 정보의 수에 1:1로 대응되는 스마트 컨트랙트(153 a)로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을 서버에 블록화되어 저장(700)한다.
여기서, 이용자 스마트폰(400)에서 생성된 정보는 서비스요청 정보의 표시 영역에 대한 터치 시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URL을 포함한 특수 문자나 숫자 또는 특수 기능이 포함된 인터페이스에 라이트 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10)는 공급자(117), 이용자(115)들의 회원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회원정보로는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회원명, 생년월일, 주소, 이메일 계정, SNS 정보, 서비스제공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정보데이터베이스(113)는 상품분류정보, 정품여부정보, 제품정보, A/S 정보, 유통경로정보, 판매지역정보 등과 상품이용 데이터베이스(111)는 상품조회횟수, 상품 구매·판매정보 등을 포함하며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위에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 정보도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폰(400)은 입력부, 통신부, 저장부 및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미 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정품인증 공개키가 부여된 상품으로부터 정품인증 공개키가 리드되면 자동으로 정품확인 앱을 실행하여 이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폰(400) 및 스마트폰(400)과 통신(200)하는 서버(1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서버(100)는 정품인증 프로그램을 수행하면 판매자로부터 정품인증 발급요청을 접수하고, 요청된 상품 수에 따른 시리얼 번호를 가진 정품인증 공개키들을 생성(211)하고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를 각 상품에 부여(212)하고,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상품 정보를 SCORE 기반으로 정품인증 공개키를 서버에 1:1 매칭(213)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스마트 컨트랙트(153 a)로 생성된 트랜잭션(153 b)을 블록 체인화(700)하여 서버(100)(100 a, 100 b, 100 c, 100 d ....)에 저장한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153 a)는 특정 계약을 스스로 수립, 검증, 이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토콜로서 일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중개자의 개입없이 거래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것을 말한다.
즉, 자동화된 계약시스템으로 소유권 이전, 상속, 증여, 물품구매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물인터넷과 연계되어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 계약에서는 조건에 의해 거래가 자동적으로 성립되므로 중간관리자에 의한 위,변조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또한, 거래정보 기록이 보존되기 때문에 계약서 위조*?*사고기록 조작 등과 같은 악의적 행위의 방지가 가능하여 신용리스크와 상대방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153 a)의 구조는 간단하다. 당사자끼리 만든 계약서상의 조건이 만족되면 실행되고 이러한 거래조항은 블록체인내에 스크립트에 기록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모든 참여자에게 공유된다.
여기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은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구성하는 연산들의 집합체로서 원자성(Atomicity)(분리 할수 없는 하나의 단위로 작업은 모두 완료되거나 모두 취소), 일관성(Consistency)(사용되는 모든 데이터는 일관), 고립성(Isolation) (접근하고 있는 데이터는 다른 트랜잭션 (Transaction)으로부터 트랜잭션(Transaction)이 진행되기 전과 완료된 후에 상태를 볼 수 있지만 트랜잭션 (Transaction)이 진행되는 중간 데이터는 볼수 없다), 영속성(Durability)(트랙잭션이 정상 종료되면 그 결과는 시스템에 영구적으로 적용)을 가진다.
여기서 각 상품에 부여된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214)을 접수하고, 조회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215)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블록 체인화된 정품인증 상품 정보 확인 시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으로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들을 모아 블록을 만들고 보낸 다음 Peer들에게 받아서 검증 또는 설정 가능하도록 상기 스마트폰 (400)에 표시한다.
여기서 스마트폰(400) 고유 식별정보는 이용자 스마트폰(400)을 식별할 수 있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국가별 언어 식별정보 및 전자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된다.
그리고 정품인증 정보는 상품조회횟수, 상품분류정보, 정품여부정보,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유통경로정보, 판매지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위에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을 블록 체인화된(700)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터넷 상품판매 시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를 판매할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디스플레이 되어 제공(700 a)하여 정품인증 공개키를 조회요청 시 거래 내역이 포함된 노드의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관련 정보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정품인증서 발급에 계약되는 정보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인터넷에서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700 a)의 상품 조회요청은 상품에 부착 제공된 식별정보 공개키(700 b)와 동일한 정보로서 소비자의 스마트폰(400)의 카메라로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700 a)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관련된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정보가 생성된다.
여기서 정품인증 정보는 상품조회횟수정보, 상품분류정보, 정품여부정보,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유통경로정보, 판매지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위에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을 블록 체인화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품인증 공개키(700 a)의 조회요청이 있을 때 조회요청 정보는 정품인증 정보를 소비자가 클릭 확인한 상품 정보인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700)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정보와 거래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정품인증과 시스템을 연동한 인증 관련 추적이 가능한 서비스로서 소비자는 스마트폰으로 인증정보를 확인할 뿐 아니라 상품, 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정보들을 추적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에게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700)하여 저장되어 불법복제 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700 e)하여 더이상 불법 유통·판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인 상품 개별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가 생성되어 인터넷판매 상품에 제공된 공개키(700 a)를 통해서만 상품 정보에 접근하고 정품을 확인(700 d)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개키별로 접촉 횟수를 제한하여 복제 식별코드를 통한 접근이 방지(700 e)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존 비트코인 기반 정품인증은 시리얼 번호 확인수준이지만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으로 관련 객관적인 자료정보들을 판별하여 실제 정품인지 확인 가능하다.
그럼으로써 인증서를 언제 어떻케 누가 만들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위조 인증서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게 확인이 가능하여 불법상품에 대한 접근방지 및 조치를 즉시 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정보는 이용자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재판매할 시 상품을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700) 거래 이력 제공으로 투명하고 안전하게 재판매 거래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특정 상품 정보인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이 생성되면 상품에 대한 소유권 등록(700 f) 및 불법 제품에 대한 신고(700 g)(SMS, 통화 등 미리 지정해둔 컴퓨팅 작업)를 실행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에 있어서는 판매자로부터 정품인증 요청을 접수하고 요청된 상품 수에 따른 시리얼 번호를 가진 정품인증 공개키들을 생성(211)하여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를 각 상품(700 b)에 부여(212)한다.
여기서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상품 정보를 SCORE 기반으로 정품인증 공개키를 서버에 1:1 매칭(213)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스마트 컨트랙트(153 a)로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을 블록 체인화(700)하여 서버에(100)저장한다.
그리고 각 상품에 부여된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214)을 접수되면 조회된 정품인증 공개키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정품)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구매할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700 a)를 포함한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 되어 제공하여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700 c) 시 확인하고자 하는 거래 내역이 포함된 노드의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관련 정보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정품인증서 발급에 계약되는 정보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넷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700 c)은 상품에 부착 제공된 식별정보 공개키(700 b)와 동일한 정보로서 이용자가 인터넷에서 식별 코드(700 a)를 클릭 또는 스마트폰(400)의 카메라로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700 a)를 촬영(700 c)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관련된 상품 정보를 확인하면 스마트 컨트랙트(153 a)에 의해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이 생성된다.
또한, 이미 서버(150)에서 공개키 생성 및 기본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트랜잭션(153 b)을 일으키지 않아도 정품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이 있을때에는 정품인증 정보를 이용자가 클릭 확인한 정보로서 횟수정보와 상품 거래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메시지를 더 표시한다.
그리고 소비자에게 판매된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153 b)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700)하여 관리 서버에(100)(100 a, 100 b, 100 c, 100 d ....)저장되어 불법복제 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하여 더이상 불법 유통·판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인 상품 개별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700 b)가 생성되어 인터넷판매 상품 정보에 제공된 공개키(700 a)를 통해서만 모바일 상품 정보에 접근하고 정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개키별로 접촉 횟수를 제한하여 복제 식별코드를 통한 접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거래정보는 이용자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재판매할 시 상품을 구매한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으로 트랜잭션 (Transaction)(153 b)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 상품 거래 이력 제공으로 투명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메시지를 더 표시한다.
여기서 정품확인을 이용하는 스마트폰(400)은 정품확인을 사용하기 위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700 a)로부터 정품인증 공개키가 리드(700 c)되면 서버(100)에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가 요청되고, 또한 조회 요청시 스마트폰(400) 정보를 서버(100)에 제공하고,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정품인증 정보에 포함된 정보조회 횟수 제한 및 판매된 상품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153 a) 기반으로 트랜잭션(153 b)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 관련 정보(700) 메시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더이상 불법상품 유통·판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복제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서버 200 : 통신망
400 : 이용자 스마트폰 700 : 블록체인

Claims (19)

  1. 판매자로부터 정품인증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요청된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수에 따른 시리얼 번호를 가진 정품인증 공개키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를 각 상품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상품 정보를 SCORE 기반으로 정품인증 공개키를 서버에 1:1 매칭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스마트 컨트랙트로 생성된 트랜잭션 (Transaction)을 블록 체인화되어 저장하는 단계;
    각 상품에 부여된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조회된 정품인증 공개키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상품(정품) 식별 코드 정보 확인 시 스마트 컨트랙트로 생성된 트랜잭션 (Transaction)들을 모아 블록을 만들고 보낸 다음 Peer들에게 정보를 받아서 검증 또는 설정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구매할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 되어 제공하여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 시 확인하고자 하는 거래 내역이 포함된 노드의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관련 정보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정품인증서 발급에 계약되는 정보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인터넷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은 상품에 부착 제공된 식별정보 공개키와 동일한 정보로서 이용자가 인터넷에서 식별 코드를 클릭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관련된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정보를 확인하면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 (Transaction)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정보는 상품조회횟수, 상품분류정보, 정품여부정보,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유통경로정보, 판매지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위에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체인화 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이 있을 때 상기 조회요청 정보는 정품인증 정보를 이용자가 클릭 확인한 정보로서 횟수정보와 상품 거래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메시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비자에게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체인화하여 저장되어 불법복제 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하여 더이상 불법 유통·판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안내 메시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인 상품 개별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가 생성되어 인터넷판매 상품 정보에 제공된 공개키를 통해서만 모바일 상품 정보에 접근하고 정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개키별로 접촉 횟수를 제한하여 복제 식별코드를 통한 접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정보는 이용자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재판매할 시 상품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 (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 거래이력 정보제공으로 상품에 대한 소유권 등록 및 불법 제품에 대한 신고(SMS, 통화 등 미리 지정해둔 컴퓨팅 작업)를 실행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메시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버에서 공개키 생성 및 기본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트랜잭션을 일으키지 않아도 정품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10. 정품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정품인증 공개키가 부여된 상품; 상기 상품에 부착된 식별코드로부터 정품인증 공개키가 리드되면 자동으로 정품확인 앱을 실행하여 이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정품인증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정품확인 프로그램은
    판매자로부터 정품인증 발급요청을 접수하고, 요청된 상품 수에 따른 시리얼 번호를 가진 정품인증 공개키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를 각 상품에 부여하고, 상기 생성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상품 정보를 SCORE 기반으로 정품인증 공개키를 서버에 1:1 매칭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하고,
    각 상품에 부여된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을 접수하고, 조회된 정품인증 공개키와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되어 생성된 상품(정품) 정보 확인 시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들을 모아 블록을 만들고 보낸 다음 Peer들에게 받아서 검증 또는 설정 가능하도록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인터넷 상품판매 시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검증 수단인 디지털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를 판매할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디스플레이 되어 제공하여 이용자가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 시 확인하고자 하는 거래 내역이 포함된 노드의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관련 정보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정품인증서 발급에 계약되는 정보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인터넷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은 상품에 부착 제공된 식별정보 공개키와 동일한 정보로서 소비자의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인터넷상품 주위 적정공간에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관련된 상품(지갑, 벨트, 사진, 동영상, 기타문서 등) 정보를 확인하면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정보는 상품조회횟수정보, 상품분류정보, 정품여부정보,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유통경로정보, 판매지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위에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 체인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요청이 있을 때 상기 조회요청 정보는 정품인증 정보를 소비자가 클릭 확인한 상품 정보로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 상품 정보와 거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비자에게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되어 불법복제 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하여 더이상 불법 유통·판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안내 메시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
  16.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인 상품 개별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가 생성되어 인터넷판매 상품에 제공된 공개키를 통해서만 모바일 상품 정보에 접근하고 정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개키별로 접촉 횟수를 제한하여 복제 식별코드를 통한 접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정보는 이용자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재판매할 시 상품을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 거래 이력 제공으로 상품에 대한 소유권 등록 및 불법 제품에 대한 신고(SMS, 통화 등 미리 지정해둔 컴퓨팅 작업)를 실행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메시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
  18.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버에서 공개키 생성 및 기본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트랜잭션을 일으키지 않아도 정품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시스템.
  19. 정품확인을 이용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정품확인을 사용하기 위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정품인증 공개키(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로부터 정품인증 공개키가 리드되면 서버에 정품인증 공개키의 조회가 요청되고, 또한 조회 요청시 스마트폰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정품인증 정보에 포함된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조회 횟수 제한 및 판매된 상품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위에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이 블록 체인화된 관련 정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더이상 불법상품 유통·판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복제식별 코드를 통한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KR1020190034055A 2019-03-26 2019-03-26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3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55A KR20200113602A (ko) 2019-03-26 2019-03-26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55A KR20200113602A (ko) 2019-03-26 2019-03-26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602A true KR20200113602A (ko) 2020-10-07

Family

ID=7288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055A KR20200113602A (ko) 2019-03-26 2019-03-26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3602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663B1 (ko) * 2021-03-25 2021-11-01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귀금속 상품에 삽입된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13724079A (zh) * 2021-08-10 2021-11-30 内蒙古电力(集团)有限责任公司电力调度控制分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电力数据交易系统及方法
CN113859457A (zh) * 2021-09-18 2021-12-31 泰州蝶金软件有限公司 利用区块链存储的动作触发系统及方法
CN114119046A (zh) * 2021-11-25 2022-03-01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系统的商品设计的授权使用方法及装置
KR102393403B1 (ko) * 2021-10-28 2022-04-29 차경운 소프트웨어 멀티 소유권 계정 관리 방법
WO2022203200A1 (ko) * 2021-03-25 2022-09-29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기념품에 삽입되는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472427B1 (ko) * 2022-02-25 2022-11-30 피노키오랩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위조품 선별 검사 및 디지털 증명서 발급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511635B1 (ko) * 2022-10-06 2023-03-16 류수은 Qr 코드를 이용한 시계 정품 감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52386A (ko) * 2021-10-13 2023-04-20 박정은 인증코드를 갖는 악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악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664986B2 (en) 2022-04-20 2023-05-30 Ellansa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etching internal surfaces of transparent gemstones with information pertaining to a blockchain
WO2023101258A1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피에스디엘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
US11783145B2 (en) 2022-12-21 2023-10-10 EllansaLabs Inc. Systems for authentication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KR102590471B1 (ko) * 2023-01-31 2023-10-19 주식회사 셀디코리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통거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1867637B2 (en) 2022-12-15 2024-01-09 EllansaLabs Inc. Systems for authentication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91B1 (ko) 2008-04-23 2010-11-18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KR101389723B1 (ko) 2011-08-25 2014-04-29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복제 방지용 출력 장치
KR101680542B1 (ko) 2015-09-09 2016-12-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회용 상품의 정품확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91B1 (ko) 2008-04-23 2010-11-18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바코드를 통한 제품 정보인식 및 제공 시스템
KR101389723B1 (ko) 2011-08-25 2014-04-29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복제 방지용 출력 장치
KR101680542B1 (ko) 2015-09-09 2016-12-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회용 상품의 정품확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200A1 (ko) * 2021-03-25 2022-09-29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기념품에 삽입되는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WO2022203199A1 (ko) * 2021-03-25 2022-09-29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귀금속 상품에 삽입된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319663B1 (ko) * 2021-03-25 2021-11-01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귀금속 상품에 삽입된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13724079A (zh) * 2021-08-10 2021-11-30 内蒙古电力(集团)有限责任公司电力调度控制分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电力数据交易系统及方法
CN113859457A (zh) * 2021-09-18 2021-12-31 泰州蝶金软件有限公司 利用区块链存储的动作触发系统及方法
KR20230052386A (ko) * 2021-10-13 2023-04-20 박정은 인증코드를 갖는 악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악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93403B1 (ko) * 2021-10-28 2022-04-29 차경운 소프트웨어 멀티 소유권 계정 관리 방법
CN114119046A (zh) * 2021-11-25 2022-03-01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系统的商品设计的授权使用方法及装置
WO2023101258A1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피에스디엘 인증 서버, 인증 방법, 인증 프로그램 및 메타버스 서버
KR102472427B1 (ko) * 2022-02-25 2022-11-30 피노키오랩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위조품 선별 검사 및 디지털 증명서 발급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11664986B2 (en) 2022-04-20 2023-05-30 Ellansa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etching internal surfaces of transparent gemstones with information pertaining to a blockchain
US11671252B2 (en) 2022-04-20 2023-06-06 Ellansa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 etching surfaces of transparent materials with information pertaining to a blockchain
KR102511635B1 (ko) * 2022-10-06 2023-03-16 류수은 Qr 코드를 이용한 시계 정품 감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867637B2 (en) 2022-12-15 2024-01-09 EllansaLabs Inc. Systems for authentication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11783145B2 (en) 2022-12-21 2023-10-10 EllansaLabs Inc. Systems for authentication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KR102590471B1 (ko) * 2023-01-31 2023-10-19 주식회사 셀디코리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유통거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3602A (ko)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US11775945B2 (en) Secure real-time product ownership tracking using distributed electronic ledgers
US11443316B2 (en)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mobile commerce applications
US20210383377A1 (en) Decentralized identity verification platforms
US108784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codes and images within a blockchain
US10387695B2 (en) Authenticating and managing item ownership and authenticity
US10152720B2 (en) Authentication tags and systems for golf clubs
US202000429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nsaction provenance of off-chain transactions using distributed ledger transactions with secured representations of distributed ledger addresses of transacting parties
CN112106324A (zh) 用于创建、注册和验证经数字盖章的资产的方法、计算机程序产品和设备
US20190287095A1 (en) Digital asset distribution by transaction device
CN116671087A (zh) 用于构建区块链以验证智能合约资产的系统和方法
US117649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er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of objects
BR112019010235A2 (pt) sistema e método para reduzir fraude em seguro e financiamento comerciais
JP2016512675A (ja) 安全な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8354549A1 (en) Instrument disambiguation to facilitate electronic data consolidation
KR20200097886A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US11068898B2 (en) Virtual payment card fraud detection
KR20180130144A (ko)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763299B2 (en) Advance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registering information in a database
US115998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payment card fraud detection
KR20180137667A (ko) 상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681A (ko) 탈중앙화 신원 인증에 기반한 소지품 정보 관리 및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
JP7477937B1 (ja) 鑑定証明システム、及び鑑定証明方法
US20230105171A1 (en) Identity Vault System Using Distributed Ledgers for Event Processing
KR20190126500A (ko) 부가서비스 이용 시 인증토큰이 생성되는 코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