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179A -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179A
KR20090111179A KR1020080036810A KR20080036810A KR20090111179A KR 20090111179 A KR20090111179 A KR 20090111179A KR 1020080036810 A KR1020080036810 A KR 1020080036810A KR 20080036810 A KR20080036810 A KR 20080036810A KR 20090111179 A KR20090111179 A KR 2009011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tilting
cylinde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597B1 (ko
Inventor
한상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59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는, ⅰ)하부면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볼 캐스터를 통하여 작업실의 바닥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향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제1 작동 실린더의 작동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유닛과, ⅱ)개방 상태의 도어와 차체의 설치 거리(T)에 의한 상기 도어의 개폐 각도(θ1)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성되는 제1 위치결정유닛과, ⅲ)상기 도어의 하부와 차체 하부의 설치 높이(H)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지그 프레임에 구성되는 제2 위치결정유닛과, ⅳ)상기 차체와 도어의 설치 거리(T)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성되는 제3 위치결정유닛과, ⅴ)상기 설치 높이(H) 및 상기 차체와의 거리(L)에 의한 상기 도어의 수직 각도(θ2)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지그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는 틸팅유닛과, ⅵ)상기 지그 프레임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클램핑 하는 클램핑유닛과, ⅶ)상기 지그 프레임 상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트림부를 지지하는 롤러유닛과, ⅷ)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차체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밀착시키기 위한 동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 차체, 장착, 이동, 위치, 결정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DOOR MOUN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차체의 장착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외형은 차체, 그 차체의 양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도어는 승객이 차 실내를 출입할 수 있도록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도어를 차체에 장착할 때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하여야 한다.
즉, 도어(D)를 장착할 때에는 각종 전장 부품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전선을 연결한 후 그 도어(D)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111)를 차체(B)의 사이드 아웃터 패널(120)에 설치하되, 도어(D)가 열려진 상태에서 차체(B)와의 거리(T)에 의한 개폐 각도(θ1)와, 개방된 도어(D)의 하부와 차체(B)의 하부 사이를 유지하도록 도어(D)의 설치 높이(H), 및 차체(B)와의 거리(L)에 의한 수직 각도(θ2)와, 도어(D)의 수평 각도(θ3)가 일치되게 장착하여야 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도어(D)를 도어 장착장치를 통하여 차체(B)의 장착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차체(B)와의 거리 및 도어(D)의 기설정된 수직, 수평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 장착장치를 통하여 도어(D)를 도어 행거에서 차체(B)의 장착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도어(D)를 회전시키거나 수직 각도(θ2)를 조정하는 경우, 그 도어(D)가 도어 장착장치로부터 추락하거나 전복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D)의 패널에 덴트(dent)가 발생되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 장착장치를 통하여 도어(D)의 수직 각도(θ2)를 조정하는데 있어, 차종별로 도어(D)의 수직 각도(θ2)가 상이한 경우 차종에 따라서 도어 장착장치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도어 장착장치의 교체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고, 차종별로 도어 장착장치를 구비하는데 따른 투자비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이동 및 회전시 그 도어가 추락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종별로 서로 다른 도어의 수직 각도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는, ⅰ)하부면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볼 캐스터를 통하여 작업실의 바닥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향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제1 작동 실린더의 작동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유닛과, ⅱ)개방 상태의 도어와 차체의 설치 거리(T)에 의한 상기 도어의 개폐 각도(θ1)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성되는 제1 위치결정유닛과, ⅲ)상기 도어의 하부와 차체 하부의 설치 높이(H)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지그 프레임에 구성되는 제2 위치결정유닛과, ⅳ)상기 차체와 도어의 설치 거리(T)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성되는 제3 위치결정유닛과, ⅴ)상기 설치 높이(H) 및 상기 차체와의 거리(L)에 의한 상기 도어의 수직 각도(θ2)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지그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는 틸팅유닛과, ⅵ)상기 지그 프레임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클램핑 하는 클램핑유닛과, ⅶ)상기 지그 프레임 상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트림부를 지지하는 롤러유닛과, ⅷ)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차체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밀착시키기 위한 동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차체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각도(θ1)를 설정하기 위한 각도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1 연결 아암과, 상기 연결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하부를 규제하는 제1 어태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차체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그 프레임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2 연결 아암과, 상기 제2 연결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하부면을 규제하는 제2 어태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차체와 도어의 설치 거리(T)를 설정하기 위한 각도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3 연결 아암과, 상기 제3 연결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일측을 규제하는 제3 어태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단부에 제1 롤러 브라켓을 통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하단부와 구름 접촉하는 안내 롤러와, 상기 안내 롤러 사이에서 베어링을 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의 일측 단부에 제2 롤러 브라켓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하단부와 구름 접촉하는 틸팅 롤러 와, 상기 회전봉과 실질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으로서 상기 도어의 수직 각도(θ2)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과, 상기 각도 조절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틸팅 각도 범위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틸팅각 규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봉의 다른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틸팅 브라켓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그 작동 로드의 선단이 상기 틸팅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틸팅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팅각 규제수단은 상기 틸팅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 롤러와 수평을 이루는 상기 틸팅 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틸팅 롤러의 상,하향 틸팅 각도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한 쌍의 스토퍼 스크류와, 실린더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스토퍼 실린더의 작동 로드 선단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틸팅 브라켓에 대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지그는 삼각형의 블록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브라켓 상의 가이드 블록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지그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과, 상기 장착 프레임 상의 베이스 플레 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실린더 베이스와, 상기 실린더 베이스에 상향 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1 클램핑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베이스의 상단부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클램핑 실린더의 작동 로드에 다른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클램핑 실린더와,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의 작동 로드 선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선단에 다른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을 가지면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포 우레탄 소재의 클램핑 롤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 베이스에 고정 블록을 통해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링크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기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의 실린더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작동 실린더와, 상기 차체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 브라켓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 로드의 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작동 실린더의 작동 로드가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절부재와, 상기 회절부재의 다른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으로 밀착되는 제4 어태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틸팅유닛에 지지되는 상기 도어에 대응하여 상기 지그 프레임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각 연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포 우레탄 소재의 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장착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도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이동 및 회전시 도어가 추락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추락이나 전복으로 인해 도어의 패널에 덴트(dent)가 발생하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되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종별로 서로 다른 도어의 수직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차종별로 장착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차종별로 장착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는데 따른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가 적용되는 도어 장착 라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100)는 도장이 완료된 상태로 컨베이어(C)를 통해 작업실 내부로 이송되는 차체(B)에 도어(D)를 장착하기 위한 차체 공장의 도어 장착 라인에 적용된다.
이러한 도어 장착장치(100)는 도어 행거(HG)에서 도어(D)를 이재하고, 그 도어(D)를 차체(B)의 도어 장착 위치까지 수동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도어(D)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여 차체(B)에 대한 도어(D)의 장착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도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프레임유닛(10)과, 제1 위치결정유닛(20)과, 제2 위치결정유닛(30)과, 제3 위치결정유닛(40)과, 틸팅유닛(50)과, 클램핑유닛(70)과, 롤러유닛(80)과, 동기유닛(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유닛(10)은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는 각종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유닛(10)은 이들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브라켓, 지지 블록 등과 같은 부속 요소들을 구비하고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프레임유닛(10)으로 통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러한 프레임유닛(10)은 크게 베이스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3)과, 지그 프레임(15)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도어 장착 라인의 작업실 바닥면에서 작업자의 조 작을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하부면의 각 모서리 부분에 볼 캐스터(12: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볼 베어링"이라고도 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3)은 베이스 프레임(11)에 상향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바,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상호 이격되게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14a)과, 이들 수직 프레임(14a)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4b)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수평 프레임(14b)에는 본 장치(100)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작업자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14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그 프레임(15)은 수직 프레임(14a) 상의 가이더(16)를 통하여 그 수직 프레임(1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그 프레임(15)은 실린더 브라켓(17)을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작동 실린더(18)의 작동으로서 수직 프레임(14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작동 실린더(18)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며, 실린더 브라켓(17)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상향하여 배치되고, 이의 작동 로드(19)가 지그 프레임(15)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결정유닛(20)은 도 1에서와 같이 개방 상태의 도어(D: 도 4 참조)와 차체(B)의 설치 거리(T: 이하 도 1 참조)에 의한 도어(D)의 개폐 각도(θ1)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위치결정유닛(20)은 고정 프레임(13)에 구성되는 바, 이의 구성은 도 5에서와 같이 차체(B)의 하부에 대응하여 고정 프레임(13)의 하부에 제1 연결 아암(21)이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제1 연결 아암(21)은 차체(B)의 하부에 대하여 도어(D)의 개폐 각도(θ1)를 설정하기 위한 각도로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아암(21)의 단부에는 차체(B)의 하부 즉, 차체(B)의 사이드 아웃터 패널의 하부를 규제하기 위한 제1 어태치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어태치부재(23)는 베이스 프레임(11)의 이동으로서 차체(B)의 하부에 밀착되는 것으로, 제1 연결 아암(21)과 연결되는 제1 연결판(24)과, 제1 연결판(24)에 부착되는 발포 우레탄 소재의 제1 밀착 패드(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위치결정유닛(30)은 도 1에서와 같이 도어(D)의 하부와 차체(B) 하부의 설치 높이(H: 이하 도 1 참조)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 위치결정유닛(30)은 도어(D)의 하부와 차체(B)의 하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위치결정유닛(30)은 지그 프레임(15)의 하부에 구성되는 바, 이의 구성은 도 5에서와 같이 차체(B)의 하부에 대응하여 지그 프레임(15)의 하부에 제2 연결 아암(31)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 아암(31)의 단부에는 차체(B)의 하부면을 규제하기 위한 제2 어태치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어태치부재(33)는 제1 작동 실린더(18)에 의한 지그 프레임(15)의 상하 이동으로서 차체(B)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제2 연결 아암(31)과 연결되는 제2 연결판(34)과, 제2 연결판(34)에 부착되는 발포 우레탄 소재의 제2 밀착 패드(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위치결정유닛(40)은 도 1에서와 같이 차체(B)와 도어(D)의 설치 거리(T)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3 위치결정유닛(40)은 고정 프레임(13)에 구성되는 바, 이의 구성은 도 6에서와 같이 차체(B)에 대응하여 고정 프레임(13)에 바아 형태의 제3 연결 아암(41)이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제3 연결 아암(41)은 언급한 바 있는 제1 연결 아암(21)의 상측에서 고정 프레임(13)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차체(B)와 도어(D)의 설치 거리(T)를 설정하기 위한 각도로서 차체(B)의 프론트 필러측(제1 연결 아암의 경사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이의 단부가 프론트 필러측 내부면 쪽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 연결 아암(41)의 절곡 단부에는 차체(B)의 프론트 필러측 내부면을 규제하기 위한 제3 어태치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3 어태치부재(43)는 베이스 프레임(11)의 이동으로서 차체(B)의 프론트 필러측 내부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제3 연결 아암(41)의 절곡 단부에 끼워지는 발포 우레탄 소재의 제3 밀착 패드(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유닛(50)은 도어(D)의 하단부를 실질적으로 지지하 면서 도 1에서와 같이 도어(D)의 하부와 차체(B) 하부의 설치 높이(H) 및 그 차체(B)와의 거리(L)에 의한 도어(D)의 수직 각도(θ2)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틸팅유닛(50)은 도 7에서와 같이 지지 프레임(51)을 통해 지그 프레임(15)의 하부에 구성된다.
이러한 틸팅유닛(50)은 안내 롤러(52: 도 3 참조)와, 틸팅 롤러(54)와, 각도 조절수단(58)과, 틸팅각 규제수단(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 롤러(52)는 지지 프레임(51)의 양단부에 제1 롤러 브라켓(53)을 통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도어(D)의 하단부와 구름 접촉하면서 제1 롤러 브라켓(53)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틸팅 롤러(54)는 안내 롤러(52) 사이에서 베어링(55)을 통하여 지지 프레임(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56)에 있어 이의 일측 단부에 구성되는 바, 제2 롤러 브라켓(57)을 통하여 그 회전봉(56)의 일측 단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틸팅 롤러(54)는 도어(D)의 하단부와 구름 접촉하면서 제2 롤러 브라켓(57)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각도 조절수단(58)은 언급한 바 있는 회전봉(56)의 회전으로서 도어(D)의 수직 각도(θ2)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도 조절수단(58)은 회전봉(56)과 실질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바, 그 회전봉(56)의 다른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틸팅 브라켓(59)과, 지지 프레임(51)에 힌지 결합되며 이의 작동 로드(61) 선단이 틸팅 브라켓(59)에 힌지 결합되는 틸팅 실린더(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틸팅 브라켓(59)은 볼트(60)를 통해 회전봉(56)의 다른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틸팅 실린더(62)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며, 이의 후단이 지지 프레임(51) 상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각 규제수단(63)은 도어(D)의 틸팅 각도 범위를 선택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도 조절수단(58)에 대응하여 지지 프레임(51) 상에 구성된다.
이러한 틸팅각 규제수단(63)은 스토퍼 스크류(64)와, 스토퍼 실린더(65)와, 스토퍼 지그(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 스크류(64)는 안내 롤러(52)와 수평을 이루는 틸팅 롤러(54)를 기준으로 그 틸팅 롤러(54)의 상하 방향에 대한 틸팅 각도를 선택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틸팅 브라켓(59)을 관통하면서 그 틸팅 브라켓(59)에 스크류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스크류(64)는 한 쌍으로서 틸팅 브라켓(59)에 상호 이격되게 스크류 체결되는 바, 틸팅 롤러(54) 측으로 배치되는 어느 하나는 헤드 부분이 틸팅 브라켓(59)의 일측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다른 어느 하나는 이의 헤드 부분이 틸팅 브라켓(59)의 일측면과 접촉되게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 실린더(65)는 실린더 브라켓(66)을 통하여 지지 프레임(51) 상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회전봉(5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 하는 작동 로드(6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 실린더(65)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지그(68)는 스토퍼 실린더(65)의 작동 로드(67) 선단에 장착되며, 지지 프레임(51) 상에 지지된 상태로 틸팅 브라켓(59)에 대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 지그(68)는 삼각형 단면의 블록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언급한 바 있는 실린더 브라켓(66) 상의 가이드 블록(69)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유닛(70)은 틸팅유닛(50)의 안내 롤러(52) 및 틸팅 롤러(54)에 하단부가 지지되고 있는 도어(D)를 클램핑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클램핑유닛(70)은 본 장치(100)의 이동시 안내 롤러(52) 및 틸팅 롤러(54)에 지지된 도어(D)의 추락 및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클램핑유닛(70)은 지그 프레임(15)의 상부에 구성되는 바, 도 8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장착 프레임(71)과, 실린더 베이스(72)와, 제1 클램핑 실린더(73)와, 제1 링크부재(74)와, 제2 링크부재(75)와, 제2 클램핑 실린더(76)와, 클램핑 롤러(77)와, 스토퍼부재(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 프레임(71)은 지그 프레임(15)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ㄱ"자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 베이스(72)는 장착 프레임(71) 상의 베이스 플레이트(72a)에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클램핑 실린더(73)는 실린더 베이스(72)에 상향하여 힌지 결합되는 바, 이의 후단이 실린더 베이스(72)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클램핑 실린더(73)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링크부재(74)는 이의 일측 부분이 실린더 베이스(72)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다른 일측 부분이 제1 클램핑 실린더(73)의 작동 로드(73a) 선단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2 링크부재(75)는 장착 프레임(71)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의 일측 단부가 제1 링크부재(74)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76)는 제2 링크부재(75)의 일측 단부 측에 힌지 결합되는 바, 이의 후단이 제2 링크부재(75)의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76)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 롤러(77)는 일측 부분이 제2 클램핑 실린더(76)의 작동 로드(76a) 선단에 힌지 결합되며, 다른 일측 부분이 제2 링크부재(75)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77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클램핑 롤러(77)는 소정 길이를 지닌 원형의 봉 형태를 취하며, 발포 우레탄 소재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재(78)는 실린더 베이스(72)에 대하여 제1 링크부재(74)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링크부재(74)에 대응하여 실린더 베이스(7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유닛(80)은 틸팅유닛(50)의 안내 롤러(52) 및 틸팅 롤러(54)에 안착되는 도어(D: 이하 도 4 참조)의 트림부(TR: 이하 도 4 참조)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롤러유닛(80)은 지그 프레임(15) 상에 구성되는 바, 이의 구성은 도 8에서와 같이 도어(D)의 트림부(TR)에 대응하는 지그 프레임(15)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 브라켓(81)과, 각 연결 브라켓(8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롤러(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연결 브라켓(81)은 고정 브라켓(82)을 통하여 지그 프레임(15)에 장착되는 바, 볼트를 통하여 그 고정 브라켓(82)에 뻑뻑하게 끼워진 상태로 도어(D)의 폭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롤러(85)는 각각의 연결 브라켓(8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쿠션이 있는 발포 우레탄 소재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유닛(90)은 베이스 프레임(11)이 차체(B)와 동기 이동 가능하도록 그 베이스 프레임(11)을 컨베이어(C)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동기유닛(90)은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구성되는 바, 이의 구성은 도 9에서와 같이 제2 작동 실린더(91)와, 회절부재(95)와, 제4 어태치부재(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작동 실린더(91)는 베이스 프레임(11) 상의 실린더 브라켓(92)을 통하여 그 베이스 프레임(1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실린더 브라켓(92)에는 제2 작동 실린더(91)의 작동 로드(미도 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 로드(94)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작동 실린더(91)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절부재(95)는 소정 폭과 길이를 지닌 한 쌍의 플레이트로서 이루어지며, 이들 플레이트 사이에서 지지 로드(94)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단부가 제2 작동 실린더(91)의 작동 로드(미도시) 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4 어태치부재(96)는 제2 작동 실린더(91)의 구동으로서 지지 로드(94)와 회절부재(95)의 링크 운동을 통해 컨베이어(C)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회절부재(95)의 다른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연결판(97)과, 제3 연결판(97)에 부착되는 발포 우레탄 소재의 제3 밀착 패드(9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에서와 같이 도장이 완료된 차체(B)가 컨베이어(C)를 통해 작업실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도어 행거(HG)를 통해 작업실로 이송된 도어(B)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서 본 장치(100)로 이재된다.
이 경우 도어(D)는 도 10에서와 같이, 이의 하단부가 틸팅유닛(50)의 안내 롤러(52) 및 틸팅 롤러(54) 상으로 안착되고, 그 도어(D)의 트림부(TR)는 롤러유닛(80)의 지지 롤러(85)에 지지된다(S1).
이어서, 상기 도어(D)는 제1 클램핑 실린더(73)의 전진 작동으로서 클램핑 롤러(77)를 통해 1차적으로 클램핑 되고(S2), 제2 클램핑 실린더(76)의 전진 작동 으로서 클램핑 롤러(77)를 통해 2차적으로 클램핑 된다(S3).
다음, 도 11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고정 프레임(13)의 손잡이부(14c)를 파지한 상태로 본 장치(100)를 차체(B)의 도어 장착 위치까지 이동시킴과 동시에, 차체(B) 측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도어(D)가 클램핑유닛(70)을 통해 클램핑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그 도어(D)가 본 장치(100)를 통해 차체(B)의 도어 장착 위치까지 이동되는 과정에서 작업실의 바닥으로 추락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12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베이스 프레임(11)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위치결정유닛(20)의 제1 어태치부재(23)를 차체(B)의 하부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도어(D)는 열려진 상태로 차체(B)의 설치 거리(T: 도 1 참조)에 의한 도어(D)의 개폐 각도(θ1)가 결정된다.
다음, 도 13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틸팅유닛(50)을 이용하여 도어(D)의 하부와 차체(B) 하부의 설치 높이(H: 도 1 참조) 및 그 차체(B)와의 거리(L: 도 1 참조)에 의한 도어(D)의 수직 각도(θ2)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수직 각도(θ2)가 최소 차량인 경우, 틸팅 실린더(62)의 작동 로드(61)를 전진시키게 되면, 틸팅 브라켓(59)은 회전봉(56)을 통하여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틸팅 롤러(54)는 제2 롤러 브라켓(57)을 통하여 회전봉(56)과 함께 하측 방향으로 회전된다(S1).
따라서, 도어(D)는 상기한 작용으로서 차체(B) 하부의 설치 높이(H) 및 그 차체(B)와의 거리(L)에 의한 최소한의 수직 각도(θ2)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스토퍼 지그(68)는 스토퍼 실린더(65)의 전진 운동을 통해 다른 하나의 스토퍼 스크류(64)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한편, 상기 수직 각도(θ2)가 중간 차량인 경우, 틸팅 실린더(62)의 작동 로드(61)를 후진시키게 되면, 틸팅 브라켓(59)은 회전봉(56)을 통하여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틸팅 롤러(54)는 제2 롤러 브라켓(57)을 통하여 회전봉(56)과 함께 상측 방향으로 회전된다(S2).
이러는 과정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스토퍼 스크류(64)는 스토퍼 지그(68)에 밀착되는 바, 틸팅 브라켓(59)은 스토퍼 지그(68)에 의해 더 이상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어(D)는 상기한 작용으로서 차체(B) 하부의 설치 높이(H) 및 그 차체(B)와의 거리(L)에 의한 중간 정도의 수직 각도(θ2)를 유지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수직 각도(θ2)가 최대 차량인 경우, 스토퍼 실린더(65)의 후진 운동을 통해 스토퍼 지그(68)를 틸팅 롤러(54) 측의 스토퍼 스크류(64)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틸팅 실린더(62)의 작동 로드(61)를 더욱 후진시키게 되면, 틸팅 브라켓(59)은 회전봉(56)을 통하여 하측 방향으로 더욱 회전되고, 이에 따라 틸팅 롤러(54)는 제2 롤러 브라켓(57)을 통하여 회전봉(56)과 함께 상측 방향으로 더욱 회전된다(S3).
이러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 지그(68)에 대응하는 하나의 스토퍼 스크류(64)는 그 스토퍼 지그(68)에 밀착되는 바, 틸팅 브라켓(59)은 스토퍼 지그(68) 에 의해 더 이상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어(D)는 상기한 작용으로서 차체(B) 하부의 설치 높이(H) 및 그 차체(B)와의 거리(L)에 의한 최대한의 수직 각도(θ2)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도 5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제1 작동 실린더(18)를 작동시켜 그 제1 작동 실린더(18) 전진 작동에 의한 지그 프레임(15)의 상향 이동으로서 제2 위치결정유닛(30)의 제2 어태치부재(33)를 차체(B)의 하부면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도어(D)는 도어(D)의 하부와 차체(B) 하부의 설치 높이(H)가 결정된다.
이어서, 도 6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베이스 프레임(11)를 이동시킴으로써 제3 위치결정유닛(40)의 제3 어태치부재(43)를 차체(B)의 프론트 필러측 내부면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도어(D)는 차체(B)와 도어(D)의 설치 거리(T)가 결정된다.
다음, 도 14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동기유닛(90)의 제2 작동 실린더(91)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동기유닛(90)의 제4 어태치부재(96)는 제2 작동 실린더(91)의 구동으로서 지지 로드(94)와 회절부재(95)의 링크 운동을 통해 컨베이어(C)의 상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1)은 상기에서와 같은 동기유닛(90)의 작용으로서 차체(B)와 동기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도어(D)의 수평 각도(θ3)는 작업자가 직접 도어(D)를 클램핑유닛(70)의 클램핑력이 작용하는 반대 쪽으로 밀어 내면 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D)와 차체(B)의 설치 거리(L)는 작업자가 수동으로서 도어(D)를 차체(B) 쪽으로 밀어 냄으로써 조정이 가능하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을 통해 도어(D)를 도어 행거(HG)로부터 이재 후, 도어(D)를 차체(B)의 장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도어(D)의 전복 및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 도어(D)를 차체(B)의 장착 위치까지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D)가 열려진 상태에서 차체(B)와의 거리(T)에 의한 개폐 각도(θ1)와, 개방된 도어(D)의 하부와 차체(B)의 하부 사이를 유지하도록 도어의 설치 높이(H) 및 차체(B)와의 거리(L)에 의한 수직 각도(θ2)와, 도어(D)의 수평 각도(θ3)가 일치되게 상기한 도어(D)를 차체(B)의 장착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틸팅유닛(50)을 구비함에 따라, 차종별로 서로 다른 도어(D)의 수직 각도(θ2)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차종에 따라 장착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며, 차종별로 장착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는데 따른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의 장착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가 적용되는 차체 장착 라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도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위치결정유닛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적용되는 제3 위치결정유닛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적용되는 틸팅유닛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적용되는 클램핑유닛 및 롤러유닛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에 적용되는 동기유닛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10)

  1. 하부면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볼 캐스터를 통하여 작업실의 바닥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향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제1 작동 실린더의 작동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유닛;
    개방 상태의 도어와 차체의 설치 거리(T)에 의한 상기 도어의 개폐 각도(θ1)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성되는 제1 위치결정유닛;
    상기 도어의 하부와 차체 하부의 설치 높이(H)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지그 프레임에 구성되는 제2 위치결정유닛;
    상기 차체와 도어의 설치 거리(T)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성되는 제3 위치결정유닛;
    상기 설치 높이(H) 및 상기 차체와의 거리(L)에 의한 상기 도어의 수직 각도(θ2)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지그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는 틸팅유닛;
    상기 지그 프레임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클램핑 하는 클램핑유닛;
    상기 지그 프레임 상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트림부를 지지하는 롤러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차체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밀착시키기 위한 동기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차체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각도(θ1)를 설정하기 위한 각도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1 연결 아암과,
    상기 연결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하부를 규제하는 제1 어태치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차체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그 프레임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2 연결 아암과,
    상기 제2 연결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하부면을 규제하는 제2 어태치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차체와 도어의 설치 거리(T)를 설정하기 위한 각도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3 연결 아암과,
    상기 제3 연결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일측을 규제하는 제3 어태치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단부에 제1 롤러 브라켓을 통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하단부와 구름 접촉하는 안내 롤러와,
    상기 안내 롤러 사이에서 베어링을 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의 일측 단부에 제2 롤러 브라켓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하단부와 구름 접촉하는 틸팅 롤러와,
    상기 회전봉과 실질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으로서 상기 도어의 수직 각도(θ2)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과,
    상기 각도 조절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틸팅 각도 범위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틸팅각 규제수단
    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봉의 다른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틸팅 브라켓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그 작동 로드의 선단이 상기 틸팅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틸팅 실린더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각 규제수단은,
    상기 틸팅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 롤러와 수평을 이루는 상기 틸팅 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틸팅 롤러의 상,하향 틸팅 각도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한 쌍의 스토퍼 스크류와,
    실린더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스토퍼 실린더의 작동 로드 선단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틸팅 브라켓에 대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지그
    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지그는 삼각형의 블록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브라켓 상의 가이드 블록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지그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과,
    상기 장착 프레임 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실린더 베이스와,
    상기 실린더 베이스에 상향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1 클램핑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베이스의 상단부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클램핑 실린더의 작동 로드에 다른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클램핑 실린더와,
    상기 제2 클램핑 실린더의 작동 로드 선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선단에 다른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을 가지면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포 우레탄 소재의 클램핑 롤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 베이스에 고정 블록을 통해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링크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의 실린더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 정되게 설치되는 제2 작동 실린더와,
    상기 차체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 브라켓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 로드의 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작동 실린더의 작동 로드가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절부재와,
    상기 회절부재의 다른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으로 밀착되는 제4 어태치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틸팅유닛에 지지되는 상기 도어에 대응하여 상기 지그 프레임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각 연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포 우레탄 소재의 지지 롤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KR1020080036810A 2008-04-21 2008-04-21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KR100974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810A KR100974597B1 (ko) 2008-04-21 2008-04-21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810A KR100974597B1 (ko) 2008-04-21 2008-04-21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79A true KR20090111179A (ko) 2009-10-26
KR100974597B1 KR100974597B1 (ko) 2010-08-06

Family

ID=4153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810A KR100974597B1 (ko) 2008-04-21 2008-04-21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59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32B1 (ko) * 2012-09-28 2014-04-08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프런트 도어 장착품질 체크장치
KR101438639B1 (ko) * 2013-07-09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장착기의 도어 정위치 장치
CN104527753A (zh) * 2014-11-28 2015-04-22 华晨汽车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适用于分装线混线生产的汽车拉门工装车
CN109333411A (zh) * 2018-12-07 2019-02-15 上海永乾机电有限公司 一种差异化车门柔性精准夹持装置
CN114770583A (zh) * 2022-04-29 2022-07-22 大连工业大学 一种基于vr的智能装配系统
CN114800588A (zh) * 2022-06-10 2022-07-29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车门总成夹持装置
CN114871985A (zh) * 2022-04-30 2022-08-09 浙江司贝宁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装门机构及装门方法
CN115258003A (zh) * 2022-07-08 2022-11-0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身侧围总成固定装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907B1 (ko) 2005-07-29 2006-09-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장착 지그의 위치 조절장치
KR100764712B1 (ko) 2006-05-25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KR20080013282A (ko) * 2006-08-08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조립용 장치
KR100798897B1 (ko) 2007-01-12 2008-01-29 (주)우진정공 자동차 도어 장착용 틸팅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32B1 (ko) * 2012-09-28 2014-04-08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프런트 도어 장착품질 체크장치
KR101438639B1 (ko) * 2013-07-09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장착기의 도어 정위치 장치
CN104527753A (zh) * 2014-11-28 2015-04-22 华晨汽车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适用于分装线混线生产的汽车拉门工装车
CN109333411A (zh) * 2018-12-07 2019-02-15 上海永乾机电有限公司 一种差异化车门柔性精准夹持装置
CN114770583A (zh) * 2022-04-29 2022-07-22 大连工业大学 一种基于vr的智能装配系统
CN114871985A (zh) * 2022-04-30 2022-08-09 浙江司贝宁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装门机构及装门方法
CN114800588A (zh) * 2022-06-10 2022-07-29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车门总成夹持装置
CN114800588B (zh) * 2022-06-10 2023-07-07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车门总成夹持装置
CN115258003A (zh) * 2022-07-08 2022-11-0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身侧围总成固定装具
CN115258003B (zh) * 2022-07-08 2023-10-3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身侧围总成固定装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597B1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597B1 (ko)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KR100765648B1 (ko) 동기주행기능을 갖춘 도어 장착 시스템
KR100892700B1 (ko) 차량용 도어장착장치
KR101438639B1 (ko) 차량용 도어 장착기의 도어 정위치 장치
EP06956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vehicle door glass to vehicle body
KR100986066B1 (ko)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
US5313814A (en) Bending machine
KR20130039957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CN112455068A (zh) 一种烟盒自动丝印机
CN110921390A (zh) 自动生产线用引线框架翻转上料装置
KR100282474B1 (ko) 차량의 휀더 장착 지그
KR101405229B1 (ko) 트렁크 리드 및 테일 게이트 공용 힌지 조립 지그장치
KR100897268B1 (ko) 프레임리스 도어 글라스 조정장치
US6477880B1 (en) Flanging device with pressing and clamping elements
KR101371459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US6434806B1 (en) Machine for installing flexible covers on seat cushions having sliding stanchion carriage for closely following the contour of the seat cushion
JPH09277049A (ja) ロボットによる溶接装置
KR100903323B1 (ko) 차량용 어퍼암 장착용 로딩장치
CN219044629U (zh) 气弹簧装配检测装置
JPS625983Y2 (ko)
CN220062855U (zh) 一种用于汽车饰件的变形检测治具
KR101163697B1 (ko) 도어용 그리퍼
JP4340025B2 (ja) 支柱打ち込み機
CN220160291U (zh) 一种铝合金门窗喷漆翻转结构
CN220350896U (zh) 一种板材输送定位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