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144A -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144A
KR20180130144A KR1020170065829A KR20170065829A KR20180130144A KR 20180130144 A KR20180130144 A KR 20180130144A KR 1020170065829 A KR1020170065829 A KR 1020170065829A KR 20170065829 A KR20170065829 A KR 20170065829A KR 20180130144 A KR20180130144 A KR 2018013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formation
product
payment identification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7006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144A/ko
Publication of KR2018013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품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정보를 이용하여 관련 상품의 유효성 정보인 정품여부,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등을 쉽게 확인 인증하는 것만으로 상품의 소유권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가 생성되어 상품에 부착 제공되더라도 동일한 금액으로 결제될 수 있고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는 단말기(카드결제단말기, 포스결제단말기 등)별로 상품에 대한 각각의 필요한 정보만 생성되어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mobile quality guarantee using a payment identification code of a produ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방식으로 통신하고, 유통되는 상품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사용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품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품여부,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등 관련 상품 정보가 생성되어 인증하고 확인 하는 것만으로 상품 소유권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가 생성되어 상품에 부착 제공되어 결제되고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는 전자장치별로 상품에 대한 각각의 필요한 정보만 생성되어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에는 시장에서 유통되거나 판매되는 상품의 진위 여부 판별을 위해 품질 보증서를 상품과 함께 동봉하는 방법 또는 상품에 NFC Tag, QR 코드, 인증마크 또는 홀로그램 스티커를 부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품질 보증서나 인증마크, 홀로그램 스티커 등에 의한 정품 확인 방법은 아무리 정교하고 특수한 로고, 표시라 하더라도 모방 또는 도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통되는 상품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NFC Tag·QR 코드, 인증마크 또는 홀로그램 스티커 등 별도의 제작을 통하여 부착되어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활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제공으로 유통되는 상품의 유효성을 스마트폰으로 쉽게 인증 확인하고 편리하게 상품의 소유권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본 출원인이 특허 출원한 (특허문헌 001)한국 출원 특허 제 10-2017-0063262호(2017-05-23)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다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문헌 002) 한국 등록 특허 제 1015729430000 호(2015.11.24) 스마트 보증서 통합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리방법. (특허문헌 003)한국 출원 특허 제 1008742400000 호(2008.12.09) 정품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외에 다수 개시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인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방식으로 통신하고, 고객들이 상품(노트북·카메라·캠코더·휴대폰·전동킥보드·자전거·골프용품·귀금속·시계·가방·악세사리·특산품·생활용품 등)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촬영 시 관련 유통되는 상품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품여부, 제품정보, 판매 정보, A/S 정보 등 관련 상품 정보가 생성되어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표시된 정보를 확인 인증 하는 것만으로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은 결제 식별 코드인 관련된 상품에 부착된 결제 식별 코드로 관련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품의 유효성인 정품여부·상품정보·판매사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금액정보 등을 확인하고 인증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자 스마트폰과
그리고, 상품의 유효성 정보를 확인 인증하고 소유권을 등록 관리하기 위해 암호화된 결제 식별 코드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그리고, 상품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에 해당되는 관련 상품의 유효성 정보를 각각의 관련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할 수 있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품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에 해당되는 상품 관련 정보인 정품여부·제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이용자 스마트폰 고유 식별정보인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및 이용자가 이용할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품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스마트폰으로 촬영 시 관련 상품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품여부·상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 등 상품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생성되어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인증되어 소유권 등록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는, 국제 표준 바코드인 EAN/UCC 체계 중 EAN/UCC-13, EAN/UCC-14 또는 EAN/UCC-128 중 하나 또는 UPC 바코드, GTIN[GTIN-8(단축형 식별코드, 8자리), GTIN-13(표준형 상품식별코드, 13자리) GTIN-14(표준물류코드, 14자리)] GS1-128 바코드, GS1 Data Bar, GS1 Data Matrix, GS1 QR Code를 사용 또는 자체적으로 마련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상품에 부착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촬영하면 스마트폰에 상품에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표시된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소유권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품에 부착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에 해당되는 상품 정보는 단말기(카드결제단말기, 포스결제단말기 등)별로 상품에 대한 각각의 필요한 정보만 생성되어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품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이전에 있어서, 상품에 관련된 제공할 데이터정보를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품에 표시 될 수 있도록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종류별 유형별로 각각 서버에 환경 설정되어 저장된 상품 관련 정보 중에서 생성한다.
그리고,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는 상품에 대한 결제 금액 정보와 정품여부·상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사용설명서 등이 포함되며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가 생성되어 상품에 부착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접촉하는 것만으로 소유권 등록/관리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록매체를 스마트폰으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그리고,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는,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인증하고 수행하는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연산 수단을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디지털 암호데이터로 변환된 대칭키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서버에 저장되어 손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은, 보안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 스마트폰 기기 내 별도 영역에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물리적으로 선택 저장할 수 있고, 또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키값을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별도 보안 서버에 저장되어 손쉽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품 정보가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된 결제 식별 코드인 QR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이용자 스마트폰에서 촬영 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키값이 실행되어 관련 상품에 대한 제공할 데이터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URL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에 해당하는 상품정보를 확인 또는 등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결제 식별 코드 촬영을 선택하고 촬영한 결제 식별 코드를 복호화 하여 원래의 상품 관련 데이터 정보로 복원을 실행하여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정보가 생성되면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상품 결제 식별 코드에 있는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촬영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되어 상품에 대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촬영하면 종류별 유형별로 각각 서버에 저장된 상품과 관련된 정품여부·제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 등이 생성되어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소유권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도구들이 디스플레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아도 상품에 대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 촬영만으로 상품 관련 정보인 정품여부·제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 등이 생성되고 또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더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방식으로 통신하고, 유통되는 상품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하면 상품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품여부, 제품정보, 판매정보, A/S 정보 등 관련 상품 정보가 생성되어 확인 인증 하는 것만으로 상품 소유권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정보를 확인하고 소유권을 등록하는 흐름도 및 스마트폰 해상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P설치가 안되었을 시 관련 상품 정보가 생성되는 스마트폰 해상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휴대용 전자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통신 단말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휴대용 이동 단말,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임의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모바일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형 전자장치(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관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표면 얼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 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 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상품에 해당되는 모바일 품질 보증서를 등록하는 방법 흐름도와 스마트폰의 화면 해상도와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접촉 확인하는 스마트폰의 해상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300)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결제 식별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약칭함)은 스마트폰(200) 및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폰(200)은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사용자 식별정보는 스마트폰(200)을 사용하는 사용자 본인의 확인 및 정보 제공서버(400)에서 생성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포함된 상품 기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정보에는 스마트폰(200) 식별정보와 이름, 주소, 연락할 수 있는 번호 하나 이상의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도 2 를 참조하여 스마트폰(200)의 입력부(230), 다시 말해 스마트폰(200)의 표시부(220)를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폰(200)의 사용자 식별정보 생성을 위한 스마트폰(200)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표시부)(220)와,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부(표시부)(220)에는 입력부(230), 버튼(230a), 키패드(230b)가 표시되고,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통신부(250)에는 이동통신 모듈(250a), 무선 랜 모듈(250b), 근거리통신 모듈(250c)이 포함되며 상기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품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상기 스마트폰(200)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표시부)(220)가 생성되면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포함한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200)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230)를 이용한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관련된 상품의 식별 코드를 검출하고 상기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를 실시간으로 분류하여 제어하기 위한 분류수단, 상품에 부착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와 관련된 정보 검출을 위하여 상기 결제 식별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를 스캔하기 위한 촬영수단이 생성되어 상기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을 통하여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대한 정보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와 관련된 상품에 부착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로 관련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품의 유효성인 정품여부·상품정보·판매사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금액정보 등을 확인(225)하고 인증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자 스마트폰(200)과
그리고, 상품의 유효성 정보를 확인(225) 인증하고 소유권을 등록(226) 관리하기 위해 암호화된 결제 식별 코드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와
그리고, 상품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해당되는 관련 상품의 유효성 정보에 해당되는 각각의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454)할 수 있는 관리 서버를 포함(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관리 서버(400)는 상품에 부착할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유통될 상품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관련 상품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정보 데이터베이스(412)와 상품에 포함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해당되는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13), 스마트폰(200)으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기록된 상품의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관련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여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대응되는 각각의 사용자 정보(연락처 등)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으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 촬영 시 바코드·QR 코드·코드번호(300)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420)와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별로 상품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서비스 사용자 스마트폰(200)에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입력 시 상기 상품에 부착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의 상품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45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품에 부착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의 상품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 스마트폰(20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452)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해당되는 저장된 식별정보와 관련된 상품 정보를 추출(420)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5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품의 유효성을 확인(225)하고 소유권을 등록(266)) 관리할 수 있는 정보는, 상품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해당되는 상품 관련 정보인 정품여부·제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이용자 스마트폰(200) 고유 식별정보인 모바일 식별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및 이용자가 이용할 스마트폰(2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품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스마트폰으로 촬영 시 관련 상품의 유효성을 확인(225)할 수 있는 정품여부·상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 등 상품 관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생성되어 스마트폰(200)에 디스플레이 표시(224)된 정보를 확인(225)하는 것만으로 소유권 등록(226)이 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상품정보에는 정품여부·상품정보·판매사정보·제조사정보·A/S 연락처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생성된다.
여기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는, 국제 표준 바코드인 EAN/UCC 체계 중 EAN/UCC-13, EAN/UCC-14 또는 EAN/UCC-128 중 하나 또는 UPC 바코드, GTIN[GTIN-8(단축형 식별코드, 8자리), GTIN-13(표준형 상품식별코드, 13자리) GTIN-14(표준물류코드, 14자리)], GS1-128 바코드, GS1 Data Bar, GS1 Data Matrix, GS1 QR Code를 사용 또는 자체적으로 마련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폰(200)으로 상품에 부착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를 촬영하면 스마트폰(200)에 상품에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표시(224)된 관련 정보를 확인(225)하는 것만으로 소유권을 등록(226)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품에 부착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해당되는 상품 정보는 단말기(카드결제단말기, 포스결제단말기 등)(미도시)별로 상품에 대한 각각의 필요한 정보만 생성되어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품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이전에 있어서, 상품에 관련된 제공할 데이터정보를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품에 표시 될 수 있도록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를 종류별 유형별로 각각 서버(400)에 환경 설정되어 저장된 상품에 관련된 정보 중에서 생성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는 상품에 대한 금액 정보와 정품여부·상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사용설명서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상품에 부착 제공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는 매장에서 동일한 가격으로 결제를 할 수 있고 고객 스마트폰으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를 촬영(221)하는 것만으로 소유권 등록(226)/관리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록매체를 스마트폰(200)으로 읽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는,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인증하고 수행하는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 연산 수단을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디지털 암호데이터로 변환된 대칭키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460)을 포함하여 서버(400)에 저장 한다.
여기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460)은, 보안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 스마트폰(200) 기기 내 별도 영역에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물리적으로 선택 저장할 수 있고, 또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키값을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별도 보안서버(400)에 저장되어 손쉽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품 정보가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상품정보가 포함된 QR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를 이용자 스마트폰(200)에서 촬영(221)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460)과 매칭되는 키값이 실행되어 관련 상품에 대한 제공할 데이터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상품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화 프로그램(미 도시)이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도 3 내지 도 4 의 실시예에서,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해당되는 모바일 품질 보증서를 이용 방법은 도 1 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을 예로 하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의 실시예에 해당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과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을 참조하면,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에 해당하는 상품정보를 확인(225) 또는 등록(226)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 촬영(221)을 선택하여 촬영한 결제 식별 코드를 복호화 하여 원래의 상품 관련 데이터 정보로 복원을 실행(223)한다.
그리고, 결제 식별 코드 정보(300) 변환을 실행하여 스마트폰(200)에 상품정보가 디스플레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정보가 생성되면 결과를 표시(224)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를 촬영(221)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되어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300)를 촬영(221)하면 종류별 유형별로 각각 서버(400)에 저장된 상품과 관련된 정품여부·제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 등이 생성되어 스마트폰(200)에 디스플레이 표시된 정보(224)를 확인(225)하는 것만으로 소유권을 등록(226)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도구들이 디스플레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도 4 를 참조하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아도 (231)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300) 촬영(232)만으로 상품 관련 정보인 정품여부·제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 등이 생성(224 a)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가 더 생성(233)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통신망 200 : 이용자 스마트폰
210 : 제어부 210a : 카메라
220 : 표시부 230 : 입력부
230a : 버튼 230b : 키패드
250 : 통신부 250a : 이동통신 모듈
250b : 무선 랜 모듈 250c : 근거리통신 모듈
260 : 저장부 300 : QR코드, 바코드, 코드번호
400 : 통합관리서버 411 : 이용자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412 : QR코드·바코드·코드번호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
413 : 공급자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420 :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430 : SMS처리부 440 : 웹서버
451 : 생성부 452 : 통신부
453 : 입력부 454 : 저장부
455 : 제어부 460 : 보안 알고리즘

Claims (14)

  1. 상품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활용하여 관련 상품의 유효성 정보를 확인하고 소유권을 등록 관리함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실시간으로 분류하여 제어하기 위한 분류수단;
    상기 상품에 부착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와 관련된 정보 검출을 위하여 상기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스캔하기 위한 촬영수단;
    상기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 및
    상기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에 대한 정보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와 관련된 상품에 부착된 결제 식별 코드로 관련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품의 유효성인 정품여부·상품정보·판매사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금액정보 등을 확인하고 인증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자 스마트폰;
    상기 상품의 유효성 정보를 확인하고 소유권을 등록 관리하기 위해 암호화된 결제 식별 코드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에 해당되는 관련 상품의 유효성 정보인 각각의 관련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할 수 있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소유권을 등록 관리할 수 있는 정보는,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에 해당되는 상품 관련 정보인 정품여부·제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이용자 스마트폰 고유 식별정보인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및 이용자가 이용할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부착 또는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스마트폰으로 촬영 시 관련 상품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품여부·상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 등 상품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생성되어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인증되어 소유권 등록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는,
    국제 표준 바코드인 EAN/UCC 체계 중 EAN/UCC-13, EAN/UCC-14 또는 EAN/UCC-128 중 하나 또는 UPC 바코드, GTIN, GS1-128 바코드, GS1 Data Bar, GS1 Data Matrix, GS1 QR Code 등을 사용 또는 자체적으로 마련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상품에 부착된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촬영하면 스마트폰에 상품에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표시된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소유권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에 해당되는 상품 정보는 단말기(카드결제단말기, 포스결제단말기 등)별로 상품에 대한 각각의 필요한 정보만 생성되어 서비스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이전에 있어서,
    상품에 관련된 제공할 데이터정보를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품에 표시 될 수 있도록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종류별 유형별로 각각 서버에 환경 설정되어 저장된 상품 관련 정보 중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는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 금액 정보와 정품여부·상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사용설명서 등이 포함되며 동일한 상품이라도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가 생성되어 상품에 부착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접촉하는 것만으로 소유권 등록/관리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록매체를 스마트폰으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는,
    상기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인증하고 수행하는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연산 수단을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디지털 암호데이터로 변환된 대칭키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은,
    상기 보안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 스마트폰 기기 내 별도 영역에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을 물리적으로 선택 저장할 수 있고, 또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키값을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별도 보안서버에 저장되어 손쉽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가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상품정보를 포함된 QR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이용자 스마트폰에서 촬영 시 보안기능이 있는 알고리즘과 매칭되는 키값이 실행되어 관련 상품에 대한 제공할 데이터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압축된 파일 또는 암호화된 상품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화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12.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에 해당하는 상품정보를 확인 또는 등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 촬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복호화 하여 원래의 상품 관련 데이터 정보로 복원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결제 식별 코드 정보 변환을 실행하여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정보가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생성되면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결제 식별 코드에 있는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촬영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되어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코드번호를 촬영하면 종류별 유형별로 각각 서버에 저장된 상품과 관련된 정품여부·제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 등이 생성되어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소유권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도구들이 디스플레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아도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인 QR 코드·바코드 촬영만으로 상품 관련 정보인 정품여부·제품정보·제조사정보·A/S 정보·연락처정보 등이 생성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가 더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방법.
KR1020170065829A 2017-05-29 2017-05-29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0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829A KR20180130144A (ko) 2017-05-29 2017-05-29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829A KR20180130144A (ko) 2017-05-29 2017-05-29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144A true KR20180130144A (ko) 2018-12-07

Family

ID=6466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829A KR20180130144A (ko) 2017-05-29 2017-05-29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14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808A (ko) * 2020-12-31 2022-07-07 채상훈 음성 기반 제품사용설명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166085A (ko) * 2021-06-09 2022-12-16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상품에 인쇄되어 있는 2차원 코드의 인식을 통해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정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68306A (ko) *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상품에 인쇄되어 있는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정품 인증을 수행하여 음성 기반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70527A (ko) * 2021-06-23 2022-12-30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2차원 코드 인식과 생체 정보 인증을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정품 인증 및 부가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808A (ko) * 2020-12-31 2022-07-07 채상훈 음성 기반 제품사용설명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166085A (ko) * 2021-06-09 2022-12-16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상품에 인쇄되어 있는 2차원 코드의 인식을 통해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정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68306A (ko) *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상품에 인쇄되어 있는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정품 인증을 수행하여 음성 기반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70527A (ko) * 2021-06-23 2022-12-30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2차원 코드 인식과 생체 정보 인증을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정품 인증 및 부가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0588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phone payments
US9965756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phone payments
JP5866544B2 (ja) バーコード画像を利用して通信を行う方法、装置、及びそのモバイル端末
US201801897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payment card information with a secure biometric processor on a mobile device
US10657516B2 (en) Enabling secure transactions with an underpowered device
US20150134552A1 (en) Authenticating and Managing Item Ownership and Authenticity
KR20200113602A (ko)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US20100211506A1 (en) Mobile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KR101828742B1 (ko) 보안이 강화된 간편 결제 시스템 및 그 결제방법
US201900736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tem-based transaction authentication
KR20180130144A (ko)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89045B1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3767A (ko) NFC Tag(QR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이용 방법
EP2600281A2 (en) Reading an optical code with authenticatable information
JP2017016615A (ja) 正規品認証手段および正規品認証システム
KR20180127841A (ko) 상품의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8150A (ko) 상품의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974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t or service source authentication
KR20200097886A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정품확인 방법 및 시스템.
US10726412B2 (en) Portable device with local verification data
US9262422B1 (en) System and method of verifying a payment cardholder's identity using an interactive payment card
KR20180137667A (ko) 상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1046A (ko) 상품의 결제 식별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품질보증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096192A1 (zh) 一种基于电子标签与身份识别的无人售货方法和设备
US9443233B1 (en) Payment using a fractal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