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876A -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876A
KR20090111876A KR1020097019343A KR20097019343A KR20090111876A KR 20090111876 A KR20090111876 A KR 20090111876A KR 1020097019343 A KR1020097019343 A KR 1020097019343A KR 20097019343 A KR20097019343 A KR 20097019343A KR 20090111876 A KR20090111876 A KR 20090111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chamber
container
wat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앙리 닐상
다비드 쁘띠드망제
Original Assignee
한프레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프레소 filed Critical 한프레소
Publication of KR2009011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2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ai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8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operated by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물(5)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4)를 갖는 주입 챔버(3), 상기 주입 챔버를 위한 폐쇄부(8), 상기 주입 챔버에 연결된 물 용기(10), 공기를 물 용기(10) 내로 전달하기 위한 가압 수단(11) 및 일정 체적의 물이 상기 물 용기에서 상기 주입 챔버 내로 운반되게 하는 제어 수단(12)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압 수단(11)은 상기 가압 수단(11)과 상기 물 용기(10) 사이에 배열되고 입구 및 출구 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압축 챔버(18)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만한 물 용기(10)와 제어 수단(12)을 갖는 출구 차단 수단에 의해, 제어 수단은 압축된 공기가 물 용기(10) 내로 갑자기 팽창되어 감소되는 압력 곡선을 갖는 유동을 갖도록 하기에 적절하다. 본 발명은 가정용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1020097019343
주입 챔버, 폐쇄부, 가압 수단, 제어 수단, 물 용기, 압력 곡선

Description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Apparatus for preparing an infusion}
본 발명은 분말 또는 포드 형태의 충전재로부터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충전물이 삽입되는 개구를 갖고, 온수 공급 노즐을 갖는 단부 벽을 갖고, 주입물 유출 오리피스를 갖는 폐쇄부가 끼워지는 챔버를 구비하는 주입 헤드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챔버에 대해 2개의 위치, 즉 각각 상기 챔버를 충전하고/비우는 개방 위치와,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는 또한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물 용기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스가 활성 상태와 비활성 상태를 갖고 활성 상태에서는 상기 물 용기를 가압하기 위해 공기를 운반하는 가압 수단과, 주입 온도로 상승된 일정한 체적의 물이 상기 용기로부터 주입 챔버 내로 운반되게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를 갖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예를 들어, 2006년 2월 1일에 출원번호 제06/00910호로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커피 충전재로부터 양호한 주입물(infusion)을 제공하 지만, 주입 사이클 동안에 소정의 양을 갖는 분쇄물의 경우, 공기 펌프에 의해 전달된 압력은 초기 및 상승 중의 낮은 압력에서부터 마지막 단계에서 높은 압력으로 시작되는 늦은 진행 곡선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주입 사이클 전에 그리고 내내 펌프를 작동시켜, 수동 장치 형태에서 무시할 수 없는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또한, 커피 주입물을 만들 때, 이러한 압력의 점진적인 상승은 커피 분쇄물로부터 모든 향을 추출하는 최선의 방법은 아니다. 시작 단계 동안에는 낮은 압력 때문에, 물은 저압과 낮은 유량에서 용기를 떠나서 분쇄물의 상부층만 물에 흡수되는 반면, 대부분의 분쇄물은 단순히 적셔지고 완전히 퍼질 시간을 갖지 못한다. 그후, 물은 그로부터 모든 향을 추출하도록 충분히 분쇄물이 젖게 하지 않고, 생성되는 다수의 틈과 통로를 통해 그 대부분이 통과되는 경향이 있다.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압력이 제작자에 의해 결정된 최고 임계치에 도달하면, 온수는 바람직한 경로를 따라 강하게 흐르지만, 분쇄물이 충분히 퍼지게 하지는 않는다.
미국 출원 제2006/023094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물 용기를 가압하는 것에 관한 개선이 알려진다. 이러한 개선은 압축 챔버와 가압 수단을 결합하는 것이고, 압축 챔버는 상기 가압 수단과 상기 물 용기 사이에 배치되고, 입구 및 출구 차단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출원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특히 가압 수단을 최적화하기 위한 신규한 수단을 제공하여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전히 충전되는 물 용기를 갖고, 출구 수단은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가압 수단이 비활성 상태에 위치할 때, 제어 수단은 압축 공기를 상기 물 충전 용기 내로 갑자기 유입시켜 주입 사이클의 끝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압력 곡선을 갖도록 유동하게 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중간 압축 챔버와 물이 충전된 용기의 조합에 의해, 입구 차단 수단이 폐쇄되고 가압 수단이 비활성인 동안, 압력 수단은 압력이 소정값으로 상승되게 하고, 제어수단은 상기 압력이 물이 충전된 용기 내로 갑자기 유입되게 하여, 초기에 물이 갑자기 배출되게 하여 충전된 분쇄물을 적시게 한다. 중요한 제약 없이 이러한 순간적인 물의 도달은 전체 분쇄물이 주입시의 처음 몇초 동안 팽창(swell)할 수 있게 하고, 그 후의 압력의 점진적인 강하는 온수가 분쇄물을 통과하여 더 많은 향을 추출하여 전체 시간 경과 시에 압축 챔버 없이 주입물을 마련하는 것과 같은 더 나은 주입물이 되게 한다. 이러한 팽창 현상은 커피 분쇄물 내로 많은 양의 물이 통과하여 분쇄물을 완전히 젖게 하여, 분쇄물이 서로 부착되어 거의 분쇄물 포드(pod)를 형성하게 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챔버는 주입 사이클 동안, 물이 시간의 함수로 감소되는 곡선을 따르는 유속과 공기압을 갖도록 용기로부터 이동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입구 차단 수단은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입구 통로를 포함하고, 출구 차단 수단은 물 용기로 이어지고 온/오프 형 밸브로 형성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덕트에 연결된 출구 노즐을 포함한다 .
따라서, 폐쇄된 체크 밸브 및 비활성 상태의 가압 수단에 대응하는 폐쇄 상태의 입구 차단 수단에 의해, 압축 챔버는 압축 공기를 저장하고, 압축 챔버는 상기 체적의 압축 공기가 충만한 용기 내의 물 상으로 직접 유입되게 하여, 주입 사이클을 시작하게 하는 제어 수단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인체공학적(ergonomic)이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헤드를 갖는 타원형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의 일부는 사용자가 손만으로 커피 컵 위로 파지 수단을 잡음으로써 주입 사이클 동안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지 수단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상술한 프랑스 특허 출원에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장치가 매우 간단하고 그 중 하나는 본체를 형성하고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3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고 휴대 가능한 형태이지만, 그 가압 수단은 작동에 중요한 요소이고 수행되는 기술적 해결 때문에 비싼 장치로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중에 더 편리하고 안전하고, 또한 주입 사이클 동안 물을 배출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양을 감소시키면서, 단순하고 저렴한 디자인의 가압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본 출원인의 출원된 장치를 개선하여 보다 더 간단한 구성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가압 수단은 피스톤 로드를 통과시키기 위해 구멍이 형성된 한 단부와, 압축 챔버의 입구 통로에 연결된 체크 밸브에 의해 폐쇄되는 다른 단부를 갖고, 피스톤을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통형 벽을 갖는 튜브 형태의 수동식 공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튜브 벽과 본체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본체는 튜브 벽에 대해 누출 방지식으로 장착된 내부 벽을 갖는다.
단일 조립체로서 이러한 특별한 구성의 펌프와 압축 챔버에 의해, 단순하고, 콤팩트하여 제작 비용이 저렴한 구조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장치가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 편에서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인체공학적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이러한 매우 청결하고 인체공학적 구조로 인해, 장치는 가압 수단을 자체 보유하므로 임의의 장소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로 주어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I-I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은 특히 직물 또는 금속 본체를 갖는 포드 또는 분말 형태를 갖는 커피 충전재로 주입물을 만들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주입 챔버(3)를 갖는 주입 헤드(2)를 포함하는 케이스(1)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챔버(3)는 커피 충전재가 삽입되는 개구(4)를 제공한다. 상기 도면은 1회분의 분말 커피를 함유하는 직물 포드 형태의 충전물(5)을 도시한다.
단부 벽(6)에서, 챔버(3)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7)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챔버(3)는 마련된 주입물을 운반하기 위한 유출 오리피스(7a) 및 지지 격자(9)를 포함하는 대체로 사발 형태의 폐쇄부(8)를 구비한다. 헤드는 또한 노즐(7)과 연통되는 물 용기(10)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또한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를 갖고 활성 상태에서는 상기 물 용기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공기를 이송하도록 구성된 가압 수단(11)과, 주입 사이클 동안 주입 온도로 상승된 소정 체적의 물이 상기 용기로부터 주입 챔버 내로 운반되도록 하기에 적절한 제어 수단(12)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폐쇄부(8)는 각각 챔버를 충전하고/비우는 것에 대응하는 개방 위치와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폐쇄 위치의 2개의 위치를 갖도록 케이스 및 챔버(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콤팩트하고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얻기 위해, 물 용기는 챔버(3) 위에 배열되고 챔버의 외벽 상에 결합되는 마우쓰(mouth; 17)를 갖는 벨 형태이고, 상기 외벽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용기의 마우쓰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발 형태의 폐쇄부(8)는 원통형 링 형태의 에지를 갖고, 상기 폐쇄부는 용기의 벽에 고정되는 원통형 지지면(13) 상에 베요넷(baonet) 고정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챔버의 개구와 폐쇄부 사이의 밀봉은 용기의 벽에 형성된 홈(15)에 끼워지고 상기 링의 내부 측벽(16)과 대면하는 환형 가스켓(14)을 개재하여 제공된다.
가압 수단(11)은 상기 가압 수단과 상기 물 용기 사이에 배열되고 입구 및 출구 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압축 챔버(18)(도 2)에 연결되고, 상기 입구 차단 수단은 가압 수단의 하부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전히 채워지는 물 용기(10)와, 제어 수단(12)을 포함하는 출구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은, 가압 수단이 비활성 상태에 위치될 때, 압축 공기를 상기 물이 충전된 용기(10) 내로 갑자기 유입시켜, 주입 사이클의 종점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압력 곡선을 갖는 유동으로 하기에 적절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차단 수단은 체크 밸브(20)를 포함하는 입구 통로(19)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일반적인 환경에서, 예를 들어, 입구 차단 수단은 정지 마개 또는 그 밖의 전기적 펌프를 절환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비활성 상태에 가압 수단을 위치시킬 수 있다. 출구 차단 수단은 물 용기로 이어지고, 온/오프식 밸브, 즉 전체 공기 흐름이 조절없이 통과하거나 또는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 형태의 제어 수단(12)을 포함하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덕트(22)에 연결된 출구 노즐(21)을 포함한다.
이러한 밸브는 수동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22)는 물 용기의 상부로 수직으로 개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전을 위해 덕트를 주위 공기에 연결하기에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덕트(22)는 밸브(12)에서, 또는 그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0.3mm와 사실상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이는 주입물의 표면 상에 거품의 마련을 촉진하는 동안 전체 용기로부터 물을 적절하게 배출하기에 적절한 유속을 얻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챔버에서 상기 압력은 강하고, 맛있고, 부드러운 거품을 갖는 매력적인 커피 색깔을 갖는 에스프레소를 얻도록 10 내지 20 바(bar), 바람직하게는, 17 바 정도의 값으로 상승된다.
따라서, 폐쇄된 상태, 즉 가압 수단 및 체크 밸브(20)의 비활성 상태에 위치된 입구 차단 수단에 의해 일차적으로, 밸브(12)에 의해 이차적으로 매우 높은 공기압이 압축 챔버 내에서 선택된 값에 유지되어, 사용자가 원할 때만 압력이 해제되어 전체 물이 용기 내로 방출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의 이러한 팽창은 물을 용기로부터 거의 즉각적으로 분쇄물 상으로 유출시켜, 향기가 이상적으로 추출되게 한다. 그후, 압력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경사 곡선을 따라 떨어지고, 그에 따라 물 유속을 저하시켜, 특히 향기의 최대 추출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밝혀진 주입물을 얻게 한다.
제작자가 저압 장치, 예를 들어, 약 2 내지 5 바의 압력을 사용하기를 결정할 때, 압축 챔버 및 온/오프식 밸브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결과는 고압에서 얻어진 것만큼 양호하지 않다.
도 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는 그 측부 상에 횡방향으로 헤드(2)가 위치되고 가압 수단(11)을 포함하는 인체공학적이고 튜브형의 타원형 본체를 구비하는 휴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헤드에서 본체의 종방향 축에 대해 이러한 수직으로 만곡된 위치는, 본체의 일부가 파지 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주입 사이클 동안 헤드가 폐쇄부(8)로부터 유출 오리피스(7a)가 주입물을 모으기 위한 컵을 향해 하향으로 유도 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지 수단은 핸들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편리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온수 공급 노즐(7)은 충전물 면의 입구 영역(S)에 사실상 대응되는 외부면 치수를 갖는 분배 격자(23)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물 면의 입구 영역은 상기 분배 격자와 접촉되고, 즉 사실상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상기 면의 입구 영역은 격자에 의해 윤곽이 형성되어, 통상 포드로 언급되는 종이, 섬유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분쇄물을 포함하는 파우치의 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영역, 또는 격자와 접촉하는 분쇄물 영역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포드는 44mm의 직경을 갖고, 입구 영역의 추천 직경은 약 35mm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23)는 유동 섹션의 합이 충전물 표면 영역의 대략 1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7%를 차지하는 유체 유동 섹션을 형성하는 복수의 구멍(24)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가압 수단(11)은 튜브 내에서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피스톤(26)을 수용하는 원통형 벽을 갖고 핸들(30)에 연결된 피스톤의 로드(28)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단부(27)에 존재하는 튜브(25)를 포함하는 수동 공기 펌프를 포함한다. 튜브의 대향 단부(29)는 체크 밸브(20)에 의해 폐쇄되고 압축 챔버(18)의 입구 통로(19)에 연결된다. 이러한 펌프는 종래의 형태이고, 단부(27)에 형성된 공기 누설부와 피스톤(26)에 의해 형성된 압축 밸브 부재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펌프가 가압 수단의 비활성 상태에 대응하여 작동을 중지할 때, 입구 차단 수단은 압축 밸브 부재와 체크 밸브(20)가 폐쇄되는 결과 로 폐쇄된 상태를 차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는 튜브의 벽과 누설 방지식으로 연결된 내벽(31)을 갖는 본체와 튜브의 상기 벽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내벽(31)은 원통형이고 튜브 주위로 동축으로 배열되고, 압축 챔버(18)는 상기 챔버(18)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체적 요소(32)를 수용하기에 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체적 요소(32)는 튜브 주위로 끼워진 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원할 경우, 단순히 하나 이상의 링(32)을 제 위치로 넣는 것으로서 챔버의 초기 용량을 소정 체적으로 감소시키는 구성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예에는, 6개의 이러한 요소가 있다.
또한, 헤드는 본체의 일측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므로, 제어 수단(12)은 헤드와 본체(도 1) 사이의 전방 교차면의 공통 구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밸브(12)는 헤드(2)에 가까운 파지 수단 내의 본체에 배열되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장치를 잡을 때,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조절되기에 적절하도록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가압버턴(33)을 포함한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식 밸브(12)는 가압버턴(33)에 고정되고, 압축 챔버의 출구 차단 수단의 제1 폐쇄에 대응하는 휴지 상태로부터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갖도록 2포트 실린더 내에서 활주 가능한 가동 슬라이더(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포트는 유입에 대응하여, 용기 및 초기 주입물 내로 압축 공기를 운반하고, 제2 포트는 공기압이 용기 내에서 한번 더 멈춰서 주입을 멈추게 하는 것에 대응되고, 용기는 주위 공기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이점은 압축 챔버가 완전한 거품의 에스프레소를 얻기 위해 제작자에 의해 추천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압력으로 상승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순한 수동 공기 펌프에 의해 작업하기 위해 마련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펌프에 의해, 17 바 정도로 압력을 상승하기가 용이하다.
사용자가 챔버(18) 내의 압력을 용이하게 선택하게 하기 위해, 압력 게이지(36)는 본체의 전방 구역에 배열되어 상기 챔버에 연결된다.
이러한 압축 챔버의 특별한 구조에 의해, 한 손으로 유지할 수 있고 종래의 핸드 펌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콤팩트하고 가벼운 장치가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 용기(10)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범위에 있도록 선택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에서 외부로부터 물 용기로 공급되는 물을 뜨겁게 유지하도록 플라스택 재료의 단열 덮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온수는 꼭지 또는 주전자로부터 나올 수 있다.
다른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장치의 범위를 제공하기 위해, 물 용기(10)는 케이스에 고정되는 연결 프레임(35) 상에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분리 가능한 방법으로 장착되어, 다른 용량의 용기로 교체될 수 있게 한다. 이는 항상 적절한 크기의 물 용기를 가질 수 있게 하여, 모든 물이 특히 커피 충전물 상으로 갑자기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물 용기(10)는 대체로 40 내지 50 ml 범위에 있는 종 래의 커피 컵과 실제로 동일한 약 50 ml의 용량을 갖는다.
프레임(35)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유리 섬유로 채워진 플라스틱 재료로 된 기계적 응력을 견디는 강성 재료로 제작된다. 이는 물 용기가 적절하게 보호되게 한다.
소위 "에스프레소" 모드에서 커피 주입물을 만드는 방법은 이하의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 폐쇄부(8)의 개방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핸들을 형성하고 본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파지 수단은 한 손만으로 파지되고, 챔버(3)는 그 개구(4)가 위로 향하도록 회전된다.
­ 용기(10)는 장치 외부의 온수원으로부터 격자(23)의 구멍(24)을 통해 80 내지 100℃ 범위의 온도로 미리 가열된 물을 부어서 충전된다.
­ 커피 충전물은 주입 챔버에 위치된다.
­ 챔버는 베요넷 고정구와 결합함으로써 폐쇄부(8)에 의해 폐쇄되어 로킹된다.
­ 장치는 본체를 손으로 회전시켜서 커피 컵 위로 하향으로 대면하는 유출 오리피스(7a)를 위치시키도록 핸들에 의해 위로 회전된다.
­ 핸드 펌프는 선택된 압력, 예를 들어, 17 바가 압축 챔버(18)에서 얻어질 때까지 핸들(30)을 사용하여 작동된다.
­ 장치를 유지하는 손의 엄지손가락은 슬라이더(34)가 휴지 위치에서 용기내로 공기 압력을 갑자기 방출하기 위한 제1 포트로 가도록 가압버턴(33)을 가압한 다.
따라서, 이런 식으로 용기(10)을 가압하는 것은 챔버 내의 최대 순간 압력으로 물이 커피 충전물을 통해 배출되게 하여, 모든 향이 추출되는 최고의 주입물이 되게 한다.
컵이 채워지면, 가압버턴(33)은 압축 챔버(18)를 폐쇄하도록 작동되고 용기를 주위 공기에 연결하여 안전 모드를 제공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 펌프는 전기 공기 펌프 또는 가스 카트리지로 대체될 수 있고, 슬라이더를 갖는 온/오프식 밸브는 전자기 밸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포드로부터 시작되는 차 또는 초코렛 주입물을 마련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주입물을 마련하는 장치에 있어서,
    주입하기 위한 충전물(5)이 삽입되는 개구(4)를 갖고 그 단부 벽(6)에 온수 공급 노즐(7)을 갖는 챔버(3)를 포함하고, 주입물을 위한 유출 오리피스(7a)가 있는 폐쇄부(8)와 상기 온수 공급 노즐과 연통되는 물 용기(10)가 구비되는 주입 헤드(2);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를 갖고, 활성 상태에서 상기 물 용기를 가압하기 위해 공기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가압 수단(11)을 포함하는 본체; 를 포함하는 케이스(1);
    주입 온도로 상승된 일정 체적의 물이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챔버 내로 운반되게 하는 제어 수단(12); 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수단(11)은 상기 가압 수단(11)과 상기 물 용기 사이에 배열되고 입구 차단 수단 및 출구 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압축 챔버(18)에 연결되고,
    제어 수단(12)을 포함하는 출구 차단 수단과 완전히 채워진 물 용기(10)를 가져서, 가압 수단이 비활성 상태에 위치될 때, 제어 수단은 압축 공기가 상기 물이 채워진 용기(10) 내로 갑자기 유입된 후 주입 사이클의 종점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압력 곡선을 갖는 유동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 차단 수단은 체크 밸브(20)를 포함하는 입구 통로(19)를 포함하고,
    출구 차단 수단은 물 용기로 이어지는 덕트(22)에 연결되는 출구 노즐(21)과, 온/오프식 밸브로 형성된 제어 수단(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온수 공급 노즐(7)은 분배 격자(23)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격자의 외부면은 상기 분배 격자와 접촉되는 충전물의 표면의 입구 영역(S)과 사실상 대응되는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배 격자(23)는 그 단면적의 합이 충전물의 표면적의 1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7%를 차지하는 유체 유동 섹션을 형성하는 복수의 구멍(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물 용기는 챔버의 외벽 상에 결합되는 마우쓰(mouth)(17)를 갖는 대체로 벨 형상이고, 상기 챔버의 외벽은 이를 위해 용기의 마우쓰의 형상과 상보적인(complementary)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는 타원 형상을 갖고, 본체의 일부가 파지 수단을 구성하도록 주입 헤드(2)가 그 위에 횡방향으로 위치되고,
    가압 수단(11)은 피스톤(26)을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고 피스톤의 로드(28)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단부(27)를 갖는 튜브(25)를 포함하는 수동식 공기 펌프이고, 상기 피스톤의 로드는 입구 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단부(29) 및 핸들(30)에 연결되고,
    압축 챔버(18)는 상기 튜브의 벽과, 상기 튜브의 벽과 누설 방지식으로 장착되는 내벽(31)을 갖는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본체의 내벽(31)은 원통형이고 튜브(25)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고,
    압축 챔버(18)는 상기 압축 챔버의 용적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적 요소(32)를 수용하기에 적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적 요소(32)는 튜브의 주위에 위치된 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12)는 헤드(2) 가까 이에 파지 수단의 본체 상에 배열되고,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조절되기에 적절하도록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가압버턴(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밸브(12)는 가압버턴(33)에 연결되고, 압축 챔버의 출구 차단 수단의 제1 폐쇄에 대응하는 휴지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공기압을 용기 내로 전달하여 주입을 시작하는 것에 대응하는 제1 포트, 용기 내로 공기압의 전달을 멈춰서 주입을 정지하고 용기를 주위 대기에 연결하는 것에 대응하는 제2 포트를 갖도록 2포트 실린더 내에서 활주 가능한 가동 슬라이더(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0)는 케이스에 고정된 프레임(35)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른 용적의 용기가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12.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12)을 포함하고 출구 노즐(21)로부터 물 용기(10)로 이어지는 덕트(22)는 전부 또는 일부에서 0.3mm와 사실상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KR1020097019343A 2007-02-16 2008-02-14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KR200901118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1131 2007-02-16
FR0701131A FR2912664B1 (fr) 2007-02-16 2007-02-16 Appareil destine a confectionner une infusion.
PCT/FR2008/050241 WO2008104713A2 (fr) 2007-02-16 2008-02-14 Appareil destine a confectionner une infu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876A true KR20090111876A (ko) 2009-10-27

Family

ID=3844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343A KR20090111876A (ko) 2007-02-16 2008-02-14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578839B2 (ko)
EP (1) EP2120654B1 (ko)
JP (1) JP5308356B2 (ko)
KR (1) KR20090111876A (ko)
CN (1) CN101616621B (ko)
AT (1) ATE488164T1 (ko)
DE (1) DE602008003525D1 (ko)
DK (1) DK2120654T3 (ko)
ES (1) ES2355705T3 (ko)
FR (1) FR2912664B1 (ko)
WO (1) WO200810471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8414B1 (fr) * 2008-11-20 2013-04-19 Handepresso Dispositif de filtration pour des infusions et appareil de confection d'infusions equipe d'un tel dispositif
US8381635B2 (en) * 2008-12-29 2013-02-26 Espressi, Inc. Portable espresso coffee apparatus
US20100162899A1 (en) * 2008-12-29 2010-07-01 O'brien Stephen J Portable brewing apparatus
AU2011252739B2 (en) * 2010-05-11 2015-05-07 Breville Pty Limited Improved espresso machine method and apparatus
IT1401128B1 (it) * 2010-07-16 2013-07-12 Antonio D Apparecchiatura portatile per la preparazione di caffe' espresso
FR2966335B1 (fr) * 2010-10-26 2012-11-30 Handpresso Appareil de confection d'infusions notamment d'expresso et du type a retournement.
FR2966334B1 (fr) * 2010-10-26 2012-11-30 Handpresso Appareil de confection d'infusions du type a retournement.
DE102012024089A1 (de) 2012-12-08 2014-06-12 Andreas Rössler Gerät zum Herstellen eines Aufgussgetränks, insbesondere eines kaffeehaltigen Heißgetränks
CN103654412B (zh) * 2013-08-08 2016-04-20 宋剑芳 一种便携式手工操作咖啡机
EP3360448B1 (en) * 2017-02-14 2019-09-18 Hua Ku (Shunde) Tech Electric Co., Ltd Improved manually operated coffee machine
US10588449B2 (en) * 2017-10-16 2020-03-17 Steven Jay Self Cu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86285A (fr) * 1924-09-22 1925-03-20 Procédé de préparation d'infusions telles que le café et appareil pour sa mise en oeuvre
US1754146A (en) * 1928-01-31 1930-04-08 Calvino Giovanni Coffee filter
FR734854A (fr) * 1932-04-07 1932-10-29 Perfectionnements aux filtres à café
US2056018A (en) * 1935-12-04 1936-09-29 Lawrence E Johnson Air pump
US2205290A (en) * 1938-09-13 1940-06-18 Herrera Juan Hernandez Infusion strainer device
US2620088A (en) * 1948-11-16 1952-12-02 Moderna Kok Ab Pressure type boiler or cooker
DE1107912B (de) * 1954-02-11 1961-05-31 Willi Brandl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Auszuegen aus Kaffee, Tee usw.
US2989227A (en) * 1959-01-19 1961-06-20 Statham Instrument Inc Pneumatic pump
FR1248591A (fr) * 1960-02-04 1960-12-16 Procédé et appareils pour la préparation du café
US3361052A (en) * 1965-11-15 1968-01-02 Robert L. Weber Coffee maker
US3478670A (en) * 1968-06-28 1969-11-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Air operated single cup coffee brewer
JPS5060281U (ko) * 1973-09-29 1975-06-03
US4375409A (en) * 1979-04-06 1983-03-01 Gentry Glenn A Filtration apparatus
US4386109A (en) * 1981-02-25 1983-05-31 Raytheon Company Microwave expresso coffee maker and process
GB8611831D0 (en) * 1986-05-15 1986-06-25 Sankey Vending Ltd Supplying water for beverage brewing apparatus
JPH01280894A (ja) * 1988-05-06 1989-11-13 Fuj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JPH0327497A (ja) * 1989-06-23 1991-02-05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飲料抽出装置
JPH0710678Y2 (ja) * 1989-08-28 1995-03-15 東芝機器株式会社 飲料抽出機
US4967647A (en) * 1989-09-05 1990-11-06 King Alan M Air supply for a coffee maker
JPH05120A (ja) * 1991-06-21 1993-01-08 Oudenshiya:Kk コーヒーメーカー
US5458165A (en) * 1994-10-19 1995-10-17 Liebmann, Jr.; George W. Gas actuator assembly
JPH09327387A (ja) * 1996-06-11 1997-12-22 Sanden Corp コーヒー抽出装置
US6582743B2 (en) * 2001-05-31 2003-06-24 Edward Cai Device and method for cooking and/or heating comestibles with hot gaseous fluid
US6805042B2 (en) * 2002-05-10 2004-10-19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Division Of Conopco, Inc. Apparatus for brewing a beverage
US7644649B2 (en) * 2003-11-22 2010-01-12 Nestec S.A. Mobile or portable apparatus with pressurized gas supply for preparing beverages or similar products
US7523695B2 (en) * 2003-12-12 2009-04-28 Keurig, Incorporated System for dispensing metered volumes of heated water to the brew chamber of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TWI281855B (en) * 2005-04-13 2007-06-01 Wu Jian Wen Coffee flushing and filtering method by using high-pressure air
FR2896676B1 (fr) * 2006-02-01 2011-07-01 Nielsen Innovation Appareil destine a confectionner une infusion de the ou de cafe
EP2114219A1 (en) * 2007-02-16 2009-11-11 James P. Shrader Espresso maker and method
JP2010528823A (ja) * 2007-06-11 2010-08-26 エスプレッシ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携帯用抽出デバイスおよび抽出・操作の方法
US20100162899A1 (en) * 2008-12-29 2010-07-01 O'brien Stephen J Portable brewing apparatus
US8381635B2 (en) * 2008-12-29 2013-02-26 Espressi, Inc. Portable espresso coffee apparatus
USD614432S1 (en) * 2009-03-19 2010-04-27 Espressi, Inc. Portable espresso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08356B2 (ja) 2013-10-09
US8578839B2 (en) 2013-11-12
DK2120654T3 (da) 2011-02-21
CN101616621A (zh) 2009-12-30
WO2008104713A2 (fr) 2008-09-04
JP2010518897A (ja) 2010-06-03
WO2008104713A3 (fr) 2008-10-30
EP2120654B1 (fr) 2010-11-17
FR2912664B1 (fr) 2012-07-20
US20100011966A1 (en) 2010-01-21
CN101616621B (zh) 2011-08-17
FR2912664A1 (fr) 2008-08-22
ES2355705T3 (es) 2011-03-30
DE602008003525D1 (ko) 2010-12-30
EP2120654A2 (fr) 2009-11-25
ATE488164T1 (de)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1876A (ko) 주입물을 마련하기 위한 장치
JP4808217B2 (ja) 飲料を調整するための、加圧ガス供給部を有する装置
US6405637B1 (en) Fluid delivery system for generating pressure pulses to make beverages
JP4695091B2 (ja) 飲料又は類似した製品を調合するための加圧気体供給を備える移動式又は携帯型装置
JP4923063B2 (ja) コーヒーまたは紅茶の浸出液を出すための器具
JP5198064B2 (ja) ブリューチャンバ及び圧力解放手段を有する飲料作製装置
US20130243919A1 (en) Espresso Maker and Method
US20080196593A1 (en) Espresso maker and method
US20060090653A1 (en) Beverage maker having brewing chamber adapted to receive coffee pods or loose coffee
PL202937B1 (pl) Urządzenie do przygotowywania napoju
JP2010528823A (ja) 携帯用抽出デバイスおよび抽出・操作の方法
US20120093990A1 (en) Espresso Maker and Method
US9844295B2 (en) Coffee machine
JP6720682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CN102292010A (zh) 便携蒸馏咖啡设备
WO2016113621A1 (en) Stovetop espresso maker
EP3247245A1 (en) Stovetop espresso maker
EP4197405A1 (en) Initial discharge of cold water in a preheating process of a beverage ma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